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814A -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814A
KR20220042814A KR1020200126088A KR20200126088A KR20220042814A KR 20220042814 A KR20220042814 A KR 20220042814A KR 1020200126088 A KR1020200126088 A KR 1020200126088A KR 20200126088 A KR20200126088 A KR 20200126088A KR 20220042814 A KR20220042814 A KR 2022004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arring
roll unit
edg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래
Original Assignee
정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래 filed Critical 정성래
Priority to KR102020012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814A/ko
Publication of KR2022004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05Cloth spreading or piling apparatus in view of i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의 귀걸이 끈을 착탈 할 수 있도록 마스크에 마스크 귀걸이 끈을 고정할 수 도록 하되 마스크 결합구가 찌져지지 않도록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하도록 한 마스크제조 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 바,
마스크 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속으로 생산되는 상기 마스크부재 공급롤부에서 공급된 마스크원단을 융착시키는 마스크부재 중첩롤부는, 상기 마스크 테두리선을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 초음파 융착돌기와 귀걸이 장착융착구를 초음파 융착하도록 귀걸이 초음파 융착돌기를 더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는, 마스크 테두리선을 마스크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마스크 테두리칼날과 상기 마스크 귀걸이 장착융착구의 중앙에 귀걸이 끈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 칼날을 더 형성하여, 귀걸이 장착융착구와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한 마스크를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서, 귀걸이으로 인한 자연파괴와 생태학적으로 동물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분리하여 마스크만을 버릴 수 있도록 한 매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원 발명은 마스크의 가격을 대폭적으로 낮추 수 있는 귀걸이를 부착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도록 생산시에 자동으로 귀걸이 끈 고정구를 형성하여 생산성을 높인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MAKING APPARATUS FOR MASK}
본 발명은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귀걸이 끈을 착탈 할 수 있도록 마스크에 마스크 귀걸이 끈을 고정할 수 도록 하되 마스크 결합구가 찌져지지 않도록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하도록 한 마스크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장, 방직공장, 채석장 등의 작업환경에서의 분진 등의 발생이나 각종 화학공장 및 용접, 도금 등의 금속가공공장의 작업환경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이 된다.
이러한 분진이나 유독가스 등을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흡입할 경우 폐 등과 같은 인체의 호흡기 질환이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 이러한 유해 환경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진마스크로는 방독제가 내장된 정화통이 부착된 마스크나, 내측에 필터지가 내장된 제품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들 제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일 뿐만 아니라 3~4일 주기로 방독제를 교체하여야 하며, 그 여과율도 기대한 만큼 만족되지 않아 위생을 중요시하는 작업환경에서는 일회용 방진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일회용 방진마스크로 필터지의 전면을 수회 절곡 형성한 주름 형태의 전면부와, 필터지의 양측면을 걸이밴드와 함께 초음파 열용착 또는초음파융착한 경질의 마감부와, 상기 필터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자유절곡이 가능한 금속재 와이어가 구비되어, 굴곡이 심한 사용자의 얼굴 윤곽에 알맞도록 금속 와이어를 절곡시켜 밀착되게 함은 물론, 필터지 전면의 주름부를 펼쳐 착용자의 코와 턱 하부까지 고르게 밀착시켜 방진효율이 증대되게 한 일회용 방진마스크가 안 출된 바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진마스크는 그 필터지가 대개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필터지로 제작되는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입을 향하여 위치하고 상하측으로 각기 전개되는 상날개와 하날개를 갖고, 이들 상날개와 하날개의 상하단이 융착되는 전면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들 상날개와 하날개 및 전면부를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단부 주면이 초음파 융착되므로 재봉선을 갖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는, 하나 이상의 원단지를 공급하는 마스크 필터 원단지 공급롤러와, 원단지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 필터지 원단 표면에 초음파 진동을 통해 문양을 형성 및 합지하는 문양 성형롤러와, 문양성형롤러에 의해 문양이 성형된 마스크 필터지 원단을 마스크의 상하필터지의 형태로 컷팅하는 제1컷팅롤러와, 제1컷팅롤러에 의해 컷팅된 상하필터지와 별도로 공급되는 전면필터지용 원단을 동시에 공급받아 초음파에 의해 이들을 서로 결합 및 마스크 형태로 컷팅하는 제2컷팅롤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입과 코부분을 가리는 마스크 면과 마스크 면 양측에 고리형으로 사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마스크는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 본연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11067호와 같은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가 공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마스크는 끈 고정밴드를 추가로 구비해야 해서 구성이 복잡하고, 끈 길이 조절이 간편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마스크 끈과 전방 커버가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 끈을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끈에 끈 조절고리부를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용이하고,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끈 조절고리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 끈을 탈부착할 수 있는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 것이 공지되어 있습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고, 예방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전세계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개발과정과 임상기간이 길어지고 있으므로, 전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스크 착용이 대안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마스크의 대량생산과 소비로 인한 일회용 쓰레기의 증가가 나날이 증가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환경 쓰레기 문제뿐만 아니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알려진 마스크에 달려진 귀걸이로 인하여 생물들 특히 조류들에게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특히 새들의 날개와 다리에 마스크 귀걸이가 엉키게 되어 쉽게 빠지지 않아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생태환경적인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83311호(2007.12.10)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공보 제10-2018-0115660호(2018.10.23)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 귀걸이를 탈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생산설비에 직접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마스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의 귀걸이를 걸었을 경우에 찌겨지지 않도록 귀걸이의 삽입구의 테두리를 초음파 접합하여 형성한 마스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로에서 공급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된 마스크원단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안착된 마스크 원단에 마스크의 모양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초음판가공 돌기가 형성된 마스크형상 가공롤러와, 마스크의 형상에 따라 제단하들이 칼날이 형성된 전달날이 형성된 롤러부로 이루어진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형성 가공롤러는 마스크 귀걸이 장착구를 초음파가공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초음파가공부의 내에 마스크 끈걸이를 끼울 수 있도록 절취부를 전달날을 형성된 롤러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귀걸이 끈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후에 버릴 시에는 귀걸이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마스크 귀걸이 끈을 재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귀걸이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패션을 갖는 컬리티가 있는 나만의 귀걸이 끈을 버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스크는 귀걸이로 인한 자연파괴와 생태학적으로 동물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분리하여 마스크만을 버릴 수 있도록 한 매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마스크의 가격을 대폭적으로 낮추 수 있는 귀걸이를 부착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도록 생산시에 자동으로 귀걸이 고정구를 형성하여 생산성을 높인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를 도시한 마스크 제작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의 일부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2D 마스크에 마스크 귀걸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 귀걸이 융착구와 장착구 절취선의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마스크에 마스크 귀걸이 융착구와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는,
최근에 유행성 독감이 변이하여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로 전염되면서 면역성이 형성되지 못하여 감염되는데 공기전염보다는 인체 간에 확진자의 비말로 전염된다 하여 안면마스크를 권장하고 있으나 안심이 되지 아니하여 일부 사람들은 오히려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의심을 하므로 이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수준의 새로운 안면 마스크로 인식될 수 있도록 소재를 확실하게 하는 안면마스크 제조업계에 신소재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제조분야에 공급하는 것도 새로운 기술에 해당하지만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생산단가를 떨어뜨리면서 소비자가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 특징이 있다.
또한, 마스크의 비용절감에 따라 저가구매로 착용을 기피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착용하려는 제품으로 제작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600)와 마스크 귀걸이(610)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해, 외면을 일체로 이루는 외피(100), 내부(120)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부재(110), 내피(120)를 공급하는 마스크부재 공급롤부(150);
상기 마스크부재 공급롤부(150)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외피,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내피가 중첩되도록 모아진 마스크부재(160)를 융착시키는 다수개의 초음판가공 돌기가 형성된 마스크융착 중첩롤부(200);
상기 마스크부재가 마스크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테두리면을 절단하여 마스크 모양을 형성시키는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200); 접이부(500)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속으로 생산되는 상기 마스크부재 공급롤부(150)에서 공급된 마스크 부재(160)을 융착시키는 마스크부재 중첩롤부(200)는,
상기 마스크 테두리선(260)을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 초음파 융착돌기(210)와 귀걸이 장착융착구(250)를 초음파 융착하도록 귀걸이 초음파 융착돌기(270)를 더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300)는,
마스크 테두리선(260)을 마스크 형태(320)로 절단하기 위한 마스크 테두리칼날(310)과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250)의 중앙에 마스크 귀걸이(38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장착구 절취선(330)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 칼날(340)을 더 형성하여,
귀걸이 장착융착구(250)와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250)를 형성한 마스크(500)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500)를 제조하기 위해 마스크의 소재를 각각의 롤에 형성하여 자동을 외면을 일체로 이루는 외피(100), 내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부재(110), 내피(120)를 공급하는 마스크부재 공급부(150)에서 공급된 마스크 부재(160)를 공급받아 외피, 필터부재 및 내피가 중첩되도록 하여 초음파 융착에 의해 융착시키도록 마스크부재 중첩롤부(200)를 형성하였다.
상기 마스크부재 중첩롤부(200)는,
상기 마스크 테두리선(260)을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 초음파 융착돌기(210)와 귀걸이 장착융착구(250)를 초음파 융착하도록 귀걸이 초음파 융착돌기(270)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마스크융착 중첩롤부(200)는 마스크 귀걸이를 결합할 수 있도록 귀걸이 장착할 수 있는 관통구에 초음파 융착하여 당겨질 시에 관통구가 찌겨지지 않도록 마스크 장착융착구(250)를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초음파 융착으로 마스크 귀걸이 장착융착구(250)를 형성하여 사용시에 귀걸이 끈 장착구가 찌겨지지 않도록 초음파 융착한 마스크 장착융착구(25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300)는,
마스크 테두리선(260)을 마스크 형태(320)로 절단하기 위한 마스크 테두리칼날(310)과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250)을 형성하여 마스크 형상으로 절단과 귀걸이 장착융착구(250)의 중앙에 마스크 귀걸이(38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장착구 절취선(330)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 칼날(340)을 더 형성하여 연속적인 공정인 공정으로 인한 타공시 적업공정이 느려지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타공으로 관통구를 형성하거나 수동으로 관통구를 형성한 것 역시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됨을 알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250)와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250)를 형성한 마스크(500)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
상기 마스크(600)는 평면마스크(410). 덴탈마스크, 2D마스크(420), 3D마스크(430) 중에 선택하여 마스크 장착융착구(250)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장착융착구(250)의 중앙에 'X','Y','V','1' '0'등으로 장착구 절취선(330)을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장착구 절취선(330)에 마스크 귀걸이(380)는 끝단에 걸고리(370), 단추, 똑딱이, 끈매듭 등으로 형성하여 걸수 있거나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마스크 귀걸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에 마스크만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매우 친환경적인 발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기 마스크는 덴탈마스크, 평판 마스크(410), 2D마스크(420), 3D마스크(430) 중에 다양한 마스크를 선택하여 마스크 장착융착구(25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장착융착구(250)의 중앙에 'X','Y','V','1','0'등으로 절취한 장착구 절취선(330)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시에는 관통된 관통구를 뚫어서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마스크의 마스크 장착융착구(250)에 형성한 장착구 절취선(330)에 걸고리, 단추, 똑딱이, 끈매듭 등으로 마스크 귀걸이에 형성하여 걸 수도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마스크 귀걸이와 걸고리의 연결부분에 악세사리(650)를 부착하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마스코트를 제작하여 부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100: 외피 110: 필터부재
120: 내피 150: 마스크부재 공급롤부
160: 마스크 부재 200: 마스크융합중첩롤부
210: 테두리 초음파융착돌기
250: 마스크 귀걸이융착구
260: 마스크테두리선` 300: 절단 회전롤부
310: 마스크 테두리칼날 330: 장착구 절취선

Claims (3)

  1. 마스크와 마스크 귀걸이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해, 외면을 일체로 이루는 외피, 내부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필터부재 내피를 공급하는 마스크부재 공급롤부;
    상기 마스크부재 공급롤부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외피,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내피가 중첩되도록 모아지는 마스크부재를 융착시키도록 다수개의 초음판가공 돌기가 형성된 마스크융착 중첩롤부; 상기 마스크부재가 마스크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테두리면을 절단하여 마스크 모양을 형성시키는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 접이부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속으로 생산되는 상기 마스크부재 공급롤부에서 공급된 마스크원단을 융착시키는 마스크부재 중첩롤부는,
    상기 마스크 테두리선을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 초음파 융착돌기와 귀걸이 장착융착구를 초음파 융착하도록 귀걸이 초음파 융착돌기를 더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부재 절단 회전롤부는,
    마스크 테두리선을 마스크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마스크 테두리칼날과 상기 마스크 귀걸이 장착융착구의 중앙에 귀걸이 끈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 칼날을 더 형성하여,
    귀걸이 장착융착구와 상기 귀걸이 장착융착구에 장착구 절취선을 형성한 마스크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 절취선은
    '+','X','1','Y','0'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평면마스크, 덴탈마스크, 2D 마스크, 3D 마스크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KR1020200126088A 2020-09-28 2020-09-28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KR20220042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88A KR20220042814A (ko) 2020-09-28 2020-09-28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88A KR20220042814A (ko) 2020-09-28 2020-09-28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814A true KR20220042814A (ko) 2022-04-05

Family

ID=8118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88A KR20220042814A (ko) 2020-09-28 2020-09-28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8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1B1 (ko) 2006-11-03 2007-12-10 이상호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KR20180115660A (ko) 2017-03-27 2018-10-23 박수익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1B1 (ko) 2006-11-03 2007-12-10 이상호 초음파 융착에 의한 마스크 제조장치
KR20180115660A (ko) 2017-03-27 2018-10-23 박수익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474B1 (ko) 방진마스크
KR102059146B1 (ko) 귀걸이 끈 조절용 마스크
KR20110045320A (ko) 기능성 위생 마스크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KR102246256B1 (ko) 노우즈 와이어 불량 검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 장치
JP2022547496A (ja) 防塵マスク
KR101751667B1 (ko) 귀걸이 일체형 다용도 마스크
JP2009201770A (ja) 衛生マスク
KR101875126B1 (ko) 산업 및 보건용 호흡마스크
KR20220042814A (ko) 기능성 친환경 마스크제조 장치
JP3117121U (ja) 密着性良好なマスク
WO2022101724A1 (en)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CN212088294U (zh) 一种考虑听力障碍者的唇部可视口罩
KR20040027268A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KR20210115572A (ko) 길이 조절 마스크
KR20090049628A (ko) 측면 들뜸 방지용 마스크
KR20180000919U (ko) 마스크
KR20100042375A (ko) 방진마스크용 커버체
KR102240198B1 (ko)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506U (ko) 마스크
CN212325458U (zh) 一种全面罩
WO2012137357A1 (ja) 作業用フード
KR200389496Y1 (ko) 클린룸용 방진마스크
TWM609857U (zh) 口罩耳掛結構
KR200495756Y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