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565A -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565A
KR20220042565A KR1020200125525A KR20200125525A KR20220042565A KR 20220042565 A KR20220042565 A KR 20220042565A KR 1020200125525 A KR1020200125525 A KR 1020200125525A KR 20200125525 A KR20200125525 A KR 20200125525A KR 20220042565 A KR20220042565 A KR 2022004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prolactone
polylactic acid
acid polymer
acetyleria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873B1 (ko
Inventor
유영현
정희영
이승열
김순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to KR102020012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8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 특히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수탁번호 KACC 83036BP)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Degradation method for polycaprolactone or polylactic acid polymer using Fusicolla acetilerea}
본 발명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은 뛰어난 편의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사용 후 만들어지는 폐기물 등으로 인해 환경오염의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폴리머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들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불리는 바이오 플라스틱이다.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재생 가능한 물질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폴리머로, 일반적으로 바이오매스의 함량에 따라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과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Biomass-based plastics)으로 나뉘어 지는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다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지 또는 석유계를 기반으로 하는지에 따라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등과 같은 생분해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등과 같은 생분해성 석유계 플라스틱으로 나뉘어진다.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머로 알려진 PCL 및 PLA는 제작된 제품의 함량 및 처리조건에 따라 다르나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PLA의 경우, 토양 내에서 분해가 시작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외에서는 PCL과 PLA를 분해하는데 관여하는 여러 미생물이 보고되어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담자균문에 속하는 효모인 슈도지마 제주엔시스(Pseudozyma jejuensis)가 PCL을 분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Seo et al., 2007), 기타 PCL나 PLA을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 곰팡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국내 토양에 분리·동정한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균주의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능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균주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국내 토양에서 균류(fungus)인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를 분리·동정하고, 이 분리·동정된 균주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또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고분자의 분해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서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은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에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접촉시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는 카프로락톤(carprolactone)의 개환 중합 반응(Ring-opening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카프로락톤 이외에도 개환 중합 반응의 개시제로서 글리콜류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폴리카프로락톤 트리올, 폴라카프로락톤 테트라올 등의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카프로락톤의 분해에 적용되는 이외에도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등의 폴라카르포락톤 폴리올의 분해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의 배양과 증식을 촉진시킴으로써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에 의한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하여,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 형태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와 접촉시키거나,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 접촉 전후에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의 배양과 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배지가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에 첨가되어 혼합될 수 있다.
그러한 배지는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성장 촉진제 등을 포함한다.
탄소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와 같은 당이다.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소르보오스, 리불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당밀이나 당 정제 과정의 부산물 등 복합 화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 오일이나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글리세롤 등이 탄소원으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상기 배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배지에 포함되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배지에 포함되든 2%(w/w) 내지 4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분이나 전분 가수분해물 등 천연물 또는 천연물 가공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타 미생물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탄소원을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멸균은 고온·고압 멸균법, 자외선 조사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질소원으로서는 통상적으로 무기 질소 화합물, 유기 질소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복합 화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무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암모니아, 암모늄염(예컨대,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니트레이트 등), 니트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우레아,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복합 화합물로서는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소이톤(soytone),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육즙, 콩 분말, 콩 비지 분말, 청국장 분말, 된장 분말 등의 천연 질소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원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배지에 0.1%(w/w) 내지 8.0%(w/w)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천연 질소원을 사용할 경우 천연 탄소원을 사용할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에서 멸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량원소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코발트, 몰리브덴, 칼륨, 망간, 아연, 구리, 철, 인, 황 등을 포함하며 이들 미량원소는 염 화합물 형태로 배지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 미량 원소의 배지에서의 용해도를 높이고 용액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킬레이트제 예컨대 카테콜, 시트르산 등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염 화합물 형태로서는 인산수소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철, 칼슘염, 망간염, 코발트염, 몰리브텐산염, 킬레이트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량원소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0.001%(w/w) 내지 3.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성장 촉진제로서는 비오틴, 리보플라빈, 티아민, 폴산, 니코틴산, 판토테네이트, 피리독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0001%(w/w) 내지 1.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배지는 전술한 바의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성장 촉진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느나, 당업계에서 균류의 배양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공지된 조성의 배지, 예컨대 BHI 액체 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Medium), Czapek 액체 배지(Czapek Brotho Medium), PDB 배지(Potato Dextrose Broth Medium), SD 배지(Sabouraud Dextrose Medium), SM 배지(Sabouraud Maltose Medium)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지 조성의 최적화에 대해서는 문헌(Applied Microbiol. Physiology, A Practical Approach (Editors P.M. Rhodes, P.F. Stanbury, IRL Press (1997) pp. 53-73, ISBN 0 19 963577 3)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많은 문헌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공지된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배지는 불필요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멸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지의 멸균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멸균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고압 증기 멸균, 자외선을 이용한 멸균 방법 등이 적합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이다. 배지의 pH는 4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다. 배지 pH는 배양이 진행되는 동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성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화합물이나, 인산, 황산 등의 산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배양 중 형성되는 거품의 제거를 위해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가 첨가될 수 있다.
배양은 증식 특성에 따라 호기 조건 또는 혐기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배양은 회분식(batchwise), 반-회분식(semi-batchwise) 또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구체적인 배양법은 예컨대 문헌(Bioprozeβtechnik 1. Einfuhrung in die Bioverfahrenstechnik [Bioprocess technology 1. Introduction to Bioprocess technology]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91), 문헌(Bioreaktoren und periphere Einrichtungen [Bioreactors and peripheral equipment] (Vieweg Verlag, Brunswick/Wiesbaden, 1994), 미국세균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가 발행한 문헌(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Washington D.C., USA, 1981)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수탁번호: KACC 83036B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는 그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 28s rRNA 유전자, RPB2(RNA polymerase II large subunit 2) 유전자가 각각 서열번호 7, 8, 9의 서열을 갖는 균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자연상태에서 분해되기 어려운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를 PDA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사진이다.
도 2는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의 계통수이다.
도 3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의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 분해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의 폴리락트산 고분자 분해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의 분리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 KNUF-20-PBU01 균주의 분리를 위하여, 국내 충북 보은군에 서식하는 식물 근권으로부터 채취한 토양 1 g을 멸균수 10 mL를 넣고 진탕배양기에서 30분간 150 rpm으로 진탕하였다. 이후 진탕한 현탁액을 멸균수에 10배씩 희석하여 희석액을 만들고,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 Difco, USA)에 희석액 100 μL를 도말하여 25℃에서 암배양였다. 배양 1-2일 후 관찰되는 균사를 새로운 PDA 배지에 계대배양하여 KNUF-20-PBU01로 명명하고 공시균주로 이용하였다.
KNUF-20-PBU01 균주를 PDA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균총은 평평하고, 가시모양의 균사가 전면에 관찰되었으며, 균총은 황색 내지 적황색을 띄고, 가장자리는 흰색이었다. 배지 뒷면(우측 사진)은 회색 혹은 황색이었으며, 그 가장자리는 흰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의 동정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 KNUF-20-PBU01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부위, 28s rRNA 유전자, RPB2(RNA polymerase II large subunit 2)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공시균주의 지놈 DNA를, HiGeneTM Genomic DNA prep kit (BIOFACT,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ITS 부위 증폭에서는 서열번호 1과 2의 정방향/역방향 프라이머(ITS1F;5'-CTT GGT CAT TTA GAG GAA GTA A-3'/ITS4;5'-TCC TCC GCT TAT TGA TAT GC-3'), 28s rRNA 유전자 증폭에는 서열번호 3과 4의 정방향/역방향 프라이머(NL1; 5'-GCA TAT CAA TAA GCG GAG GAA AAG-3'/NL4; 5'-GGT CCG TGT TTC AAG ACG G-3'), RPB2 유전자 증폭에는 서열번호 5와 6의 정방향/역방향 프라이머(RPB2-5f;5'-GAY GAY MGW GAT CAY TTY GG-3'/ RPB2-7cR: 5'-CCC ATR GCT TGY TTR CCC AT-3')를 이용하여 PCR를 수행하고 증폭된 PCR 산물은 EXOSAP-IT(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PCR 산물은 솔젠트 사(Daejeon,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고 이후 수령한 데이터는 SeqMan Lasergene software (DNAStar Inc., Madison, Wisconsin,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ITS 부위는 서열번호 7, 28s rRNA 유전자는 서열번호 8, RBP2 유전자는 서열번호 9에 개시되어 있음).
공시균주에서 확보된 ITS 부위, 28s rRNA 유전자, RPB2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미국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Blast 프로그램(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을 사용하여 기존 보고된 균주와 서열 상동성 비교하였다. 계통학적 유연관계는 MEGA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작성한 계통수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분리된 균주는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 BBA 63789 균주와 100%의 상동성을 보임이 확인되었으며, 계통수 상에서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와 동일한 그룹을 형성하여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로 동정하였으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기탁하고 수탁번호 KACC 83036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3>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의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의 분해능
실험에 사용한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olycaprolactone diol, PCL)(M.W. ~530, Sigma-Aldrich, USA)과 폴리락트산 필름(Polylactic acid film)(PLA)(0.05mm Thickness, ME331050, GFM, Korea)이다
배양 배지는 Mao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Mao et al., 2015). 탄소원이 없는 최소배지(MgSO4·7H2O 0.5 g/L, NH4Cl 1.0 g/L, KH2PO4 5.54 g/L, Na2HPO4 4.78 g/L, CaCl2·7H2O 0.005 g/L, Agar powder 15 g/L)에,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유화제인 Plysurf 1 mL와 함께 녹인 PCL 10 g 또는 PLA 필름 4 g을 혼합하여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배지 상에 공시균주를 치상하여 25℃ 인큐베이터에 배양하면서 분해능을 관찰하였다.
PCL 분해능에 대한 관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는데, 배양 7일 차에는 명확한 투명환(clear zone)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4일차부터 균총 주변으로 투명환이 서서히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21일차에는 균총 주변에 투명환이 좀 더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PLA 분해능에 대한 관찰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는데, 배양 8일 후 PLA 필름 입자가 배지상에서 녹지 않은 상태로 관찰되는 한편 균총 주변으로 투명환(clear zone)이 형성됨이 관찰되었으며, 18일차에는 8일차와 비교해 흰색 PLA 필름 입자들이 좀 더 연해진 것을 관찰되었고, 배양 45일 후에는 남아있는 흰색 PLA 필름 입자들이 모두 분해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3 및 도 4에서 붉은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PCL 또는 PLA가 분해된 투명환의 모습이다.
<110> Republic of Korea(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Degradation method for polycaprolactone or polylactic acid polymer using Fusicolla acetilerea <130> PP20-000-PBU01 <160> 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ttggtcatt tagaggaagt aa 22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tcctccgctt attgatatgc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catatcaat aagcggagga aaag 24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ggtccgtgtt tcaagacgg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aygaymgwg atcaytty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cccatrgctt gyttrcccat 20 <210> 7 <211> 54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usicolla acetilerea KNUF-20-PBU01 <400> 7 gtaacaaggt ctccgttggt gaaccagcgg agggatcatt accgagttta caactcccaa 60 acccctgtga acatacctat cgttgcttcg gcgggatgcc ccagtttgac gcaagctgga 120 cccaggcgcc cgccggagga cccaaactct tgttttattt atgtatcttc tgagtaaaca 180 agcaaataaa ttaaaacttt caacaacgga tctcttggtt ctggcatcga tgaagaacgc 240 agcgaaatgc gataagtaat gtgaattgca gaattccgtg aatcatcgaa tctttgaacg 300 cacattgcgc ccgccagtat tctggcgggc atgcctgttc gagcgtcatt tcaaccctca 360 agcccccggg cttggtgttg gggttcggcc cgtccctagc ggcgcgccgt ccccgaaatc 420 tagtggcggt ctcgctgtag cctcctctgc gtagtagcta acacctcgca acgggaacgc 480 agcgcggcca cgccgttaaa ccccccactt ctgaaggttg acctcggatc aggtaggaat 540 540 <210> 8 <211> 56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usicolla acetilerea KNUF-20-PBU01 <400> 8 gatgaccatt acgccagcat ccttgcagat gcgcgaacct cagtccagcg cagggtatta 60 cacaacgggc tataacactc ccggaggagc cacattcccg aagcctttat cccccgcgcc 120 gaactgatgc tggcctgggc cggccaagtg caccagtgag aacactggat gattaaccgg 180 gcccaagtct ggtcacaagc gcttcccttt caacaatttc acgtactgtt taaccctctt 240 ttcaaagtgc ttttcatctt tcgatcactc tacttgtgcg ctatcggtct ctggccggta 300 tttagcttta gaagacatat acctcccatt tagagcagca ttcccaaact actcgactcg 360 tcgaaggagc tttacagagg attggtatcc aaccagacgg ggctctcacc ctctatggcg 420 tcccgttcca gggaactcgg aaggcaccgc accaaaagca tcctctacaa attacaactc 480 ggacccgagg gccagatttc aaatttgagc tgttgccgct tcactcgccg ttactagggc 540 aatccctgtt ggtttctttt c 561 <210> 9 <211> 84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usicolla acetilerea KNUF-20-PBU01 <400> 9 tctaccttgt cgcatttgcg tcgaaccaac acacctattg gacgagatgg caagctcgct 60 aagcctcgcc aattgcacaa cactcattgg ggtcttgtct gtccggcaga aacgccagaa 120 ggacaagctt gtggtctggt caagaatttg tcattgatgt gctacgtcag tgtcggttcc 180 ccatctgaac ccttgatcga attcatgatc aacagaggta tggaagtggt ggaagagtac 240 gagcccttga gatacccaca cgctaccaag attttcgtaa acggaacttg ggttggtgtt 300 catcaagatc ccaagcatct cgttggacaa gttcttgata cccgtcgaaa gtcatacctt 360 cagttcgaag tgtcgctagt ccgtgacatt cgagaccgag agttcaagat tttctccgat 420 gctggtcgag tcatgaggcc gatgtttact gttcagcaag aggacgataa tgagagtggt 480 atcgaaaagg gacagttgat tcttaccaag gatctcgtga ataggctggc caaggaacaa 540 gcagacccgc cggatgatcc ctcaaagaag atcggatggg agggtttaat tcgatctggt 600 gccattgagt atctcgatgc cgaagaagag gaaactgcca tgatttgcat gacccctgag 660 gacttggatc tttaccgcat gcaaaaggct ggtgttcaag ttgaggaaga agacatggcc 720 gacgacccca acaaacgact caagaccaaa cacaacccga caactcacat gtacactcat 780 tgcgagatcc atcccagtat gcttcttggt atttgcgcca gtatcattcc tttccccgat 840 cacaacc 847

Claims (5)

  1.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에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를 접촉시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는 그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28s rRNA 유전자, RPB2(RNA polymerase II large subunit 2) 유전자가 각각 서열번호 7, 8, 9의 서열을 갖는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와의 접촉은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 형태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와 접촉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배지는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및 성장 촉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와의 접촉 전후에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의 배양과 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배지가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락트산 고분자에 첨가되어 혼합되고,
    상기 배지는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및 성장 촉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 KNUF-20-PBU01 균주(수탁번호 KACC 83036BP).
KR1020200125525A 2020-09-28 2020-09-28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KR10240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525A KR102404873B1 (ko) 2020-09-28 2020-09-28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525A KR102404873B1 (ko) 2020-09-28 2020-09-28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65A true KR20220042565A (ko) 2022-04-05
KR102404873B1 KR102404873B1 (ko) 2022-06-07

Family

ID=8118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525A KR102404873B1 (ko) 2020-09-28 2020-09-28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8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756A (ko) * 2001-05-03 2002-11-11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신규의 트라이코스포론 속 효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폐수또는 폐가스 처리방법
JP2003310248A (ja) * 2002-04-26 2003-11-05 Okura Ind Co Ltd 生分解性ポリマーを分解する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て生分解性ポリマーを分解処理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756A (ko) * 2001-05-03 2002-11-11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신규의 트라이코스포론 속 효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폐수또는 폐가스 처리방법
JP2003310248A (ja) * 2002-04-26 2003-11-05 Okura Ind Co Ltd 生分解性ポリマーを分解する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て生分解性ポリマーを分解処理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udies in Micology,제68권,79-113면(20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873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maa Produc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PHAs) by Bacillus subtilis and Escherichia coli grown on cane molasses fortified with ethanol
Belal Production of poly-β-hydroxybutyric acid (PHB) by Rhizobium elti and Pseudomonas stutzeri
Sivagurunathan et al. Feasibility of enriched mixed cultures obtained by repeated batch transfer in continuous hydrogen fermentation
Singh et al. Optimization of poly-B-hydroxybutyrate production from Bacillus species
US20100086980A1 (en)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Pobeheim et al. Characterization of an anaerobic population digesting a model substrate for maize in the presence of trace metals
Wu et al. Isolation of an acid producing Bacillus sp. EEEL02: Potential for bauxite residue neutralization
KR100372218B1 (ko) 유기산을 생산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산의 생산방법
Stabnikov et al.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biopolymers and admixtures for eco-efficient construction materials
JP6521243B2 (ja) 3−ヒドロキシ酪酸又はその塩の好気的生産方法
Ciesielski et al.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olyhydroxyalkanoates-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enriched microbial community
KR102404873B1 (ko)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를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Wang et al. Exploring microbial degradation of polyamide 4 in soils: Unveiling degradation mechanisms, pathways, and the contribution of strain NR4
KR102404872B1 (ko) 아피오트리쿰 포로섬을 이용한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의 분해 방법
KR102404871B1 (ko) 탈라로마이세스 피노필루스를 이용한 폴리유산 고분자의 분해 방법
AU2002345236B2 (en) Lactic acid production
CN109136313B (zh) 利用密西根克雷伯氏菌合成2’-脱氧腺苷的方法
WO2020076191A1 (ru) Штамм klebsiella pneumonia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бной биомассы
CN113652375B (zh) 一种产碱菌科好氧新菌t-4及其应用
El-Metwally et al. Optimization of Polyhydroxybutyrate (PHB) production by locally isolated Bacillus aryabhattai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P3734118B2 (ja) ポリ乳酸樹脂の分解方法
KR20230120932A (ko) 페니실리움 그리세오풀범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분해 방법
KR20230120933A (ko) 페니실리움 오르툼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분해 방법
Abdelwahed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holesterol oxidase producing actinomycetes from Egyptian soil for a large scale fermentation in submerged cultures
Vecchiato et al. Insights into the economical produc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