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523A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523A
KR20220038523A KR1020227008390A KR20227008390A KR20220038523A KR 20220038523 A KR20220038523 A KR 20220038523A KR 1020227008390 A KR1020227008390 A KR 1020227008390A KR 20227008390 A KR20227008390 A KR 20227008390A KR 20220038523 A KR20220038523 A KR 2022003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uplink
time unit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쉐좬 가오
쉐?G 가오
쉐밍 판
팡-정 정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203A/ko
Publication of KR202200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여 새로운 무선 통신 시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에서,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이 상기 단말의 특정 시간 단위를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와 길이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다양한 리소스 분할이 지원 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본 출원은, 2016년 09월 23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 제201610849710.0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발명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출원에 통합되어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LTE TDD 시스템에서 사용된 프레임 구조 타입 2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LTE TDD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 2(frame structure type 2, FS2)가 사용되고,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전송에서 동일한 주파수 상의 상이한 서브프레임이나 상이한 슬롯이 사용된다. 각각의 10ms 무선 프레임은 2개의 5ms 하프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프 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갖는 5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FS2의 서브 프레임은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 업 링크 서브 프레임 및 특수 서브 프레임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특수 서브 프레임은 다운 링크 파일럿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DwPTS), 가드 기간(Guard Period,GP) 및 업 링크 파일럿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 3부분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하프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 및 최대 하나의 특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이한 UL/DL 스위칭 포인트 주기와 UL/DL 할당 비율에 따라 표1에 도시된 7가지 TDD UL/DL 구조 및 표 2에 도시된 10가지 특수 서브프레임 구조가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여기서, TS는 시스템에 사용된 샘플링 시간 간격이고, X는 소정 또는 사전 구성된 값이다.
LTE 시스템에서, 상기 TDD 프레임 구조를 정의함으로써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리소스가 할당되므로, LTE 셀의 경우 하나의 TDD 프레임 구조만 구성 가능하고 UL/DL 리소스의 고정 할당만 지원 가능하다. 여기서 할당은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통지되므로 셀 내의 모든 UE들 사이에서 고정되고 공유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업 링크 리소스와 다운 링크 리소스 사이에 GP를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셀 내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 간의 간섭을 회피하고, 다운 링크에서 업 링크로 스위칭되도록 한다. GP는 각각의TDD UL/DL 구조 내의 특수 서브프레임에만 존재하며, GP 길이는 특수 서브프레임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특수 서브프레임 구조는 특수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 링크 리소스 (DwPTS 부분)에 대응하고, 업 링크 리소스(UpPTS 부분)와 혜의 길이를 포함한다. 특수 서브프레임 구조는 또한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를 통해 통지되기 때문에 셀 내의 모든 UE간에 고정되고 공유된다.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다른 단체들은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 (예 : 5G 시스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MBB,Enhanced Mobile Broadband)서비스, MMT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서비스,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공존 유형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서비스의 트래픽 양도 다를 수 있다.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트래픽이 시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모드에서 동일한 주파수 리소스를 공유할 때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와 트래픽 양에 대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유연하고 다양한 리소스 분할이 지원되어야 한다.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이 지금까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새로운 무선 통신 시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할당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또는
상기 단말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슬롯이고, 또는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개의 다운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개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제2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는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경우,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제3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4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간 단위은,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또는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은,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제6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일 단말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또는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제7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다운 링크 전송 유닛; 및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은,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제8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일 기지국은,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고, 또한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제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1 양태의 기재를 참조하면 되는 것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를 의하면,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특정 시간 단위를 구성하여 각각의 단말이 상기 단말 특정 시간 단위를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와 길이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다양한 리소스 분할이 지원 될 수 있다.
도 1은 배경 기술의 LTE 시스템에서의 FS2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의 1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 영역의 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의 2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 영역의 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의 3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 영역의 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의 제4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 영역의 분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장점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여기서 서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하여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창조력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얻은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각 UE는 특정 시간 단위 구조로 구성되어 UE가 그 특정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간 단위는 UE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축상의 시간 단위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UE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시작 위치의 일부가 동일하거나 전혀 다를 수 있다. 하나의 시간 단위는 업 링크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업 링크 (UL) 영역 및 /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DL)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간 단위는 GP 영역 (빈 영역이라고도 함)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각각의 다운 링크 영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제1 다운 링크 영역에 2개의 심볼이 포함되고, 제2 다운 링크 영역에 3개의 심볼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각각의 업 링크 영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제1 업 링크 영역에 3개의 심볼이 포함되고, 제2 업 링크 영역에 4개의 심볼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서 언급 된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심볼 일 수 있거나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심볼일 수 있으며, 물론 다른 다중 - 액세스 심볼들은 배제 할 수 없으며, 이하 동일하게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슬롯이고, 또는 하나의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슬롯이거나 또는 하나의 시간 단위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길이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서비스 또는 전송에 대해, 하나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상이한 서비스 또는 전송에 대해, 하나의 시간 단위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상이한 서비스 또는 전송에 대해,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 및 UL 영역들 간의 대응 관계는 일과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MBB 서비스인 경우, 하나의 시간 단위에 하나의 다운 링크 영역 및 하나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이 상기 업 링크 영역에 대응한다. URLLC 서비스인 경우, 하나의 시간 단위에 2개의 다운 링크 영역 및 2개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제1 다운 링크 영역이 제1 업 링크 영역에 대응하고, 제2 다운 링크 영역은 제2 업 링크 영역에 대응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21에서,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다.
S22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S23에서, 상기 단말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또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이 상기 단말의 특정 시간 단위를 사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와 길이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다양한 리소스 분할이 지원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이 다른 하나의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일 수 있으므로 시스템 리소스의 사용률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이 다른 하나의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일 수 있으므로, 시스템 리소스의 사용률을 향상시킨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S21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은 도 구현예가 있다.
<구현예 1>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면,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번호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짧은 슬롯 (mini-slot)의 번호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slot의 번호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번호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직접알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은 가장 작은 시간 영역 단위이고, mini-slot는 가장 작은 스케줄링 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심볼이 포함될 수 있고, slot는 하나 이상의 mini-slot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slot를 포함한다.
<구현예 2>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 및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포함된 시간 오프셋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포함된 시간 오프셋은 상기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의 오프셋의 심볼의 개수, 또는 mini-slot 개수, 또는 slot 개수, 서브프레임 개수 등 일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시간 오프셋이 양수이면,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가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해 이후에 배열됨을 의미한다. 시간 오프셋이 음이면, 이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가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해 앞쪽에 배열됨을 의미한다. 또는 시간 오프셋이 0이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가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와 정렬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 시그널링은 고위층 시그널링 또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전송된 구성 시그널링이며, 멀티 캐스트로 전송되거나 각각의 단말에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은 단말 특정 검색 공간(UE specific Search Space, USS)에서 전송되거나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에서 전송될 수 있다. 제1 구성 시그널링은 단 한번 전송되거나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위 방식으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대안으로 규정 또는 사전 정의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S21에서, 상기 단말은 하기 3가자 방식으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다.
<방식 1>상기 단말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은 고위층 시그널링 또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전송된 구성 시그널링이며,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거나, 멀티 캐스트로 전송되거나 각각의 단말에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은 USS에서 전송되거나 CSS에서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은 단지 한 번만 송신될 수 있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주기로 전송된 제2 구성 시그널링의 내용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전 설정된 주기에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의 일부가 포함된다. 제2 사전 설정된 주기에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의 나머지의 부분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과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은 동일한 구성 시그널링으로 전송될 수 있거나 상이하게 전송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은 이한 4가지 구현 가능한 방식을 포함한다:
방식 a:상기 제2 구성 시그널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직접 통지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에 업 링크 영역 미 다운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에 복수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고 각각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가 상이하면,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각각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제1 심볼의 번호와 상기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이거나, 또는 각각의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제1 mini-slot의 번호와 상기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mini-slot의 개수이거나, 또는 각각의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제1 slot의 번호와 상기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slot의 개수이거나, 또는 각각의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제1 서브프레임의 번호와 상기 업 링크 영역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개수이다. 다운 링크 영역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에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을 포함하는 UE의 시간 단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일부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길이와 시작 위치, 및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포함된 일부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다른 영역의 길이와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에 업 링크 영역 미 다운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길이와 시작 위치, 및 이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와 위치에 따라 이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와 위치를 결정한다.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는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길이와 시작 위치, 및 이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와 위치에 따라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의 길이와 위치를 결정한다.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과 GP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길이와 시작 위치, 및 이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의 길이와 위치에 따라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와 위치를 결정한다.
방식 b: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는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다.
이 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복수의 분할 패턴에 있어서, 여기서, 상이한 분할 패턴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길이,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및/또는 상이한 분할 패턴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길이,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이 방식에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는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의 인덱스이다. 따라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의 인덱스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이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 집합에서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및/또는 위치를 얻는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의 인덱스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이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 집합에서 대응하는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 및/또는 위치를 얻는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의 인덱스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이 인덱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 집합에서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 및/또는 위치를 얻는다.
방식 c: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를 직접 얻는다. 여기서,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시작 위치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면 되고, 블라인드 검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은 종료 위치이전의 모든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블라인드 검출하여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단말은 에너지 검출 또는 다른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를 얻을 수 있다.
방식 d: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방식 2, 상기 단말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함으로써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때, 사전 정의된 업 링크 스케줄링 타이밍 및/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서 통지된 스케줄링 타이밍 조정량 및/또는 시간 영역 위치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의 소속한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한다. 즉, 상기 영역이 바로 단말이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이다.
방식 3, 상기 단말은 다운 링크 전송의 ACK(확인 메세지)/NACK(비확인 메세지)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한다.
예로서, 단말은 사전 규정된 피드백 지연 및/또는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해야 하는 다운 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지시한 피드백 지연 조정량 및/또는 피드백 시간 영역 위치에 따라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는 n+T1이며, n는 다운 링크 전송의 소속한 영역의 번호를 나타내며, T1은 소정 피드백 지연이다. 예를 들어, T1은 k * 제1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TTI)길이, 또는 k * 제1 TTI길이 +T2로 나타내며, 제1 TTI길이는 업 링크 전송의 TTI길이일 수 있거나, 물론 다른 TTI길이가 배제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운 링크 전송의 TTI길이, k의 값은 사전 정의된 또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서 통지된 것일 수 있다. T2의 값은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서 통지된 것으로 결정되고, 피드백 지연의 조정량을 나타내며, 시간 길이의 특정 값으로서 직접적으로 나타내거나, m * 제1 TTI길이로 나타낼 수 있다.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ACK/NACK 피드백 위치의 소속한 시간 영역 위치를 업 링크 영역으로 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S13에서 상기 단말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하기 3가지 방식이 있다.
방식 1에서, 업 링크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포맷이 사용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을 수행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방식 2에서,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반영구적 스케쥴링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
방식 3에서,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동적으로 스케줄링하는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그의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이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다.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SPS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그의 스케줄링 시그널링은 이 SPS 리소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지국 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측과 동일하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31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다.
S32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한다.
S3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며, 모든 셀에 대해 동일하므로 상이한 셀 에지에 있는 단말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하게 된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여 시스템 리소스 사용률을 향상한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으로서 결정하여 시스템 리소스 사용률을 향상한다.
및/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으로서 결정하여 시스템 리소스 사용률을 향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 및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다. 상이한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다운 링크 영역 및 업 링크 영역의 개수 및/또는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예로서,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미리 A 그룹으로 분할 하고, 각 그룹의 단말의 시간 단위에서 동일한 시작 위치 및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에대햐 분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상이하다. 상이한 그룹의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와 다운 링크 영역에 대한 분할 방식은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위 임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S33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경우,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여기서,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하나의 슬롯 (slot)을 하나의 시간 단위로 하는 예로서, 하나의 slot에 7개의 OFDM심볼이 포함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2개의 slot이 포함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다른 길이의 시간 단위 정의 방식을 제외하지 않으며, 다른 정의 방식은 이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의 반복된 설명은 생략 될 것이다.
기지국 측의 동작 :
1)기지국은 단말 1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기준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로 결정하고, 단말 2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단말 1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대해 앞쪽으로 A개의 OFDM심볼을 오프셋되며, 각각의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각 단말로 동지한다.
2)기지국은 단말 1의 하나의 시간 단위를 하나의 DL 영역과 하나의 UL 영역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DL영역과 UL 영역 사이에 GP 영역(빈 영역이라고도 함)이 존재되어 있으며, UL에서의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요구를 만족 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능하게는 DL로부터 UL으로의 스위칭 기간, 인접한 셀들 사이의 간섭 및 다른 요인들을 고려한다. 처리 지연에 따라 결정된 예약 영역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단말 2의 하나의 시간 단위를 하나의 DL 영역과 하나의 UL 영역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여기서 시작 위치가 오프셋되기 때문에 단말 1의 DL영역과 UL영역은 단말 2의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되고, 단말 2의 DL과 UL영역은 단말 1의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기지국 측은 임의의 한 시간주기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스케줄링 할 수 있으므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시스템 리소스 사용률을 향상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TA 또는 시간 스위칭 또는 간섭 방지가 필요없는 경우, 도 4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GP 영역은 처리 지연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 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시간 단위 오프셋(offset)을 통해 단말 1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이 단말 2의 다운 링크 영역 또는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하고, 단말 1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이 단말 2의 업 링크 영역 또는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하도록 확보하고, 단말 2도 마찬가지다. 이리하여 복수의 단말들의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사이의 간섭없이 다수의 UE들이 동시에 동작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하나의 DL영역과 시간 단위 내의 하나의 UL영역 사이의 대응 관계를 직접 규정 또는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과 단말 2에 대해,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에서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의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것을 규정 또는 구성한다. 여기서, 이 UL영역에서의 업 링크 전송은 이 UL영역 내의 일부 OFDM또는 SC-FDMA심볼 또는 일부 mini-slot 만을 점유하고, 하나의 UL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말의 복수의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 TDM 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UL영역 길이 전체를 점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에서의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는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피드백된다. 여기서, 이 DL영역 내의 다운 링크 전송은 이 DL영역 내의 일부 OFDM심볼 또는 일부 mini-slot 만을 점유하고, 하나의 DL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말의 복수의 다운 링크 전송 TDM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UL영역 길이 전체를 점유할 수도 있다.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운반하는 업 링크 채늘은 이 UL영역 내의 일부 OFDM심볼 또는 일부 mini-slot 만을 점유하고, 하나의 UL영역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말의 복수의 ACK/NACK를 운반하는 업 링크 채널의 TDM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UL영역 길이 전체를 점유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1을 스케줄링하는 기지국은 DL 영역의 다운 링크 제어 채널 검색 공간에서 단말 1의 시간 단위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단말 1에 전송하여 단말 1이 이 DL영역에서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단말 1의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도록 스케줄링한다. 기지국이 단말 2를 스케줄링할 때, 단말 2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의 다운 링크 제어 채널 검색 공간에서 단말 2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시하여, 단말 2가 이 DL영역에서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단말 2의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시하도록 스케줄링한다.
이에 따라 단말 1과 단말 2는 구성 정보에 따라 하나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과 UL영역의 분할을 결정한다.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블라인드 검출한다. 자신의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될 때, 이 DL영역에서 대응하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 정보 (즉, AN피드백)를 생성하고, 이 DL영역에 대응하는 UL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즉, 단말 1은 단말 1의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단말 2는 단말 2의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자신의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될 때, 이 DL영역에 대응하는 UL영역에서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즉, 단말 1은 단말 1의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고, 단말 2는 단말 2의 이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에서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1과 단말2의 eMBB 서비스와 단말3의 URLLC 서비스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이 있다면, 상이한 유형의 서비스의 단말에 대해 상이한 시간 단위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URLLC 서비스를 갖는 단말에 대해, eMBB 서비스보다 많은 DL 영역들 및 UL 영역들이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DL 영역들 및 2개의 UL 영역들이 정의되고, 제1 DL영역은 제1 UL영역에 대응하고, 제2 DL영역은 제2 UL영역에 대응하고,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단말 3의 시간 단위는 단말 1의 시간 단위와 일치할 수 있고, 단말 3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DL영역이 다른 단말의 DL영역 또는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되고, 단말 3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UL영역이 다른 단말의 UL영역 또는 GP 영역과 시간적으로 중첩되어, 복수의 단말이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사이의 간섭없이 동시에 동작 할 수 있다. 그의 처리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 eMBB 서비스인 경우, 하나의 시간 단위에서 하나의 DL영역 및 UL영역을 정의 하는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물론 하나 이상의 DL 영역 및 하나 이상의 UL 영역 대안으로 시간 단위로 정의 될 수 있다. 복수의 다운 링크 영역과 복수의 다운 링크 영역이 시간 단위로 정의된 경우, 복수의 DL영역과 상기 업 링크 영역 간의 대응 관계는 미리 정의되거나 미리 설정되어야 한댜. 예를 들어, 2개의 DL 영역과 2개의 UL 영역이 시간 단위로 정의되므로, 도 4d의 URLLC 서비스와 유사한 피드백 및 스케줄링 대응 관계가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의 처리 흐름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수행 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 될 수 있으며,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호출 될 때, 상기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 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단말의 구현에 대해 참조할 수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51);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52); 및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 유닛(5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51)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51)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또는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53)은,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단말은, 송수신기(610)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송수신기(6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송수신기(610)는 프로세서(6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620)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0)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질에서 다른 다양한 장치와 통신하는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장치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30)는 주변 연결 및 내부 연결을 만족할 수 있는 장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연결된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00)버스 아키텍처를 관리하고, 통상의 운영 시스템 등을 실행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00)가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0) )는 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610)를 통해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610)를 통해 제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또는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의 ACK/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송수신기(6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송수신기(6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송수신기(6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다.
동일한 발명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고, 기지국의 과제 해결원리는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므로 기지국의 실시는 방법의 실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71);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는 다운 링크 전송 유닛(72); 및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73)을 포함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71)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71)은,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71)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73)은,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여기서,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기지국은, 송수신기(510) 및 상기 송수신기(510)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송수신기(510)를 통해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고, 또한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송수신기(510)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한다.
송수신기(510)는 프로세서(5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접속하는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를 비롯한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520)를 비롯한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장치, 전류 차단 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 종 다른 회로를 한데다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주지되는 사항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403)은 버스(400)와 송수신기(402)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 는 요소일 수 있거나, 다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다수의 요소 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시하는 단위이다. 프로세서(500)버스 아키텍처를 관리하고, 통상의 운영 시스템 등을 실행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가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CPU, ASIC, FPGA 또는 CPLD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 및 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 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송수신기(5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송수신기(5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송수신기(510)를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여기서,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 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 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특정 시간 단위를 구성하여 각각의 단말이 상기 단말 특정 시간 단위를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이한 단말의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와 길이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다양한 리소스 분할이 지원 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 내의 당업자들이 명백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하여, 본 출원은 풀 하드웨어실시예, 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방면을 결합하는 실시예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메체(디스크 메모리, CD-ROM 및 광학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방법, 디바이스(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통용 컴퓨터, 특정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부터 수행한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장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를 유도하여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하는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가독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오퍼레이션 절차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실시하는 프로세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프로세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한 명령은 흐름도의 한개 흐름 및/또는 여러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개 블록 및/또는 여러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달성하도록 마련된 절차를 제공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본 분야의 동상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은 본 출원에 대해 각종 수정 및 변경을 실행하며 또한 본 출원의 주제 및 범위를 떠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동등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8)

  1.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각각에서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의 슬롯임;
    상기 단말은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업 링크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또는
    다운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반영구적 스케쥴링(SPS)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방식 1 또는 방식 2 또는 방식 3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1 :
    상기 단말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2 :
    상기 단말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방식 3 :
    상기 단말은 다운 링크 전송의 확인 정보 ACK/비확인 정보 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방식 1은 방식 a, 방식 b, 방식 c 및 방식 d를 포함하고,
    방식 a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영역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과 가드 간격(GP) 영역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방식 b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방식 c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 및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 개의 다운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 개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동일하거나 상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에서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의 슬롯임;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경우,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은 방식 1 또는 방식 2 또는 방식 3에 따라 결정되고,
    방식 1 :
    상기 단말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2 :
    상기 단말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방식 3 :
    상기 단말은 다운 링크 전송의 확인 정보 ACK/비확인 정보 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방식 1은 방식 a, 방식 b, 방식 c 및 방식 d를 포함하고,
    방식 a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영역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과 가드 간격(GP) 영역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방식 b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방식 c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 및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상기 기지국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 다운 링크 영역 및 GP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가드 간격(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다운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이한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단위에 포함된 업 링크 영역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 개의 다운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다운 링크 영역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및/또는
    상기 시간 단위에 적어도 2 개의 업 링크 영역이 포함되면, 각각의 업 링크 영역의 길이 동일하거나 상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단위 각각에서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의 슬롯임;
    상기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업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SPS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 검출되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따라 결정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방식 1 또는 방식 2 또는 방식 3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1 :
    상기 결정 유닛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2 :
    상기 결정 유닛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방식 3 :
    상기 결정 유닛은 다운 링크 전송의 확인 정보 ACK/비확인 정보 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방식 1은 방식 a, 방식 b, 방식 c 및 방식 d를 포함하고,
    방식 a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영역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과 가드 간격(GP) 영역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방식 b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방식 c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 및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제1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시간 단위의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각각에서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 상기 시간 단위는 하나의 슬롯임;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다운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 다운 링크 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다운 링크 전송 유닛; 및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SPS리소스 해제를 나타내는 다운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시그널링 내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후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다운 링크 전송이 업 링크 DCI포맷을 사용하는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이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에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업 링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다운 링크 전송이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에 대응하는 업 링크 영역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과 같이 동일한 시간 단위 내에 위치하는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소속한 다운 링크 영역의 소속한 시간 단위 이후의 시간 단위 내의 사전 정의된 또는 미리 구성된 업 링크 영역이고,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지시 필드에 의해 지시된 업 링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은 방식 1 또는 방식 2 또는 방식 3에 따라 결정되고,
    방식 1 :
    상기 단말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분할을 결정하고,
    방식 2 :
    상기 단말은 업 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방식 3 :
    상기 단말은 다운 링크 전송의 확인 정보 ACK/비확인 정보 NACK 피드백 위치에 따라, 상기 ACK/NACK가 포함되어 있는 업 링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방식 1은 방식 a, 방식 b, 방식 c 및 방식 d를 포함하고,
    방식 a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의 영역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과 다운 링크 영역과 가드 간격(GP) 영역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방식 b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방식 c :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 및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다운 링크 영역의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방식1 또는 방식2 또는 방식3에 따라 동작하고,
    방식1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시작 위치를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단위에 대한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방식2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에지에 있는 단말에 대해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는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규정된 시작 위치이고, 또는
    제1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셀 중심에 있는 단말에 대해 동일 또는 상이한 시간 단위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고,
    방식3
    상기 결정 유닛은,
    제 2 구성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을 상기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다운 링크 영역과 가드 간격(GP)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들의 분할 패턴은 미리 설정된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 및/또는 다운 링크 영역의 여러 분할 패턴 중의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 2 구성 시그널링에는 상기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의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다운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가드 간격(GP) 영역 또는 다운 링크 영역으로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업 링크 영역을 다른 단말의 하나의 시간 단위 내의 GP영역 또는 업 링크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27008390A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38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6802A KR20230071203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49710.0A CN107872804B (zh) 2016-09-23 2016-09-23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CN201610849710.0 2016-09-23
PCT/CN2017/090886 WO2018054123A1 (zh) 2016-09-23 2017-06-29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KR1020217011960A KR20210046869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960A Division KR20210046869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802A Division KR20230071203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523A true KR20220038523A (ko) 2022-03-28

Family

ID=616906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802A KR20230071203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7011691A KR20190053937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1960A KR20210046869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227008390A KR20220038523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802A KR20230071203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97011691A KR20190053937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1960A KR20210046869A (ko) 2016-09-23 2017-06-29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36586A1 (ko)
EP (1) EP3518604A4 (ko)
JP (1) JP7210437B2 (ko)
KR (4) KR20230071203A (ko)
CN (1) CN107872804B (ko)
WO (1) WO2018054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6815A1 (en) 2017-01-19 2018-07-26 Intel IP Corporation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autonomous transmission activation and release
WO2019014944A1 (en) * 2017-07-21 2019-01-24 Nec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PLANNING UPLINK DATA ON BAND WITHOUT LICENSE
WO2020036683A1 (en) * 2018-08-13 2020-02-2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Tiered unassisted discovery in directional rf networks
US11382116B2 (en) * 2019-03-28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a starting offset for a configured grant uplink communication
CN112954797B (zh) * 2019-12-11 2022-09-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dci的对齐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4505B (zh) * 2009-11-03 2013-09-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控制信道资源配置的方法、设备及系统
US9325411B2 (en) * 2010-12-02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CK/NACK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19309A1 (en) * 2011-03-09 2012-09-13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special subframe pattern configuration
CN103503335B (zh) * 2011-05-03 2017-05-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终端将信号发射到基站/从基站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KR101851240B1 (ko) * 2011-05-23 2018-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적 시분할 복식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369695B (zh) * 2012-03-30 2017-03-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调度方法及装置
US20150215963A1 (en) * 2012-08-09 2015-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New Special Sub-Frame in Legac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104468B (zh) * 2013-04-03 2018-09-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下行配置信息传输方法和设备
CN104349458B (zh) * 2013-08-08 2019-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通信节点及终端
EP3036849B1 (en) * 2013-08-08 2020-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used in the same
US9794922B2 (en) 2014-09-26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hannel design for LTE with low latency
CN105517061B (zh) * 2016-01-15 2019-03-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非授权频谱上指示上行子帧的方法及装置
US10728893B2 (en) * 2016-04-04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Time-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s within a subframe or slot for MMW scheduling
US10225867B2 (en) * 2016-09-02 2019-03-05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and format for random access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03A (ko) 2023-05-23
JP2019533361A (ja) 2019-11-14
CN107872804B (zh) 2019-11-08
JP7210437B2 (ja) 2023-01-23
EP3518604A1 (en) 2019-07-31
EP3518604A4 (en) 2019-09-04
US20200036586A1 (en) 2020-01-30
CN107872804A (zh) 2018-04-03
KR20210046869A (ko) 2021-04-28
WO2018054123A1 (zh) 2018-03-29
KR20190053937A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556B1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3100563B1 (en) Time domain multiplexing ul transmiss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for a mobile station with single transmitter
JP5222859B2 (ja) Tdd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伝送方法
RU258631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й
CN11061268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终端发送信号以用于v2x通信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CN105122917B (zh) 动态tdd配置用户设备和方法
RU2726873C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пользовател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3291599B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CN108029132B (zh) 用于决定ofdm符号的帧架构的方法、用户设备以及相关存储器
US20170238311A1 (en) Synchronous Licensed Assisted Access
JP7210437B2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98001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0735159B2 (en)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165825B1 (ko) Ul/dl 전송 리소스의 할당 방법 및 장치
JP6720344B2 (ja) 情報を送信及び受信するための方法、ユーザ装置並びに基地局
CN109479066B (zh) 用于执行通信的方法与设备
CN109196941A (zh) 基于无线网络的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7040952B (zh) 一种上行传输方法及装置
KR20160043961A (ko)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16079632A1 (en) Synchronous licensed assisted access
KR20190139624A (ko) Nr 시스템에서 v2x를 위한 dmrs 관련 정보 지시 방법 및 그 장치
CN107872306B (zh) 一种下行传输方法及相关设备
CN108282319B (zh) 一种资源指示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0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517

Effective date: 202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