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537A -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 Google Patents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537A
KR20220041537A KR1020200124883A KR20200124883A KR20220041537A KR 20220041537 A KR20220041537 A KR 20220041537A KR 1020200124883 A KR1020200124883 A KR 1020200124883A KR 20200124883 A KR20200124883 A KR 20200124883A KR 20220041537 A KR20220041537 A KR 2022004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umbler
coupled
stepped portion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보라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송보라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보라, 김지영 filed Critical 송보라
Priority to KR102020012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537A/ko
Publication of KR2022004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혜나, 커피 한약 등 다양한 음료와 죽 또는 여러음식 등을 저장하여 휴대 및 보관하는 것으로, 음료수의 섭취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한가지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블록 형태로 한번에 쌓아 올려 보관하기 때문에 휴대했을 시 부피 차지를 하지 않고 원하는 만큼늬 텀블러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저면이 개방된 덮개; 상기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상부로 끼워지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된 상부용기; 상기 중간용기의 하부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하단이 밀폐된 하부용기; 및 몸체와, 상기 상부 용기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상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하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중간 용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prefabricated tumbler with cold and hot water function}
본 발명은 일체 분리형태를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혜나, 커피 등 다양한 음료수 및 음식을 저장하여 휴대 및 분리 또는 결합에 의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춘 냉 온수 기능을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2010년대 이후 컵과 보온병 기능을 추가한 물통을 텀블러라 부르기 시작했다. 몸통은 길고 두꺼우며, 약간의 보온 보냉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물통처럼 뚜껑이 추가되었다. 뚜껑에는 추가 뚜껑이 달려 있어, 뚜껑 전체를 열지 않고도 물을 마실 수 있게 되어 있다. 추가 뚜껑은 대개 슬라이드나 똑딱이 방식이고, 드물게 음료수 페트병처럼 돌려서 여는 방식이 있다. 제품에 따라 머그 손잡이나 빨대가 추가되기도 한다.
텀블러가 대중화된 배경에는 일회용품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회용품 규제정책이 존재한다. 특히 일회용 커피잔 규제 정책이 텀블러 대중화에 있어서 핵심이었다. 비닐봉지를 규제하고 추가 비용을 내게 하자 장바구니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과 마찬가지다.
일회용 종이컵 혹은 플라스틱 컵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 나온 상품이라지만, 실제 텀블러가 제조되고 운송되어 사용된 후 폐기되는 과정을 고려하면 최소 15~40번 이상은 사용한 이후에야 환경 보호 효과가 제대로 발휘된다고 한다. 일반 플라스틱 텀블러 1개를 제작할 때는 250~350g의 탄소가 발생한다고 하니 플라스틱이 아닌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제품은 발생되는 탄소량이 이보다 더 많을 것이다. 또한, 운송 및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의 양도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텀블러를 구매한 후 몇 번만 쓰고 나서 버리거나 다른 텀블러를 또 구매한다면 그냥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못한 셈이다. 텀블러를 가지고 있다면 최대한 많이 써주는 것이 좋다.
참고로 최근에는 일회용컵 가지고 버스에 탑승하면 승차거부가 된다. 자칫 잘못하면 쏟기 때문에 일회용 컵을 포함해 개봉된 음료수캔, 우유팩 등도 승차거부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뜨거운 커피 종류는 매우 위험하니 당연한 처사이다.
그러나 기존 텀블러는 일자형태의 좁고 깊은 형태가 일반적이라 세척에 있어 불편함이 있고 청결함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의 음료를 담아 휴대를 할 시 공간에 의한 부피 차지를 하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음료가 샐 수 있는 구조가 많기 때문에 사용 시 신뢰도가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좁고 깊은 형태의 구조를 분리형태로 변경함으로써 세척시 기구적인 솔을 이용하지 않아도 수세미로 원하는 곳을 쉽게 세척할 수 있고 휴대 시 여러개의 텀블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연결형태의 구조로 단순화해서 원하는 음료를 각 모듈에 담을 수 있고 부피차지로부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누수방지를 위해 패킹에 의존한 방식이 아닌 이중 잠금 장치로 변경함으로써 1차적인 누수를 방지하고 2차적인 요인에 의해 잠금장치를 활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특허출원번호 제 10-2019-0025539호(출원일; 2019.03.06, 발명의 명칭; 믹싱 구조를 갖는 텀블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혜나, 커피 한약 등 다양한 음료와 죽 또는 여러음식 등을 저장하여 휴대 및 보관하는 것으로, 음료수의 섭취시 한가지 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블록 형태로 한번에 쌓아 올려 보관하기 때문에 휴대했을 시 부피 차지를 하지 않고 기호에 따라 텀블러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돌기형태의 잠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개방이 되어 음료가 누수를 방지함에 따라 안전하게 텀블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는, 저면이 개방된 덮개;
상기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상부로 끼워지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된 상부용기;
상기 중간용기의 하부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하단이 밀폐된 하부용기; 및
몸체와, 상기 상부 용기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상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하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중간 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용기의 상기 상부 단턱부에는 상기 몸체와 근접되도록 제1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의 상기 하부 단턱부에는 상기 몸체와 근접되도록 제2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용기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끼움홈에 탄성 끼움되도록 제1 끼움돌기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 끼움홈에 탄성 끼움되도록 제2 끼움돌기가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상단 하단이 분리 결합이 되며 블록 형태로 쌓아 올릴 수 있는 구조로 분리 형태의 밀폐형 중간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음료와 음식을 보관 할 수 있고 스텐형식의 보온 보냉 효과가 있어 소비자 상황에 맞게 차갑고 따뜻한 음료와 음식을 섭취 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중간용기를 사용함에 따라 일체형으로 많은 양의 음료를 한번에 보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제품이며 기호에 맞게 음료 및 음식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용기의 외벽 탄성 돌기와 중간용기의 외벽 홈에 결합 되어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음료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면,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텀블러(100)는, 덮개(110), 상부 용기(120), 하부 용기(140) 및 중간 용기(130)를 포함한다.
덮개(110)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110)의 내부에는 암나사산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용기(120)는 덮개(110)가 분리 가능하게 상부로 끼워지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된다. 상부 용기(120)의 내부 측벽에는 수나사산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덮개(11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용기(140)는 중간용기(130)의 하부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하단이 밀폐된 형태이다. 하부 용기(140)의 내부 측벽에는 암나사산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덮개(11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중간 용기(130)는 몸체(132), 상부 단턱부(134) 및 하부 단턱부(136)를 포함한다. 상부 단턱부는 상부 용기(120)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다. 하부 단턱부(136)는 하부 용기(14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몸체(132)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부 단턱부(134)와 하부 단턱부의 외경에는 수나사산과 같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중간 용기(130)의 몸체(132), 상부 용기(120), 하부 용기(140)는 밀폐된 상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내부가 중공으로 빈 상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용기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끼움홈(134a)은 중간 용기(130)의 상부 단턱부(134)에는 몸체(132)와 근접되도록 형성된다. 제2 끼움홈(136a)은 중간용기(130)의 하부 단턱부(136)에 몸체(132)와 근접되도록 형성된다.
제1 끼움돌기(122)는 상부 용기(120)의 일측면에 제1 끼움홈(134a)에 탄성 끼움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제2 끼움돌기(140a)는 하부 용기(140)의 일측면에 제2 끼움홈(136a)에 탄성 끼움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의 사용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용기(130)의 몸체(132)의 상부 단턱부(134)에는 상부 용기(120)가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중간 용기(130)의 몸체(132)의 하부 단턱부(136)에는 하부 용기(140)가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용기(140)에는 뜨거운 물을 넣을 수 있으나, 차가운 물이나 기타 음료를 넣을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용기(140)에는 차가운 물을 넣을 수 있으나, 차가운 물이나 기타 음료를 넣을 수 있다.
상부 용기(120)의 개방된 부위에는 덮개가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단턱부(134)에 상부 용기(120)를 결합시, 마지막으로, 제1 끼움돌기(122)가 제1 끼움홈(134a)에 "딸깍" 소리를 내며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단턱부(136)에 하부 용기(140)를 결합시, 마지막으로, 제2 끼움돌기(140a)가 제2 끼움홈(136a)에 "딸깍" 소리를 내며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단턱부(134)로붜 상부 용기(120)를 분해시, 약간에 힘을 주어 돌리면, 제1 끼움돌기(122)가 제1 끼움홈(134a)에서 빠져 나온다.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단턱부(136)로부터 하부 용기(140)를 분해시, 약간의 힘을 주어 돌리면, 제2 끼움돌기(140a)가 제2 끼움홈(136a)으로부터 빠져 나와 분해된다.
100. 텀블러
110. 덮개 120 : 상부 용기
122 : 제1 끼움돌기 130 : 중간 용기
132 : 몸체 134 : 상부 단턱부
134a : 제1 끼움홈 136 : 하부 단턱부
136a : 제2 끼움홈 140 : 하부 용기
140a : 제2 끼움돌기

Claims (2)

  1. 저면이 개방된 덮개;
    상기 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상부로 끼워지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된 상부용기;
    상기 중간용기의 하부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하단이 밀폐된 하부용기; 및
    몸체와, 상기 상부 용기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상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하부 단턱부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중간 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용기의 상기 상부 단턱부에는 상기 몸체와 근접되도록 제1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의 상기 하부 단턱부에는 상기 몸체와 근접되도록 제2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용기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끼움홈에 탄성 끼움되도록 제1 끼움돌기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용기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 끼움홈에 탄성 끼움되도록 제2 끼움돌기가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KR1020200124883A 2020-09-25 2020-09-25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KR20220041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883A KR20220041537A (ko) 2020-09-25 2020-09-25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883A KR20220041537A (ko) 2020-09-25 2020-09-25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537A true KR20220041537A (ko) 2022-04-01

Family

ID=8118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883A KR20220041537A (ko) 2020-09-25 2020-09-25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5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39A (ko) 2016-03-02 2019-03-11 드로르 오르토 디자인 리미티드(에어로덴티스) 치아 이동 및 위치 측정,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치열 교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39A (ko) 2016-03-02 2019-03-11 드로르 오르토 디자인 리미티드(에어로덴티스) 치아 이동 및 위치 측정,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치열 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4131B1 (en) Container for the thermostatic preservation of liquids
US8939312B1 (en) Container lid system with a lid portion and food container portion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010035417A1 (en) Resealable cup-shaped beverage container
US10016079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WO2016081949A2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5564597A (en) Portable food and beverage system
US5102000A (en) Drink Mug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US20180334296A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interior access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KR20220041537A (ko) 냉온수 기능을 갖는 조립식 텀블러
KR20090114295A (ko) 이중용기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US2362223A (en) Liquid container with receptacle for refrigerant
JPH0221400Y2 (ko)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970003105Y1 (ko) 맥주 용기
JPH0235614Y2 (ko)
TWM530802U (zh) 零食飲料結構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KR200174369Y1 (ko) 결합 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