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106A -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106A
KR20220042106A KR1020220037802A KR20220037802A KR20220042106A KR 20220042106 A KR20220042106 A KR 20220042106A KR 1020220037802 A KR1020220037802 A KR 1020220037802A KR 20220037802 A KR20220037802 A KR 20220037802A KR 20220042106 A KR20220042106 A KR 2022004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ost
information
shopping mall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896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드림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3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8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의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의 회원들만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서비스의 성격에 맞는 제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뮤니티 활동과 상품 구매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Shopping mall operation system based on community service}
본 발명은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이 제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을 통한 상품 구매, 즉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되고 있다. 즉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품을 선택한 후 온라인 결재를 치루면 택배 배송 또는 모바일 상품권 등의 형태로 이용자에게 상품이 전달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의 형태로는 오픈마켓이 있다. 오픈마켓은 플랫폼 제공자가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주고 소정의 중개수수료를 받는 형식이다. 오픈마켓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판매자가 판매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쇼핑몰 사이트에 등록하면, 구매자들이 해당 상품을 검색하고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 구매를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기존의 오픈마켓 사이트는 반드시 상품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품 구매 의사가 없는 사람은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포털사이트나 각종 웹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띄워 이용자를 유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배너 광고는 무작위로 광고를 노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용자는 스팸 광고라고 여겨 불쾌감을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대형 포털사이트에서는 키워드 광고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줌과 동시에, 해당 키워드와 매칭되어 있는 광고를 함께 노출시켜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워드 광고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팸정보로 여기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상품 구매까지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키워드 광고에 노출시키기 위해 판매자가 광고 업체에 상당히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55963호(2019.05.24. '키워드 검색 분석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노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되,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만을 대상으로 제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게시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시물 목록 또는 게시물 상세 내용을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커뮤니티운용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품 정보 중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구매 절차를 처리하는 쇼핑몰운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물 정보를 저장할 시, 상기 쇼핑몰운용부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매칭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게시물 상세 내용을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시물 정보와 함께 매칭된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게시물 목록을 제공할 시, 상품 구매 횟수가 높은 게시물이 우선 노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게시물 정보의 상품 구매 횟수가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쇼핑몰운용부에서 추출되는 상품 정보를 해당 게시물에 추가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품 구매 횟수가 기준 이상인 게시물 정보가 제공될 시 추가 매칭된 상품 정보가 함께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게시물 정보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자 정보를 매칭 저장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될 시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자 정보가 함께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가 있다. 즉 커뮤니티 활동력이 높아질수록 상품 판매율도 높아질 것이고, 상품 판매율이 높아지면 커뮤니티 활동 역시 높아지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게시물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는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이 공통으로 관심을 갖는 분야의 상품이기 때문에, 상품 정보를 스팸으로 여기지 않고 실용성 있는 정보로 여겨 구매율을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기존의 키워드 광고와 같이 관련 상품 정보를 노출시키기 판매자가 별도의 광고료를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의 목적(관심사)는 이미 결정이 된 것이고, 이에 따라 상품을 등록할 판매자들도 미리 정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키워드 광고를 위한 중개 업체에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전체 회원수, 조회수 및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횟수에 따라 상품 구매 효과가 높은 게시물을 목록에서 우선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상품 구매를 유도할 수가 있다.
또, 상품 구매 횟수가 높은 게시물에는 매칭 상품을 추가시키도록 함으로써 다른 상품의 구매율도 함께 높여줄 수가 있다.
더불어 게시물에 상품 정보를 노출 시킬 때, 해당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가 자동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영향력 있는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타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여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게시물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쇼핑몰 이용을 먼저 수행하는 경우,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관심 있는 게시물을 찾아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관련 학과의 소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더불어 해당 학과의 행사를 달력 형태와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학과나 학교와 관련되어 예정된 행사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미처 사전 연락을 받지 못한 동문들도 행사 계획을 확인하고 참여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 특정 게시물에 할인태그를 부착한다면 중요한 행사 게시물 등의 조회수를 늘려 행사 참석율도 함께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할인태그가 특정 게시물에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조회수에 도달하면, 조회수가 낮은 다음 행사 게시물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모든 행사 게시물의 조회수를 높여줄 수가 있고 많은 동문들의 참석을 유도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특정 게시물에 제휴 상품이 매칭되어 함께 출력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상품 구매 이력에 따라 해당 게시물을 우선 노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상품 구매 이력에 따라 판매 상품이 추가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특정 상품의 구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쇼핑몰 이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사용자에게 달력 형태로 행사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할인태그가 부여된 게시물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은 통신부(11), 정보수신부(12), 정보제공부(13), 커뮤니티운용부(14), 쇼핑몰운용부(15) 및 데이터베이스(16)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과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커뮤니티 서비스 및 쇼핑몰 서비스(상품 구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커뮤니티 서비스와 쇼핑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20)에서 미리 설치한 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정보수신부(12)는 통신부(11)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정보수신부(12)는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한 회원정보, 게시물 등록 정보,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3)는 통신부(11)와 연계하여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커뮤니티 서비스 및 쇼핑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정보제공부(13)는 사용자단말(2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게시물 정보나 상품 정보 등을 추출하여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부(13)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커뮤니티운용부(14)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사용자단말(20)에서 회원정보를 입력하고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으로 회원 가입을 요청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정보수신부(12)를 통해 수신한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고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회원 가입을 처리한다. 또한 커뮤니티운용부(14)는 사용자단말(20)에서 게시물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게시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고, 사용자단말(2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등록된 게시물 목록, 게시물 상세내용 등을 추출하여 정보제공부(13)를 통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운용부(14)는 사용자 로그인 처리, 게시물 통계(게시물 조회수 또는 제휴 상품의 구매횟수 등)에 따른 노출 순위 정리 등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쇼핑몰운용부(15)는 쇼핑몰 서비스, 즉 상품 구매 서비스에 필요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쇼핑몰운용부(15)는 관리자단말(미도시)에서 입력된 바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게시물에 제휴 상품을 매칭시켜 특정 게시물의 내용이 사용자단말(20)로 제공될 시, 해당 게시물에 제휴 상품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되어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쇼핑몰운용부(15)는 특정 게시물의 내용과 함께 노출된 제휴 상품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요청하면, 상품 구매에 필요한 결제 처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 도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 운용 시스템은 이하 도2 내지 도6을 통해 설명하게 되는 서비스 화면 출력 예시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사용자단말(20)에 출력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화면 출력 예시이다.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란 인터넷 상에서 각종 모임이나 단체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공통적인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친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카페나, 각종 단체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홈페이지) 또는 모임 애플리케이션 등이 모두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뮤니티운용부(14)는 웹사이트(홈페이지) 형태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즉 도2의 (a)와 같이 특정 대학교 동문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운용부(14)가 웹페이지 형태로 사용자단말(20)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2의 (a)와 같은 초기화면에서 사용자는 공지사항, 메인메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회원가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도2의 (a) 화면을 통해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커뮤니티운용부(14)는 정보수신부(12)를 통해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한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2의 (b)는 도2의 (a)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커뮤니티 항목을 선택하고, 커뮤니티 항목의 하위메뉴로 건축학과 게시판을 선택하였을 시 사용자단말(20)에 화면 출력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단말(20)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정보수신부(12)를 통해 사용자의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16)를 통해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건축학과 게시물들의 목록을 로딩한 후 정보제공부(13)를 통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커뮤니티운용부(14)는 특정 규칙에 따라 게시물 목록을 정렬한다. 예컨대 게시일의 역순(내림차순)으로 게시물 목록이 출력되도록 하고, 관리자에 의해 공지로 선택된 게시물은 우선 노출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작성자 또는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게시물을 검색하였을 경우 검색된 게시물만 추려서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2의 (b)와 같은 게시물 목록을 통해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고, 특정 게시물의 상세 내용을 보기 위해 사용자단말(20)에서 해당 게시물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데이터베이스(16)를 통해 선택된 게시물의 상세 내용을 로딩하여 정보제공부(13)를 통해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
도3은 도2의 (b)에서 특정 게시물을 선택하여 해당 게시물의 상세 내용이 사용자단말에 화면 출력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게시물의 상세 내용이 출력될 시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제휴 상품 정보가 함께 화면 출력된다.
즉 사용자단말(20)에서 게시물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 게시물 등록을 요청하고 커뮤니티운용부(14)에서 데이터베이스(16)에 게시물 등록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게시물을 등록할 시, 쇼핑몰운용부(15)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제휴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커뮤니티운용부(14)는 쇼핑몰운용부(15)에서 추출한 제휴 상품 정보를 게시물에 매칭하여 함께 등록 처리한다.
쇼핑몰운용부(15)가 게시물에 매칭시키기 위해 제휴 상품을 추출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16)에 상품을 등록할 시 각 상품마다 미리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건축 관련 상품에는 건축, 토목, 자재 등과 같은 키워드를 매칭시켜 놓는 것이다. 또는 쇼핑몰운용부(15)가 데이터베이스(16)에 상품을 등록할 시 상품 특성을 분석하여 키워드를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품명 또는 상품분류가 공구, 설계, 자재 등이라면 쇼핑몰운용부(15)는 해당 상품의 키워드로 건축을 매칭 등록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단말(20)에서 게시물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 게시물 등록을 요청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내용을 분석(파싱)하여 대표 키워드를 추출한다.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내용에서 자주 반복되는 단어를 대표키워드로 추출할 수도 있고, 또는 게시물 내용 중 특정 항목에 입력된 단어를 대표키워드로 추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체 학과가 참여하는 총동창회를 알리는 게시물일 경우 총동창회를 주최하는 학과를 대표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내용 중 '주최' 항목을 찾아내고, 주최 항목에 입력된 '건축학과' 또는 '건축'을 해당 게시물의 대표키워드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후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분석을 통해 추출한 대표키워드를 쇼핑몰운용부(15)로 제공하고, 쇼핑몰운용부(15)는 데이터베이스(16)를 통해 커뮤니티운용부(14)가 제공한 대표키워드와 매칭되는 상품을 추출한다. 즉 쇼핑몰운용부(15)는 '건축'이라는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품을 데이터베이스(16)에서 추출하며,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을 데이터베이스(16)에 등록할 때 쇼핑몰운용부(15)에서 추출한 '건축'이라는 키워드가 설정된 상품을 함께 매칭시켜 등록한다. 여기서 쇼핑몰운용부(15)가 상품을 추출할 시 해당 키워드가 설정된 상품이 복수개 존재한다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품을 추출한다.
이렇게 커뮤니티운용부(14) 및 쇼핑몰운용부(15)에 의해 게시물에 상품이 매칭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게시물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 측으로 게시물 상세 내용을 전송하되, 앞선 과정을 통해 매칭된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화면 하단에 출력된 제휴 상품 정보를 터치(클릭)하면 쇼핑몰운용부(15)는 상품 세부 내역 페이지를 로딩하여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하고, 소정의 절차를 거쳐 결제 처리를 지원한다. 상품 구매 절차가 완료되면 쇼핑몰운용부(15)는 판매자에게 구매 완료 정보를 전달하고, 판매자는 구매 완료 정보를 확인한 후 상품을 배송할 수 있다.
한편 쇼핑몰운용부(15)는 상품 구매 절차가 완료되면 구매 완료 정보를 커뮤니티운용부(14)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운용부(14)는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횟수를 카운팅하고 구매자 정보를 상품 정보에 매칭 저장한다. 커뮤니티운용부(14)가 구매횟수를 카운팅하고 구매자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이유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4 내지 도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상품 구매 이력에 따라 해당 게시물을 우선 노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특정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상품 구매가 완료되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이 구매된 횟수와 구매자 정보 등을 누적 저장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6)에 등록된 모든 등록 게시물에는 상품 매칭 정보와, 해당 상품이 구매된 횟수와, 구매자 정보 등이 누적 저장되어 있고, 커뮤니티운용부(14)는 모든 게시물들의 누적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운용부(14)는 추후 타 사용자단말(20)에서 게시물 목록을 요청하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게시물이 우선 노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준 이상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진 게시물들은 '추천' 게시물로 분류되어 게시일과 관계없이 게시물 목록의 최상단에 우선 배치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상품 판매가 많이 이루어진 게시물은 상품 구매 유도 효과가 큰 것이므로 추천 게시물로 우선 배치함으로써 타 사용자에게 우선 노출시켜 상품 추가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물론 상품 구매량이 많다고 하여 항상 게시물이 최우선 노출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일정량 이상 상품 구매가 이미 이루어졌다면, 회원수가 한정되어 있는 폐쇄몰의 특성상 추가 구매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일정 수량 이상 판매가 이루어졌다면, 오히려 상품 구매가 덜 이루어진 게시물을 우선 노출시키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어느 게시물을 우선 노출시킬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예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뮤니티운용부(14)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전체 회원수, 각 게시물들의 조회수, 각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횟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게시물이 우선 노출되도록 처리한다.
예컨대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의 조회수 대비 상품 구매량이 높다면 해당 게시물을 우선 노출되도록 처리한다. 즉 조회수는 200이고 상품 구매량은 40인 게시물이 있다면 조회수 대비 상품 구매량이 20% 이상으로 높은 것이므로, 게시물을 우선 배치토록 한다.
하지만 해당 게시물의 조회수가 전체 회원수 대비 일정 수준 이상까지 높아진다면 상품 구매비율이 높다 하더라도 게시물 우선 노출에서 제외한다. 예컨대 전체회원수는 1000명이고 게시물 조회수는 600이며 상품 구매량은 120인 게시물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게시물은 조회수 대비 상품 구매량이 20%로 상당히 높은 상품 구매량을 보이고는 있지만, 이미 조회수가 전체 회원수 대비 60%가 되었기 때문에 추가 조회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반면 조회수는 60이고 상품 구매량은 10인 게시물이 있다면, 조회수 대비 상품 구매량은 16.6%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전체 회원수 대비 조회수는 낮기 때문에 추가로 조회될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앞선 게시물보다 이 게시물을 우선 노출 시키는 것이 구매 유도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위의 설명에서 언급된 기준들은 예시일 뿐이며, 구매 유도를 위한 최적의 기준은 커뮤니티운용부(14)에 미리 설정해 놓기 나름이다.
한편 상품 구매량이 많은 게시물의 경우에는 게시물 자체의 구매 유도 효과가 높기 때문에, 최초 매칭시킨 상품 외에 타 상품을 매칭시켜 상품의 추가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커뮤니티운용부(14)는 특정 게시물의 조회수, 구매횟수 등을 종합 분석하여, 조회수 대비 구매횟수가 높다거나, 구매횟수의 증가속도가 빠른 게시물에는 상품을 추가 매칭시킬 수 있도록 쇼핑몰운용부(15)에 상품 추가를 요청한다. 쇼핑몰운용부(15)는 커뮤니티운용부(14)의 상품 추가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서 추가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커뮤니티운용부(14)에 제공한다. 이때 쇼핑몰운용부(15)는 앞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추가 상품을 추출한다. 즉 해당 게시물의 대표키워드와 매칭되는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품을 추가 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후 커뮤니티운용부(14)는 추가 상품 정보를 해당 게시물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 따라서 추후 타 사용자가 해당 게시물의 상세 정보를 요청하여 커뮤니티운용부(14)가 게시물 정보를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하면,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기 게시물(상품 구매력이 높은 게시물)에는 최초 매칭된 상품 정보 외에 추가 상품 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5의 (a) 화면을 통해 최초 매칭 상품 또는 추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커뮤니티운용부(14)는 인기 게시물의 조회수, 구매횟수 등을 종합 분석하여, 조회수 대비 구매횟수가 높다거나, 구매횟수의 증가속도가 빠른 게시물에 대하여 상품을 추가 매칭시키되, 조회수나 구매회수가 일정 기준을 넘어갈수록 매칭 상품을 단계적으로 늘려줄 수도 있다. 즉 조회수나 구매횟수가 최초 설정 기준을 넘긴다면 도5의 (a)와 같이 한 개의 상품을 추가하고, 이후 조회수나 구매횟수가 더 늘어나면 도5의 (b)와 같이 단계적으로 상품을 더 추가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매칭된 상품의 개수가 늘어날 때에는 상품의 개수에 비례하여 각 상품 정보의 크기는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는데, 최초 상품 정보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추가만 한다면, 다른 상품 정보는 화면 스크롤을 해야만 확인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운용부(14)는 도5의 (b)와 같이 추가되는 상품의 개수에 비례하여 이미지나 텍스트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모든 상품 정보가 한번에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특정 상품의 구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커뮤니티운용부(14)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게시물 상세 정보와 함께 제휴 상품 정보를 제공할 시, 해당 제휴 상품을 이미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정리하여 함께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게시물 상세 정보와 함께,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를 참고한다면, 해당 상품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은 커뮤니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즉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이 자신과 전혀 관련 없는 사람들인 것이 아니라, 친분 또는 사업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들일 수 있고,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해당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을 구매하는 자들 역시 전혀 무관한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구매 이력은 상품 구매 결정에 지대하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예를 들어 동문들 중 건축 업계에서 인지도가 높은 선배가 해당 상품을 구매했고, 해당 구매 정보가 제휴 상품 정보에 매칭되어 함께 노출된다면, 그 구매자를 롤모델로 하고 있는 후배들도 해당 상품의 구매 의욕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구매자 정보가 상품 정보에 매칭되어 함께 화면 출력되는 것은 본 발명과 같은 폐쇄몰에서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오픈마켓에서도 사용자가 구매 후기를 남기면, 상품정보에 후기 정보가 함께 노출될 수 있는데, 구매자가 직접 후기를 남겨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그 후기를 읽는 사용자는 구매자와 전혀 관련이 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후기의 중요성이 크게 와 닿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폐쇄몰에서 구매자 정보가 제휴 상품 정보에 자동으로 매칭되어 노출된다면, 구매자가 별도로 후기를 남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고, 별도의 멘트가 없더라도 구매자 이름 자체만으로 타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상품이라 하더라도 동일한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A, B, C, D 상품에 설정된 키워드가 모두 '건축'인 경우이다. 이 경우 커뮤니티운용부(14)에서 게시물을 분석하여 추출된 대표키워드가 '건축'이라면, 쇼핑몰운용부(15)는 A, B, C, D 상품 중 등록된 순서에 따라 또는 관리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매칭시킬 상품을 추출한다.
하지만 초기에 기준이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상품 구매 활동이 지속적으로 누적된 이후에는 상품 구매 이력 분석이 가능하며, 쇼핑몰운용부(15)는 이러한 상품 구매 이력 분석을 통해 우선 순위를 변경시켜 상품 판매 효율을 높여줄 수가 있다. 예컨대 '건축'이라는 대표키워드에 대하여 A, B, C, D 상품 순서로 우선순위가 초기에 설정되었고, 이후 대표키워드가 '건축'인 게시물에 대하여 A, B, C, D 상품 순서로 상품 매칭, 또는 추가 상품 매칭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지속적인 상품 판매 활동이 이루어졌고, 쇼핑몰운용부(15)가 상품 판매 이력을 분석한 결과 실제 상품 판매 횟수는 C, A, D, B 순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건축' 키워드라 하더라도 A 상품보다는 C 상품이 판매율이 더 높은 것이므로, 이후에는 커뮤니티운용부(14)에서 게시물을 분석한 결과 '건축'이라는 대표키워드가 추출되었을 시, C, A, D, B라는 우선 순위를 두어 상품 매칭(또는 추가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쇼핑몰운용부(15)는 상품 판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또는 일정한 기간 간격으로 상품 판매 이력을 분석하여, 상품 매칭 우선 순위가 변경되도록 꾸준하게 데이터베이스(16)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7은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쇼핑몰 이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2 내지 도6을 통해 설명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특정 게시물을 선택하면, 게시물 상세 내용과 함께 특정 상품이 매칭된 후 이를 통해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 커뮤니티운용부(14)는 도2의 (a)와 같은 초기화면에서 별도의 쇼핑몰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쇼핑몰 메뉴를 선택하면, 쇼핑몰운용부(15)가 도7의 (a)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6)에 등록된 상품 목록을 제공한 후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도7의 (a)에 도시된 화면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쇼핑몰운용부(15)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한단계 이상의 하위 페이지 이동을 통해 더욱 상세한 상품 정보 제공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게시물을 먼저 이용한 후 상품 구매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7의 (a)와 같이 쇼핑몰 페이지를 통해 상품 구매를 먼저 수행할 경우에는, 상품 구매 활동에 맞추어 게시물도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단말(20)에서 도7의 (a)와 같이 쇼핑몰 페이지를 이용하면서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면, 쇼핑몰운용부(15)는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상품 구매에 필요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구매 절차를 완료한다. 이후 쇼핑몰운용부(15)는 구매가 완료된 상품에 설정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커뮤니티운용부(14)로 제공한다.
커뮤니티운용부(14)는 쇼핑몰운용부(15)에서 제공한 판매된 상품에 설정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해당 키워드와 가장 관련이 높은 게시물을 추출한다. 예컨대 판매된 상품이 직소기였고, 해당 직소기 상품에 설정된 키워드가 '건축' 또는 '공구'였다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판매된 상품과 관련이 높은 학과로써 건축학과를 선정할 수 있다. 이후 커뮤니티운용부(14)는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게시물 중에서 건축학과 카테고리에 속한 게시물에 대한 목록을 추려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으로 게시물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커뮤니티운용부(14)는 건축학과 카테고리에 속한 게시물이 아니라 전체 학과를 대상으로 하는 게시물 중에서도 건축학과가 주관이 되는 등 관련 게시물도 함께 추출하여 게시물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 서비스에 접속하여 게시물을 먼저 확인하지 않고 상품 구매를 먼저 수행하는 사용자가 있더라도, 해당 사용자에게 판매된 상품과 가장 관련이 높은 게시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관심 있는 게시물을 찾아보려고 하지 않더라도, 관련 게시물을 자동 노출시켜 게시물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운용부(14)는 도7의 (b) 화면과 같이 팝업으로 노출된 게시물을 통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일정 안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7의 (b)와 같이 판매 상품과 관련된 게시물이 팝업창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개수, 예컨대 3개의 게시물을 클릭(터치)하여 게시물 상세 내용을 확인하였다면, 커뮤니티운용부(14)는 해당 사용자가 제공된 게시물과 관련된 학과 출신이라고 간주하고, 해당 학과와 관련된 행사 일정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 형태로 제공할 수가 있다.
다시 정리하면, 커뮤니티운용부(14)에서 판매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을 추려 목록을 제공하고, 이후 사용자가 게시물 목록에서 설정된 개수(3개) 이상의 게시물을 상세하게 확인하였다면, 이후 커뮤니티운용부(14)는 데이터베이스(16)의 전체 게시물을 분석하여 해당 학과가 주관을 하는 행사, 또는 해당 학과가 참석 대상인 행사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행사 일정에 맞추어 달력 정보를 생성한 후 도8과 같이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티운용부(14)는 달력 형태의 행사 일정을 제공할 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행사에 대한 일정만 기입하여 달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커뮤니티운용부(14)는 행사 일정을 음성 정보로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현재 시점에서 가장 먼저 도래하는 2개 내지 3개의 행사 일정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주고, 1개월 이내에 총 몇 번의 행사가 예정되어 있는지 함께 알려주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게시물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쇼핑몰 이용을 먼저 수행하는 경우,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관심 있는 게시물을 찾아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관련 학과의 소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더불어 해당 학과의 행사를 달력 형태와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학과나 학교와 관련되어 예정된 행사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미처 사전 연락을 받지 못한 동문들도 행사 계획을 확인하고 참여율을 높여줄 수 있다.
도9는 도1에 도시된 쇼핑몰 운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중 할인태그가 부여된 게시물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커뮤니티운용부(14)는 게시물 목록 중 행사와 관련된 게시물에는 할인태그를 부착하여 행사 관련 게시물의 조회수를 높여주도록 할 수 있다.
할인태그 부착을 위해 커뮤니티운용부(14)는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게시물 중에서 일시가 기재된 게시물을 찾아내고, 이렇게 일시가 기재된 게시물은 행사 관련 게시물이라고 가정한다. 이후 커뮤니티운용부(14)는 행사 관련 게시물 중 행사 개최 일시가 가장 먼저 도래하는 게시물에 대하여 도9의 (a)와 같이 할인태그를 부착하여 노출시킨다. 할인태그가 부착되었다면, 사용자는 해당 게시물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경우 추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게시물 조회 빈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후 사용자단말(20)에서 할인태그가 부착된 게시물을 선택하여 게시물 상세 정보를 확인하면, 쇼핑몰운용부(15)는 커뮤니티운용부(14)와 연계하여 할인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품들의 목록을 추려 도9의 (b)와 같이 팝업창으로 할인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할인태그가 부착된 게시물은 사용자가 조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행사 안내 게시물과 같은 중요 게시물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행사 관련 게시물이 여러개일 경우 할인태그가 부착되는 알고리즘은 변경되어야 한다.
할인태그가 부착되는 우선순위의 예시로 행사 관련 게시물이 등록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둘 수 있다. 즉 먼저 등록된 행사 관련 게시물에 할인태그가 부착되고, 해당 행사가 종료되면 할인태그를 소멸시키는 것이다.
다른 예시로 행사 일시 순서로 할인태그가 부착되고, 행사가 종료되면 다음 일정의 행사 게시물에 할인태그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조회수를 기준으로 할인태그가 부착될 수도 있다. 즉 커뮤니티운용부(14)는 기본적으로 행사 일정을 기준으로 가장 먼저 도래하는 행사 게시물에 할인태그가 부착되도록 한다. 이후 해당 게시물의 조회수를 확인하여 조회수가 설정된 조회수에 도달하였다면, 다음 행사 일정의 게시물에 할인태그를 부착한다. 물론 다음 행사 일정의 게시물 역시 이미 설정된 조회수를 넘어섰다면 그 다음 행사 게시물에 할인태그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특정 게시물에 할인태그를 부착한다면 중요한 행사 게시물 등의 조회수를 늘려 행사 참석율도 함께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할인태그가 특정 게시물에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조회수에 도달하면, 조회수가 낮은 다음 행사 게시물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모든 행사 게시물의 조회수를 높여줄 수가 있고 많은 동문들의 참석을 유도할 수가 있다.
한편 커뮤니티운용부(14)는 과거의 행사 게시물 조회수 통계를 분석하여 할인태그가 부착되는 기준인 설정 조회수를 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10)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가 있다. 즉 커뮤니티 활동력이 높아질수록 상품 판매율도 높아질 것이고, 상품 판매율이 높아지면 커뮤니티 활동 역시 높아지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게시물에 매칭되는 상품 정보는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이 공통으로 관심을 갖는 분야의 상품이기 때문에, 상품 정보를 스팸으로 여기지 않고 실용성 있는 정보로 여겨 구매율을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기존의 키워드 광고와 같이 관련 상품 정보를 노출시키기 판매자가 별도의 광고료를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의 목적(관심사)는 이미 결정이 된 것이고, 이에 따라 상품을 등록할 판매자들도 미리 정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키워드 광고를 위한 중개 업체에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전체 회원수, 조회수 및 게시물에 매칭된 상품의 구매횟수에 따라 상품 구매 효과가 높은 게시물을 목록에서 우선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상품 구매를 유도할 수가 있다.
또, 상품 구매 횟수가 높은 게시물에는 매칭 상품을 추가시키도록 함으로써 다른 상품의 구매율도 함께 높여줄 수가 있다.
더불어 게시물에 상품 정보를 노출 시킬 때, 해당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 정보가 자동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영향력 있는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타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여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게시물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쇼핑몰 이용을 먼저 수행하는 경우,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관심 있는 게시물을 찾아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관련 학과의 소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더불어 해당 학과의 행사를 달력 형태와 음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학과나 학교와 관련되어 예정된 행사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미처 사전 연락을 받지 못한 동문들도 행사 계획을 확인하고 참여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 특정 게시물에 할인태그를 부착한다면 중요한 행사 게시물 등의 조회수를 늘려 행사 참석율도 함께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할인태그가 특정 게시물에만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조회수에 도달하면, 조회수가 낮은 다음 행사 게시물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모든 행사 게시물의 조회수를 높여줄 수가 있고 많은 동문들의 참석을 유도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쇼핑몰 운용 시스템
11 : 통신부
12 : 정보수신부
13 : 정보제공부
14 : 커뮤니티운용부
15 : 쇼핑몰운용부
16 : 데이터베이스
20 : 사용자단말

Claims (1)

  1. 사용자단말로부터 게시물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게시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시물 목록 또는 게시물 상세 내용을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제공하는 커뮤니티운용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품 정보 중 특정 상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구매 절차를 처리하는 쇼핑몰운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물 정보를 저장할 시, 상기 쇼핑몰운용부에서 추출된 상품 정보를 매칭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게시물 상세 내용을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게시물 정보와 함께 매칭된 상품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게시물 정보와 상기 상품 정보의 매칭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게시물 등록 정보를 입력하여 게시물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게시물 내용을 분석하여 학과명칭을 대표키워드로 추출하여 상기 쇼핑몰운용부로 제공하고 상기 쇼핑몰운용부는 상기 커뮤니티운용부가 제공한 상기 대표키워드의 학과명칭과 매칭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해당 게시물과 함께 매칭등록하고,
    사용자가 게시물을 확인하지 않고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의 목록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학과의 게시물의 목록에서 사용자가 게시물을 소정 개수 이상 확인한 경우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사용자가 상기 게시물 목록에 대응하는 학과의 출신인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게시물 목록에 대응하는 학과와 관련된 행사 일정을 달력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커뮤니티운용부는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게시물 목록을 제공할 시, 상품 구매 횟수가 높은 게시물이 우선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2A 2020-03-10 2022-03-28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51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02A KR102512896B1 (ko) 2020-03-10 2022-03-28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10A KR102381083B1 (ko) 2020-03-10 2020-03-10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2A KR102512896B1 (ko) 2020-03-10 2022-03-28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10A Division KR102381083B1 (ko) 2020-03-10 2020-03-10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106A true KR20220042106A (ko) 2022-04-04
KR102512896B1 KR102512896B1 (ko) 2023-03-23

Family

ID=7792639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10A KR102381083B1 (ko) 2020-03-10 2020-03-10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798A KR102512888B1 (ko) 2020-03-10 2022-03-28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6A KR102512898B1 (ko) 2020-03-10 2022-03-28 상품 정보를 게시물에 매칭시키는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1A KR102512894B1 (ko) 2020-03-10 2022-03-28 행사일정 제공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2A KR102512896B1 (ko) 2020-03-10 2022-03-28 상품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10A KR102381083B1 (ko) 2020-03-10 2020-03-10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798A KR102512888B1 (ko) 2020-03-10 2022-03-28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6A KR102512898B1 (ko) 2020-03-10 2022-03-28 상품 정보를 게시물에 매칭시키는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KR1020220037801A KR102512894B1 (ko) 2020-03-10 2022-03-28 행사일정 제공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381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3147A (zh) * 2022-05-06 2022-09-16 陕西恒盛博隆君信科技有限公司 基于商砼运输的智能化管理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88A (ko) * 2004-10-13 2004-11-17 (주)알라딘커뮤니케이션 사용자의 커뮤니티 활동을 기반으로 한 상거래 보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3324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이메타 홈쇼핑 연계형 자기계획도구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70070475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모던지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6900B1 (ko) * 2015-12-24 2019-08-02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KR20190142508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레이니가든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88A (ko) * 2004-10-13 2004-11-17 (주)알라딘커뮤니케이션 사용자의 커뮤니티 활동을 기반으로 한 상거래 보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3324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이메타 홈쇼핑 연계형 자기계획도구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170070475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모던지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6900B1 (ko) * 2015-12-24 2019-08-02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KR20190142508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레이니가든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898B1 (ko) 2023-03-22
KR20210114208A (ko) 2021-09-23
KR102512888B1 (ko) 2023-03-23
KR20220042105A (ko) 2022-04-04
KR102381083B1 (ko) 2022-03-31
KR102512894B1 (ko) 2023-03-23
KR102512896B1 (ko) 2023-03-23
KR20220042107A (ko) 2022-04-04
KR20220042104A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508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5618404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9984338B2 (en) Real time e-commerce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and interacting with consumers
US2011005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based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ing platforms
US20080228598A1 (en) Providing marketplace functionality in a business directory and/or social-network site
US20110093328A1 (en) item information system
US20100121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s access to incentive deals
US201700467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advertisements
KR10265140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장성 분석 및 사업화방법론 분석 시스템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US201401808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pulating content on a web page
KR102512898B1 (ko) 상품 정보를 게시물에 매칭시키는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서비스 기반의 쇼핑몰 운용 시스템
ES2887312T3 (es)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información, método de procesamiento de pago de recompensas, programa de procesamiento de pago de recompensas, y medio de grabación con programa de procesamiento de pago de recompensas grabado en el mismo
US11301889B2 (en) Web-based search and bidding system and method
US8725558B1 (en) Intra-site product advertising system
US10229452B2 (en) Non-monetary bidding based on bidder-specific data
US20090271481A1 (en) Online Idea Collaboration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JP5751686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2059480B1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JP714582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101459102B1 (ko) 웹 페이지의 검색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130882B1 (en) Dynamic assignment of a target web page based on request context
JP679555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19575A (ko) 페이지 단위의 컨텐츠를 이용한 전면광고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