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737A -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737A
KR20220043737A KR1020200127481A KR20200127481A KR20220043737A KR 20220043737 A KR20220043737 A KR 20220043737A KR 1020200127481 A KR1020200127481 A KR 1020200127481A KR 20200127481 A KR20200127481 A KR 20200127481A KR 20220043737 A KR20220043737 A KR 20220043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ste
terminal
colle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일
김영준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스텍엔바이런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스텍엔바이런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스텍엔바이런먼트
Priority to KR102020012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3737A/ko
Publication of KR2022004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은 생산자 단말기, 처리자 단말기, 수거자 단말기 및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이 때, 생산자 단말기는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를 입력 받고, 처리자 단말기는 폐기물을 재판매 가능한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로부터 필요한 폐기물의 수요 정보를 입력 받으며, 수거자 단말기는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를 폐기물 수거자에게 제공하고 수거자로부터 폐기물의 수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는 생산자 단말기, 처리자 단말기 및 수거자 단말기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폐기물의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를 수거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는 배출 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분석하여 자원 생산자의 배출 행위와 수거자의 수거 행위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RECYCABLE MATERIALS SHARING SYSTEM BASED ON O2O}
본 발명은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폐기물의 배출과 수거, 재활용품 생산, 및 제품 판매 등을 담당하는 각각의 주체들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고품질의 폐기물 배출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폐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발전에 따라 폐지, 폐플라스틱, 폐유리 등의 생활 폐기물 발생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폐기물들은 자원 재활용의 관점 및 환경오염 방지의 관점에서 가능한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리 배출의 번거로움, 수거 시스템이나 보상 체계의 부재, 배출 정보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그 재활용 비율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대부분의 폐기물 수거 업체나 처리 업체들은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영세하게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거 업체나 처리 업체들은 어떤 종류의 폐기물이 어느 곳에서 얼마나 배출되었는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으며, 폐기물 수거와 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또한, 여러 종류의 생활 폐기물들이 뒤섞인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 중 부가가치가 높은 폐기물만을 따로 분리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재활용 산업의 발전이 더딜 수밖에 없으며, 분리 수거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해주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256568
본 발명의 과제는 폐기물 배출 정보, 수거 정보, 보관 정보, 처리 정보, 판매 정보 등을 배출자, 수거자, 보관자, 재활용품 생산 업체, 재활용품 판매 업체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배출한 폐기물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배출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은,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를 입력 받는 자원 생산자 단말기; 상기 폐기물을 재판매 가능한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로부터 필요한 폐기물의 수요 정보를 입력 받는 처리자 단말기; 상기 배출 정보와 상기 수요 정보를 폐기물 수거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수거자로부터 폐기물의 수거 정보를 입력 받는 수거자 단말기; 및 상기 생산자 단말기, 처리자 단말기 및 수거자 단말기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폐기물의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배출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분석하여 자원 생산자의 배출 행위와 수거자의 수거 행위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산출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요 정보는 폐기물의 종류, 수량,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폐기물의 등급, 상기 등급에 따른 폐기물의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특정 폐기물의 수요가 많을수록 해당 폐기물의 배출과 수거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더 많이 책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자 단말기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가 생산하는 재활용품의 가격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재활용품의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해당 폐기물의 배출과 수거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더 많이 책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가장 많은 보상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폐기물의 최적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은 상기 수거자가 수거한 폐기물을 보관하였다가 상기 처리 업체로 전달하는 집하장의 폐기물 보관 정보를 입력 받는 집하장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보관 정보는 보관 중인 폐기물의 종류, 수량,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폐기물의 등급, 및 추가로 저장 가능한 잔여 보관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배출 정보, 상기 처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요 정보, 및 상기 집하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여 보관량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최적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은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의 종류와 가격이 포함된 판매 상품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중앙 서버로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판매 상품 정보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보상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는 상기 폐기물의 배출 장소, 배출 시간, 배출량, 종류, 소재나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폐기물의 등급, 세척 완료 여부, 및 라벨 부착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산출된 보상 포인트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와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은 폐기물의 배출 정보, 수거 정보, 보관 정보, 처리 정보, 판매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폐기물 배출자에게는 배출한 폐기물의 가치에 적합한 보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원화 가능한 폐기물의 분리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수거자에게는 폐기물의 배출 정보와 그에 대한 수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폐기물 수거에 따른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전문 수거 업체가 아닌 개인도 폐기물 수거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최적의 폐기물 수거 동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폐기물 수거 행위로 인한 이윤 창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을 처리하여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는 자신이 필요한 폐기물만을 선별하여 빠르게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가공에 따른 가격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배출, 수거, 보관자에게 합당한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이용해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재활용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화 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재활용품 판매 업체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중앙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재활용품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중앙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때, 재활용품이라 함은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 폐기물을 의미하며, 폐지, 폐유리, 폐플라스틱, 폐필름, 고철 등을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폐플라스틱, 그 중에서도 특히 PET 병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O2O(Online to Offline)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하는 것으로, 주로 전자상거래 혹은 마케팅 분야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결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즉, 오프라인 상의 주체들을 온라인 상에서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함으로써 재활용 산업의 정보화 및 체계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은,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배출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는 생산자 단말기(100), 중앙 서버(200)에서 폐기물의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를 수신하고 폐기물의 수거 및 이동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는 수거자 단말기(300), 수거된 폐기물의 보관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는 집하장 단말기(400), 특정 폐기물에 대한 수요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는 처리자 단말기(500), 폐기물을 활용한 재활용 제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600), 및 상기 단말기들(100, 300, 400, 500, 60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중개하는 중앙 서버(200)를 포함한다.
생산자 단말기(100)는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를 위한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때, 자원 생산자는 개인 및 아파트 부녀회와 같은 단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생산자가 폐기물을 배출할 때 생산자 단말기(100)에 배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는 중앙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배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생산자 단말기(100)로 폐기물의 바코드나 큐알 코드를 스캔하는 방식, 생산자 단말기(100)로 폐기물을 촬영하는 방식, 자원 생산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생산자가 휴대전화 카메라로 폐기물을 촬영하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중앙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중앙 서버(200)는 상기 전송받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자원 생산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종류, 배출 상태, 등급, 수량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자원 생산자에게 제공될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자원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기(100)에 폐기물의 종류, 배출 상태, 등급, 수량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생산자 단말기(100)는 중앙 서버(200)로부터 송신한 각종 정보를 자원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 단말기(100)는 폐기물의 종류, 등급, 수량, 배출 상태 등에 따른 보상 포인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생산자 단말기(100)는 폐기물 배출 시 획득 가능한 보상 포인트 정보를 미리 제공함으로써, 자원 생산자가 선택적으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배출 시 가장 많은 보상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배출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 단말기(100)는, 특정한 폐기물에 대한 수요 정보, 보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재활용 제품 정보, 폐기물 수거 및 처리에 관한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중앙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생산자는 PET 병(20)을 배출할 때 자원 생산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PET 병(20)을 촬영하거나 또는 PET 병(20)에 부착된 큐알 코드를 스캔한다. 필요한 경우, 자원 생산자는 뚜껑(21)의 유무, 링(23)의 유무, 라벨(25)의 유무, 세척 여부 등의 추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자원 생산자 단말기(100)는 획득한 정보들을 중앙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자원 생산자가 배출한 PET 병(20)의 종류, 등급, 배출 상태, 수량 등과 같은 배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출 정보를 이용하여 PET 병(20) 배출로 인해 자원 생산자가 받게 될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배출 정보와 보상 포인트 정보는 자원 생산자 단말기(100)를 통해 자원 생산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은 자원 생산자가 배출한 폐기물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폐기물 수집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수집기(700)는 자원 생산자가 배출한 폐기물을 일반적인 배출 쓰레기와 구분하여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 수거가 지연되더라도 악취 발생이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폐기물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수집기(700)는 수용된 폐기물의 종류와 수량 정보를 중앙 서버(200)로 제공하기 때문에, 배출된 폐기물이 실제로 수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거자 단말기(300)는 배출된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자를 위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 때, 수거자는 개인(310) 및 전문 수거 업체(32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문 수거 업체(320)가 아닌 개인도 가까운 지역의 수거 활동을 수행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 창출 효과뿐만 아니라 폐기물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거자 단말기(300)는 중앙 서버(200)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 특정한 폐기물의 수요 정보, 집하장의 보관량 정보,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 등을 제공받고, 이를 폐기물 수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거자가 특정한 지역을 활동 범위로 미리 지정한 경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특정된 지역 내의 폐기물 배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거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200)는 가까운 집하장의 위치와 보관량 정보, 특정한 폐기물의 수요 정보,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 폐기물 수거에 대한 보상 포인트 정보 등도 수거자 단말기(300)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수거자는 수거 실행 여부와 수거 동선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거 작업을 완료한 이후, 수거자는 수거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거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수거 정보는 중앙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 중앙 서버(200)는 상기 수신한 수거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고 수거자에게 지급할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집하장 단말기(400)는 수거자와 생산자 중간 단계에서 폐기물을 임시로 보관하는 보관자를 위한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폐기물의 배출은 전국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폐기물을 가공하여 재판매가 가능한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처리 시설은 특정 지역에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310)이 수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멀리 떨어진 처리 시설까지 폐기물을 이송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거된 폐기물을 처리 시설로 보내기 이전에 임시로 보관하는 집하장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즉, 자원 생산자가 배출한 폐기물은 수거자에 의해 직접 처리 시설로 이송되거나, 또는 집하장에 일단 보관되었다가 처리 시설로 이송될 수 있다.
창고 등 잉여 공간을 소유한 자는 집하장 단말기(400)를 통해 자신의 공간을 집하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중앙 서버(200)는 집하장의 위치와 잔여 보관량 등의 정보를 수거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고, 수거자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거된 폐기물을 특정한 집하장까지만 이송하고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200)는 집하장에 보관된 폐기물의 정보를 처리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품 처리 시설에서는 처리자 단말기(500)에서 제공받은 상기 보관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폐기물을 용이하게 매입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200)는 폐기물의 보관량, 보관 기간 등을 바탕으로 집하장 소유자, 즉 보관자에게 지급해야할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보상 포인트 정보 및 상기 보상 포인트를 이용해 구매 가능한 제품 정보가 집하장 단말기(400)를 통해 보관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처리자 단말기(500)는 폐기물을 가공하여 재판매 가능한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를 위한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때, 원자재라 함은 폐기물을 펠릿(pallet), 플레이크(flake), 원사 등 다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자재 형태로 가공한 것을 의미하며, 완제품이라 함은 상기 원자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PET 병이나 옷 등 일반 수요자들에게 판매 가능한 재활용품을 의미한다.
원자재 생산 업체 및 완제품 생산 업체는 처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특정 폐기물에 대한 수요 정보, 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원자재나 완제품에 대한 생산 제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수요 정보는 중앙 서버(200)를 통해 생산자 단말기(100), 수거자 단말기(300), 및 집하장 단말기(40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서버(200)는 처리자 단말기(500)에서 입력된 상기 수요 정보를 이용하여 보상 포인트 및 최적의 수거 동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기물 중에서 내열 PET 병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더 많고 내압 PET 병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중앙 서버(200)는 내열 PET 병을 배출한 자원 생산자 및 내열 PET 병을 수거한 수거자에게 더 많은 보상 포인트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수요가 많을수록 더 높은 보상 포인트를 책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열 PET 병은 고온의 내용물을 담기 위해 제조된 PET병을 의미하고, 상기 내압 PET 병은 탄산가스가 포함된 청량음료를 담기 위해 제조된 PET병을 의미한다. 또한, 중앙 서버(200)는 내열 PET 병이 우선적으로 수거될 수 있도록 최적의 수거 동선을 산출하여 수거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요가 많은 폐기물이 보다 빠르게 원자재 생산 업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자원 생산자나 수거자도 보다 많은 보상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서버(200)는 처리자 단말기(500)에서 입력된 상기 생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보상 포인트 및 최적의 수거 동선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PET 병 폐기물을 이용하더라도 생산된 원자재 또는 완제품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부가가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중앙 서버(200)는 상기 부가가치를 고려하여 폐기물의 수거 동선 및 보상 보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원자재 생산 업체는 PET 병을 플레이크 형태로 가공하는 생산 업체인데 PET 병 단위 무게당 부가가치가 100원이고, B 원자재 생산 업체는 PET 병을 원사 형태로 가공하는 생산 업체인데 PET 병 단위 무게당 부가가치가 200원이라고 가정하자. A 업체와 B 업체는 각각 폐기물인 PET 병 수요 정보와 생산 제품 정보를 처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중앙 서버(200)는 B 업체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PET 병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 및 배출된 PET 병을 수거하여 B 업체까지 이송하는 수거자에게 더 많은 보상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200)는 배출된 PET 병이 B 업체까지 최단 시간에 최단 거리로 이송될 수 있도록 최적의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이를 수거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은 본 시스템의 이용자들에게 최상의 가치 창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자재 생산 업체가 입력한 원자재에 대한 생산 제품 정보는 중앙 서버(200)를 통해 완제품 생산 업체의 처리자 단말기(5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원자재를 이용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자신이 필요한 원자재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재활용품 생산 업체에서는 폐기물 매입 대금을 중앙 서버(200) 운영 주체에게 제공할 수 있고, 중앙 서버(200)는 상기 매입 대금 중 일부를 자원 생산자, 수거자, 보관자 등에게 보상 포인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재활용품 생산 업체에서 수거자인 전문 수거 업체(320)에 직접 매입 대금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수거자가 중앙 서버(200) 운영 주체에게 수익금의 일부를 납부하고, 이 중 일부가 자원 생산자나 보관자 등에게 보상 포인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판매자 단말기(600)는 폐기물을 이용한 완제품 형태의 재활용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자, 또는 중앙 서버(200) 운영 주체와 협약을 체결한 일반 판매업자 등을 위한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먼저, 재활용품 판매업자가 판매자 단말기(600)를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 판매업자는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6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판매 상품 정보는 중앙 서버(200)로 전송되며, 중앙 서버(200)는 상기 판매 상품 정보를 웹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생산자, 수거자, 보관자, 생산 업체 등은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한 뒤 보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상 포인트를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의 배출, 수거, 보관 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재활용품이 아닌 일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자도 판매자 단말기(6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생산자, 수거자, 보관자, 생산 업체 등은 지급받은 보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물건을 구매하고, 중앙 서버(200) 운영 주체는 판매업자의 보상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급해주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상 포인트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어 폐기물의 활용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로 중앙 서버(200)의 구성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2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0),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 저장부(220), 각 단말기들(100, 300, 400, 500, 600)로 제공할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230), 및 제품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지는 제품 판매 웹페이지 제공부(240)와 결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20)는 폐기물 정보 저장부(221), 고객 정보 저장부(223), 및 판매 정보 저장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정보 저장부(221)는 수거 대상인 폐기물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폐기물의 종류, 등급, 가격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고객 정보 저장부(223)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에 참여하는 고객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고객'이라 함은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뿐만 아니라, 폐기물 수거자, 보관자, 생산 업체 및 판매 업체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고객 정보 저장부(223)는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의 이름, 성별,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는 물론, 폐기물 배출을 통해 획득한 보상 포인트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저장부(223)는 폐기물 수거자, 보관자, 생산 업체 및 상품 판매 업체의 개인 정보와 보상 포인트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판매 정보 저장부(225)는 앞서 설명한 판매 업체가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을 통해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판매자 단말기(600)를 통하여 중앙 서버(200)로 제공되며, 중앙 서버(200)의 판매 정보 저장부(225)에 저장되었다가 제품 판매 웹페이지 제공부(240)를 통해 자원 생성자, 수거자, 보관자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30)는 폐기물에 대한 실시간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231), 폐기물의 배출, 수거, 보관, 처리 행위에 따른 보상 포인트를 산출하는 보상 정보 생성부(233), 및 폐기물 수거와 처리 전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정보 생성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정보 생성부(231)는 폐기물의 배출 정보, 수거 정보, 보관 정보, 처리 정보, 수요 정보, 및 생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배출과 수요, 수거와 보관 등에 관한 실시간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단말기들(100, 300, 400, 500, 6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생산자가 자원 생산자 단말기(100)를 통해 폐기물 배출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 서버(200)의 분석 정보 생성부(231)는 자원 생산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폐기물 정보 저장부(221)에 저장된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배출된 폐기물의 종류, 등급, 가격, 배출량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폐기물의 분석 정보는 수거자 단말기(300), 집하장 단말기(400), 처리자 단말기(500) 등으로 실시간 제공될 수 있다. 원자재 생산 업체는 처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폐기물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 수급 계획 및 원자재 생산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재활용품 생산 업체가 처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필요한 폐기물의 종류와 등급, 상태, 수량, 가격 정보 등의 폐기물 수요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 서버(200)의 분석 정보 생성부(231)는 상기 수신한 수요 정보와 폐기물 배출 정보, 수거 정보, 보관 정보 등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폐기물의 위치와 양을 포함하는 폐기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폐기물의 분석 정보는 수거자 단말기(300) 또는 집하장 단말기(400)로 제공되며, 수거자 또는 보관자는 상기 제공받은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업체가 필요로 하는 페기물만을 최소한의 동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품 생산 업체가 처리자 단말기(500)를 통해 자신의 생산 제품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 서버(200)의 분석 정보 생성부(231)는 상기 수신한 생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최상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폐기물 수거 동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수거 동선에 관한 폐기물 분석 정보는 수거자 단말기(300) 또는 집하장 단말기(400)로 제공되며, 수거자 또는 보관자는 가장 많은 보상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거 또는 보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보상 정보 생성부(233)는 폐기물의 배출, 수거, 보관, 처리 행위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보상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보상 포인트는 폐기물의 종류, 등급, 수량, 배출 상태, 무게, 가격, 수요, 부가가치 등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 상태는 뚜껑이나 라벨의 제거 유무, 링 제거 유무 등을 의미하며, 등급은 재활용 용이성 또는 가격 등을 기준으로 정한 구분일 수 있다. 즉, 배출한 폐기물의 종류나 배출 상태 등에 따라 보상 포인트가 달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자원 생산자가 A 등급의 PET 병 10개를 라벨을 제거하여 배출한 경우 상기 자원 생산자에게 20 포인트를 배분하고, 또 다른 자원 생산자가 B 등급의 PET 병 5개를 라벨이 붙은 상태로 배출한 경우 5 포인트를 배분하는 방식이다. 상기 보상 포인트는 재활용품 배출 등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그 산정 기준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자원 생산자 등은 제품 판매 웹페이지에서 상기 포인트를 이용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또는 중앙 서버(200) 운영 주체로부터 현금으로 환급 받을 수 있다.
보상 정보 생성부(233)는 폐기물의 수요, 및 폐기물을 이용한 제품(원자재 및 완성 제품)의 부가 가치에 따라 보상 포인트를 다르게 산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상술하였다.
통계 정보 생성부(235)는 폐기물의 배출량, 배출 지역, 배출 시간, 품질, 수거 시간 및 비용, 보관 시간 및 비용, 처리 비율 등을 분석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단말기들(100, 300, 400, 500, 6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자원 생산자 단말기들(100)로부터 배출 정보가 수신된 경우, 통계 정보 생성부(235)는 배출된 폐기물의 수거를 위한 최적의 동선을 산출하고, 이를 수거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수거 동선 산출에는 배출 장소와 처리 장소 사이의 거리, 폐기물의 종류와 수량, 특정 폐기물에 대한 수요, 폐기물을 가공하여 발생하는 부가가치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제품 판매 웹페이지 제공부(240)는 판매자 단말기(600)로부터 제공받은 판매 제품 정보를 웹페이지 상에 게시할 수 있다. 자원 생산자, 수거자, 보관자 등은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판매 제품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보유한 보상 포인트를 이용하여 판매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제품의 구매는 결제부(250)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결제부(250)는 통신 판매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제 수단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10)은 오프라인에 있는 폐기물 배출자, 수거자, 보관자, 재활용품 생산 업체, 재활용품 판매 업체 등을 온라인 상에서 연계하여, 폐기물의 배출부터 자원화까지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각 주체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 배출자의 관점에서는, 배출하는 폐기물의 가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그에 합당한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폐기물 분리 배출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폐기물 수거자의 관점에서는, 배출되는 폐기물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재활용품 생산 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폐기물의 정보,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 가까운 집하장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함께 제공함으로써, 폐기물 수거로 인한 가치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적은 양의 폐기물을 수거하더라도 그에 합당한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전문 수거 업체가 아닌 개인도 폐기물 수거 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다.
폐기물 보관자의 관점에서는, 잉여 공간이 발생할 경우에만 집하장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통한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폐기물 수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활용품 생산 업체의 관점에서는, 현재 어떠한 폐기물이 어디에 얼마나 수거되어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 조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품 생산 업체가 필요로 하는 수요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한 폐기물만 빠르게 공급받을 수 있어 재활용품 생산 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폐기물 활용한 재활용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관점에서는, 폐기물 활용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제품 홍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배출과, 수거, 보관 등을 통해 획득한 보상 포인트로 판매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의 매출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100: 자원 생산자 단말기
200: 중앙 서버 300: 수거자 단말기
400: 집하장 단말기 500: 처리자 단말기
600: 판매자 단말기 700: 재활용품 수집기

Claims (9)

  1.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원 생산자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를 입력 받는 자원 생산자 단말기;
    상기 폐기물을 재판매 가능한 원자재 또는 완제품 형태로 가공하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로부터 필요한 폐기물의 수요 정보를 입력 받는 처리자 단말기;
    상기 배출 정보와 상기 수요 정보를 폐기물 수거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수거자로부터 폐기물의 수거 정보를 입력 받는 수거자 단말기; 및
    상기 생산자 단말기, 처리자 단말기 및 수거자 단말기로부터 폐기물의 배출 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폐기물의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배출정보, 수요 정보 및 수거 정보를 분석하여 자원 생산자의 배출 행위와 수거자의 수거 행위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산출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O2O(Online to Offline)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정보는 폐기물의 종류, 수량,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폐기물의 등급, 상기 등급에 따른 폐기물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특정 폐기물의 수요가 많을수록 해당 폐기물의 배출과 수거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더 많이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자 단말기는 재활용품 생산 업체가 생산하는 재활용품의 가격정보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재활용품의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해당 폐기물의 배출과 수거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더 많이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가장 많은 보상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폐기물의 최적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배출 정보와 상기 처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폐기물의 최적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자가 수거한 폐기물을 보관하였다가 상기 처리 업체로 전달하는 집하장의 폐기물 보관 정보를 입력 받는 집하장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보관 정보는 보관 중인 폐기물의 종류, 수량,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폐기물의 등급, 및 추가로 저장 가능한 잔여 보관량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배출 정보, 상기 처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수요 정보, 및 상기 집하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여 보관량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최적 수거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수거 동선 정보를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의 종류와 가격이 포함된 판매 상품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중앙 서버로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판매 상품 정보가 포함된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자원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보상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와 수요 정보는 상기 폐기물의 배출 장소, 배출 시간, 배출량, 종류, 소재나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폐기물의 등급, 세척 완료 여부, 및 라벨 부착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산출된 보상 포인트를 상기 생산자 단말기와 상기 수거자 단말기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KR1020200127481A 2020-09-29 2020-09-29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KR20220043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81A KR20220043737A (ko) 2020-09-29 2020-09-29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481A KR20220043737A (ko) 2020-09-29 2020-09-29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737A true KR20220043737A (ko) 2022-04-05

Family

ID=8118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481A KR20220043737A (ko) 2020-09-29 2020-09-29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37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68B1 (ko) 2010-12-28 2013-04-19 유조헌 재활용 원자재의 거래를 위한 정보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68B1 (ko) 2010-12-28 2013-04-19 유조헌 재활용 원자재의 거래를 위한 정보 운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197A1 (en) Closed loop recycling process and system
CN105117418B (zh) 基于搜索的服务信息管理系统及方法
US20090299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shopping transactions
CN110135540A (zh) 含标识码装置和循环利用含标识码装置的装置系统及方法
Liu et al. Fashion platform operations in the sharing economy with digital technologies: recent development and real case studies
CN108876546A (zh) 一种基于区域链和弹幕技术的社区服务系统及方法
CN107251063A (zh) 用于促进货物提供的系统和方法
CN109214870A (zh) 基于互联网大数据的垃圾分类服务提供方法及其系统
CN107392622A (zh) 一种全网零售商城系统软件
CN107545335A (zh) 一款b2c模式跨境电商系统软件
CN108228156A (zh) 用于电子商务全网移动分销的系统及使用方法
CN107545480A (zh) 一款四大销售终端农村电商处理系统
KR20220043737A (ko) O2o 기반의 재활용품 공유 시스템
Zhang et al. How can dmall do better? discussion on new retail marketing mode based on 4Cs theory
CN107403346A (zh) 移动多终端网上分销商城处理系统
CN107644357A (zh) 一种基于云计算零售商城系统及其使用方法
CN116091171A (zh) 会员统计与管理系统
CN114219570A (zh) 一种线上线下结合的钢材废次材全流程管理系统
KR20000072479A (ko) 재활용 폐기물의 전자상거래 방법
Erinda et al. Dagang Yuk Yuk As Smartphone Application for MSME Product Sales
KR20100023131A (ko)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Hearn Implications of recent developments in e-commerce for universal service providers and the USO
CN107403350A (zh) 一种电商全网无线分销商城系统及其方法
CN108389094A (zh) 一种基于直销王电商运营的技术实现
CN117333203B (zh) 一种结合商业营销解决方案的会员营销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