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895A -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895A
KR20220038895A KR1020200121261A KR20200121261A KR20220038895A KR 20220038895 A KR20220038895 A KR 20220038895A KR 1020200121261 A KR1020200121261 A KR 1020200121261A KR 20200121261 A KR20200121261 A KR 20200121261A KR 20220038895 A KR20220038895 A KR 2022003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integrated
contract
industrial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규
김호진
조철희
나장훈
Original Assignee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8895A/ko
Priority to PCT/KR2021/012803 priority patent/WO2022060164A1/ko
Publication of KR2022003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상기 다수의 전력 사용처에 공통으로 적용될 통합 계약 전력을 전력 공급업체와 체결하며,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통합 관리부; 및 상기 통합 관리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전력 사용처고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OF INDUSTRIAL ESTATE}
본 발명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공장 또는 각종 산업시설의 전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다수의 공장이나 산업시설이 최적의 계약 전력을 맺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전력의 낭비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단지에 늘어선 공장이나 산업시설은 전력 공급업체와 계약 전력을 맺게 되는데, 이 계약 전력은 전력수요처가 1년 중에 가장 많이 전력을 사용하는 달을 기준으로 맺어진다.
예를 들어, A 공장이 전력 공급업체와 600kw의 계약 전력으로 계약을 맺는 다는 것은 A 공장이 어떠한 경우에도 600Kw를 초과하는 전력은 사용하지 않겠다는 쌍방 계약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계약 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사용처가 1년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달의 전력량을 기준으로 맺어져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력 사용처는 필요 이상의 계약 전력을 체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사용처가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달에는 월 평균 계약 전력에 상응하는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비를 아깝지 않게 지출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달에는 월 평균 계약 전력에 미달하는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전기비를 지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다양한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단지의 들어선 다수의 전력 사용처는, 아파트나 상가 등과는 다르게 광할한 지역에 배치되고, 또한, 대량의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관리 업체가 산업단지의 전력 사용량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각 공장마다 상이한 업종을 가지고 있고, 가장 많이 전력을 사용하는 달이 다르기 때문에 산업단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계약 전력을 도출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2105호의 '전력 종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업단지 내의 전력 사용처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전력 사용처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합 계약 전력을 도출하고, 이 도출된 통합 계약 전력을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상기 다수의 전력 사용처에 공통으로 적용될 통합 계약 전력을 전력 공급업체와 체결하며,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통합 관리부; 및 상기 통합 관리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을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의 통합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통합 사용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각 전력 사용처가 과년도에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였던 전력 사용량 데이터와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부하 검출부는, 상기 산출부에서 분석된 전력 사용패턴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기 이전에,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하여 전력을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사용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 사용처에 과부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과부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 사용처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과부하 검출부로부터 과부하 신호를 받은 전력 사용처가 상기 전력 공급업체와 별도의 보조 계약 전력을 맺도록 안내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계약 전력을 추전하는 보조 계약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은, 상기 전력 사용처의 2년~5년 기간 동안의 평균 전력 사용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은,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보조 전력량을 부가하여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력량은,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의 5~15% 비율을 차지하는 전력량이고, 상기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상기 산출부에 의하여 다음 해에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부가되는 비율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전력량 측정부는,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에 각각 마련되어 전력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합 관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부와, 각 전기 사용처들의 전력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량 측정부는, IPv6에 의한 인터네 IP를 부여받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은, 산업단지의 전력 사용처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될 통합 계약 전력을 최적으로 산출하고 전력 공급업체와 체결한 뒤, 통합 계약 전력을 바탕으로 각각의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 및 제어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각 전력 사용처가 불필요한 전력량 이상으로 계약 전력을 체결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이에 따른 전기 요금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전력 사용처들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 데이터와 현재 전력 사용패턴을 실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 공급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초과 사용요금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사용처에게 최적의 보조 계약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해당 전력 사용처가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공장 운행이 가능토록 하고, 더불어, 불필요하게 많은 전기 요금이 납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에 의하여 허용 전력량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에 의하여 허용 전력량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다양한 업종의 공장이나 산업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1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110); 상기 다수의 전력 사용처(10)에 공통으로 적용될 통합 계약 전력을 전력 공급업체(20)와 체결하며, 상기 전력량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된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통합 관리부(200); 및 상기 통합 관리부(20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전력 사용처(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량 측정부(110)는,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공장이나 산업시설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선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그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통합 관리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사용처는 일반 주택이나 상가와는 다르게 고압 및 대량의 산업용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전력량 측정부(110)는, 기계식 전력량계보다는 전자식 전력량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전력량 측정부(110)는, 공장지대에 늘어선 각 전력 사용처(10)들의 전력 공급선을 물리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측정부(110)는,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110)에 각각 마련되어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통합 관리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량 측정부(110)는, 단순히 측정기로서의 역할만 수행하지 않고 그 자체가 데이터 허브(Data Hub), 중계기 및 송신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데이터 허브가 설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IPv6에 의한 인터네 IP를 부여받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력량 측정부(110)는, 수 키로미터 이상 떨어지게 배치된 각 전기 사용처(10)들의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통합 관리부(20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전력량 측정부(110)는, 측정된 데이터를 먼 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불어, 각 전기 사용처(10)들의 전력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 데이터 허브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후술할 통합 관리부(200)가 전력량 측정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산업단지내 각 전력 사용처(10)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력 사용처(10)를 대신하여 전기 공급업체(20)와 통합 계약 전력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전력량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을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10)의 통합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산출부(210); 상기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통합 사용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분석부(220); 및 상기 분석부(220)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210)는, 전력량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전력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10)들의 전력 사용량을 취합하여 통합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부(210)는, 각 전력 사용처(10)가 과년도에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였던 전력 사용량 데이터와 상기 전력량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각 전력 사용처(10)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산출부(210)는, 각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출부(210)는 과년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 전력 사용처(10)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을 비교 분석하고 이 분석된 결과값을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220)는, 전기 공급업체(20)와 체결한 통합 계약 전력과 상기 산출부(210)에서 산출한 각 전력 사용처(10)들의 통합 사용 전력량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값을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결과값을 바탕으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10)를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과부하 검출부(230), 상기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면, 다수의 전력 사용처(10) 중에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가한 전력 사용처(10)를 검출할 수 있다.
과부하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전력 사용처(10) 정보는 상기 통합 제어부(300)로 전달되며, 통합 제어부(300)는 해당 전력 사용처(1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300)는, 과부하 검출부(230)로부터 검출된 전력 사용처(1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차단부는, 산업단지 내 각 전력 사용처(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에 차단 스위치, 또는, 차단 밸브의 형태로 구현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과부하 검출부(230)는, 상기 산출부(210)에서 산출된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에 미달되면, 각 전력 사용처(10)가 현재 까지는 연간 허용 전력에 포함된 범위 내에서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과부하 검출부(230)는, 상기 산출부(210)에서 분석된 각 전력 사용처(10)의 전력 사용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기 이전에,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하여 전력을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전력 사용처(10)를 검출하고 그 전력 사용처(10)에 과부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과부하 검출부(230)는, 전력 사용처(10)가 앞으로 소비할 전력량을 추정하고, 그 전력량이 각 전기 사용처(10)에 할당된 허용 전력량을 초과하는지, 또는, 미달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그에 따른 대응 신호를 각 전력 사용처(10)에 전달할 수 있다.
산업단지에 들어선 전력 사용처(10)들은, 대용량 설비의 가동성, 제품의 시장 변동성, 계절성, 비상 상황 등에 따라서 전력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사용처(10)는, 할당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하거나 미달되는 전력을 사용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을 사용하게되면 전기 공급업체(20)와 체결되었던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함과 동시에 또 다른 전력 사용처(10)에 할당된 전력을 뺏어서 사용한 셈이 되어 다른 전력 사용처(10)에게 피해를 주고, 전기 공급업체(20)에게 초과 사용 부담금을 지불하게 한다.
과부하 검출부(230)는,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 사용할 것으로 추정되는 전력 사용처(10)에 과부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로부터 과부하 신호를 받은 전력 사용처(10)가 상기 전력 공급업체(20)와 별도의 보조 계약 전력을 맺도록 안내하고, 상기 산출부(110)에서 분석된 전력 사용패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계약 전력을 추전하는 보조 계약 추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계약 추천부(240)는, 산출부(110)에서 분석된 전력 사용처(10)의 전력 사용패턴과 과부하 검출부(230)에서 분석된 전력 사용처(10)의 예측 소비 전력량을 분석하여 최적의 보조 계약 전력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결과를 전력 사용처(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전력 사용처(10)는 보조 계약 추천부(240)에서 추천한 보조 계약 전력을 전기 공급업체(20)와 별도로 체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부하 검출부(230)와 보조 계약 추천부(240)는, 산업단지의 각 전력 사용처에서 사용된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 사용한 전력 사용처(10)가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제품의 생산이나 산업적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과부하 검출부(230)와 보조 계약 추천부(240)가 전력 사용처(10)로 과부하 신호 또는 보조 계약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신속한 대응 측면에서는, 전력 사용처(10)의 관리 담당자 단말기로 신호 및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합 관리부(200)가 전기 공급업체(20)와 체결하는 통합 계약 전력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과년도 전력 사용량은, 상기 전력 사용처(10)의 2년~5년 기간 동의 편균 전력 사용량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A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이 700kw, B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이 400kw, C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이 1100kw, D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이 660kw라고 가정하면, 상기 통합 관리부(200)가 상기 전기 공급업체(20)와 체결하는 통합 계약 전력은 각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을 합한 2860kw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각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이 연간 허용 전력량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A 전력 사용처(10)가 연간 허용 전력량인 400kw를 초가하게 되면,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제어부(300)의 차단부는 과부하 검출부(230)부터 검출된 A 전력 사용처(1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A 전력 사용처(10)는 통합 관리부(200)과 전력 공급업체(20)와 체결한 통합 계약 전력 내의 전력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위와 같은 A 전력 사용처(10)는, 통합 제어부(300)에 의해 공급되던 전력이 차단되기 이전에, 상기 과부하 검출부(230)로부터 과부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A 전력 사용처(10)는 전기 공급업체(20)와 별도로 계약 전력을 맺어야 하는바, 상기 보조 계약 추천부(240)로부터 추천 받은 보저 계약 전력을 전기 공급업체(20)와 체결할 수 있다.
참고로, 각 전력 사용처(10)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은, 전기 공급업체(20)가 각 전기 사용처(10)에 고지한 전기 요금서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전기 공급업체(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은,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보조 전력량을 부가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물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각 전력 사용처(10)에서 소비되는 전력 사용량의 크기 때문이며, 이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측면으로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의 5~15% 비율을 차지하는 보조 전력량을 부가하여 통합 계약 전력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전력량이 부가되는 비율은 상기 전력 사용처(10)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상기 산출부(210)에 의하여 보정될 수 있다. 즉, 다음 해에 통합 계약 전력을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부가되는 보저 전력량의 비율은 상기 산출부(210)에 의하여 보정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력 관리 시스템 110 : 전력량 측정부
200 : 통합 관리부 210 : 산출부
220 : 분석부 230 : 과부하 검출부
240 : 보조 계약 추천부 300 : 통합 관리부
10 : 전력 사용처 20 : 전기 공급업체

Claims (12)

  1.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 측정부;
    상기 다수의 전력 사용처에 공통으로 적용될 통합 계약 전력을 전력 공급업체와 체결하며,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통합 관리부; 및
    상기 통합 관리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전력 사용처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을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의 통합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통합 사용 전력량과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을 비교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한 전력 사용처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각 전력 사용처가 과년도에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하였던 전력 사용량 데이터와 상기 전력량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검출부는, 상기 산출부에서 분석된 전력 사용패턴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통합 사용 전력량이 통합 계약 전력을 초과하기 이전에, 연간 허용 전력을 초과하여 전력을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사용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 사용처에 과부하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과부하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력 사용처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과부하 검출부로부터 과부하 신호를 받은 전력 사용처가 상기 전력 공급업체와 별도의 보조 계약 전력을 맺도록 안내하고, 상기 산출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계약 전력을 추전하는 보조 계약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은,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의 과년도 전력 사용량을 기초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은,
    상기 전력 사용처의 2년~5년 기간 동안의 평균 전력 사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계약 전력은,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보조 전력량을 부가하여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력량은,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의 5~15% 비율을 차지하는 전력량이고, 상기 전력 사용처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상기 산출부에 의하여 다음 해에 상기 과년도 전력 사용량에 부가되는 비율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량 측정부는, 산업단지에 들어선 각 전력 사용처에 각각 마련되어 전력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합 관리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중계부와, 각 전기 사용처들의 전력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측정부는,
    IPv6에 의한 인터네 IP를 부여받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1020200121261A 2020-09-21 2020-09-21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20220038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61A KR20220038895A (ko) 2020-09-21 2020-09-21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PCT/KR2021/012803 WO2022060164A1 (ko) 2020-09-21 2021-09-17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61A KR20220038895A (ko) 2020-09-21 2020-09-21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95A true KR20220038895A (ko) 2022-03-29

Family

ID=8077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61A KR20220038895A (ko) 2020-09-21 2020-09-21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38895A (ko)
WO (1) WO20220601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19B1 (ko) * 2009-03-02 2010-01-26 (주)다나에너지 사용자의 전력소비 패턴에 따라 전력사용량을 감시하는 전력량 감시장치
KR101212105B1 (ko) * 2011-06-01 2012-12-13 주식회사 한세스 전력 종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7124B1 (ko) * 2012-01-27 2013-01-31 대동산전주식회사 건물의 특정공간별 실시간 전력 및 전기요금 관리시스템
KR101595236B1 (ko) * 2013-11-04 2016-02-18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계약 전력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776641B1 (ko) * 2016-06-14 2017-09-19 주식회사 쿠루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0164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156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grid and network management of grid elements
US20170250550A1 (en) Standalone adapter for load control of energy storage devices
JP6302197B2 (ja) 電力需給制御装置及び電力需給制御方法
JP2007020314A (ja) 電力需給予測システム
CN102279297B (zh) 能源管理装置及方法
JP6192907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CN105493382A (zh) 电压控制装置及电压监视设备
CN108645438A (zh) 基于无线传感网络技术的城市供水监测方法以及监测系统
KR20120024078A (ko) 에너지 계량 시스템, 에너지 계량 장치, 에너지 계량 방법
CN105391048A (zh) 能量消耗的可靠的预测
KR20220038895A (ko) 산업단지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154228B1 (ko)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KR102346485B1 (ko) 부하량 예측 기반의 선불형 전력량 계측 장치
KR20050019695A (ko)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전력사용처에 대한 하절기피크전력 적응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048886B1 (ko) 전력 사용량 거래 장치
JP3945179B2 (ja) エネルギ販売方法及びエネルギの販売方法を制御する処理装置
JP2002092735A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20150133403A (ko) 온도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Alontseva et al. Flexible distributed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for industrial objects–Consumers of electric power
KR20150033972A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CN110796793A (zh) 一种蒸汽流量监控热网系统以及蒸汽流量的监控方法
KR101692371B1 (ko)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전력량 감시시스템
KR20220118800A (ko) 전원관리 콘센트 및 시스템
KR20200078989A (ko) 공유형 콘센트 사용시스템
KR20200076214A (ko) 계측 정보 중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