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542A -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542A
KR20220039542A KR1020210062956A KR20210062956A KR20220039542A KR 20220039542 A KR20220039542 A KR 20220039542A KR 1020210062956 A KR1020210062956 A KR 1020210062956A KR 20210062956 A KR20210062956 A KR 20210062956A KR 20220039542 A KR20220039542 A KR 2022003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rc
information
message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3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기술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타겟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과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따른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AMF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설정한 상기 단말에 대한 UE(user equipment) 컨택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 컨택스트 정보에 따라 UE 컨택스트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기지국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UE CONTEXT RECOVERY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 컨택스트 복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G(next generation)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컨택스트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기술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LTE-A(Advanced)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규격은 RRC 재개(resume) 절차와 RRC 재설립(reestablishment) 절차를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RRC 재개 절차나 RRC 재설립 절차를 UE(user equipment)가 진행할 때에 필요한 메시지를 이전에 접속하고 있던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에 송신하게 되면, 두 기지국간의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만 UE 컨택스트의 복구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UE 컨택스트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타겟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과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따른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AMF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설정한 상기 단말에 대한 UE(user equipment) 컨택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 컨택스트 정보에 따라 UE 컨택스트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RRC 재개 절차나 RRC 재설립 절차를 UE가 진행할 때에 필요한 메시지를 이전에 접속하고 있던 소스 기지국이 아닌 타겟 기지국에 송신하게 되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간의 연결이 유효하지 않아도 UE 컨택스트의 복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겟 기지국은 UE로부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간의 연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여 UE 확인 절차 없이 UE 컨택스트 복구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겟 기지국이 UE 확인 절차 없이 UE 컨택스트 복구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UE 컨택스트 복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겟 기지국이 신속하게 UE 컨택스트를 복구할 수 있어 UE는 단절 없이 신속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RRC 재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RRC 재설립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UE 이동에 따른 RRC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1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2는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3은 NG UE 주소 지시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UE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UE(130-3) 및 제4 UE(130-4)가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UE(130-2), 제4 UE(130-4) 및 제5 UE(130-5)가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UE(130-4), 제5 UE(130-5) 및 제6 UE(130-6)가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UE(130-1)가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UE(130-6)가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UE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UE(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UE(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UE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에서 RRC 규격은 RRC 재개 절차와 RRC 재설립 절차를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RRC 재개 절차는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의 UE가 RRC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시작하는 절차일 수 있다. 그리고, RRC 재설립 절차는 UE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 문제를 감지하였을 경우 RRC 연결을 재설립하기 위해 시작하는 절차일 수 있다. RRC 재개 절차에서 단말은 RRC 재개 요청(RRC resume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RRC 재설립 절차에서 단말은 RRC 재설립 요청(RRC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이 접속해 있던 UE에서 RRC 재개 요청 메시지나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메시지 내용으로부터 UE를 확인하여 이후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UE가 이동하는 경우에 UE는 접속해 있던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에 RRC 재개 요청 메시지나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기지국은 해당 UE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전에 접속해 있던 기지국에 접속하여 UE의 컨택스트를 복구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UE 컨택스트 복구 절차는 두 기지국간의 Xn 연결이 유효한 경우에만 수행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즉, 두 기지국간에 Xn 인터페이스상의 논리적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컨택스트 복구 절차가 불가능할 수 있다.
한편, RRC 재개 절차는 RRC 비활성화 상태의 UE가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하는 절차일 수 있다. RRC 해제(release) 상태에서 단말이 기지국에 재접속하기 위해서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까지 메시지 절차가 연동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RRC 재개 절차는 기지국이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UE의 컨택스트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UE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메시지 절차로 UE의 상태를 RRC 연결 상태로 천이 시킬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RRC 재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RRC 재개 방법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UE를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IE 유예 설정 정보((information element suspend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RRC 해제 메시지를 UE로 전송할 수 있다(S310). 이를 수신한 UE는 IE 유예 설정 정보에 포함된 IE I-RNTI(inactive-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저장한 후에 RRC 연결 상태에서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한편, UE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20). 이 때 UE는 RRC 해제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E I-RNTI와 재개 MAC-I(resumeMAC-I(message authentication code for integrity))를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RRC 재개 요청 메시지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I-RNTI 길이에 따라 48비트 크기의 RRC 재개 요청 메시지와 64비트 크기의 RRC 재개 요청 메시지1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재개 MAC-I와 I-RNTI로부터 UE를 확인할 수 있고(S330), UE 컨택스트를 복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와 같은 절차를 진행하면서 확인된 UE로 RRC 재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40). 이에 따라, RRC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기지국으로 RRC 재개 완료(resume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S350), 상태를 RRC 비활성화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 한 후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RRC 재설립 절차는 RRC 연결 상태의 UE가 특정 이유로 인해 무선 구간의 문제를 감지하였을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RRC 재설립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RRC 재설립 방법에서 UE와 기지국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는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10). 이처럼 UE가 기지국에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구간의 문제를 감지하게 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IE 짧은 MAC-I(shortMAC-I)를 포함한 RRC 재설립 요청(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0). 이에 따라,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짧은 MAC-I에서 UE를 확인할 수 있다(S430). 이처럼 기지국은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짧은 MAC-I에서 UE를 확인하게 되면, 확인된 UE로 RRC 재설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이에 따라, RRC 재설립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기지국으로 RRC 재설립 완료(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S450).
한편, 도 3의 통신 시스템의 RRC 재개 방법과 도 4의 통신 시스템의 RRC 재설립 방법은 UE가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던 소스 기지국과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타겟 기지국이 동일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지국은 도 3의 통신 시스템의 RRC 재개 방법과 도 4의 통신 시스템의 RRC 재설립 방법에서 UE 확인 절차를 통해 RRC 메시지를 전송한 UE의 컨택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UE가 이동하여 기존에 접속해 있던 기지국과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이 다른 경우라면 새로운 기지국은 내부적인 UE 확인 절차를 통하여 UE 컨택스트를 복구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도 5는 UE 이동에 따른 RRC 메시지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E 이동에 따른 RRC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 소스 기지국(510)과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비활성 상태에 있는 UE(530)는 이동에 의해 타겟 기지국(520)의 통신 서비스 제공 영역에 진입하여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520)에 전송하게 될 수 있다. 이때, 타겟 기지국(520)은 UE(530)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UE 컨택스트의 복구에 실패할 수 있다. 이처럼 UE 컨택스트 복구에 실패한 타겟 기지국(520)은 소스 기지국(510)에 접속하여 UE(520)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UE 컨택스트에 대한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에서 UE는 타겟 기지국으로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1). 이처럼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UE에서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UE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UE 확인에 실패하게 될 수 있다(S612). 이처럼 타겟 기지국은 UE 확인에 실패하게 되면 UE 컨택스트를 복구하기 위해 소스 기지국으로 UE 컨택스트 복구 요청(retrieve UE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3).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이 UE를 확인 할 수 있도록 UE 컨택스트 복구 요청 메시지의 IE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정보에 재개 MAC-I 또는 짧은 MAC-I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UE를 확인할 수 있다(S614). 소스 기지국은 확인된 UE 컨택스트를 포함하는 UE 컨택스트 복구 응답(retrieve UE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615). 이처럼 소스 기지국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UE 컨택스트 복구 응답 메시지 내용을 기반으로 UE 컨택스트를 생성한 후에 해당 UE로 RRC 재개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6). 이에 따라, UE는 타겟 기지국으로 RRC 재개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7).
한편, 타겟 기지국은 선택적인 동작으로 데이터 포워딩이 필요한 경우에 데이터 수신에 필요한 정보(일예로,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를 포함하는 Xn 인터페이스 업링크 주소 지시(Xn-uplink address indication)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618). 그러면, 소스 기지국은 RRC 재설립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에 선택적인 동작으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SN(Sequence Number) 전달을 위해 SN 상태 전송(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619).
이에 따라, 타겟 기지국은 코어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정보 갱신을 위해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로 경로 전환 요청(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20). 그러면, AMF는 타겟 기지국으로 경로 전환 요청 확인(path switch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22). 그러면,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 UE 삭제를 지시하는 UE 컨택스트 해제(UE context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22).
여기서, AMF는 NAS(non access stratum) 시그널링 종료, NAS 시그널링 보안,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인터 CN(core network) 노드 시그널링, 아이들(idle) 모드 UE 도달 가능성, 아이들 모드에 있는 UE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 AMF 변경을 수반하는 핸드오버에 대한 AMF 선택, 액세스 인증 또는 로밍 권한의 확인을 포함하는 액세스 승인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은 UE가 연결되어 있던 소스 기지국과 연결을 시도하는 타겟 기지국간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연결(일예로 Xn 인터페이스)이 존재하는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 만약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과 Xn 인터페이스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UE에서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RRC 거절(reject) 절차를 진행하거나 RRC 셋업 폴백(setup fallback) 절차 등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과 Xn 인터페이스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RRC 거절 절차 또는 RRC 셋업 폴백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NG(next generatio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UE 컨택스트를 복구할 수 있는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UE 복구 방법에서 UE는 접속하고자 하는 타겟 기지국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1).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그 성격에 따라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으로 구분될 수 있고, SIB1, SIB2, SIB3, SIB4,??,SIB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SIB3는 동일 주파수를 갖는 주변 셀(소스 셀을 포함할 수 있음) 정보(intra frequency neighborhood cell information, IntraFreqNeighCellInfo)를 포함할 수 있고, SIB4는 다른 주파수를 갖는 주변 셀(소스 셀을 포함할 수 있음) 정보(inter frequency neighborhood cell information, InterFreqNeighCellInfo)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아래와 같이 SIB3에 동일 주파수를 갖는 주변 셀 정보에 선택적 정보 요소(optional IE)와 boolean Xn 인터페이스(boolean Xn interfa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은 아래와 같이 SIB4에 다른 주파수를 갖는 주변 셀 정보에 선택적 IE와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SIB3와 SIB4에 포함된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가 1인 경우 타겟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소스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음)사이의 Xn 인터페이스의 연결이 유효함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UE는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SIB3 또는 SIB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2-1). 동일하게, UE는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SIB3 또는 SIB4가 존재하지만 SIB3 또는 SIB4에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2-1). 동일하게, UE는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SIB3 또는 SIB4가 존재할 수 있고, SIB3 또는 SIB 4에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가 1인 경우에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2-1). 이와 달리, UE는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SIB3 또는 SIB4가 존재할 수 있고, SIB3 또는 SIB4에 boolean Xn 인터페이스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boolean Xn 인터페이스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 RRC 복구 요청(RRC retrieve request)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2-2).여기서,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는 업링크 CCCH(common control channel)를 통해 송수신 되는 업링크 CCCH 메시지일 수 있다. RRC 복구 요청 메시지 또한 업링크 CCCH를 통해 송수신 되는 업링크 CCCH 메시지일 수 있다. 업링크 CCCH 메시지는 크기가 48비트 또는 6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64비트 크기의 업링크 CCCH 메시지로 정의할 수 있다. 3GPP TS38.331의 RRC 규격에서는 64비트 업링크 CCCH 메시지를 UL-CCCH1-Message로 정의할 수 있으며,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의 구조도 동일하게 도 8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8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RC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정보 요소(IE)(810), 각각의 정보 요소의 유형(type)(820) 및 각각의 정보 요소의 비트수(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의 정보 요소(IE)(810)는 전송 시간 정보(811), 메시지 정보(812), 5G-S-TMSI 정보(5G-S-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814)와 이유 정보(815)를 포함하는 RRC 복구 요청 정보(813) 및 여유 정보(spare)(8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5G-S-TMSI 정보(814)는 UE가 최초 AMF에 등록(registration)할 때에 할당되는 48 비트 크기의 식별자로서 등록 취소(deregistration) 이전까지는 동일 값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유 정보(815)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의 전송의 이유를 명시하는 부분으로 재개 또는 재설립으로 이유를 명시할 수 있다. 여유 정보(816)는 64비트 크기를 위한 패딩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타겟 기지국은 UE에서 RRC 재개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UE를 확인할 수 있으면(S713), 도 3과 도 4에 명시된 이후의 절차(S340, S350, S440, S45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타겟 기지국은 UE를 확인할 수 없으면, Xn 인터페이스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 도 6에 명시된 절차(S613~S622)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타겟 기지국은 UE를 확인할 수 없고, 유효한 Xn 인터페이스 연결이 없는 경우에 UE 컨택스트 복구를 위해 AMF로 업링크 UE 설정 전송(uplink UE configuration transfe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4). 이를 위해서는 RRC 재개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에 48비트 크기의 5G-S-TMSI가 포함되어 있어야 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업링크 CCCH 메시지의 크기는 48비트, 64비트로 제한되어 있을 수 있어 이처럼 48비트, 64 비트 크기로 설계되어 있는 메시지에 48비트 크기의 추가적인 정보 요소 설정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링크 CCCH 메시지 크기가 가변, 96비트 또는 118비트 이상의 크기가 허용되는 경우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타겟 기지국이 UE로부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UE가 이전에 소스 기지국에 접속해 있었으며 타겟 기지국과 소스 기지국간 유효한 Xn 인터페이스 연결이 없음을 암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 기지국은 UE 확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고, UE 컨택스트 복구를 위해 AMF로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4).
도 9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는 정보 요소(910), 각각의 정보 요소의 존재(presence)(920), 각각의 정보 요소의 유형(930) 및 각각의 정보 요소의 상세(description)(9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에서 정보 요소(910)는 AMF UE NGAP(NG application protocol) ID(identifier) 정보(911), RAN(radio access network) UE NGAP ID 정보(912), UE 정보(913), 5G-S-TMSI 정보(915)와 GNB ID 정보(916)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914) 및 응답 정보(9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MF UE NGAP ID는 UE가 AMF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고, RAN UE NGAP ID는 UE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다. 그리고, 5G-S-TMSI는 UE가 최초 AMF에 등록(registration)할 때에 할당되는 48 비트 크기의 식별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5G-S-TMSI는 타겟 기지국이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UE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GNB ID는 타겟 기지국의 ID일 수 있다.
한편, 타겟 기지국은 UE 컨택스트 복구를 위해 AMF UE NGAP ID를 제외할 수 있고, RNA UE NGAP ID를 새롭게 설정하여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AMF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선택(choic) 유형의 UE 정보를 요청(request)으로 설정하여 5G-S-TMSI를 설정할 수 있고, GNB ID를 설정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이와 같이 정보 요소가 설정된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를 NGAP 인터페이스 연결이 설정된 AMF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MF는 해당 메시지의 5G-S-TMSI를 통해 해당 UE를 확인 할 수 있다. AMF는 UE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UE가 접속해 있던 소스 기지국, AMF UE NGAP ID, RAN UE NGAP ID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AMF는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downlink UE configuration transfer) 요청 메시지를 UE가 접속해 있던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5).
도 10은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는 정보 요소(1010), 각각의 정보 요소의 존재(1020), 각각의 정보 요소의 유형(1030) 및 각각의 정보 요소의 상세(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에서 정보 요소(1010)는 AMF UE NGAP ID 정보(1011), RAN UE NGAP ID 정보(1012), UE 정보(1013), 5G-S-TMSI 정보(1015)와 GNB ID 정보(1016)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1014) 및 응답 정보(10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MF UE NGAP ID는 UE가 AMF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고, RAN UE NGAP ID는 UE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다. 그리고, 5G-S-TMSI는 UE가 최초 AMF에 등록(registration)할 때에 할당되는 48 비트 크기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GNB ID는 타겟 기지국의 ID일 수 있다. AMF는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의 UE 정보(1013)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값을 복사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AMF에서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은 AMF UE NGAP ID와 RAN UE NGAP ID를 통해 UE를 확인할 수 있다. AMF가 관장하는 영역 내에서 5G-S-TMSI와 NGAP ID쌍은 UE별로 고유하므로 MAC-I 대신에 AMF UE NGAP ID를 사용하여 UE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소스 기지국은 UE를 확인하게 되면 UE 정보의 유형을 응답으로 설정하여 AMF로 UE 컨택스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6).
도 11는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는 정보 요소(1110), 존재(1120), 유형(1130) 및 상세(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에서 정보 요소(1110)는 AMF UE NGAP ID 정보(1111), RAN UE NGAP ID 정보(1112), UE 정보(1113), 요청 정보(1114) 및 UE 컨택스트 정보(1116)와 GNB ID(1117)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1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MF UE NGAP ID는 UE가 AMF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고, RAN UE NGAP ID는 UE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다. 그리고, 5G-S-TMSI는 UE가 최초 AMF에 등록(registration)할 때에 할당되는 48 비트 크기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GNB ID는 타겟 기지국의 ID일 수 있다.
이러한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의 응답 정보(1115)의 UE 컨택스트 정보(1116)는 3GPP TS38.423의 XnAP(Xn Application Protocol) 규격 9.1.1.13에 정의 되어 있는 "UE 컨텍스트 정보 복구 UE 컨텍스트 응답(UE context information retrieve UE context response)"를 사용할 수 있다. S714의 절차와는 달리 AMF UE NGAP ID가 존재하는 상황이므로 소스 기지국은 AMF UE NGAP ID를 업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GNB ID는 S715의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타겟 기지국 ID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며, 업링크 UE 컨택스트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AMF는 AMF UE NGAP ID와 RAN UE NGAP ID로부터 UE를 확인할 수 있고, 타겟 기지국ID에 해당하는 타겟 기지국으로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7).
도 12는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는 정보 요소(1210), 존재(1220), 유형(1230) 및 상세(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에서 정보 요소(1210)는 AMF UE NGAP ID 정보(1211), RAN UE NGAP ID 정보(1212), UE 정보(1213), 요청 정보(1214) 및 UE 컨택스트 정보(1216)와 GNB ID(1217)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MF UE NGAP ID는 UE가 AMF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고, RAN UE NGAP ID는 UE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ID일 수 있다. 그리고, GNB ID는 타겟 기지국의 ID일 수 있다. AMF는 AMF UE NGAP ID를 새롭게 할당할 수 있고, RAN UE NGAP ID는 S714를 통해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UE 정보는 S716을 통해 소스 기지국에서 수신한 값을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UE 설정 전송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자신이 설정했던 RAN UE NGAP ID를 통해 UE를 확인할 수 있고, 수신한 AMF UE NGAP ID 쌍을 완성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UE 정보의 응답내 UE 컨택스트로부터 새롭게 UE 컨택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은 UE에게 RRC 재개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재설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8-1). 이때, 타겟 기지국은 UE로부터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UE로 RRC 재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은 UE로부터 RRC 재설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UE로 RRC 재설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타겟 기지국에서 RRC 재개 응답 메시지나 RRC 재설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RRC 재개 완료 메시지나 RRC 재설립 완료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9-1).
한편, 타겟 기지국은 UE로부터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RRC 복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18-2). 이처럼 타겟 기지국이 전송하는 RRC 복구 응답 메시지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내의 이유가 재개이면, RRC 재개 응답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타겟 기지국이 전송하는 RRC 복구 응답 메시지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내의 이유가 재설립이면, RRC 재설립 응답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에서 RRC 복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9-2). 이처럼 UE가 전송하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는 RRC 복구 응답 메시지로 RRC 재개 메시지이면 RRC 재개 완료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UE가 전송하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는 RRC 복구 응답 메시지로 RRC 재설립 메시지이면 RRC 재설립 완료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RRC 재개 완료 메시지, RRC 재설립 완료 메시지 또는 RRC 복구 완료 메시지 등을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코어망과 소스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 경로 변경을 위하여 AMF로 PDU(protocol data unit)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PDU session resource modify 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20). 이와 같은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메시지는 각 PDU 세션 별 해당 타겟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할 IP 주소와 GTP(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ling protocol) 터널 ID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에서 포워딩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에서 포워딩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IP 주소와 GTP 터널 ID를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3GPP TS38.413의 NGAP 규격의 9.2.1.8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PDU session resource modify indication)" 내의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아이템(PDU session resource modify indication item)"내 선택 형태의 업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UL_FW_TNL_Info)와 다운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DL_FW_TNL_Info)를 추가할 수 있다.
업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는 아래와 같이 3GPP TS38.413의 9.3.2.2의 "업링크 전송 계층 정보(UP transport layer information)"일 수 있고, 다운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도 아래와 같이 3GPP TS38.413의 9.3.2.2의 "다운링크 전송 계층 정보(DOWN transport layer information)"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처럼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한 AMF는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메시지 내용에 따라 데이터 경로를 변경할 수 있고,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응답(PDU session resource modify confirm)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21). AMF는 PDU 세션 리소스 변경 지시 메시지 내 새롭게 제안한 업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UL_FW_TNL_Info) 또는 다운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DU_FW_TNL_Info)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내용에 따라 포워딩 된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는 GTP 터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AMF는 소스 기지국으로 데이터 포워딩을 지시하는 NG UE 주소 지시(NG-UE address 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22).도 13은 NG UE 주소 지시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NG UE 주소 지시 메시지는 정보 요소(1310), 존재(1320), 유형(1330) 및 상세(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G UE 주소 지시 메시지에서 정보 요소(1310)는 AMF UE NGAP ID 정보(1311), RAN UE NGAP ID 정보(1312) 및 PDU 세션 ID 정보(1314)와 업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UL_FW_TNL_Info)(1315)를 포함하는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FW TNL Info)(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 또는 다운링크 포워딩 전송 계층 정보에는 5GC(5G core)의 AMF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터널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NG UE 주소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은 해당 GTP 터널 정보에 따라 업링크,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포워딩) 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은 PDCP SN 전달을 위해 업링크 RAN 상태 전송(uplink RA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723). 이처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RAN 상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AMF는 다운링크 RAN 상태 전송 메시지를 통해서 PDCP SN을 소스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S724). 이후에, 포워딩 데이터의 전달이 완료된 것을 GTP 종료 마커(GTP end marker)로 확인한 AMF는 소스 기지국으로 UE 컨택스트 해제 명령(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하여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S725).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통신 시스템의 타겟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으로서,
    소스 기지국과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Xn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따른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AMF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설정한 상기 단말에 대한 UE(user equipment) 컨택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 컨택스트 정보에 따라 UE 컨택스트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기지국의 동작 방법.
KR1020210062956A 2020-09-21 2021-05-14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KR20220039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1737 2020-09-21
KR1020200121737 2020-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42A true KR20220039542A (ko) 2022-03-29

Family

ID=8099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956A KR20220039542A (ko) 2020-09-21 2021-05-14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5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1866T3 (es) Señalización en redes de comunicación móvil de doble conectividad
US10362519B2 (en)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EP3235292B1 (en) Handover using dual active connections
CN113396634A (zh) 无线通信网络中的用户设备和方法
KR20180131551A (ko) 차세대 코어 네트워크에의 접속성을 위한 레거시 무선 액세스 기술들과의 상호연동
US11937319B2 (en) Integrity protection handling at the gNB-CU-UP
US10582431B2 (en) Cellular network relo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04554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ss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60730A (zh) 快速接入方法和装置
JP7262383B2 (ja) 共通処理実施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685476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移動管理エンティティ、ユーザ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75171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管理エンティティ及び通信制御方法
US20220124555A1 (en) Small data transmission routing
KR102104844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제1 장치 및 제2 장치
US20230354136A1 (e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65849A1 (en) Handover procedure between local area cells which are under the same coverage of a macro cell
US20240172176A1 (en) Managing downlink early data transmission
KR20220039542A (ko) 통신 시스템에서 ue 컨택스트 복구 방법 및 장치
WO2022082690A1 (zh) 群组切换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40155726A1 (en)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a distributed base station
KR10246041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40188164A1 (en) Managing radio connections during early data commuinication via a distributed base station
US20230225008A1 (en) Change of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radio bearer identifiers dur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mobility
US202303090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ity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14586A1 (en) Handling communication errors during early data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