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503A -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503A
KR20220039503A KR1020200154734A KR20200154734A KR20220039503A KR 20220039503 A KR20220039503 A KR 20220039503A KR 1020200154734 A KR1020200154734 A KR 1020200154734A KR 20200154734 A KR20200154734 A KR 20200154734A KR 20220039503 A KR20220039503 A KR 20220039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panel
panel
manufactu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529B1 (ko
Inventor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ublication of KR2022003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6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제 진단 키트(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제1 압착 금형(M1)으로 가압하여 내부 보관실을 형성하는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와;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제3 압착 금형으로 가압하여 함몰홀을 임시적으로 형성한 다음, 제4 압착 금형으로 상기 함몰홀의 중앙부를 펀칭하여 투과구멍을 형성하여 체액 투입홀을 형성함으로써 상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진단 대상자의 감염여부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진단 시트를 취하고, 그 진단시트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내부 보관실에 집어넣는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와; 상기 저면 종이패널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상하 종이패널의 결합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Paper diagnostic k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여부를 확인하고, 그 이후 의료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고, 인체 유해한 환경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감염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진단 키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진단 키트는 인체에 해로운 질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을 식별하는 도구로서, 그 감염원의 종류에 따라, 진단 키트의 종류 및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진단 키트에 있어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이 일반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은, 인체에서 얻은 체액을 특정한 진단물질로 처리된 진단 스트립에 투하하거나 접촉할 경우, 그 체액 내에 감염되어 있는 특정한 종류의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상기 진단 스트립의 색상이 변화됨으로써, 그 체액의 소유자가 그 특정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방법이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은, 그 진단을 실시하는 자가 반드시 의사와 간호사와 같은 의료인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그 사용방법을 익힌 일반인의 경우에도 진단 스트립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은, 오늘날 가장 큰 문제로 떠 오르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방법으로서, 그 진가를 잘 발휘하고 있다.
도 1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1회용 진단키트(50)에 관한 개략도로서,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진단키트이다.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상기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방법은,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 패널(10)과, 진단 스트립(20)과, 하부 패널(30)로 구성된 플라스틱제 1회용 진단 키트(50)를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단 대상자로부터 체액(혈액, 땀, 콧물, 기관지 분비물, 소변 기타의 액체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액체물질을 통칭하여 체액으로 약칭한다)을 얻고, 그 체액을 투입하는 다수의 투입홀(2)(3)(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진단 스트립(20)은 가늘고 길게 형성된 막대부(12)와 진단 대상자의 체액과 반응하여 그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진단부(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 패널(30)은 상기 상부 패널(10)과 짝을 이루고, 그 내부에 상기 진단 스트립(20)을 내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1회용 진단 키트(50)는 진단대상자의 체액을 채취하여, 그 체액을 투입홀(2)(3)에 투입하고, 그 내부에 존재하는 진단 스트립(20)의 진단부(11)의 색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특정한 박테리아 또는 특정한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1회용 진단 키트(50)는 일단 진단 작업이 완료되어지면, 그 이후에는 폐기 처분을 하여야 한다. 폐기 처분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진단 스트립(20)이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그 플라스틱 상부 패널(10)과 하부 패널(30)을 재생하여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사멸을 고려하여, 고온 고열로 태워서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재질이 연소하게 되면서, 각종 오염물질을 대량으로 방출하게 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고, 필연적으로 대기 오염을 발생시키게 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등록실용신안 제20-403162호 (2005. 12. 9.); 등록실용신안 제20-407584호 (2006. 2.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103479 (2017. 9. 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65538 (2010. 6. 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2-74443 (2012. 7. 6.);.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여부를 확인하고, 그 이후 의료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고, 인체 유해한 환경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이제 진단 키트(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은,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제1 압착 금형(M1)으로 가압하여 내부 보관실을 형성하여 저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압착 금형으로 가압하여, 함몰홀을 임시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함몰홀의 중앙부를 펀칭하여 투과구멍을 형성하고, 체액 투입홀을 형성하여 상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진단 대상자의 감염여부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진단 시트를 취하고, 그 진단시트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내부 보관실에 집어넣는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와;
상기 저면 종이패널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상하 종이패널의 결합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제 1 압착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NC 가공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면 종이패널은 NC 밀링머신(N1)을 가동하여 그 내부를 파내고, 그 자리에 내부 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저면 종이패널을 제1 종이패널과 제 2 종이패널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종이패널을 제 1 압착금형(M1)으로 펀칭하여 투과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종이패널과 상기 투과구멍이 형성된 제2 종이패널을 서로 결합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대형 종이 판재를 대상으로 하고, 그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하여 다수의 저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을 제조하는 단계(S 220)는 상기 제2 압착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NC 가공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면 종이패널은 제2 NC 밀링머신(N2)을 가동하여 그 내부 안쪽을 완전히 파내서 투과구멍을 형성하거나, 그 내부 안쪽을 1차로 경사지게 파내어 경사면을 형성하고, 2차로 그 경사면의 내부 안쪽을 완전하게 파내서 투과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체액 투입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20)는 대형 종이 판재를 대상으로 하고, 그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하여 다수의 상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1회용 진단 키트를 기본적으로 종이재질에 의한 종이패널로 제조되어지므로, 사용후 폐기물로서 소각 처리할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소각시에 발생되는 각종 인체 유해한 유독성 가스 내지 유독성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그 제조단계에서도 재활용의 장점이 있는 동시에, 최종 처분시에도 환경친화적인 특장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1회용 플라스틱 재질의 진단 키트의 대표적인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그 실시예들로서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2a는 압착금형을 이용하여 저면 종이패널에 내부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2b는 NC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저면 종이패널에 내부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2c는 2개의 종이패널과 절단금형을 이용하여 저면 종이패널에 내부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이며, 도 2d는 3개의 종이패널과 절단금형 및 압착금형을 이용하여 저면 종이패널에 내부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2e는 대형 종이패널에 복수의 저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상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그 실시예들로서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3a는 2개의 압착금형을 이용하여 상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3b는 NC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상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3c는 대형 종이패널에 복수의 상면 종이패널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면 종이패널과 저면 종이패널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4a는 상면 종이패널에 함몰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저면 종이패널과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반면에, 도 4b는 상면 종이패널에 함몰홀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면 종이패널과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4c는 대형 종이패널에 각각 상면 종이패널과 저면 종이패널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에 관한 개략도로서,
도 5a는 상면 종이패널에 함몰홀을 형성한 상태에서의 종이제 진단키트의 단면도인 반면에, 도 5b는 상면 종이패널에 함몰홀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종이제 진단키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종이제 진단 키트(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은 저면 종이패널(110)을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저면 종이패널(110)로서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이 종이 재질의 종이 판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진단키트(100)를 그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하고 그 진단키트(100)를 폐기처분하여 소각할 경우,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근본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은 탄소와 수소와 산소 또는 질소나 황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이지만, 플라스틱의 물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 등을 첨가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질을 소각할 경우, 그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다양한 형태의 유해물질들이 다량 배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을 원천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폐기처분을 위한 소각작업시,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배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몸체가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종이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 판재는 종이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어 있고 적어도 그 두께가 2 밀리미터 이상의 종이제품이면 충분하다. 상기 종이 판재의 두께는 5 밀리미터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종이 판재의 두께가 5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실제 1회용 진단키트의 사용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종이 판재는 단일의 종이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2매 이상을 합지하여 합지된 복합 종이판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서 저면 종이패널(110)이 단일의 종이패널로 구성된 경우와 2매의 종이패널 및 3매의 종이패널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의 제조단계(S 210)는 종이 재질의 종이패널을 제1 압착 금형(M1)으로 가압하여 내부 보관실(115)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보관실(115)은 진단 시트(130)가 들어가게 될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압착 금형(M1)은 금형 몸체(70)와 그로부터 둘출된 가압부(7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제 1 압착금형(M1)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NC 가공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은 제1 NC 밀링머신(N1)을 가동하여 그 내부를 파내고, 그 자리에 내부 보관실(1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을 제1 종이패널(110A)과 제2 종이패널(110B)로 구성하고, 이들을 가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을 톰슨 절단금형(T)으로 펀칭하여 투과구멍(117)을 형성한다. 상기 톰슨 절단금형(T)은 금형 몸체(70)와 상기 투과구멍(117)에 대응되는 절단칼날부(7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칼날부(77)에 의하여,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에는 투과구멍(117)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제1 종이패널(110A)과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을 서로 결합시킬 경우, 합지된 저면 종이패널(110)이 완성되어진다. 결합작업은 단순 압착 금형(M)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저면 종이패널(110)은 상기 투과구멍(117)과 상기 제1 종이패널(110A)에 의해 내부보관실(115)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2c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을 제1 종이패널(110A)과 제2 종이패널(110B)과 제3 종이패널(110C)로 구성하고, 이들을 가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패널과 제2 종이패널 및 제3 종이패널의 가공방식은 각각 서로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을 톰슨 절단금형(T)으로 펀칭하여 투과구멍(117)을 형성한다. 상기 톰슨 절단금형(T)은 금형 몸체(70)와 상기 투과구멍(117)에 대응되는 절단칼날부(77)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단칼날부(77)에 의하여,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에 투과구멍(117)이 형성되어진다.
그 다음, 투과구멍(117)이 형성된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을 취하여,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종이패널(110A)과 상기 제2 종이패널(110B)과 상기 제3 종이패널(110C)의 순서대로 위치시키고, 제2 압착 금형(M2)을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압착 금형(M2)의 돌출된 가압부(71)가 상기 제3 종이패널(110C)을 내리누르고, 그 부분이 상기 투과구멍(117)으로 내려앉게 되어서 그 투과구멍(117)을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종이패널(110C)에서 내려눌려진 부분이 함몰되어지면서, 그 부분에 상기 내부보관실(115)이 형성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은 3개의 종이패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종이패널(110A)이 저면받침부를 형성한 반면에, 그 위에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이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제2 종이패널(110B)의 일부가 내려앉아 채워져 있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3 종이패널(110C)이 최상부를 이루면서 그 안쪽 중간에 상기 내부보관실(11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2d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대형 종이 판재를 대상으로 하고, 그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하여 다수의 저면 종이패널(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대량생산 방식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도 2e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은 상면 종이패널(120)을 제조하는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20)는 종이 판재로 구성된 상면 종이패널(120)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20)는 2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1단계로, 제3 압착 금형(M3)을 사용하여 상면 종이패널(120)에 함몰홀(1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압착 금형(M3)은 상면 종이패널(120)에 경사면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금형 몸체(70)에 경사면 형성부(7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 형성부(73)는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서로 다른 2개의 경사면 형성부(73)를 가지고 있지만, 종이제 진단키트에 따라, 여러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홀(122)은 진단 대상자의 체액을 안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그 이후 그 체액이 서서히 아래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몰홀(122)은 체액을 안전하게 체액 투입홀(124)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지만, 상기 함몰홀(122)이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로 간주할 수는 없다. 상기 함몰홀(122)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
그 다음, 2단계로, 제4 압착금형(M4)을 이용하여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에 체액 투입홀(124)을 형성한다. 상기 제4 압착 금형(M4)은 금형 몸체(70)에 가압투과부(7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투과부(75)는 상기 경사면 형성부(73)의 갯수와 동일하고, 그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투과부(75)는 상기 함몰홀(122)의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에 가압하여 펀칭하고, 최종적으로 체액 투입홀(124)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체액 투입홀(124)은 진단대상자로부터 채취되어 투입된 체액이 그 아래쪽으로 흘러내려, 최종적으로는 진단 시트(130)로 내려가는 길목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체액 투입홀(124)은 그 중 어느 하나를 진단시트(130)의 진단액의 색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a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을 제조하는 단계(S 220)는 상기 제3 압착금형(M3) 및 제4 압착금형(M4)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NC 가공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은 제2 NC 밀링머신(N2)을 가동하여 그 내부를 완전하게 파내어 체액 투입홀(124)이 형성되어지게 하거나, 1차적으로 함몰홀(122)을 형성한 다음, 2차적으로 그 함몰홀(122)의 내부 안쪽을 완전하게 파내서 체액 투입홀(1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액 투입홀(124)이 다수 형성될 경우, 내부의 진단시트의 색상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관찰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b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20)는 대형 종이 판재를 대상으로 하고, 그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하여 다수의 상면 종이패널(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대량생산 방식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도 3c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은 진단 시트(130)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의 내부 보관실(115)에 집어넣는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는 진단 대상자의 질병원의 감염여부를 판별해주는 진단시트(130)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의 내부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되어진다. 상기 진단시트(130)는 이미 그 기능이 완성된 제품을 사용하면 족하고, 이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는 없다. 상기 진단시트(130)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의 내부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에는 함몰홀(122)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도 4a 참조), 상기 함몰홀(122)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도 4b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는 도 2d의 도면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하여 다수의 저면 종이패널(110)을 형성하고, 도 3c의 도면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대형 종이 판재에 대해 다수의 상면 종이패널(120)을 형성하고,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의 각각의 내부보관실(115)에 각각 진단시트(130)들을 집어넣어 놓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상하 종이패널의 결합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의 결합단계(S 240)는 상기 2개의 종이패널(110)(120)을 서로 맞대어 가합지된 상태에서, 이들에 대해 고온으로 압착하여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의 사이에 인체 무해한 접착제를 미리 도포한 다음,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120)을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대량생산 방식의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대형 종이판재에 다수의 저면 종이패널(110)과 다수의 상면 종이패널(120)과 다수의 진단시트(130)를 결합시키고, 그 이후, 상기 다수의 저면 종이패널(110)과 다수의 상면 종이패널(120)의 결합체를 각각 절취하여 따내게 되면, 각각의 1회용 진단키트(100)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진행할 경우, 도 5a 및 도 5b에 제시된 바와 같은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100)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100)는 그 재질이 기본적으로 종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차후에 소각처리할 경우, 인체 해로운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종이제 진단키트 및 그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종이제 진단키트 (본 발명) 110 : 저면 종이패널,
115 : 내부 보관실, 117 : 투과구멍,
120 : 상면 종이패널, 122 : 함몰홀,
124 : 체액 투입홀, 130 : 진단시트,
M1 : 제1 압착금형, M2 : 제2 압착금형,
M3 : 제3 압착금형, M4 : 제4 압착금형

Claims (7)

  1. 종이 판재를 제1 압착 금형으로 가압하여 내부 보관실을 형성하여 저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종이 판재를 압착 금형으로 가압하여 사용자의 체액을 흘려내려 보내는 체액 투입홀과, 사용자가 진단시트를 관찰할 수 있는 투과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진단 대상자의 감염여부를 식별하도록 해주는 진단 시트를 취하고, 그 진단시트를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내부 보관실에 집어넣는 진단시트의 내장 단계(S 230)와;
    상기 저면 종이패널과 상기 상면 종이패널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상하 종이패널의 결합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제1 압착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제1 NC 밀링머신을 가동하여,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내부를 파내고, 그 자리에 내부 보관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저면 종이패널을 제1 종이패널과 제2 종이패널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종이패널을 톰슨 절단금형으로 펀칭하여 투과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종이패널과 상기 투과구멍이 형성된 제2 종이패널을 서로 결합시켜서, 내부 보관실을 완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의 제조단계(S 210)는
    상기 저면 종이패널을 제1 종이패널과 제2 종이패널과 제3 종이패널로 구성하고,
    먼저, 상기 제2 종이패널을 톰슨 절단금형으로 펀칭하여 투과구멍을 형성하고,
    그 다음, 상기 투과구멍이 형성된 상기 제2 종이패널을 취하여,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1 종이패널과 상기 제2 종이패널과 상기 제3 종이패널의 순서대로 위치시키고,
    그 다음, 제2 압착 금형(M2)을 이용하여, 돌출된 가압부(71)가 상기 제3 종이패널을 내리누르고, 상기 제3 종이패널의 내려눌려진 부분이 함몰되어지고, 함몰된 부분에 내부보관실(115)이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종이패널(110)은 3개의 종이패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종이패널이 저면받침부를 형성한 반면에,
    상기 제2 종이패널이 상기 제1 종이패널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종이패널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제2 종이패널의 일부가 내려앉아 채워져 있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3 종이패널은 최상부를 이루면서 그 안쪽 중간에 내부보관실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종이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 220)는
    상기 제3 압착금형과 제4 압착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제2 NC 밀링머신을 사용하여 진행하고,
    상기 제2 NC 밀링머신에 의해 상기 상면 종이패널의 내부를 완전하게 파내서 투과구멍을 형성하거나, 1차로 경사지게 파내어 함몰홀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함몰홀의 내부 안쪽을 완전하게 파내서 투과구멍을 형성하고, 다수의 체액 투입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종이제 진단키트.
KR1020200154734A 2020-09-22 2020-11-18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 KR102498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1997 2020-09-22
KR1020200121997 2020-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03A true KR20220039503A (ko) 2022-03-29
KR102498529B1 KR102498529B1 (ko) 2023-02-10

Family

ID=8099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734A KR102498529B1 (ko) 2020-09-22 2020-11-18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2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62Y1 (ko) 2005-09-07 2005-12-09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KR200407584Y1 (ko) 2005-11-23 2006-02-01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US20090263854A1 (en) * 2008-04-21 2009-10-22 Quidel Corporation Integrated assay device and housing
KR20100065538A (ko)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회용 진단 키트
JP2012047604A (ja) * 2010-08-26 2012-03-08 Hiroshima Univ 検査用シート、化学分析装置及び検査用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74443A (ko) 2010-12-28 2012-07-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내의 충치균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충치균 항체 검출 진단 방법
KR101501882B1 (ko) * 2014-08-20 2015-03-12 유승국 일체형의 제습부를 갖는 진단 키트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진단 키트 제조 방법 및 진단 키트
KR20170103479A (ko) 2016-03-04 2017-09-13 유승국 일회용 진단 키트 및 이의 생산 설비
KR101806167B1 (ko) * 2016-05-13 2017-12-07 한국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 면역반응 진단 키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62Y1 (ko) 2005-09-07 2005-12-09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KR200407584Y1 (ko) 2005-11-23 2006-02-01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US20090263854A1 (en) * 2008-04-21 2009-10-22 Quidel Corporation Integrated assay device and housing
KR20100065538A (ko)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회용 진단 키트
JP2012047604A (ja) * 2010-08-26 2012-03-08 Hiroshima Univ 検査用シート、化学分析装置及び検査用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74443A (ko) 2010-12-28 2012-07-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구강내의 충치균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충치균 항체 검출 진단 방법
KR101501882B1 (ko) * 2014-08-20 2015-03-12 유승국 일체형의 제습부를 갖는 진단 키트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진단 키트 제조 방법 및 진단 키트
KR20170103479A (ko) 2016-03-04 2017-09-13 유승국 일회용 진단 키트 및 이의 생산 설비
KR101806167B1 (ko) * 2016-05-13 2017-12-07 한국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 면역반응 진단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29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1610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lasscheiben beliebiger kontur aus flachglas
DE60312922D1 (de)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von Indikatorelementen
Fishbane Sin and Judgment in the Prophecies of Ezekiel
KR20220039503A (ko) 종이제 진단 키트와 그 제조방법
ATE406243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lüssigkeitsdurchlässigen perforierung eines vlieses
KR102484231B1 (ko) 종이제 폴더형 진단 키트
ATE406950T1 (de) Stanzwerkzeug zur herstellung von dichtungselementen und methode zum herstellen von dichtelementen
CN205496368U (zh) 超声波冲孔头和超声波冲孔废料清理结构
Layali et al. Role of job stressors on quality of life in nurses
Al-Habash et 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medical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health sector and its impact on environment in Jordan applied study
EP0715563B1 (en) Device to punch plaster tapes
Loo Burnout among Canadian police managers
CN104244592A (zh) 一种玻璃纤维补强片的制作方法
WO2005016633A8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low pressure for perforating and consolidating an uncured laminate sheet in one cycle of operation
CN106156459A (zh) 一种眼科检查报告的管理系统
SE0602148L (sv) Anordning för att samla upp föremål och/eller material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densamma
Sherwood et al. A review of species identifications of North American Aphonopelma Pocock, 1901 (Araneae: Theraphosidae) in papers noting attacks by Pepsis Fabricius, 1804 (Hymenoptera: Pompilidae)
CN215363103U (zh) 一种疾控中心用医疗垃圾的处理装置
CN213217214U (zh) 一种便于清理的医用标本柜
CN217132612U (zh) 一种环境监测用地质土壤分层采集装置
Forlino Descensus ad Inferos: Man and Machine in the Postwar Industrial Landscape of Vittorini’s Politecnico
SCHMID et al. Socialist Feminist Theory & Strategy in the Chicago Women's Liberation Union
JP2004217329A (ja) ゴミ処理管理システム
TW202401378A (zh) 雙效源頭防疫裝置
Hatzenbuehler Thomas Jefferson's Lives: Biographers and the Battle for His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