KR20220043938A - 인큐베이팅 마스크 - Google Patents

인큐베이팅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938A
KR20220043938A KR1020200125454A KR20200125454A KR20220043938A KR 20220043938 A KR20220043938 A KR 20220043938A KR 1020200125454 A KR1020200125454 A KR 1020200125454A KR 20200125454 A KR20200125454 A KR 20200125454A KR 20220043938 A KR20220043938 A KR 20220043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sk
incubating
window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용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용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용,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용
Priority to KR102020012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938A/ko
Priority to CN202011303743.8A priority patent/CN112324766B/zh
Publication of KR2022004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62B18/045Gas helmets with fans for delivering air for breathing mounted in or on the helm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8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n abutting connection of at least on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1/00Devices for producing oxygen from chemical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가 착용할 수 있는 인큐베이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을 가누기 어려운 유아가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유아의 이마, 정수리, 뒤통수, 옆통수를 감싸는 캡과, 유아의 얼굴과 마주하며 캡의 개방된 전면에 탈부착 가능한 창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캡 또는 창에 형성되는 유로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큐베이팅 마스크{Incubating Mask}
본 발명은 유아가 착용할 수 있는 인큐베이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을 가누기 어려운 유아가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질환이 성행할 경우, 성인과 어린이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하지만, 유아의 경우에는 자신의 몸을 가누기 어려움에 따라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어렵다. 따라서 유아의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에 성인 및 어린이에 비해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166호에 기술된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얼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마스크 본체 일측에 고정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압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일측으로는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로 산소를 제공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마스크 본체 외부로 질소를 배기하도록 압축공기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를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수단을 귀에 거는 귀걸이 부재를 사용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166호에 공개된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유아에게 착용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인 귀걸이 부재를 유아의 귀에 걸어 착용하게 되는데, 몸놀림이 자신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 유아의 경우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좌우로 무의식적으로 돌릴 수 있고, 이 경우 귀걸이 부재가 귀에서 벗겨지거나 벗겨진 마스크 본체가 입에 닿을 수 있어 호흡기성 병원균의 전염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166호(공개일자 2019년06월13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면서 유아의 몸놀림에도 쉽게 벗겨지지 않고 유아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유아의 이마, 정수리, 뒤통수, 옆통수를 감싸는 캡과, 유아의 얼굴과 마주하며 캡의 개방된 전면에 탈부착 가능한 창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캡 또는 창에 형성되는 유로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의 개방된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고, 창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캡의 벨트로테이프와 창의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부착된 상태에서 탈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에는 외부공기를 캡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서큘레이터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큘레이터는 팬과, 팬의 전방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하는 보호커버와, 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팬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는 헤파필터 또는 헤파필터와 고체산소필터가 함께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창의 하부는 캡의 하부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아의 턱 또는 목을 보호하는 쿠션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창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구멍들이 형성되며, 창의 안쪽에는 공기구멍에 필터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는 헤파필터 또는 헤파필터와 고체산소필터가 함께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의 개방된 부위 가장자리를 따라 완충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의 내면에는 에어로겔 폼이 부착되고, 에어로겔 폼에는 메모리 폼 조각들이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 폼 조각들은 캡의 안쪽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의 안쪽에는 온도계가 장착되어 캡의 안쪽 온도를 측정하고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온도정보를 외부로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의 안쪽에는 스피커가 장착되어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른 음을 발생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몸을 가누기 어려운 유아에게 착용하여 미세먼지, 이물질 및 호흡기성 병원균 등을 정화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유아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유아의 머리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공기를 정화함에 따라 유아가 몸을 움직이거나 하더라도 벗겨지지 않아 신선한 정화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캡의 내부에는 머리를 가압하지 않도록 메모리 폼 조각들이 배치되고 또한 유아가 머리를 움직이더라도 마찰을 줄일 수 있게 에어로겔 폼으로 메모리 폼 조각을 지지함으로써, 유아가 움직이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 폼 조각들 사이로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체온계 및 근거리통신망을 장착하여 부모가 아이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캡의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캡의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큐베이팅 마스크(100)는 유아의 머리를 감싸는 캡(110)과, 캡(110)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창(140)을 포함한다. 인큐베이팅 마스크(100)는 창(140)이 캡(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캡(110)에 장착된 서큘레이터(120)를 통해 캡(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창(140)이 캡(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개방된 하부 방향 즉 유아의 목 부위로 유출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인큐베이팅 마스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캡(110)은 머리의 정수리, 이마, 뒤통수, 옆통수를 감싸는 구조이며, 재질은 성형된 합성수지 또는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110)을 유아의 머리에 씌웠을 때에 유아의 얼굴은 캡(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유아의 정수리, 이마, 뒤통수, 옆통수는 캡(110)에 감싸인다. 이때 캡(110)이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일 경우에는 캡(110)의 가장자리에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된 부드러운 완충부(130)가 부착되어 유아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게 구성한다.
한편, 캡(110)의 개방된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벨크로테이프(111B)가 부착된다. 그리고 창(140)의 안쪽면 가장자리에도 벨크로테이프(140B)가 부착되어 창(140)이 캡(110)의 전면에 벨크로테이프(111B, 141B)에 의해 부착되거나 탈착된다.
창(140)은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투명하며 무독성의 재질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창(140)은 캡(110)의 개방된 전면을 덮어 폐쇄한다.
캡(110)에 창(140)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유아의 목부위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캡(110)의 양측에는 서큘레이터(120)가 장착된다. 서큘레이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22)이 장착되고, 팬(122)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있어 팬(122)의 상류측에는 공기가 통하는 보호커버(121)가 위치하고, 팬(122)의 하류 측에는 필터부(123)가 위치한다. 필터부(123)는 상류 측에 고체산소필터(123S)가 위치하고 하류 측에 헤파필터(123H)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큘레이터(120)의 팬(122)이 작동하면, 캡(110)의 외부공기가 보호커버(121)를 통해 팬(122)으로 유입되고, 팬(122)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부(123)를 통과하게 되는데 고체산소필터(123S)를 통과한 후에 헤파필터(123H)를 통과한다.
공기가 서큘레이터(120)를 통과하여 캡(110)의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서, 고체산소필터(123S)를 통과하면서 고체산소필터(123S)에 포함된 일부의 산소가 유입되는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산소량이 풍부한 공기가 캡(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호흡기성 병원균은 헤파필터(123H)에 여과된다.
이와 같이 캡(110)의 양측에 장착된 서큘레이터(120)의 작동에 의해 캡(110)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유아에게 공급되며, 캡(11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유아가 흡입하여 호흡한 상태에서 배출된 공기는 창이 부착된 캡(110)의 개방된 하부로 유출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0)의 내측면에는 에어로겔 폼(113)이 부착되고, 에어로겔 폼(113)에는 16개의 메모리 폼 조각(115)이 방사형으로 부착된다. 여기에서 16개의 메모리 폼 조각(115)은 한 예이며 메모리 폼 조각(115)의 개수는 캡(110)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메모리 폼 조각(115)을 캡(110)의 내측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포하게 부착되는데, 캡(110)을 유아에게 착용시켰을 때에 유아의 머리는 메모리 폼 조각(115)과 접하여 유아가 받는 하중을 감소시킨다. 메모리 폼 조각(115)은 유체와 완전탄성체의 중간 상태인 에어로겔 폼(113)에 부착됨에 따라 캡(110)을 착용한 유아의 머리가 움직이더라도 메모리 폼 조각(115)이 머리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아의 두상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캡(110)의 양측 서큘레이터(120)를 통해 캡(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메모리 폼 조각(115)들 사이의 통로(117)를 통해 캡(110)의 내부 전체로 유동할 수 있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큐베이팅 마스크(100)는 창(140)이 캡(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캡(110)의 내부로 서큘레이터(12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유아에게 공급됨에 따라 유아를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호흡기성 병원균 등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서큘레이터(120)에 의해 캡(110) 내부를 양압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창(140)이 부착된 캡(11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를 환경오염원 및 병원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서큘레이터에 의해 외부 공기를 캡 내부로 유입시킴에 따라 캡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지만, 아래에서는 설명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는 캡과 창으로 유아의 머리를 완벽하게 감싼 상태에서 창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공기를 유입 유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10)의 전면 외측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11B)에 창(14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41B)를 부착하여 캡(1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한다.
창(140)의 하단부는 캡(110)의 안쪽 방향으로 만곡되며, 만곡부(143)의 가장자리에는 쿠션부(145)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쿠션부(145)가 창(140)의 하단부가 안쪽으로 만곡된 부위 가장자리에 장착됨으로써, 쿠션부(145)가 유아의 턱이나 목 등에 접하더라도 유아의 신체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의 얼굴 아래쪽인 턱 또는 목 부위 앞쪽은 쿠션부(145)가 접하고 턱 또는 목 부위 뒤쪽은 캡(110)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착된 완충부(130)가 접함에 따라 캡(110)과 창(140)에 의해 유아의 머리는 완벽하게 밀폐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호흡을 위해 창(140)의 하단부에는 공기구멍(147)들이 형성되며, 공기구멍(147)의 안쪽에는 필터부(123)가 장착된다. 필터부(123)는 앞서 설명한 고체산소필터(123S)와 헤파필터(123H)가 이중으로 겹쳐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헤파필터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아의 머리를 캡(110)과 창(140)으로 완벽하게 밀폐시킨 상태에서 공기구멍(147)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 호흡이 이루어지고, 배출된 공기를 공기구멍(1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는 공기구멍(147)에 장착된 필터부(123)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이물질 및 호흡기성 병원균을 여과하여 청정한 공기를 유아에게 공급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서는 공기구멍(147)이 창(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공기구멍(147)을 캡(110) 또는 창(140) 어느 부위에 형성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인큐베이팅 마스크(100)에 있어서, 캡(110)의 외측 하단부에는 유아복과 연결하는 단추, 지퍼 또는 벨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유아복을 인큐베이팅 마스크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후드형 의류의 후드 모자를 인큐베이팅 마스트의 캡으로 형성하여 의류에 장착된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인큐베이팅 마스크에 있어서, 서큘레이터는 충전식으로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에 체온계를 장착하여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 가능하다. 여기에서 내부 온도는 유아의 체온에 의해 변화 가능하므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체온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에는 살균을 위한 UV LED를 장착하여 인큐베이팅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UV LED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으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인큐베이팅 마스크에는 근거리통신망을 설치하여 유아의 부모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으로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고, 인큐베이팅 마스크의 내부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하여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유아에게 음악을 들려둘 수도 있다.
100 : 인큐베이팅 마스크
110 : 캡
111B, 141B : 벨크로테이프
113 : 에어로겔 폼
115 : 메모리 폼 조각
117 : 통로
120 : 서큘레이터
121 : 보호커버
122 : 팬
123 : 필터부
123S : 고체산소필터
123H : 헤파 필터
130 : 완충부
140 : 창
143 : 만곡부
145 : 쿠션부
147 : 공기구멍

Claims (13)

  1. 유아의 이마, 정수리, 뒤통수, 옆통수를 감싸는 캡과,
    유아의 얼굴과 마주하며 캡의 개방된 전면에 탈부착 가능한 창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캡 또는 창에 형성되는 유로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캡의 개방된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고, 창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캡의 벨트로테이프와 창의 벨트로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부착된 상태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캡에는 외부공기를 캡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서큘레이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서큘레이터는 팬과, 팬의 전방에 설치되며 공기가 통하는 보호커버와, 팬의 후방에 위치하여 팬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필터부는 헤파필터 또는 헤파필터와 고체산소필터가 함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6. 제2항에 있어서,
    창의 하부는 캡의 하부 안쪽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아의 턱 또는 목을 보호하는 쿠션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창의 하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구멍들이 형성되며, 창의 안쪽에는 공기구멍에 필터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필터부는 헤파필터 또는 헤파필터와 고체산소필터가 함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9. 제2항에 있어서,
    캡의 개방된 부위 가장자리를 따라 완충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의 내면에는 에어로겔 폼이 부착되고, 에어로겔 폼에는 메모리 폼 조각들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메모리 폼 조각들은 캡의 안쪽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캡의 안쪽에는 온도계가 장착되어 캡의 안쪽 온도를 측정하고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온도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13. 제10항에 있어서,
    캡의 안쪽에는 스피커가 장착되어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른 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마스크.

KR1020200125454A 2020-09-28 2020-09-28 인큐베이팅 마스크 KR20220043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54A KR20220043938A (ko) 2020-09-28 2020-09-28 인큐베이팅 마스크
CN202011303743.8A CN112324766B (zh) 2020-09-28 2020-11-19 管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54A KR20220043938A (ko) 2020-09-28 2020-09-28 인큐베이팅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938A true KR20220043938A (ko) 2022-04-06

Family

ID=7432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54A KR20220043938A (ko) 2020-09-28 2020-09-28 인큐베이팅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3938A (ko)
CN (1) CN11232476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66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인큐베이팅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6479U (en) * 2001-08-14 2002-07-21 Jin-Cheng Chiou Fastening structure of telescopic tube of stand-up object placing rack
KR20090007325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원구 선반 고정장치
TWM452264U (zh) * 2012-12-27 2013-05-01 Hwa Cheer Entpr Co Ltd 管件置物角度調整結構
CN209750854U (zh) * 2019-01-31 2019-12-10 徐松狄 一种夹持器
CN209789705U (zh) * 2019-03-20 2019-12-17 厦门大白科技有限公司 一种置物感应给皂器
CN210019106U (zh) * 2019-04-29 2020-02-07 杨飞 一种置物架卡座
CN211082468U (zh) * 2019-11-29 2020-07-24 双庆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锁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66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인큐베이팅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24766A (zh) 2021-02-05
CN112324766B (zh)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0864T3 (es) Equipo de respiración mejorado (PAPR)
JP6233883B2 (ja) Papr用フルフェイスマスク
KR101855449B1 (ko) 전면 실드타입 마스크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JP2015505687A (ja) 改良型呼吸装置
KR101812681B1 (ko) 공기청정 마스크
KR101699153B1 (ko) 방진용 코마스크
KR20070117880A (ko) 마스크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US11602648B2 (en) Protective face shield utilizing laminar air flow
JPS62221373A (ja) 花粉防護装置
KR101776894B1 (ko) 마스크형 공기정화기
KR20220043938A (ko) 인큐베이팅 마스크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102584190B1 (ko) 스포츠 마스크
JP3227868U (ja) マスク用補助具
KR102281742B1 (ko) 포대기용 모자
CN212661121U (zh) 一种变声口罩
CN211910615U (zh) 一种组合式口罩
CN221012077U (zh) 一种透气防水雾的防护面罩
CN213307729U (zh) 一种新型电动送风头盔
KR102380283B1 (ko) 모자 형태의 방역기구
CN213760278U (zh) 一种可穿戴式防护装置
US20220023680A1 (en) Face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