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674A -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삽입가능 로봇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삽입가능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674A
KR20220038674A KR1020227001955A KR20227001955A KR20220038674A KR 20220038674 A KR20220038674 A KR 20220038674A KR 1020227001955 A KR1020227001955 A KR 1020227001955A KR 20227001955 A KR20227001955 A KR 20227001955A KR 20220038674 A KR20220038674 A KR 2022003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tube
straightening
working channel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처드 헨드릭
에반 블룸
닐 딜런
Original Assignee
버츄오쏘 써지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츄오쏘 써지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버츄오쏘 써지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03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31Steering mechanisms with preformed b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6Multiple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61B2034/301Surgical robots for introducing or steering flexible instruments inserted into the body, e.g. catheters 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6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self-propelled, e.g. autonomous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위한 삽입 가능한 로봇은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수용된 안내 튜브(50)를 가지는 튜브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튜브(50)는 만곡된 작업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튜브(50)는, 만곡된 작업 단부가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구속되어 만곡된 작업 단부가 더 작은 치수를 달성하도록,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병진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어레이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튜브 어레이가 삽입된 때, 상기 안내 튜브(50)의 만곡된 작업 단부는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전방으로 병진이동되어 미리 형성된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외과시술용 도구는 수술을 위해 안내 튜브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직선화 튜브는 튜브 어레이의 삽입 및 제거 중에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가 일시적으로 직선화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삽입가능 로봇
본 발명은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외과시술용 기구들과 관련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동심 튜브 로봇 조립체들을 사용하는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위한 도구들과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계 로봇들을 이용한 최소 침습 외과시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은 의학의 발전하는 분야이다. 내시경, 절제경과 같은 종래의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 내의 절개부 또는 환자의 신체 내의 자연적인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원위 팁(distal tip)을 포함한다. 원위 팁은 신체 내부에 배치된 때 외과의사가 원위 팁에 근접한 시야를 볼 수 있게 하는 광학 렌즈를 포함한다.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수술실 모니터에 시야를 표시하기 위해 내시경에 부착된 카메라를 가질 것이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내시경은 내시경의 원위 팁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작업 채널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세장형(elongated) 외과시술용 도구들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절단 장치, 바스켓 또는 레이저 광학장치와 같은 도구가 외과시술용 도구에 포함될 수 있다. 외과시술용 도구의 원위 팁은 장치의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에 의해 외과의사가 수술 중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도구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내시경 또는 절제경의 좁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사용되는 종래의 외과시술용 도구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제한되며, 특히 최대 유효 외경이 제한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신체 내부의 외과시술 부위에 도달하기 위해 작업 채널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도구들은 내시경 또는 절제경의 작업 채널의 구멍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외경이 충분히 작아야 한다. 내시경 또는 절제경의 작업 채널 직경은 일반적으로 대략 1 내지 20mm 범위에 있지만, 장치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이 범위를 벗어나 상이한 내경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외과시술용 도구는 채널을 통해 원활하게 삽입되어 외과시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사하거나 더 작은 유효 외경을 포함해야 한다.
외과시술 중에, 외과시술용 도구를 교체해야 할 필요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섬유는 작업 채널을 통해 내시경 또는 절제경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기계적 매니퓰레이터는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매니퓰레이터들은 외과의사가 내시경을 실제로 움직이지 않고 내시경의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된 외과시술용 도구의 원위 단부를 움직일 수 있게 허용한다. 이는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환자의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술 중에 외과시술용 도구가 변경될 때, 첫 번째 도구는 환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업 채널 밖으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두 번째 도구는 환자를 향한 방향으로 작업 채널 내부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두 번째 도구는 작업 도구의 원위 단부가 외과시술 부위를 향해 전진하는 위치에 있을 때까지 삽입된다. 그러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외과시술용 도구의 원위 단부가 크게 만곡되거나, 또는 원위 단부가 크게 확장된 프로파일을 가진 경우에, 두 번째 도구는 작업 채널 내부에 적절하게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만곡되거나 또는 큰 프로파일 팁을 가진 외과시술용 도구를 환자를 향해 작업 채널에 삽입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은 로봇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과 방법들의 개선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로부터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 샤프트를 제거하지 않고 외과시술 중에 사용자가 외과시술용 도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시술용 로봇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게 만곡된 작업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좁은 작업 채널을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시술용 로봇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직선이거나 약간 만곡된 작업 채널 내부로 또는 밖으로 튜브 어레이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외과시술 절차 중에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는 통합 외과시술용 도구를 가진 모듈식 튜브 어레이를 포함하는 외과시술용 로봇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과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직선화 튜브(straightening tube) 내부에 수용된 만곡된 작업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를 포함하는 외과시술용 로봇 장치를 포함하며, 직선화 튜브는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화시켜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가 결합된 조립체로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샤프트의 작은 직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립체는 외과시술용 도구에 더하여 안내 튜브를 통과하는 내부 튜브와 같은 추가적인 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채널 내부에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의 삽입에 뒤이어, 안내 튜브는 만곡된 작업 단부가 직선화 튜브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자연적으로 편향된 만곡된 방향을 취할 수 있도록 직선화 튜브를 통해 환자의 신체를 향해 축방향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레이저 광학장치, 절단 도구, 겸자들, 바스켓 또는 다른 기구와 같은 외과시술용 도구는 안내 튜브를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안내 튜브의 원위 팁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안내 튜브의 곡률은, 종래의 직선형 외과시술용 도구들과 비교할 때, 외과의사가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외과시술용 도구의 움직임의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안내 튜브는, 외과시술용 도구를 원하는 조직으로 조종하는 절차 중에 안내 튜브가 병진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트랜시미션에 결합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동심 튜브 로봇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를 가진 튜브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튜브는 만곡된 작업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튜브는 만곡된 작업 단부가 직선화 튜브 내부에 수용되어 직선화 튜브에 의해 구속되도록 직선화 튜브에 대하여 병진이동되고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튜브 어레이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좁은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트랜스미션은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튜브 어레이에 결합되며, 수술 중에 완전한 유닛으로서 외과시술용 로봇에 설치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청구항들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된 엔드 이펙터를 가진 외과시술용 도구를 포함하는 내시경의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렌즈와 렌즈 아래에 개방된 작업 채널을 가진 내시경 원위 팁의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된 외과시술용 도구와 엔드 이펙터를 가진 도 2a의 내시경의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상세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된 분리된 동심 튜브 매니퓰레이터 조립체를 가진 내시경의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만곡된 원위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원위 단부가 직선화 튜브 내부에 위치하는 안내 튜브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안내 튜브의 만곡된 원위 단부의 부분이 직선화 튜브 내부에 수용되어 직선화 튜브에 의해 직선화되도록 직선화 튜브 내부에 위치하는 도 5의 안내 튜브의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직선화 튜브 내부에 수용된 만곡된 원위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만곡된 원위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작업 채널을 통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작업 채널을 통해 준비 위치로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안내 튜브와 외과시술용 도구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안내 튜브와 외과시술용 도구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안내 튜브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연장되고, 외과시술용 도구는 안내 튜브로부터 연장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안내 튜브와 외과시술용 도구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작업 채널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안내 튜브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작업 채널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외과시술용 도구는 안내 튜브로부터 연장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작업 채널을 통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도록 배치된 축방향 정지부를 가지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축방향 정지부가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는, 도 16의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축방향 정지부는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고, 안내 튜브와 외과시술용 도구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연장된, 도 16과 17의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축방향 정지부는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고, 안내 튜브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연장되며, 외과시술용 도구는 안내 튜브로부터 연장된, 도 16, 17 및 18의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작업 채널을 통해 부분적으로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도록 배치된 축방향 정지부를 가지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된 직선화 튜브, 안내 튜브 및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를 포함하며, 축방향 정지부가 직선화 튜브의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제한하는, 도 20의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안내 튜브 병진이동 및 회전 구동부들과 외과시술 도구 병진이동 및 회전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결합된 외과시술용 도구, 안내 튜브 및 직선화 튜브를 가진 로봇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작업 채널 내부로의 삽입을 위한 트랜스미션을 가진 튜브 어레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작업 채널의 근위 단부에 삽입 포트를 가진 내시경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샤프트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광학 렌즈를 포함하는 절제경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부분 26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1 및 제2 작업 채널들과 튜브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제1 및 제2 작업 채널들과 튜브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제1 및 제2 작업 채널들 내에 위치하며 각각 대응되는 직선화 튜브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 만곡된 작업 단부를 가지는 제1 및 제2 튜브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외과시술용 로봇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과 방법들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도면들이 도시된다. 도면들에서, 명료함을 위해 각각의 도면에 모든 참조 번호가 포함된 것은 아니다. 도면들에 도시된 장치들은 청구된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들로서 포함된다. 당업자는 청구된 발명의 장치들과 방법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상이한 구성들과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위한 삽입 가능한 동심 튜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기존의 최소 침습 외과시술 중에,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과 같은 외과시술용 기구는 작은 절개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된 원위 팁을 포함한다. 절단 도구, 프로브, 겸자, 바스켓, 레이저 섬유와 같은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는 외과시술용 도구 또는 다른 외과시술용 도구는 환자 조직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 원위 팁으로부터 돌출된다. 원위 팁 부근에 위치한 광학 렌즈는 외과의사가 수술 중에 체내에서 진행되는 외과시술용 도구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내시경 장치(10)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10)는 원위 단부(14)와 근위 단부(16)를 가진 길이방향 샤프트(12)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12)는 하나 이상의 외과시술용 기구들(20)의 통과를 허용하는 중공형 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과시술용 기구(20)는 도 1에 도시된 원위 도구 단부(26)에 배치된, 절단 도구 또는 겸자와 같은, 엔드 이펙터(22)를 가진 외과시술용 도구를 포함한다. 상기 외과시술용 기구(20)는 일 단부에 도구 액추에이터(24)와 도구 액추에이터로부터 연장된 도구 샤프트(28)를 포함한다. 상기 도구 샤프트(28)는 원위 도구 단부(26)와 엔드 이펙터(22)가 상기 장치(10)의 원위 단부(14)의 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내시경 장치(10)의 길이방향 샤프트(12) 내에 삽입된다.
외과시술 중에, 상기 장치(10)의 원위 단부(14)는 원위 도구 단부(26) 및 엔드 이펙터(22)와 함께 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된다. 그 다음, 상기 도구 액추에이터(24)는, 예를 들어 신체 내부로부터 환자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엔드 이펙터(22)를 작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 절차 중에, 외과시술용 기구(20)는 도구 샤프트가 길이방향 샤프트(12) 내에서 병진이동하도록 외과시술용 도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치(10)에 대해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장치(10)의 원위 단부(14)에 대해 엔드 이펙터(22)의 길이방향 위치를 이동시킨다. 추가적으로, 외과시술용 기구(20)는 샤프트(12)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각(angularly)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엔드 이펙터(22)가 상기 장치(10)의 원위 단부(14)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최소 침습 외과시술 중에, 수술을 받는 조직에 대한 엔드 이펙터(22)의 위치를 외과의사가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내시경 장치(10)는, 카메라 또는 광학장치가 도구 샤프트(28)와 나란히 길이방향 샤프트(12)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장치(10) 내부에 삽입되기 위한 광학 포트(optical port)(30)를 포함한다.
종래의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튜브형, 중공형 길이방향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4)의 일례가 도 2a와 2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12)는 원위 단부(14)에 단부 개구(19)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후드(hood)(15)가 단부 개구(19)를 둘러싼다. 작업 채널(18)은 길이방향 샤프트(12)의 중공형 내부를 통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도구들은 단부 개구(19)를 향해 작업 채널(18)을 통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광학 렌즈(32)는 단부 개구(19) 부근에 위치한다. 상기 광학 렌즈(32)는 외과의사에게 이미징(imaging)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광섬유(34)에 결합된다. 광섬유(34)는 길이방향 샤프트(12)의 작업 채널(18)을 통해 연장된다.
또한,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구 샤프트(28)는 작업 채널(18)을 통해 길이방향 샤프트(12)의 원위 단부(14)에 있는 단부 개구(19)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도구 샤프트(28)는 엔드 이펙터(22)를 작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원위 도구 단부(26)를 축방향으로 또는 도구 샤프트 축(29)에 대해 각을 이루어 이동시키기 위해 외과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또는 로봇식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외과의사에 의해 원격 조종될 수 있는 외과시술용 기구의 부분이다. 추가적으로, 절차 중에, 도구 샤프트(28)는 또한 수동으로 또는 도구 샤프트(28)에 결합된 기계식 트랜스미션 링키지를 사용하여 도구 샤프트 축(29)을 중심으로 각 회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부 개구(19)로부터 돌출된 2개의 외과시술용 도구들(20a, 20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도구는 하나 이상의 동심 튜브들(25a, 25b, 25c, 25d)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는 엔드 이펙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외과의사가 엔드 이펙터들을 외과시술 부위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 동심 튜브 구성들은, 각각의 튜브의 곡률에 의해 초래된 각각의 동심 튜브 작업 단부의 비교적 큰 유효 직경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고정되고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외과시술용 로봇들을 위한 종래의 동심 튜브 조립체들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 내의 작은 직경의 작업 채널을 통한 삽입 및 제거에 의해 교체되도록 수정될 수 없다.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작업 채널을 통해 외과시술용 도구를 안내하기 위한 세장형(elongated) 튜브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다양한 튜브들은 축척에 맞춰 그려진 것이 아니며,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종횡비들, 길이들, 내경들, 외경들, 벽 두께들 및 곡률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튜브들은 실제로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을 취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안내 튜브(50) 또는 내부 튜브가 도 4 도시되어 있다. 안내 튜브(50)는 안내 튜브 몸체(52)와, 안내 튜브 몸체(52)의 원위 단부에 있는 만곡된 작업 단부(54)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50)는 중공형 내부를 포함하며 금속 또는 금속 합금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안내 튜브(50)는 니켈-티타늄 또는 니티놀(Nitinol) 합금을 포함한다. 안내 튜브(50)는 일반적으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원위 팁에서 외과시술 부위의 원하는 위치로 외과시술용 도구를 조종하는 데 사용된다. 외과시술용 도구는 안내 튜브(50) 내부에 축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외과시술용 엔드 이펙터는 안내 튜브 원위 단부 개구(56)를 통해 생체 내에서 전개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튜브(50)의 만곡된 작업 단부(54)는 원하는 곡률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미리 성형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만곡된 작업 단부(54)의 곡률 프로파일은 광학 렌즈(32)의 시야에서 외과시술용 엔드 이펙터의 최대 조종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된다.
안내 튜브(50)에 만곡된 작업 단부(54)를 가지는 것의 하나의 단점은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54)의 곡률 프로파일로 인해 안내 튜브(50)가 유효 외부 치수 또는 유효 직경(W)을 가진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적용예들에서, 안내 튜브 유효 직경(W)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대응되는 작업 채널 내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만곡된 작업 단부(54)를 가진 안내 튜브(50)를 작업 채널을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외부 튜브 또는 직선화 튜브(60)는 안내 튜브(5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직선화 튜브(60)는 중공형 내부를 가진 원통형 튜브를 포함한다. 직선화 튜브(60)의 내경은 안내 튜브(50)가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밀접하게 맞으면서도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여전히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할 수 있고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 튜브(5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 튜브(60)는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 개구(68)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50)는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 개구(68) 내에 수용된다.
안내 튜브(50)의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직선화 튜브(60) 내부로 병진이동할 때, 만곡된 작업 단부(54)는 편향된 만곡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 튜브 축(51)을 향해 굴절 또는 변형된다. 안내 튜브(50)의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완전히 안착된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 원위 단부 개구(56)는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위치에서, 만곡된 작업 단부(54)도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상당히 직선화되도록 직선화 튜브에 의해 구속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와 만곡된 작업 단부(54)의 전체 유효 외경(D)은 직선화 튜브(6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만곡된 작업 단부(54)는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가 약간 휘어지게 한다. 그러나, 직선화 튜브에 가해지는 변형은 일반적으로 직선화 튜브(60)가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50)는 직선화 튜브(66)의 원위 단부로부터 만곡된 작업 단부(54)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직선화 튜브(60)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안내 튜브(50)가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하여 작업 단부(54)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 밖으로 돌출됨에 따라, 만곡된 작업 단부(54)는 직선화 튜브 축(62)으로부터 멀어지는 미리 만곡된 편향된 위치로 복귀한다. 안내 튜브 원위 단부 개구(58)의 방향은 안내 튜브(50)의 정확한 병진이동과 회전 및 직선화 튜브(60)에 의해 제어된다.
도 9와 10을 참조하면, 안내 튜브(50)는 안내 튜브 본체(52)와,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수용된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 조립체(50, 60)는 함께 상기 조립체가 작업 채널 내측 벽(17)에 의해 형성된 작업 채널(1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작업 채널(18)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길이방향 샤프트(12) 내에 형성된 내부 작업 채널 직경(38)을 포함한다. 작업 채널(18)은 작업 채널의 원위 팁(tip)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19)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 조립체(50, 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채널을 통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 조립체(50, 60)의 삽입 중에,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와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를 가진 외과시술용 도구도 안내 튜브(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 조립체(50, 60)의 삽입 중에,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는 몇몇 적용예들에서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 조립체(50, 60)는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가 작업 채널 원위 단부(19)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작업 채널(18)을 통해 삽입된다. 이 위치에서,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도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 및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준비 위치에서, 직선화 튜브(60)의 전방 병진이동은 제한되지만, 안내 튜브(50)와 외과시술용 도구(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된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의 전방 병진이동은 수동 액추에이터 또는 튜브들에 결합된 전기-기계식 트랜스미션 링키지에 의해 제어된다.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가 직선화 튜브의 원위 단부에 있는 개구 밖으로 축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안내 튜브(50)의 만곡된 작업 단부(54)는 바람직한 편향된 위치에서 미리 성형된 곡률로 복귀한다. 몇몇 적용예들에서,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는 안내 튜브와 외과시술용 도구의 조작을 더 실행하기 위해 작업 채널 원위 단부(19)를 넘어서 외과시술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내 튜브 각도(53)는 직선화 튜브(60)에 대한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의 축방향 위치의 함수이다. 안내 튜브(50)가 직선화 튜브(60)로부터 멀어지면서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 안내 튜브 각도(53)는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완전히 편향된 곡률 프로파일을 취할 때까지 증가한다. 안내 튜브(50)가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후퇴할 때,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직선화 튜브(60) 내부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몇몇 실시예들에서 안내 튜브 각도(35)는 0의 한계를 향해 감소한다.
안내 튜브(50)가,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로 병진이동 및 회전할 때, 안내 튜브(50)를 통해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를 축방향으로 병진이동시킴으로써 외과시술용 도구(20)가 전개될 수 있다.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의 이러한 병진이동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가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를 넘어서 돌출되도록 한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는 안내 튜브(5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병진이동할 수 없도록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에 고정된다.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튜브는,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를 원하는 위치로 조종하기 위해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의 축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안, 후속적으로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될 수 있다.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안내 튜브(50)를 회전 및 병진이동시키는 능력은 안내 튜브(50)에 대해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를 병진이동시키는 능력과 결합되어 렌즈(32)의 시야 내에서 외과시술용 엔드 이펙터의 조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중 자유도를 가진 기술 해법을 제공한다.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면, 몇몇 적용예들에서,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와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의 축방향 병진이동을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방향 정지부(stop)(80)는 직선화 튜브(60) 상에 배치되거나 직선화 튜브(60)에 연결될 수 있다.
축방향 정지부(80)는 직선화 튜브(60)의 근위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환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축방향 정지부(8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가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 장치의 대응되는 기계적 구조물과 간섭된다. 직선화 튜브(6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축방향 정지부(80)와 맞물리는 구조물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작업 채널(82)의 근위 단부 상의 어깨부(shou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 정지부(80)가 작업 채널 근위 단부에 접근하여 접촉 위치(84)에 접촉할 때, 직선화 튜브(60)의 전방 이동이 정지된다. 직선화 튜브(60)가 축방향 정지부(80)에 의해 전진 이동이 제한된 위치로부터, 안내 튜브 근위 단부(52)는 정지된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전방으로 자유롭게 전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만곡된 작업 단부(54)와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 밖으로 함께 전진하도록 허용된다.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가 원하는 방향에 도달한 때,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를 전방으로 병진이동시킴으로써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는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는 외과시술용 도구 샤프트(28)의 병진이동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안내 튜브(54)에 대해 후퇴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도 20과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 튜브(60)의 축 방향 정지부(80)는 안내 튜브(50)와 직선화 튜브(60)의 축방향 전방 병진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작업 채널 외부의 구조물(83)에 접한다. 축방향 정지부(80)가 구조물(83)에 접촉한 때, 직선화 튜브(60)의 전방 병진이동은 정지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축방향 정지부(80)와 구조물(83)의 상대적 위치는, 접촉이 이루어질 때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와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가 작업 채널 원위 단부(19)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이 위치로부터, 안내 튜브(50)는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연장시키고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를 전개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몇몇 적용예들에서, 외과시술 절차 중에, 장치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을 제거하지 않고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되는 동안, 작업 채널을 통해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으로부터 외과시술용 도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술의 상이한 단계를 위해 상이한 외과시술용 도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튜브 어레이에 결합된 트랜스미션(92)을 포함하는 동심 튜브 로봇 장치(90)를 제공한다. 튜브 어레이는 직선화 튜브(60) 내부에 수용된 만곡된 작업 단부(54)를 가진 안내 튜브(50)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50)는 튜브 어레이가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되거나 작업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직선화 튜브(6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화된다.
동심 튜브 로봇 장치(90)는 또한 샤프트와 안내 튜브(50) 내에 수용된 엔드 이펙터를 가진 외과시술용 도구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50)는 직선화 튜브(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병진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 안내 튜브(50)는 안내 튜브 병진이동 구동부(94a) 및 안내 튜브 회전 구동부(96a)에 의해 구동된다. 안내 튜브 병진이동 구동부(94a)와 안내 튜브 회전 구동부(96a) 각각은 트랜스미션(92) 내부의 안내 튜브(50)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안내 튜브 병진이동 구동부(94a)는 직선화 튜브(60)에 대한 안내 튜브(50)의 축방향 병진이동을 제어한다. 안내 튜브 회전 구동부(96a)는 직선화 튜브(60)에 대한 안내 튜브(50)의 각 회전(angular rotation)을 제어한다. 각각의 안내 튜브 구동부는 수동으로 또는 기어 박스 또는 모터와 같은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22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트랜스미션(transmission)(92)은 또한 외과시술용 도구 병진 이동 구동부(94b)와 외과시술용 도구 회전 구동부(96b)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50)에 대한 외과시술용 도구(20)의 축방향 병진이동 및 회전은 각각 병진이동 및 회전 구동부(94b, 96b)에 의해 제어된다.
외과시술용 도구를 변경하고자 원할 때,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제거 가능한 동심 튜브 로봇 장치(90)는, 튜브 어레이를 작업 채널 밖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장치로부터 단일 유닛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제거 중에, 직선화 튜브(60)는 길이방향 작업 채널을 통한 튜브 어레이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충분히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구속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2 동심 튜브 로봇 장치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의 근위 단부에 있는 삽입 포트(72)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삽입 포트(72)는 동심 튜브 로봇 장치(90)에 튜브 어레이와 외과시술용 도구 조립체의 삽입을 위한 개구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삽입 포트(72)는 제1 및 제2 램프들(ramps)(74a, 74b)을 포함하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삽입 포트(72)는 튜브 어레이의 원위 팁을 작업 채널(18) 내부로 그리고 작업 채널(18)을 통해 삽입하기 위해 작업 채널 길이방향 축(36)을 따라 적절한 위치로 공급하도록 형상화된 축대칭 깔때기를 포함한다.
도 25와 26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내시경, 절제경 또는 투관침은 중공형 내부를 가진 샤프트(12)를 포함한다. 샤프트(12)는 샤프트(12)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렌즈(rod rens) 또는 광섬유와 같은 광학 요소(34)를 수용한다. 대안으로서, 광학 요소(34)는 렌즈(32)를 포함하는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에 위치한 칩-팁(chip-tip) 유형의 카메라에 대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작업 채널은 광학 요소(34) 아래의 샤프트의 내부 영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작업 채널은 캐뉼러 내에, 또는 샤프트(12)의 중공형 내부에 위치한 작업 채널 인서트(17a) 내에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적용예들에서, 렌즈(32)의 시야 내에 위치한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 26b)를 가진 2개의 외과시술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외과시술용 도구는 대응되는 안내 튜브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와 도구 샤프트(28a)는 제1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a)로부터 연장된다. 제2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b)와 도구 샤프트(28b)는 제2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b)로부터 연장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튜브 어레이들은 작업 채널 인서트 원위 단부(19a)를 가진 작업 채널 인서트(17a) 내에 형성된 별도의 작업 채널들 내에 위치한다. 제1 튜브 어레이는 작업 채널 인서트(17a)의 원위 단부(19a)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1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a)를 가진 직선화 튜브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튜브 어레이는 작업 채널 인서트(17a)의 원위 단부(19a)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b)를 가진 직선화 튜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들(66a, 66b)은 작업 채널 인서트의 원위 단부에 있는 작업 채널 개구들로부터 연장되지 않는다. 제1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a)는 제1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a)로부터 돌출되고, 제2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b)는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b)로부터 돌출된다. 각각의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는 회전 및 병진이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는 제1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a) 내부로 또는 밖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고, 제2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b)는 제2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54b) 내부로 또는 밖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튜브 어레이들을 가진 샤프트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가 도 27과 28에 도시되어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작업 채널(18a)에 제1 튜브 어레이(40a)가 삽입되고, 제2 작업 채널(18b)에 제2 튜브 어레이(40b)가 삽입된다. 제1 및 제2 튜브 어레이들(40a, 40b)은 각각 직선화 튜브(60a, 60b), 안내 튜브(50a, 50b) 및 외과시술용 도구(20a, 2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튜브 어레이들(40a, 40b)는 서로 독립적으로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1 튜브 어레이(40a)의 제1 직선화 튜브(60a)는 제1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a)가 작동 채널 원위 단부(19)와 정렬되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위치로부터, 제1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a)와 제1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는 제1 만곡된 작업 단부와 제1 외과시술용 도구 단부 이펙터를 전개하기 위해 제1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a)를 넘어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튜브 어레이(40b)의 제2 직선화 튜브(60b)는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b)가 작업 채널 원위 단부와 정렬되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위치로부터, 제2 안내 튜브 원위 단부(56b)와 제2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b)는 제2 만곡된 작업 단부와 제2 외과시술용 도구 단부 이펙터를 전개하기 위해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66b)를 넘어서 병진이동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최소 침습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샤프트 라이너(13)를 포함하는 샤프트(12)를 포함한다. 샤프트(12)와 샤프트 라이너(13) 사이에 플리넘(plenum)이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플리넘(21)은 흡입 또는 관개(irrigation)를 위한 덕트로서 사용된다. 제1 및 제2 작업 채널들(18a, 18b)은 샤프트 내부에 형성된다. 제1 튜브 어레이는 제1 작업 채널(18a) 내에 삽입되고, 제2 튜브 어레이는 제2 작업 채널(18b) 내에 삽입된다. 제1 튜브 어레이는 제1 직선화 튜브(60a)와 제1 직선화 튜브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제1 안내 튜브(50a)를 포함한다. 제1 안내 튜브는 제1 직선화 튜브(60a)에 대해 축방향으로 병진이동 가능하고 각 회전할 수 있는 제1 만곡된 작업 단부(54a)를 포함한다. 제1 안내 튜브(50a)는 제1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의 위치를 조종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한다. 제1 안내 튜브(50a)의 축방향 위치와 각 위치에 따라, 제1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a)는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밀하게 재배치될 수 있다.
제2 튜브 어레이는 제2 직선화 튜브(60b)와 제2 직선화 튜브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제2 안내 튜브(50b)를 포함한다. 제2 안내 튜브는 축방향으로 병진이동 가능하고 각 회전할 수 있는 제2 만곡된 작업 단부(54b)를 포함한다. 제2 안내 튜브(50b)는 제2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b)의 위치를 조종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한다. 제2 안내 튜브(50b)의 축방향 위치와 각 위치에 따라, 제2 외과시술용 도구 원위 단부(26b)는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밀하게 재배치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들(66a, 66b)은 제1 및 제2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들(19)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는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직선화 튜브 원위 단부들(66a, 66b)은 제1 및 제2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19)를 약간 넘어서 연장되지만, 후드(15)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지는 않는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외과시술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a) 만곡된 팁을 가진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를 포함하는 동심 튜브 로봇을 제공하는 단계; (b) 안내 튜브의 만곡된 팁을 직선화 튜브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를 함께 내시경 샤프트의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d)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전개시키기 위해 직선화 튜브에 대해 안내 튜브를 병진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외과시술용 도구를 안내 튜브 만곡된 작업 단부를 통해 외과시술 부위로 병진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외과시술용 도구를 재배치하기 위해 직선화 튜브에 대해 안내 튜브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직선화 튜브 내부로 후퇴시키는 단계와 튜브 조립체를 작업 채널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로봇 외과시술을 위한 새롭고 유용한 장치들과 방법들에 대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언급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서 제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외과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샤프트로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형성된 길이방향 작업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채널은 근위 단부 개구를 가진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개구를 가진 원위 단부를 가지는, 샤프트; 및
    상기 길이방향 작업 채널 내부로 축방향 삽입을 위해 구성된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로서, 상기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는 만곡된 작업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guide tube)와 직선화 튜브(straightening tube)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는 상기 직선화 튜브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된 휴지 방향(resting orientation)을 가지는,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가 상기 직선화 튜브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직선화 튜브는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상기 직선화 튜브의 길이방향 축을 향해 그 휴지 방향으로부터 멀어지게 강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는 상기 작업 채널의 근위 단부 개구 내부에 축방향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가 상기 작업 채널 내에 있을 때, 상기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의 유효 외경은 상기 작업 채널의 내경보다 작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상기 직선화 튜브에 대해 병진이동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상기 작업 채널에 대해 각 회전 가능한(angularly rotatable),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 내부에 배치된 외과시술용 도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시술용 도구는 상기 안내 튜브에 대해 병진이동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시술용 도구는 상기 안내 튜브에 대해 각 회전 가능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가능한 튜브 조립체에 배치된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안내 튜브에 결합된 병진이동 구동부와 상기 안내 튜브에 결합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장치.
  10. 외과시술용 로봇 장치로서:
    내경을 가진 길이방향 작업 채널을 가지는 내시경으로서, 상기 작업 채널은 근위 단부 개구와 원위 단부 개구를 포함하는, 내시경;
    상기 근위 단부 개구를 통해 상기 작업 채널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튜브 어레이;
    상기 튜브 어레이에 배치된 원위 단부를 가진 안내 튜브로서, 상기 안내 튜브는 상기 안내 튜브의 원위 단부에 만곡된 작업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튜브가 휴지 방향(resting orientation)에 있을 때, 상기 만곡된 작업 단부는 상기 작업 채널의 내경보다 큰 미리 성형된 제1 유효 직경을 가지는, 안내 튜브; 및
    상기 안내 튜브 상에 배치된 직선화 튜브로서, 상기 안내 튜브는, 상기 튜브 어레이가 상기 작업 채널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만곡된 작업 단부가 상기 직선화 튜브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직선화 튜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직선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화 튜브는 상기 직선화 튜브 내부의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상기 제1 유효 직경보다 작은 제2 유효 직경으로 기계적으로 변형시키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가 상기 직선화 튜브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안내 튜브를 통해 축방향으로 배치된 외과시술용 도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화 튜브와 안내 튜브가 상기 작업 채널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제2 유효 직경은 상기 작업 채널의 내경보다 작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시술용 도구는 외과시술 중에 상기 안내 튜브에 대해 병진이동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시술용 도구는 외과시술 중에 상기 안내 튜브에 대해 회전으로 각 이동 가능한(angularly moveable),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외과시술 중에 상기 직선화 튜브에 대해 병진이동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외과시술 중에 상기 작업 채널에 대해 회전으로 각 이동 가능한, 장치.
  17. 외과시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만곡된 팁을 가진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를 포함하는 동심 튜브 로봇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팁을 상기 직선화 튜브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안내 튜브와 직선화 튜브를 하나의 튜브 어레이로서 함께 내시경 샤프트의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d)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환자의 신체 내부에 전개시키기 위해 상기 직선화 튜브에 대해 상기 안내 튜브를 병진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외과시술용 도구를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통해 외과시술 부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외과시술 중에 상기 외과시술용 도구를 재배치하기 위해 상기 안내 튜브를 상기 작업 채널에 대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의 만곡된 작업 단부를 상기 직선화 튜브 내부로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채널로부터 제1 동심 튜브 로봇을 제거하고, 상이한 외과시술용 도구를 가진 제2 동심 튜브 로봇을 상기 작업 채널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01955A 2019-06-19 2020-06-19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삽입가능 로봇 KR20220038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46,202 US11628020B2 (en) 2019-06-19 2019-06-19 Insertable robo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16/446,202 2019-06-19
PCT/US2020/038784 WO2020257679A1 (en) 2019-06-19 2020-06-19 Insertable robo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674A true KR20220038674A (ko) 2022-03-29

Family

ID=7403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955A KR20220038674A (ko) 2019-06-19 2020-06-19 최소 침습 외과시술용 삽입가능 로봇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628020B2 (ko)
EP (1) EP3986303A4 (ko)
JP (1) JP7486267B2 (ko)
KR (1) KR20220038674A (ko)
WO (1) WO2020257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41029A1 (en) * 2021-02-02 2022-08-04 Virtuoso Surgical, Inc. Concentric tube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7346624B2 (ja) * 2021-02-03 2023-09-19 宏碩 高 外科器具を有する内視鏡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内視鏡システム
WO2022187705A1 (en) * 2021-03-04 2022-09-09 Covidien Lp Endoscope or catheter assemblies including two or more exit ports
US20220280135A1 (en) * 2021-03-04 2022-09-08 Covidien Lp Endoscope or catheter assemblies including two or more exit ports
CN113303914B (zh) * 2021-06-23 2022-10-25 山东大学 一种经鼻腔进行颅底肿瘤切除的微创手术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017A (en) 1988-04-29 1990-06-19 C. R. Bard, Inc. Variable shaped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catheterization
US6623449B2 (en) 1991-07-15 2003-09-23 Larry D. Paskar Catheter with up-going and down-going configurations
US5704892A (en) 1992-09-01 1998-01-06 Adair; Edwin L. Endoscope with reusable core and disposable sheath with passageways
US5971767A (en) 1996-09-16 1999-10-26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amination
EP1459691A1 (en) 1996-10-23 2004-09-22 Oratec Interven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US5876373A (en) 1997-04-04 1999-03-02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Steerable catheter
WO1998048713A1 (en) 1997-04-30 1998-11-05 C.R. Bard, Inc. Directional endoscopic surgical device
US5921915A (en) * 1997-04-30 1999-07-13 C.R. Bard, Inc. Directional surgical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gastroscope, colonoscope or the like
US7090683B2 (en) 1998-02-24 2006-08-15 Hansen Medical, Inc. Flexible instrument
US20020087048A1 (en) 1998-02-24 2002-07-04 Brock David L. Flexible instrument
US6096004A (en) 1998-07-10 2000-08-0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Master/slave system for the manipulation of tubular medical tools
US6325808B1 (en) 1998-12-08 2001-12-04 Advanced Realtime Control Systems, Inc. Robotic system, docking station, and surgical tool for collaborative control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7637905B2 (en) 2003-01-15 2009-12-29 Usgi Medical, Inc. Endoluminal tool deployment system
US6800056B2 (en) 2000-04-03 2004-10-05 Neoguide Systems, Inc. Endoscope with guiding apparatus
US6602288B1 (en) 2000-10-05 2003-08-0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nimally-invasive annuloplasty repair segment delivery template,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2191571A (ja) 2000-12-26 2002-07-09 Hisayuki Mukai 電極カテーテル
US7766894B2 (en) 2001-02-15 2010-08-03 Hansen Medical, Inc. Coaxial catheter system
US6755812B2 (en) 2001-12-11 2004-06-29 Cardiac Pacemakers, Inc. Deflectable telescoping guide catheter
US7235062B2 (en) * 2002-01-24 2007-06-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loating gel seal
US7717899B2 (en) 2002-01-28 2010-05-18 Cardiac Pacemakers, Inc. Inner and outer telescoping catheter delivery system
US7115134B2 (en) 2002-07-22 2006-10-03 Chambers Technology, Llc. Catheter with flexible tip and shape retention
US20040039371A1 (en) 2002-08-23 2004-02-26 Bruce Tockman Coronary vein navigator
US7766904B2 (en) 2003-01-31 2010-08-03 Iridex Corporation Adjustable laser probe for use in vitreoretinal surgery
EP1906858B1 (en) 2005-07-01 2016-11-16 Hansen Medical, Inc. Robotic catheter system
JP2009514610A (ja) 2005-11-08 2009-04-09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ボストン ユニバーシティ 複数の変形可能な細長い部材を用いたマニピュレータ
CN101351236B (zh) 2005-11-15 2013-05-29 约翰霍普金斯大学 一种用于生物感应和外科手术的活性套管
US8190238B2 (en) 2005-12-09 2012-05-29 Hansen Medical, Inc. Robotic catheter system and methods
US8021293B2 (en) 2006-01-13 2011-09-2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treatment endoscope
US8219177B2 (en) 2006-02-16 2012-07-10 Catholic Healthcare West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invasive medical procedures using a surgical robot
EP2037794B1 (en) 2006-06-13 2021-10-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ystem
EP2038712B2 (en) 2006-06-13 2019-08-2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compensate for non-ideal actuator-to-joint linkage characteristics in a medical robotic system
US8551076B2 (en) 2006-06-13 2013-10-0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Retrograde instrument
US20080249536A1 (en) 2007-02-15 2008-10-09 Hansen Medical, Inc. Interface assembly for controlling orientation of robotically controlled medical instrument
US8620473B2 (en) 2007-06-13 2013-12-3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dical robotic system with coupled control modes
US9089256B2 (en) 2008-06-27 2015-07-2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dical robotic system providing an auxiliary view including range of motion limitations for articulatable instruments extending out of a distal end of an entry guide
US20110015490A1 (en) 2008-03-20 2011-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cannula positioning
EP3108800B1 (en) 2008-07-18 2019-01-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e with guide
RU2011115085A (ru) 2008-09-16 2012-10-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Nl)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яемого развертывания раздвижной канюли
US9386983B2 (en) 2008-09-23 2016-07-12 Ethicon Endo-Surgery, Llc Robotically-controlled motorized surgical instrument
AU2009322166A1 (en) 2008-12-04 2011-07-21 Pivot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a hip joint, including the provision and use of a novel telescoping access cannula and novel telescoping obturator
US20110251455A1 (en) 2008-12-23 2011-10-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ested cannula configuration for use with endoscope
WO2010122563A1 (en) 2009-04-23 2010-10-28 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Two-part endoscope surgical device
US9254123B2 (en) * 2009-04-29 2016-02-09 Hansen Medical, Inc. Flexible and steerable elongate instruments with shape control and support elements
US9492927B2 (en) 2009-08-15 2016-11-15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pplication of force feedback on an input device to urge its operator to command an articulated instrument to a preferred pose
US20120071752A1 (en) 2010-09-17 2012-03-22 Sewell Christopher M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obotic medical system
US8752699B2 (en) 2010-09-30 2014-06-17 Ethicon Endo-Surgery, Inc. Implantable fastener cartridge comprising bioabsorbable layers
US8394129B2 (en) 2011-03-10 2013-03-12 Interventional Spi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insertion of intervertebral implants
WO2012127462A1 (en) 2011-03-22 2012-09-27 Human Extensions Ltd. Motorized surgical instruments
US20130035537A1 (en) 2011-08-05 2013-02-07 Wallace Daniel T Roboti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WO2013074970A1 (en) 2011-11-16 2013-05-23 Vanderbilt University Motive device for use in magnetically-sensitive environments
EP2856955B1 (en) 2012-05-25 2022-11-02 FUJIFILM Corporation Endoscopic surgery device and outer sleeve tube
US9101385B2 (en) 2012-06-28 2015-08-11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de connections for rotary driven surgical tools
US20140005640A1 (en) 2012-06-28 2014-01-0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end effector jaw and electrode configurations
US9204879B2 (en) 2012-06-28 2015-12-08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drive member
JP6084296B2 (ja) 2013-02-25 2017-02-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システム
US20140277334A1 (en) 2013-03-14 2014-09-18 Hansen Medical, Inc. Active drives for robotic catheter manipulators
CA2902238A1 (en) 2013-03-15 2014-09-18 Stryker Corporation End effector of a surgical robotic manipulator
US9295514B2 (en) 2013-08-30 2016-03-29 Ethicon Endo-Surgery, Llc Surgical devices with close quarter articulation features
US10238457B2 (en) 2013-09-13 2019-03-26 Vanderbil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endoscopic deployment of robotic concentric tube manipulators for performing surgery
EP3046615B1 (en) 2013-09-22 2020-03-04 Mazor Robotics Ltd. Automatic dilator
US10688284B2 (en) * 2013-11-22 2020-06-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teering techniques for surgical instruments
US10548630B2 (en) 2014-02-11 2020-02-04 Vanderbilt Univers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design, and operation of an active cannula robot
US11273290B2 (en) 2014-09-10 2022-03-15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Flexible instrument with nested conduits
US11406409B2 (en) 2014-09-25 2022-08-09 Covidien Lp Extendable length surgical instruments
JP2017531482A (ja) 2014-09-30 2017-10-26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侵襲を最小限に抑えた外科手術のための器具
US9808240B2 (en) 2015-01-12 2017-11-07 Arthrex, Inc. Retractable cannulated suture passer and method of passing suture
KR102569960B1 (ko) 2015-09-09 2023-08-24 아우리스 헬스, 인크. 수술 로봇 시스템을 위한 기구 장치 조작기
WO2017059412A1 (en) 2015-10-02 2017-04-06 Vanderbilt University Concentric tube robot
US10307214B2 (en) 2015-11-23 2019-06-04 Vanderbilt University Modular sterilizable robotic system for endonasal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7679A1 (en) 2020-12-24
EP3986303A1 (en) 2022-04-27
US20230240769A1 (en) 2023-08-03
US11628020B2 (en) 2023-04-18
EP3986303A4 (en) 2023-06-28
US20200397516A1 (en) 2020-12-24
JP2022552042A (ja) 2022-12-15
US20230240768A1 (en) 2023-08-03
JP7486267B2 (ja)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6267B2 (ja) 低侵襲手術のための挿入可能ロボット
EP2908742B1 (en) Retrieval basket apparatus
JP4891823B2 (ja) 内視鏡装置
US20230190398A1 (en) Medical devices having three tool members
US11291514B2 (en) Medical devices having multiple blades and methods of use
JP5295860B2 (ja) 内視鏡装置
JPH08164141A (ja) 処置具
JP4145309B2 (ja) 処置具
JP2008220972A (ja) 処置具
JP2008220971A (ja) 処置具
WO2017153810A1 (en) Surgical tool
EP2777480B1 (en) Flexible shaft with multiple flexible portions
EP4117502A1 (en) Endoscope devices comprising a moveable camera
JP2005103278A (ja) 手術手技用のアプライヤー
JP6982700B2 (ja) 内視鏡用チャンネルユニット
US9687270B2 (en) Instrument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 single port technology
WO2010003248A1 (en) Endoscopic device with end effector mechanism
JP3432884B2 (ja) 内視鏡
US20220241029A1 (en) Concentric tube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4414777B2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
CA3040092A1 (en) Endoscopic multi-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