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544A -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544A
KR20220041544A KR1020200124904A KR20200124904A KR20220041544A KR 20220041544 A KR20220041544 A KR 20220041544A KR 1020200124904 A KR1020200124904 A KR 1020200124904A KR 20200124904 A KR20200124904 A KR 20200124904A KR 20220041544 A KR20220041544 A KR 2022004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group
industry
word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880B1 (ko
Inventor
전정현
전호남
한정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전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전자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전자기술
Priority to KR102020012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2Approximate or statistic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 기업명에 근거하여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쿼리생성부, 외부 DB에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하는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저장하는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 기업명에 대해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그룹화 모듈,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단말기로부터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FORMATION OF CONFERENCE VISITORS}
본 발명은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의 참석자의 기업명에 기초하여 연관 업종에 종사하는 다른 회의 참석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회의, 세미나, 컨퍼런스 등의 행사에서는 참석자를 전산 시스템 상에 등록하여 참석자의 참석 여부를 확인하는 참석자 등록 관련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참석자 정보를 수집한 서버 또는 시스템 내에서 참석자 정보의 등록 또는 확인이 이루어질 뿐, 저장된 참석자 정보를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참석자 개인이 다른 참석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 직접 다른 참석자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참석자 정보를 게시글 등으로 전체에 공유하거나, 참석자로 식별된 단말기에 다른 참석자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참석자와의 연관성과 관계없이 저장된 모든 참석자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 참석자와 전혀 연관이 없는 참석자의 정보도 함께 제공하여 개인이 다량의 참석자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며 원하는 참석자 정보를 찾아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3658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15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을 이용하여 각 회의 참석자가 속한 기업의 주업종을 파악하여 회의 참석자 정보를 업종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 기업명에 근거하여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쿼리생성부, 외부 DB에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하는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저장하는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 기업명에 대해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그룹화 모듈,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단말기로부터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기업명에 근거하여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외부 DB에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하는 단계, 기업명에 대해 수집된 단어들을 미리 저장된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에 분류하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단계,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단계 및 단말기로부터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을 이용하여 각 회의 참석자가 속한 기업의 주업종을 파악하여 회의 참석자 정보를 업종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을 기용하여 각 참석자가 속한 기업의 주업종과 연관업종을 파악하여, 회의 참석자 정보를 주업종에 따라 분류하여 어느 한 기업에 대해 연관업종에 종사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들이 종사하는 업종과 업종 간의 연관관계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표시할 수 있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결라인을 통해 연관관계가 있는 업종 사이에서 상위 업종과 하위 업종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연결라인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일치되는 기능부들의 도면 부호를 일치시켜 설명하도록 하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10)는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 쿼리 생성부(103),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105),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110), 그룹화 모듈(120), 매칭부(130), 연관값 산출부(140), 계층 분류부(150), 연결라인 생성부(160),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101).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화면(10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참석자의 성명을 입력받기 위한 성명 입력영역(100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참석자의 연락처를 입력받기 위한 연락처 입력영역(1003),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참석자가 속한 기업명을 입력받기 위한 기업명 입력영역(1005),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참석자의 직책을 입력받기 위한 직책 입력영역(1007)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지 복수개의 업종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업종을 선택받기 위한 업종 선택영역(101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참석자 성명, 연락처, 기업명, 직책,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업종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쿼리 생성부(103)는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에 저장된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에 근거하여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한다(S103).
쿼리 생성부(103)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에 각각 포함된 서로 다른 기업명에 기초하여 각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105)는 외부 DB(2)에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한다(S105).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110)는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110)는 복수개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로 디자인, 기구설계, 회로설계, 시험인증, 금형, 사충, 관공서, 언론, 연구소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룹화 모듈(120)은 회의 참석자 정보에 포함된 각 기업명에 대해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105)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며(S107), 어느 하나의 업종 단어를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S109),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한다(S111).
여기서, 그룹화 모듈(120)은 회의 참석자 정보에 포함된 각 기업명에 대해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105)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고(S107)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에 따라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지는 업종 단어를 추출하여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며(S109)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S111).
그룹화 모듈(120)은 획득부(121), 기업 업종 단어 설정부(123), 그룹화부(12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획득부(121)는 각 기업명에 대해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105)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여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 중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최빈 업종 단어와 최빈 업종 단어보다는 적은 빈도수를 가지는 차순위 업종 단어를 각각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획득부(121)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 중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최빈 업종 단어를 획득하고, 최빈 업종 단어보다는 적은 빈도수를 가지되 최빈 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업종과 다른 업종에 대응되는 업종 단어들 중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차순위 업종 단어를 각각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기업 업종 단어 설정부(123)는 획득부(121)에서 획득된 최빈 업종 단어를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차순위 업종 단어를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로 각각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기업 업종 단어 설정부(123)는 회의 참석자 정보에 포함된 각 기업명을 검색 쿼리로 질의함에 따라 수집된 단어들을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업종 단어에 분류하여,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최빈 업종 단어를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함으로써, 기업명에 기초하여 각 기업의 주업종을 파악하도록 한다.
그룹화부(125)는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복수개의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룹화부(125)는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복수개의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함에 따라,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객체들을 업종별로 분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10)에 있어서 그룹화 모듈(120)은 각 회의 참석자 정보의 기업명에 기초하여 획득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기업의 업종을 별도로 입력받지 않고도 각 기업의 주업종과 연관업종을 설정하여, 기업들을 업종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매칭부(130)는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킨다(S113).
매칭부(130)는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에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킴으로써,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101)에 저장된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업종별로 구분가능하도록 한다.
연관값 산출부(140)는 서로 다른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들의 주업종 단어와 연관업종 단어를 그룹별로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와 다른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가 일치되는 갯수를 그룹대 그룹으로 카운팅하여 그룹간의 연관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연관값 산출부(140)는 어느 한 그룹인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주업종 단어, 즉 제1 그룹의 그룹명과 제1 그룹과 다른 어느 한 그룹인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를 비교하고, 제2 그룹의 그룹명과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를 비교하며,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제1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갯수와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제2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갯수를 카운팅하여 제1 그룹과 제2 그룹간의 연관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이라는 그룹명이 부여된 제1 그룹과 '금형'이라는 그룹명이 부여된 제2 그룹에 대해,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사출'에 일치되는 갯수가 4이고,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금형'에 일치되는 갯수가 5이면, 연관값 산출부(140)는 제1 그룹과 제2 그룹값의 연관값 9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계층 분류부(150)는 어느 한 그룹인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1 그룹과 다른 제2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와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1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를 비교하여 제1 그룹과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상위 계층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하나를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계층 분류부(15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2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가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1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보다 많으면 제2 그룹을 상위 계층으로 분류하고 제1 그룹을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계층 분류부(15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1 그룹과 다른 제2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가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 중 제1 그룹의 그룹명과 일치되는 단어의 갯수보다 적으면 제2 그룹을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고 제1 그룹을 상위 계층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이라는 그룹명이 부여된 제1 그룹과 '금형'이라는 그룹명이 부여된 제2 그룹에 대해, 제2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사출'에 일치되는 갯수가 4이고, 제1 그룹에 속하는 기업 객체들의 연관업종 단어들 중 '금형'에 일치되는 갯수가 5이면, 계층 분류부(150)는 제1 그룹을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고 제2 그룹을 상위 계층으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계층 분류부(150)는 복수개의 그룹들의 조합에 따른 서로 다른 두 그룹에 대해, 어느 하나의 그룹을 상위 계층으로 나머지 하나의 그룹을 하위 계층으로 분류함으로써, 그룹간에 산출된 연관값이 기설정된 최솟값(예를 들어 0)이상인 그룹 사이의 상하 관계를 나누도록 한다.
연결라인 생성부(160)는 연관값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그룹간의 연관값에 기초하여 그룹간의 연결 관계를 표시하기 위한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라인 생성부(160)는 그룹간의 상하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그룹 중 상위 계층으로 분류된 그룹에서 하위 계층으로 분류된 그룹으로 향하는 방향 정보를 더 포함하는 연결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정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그룹 사이에서 두 개의 그룹 중 하위 계층으로 분류된 그룹에서 상위 계층으로 분류된 그룹으로 향하는 화살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라인 생성부(160)는 각 그룹을 구분되게 표시하기 위해 각 그룹에 부여된 그룹명을 기설정된 폰트사이즈에 따라 픽셀들의 조합으로 변환시킨 그룹명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연결라인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라인 생성부(160)는 그룹간의 연관값에 기초하여 그룹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라인의 폭 또는 굵기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라인 생성부(160)는 그룹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라인의 폭 또는 굵기를 그룹간의 연관값에 비례하도록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그룹사이에 형성된 연결라인의 폭 또는 굵기가 굵을 수록 그룹사이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업분야의 서플라이 체인을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악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매칭부(130)에서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킨 이후,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는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115), 단말기(3)로부터 기저장된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3)로 출력한다(S117).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는 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기저장된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와 동일한 업종에 분류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제외한 다른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3)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는 단말기(3)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그룹명이 매칭된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들 중 매칭된 그룹명이 상기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와 대응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기(3)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는 단말기(3)로부터 어느 한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와 동일한 업종에 분류되지 않으며, 상기 기업 객체에 대해 연관업종으로 설정된 업종에 분류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단말기(3)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170)는 단말기(3)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한 그룹과 연결라인이 생성되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는 그룹과 연결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기(3)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연결라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연결라인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연결라인을 도시한 예시도로,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80)는 화면상에서 구분되는 영역으로를 연결라인이 표시되는 표시영역(2000)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연결라인을 통해 회의 참석자들이 속한 업종들과, 업종 간의 연결관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101 :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
103 : 쿼리 생성부
105 :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
110 :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
120 : 그룹화 모듈
130 : 매칭부
140 : 연관값 산출부
150 : 계층 분류부
160 : 연결라인 생성부
170 :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
180 :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관리부;
    상기 기업명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쿼리생성부;
    외부 DB에 상기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상기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하는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저장하는 업종 단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업명에 대해 상기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며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그룹화 모듈;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단말기로부터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모듈은
    상기 기업명에 대해 상기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고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에 따라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지는 업종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며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모듈은
    상기 기업명에 대해 상기 기업 연관 단어 수집부에서 수집된 단어들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중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최빈 업종 단어와 상기 최빈 업종 단어보다는 적은 빈도수를 가지는 업종 단어인 차순위 업종 단어를 각각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최빈 업종 단어를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상기 차순위 업종 단어를 상기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로 각각 설정하는 기업 업종 단어 설정부; 및
    상기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복수개의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그룹화부;를 포함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들 중 매칭된 그룹명이 상기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와 대응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들의 주업종 단어와 연관업종 단어를 그룹별로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와 다른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가 일치되는 갯수를 그룹대 그룹으로 카운팅하여 그룹간의 연관값을 산출하는 연관값 산출부; 및
    상기 그룹간의 연관값에 기초하여 그룹간의 연결 관계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라인을 생성하는 연결라인 생성부; 더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의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라인이 생성되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는 그룹과 연결성을 가지는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7. 사용자로부터 참석자의 성명, 기업명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업명에 근거하여 상기 기업명을 포함하는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외부 DB에 상기 검색 쿼리를 전달하여 질의를 수행하고, 상기 검색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업명과 연관하여 미리 정해진 포털사이트에 노출되는 정보들에 포함된 단어들 또는 상기 기업명에 대응되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노출된 단어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명에 대해 수집된 단어들을 미리 저장된 복수의 업종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을 에 분류하며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며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단계;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기업명을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단계; 및
    단말기로부터 기저장된 복수의 기업 객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업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지 않은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명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들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업명에 대해 수집된 단어들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고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에 따라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지는 업종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며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명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기업명에 대해 수집된 단어들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들에 분류하여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각각의 빈도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업종 단어 중 최빈값을 가지는 업종 단어인 최빈 업종 단어와 상기 최빈 업종 단어보다는 적은 빈도수를 가지는 업종 단어인 차순위 업종 단어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빈 업종 단어를 상기 기업명에 따라 기업별로 구분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로 설정하고, 상기 차순위 업종 단어를 상기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업종 단어가 동일한 복수개의 기업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상기 주업종 단어에 대응되는 그룹명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회의 참석자 정보들 중 매칭된 그룹명이 상기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와 대응되는 회의 참석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참석자 정보와 각 그룹의 그룹명을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와 상기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각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들의 주업종 단어와 연관업종 단어를 그룹별로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주업종 단어와 다른 그룹에 속한 기업 객체의 연관업종 단어가 일치되는 갯수를 그룹대 그룹으로 카운팅하여 그룹간의 연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간의 연관값에 기초하여 그룹간의 연결 관계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픽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업 객체에 대응되는 기업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연결라인이 생성되어 상기 기업 객체가 속하는 그룹과 연결성을 가지는 그룹의 그룹명이 매칭된 회의 참석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는 것
    인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124904A 2020-09-25 2020-09-25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5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04A KR102456880B1 (ko) 2020-09-25 2020-09-25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04A KR102456880B1 (ko) 2020-09-25 2020-09-25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544A true KR20220041544A (ko) 2022-04-01
KR102456880B1 KR102456880B1 (ko) 2022-10-20

Family

ID=8118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04A KR102456880B1 (ko) 2020-09-25 2020-09-25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7817A (zh) * 2022-05-13 2022-09-0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参会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62A (ko) * 2003-03-14 2003-05-09 라이브와이어코리아 무역전시회 현장운영 솔루션 및 참관객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00035435A (ko) * 2008-09-26 2010-04-05 인테크 인터액티브 인코포레이티드 전시회 등록 및 정보 획득 시스템
KR20110031598A (ko) 2009-09-21 2011-03-29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공급 장치
KR20120136588A (ko) 2011-06-09 2012-1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KR101236508B1 (ko) * 2012-08-06 2013-02-21 주식회사 코엑스 온라인 전시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873B1 (ko) * 2016-12-09 2018-03-21 김현화 맞춤형 무역전시회 참가 매칭시스템
KR20190118860A (ko) *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아이스카이 현장등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362A (ko) * 2003-03-14 2003-05-09 라이브와이어코리아 무역전시회 현장운영 솔루션 및 참관객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00035435A (ko) * 2008-09-26 2010-04-05 인테크 인터액티브 인코포레이티드 전시회 등록 및 정보 획득 시스템
KR20110031598A (ko) 2009-09-21 2011-03-29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공급 장치
KR20120136588A (ko) 2011-06-09 2012-1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KR101236508B1 (ko) * 2012-08-06 2013-02-21 주식회사 코엑스 온라인 전시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873B1 (ko) * 2016-12-09 2018-03-21 김현화 맞춤형 무역전시회 참가 매칭시스템
KR20190118860A (ko) * 2018-04-11 2019-10-21 주식회사 아이스카이 현장등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7817A (zh) * 2022-05-13 2022-09-0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参会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997817B (zh) * 2022-05-13 2023-10-2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参会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880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9018C (en)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development and software design evaluation server
Rice et al. The use of computer‐monitored data in information science and communication research
CN106682150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US20070067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market intelligence portal
CN103620590B (zh) 用于图像至文本以及文本至图像的关联的系统和方法
KR20200039035A (ko)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데이터셋 제공 시스템
US20060287987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nections Between Parties Using Private Links
Zhu et al. Web-based construction document processing via malleable frame
JP2007026419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11415120A (zh) 一种工业互联网标识编码方法
KR102456880B1 (ko)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1028908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alysis
CN103842997A (zh) 搜索和创建自适应内容
CN112925899B (zh) 排序模型建立方法、案件线索推荐方法、装置及介质
US2009001917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nections between parties using private links
Kanoje et al. User profiling for recommendation system
Sarker et al. Exploring student predictive model that relies on institutional databases and open data instead of traditional questionnaires
CN110019237B (zh) 一种基于地图分析罪犯行踪的系统及方法
CN117035283A (zh) 用于投标人员配置的人力资源信息获取方法及系统
CN114417099B (zh) 一种基于rfid标签的档案管理系统
CN106294704A (zh) 一种会展行业信息检索服务器、客户端、系统和方法
CN11584085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推荐系统及方法
CN113204644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政务百科构建方法
CN110569435B (zh) 智能双端推荐引擎系统和方法
CN108132940A (zh) 一种应用程序数据提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