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683A -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683A
KR20220039683A KR1020220032058A KR20220032058A KR20220039683A KR 20220039683 A KR20220039683 A KR 20220039683A KR 1020220032058 A KR1020220032058 A KR 1020220032058A KR 20220032058 A KR20220032058 A KR 20220032058A KR 20220039683 A KR20220039683 A KR 2022003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pecific
specific product
product
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4955B1 (en
Inventor
김단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03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5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hopping service of a consumer participating type based on big data, which is provided by an online shopping system.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image data including a human subject and a specific product in an image, classifying a posture of the human subject for the specific product, and storing the posture for the specific product and predetermined related data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styling posture database; select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posture on the basis of the styling posture database with respect to a product included in the same classification as that of the specific product; and receiving a group purchaser request to transmit the same to other user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refore, a product sal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물건만을 파는 쇼핑몰의 범위를 넘어서 사람들이 모여서 반응하며, 문화를 만들어내는 커뮤니티 플랫폼이고, 매출 극대화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익 배분형 SNS 커머스를 이용하여 구매유도 및 쉬운 결재가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online shopping platfor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 community platform where people gather and react beyond the scope of a shopping mall that simply sells goods, and create a culture, and maximize sales. It is related to a service platform that can induce purchase and easy payment by using profit-sharing SNS commerce through big data analysis.

온라인 쇼핑 비중은 해마나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 편집?? 상위 4개사의 매출을 기반으로 온라인 편집?? 시장 규모를 예측 데이터는, 제도권 브랜드, 뷰티 브랜드의 매출 89.7%를 제외하면 패션 소상공인 브랜드 시장인 니치마켓 시장은 10%로 예측되며, 전체 패션 시장 중 패션 커머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21년 4,610억원 시장으로 예상된다. The proportion of online shopping is growing exponentially. Domestic online editing?? Online editing based on sales of top 4 companies?? The data for forecasting the market size, excluding 89.7% of sales of institutional brands and beauty brands, the niche market market, which is a small business brand market, is predicted to account for 10%. is expected to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위주의 기존 온라인 몰 컨텐츠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실시간 라이브 방송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인과 연예인의 경계에서 셀럽, 왕홍의 등장으로 누가 파느냐가 매출의 중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홈쇼핑은 방송비용이 매우 비싸고, 수익의 대부분은 홈쇼핑업체에서 가져가는 구조로서 매우 불합리하였다. 또한 기존 시장에는 홈쇼핑처럼 스튜디오에서 정해진 쇼호스트가 특정 상품을 TV를 통해 판매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는 스튜디오, 전문방송장비, 전문방송인, 유통채널비용 등으로 인해 쇼핑방송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서 공급자입장에서는 수익이 거의 없고 홈쇼핑업체가 독식하는 구조라는 문제가 있었다.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existing online mall contents centered on text and images are being replaced with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ideos. With the development of real-time live broadcasting technology, the appearance of celebrities and Wang Hong at the boundary between ordinary people and celebritie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sales. However, the existing home shopping system was very unreasonable as broadcasting costs were very high and most of the profits were taken from home shopping companies. Also, in the existing market, like home shopping,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show host set in a studio sells a specific product through TV.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little profit and the structure was dominated by home shopping companies.

한국 패션은 글로벌 패션 트렌드의 중심이 되고 있다. K팝, K드라마에 이어 K뷰티까지 한류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K패션 관심 증대되고 있다. 기획-생산-유통에 이르는 패션산업의 핵심 구조가 집결된 동대문 시장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패션경제특구로 빠른 생산 속도와 더불어 저렴한 가격으로 패션 강국에 걸맞는 성장 대응이 가능하다. Korean fashion is becoming the center of global fashion trends. Following K-Pop and K-Drama, the global interest in Hallyu is increasing, from K-beauty to K-beauty, and accordingly, interest in K-fashion is increasing. Dongdaemun Market, where the core structure of the fashion industry from planning to production to distribution is gathered, is a special fashion economy zone, which is rare in the world.

국내 패션 사업자의 51%가 홈쇼핑과 같은 대형 온라인 유통망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형 홈쇼핑사의 과도한 판매 수수료(최대 54.4%)와 판매실적과 관계없이 사전에 일정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불가피한 이중 수수료, 매년 높아지는 임대료와 유지비로 인해 사업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 심각성을 인지하여 대형 홈쇼핑의 폭리에 대해 경고했지만, 현실은 나아지지 않는 상황이다. 홈쇼핑 입점 사업자 전용 P2P 대출까지 나와 높은 이자로 인해 패션 소상공인이 더 힘들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동대문 패션업계 소상공인은 대부분 오프라인 기반으로 지속해 왔기 때문에 온라인 시장 접근방법에 대해 알지 못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자료를 직접 제작하기 어려움이 존재하는 반면, 사진, 동영상과 같은 마케팅 자료가 중요한 온라인 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51% of domestic fashion businesses depend on large online distribution networks such as home shopping, and large home shopping companies' excessive sales commissions (up to 54.4%), unavoidable double fees that must be paid in advance regardless of sales performance, and rising rents every year Due to the maintenance cost, the business operation is difficult. The government also recognized this seriousness and warned against the fraudulent activities of large-scale home shopping, but the reality is not improving. There is even a P2P loan dedicated to home shopping operators, and the vicious cycle is repeating,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fashion small business owners due to high interest rates. Since most of the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Dongdaemun fashion industry have been offline-base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produce effective marketing materials without knowing how to approach the online market. situation.

이에 따라, 수수료를 낮추고 합리적인 수익분배를 기반으로 패션사업자, 소비자, 인플루언서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패션 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fashion commerce platform where fashion operators, consumers, and influencers interact with each other based on lower fees and reasonable profit distribution.

개시된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패션 커머스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등을 지원 내지 제공할 수 있다.The disclosed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provide a new type of commerce servic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ashion commerce service, and a platform for providing the commerce service, a platform service system, a platform service method, etc. can support or provide.

본 개시에 따르면, 수수료를 낮추고 합리적인 수익분배를 기반으로 패션사업자, 소비자, 인플루언서가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fashion business operator, a consumer, and an influencer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based on a low fee and reasonable profit distribution.

본 개시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미지 내 사람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의 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상품과 동일한 분류에 속한 상품에 대해, 상기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같이구매 신청을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shopping service provided by an online shopping system. The method analyzes image data including a human subject and a specific product in the image, classifies the pose of the human subject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product, and stores the pose for the specific product in association with predetermined related data for styling creating a pose database; for a product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specific product, select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pose based on the styling pose database;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to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팔로워, 특정 사용자와 소비 패턴이 유사한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의 SNS 등록 친구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one of a follower following a specific user, a user having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the specific user, or an SNS registered friend of the specific u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상품의 분류,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elated data for the specific product includes the classification of the specific product, the sales volume of the specific product, the number of likes for image data including the specific product, the creator of the image data, and th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odes.

본 개시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온라인 쇼핑 시스템으로부터 포즈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화면 표시부에서 같이구매에 대한 신청을 입력 받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팔로워, 특정 사용자와 소비 패턴이 유사한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의 SNS 등록 친구 중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shopping service provided by an online shopping system and executed in a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the pose data from the online shopping system,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n image display area of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from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to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cluding,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one of a follower following a specific user, a user who has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the specific user, or an SNS registered friend of the specific user.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반적인 개인 판매자나 영세한 중소업체가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상품 광고 및 판매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effect that a general individual seller or a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can effectively advertise and sell a product at a low cost.

본 개시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쇼호스트로서 방송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작된 방송을 고객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yone can easily produce a broadcast as a show host, and by efficiently providing the broadcast produced in this way to a customer terminal, product sales can be improved.

본 개시에 따르면 패션 소상공인 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새로운 마케팅 활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marketing avenue for stable revenue generation of fashion small business operators.

본 개시에 따르면, 국내 비디오 기반 실시간 소비자 연결형 커머스 시스템 전무한 상황에서, 실시간 방송 구매 서비스 시장 태동단계로 블루오션 시장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domestic video-based real-time consumer-connected commerce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lue ocean market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real-time broadcasting purchase service market.

본 개시에 따르면, ‘실시간 쇼핑 구매 서비스 시장’에서, 단순 구매시스템이 아닌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를 모집하는 기능이 포함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real-time shopping purchase service mark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function for consumers to recruit other consumers rather than a simple purchase system.

본 개시에 따르면, 공정한 경제 생태계를 위해 부당한 폭리를 취하는 유통채널에 대응할 수 있는 정당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ir marketing service that can respond to a distribution channel that takes unfair profit for a fair economic ecosystem.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 서버(106)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스타일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같이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environment 100 in which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online shopping service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6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that may be presented on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styling guide to a customer user terminal 102 in the server 106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that may be presented on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purchase function from the server 106 of FIG. 1 to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ailed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n element expressed in a singular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eans only the sing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as used in this disclosure is intended to encompass any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by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exist, and the terms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odule' or 'unit' means a functional part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dules' or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스템 환경(100)은, 복수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environment 100 in which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online shopping service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the system environmen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ustomer user terminals 102 , a communication network 104 , and a service server 106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한 온라인 쇼핑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사용자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랩탑, PDA, 디지털 TV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be any user electronic device having an online shopping func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be, for example,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 tablet PC, a desktop, a laptop, a PDA, a digital TV,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have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을 통해서, 서비스 서버(106)와 통신, 즉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외부로부터, 예컨대 고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을 통한 서비스 서버(106)와의 통신을 통해 얻어진, 위 고객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동작 결과(예컨대, 특정 요청 응답의 제공 및/또는 특정 태스크의 수행 등)를 대응하는 고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예컨대 온라인 쇼핑 서버일 수 있고, 고객 사용자 단말(102)은, 예컨대 온라인 쇼핑 서버에 액세스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106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 that is, transmit/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receive, for example, a customer user input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06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 results i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 customer user input (eg, a specific request response). provision and/or performance of a specific task) to the corresponding customer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06 may be, for example, an online shopping server, and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customer accessing an online shopping serv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통해서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통하여,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쇼핑에 필요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perform online shopp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and the service server 106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and the service server 106,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may send and receive a request and a response necessary for shopping.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예컨대 TCP/IP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예컨대 이더넷, GSM,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 TDMA, OFDM, 블루투스, VoIP, Wi-MAX, Wibro 기타 임의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may include an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TCP/IP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may include, for example, a Wi-Fi network, a LAN network, a WAN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4 is, for example, Ethernet, GSM,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 TDMA, OFDM, Bluetooth, VoIP, Wi-MAX, Wibro and any other various wired or wireless wired or wireless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고객 사용자 단말(102)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06 ma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06 may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는 사용자 중 영향력이 있는 사람으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와 관련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의 이름, 별명, 인플루언서가 거주하는 위치,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한 사진, 동영상, 인플루언서가 방문한 장소, 인플루언서가 클릭한 상품, 구입한 상품, 판매하는 상품, 좋아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에게 지급해야 할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해야 할 금액, 배분 비율, 인플루언서가 본인과 연결되어 광고할 수 있도록 수락한 광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인플루언서의 쇼핑 목록과 함께 상품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60 may provide a consumer participatory online shopping service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60 may collect and manage influencer data. An influencer is an influential person among users, and the influencer data may mean data related to the influencer. For example, influencer data includes the influencer's name, nickname, location where the influencer resides, photos and videos uploaded by the influencer, the places the influencer has visited, the products clicked by the influencer, and purchases.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roduct, a product to be sold, or a product you like. In an embodiment, the data of the influencer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cost to be paid to the influencer. For example, the amount to be distributed to the influencer, the distribution ratio, and an advertisement list accepted by the influencer to be connected to the influencer and advertised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60 may provide product information, etc. together with the influencer's shopping list to the user based on the influencer's data.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는 사람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서비스 서버(160)는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여 관련 데이터를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영상을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을 잘 알고 있으므로 영상 분류방법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60 may build a styling pose database. In one embodiment, the styling pose database analyzes image data including a human subject and a specific product, classifies the pose of the human subject for the specific product, and stores the pose for the specific product in association with predetermined related data. It is a database that The service server 160 may classify the captured image by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store the related data in the styling pose database. 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well aware of various methods for classifying images, the method for classifying images will be omitted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가 스타일링 게시물을 작성할 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사용자가 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촬영 가이드를 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란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되는 기능이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복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반 모드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160)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분류된 영상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영상을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을 잘 알고 있으므로 영상 분류방법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60 may help a user to take a picture or a video. 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60 may expose a shooting guid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to take a picture when the user takes and uploads a photo or video when writing a styling post. In an embodiment, the shooting guide is a function displayed by overlapping a pose that a user can take on a captured image. In an embodiment, the shooting guide may provide a plurality of modes, which may include a normal mode, a dancing mode, and a with friend mode. In an embodiment, in the normal mode, poses that can be taken when taking a still image ar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and an upright posture, a V-shaped posture, a posture with a hand extended,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In an embodiment, the dancing mode is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user can dance along with the dancer, and may be mainly used when shoot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e with friend displays at least two subjects to be included in the same frame, and may display a shoulder-to-shoulder posture, a hugging postur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server 160 may present a pose according to a mode input by the user or according to an arbitrarily selected mode. In an embodiment, the presented pose may be arbitrarily selected or may b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aptured image by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60 may classify products in the captured image and suggest poses used for products with the highest sales in the classified product group.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60 may identify that the product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a bag and present the pose of the seller used for the bag with the highest sales among the images classified into the bag group by overlapping the photographed image. 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well aware of various methods for classifying images, the method for classifying images will be omitted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하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specific user applies for a purchase together with respect to a product to be sold, the service server 160 allows other users to view the purchase application posted by the specific user and select and purchase together as necessary. can d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specific user applies for a purchase together with respect to a product to be sold, the service server 160 allows other users to view the purchase application posted by the specific user and select and purchase together as necessary. functions can be managed.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160 may allow a specific user to share a purchase application with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ile making a purchase application together.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people following a particular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having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a specific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registered as a friend of a specific user's SNS messenger.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 서버(106)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106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 스타일링 가이드부(204), 같이구매 관리부(206) 및 통신부(208)를 포함한다.As shown, the service server 106 includes an influencer data management unit 202 , a styling guide unit 204 , a purchase management unit 206 , and a communication unit 208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는 사용자 중 영향력이 있는 사람으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와 관련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의 이름, 별명, 인플루언서가 거주하는 위치,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한 사진, 동영상, 인플루언서가 방문한 장소, 인플루언서가 클릭한 상품, 구입한 상품, 판매하는 상품, 좋아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에게 지급해야 할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해야 할 금액, 배분 비율, 인플루언서가 수락한 광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fluencer data management unit 202 may manage influencer data. In an embodiment, the influencer is an influential person among users, and data of the influencer may mean data related to the influencer. For example, influencer data includes the influencer's name, nickname, location where the influencer resides, photos and videos uploaded by the influencer, the places the influencer has visited, the products clicked by the influencer, and purchases.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product, a product to be sold, or a product you like. In an embodiment, the data of the influencer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cost to be paid to the influencer.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amount to be distributed to the influencer, a distribution ratio, and a list of advertisements accepted by the influenc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사용자가 스타일링 게시물을 작성할 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사용자가 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촬영 가이드를 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복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반 모드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데,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yling guide unit 204 may expose the shooting guide so that the user can utilize it for shooting when the user takes and uploads a photo or video when writing a styling post. In an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guide may display a pose that the user can take by overlapping the photographed image. In an embodiment, the shooting guide may provide a plurality of modes, which may include a normal mode, a dancing mode, and a with friend mode. In an embodiment, in the normal mode, poses that can be taken when taking a still image ar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and an upright posture, a V-shaped posture, a posture with a hand extended,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In an embodiment, the dancing mode is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user can dance along with the dancer, and may be mainly used when shoot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e with friend displays at least two subjects to be included in the same frame, and may display a shoulder-to-shoulder posture, a hugging postur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yling guide unit 204 may present a pose according to a mode input by the user or according to an arbitrarily selected mode. In an embodiment, the presented pose may be arbitrarily selected or may b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aptured image by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In an embodiment, the styling guide unit 204 may classify products in the captured image and suggest poses used for products with the highest sales in the classified product group. For example, the styling guide unit 204 may identify the product in the photographed image as a bag, classify the image into bag groups, and present the seller's pose used for the bag with the highest sales by overlapping it over the photographed imag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같이구매 관리부(206)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하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같이구매 관리부(206)는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specific user applies for a purchase together with respect to a product to be sold, the purchase together management unit 206 sees the purchase application posted by the specific user and selects and purchases together as necessary. You can manage the functions that make it happen. In an embodiment, the purchase together management unit 206 may allow a specific user to share a purchase application with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ile making a purchase application together.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people following a particular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having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a specific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registered as a friend of a specific user's SNS messeng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8)는, 서버(106)가, 도 1의 통신망(106)을 통하여,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6)는,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 등과, 그 사용자 입력 신호 등으로부터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 스타일링 가이드부(204), 같이구매 관리부(206)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 응답, 및 각종 분석 결과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unit 208 enables the server 106 to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s 10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6 of FIG. 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unit 206, the user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and the influencer data management unit 202, the styling guide unit 204 from the user input signal, etc. , one or more dialogue responses generated by the purchase management unit 206 and various analysis results may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that may be presented on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링 공유하기 버튼(301)을 클릭하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303)은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 영역(305)은 쵤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드 선택 영역(305)은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As shown, if the sharing styling button 301 is clicked,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may be changed so that a photo or video may be taken. In an embodiment, an image being captured may b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rea 303 of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 In one embodiment, the mode selection area 305 may provide at least one mode in which to play. For example, the mode selection area 305 may include a normal mode, a dancing mode, and a mode with a friend, and a mode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mode inputted by the user or an arbitrarily selected mode. You can present a pose that corresponds to .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모드(Normal: 307)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Dancing: 309)에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with Friend: 311)에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고,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normal mode (Normal: 307), poses that can be taken when taking a still image ar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and an upright posture, a V posture, a posture with a hand extended,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In one embodiment, in the dancing mode (Dancing: 309), the overlapping image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dance along with the dancer, and may be mainly used when shoot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mode with Friend 311 , at least two subjects may be displayed to be included in the same frame, and a posture of sharing shoulders, a posture of hugging each other,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se to be presented may be arbitrarily selected or may be propos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a captured image by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In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lassify products in the captured image and suggest poses used for products with the highest sales in the classified product group. For example, after identifying that the product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a bag and classifying the image into bag groups, the seller's pose used for the bag with the highest sales may be presented by overlapping the photographed imag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스타일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styling guide to a customer user terminal 102 in the server 106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단계(40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스타일링 공유를 요청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03)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은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 소정의 모드, 예컨대 일반(normal)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First, in step 401, an input is received from a user. In one embodiment, the input from the user may be an input requesting sharing of styling. Next, in step 403, a mode selection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an embodiment, the mode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may be a normal mode, a dancing mode, or a mode with frie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re is no mode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a predetermined mode, for example, a normal mode may be set.

단계(405)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포즈를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303)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포즈는 설정된 모드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포즈 중 임의로 선택된 포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포즈는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In step 405 , a predetermined pose may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ured image in the image display area 303 of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according to the set mode.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pose may be a pose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pose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set mode. In another embodiment, a predetermined pose may be suggested by classifying a captured image by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of a neural network algorithm. In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lassify products in the captured image and suggest poses used for products with the highest sales in the classified product group. For example, after identifying that the product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a bag and classifying the image into bag groups, the seller's pose used for the bag with the highest sales may be presented by overlapping the photographed imag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that may be presented on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구매 버튼(501)을 클릭하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상품의 리스트가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에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버튼(503)을 클릭하면, 초대할 사용자의 목록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버튼(503)을 클릭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해당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일 수 있는데, 예컨대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As shown, if the purchase button 501 is clicked, a list of products or products that can be purchas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 In an embodiment, when the invite button 503 for a specific product is clicked, a list of users to be invited may be displayed. In an embodiment, if the invite button 503 for a specific product is clicked, a purchase application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us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the produc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people following the particular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having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a specific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registered as a friend of a specific user's SNS messenger.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구매에 대한 요청(초대)를 전송할 매칭의 수를 입력할 수 있다(511). 일 실시예에서, 매칭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 수록 혜택이 증가할 수 있다. As shown, the number of matches to transmit a purchase request (invitation) may be input ( 511 ). In one embodiment, the greater the number of users matched, the greater the benefit may be.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같이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purchase function to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in the server 106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단계(60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같이 구매를 요청하는 입력일 수 있다. 같이구매 요청이 입력되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상품의 리스트가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에 도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03)에서, 사용자로부터 상품 입력을 수신한다. First, in step 601, an input is received from a user. In an embodiment, the input from the user may be an input for requesting a purchase together. When a purchase request is input, a list of products or products that can be purchas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customer user terminal 102 . Next, in step 603, a product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다음으로 단계(605)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입력을 수신하면, 초대할 사용자의 목록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입력을 수신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해당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일 수 있는데, 예컨대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Next, in step 605, when receiving an invitation input for a specific product, a list of users to invite may be shown. In an embodiment, upon receiving an invitation input for a specific product, a purchase application may be shared with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us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the produc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people following the particular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having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a specific user. In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user registered as a friend of a specific user's SNS messenger.

다음으로 단계(607)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할 사용자를 선택하여 공동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후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매칭을 기다릴 수 있다. Next, in step 607, a group purchase request may be transmitted by selecting a user to be invited for a specific product. After transmission, it can wait for matching from other users.

선택적으로 단계(609)에서, 같이구매에 대한 초대한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응답(매칭)의 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 수록 혜택이 증가할 수 있다. Optionally, in step 609, the number of responses (matches) from other users who have invited to purchase together may be input. In one embodiment, the greater the number of users matched, the greater the benefit may be.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본 개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various modifications, reconstruction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102: 고객 사용자 단말
104: 통신망
106: 서버
102: customer user terminal
104: communication network
106: server

Claims (4)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이미지 내 사람의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의 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상품과 동일한 분류에 속한 상품에 대해, 상기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같이구매 신청을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type purchase request service provided by an online shopping system,
By analyzing image data including a subject of a person and a specific product in the image, the pose of the subject of the person for the specific product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e for the specific product and predetermined related data to be stored in a styling pose database creating a;
for a product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s the specific product, select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pose based on the styling pose database;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with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 method of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ory purchase request ser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팔로워,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의 SNS 등록 친구 중 하나인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a follower following a specific user, a user who has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the specific user, or one of a specific user's SNS registered fri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상품의 분류,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related data for the specific produc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pecific product, the sales volume of the specific product, the number of likes for image data including the specific product, the creator of the image data, and the mode of the image data. A method of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ory purchase request service that includes.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온라인 쇼핑 시스템으로부터 포즈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화면 표시부에서 같이구매에 대한 신청을 입력 받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팔로워, 특정 사용자와 소비 패턴이 유사한 사용자 또는 특정 사용자의 SNS 등록 친구 중 하나인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ory shopping service provided by an online shopping system and executed in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the pose data from the online shopping system,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n image display area of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from the screen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for purchase together to other user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a follower who follows a specific user, a user who has a similar consumption pattern to the specific user, or one of a specific user's SNS registered friend.
KR1020220032058A 2020-08-07 2022-03-15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KR1024449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en) 2020-08-07 2022-03-15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en) 2020-08-07 2020-08-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en) 2020-08-07 2022-03-15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77A Division KR102377736B1 (en) 2020-08-07 2020-08-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683A true KR20220039683A (en) 2022-03-29
KR102444955B1 KR102444955B1 (en) 2022-09-21

Family

ID=803257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en) 2020-08-07 2020-08-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en) 2020-08-07 2022-03-15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participation purchase request ser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en) 2020-08-07 2020-08-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77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75B1 (en) * 2007-05-09 2009-12-30 김현배 How to wear virtual clothing
KR101488978B1 (en) * 2013-06-14 2015-02-02 주식회사 모비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camera application
KR20190000397A (en) * 2014-04-17 2019-01-02 이베이 인크. Fashion preference analysis
KR20190073802A (en) * 2017-12-19 2019-06-27 소수영 Method for photographing of mobile device by composition guide set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75B1 (en) * 2007-05-09 2009-12-30 김현배 How to wear virtual clothing
KR101488978B1 (en) * 2013-06-14 2015-02-02 주식회사 모비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camera application
KR20190000397A (en) * 2014-04-17 2019-01-02 이베이 인크. Fashion preference analysis
KR20190073802A (en) * 2017-12-19 2019-06-27 소수영 Method for photographing of mobile device by composition guide se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955B1 (en) 2022-09-21
KR102377736B1 (en) 2022-03-24
KR20220018816A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26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benchmark generation using neural networks for image or video selection
US10380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content design transformations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activity data
Ahmadinejad et al. E-business through Social Media: A Quantitative Survey (Case Study: Instagram).
US2015009578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Bonetti et al. A review of consumer-facing digital technologies across different types of fashion store formats
CN103137046A (en) Usage measurent technique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advertising
US119154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mputer memory for scoring images or videos using selective web crawling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Ng et al. Best Practices in Managing Social Media for Business.
Liao et al. Data mining analytics investigate Facebook Live stream users’ behaviors and business models: The evidence from Thailand
US202203010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Place-Based Social Networks
US20060059053A1 (en) Method to identify, discover, and/or sell products via a web site on the internet
Adeola et al. Africa’s Digital Marketplac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customer engagement
CN105610797A (e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based on transaction type video player
KR102377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KR20220070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ling Private Content
KR20210052237A (en) Product catalog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harma How business-to-business and business-to-consumer marketers can future-proof their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Xie A brief analysis of retail customer’s consumption experience under the backgrou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80113431A (en) Market platform System based media SNS
Jelassi et al. Strategies for Social Commerce
KR20230050656A (en) Adaptive item consuming platform, adaptive item consum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upriadhie Urban Casual Promotion Strategy On Social Media Instagram
KR20240071467A (en) Online shopping mall system that applies consumer video content as advertisement
Chu Clarifying Conflation in Live Stream Commerce: A Definition and Model for Future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