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961A -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961A
KR20160043961A KR1020167003790A KR20167003790A KR20160043961A KR 20160043961 A KR20160043961 A KR 20160043961A KR 1020167003790 A KR1020167003790 A KR 1020167003790A KR 20167003790 A KR20167003790 A KR 20167003790A KR 20160043961 A KR20160043961 A KR 2016004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limited frequency
frequency bands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476B1 (ko
Inventor
브라이언 알렉산더 마틴
유이치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2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04W74/06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using polling

Abstract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호스트 캐리어)에 걸치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더 좁고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가상 캐리어들) 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로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 초기 접속 절차 동안 그것의 ID, 예를 들어, IMSI의 표시를 기지국에 전달한다. 단말 디바이스와 기지국은 둘 다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 및 기지국은 동일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그들 간의 다운링크 통신을 허용하도록 그들의 각각의 송수신기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방법{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본 개시물은 통신 장치(telecommunications apparatus)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배경기술" 설명은 본 개시물의 문맥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배경기술 섹션에서 기술되는 것뿐 아니라, 그렇지 않고 출원시 종래 기술이 아닐 수 있는 설명의 양태들까지 현재 명명된 발명자의 연구는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 인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대역폭/가상 캐리어 동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과거 수십 년 정도에 걸쳐서 GSM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서 3G 시스템으로 진화해 왔고 현재는 회선 교환 통신뿐 아니라 패킷 데이터 통신도 포함한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는 초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및 업링크 상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에 기반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컴포넌트들의 통합에 따라 좀 더 간략화된 아키텍처를 형성하도록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LTE)으로 일컫는 4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3GPP 정의된 UMTS 및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기반한 것들과 같은 3세대 및 4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이전 세대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단순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보다 더 정교한 범위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 의해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유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하였을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 및 모바일 화상 회의와 같은 고 데이터 레이트 애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3세대 및 4세대 네트워크를 배치하려는 요구는 강하고 이들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즉 그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세대 및 4세대 네트워크의 예상되는 광범위한 배치는 이용 가능한 고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하기보다는, 대신에 강력한 무선 인터페이스 및 늘어나는 편재의 커버리지 영역을 이용하는 부류의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병행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 예는 소위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그 중 일부는 어떤 면에서는 소량의 데이터를 비교적 드물게 통신하는 반자율 또는 자율 무선 통신 디바이스(MTC 디바이스)로 대표된다. 그 예는, 예를 들어, 고객의 집에 배치되고 가스, 물, 전기 등과 같은 유틸리티의 고객의 소비에 관한 데이터를 중앙 MTC 서버에 주기적으로 다시 전송하는 소위 스마트 미터를 포함한다. 스마트 미터링은 잠재적인 MTC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일례에 불과하다. MTC 타입 디바이스의 특성에 관한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ETSI TS 122 368 V10.530(2011-07)/3GPP TS 22.368 버전 10.5.0 Release 10) [1]과 같은 대응하는 표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MTC 타입 단말과 같은 단말이 3세대 또는 4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광역 커버리지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지만, 현재 단점들이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통상의 3세대 또는 4세대 모바일 단말과 달리, MTC 타입 단말을 위한 주 드라이버는 그러한 단말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하기 위한 요구일 것이다. MTC 타입 단말에 의해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의 타입(예를 들어, 비교적 소량의 데이터의 간단한 수집 및 보고/수신)은,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비교하여 수행하기가 특별히 복잡한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3세대 및 4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구현하기가 더 복잡하고 고가의 무선 송수신기 및 디코더를 필요로 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해 진보된 데이터 변조 기술을 채용하고 광대역폭 용량을 지원한다. 스마트폰은 전형적으로 일반적인 스마트폰 타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강력한 프로세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러한 복잡한 요소들을 스마트폰에 포함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LTE 타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하고 덜 복잡한 디바이스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예를 들어, GB 2 487 906 [2], GB 2 487 908 [3], GB 2 487 780 [4], GB 2 488 513 [5], GB 2 487 757 [6], GB 2 487 909 [7], GB 2 487 907 [8] 및 GB 2 487 782 [9]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호스트 캐리어"의 대역폭 내에서 동작하는 소위 "가상 캐리어"의 개념이 제안되어 왔다. 가상 캐리어의 개념의 근간을 이루는 한 가지 원리는 대역폭이 더 넓은 호스트 캐리어 내의 주파수 하위영역이 특정 타입의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타입의 통신을 위해 독립 캐리어로 이용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참조 문헌 [2] 내지 [9]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일부 구현에서, 가상 캐리어를 이용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모든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주파수 하위영역 내에서 전달된다. 가상 캐리어를 통해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인식하고,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전송 자원의 부분집합을 수신 및 디코드하는 것만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법의 이점은 비교적 좁은 대역폭만을 통해 동작할 수 있는 저능력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하기 위한 캐리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그 디바이스가 전 대역폭 동작을 지원하지 않고서도 LTE 타입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게 해준다. 디코드가 필요한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상 캐리어를 통해 동작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프론트 엔드 처리 요건(예를 들어, FFT, 채널 추정, 서브프레임 버퍼링 등)이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기능의 복잡도가 일반적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대역폭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LTE 타입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요구되는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가상 캐리어 접근법은 GB 2 497 743 [10] 및 GB 2 497 742 [11]에 제안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는 기지국과 감소된-능력의(reduced-capability)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데이터를 통신함으로써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물리 계층 제어 정보가 (통상의 LTE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전 호스트 캐리어 주파수 대역에 걸쳐 선택된 서브캐리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그러나,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상위 계층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보다 작고 그 대역 내에 있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선택된 서브캐리어만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이것은 특정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주파수 자원의 부분집합(즉, 호스트 캐리어의 전송 자원 내에서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반면, 호스트 캐리어의 전 대역폭을 이용하여 제어 시그널링을 통신하는 접근법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인식하고, 그와 같이 상위 계층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간 동안 이러한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데이터를 버퍼 및 처리하는 것만 필요하다. 단말 디바이스는 물리 계층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기간 동안 전 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버퍼 및 처리한다. 따라서,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는 물리 계층 제어 정보가 광역 주파수 영역을 통해 전송되지만, 상위 계층 데이터에 대해 더 작은 범위의 주파수를 처리하기에 충분한 메모리 및 처리 용량만 가질 필요가 있는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때때로 "T 형상" 할당으로 일컬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다운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의 영역이 전형적으로 대체로 T 형상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 캐리어 개념은, 예를 들어, 이들의 송수신기 대역폭 및/또는 처리 능력 측면에서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가 LTE 타입 네트워크 내에서 지원되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비교적 저가이면서 복잡도가 낮은 디바이스가 LTE 타입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는, 하나보다 많은 가상 캐리어가 호스트 캐리어 내에서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이한 가상 캐리어는 호스트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상이한 주파수에 위치하고 개개의 단말 디바이스는 가상 캐리어 중 하나에 할당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가상 캐리어 통신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개개의 단말 디바이스 및 기지국이, 어느 주파수 특정 자원(즉, 복수의 가상 캐리어 중 어느 것)이 주어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지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기지국과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 디바이스에게 할당될 가상 캐리어를 통지하도록 소정의 레벨의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할 것을 요구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특정한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기 위한 필요성은 일부 단점들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접속 확립 동안에 전용 시그널링에서 정보가 교환됨에 따른 시그널링 복잡도의 증가가 있을 수 있고, 더 일반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서, 특히 셀 내에 많은 개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증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단말 디바이스를 특정 가상 캐리어에 할당하는 접근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물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호스트 캐리어)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가상 캐리어들)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물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이용될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이 제공되며,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단말 디바이스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이용될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각각의 양태 및 특징은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한 단락들은 일반적인 서론으로 제공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른 이점과 더불어 설명된 실시예는 첨부의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물의 더 완전한 이해와 그의 많은 부수적인 이점은 같은 참조 부호가 여러 도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되듯이 쉽게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LTE 타입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LTE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LTE 다운링크 무선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세 개의 가상 캐리어를 지원하는 호스트 캐리어와 연관된 LTE 다운링크 무선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예에 따라 배열된 적응형 LTE 타입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특정 예들에 따른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그널링 래더도이다.
도 1은 LTE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시스템(100)의 일부의 기본적인 기능성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들 및 이들의 각각의 동작 모드는 3GPP(RTM) 조직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에서 잘 알려져 있고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그 주제에 관한 많은 서적,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12]에도 기술되어 있다.
네트워크(100)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104)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103) 내에서 이들 무선 다운링크를 통해 기지국(101)에서 단말 디바이스(104)로 전송된다. 데이터는 무선 업링크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104)에서 기지국(101)으로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데이터를 각각의 기지국(101)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104)로 및 그로부터 라우트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이동국,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단말, 모바일 라디오 등으로도 일컬어질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송수신기 스테이션들/노드B들/e-NodeB들 등으로도 일컬어질 수 있다.
3GPP 정의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따라 배열된 것들과 같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다운링크를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반 인터페이스(소위 OFDMA) 및 무선 업링크를 위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반 인터페이스(소위 SC-FDMA)를 이용한다. 도 2는 OFDM 기반 LTE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201)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LTE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은 (향상된 Node B로 알려진) LTE 기지국에서 전송되고 10ms 동안 지속된다. 다운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 동안 지속된다. 일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PSS) 및 이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SSS)는 LTE 프레임의 첫번째 및 여섯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물리 방송 채널(PBCH)은 LTE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도 3은 (도 2의 프레임에서 첫번째, 즉, 맨 좌측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통상의 다운링크 LTE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하는 그리드의 개략도이다. 이 서브프레임은 1ms 기간 동안 전송되는 미리 결정된 개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각각의 심볼은 다운링크 무선 캐리어의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미리 결정된 개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은 20MHz 대역폭에 걸쳐 확산된 14개의 심볼 및 1200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LTE에서 전송을 위한 사용자 데이터의 가장 짧은 할당은 하나의 슬롯(0.5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자원 블록이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도 3에서는, 각각의 개별 자원 요소(자원 요소는 단일 서브캐리어 상의 단일 심볼을 포함함)가 도시되지 않고, 대신에 서브프레임 그리드에서 각각의 개별 박스는 하나의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12개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도 3은 네 개의 LTE 단말(340, 341, 342, 343)에 대한 자원 할당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1 LTE 단말(UE1)에 대한 자원 할당(342)은 12개의 서브캐리어의 다섯 개의 블록(즉, 60개의 서브캐리어)에 이르고, 제2 LTE 단말(UE2)에 대한 자원 할당(343)은 12개의 서브캐리어의 여섯 개의 블록에 이른다 등등.
제어 채널 데이터는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에 대해 하나 내지 세 개의 심볼 사이에서 n이 가변할 수 있고 1.4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해 두 개 내지 네 개의 신볼 사이에서 n이 가변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도 3에서 점으로 된 음영으로 나타냄)에서 전송된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설명은 채널 대역폭이 3MHz 이상이므로 n의 최대값이 3이 되는 캐리어와 관련된다.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및 물리 HARQ 지시자 채널(PHICH) 상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PDCCH는 서브프레임의 어느 심볼에 대한 어느 서브캐리어가 특정 LTE 단말에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되는 PDCCH 데이터는 UE1에 참조 부호(342)로 나타낸 자원의 블록이 할당되었고, UE2에 참조 부호(343)로 나타낸 자원의 블록이 할당되는 등을 나타낼 것이다.
PCFICH는 제어 영역의 크기(즉, 하나 내지 세 개의 심볼)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PHICH는 이전에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의 중심 대역(310)에서 심볼은 일차 동기화 신호(PSS), 이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 방송 채널(PBCH)을 포함하는 정보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중심 대역(310)은 전형적으로 (1.08MHz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72개의 서브캐리어의 폭에 대응한다. PSS 및 SSS는 일단 검출되면 LTE 단말 디바이스가 프레임 동기화를 이루고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향상된 Node B의 셀 ID(identity)를 결정하게 해주는 동기화 신호이다. PBCH는 셀에 적절히 액세스하기 위해 LTE 단말이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을 포함하는, 셀에 대한 정보를 운반한다.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의 개개의 LTE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서브프레임의 다른 자원 요소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R344의 대역폭에 이르는 PDSCH의 영역을 도시한다. 통상의 LTE 프레임은 또한 명확성을 위해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기준 신호도 포함할 것이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하고 많은 점에서 그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도면이다. 그러나, 도 4는 복수의(이 경우에 세 개)의 가상 캐리어(401, 402, 403)(VC들)가 지원되는 호스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무선 서브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도 3과 다르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참조의 용이성을 위해 가상 캐리어들은 VC1, VC2 및 VC3으로 라벨링된다. 도 4에 나타낸 가상 캐리어의 일반적인 동작은, 예를 들어 전술한 문헌 [2] 내지 [11] 중 임의의 것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전에 제안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가상 캐리어는 적어도 일부 정보를 타입 형태의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감소된-능력의 머신 타입 통신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호스트 캐리어와 연관된 전체 전송 자원 그리드 내의 다운링크 전송 자원의 제한된 부분집합을 나타낸다.
따라서, 통상의(즉, 감소되지 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는 통상의 LTE 기술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자원 그리드의 전 대역폭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반면에,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다운링크 통신은 그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된 가상 캐리어 중 하나 내의 전송 자원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다운링크 통신(즉, 제어 시그널링 및 상위 계층/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함함)의 전체가, 예를 들어 전술한 문헌 [2] 내지 [9]에 제안된 원리에 따라 가상 캐리어 중 하나의 가상 캐리어의 전송 자원 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호스트 캐리어의 전 대역폭을 수신할 수 없는(따라서 제어 영역(300)의 전체를 수신할 수 없는) 단말 디바이스에 적합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는 호스트 캐리어의 전 대역폭을 수신할 수(따라서 제어 영역(300)을 수신 및 디코드할 수) 있지만, 그의 능력을 PDSCH 영역의 전체를 버퍼 및 디코드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고, 그래서 그 단말 디바이스에, 예를 들어 전술한 문헌 [10] 및 [11]에 제안된 "T 형상 할당" 원리에 따라 할당된 가상 캐리어에 걸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의 부분집합만 버퍼 및 디코드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구현에서 이용될 특정 방식의 가상 캐리어 동작과 관계없이, 가상 캐리어를 이용하여 지원될 단말 디바이스는 그것에 할당된 가상 캐리어에 대해 어느 특정 제한된 주파수 범위가 이용되는지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전송 자원 그리드의 문맥 내에서 가상 캐리어 동작을 이용하여 지원되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는 그것이 가상 캐리어(VC1, VC2 또는 VC3)를 통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확립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가지 접근법은 기지국이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에게 접속 절차 동안에 전용 시그널링 교환을 통해 그것에 할당된 가상 캐리어를 통지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시그널링 복잡도의 증가 및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예에서 통신 시스템(500)은 대략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의 가상 캐리어를 지원하는 LTE 타입 아키텍처에 기반한다. 통신 시스템(500)의 동작의 많은 양태는 공지되어 있고 이해되며 간략함을 위해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통신 시스템(500)의 동작 양태들은 임의의 공지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GB 2 487 906 [2], GB 2 487 908 [3], GB 2 487 780 [4], GB 2 488 513 [5], GB 2 487 757 [6], GB 2 487 909 [7], GB 2 487 907 [8], GB 2 487 782 [9], GB 2 497 743 [10] 및 GB 2 497 742 [1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상 캐리어 동작을 포함하기에 적절한 변형을 갖는 현재의 LTE 표준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다.
통신 시스템(500)은 무선 네트워크 부분에 결합된 코어 네트워크 부분(진화된 패킷 코어)(502)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부분은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결합된 기지국(진화된 노드B)(504)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는, 두 개의 단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 디바이스(506) 및 제2 단말 디바이스(508)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실제로는 무선 네트워크 부분이 다양한 통신 셀에 걸쳐 더 많은 개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서빙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도 5에는 간략함을 위해 단일 기지국과 두 개의 단말 디바이스만 도시되어 있다.
통상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단말 디바이스(506, 508)는 기지국(송수신기 스테이션)(504)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배열된다. 기지국은 다시 통신 시스템(500)에서 기지국(504)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로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의 라우팅 및 관리를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 내의 서빙 게이트웨이(S-GW)(미도시)에 통신적으로 접속된다. 이동성 관리 및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 부분(502)은 또한 향상된 패킷 서비스(EPS)를 관리하고, 홈 가입자 서버(HSS)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506, 508)와 접속하는 이동성 관리 개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역시 간략함을 위해 미도시됨)은 정책 과금 및 자원 기능(PCRF),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502)과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 간의 접속을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GW)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500)의 다양한 요소들의 동작은 대체로 통상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변형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참조 문헌에 서술되어 있는 확립된 통신 표준 및 원리에 따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단말 디바이스(506)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기지국(504)과 통신하는 통상의 스마트폰 타입의 단말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단말 디바이스(506)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506a) 및 디바이스(5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506b)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506b)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비를 위한 통상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506a) 및 프로세서 유닛(506b)은 도 5에서 개별 요소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단말 디바이스(506)는 일반적으로 그의 동작 기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이다.
본 예에서, 제2 단말 디바이스(508)는 기지국(504)과 통신할 때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라 가상 캐리어(VC)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된 머신 타입 통신(MTC) 단말 디바이스(504)라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머신 타입 통신 단말 디바이스는 일부 경우에 전형적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반자율 또는 자율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그 예는, 예를 들어, 고객의 집에 배치되고 가스, 물, 전기 등과 같은 유틸리티의 고객의 소비에 관한 데이터의 정보를 중앙 MTC 서버에 주기적으로 다시 전송하는 소위 스마트 미터를 포함한다. MTC 디바이스는 어떤 점에서는, 예를 들어 지연시간 측면에서 비교적 낮은 서비스 품질(QoS)을 갖는 비교적 낮은 대역폭의 통신 채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디바이스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MTC 단말 디바이스(508)는 그러한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MTC 디바이스(508)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508a) 및 MTC 디바이스(508)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508b)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508b)은 다양한 서브 유닛,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는 VC 선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서브 유닛은 이산 하드웨어 요소로 또는 적절히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유닛(508b)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비를 위한 통상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508a) 및 프로세서 유닛(508b)은 용이한 표현을 위해 도 5에서 개별 요소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이산 회로/처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MTC 디바이스(508)는 일반적으로 확립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의 동작 기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임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504)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504a)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기지국(50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504b)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506b)은 다시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는 VC 선택 유닛 및 스케줄링 유닛과 같은 다양한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서브 유닛은 이산 하드웨어 요소로 또는 적절히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유닛(504b)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비를 위한 통상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504a) 및 프로세서 유닛(504b)은 용이한 표현을 위해 도 5에서 개별 요소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이산 회로/처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기지국(504)은 일반적으로 확립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의 동작 기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임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504)은 각각의 통신 링크(510, 512)를 통해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상의 단말 디바이스(506) 및 단말 디바이스(508) 둘 다와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504)과 통상의 단말 디바이스(506)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510)는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 범위의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호스트 캐리어에 의해 지원된다. 기지국(504)과 감소된-능력의 MTC 단말 디바이스(508)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링크(512)는 (예를 들어,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가상 캐리어 중 선택된 하나 내의 자원을 이용하여) 가상 캐리어에 의해 지원된다. 일단 MTC 단말 디바이스(508) 및 기지국(504)이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라 MTC 단말 디바이스(508)와의 통신을 지원(즉, 머신 타입 통신 단말 디바이스(508)가 지원될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해 어느 가상 캐리어 주파수가 이용될지 확립/합의하였다면, 기지국(504)과 MTC 단말 디바이스(508) 간의 후속 데이터 통신은 일반적으로 가상 캐리어 동작을 위해 이전에 제안된 방식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단말 디바이스(508)는 단말 디바이스(508)에 어드레스된 기지국(504)으로부터의 모든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이 가상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 디바이스(508)에 어드레스된 기지국(504)으로부터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은 도 4에 나타낸 제어 영역(300)의 전 대역폭 내에서 이루어지며, 이때 상위 계층 데이터(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선택된 가상 캐리어의 제한된 대역폭 내에서 통신된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개략적으로 제시된 단말 디바이스(508) 및 기지국(504)에 대한 동작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그널링 래더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동작 모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디바이스(508)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현재 지원되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가상 캐리어 중 어느 것이 이용될지 단말 디바이스(508) 및 기지국(504)으로 하여금 실제로 독립적으로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제1 단계(S1)에서, 기지국(504)은 그것이 지원할 복수의 가상 캐리어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를 확립한다. 가상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들 및/또는 이들의 주파수들의 개수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캐리어의 주파수에 관한 구성 정보가 상이한 구현들로 특징지워질 수 있는 많은 상이한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가상 캐리어(제한된 주파수 대역)와 관련된 주파수 위치는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에 대한 표시로, 또는 상위 및 하위 바운딩 주파수로 나타낼 수 있다. 가상 캐리어의 대역폭이, 예를 들어 1.4MHz로 고정된/미리 정의된 일 구현에서, 가상 캐리어의 주파수에 관한 구성 정보는 호스트 캐리어의 주파수 공간에서 가상 캐리어의 위치(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의 위치 여부를 나타내는 중심 주파수, 또는 하위 또는 상위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일 주파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지국은 가상 캐리어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될 자원을 스케줄링할 때 폭넓은 유연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현재의 트래픽 상태에 따라 구현될 가상 캐리어의 개수 및 가상 캐리어가 위치할 주파수 (및 잠재적으로 일부 예에서 이들 각각의 대역폭)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트래픽 상태가, 기지국이 많은 개수의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내는 경우, 현재의 트래픽 상태가 기지국이 더 적은 개수의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내는 경우보다 더 많은 개수의 가상 캐리어가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특정한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지국(504)은 이용될 가상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위치를 결정할 때 유연성을 갖는다고 더 가정한다. 기지국은 통상의 기술에 따라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채널 상태를 고려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구현할 가상 채널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가상 캐리어가 위치하는 주파수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개수의 가상 캐리어에 대한 미리 정의된 주파수 위치는 규격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위해, 여기서는 단계(S1)에서 기지국(504)이 도 4에서 VC1, VC2 및 VC3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주파수 위치에서 세 개의 가상 캐리어를 지원할 것이라고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단계(S1)는 기지국이 변화하는 트래픽 상태에 따라 가상 캐리어의 선택된 개수 및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최적화하도록 변화에 보조를 맞추어 반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지국에 의해 지원될 가상 캐리어에 대해 확립된 주파수 파라미터는 비교적 정적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기지국에 대한 가상 캐리어 구성 파라미터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파라미터는 기지국의 초기 배치 동안에 확립되고 고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관련 구성 파라미터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단계(S2)에서, MTC 단말 디바이스(508)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508)가 파워 온됨에 따라 기지국(504)과 연계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초기 액세스를 시도한다. 일단 파워 온되면, 본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508)는 통상의 LTE 타입 네트워크 캠프 온(camp-on) 절차를 초기화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따라서, 대체로 통상의 기술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508)는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와 동기화하고 PBCH, PCFICH 등을 디코드하므로, 단말 디바이스(508)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즉, 가상 캐리어 동작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이전에 제안된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의 캠프 온 절차에 따라) 시스템 정보(SI)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단계(S3)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504)은 그의 일반적인 캠프 온 절차의 일부가 공지의 기술에 따르기 때문에 BCCH(방송 제어 채널) 상에 시스템 정보(SI)를 전송하고 이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508)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나,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504)에 의해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는 그 시스템 정보가 (단계(S1)에서 확립된 바와 같은)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의 주파수 파라미터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LTE 타입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통상의 시스템 정보와는 다르다.
이와 같은 특정 LTE 기반 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다른 통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 2(SIB2) 시그널링에서 전달되는 새로 정의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새로운 정보 요소는 관련 구성 파라미터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파라미터를 각각의 가상 캐리어에 대해,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 상위 및 하위 바운딩 주파수, 대역폭이 가정된(즉, 고정된) 단일 주파수 위치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방식이 있다. 또한, 전달될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 관하여 또는 미리 정의된 연관성에 따라 주파수들을 식별하는 인덱스 값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정확한 방식은 상이한 구현들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가상 캐리어마다 주파수의 표시가 제공되는 경우, 가상 캐리어의 총 개수는 제공되는 주파수 정보의 양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별도로 시스템 정보에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특정 LTE 기반 예에서 특정 SIB2(시스템 정보 블록 2)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면, 도 6의 단계(S3)에서, 단말 디바이스(508)는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에 대한 관련 구성 파라미터를 인식한다. 특히, 본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 시그널링을 통해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의 개수 NVC, 및 이들의 각각의 주파수 위치 F1, F2, ...FNVC를 통지 받는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본 예시적인 구현을 참조하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정보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현재 중심 주파수 (VC1에 대해) F1, (VC2에 대해) F2 및 (VC3에 대해) F3에서 세 개의 가상 캐리어(즉, NVC=3)를 지원하고 있음을 나타내도록 적응된다. 본 예시적인 구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는 모두 주파수 공간에서 1.4MHz와 같은 미리 정의된 고정폭을 가지므로,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는 각각의 가상 캐리어의 폭에 대한 어떠한 표시도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가정한다.
단계(S4)에서, 단말 디바이스(508)(더 구체적으로는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유닛(508b))는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이용 가능한 복수의 가상 캐리어(제한된 대역폭 캐리어) 중 하나를 그것이 기지국에 의해 지원될 것으로 가정할 가상 캐리어로서 선택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이를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자율적으로(즉, 기지국으로부터의 특정 명령 없이) 행한다. 본 예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식별자는 그 디바이스와 관련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이다. IMSI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영구적으로 관련된 번호이다. 따라서, 단계(S4)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ID에 좌우되는 방식으로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NVC개의 가상 캐리어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본 특정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508)는 식별자(IMSI)를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의 개수(NVC)로 나눌 때 얻은 나머지 값을 결정하고 이를 인덱스 값(IND)으로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가상 캐리어(VC1, VC2, VC3) 중 하나를 선택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따라 IND 값을 결정한다.
Figure pct00001
따라서, 기지국이 세 개의 가상 캐리어(즉, NVC=3)를 지원하는 본 예의 경우, 수학식 1은 0, 1 또는 2의 IND 값을 제공한다. 이 값은 이후 이용 가능한 복수의 가상 캐리어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는 감소하는 주파수의 순서(또는 임의의 다른 미리 정의된 순서)로 배열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IND 값에 기초하여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IND의 인덱스 값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가상 캐리어의 목록에서 위치(IND+1)와 관련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IND=0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그 목록에서 첫번째 가상 캐리어(예를 들어, VC1)를 선택하고; IND=1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그 목록에서 두번째 가상 캐리어(예를 들어, VC2)를 선택한다 등등.
따라서, 단계(S4)에서, 단말 디바이스(508)의 프로세서 유닛(508b)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가상 캐리어(VC1, VC2, VC3) 중 하나를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가상 캐리어 중 하나를 선택하였으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미리 정의된 연관성으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리어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파라미터, 예를 들어 그의 중심 주파수를 확립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후속 통신이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단계(S5)에서, 단말 디바이스(508)의 송수신기 유닛(508a)은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후속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 6의 처리의 양태는 일단 어느 가상 캐리어 주파수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지가 확립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캐리어 동작을 위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단계(S5)에 뒤이어, 단말 디바이스(508)는 그것이 결합하고자 하는 기지국에 의해 어느 가상 캐리어가 지원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고, 그것이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UK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상 캐리어 중 하나를 선택하였고, 그러한 통신을 수신할 준비를 갖추고 그의 송수신기를 구성하였다.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것은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어떠한 전용 시그널링도 없이 성취되었다. 실제로, 도 6에 나타낸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기지국이 단말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이 단계에 도달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단계(S6)에서, 단말 디바이스(508)는 본 예에서 LTE 타입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통상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인,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그의 결합 절차를 지속한다. 확립된 기술에 따르면, 접속 확립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특히 본 예에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IMSI에 대한 표시를 포함한다. 단계(S6)에서 접속 요청 시그널링의 수신시, 기지국은 그 요청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에 따른 절차를 구현하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온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접속 요청에 포함된 디바이스 타입 분류기에 기초하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IMSI를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로서의 그의 상태와 링크하는 네트워크 측 룩업 테이블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S6)에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접속 요청을 수신하였으므로, 기지국은 단계(S4)에서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식별자를 인식하고 따라서 어느 가상 캐리어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7)에서, 기지국(504)(특히, 그의 프로세서 유닛(504b))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학식 1을 적용하여 단계(S6)에서 접속 요청과 관련하여 수신된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식별한다.
따라서, 단계(S7)에서, 기지국(504)의 프로세서 유닛(504b)은 접속 설정 시그널링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독립적으로 결정한다. 가상 캐리어 중 하나를 선택하였으므로, 기지국은 가상 캐리어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파라미터, 예를 들어 그의 중심 주파수를 확립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선택된 가상 캐리어(즉, 선택된 가상 캐리어는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다운링크 자원이 됨)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후속 다운링크 통신을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단계(S8)에서, 기지국(504)의 송수신기 유닛(504a)은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전송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실제로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어느 가상 캐리어가 단말 디바이스와의 후속 통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시를 저장하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처리의 양태는 일단 어느 가상 캐리어가 주어진 단말 디바이스를 위해 이용될 것인지가 확립되었다면(즉, 일단 단말 디바이스가 가상 캐리어에 할당되었다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캐리어 동작을 위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단계(S8)에 뒤이어, 단말 디바이스(508)와 기지국(504)은 둘 다 기지국(504)과 단말 디바이스(508) 간의 후속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이용될 이용 가능한 복수의 가상 캐리어 중 선택된 하나를 독립적으로 결정하였다.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것은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전용 시그널링도 교환되지 않고 성취되었다.
일단 단말 디바이스(508)와 기지국(504)이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라 이용될 가상 캐리어를 독립적으로 확립/선택하였다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속 동작은 통상의 가상 캐리어 기술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단계(S9)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504)과 단말 디바이스(508) 간의 후속 통신은 가상 캐리어/제한된 대역폭 동작을 위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후속 가상 캐리어 동작은 이전에 제안된 기술 중 임의의 것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9)에서 나타낸 VC 동작은 선택된 가상 캐리어(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이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 제어 평면 데이터 둘 다를 포함하는 참조 문헌 [2] 내지 [9]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접근법에 따를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평면 데이터는 가상 캐리어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자원 할당에 대한 표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단계(S9)에 나타낸 VC 동작은 선택된 가상 캐리어 내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이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가상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자원 할당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제어 평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는 제어 영역에서) 선택된 가상 캐리어 외의 주파수에 걸치는 통신으로 수신되는 참조 문헌 [10] 및 [11]에 기술된 바와 같은 "T 형상 할당" 접근법에 따를 수 있다. 가상 캐리어 동작의 다른 모드도 마찬가지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감소된-능력의 단말 디바이스(508) 및 기지국(504)은 실제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교환되는 것 외에 그들 간에서 어떠한 전용 시그널링도 교환될 필요 없이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가상 캐리어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합의를 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508) 및 기지국(504)에 대한 이들 동작 방법은 단지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일부의 예시적인 구현에 불과하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전술하고 도 6에 나타낸 접근법에 대한 변경 및 변형은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 따라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도 6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하는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이용 가능한 가상 캐리어에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도 6에서 단계(S4)) 및 그의 송수신기를 적절히 구성하는 단계(도 6에서 단계(S5))는 단말 디바이스가 RRC 접속 요청을 개시하는 단계(도 6에서 단계(S6)) 후에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가상 캐리어들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미리 정의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네 개의 가상 캐리어를 지원할 것이라고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ID에 따라 이용할 가상 캐리어를 선택할 때,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에 관한 구성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필요 없이 이러한 미리 정의된 정보를 고려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에서, (도 6의 단계(S3)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 액세스 절차 동안에 기지국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통신되는 시스템 정보는 통상적일 수 있으며 가상 캐리어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에 관한 어떤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단말 디바이스는 단순히 도 6의 단계(S4)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미리 정의된 구성 파라미터에 관한 관련 정보로 미리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선택된 가상 캐리어의 결정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상이한 식별자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IMSI를 이용하는 대신에,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유래된 임시 식별자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기지국이 C-RNTI를 단말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해,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합의하기 전에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에서 어느 정도의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일부 예에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는 한번보다 많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처음에 단말 디바이스의 파워가 처음에 온될 때 전술한 원리에 따라 가상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은 그 후에 지원되는 가상 캐리어의 개수를 변경하여 감소된-능력의 디바이스를 지원할 필요성의 변화(예를 들어, 가상 캐리어 지원을 요구하는 감소된-능력의 디바이스의 개수의 증가 또는 감소)가 충족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그의 가상 캐리어 구성 파라미터의 변화를 반영하도록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인식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실제로 도 6에 나타낸 단계(S4 및 S5)를 반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지국은 마찬가지로 실제로 도 6에 나타낸 단계(S7 및 S8)를 반복함으로써, 새로 선택된 가상 캐리어를 통한 지속적인 VC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호스트 캐리어)에 걸치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내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가상 캐리어들) 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로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설명되었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때 초기 접속 절차 동안에 그의 ID, 예를 들어, IMSI에 대한 표시를 기지국에 전달한다. 단말 디바이스와 기지국은 둘 다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 및 기지국은 동일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그들 간의 다운링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들의 각각의 송수신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 및 바람직한 양태는 첨부의 독립항 및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종속항의 특징은 청구항에서 명확하게 기술된 것들과 다른 조합으로 독립항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시하고 기술한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필수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청구항은 물론 본 발명의 개시물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가르침의 임의의 변경을 포함하여 본 개시물은 어떠한 발명의 주제도 대중에게 전용되지 않도록 전술한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의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번호가 매겨진 두 그룹의 단락에 의해 정의된다.
번호가 매겨진 제1 그룹의 단락:
1.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된 번호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로 나눌 때 얻어지는 나머지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전이나 그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가 미리 정의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쳐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전이나 그 동안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요청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전달되는 방법.
15.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번호가 매겨진 제2 그룹의 단락:
1.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이용될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와 관련된 번호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로 나눌 때 얻어지는 나머지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전이나 그 동안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가 미리 정의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통신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통신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쳐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어 평면 데이터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전이나 그 동안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요청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15.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그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단말 디바이스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이용될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참조문헌
[1] ETSI TS 122 368 V10.530 (2011-07) / 3GPP TS 22.368 버전 10.5.0 Release 10)
[2] GB 2 487 906 (UK 특허 출원 GB 1101970.0)
[3] GB 2 487 908 (UK 특허 출원 GB 1101981.7)
[4] GB 2 487 780 (UK 특허 출원 GB 1101966.8)
[5] GB 2 488 513 (UK 특허 출원 GB 1101983.3)
[6] GB 2 487 757 (UK 특허 출원 GB 1101853.8)
[7] GB 2 487 909 (UK 특허 출원 GB 1101982.5)
[8] GB 2 487 907 (UK 특허 출원 GB 1101980.9)
[9] GB 2 487 782 (UK 특허 출원 GB 1101972.6)
[10] GB 2 497 743 (UK 특허 출원 GB 1121767.6)
[11] GB 2 497 742 (UK 특허 출원 GB 1121766.8)
[12] Holma H. 및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John Wiley and Sons, 2009)

Claims (15)

  1.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radio interface)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들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단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와 연관된 번호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로 나눌 때 얻어지는 나머지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이전에 또는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를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구성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미리 정의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의 개수의 표시 및/또는 상기 제한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들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 제어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통신들은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친 주파수 자원들을 통해 제어 평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의 자원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의 표시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 이전에 또는 동안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접속 요청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전달되는 방법.
  15.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에 걸치며,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보다 좁고 상기 시스템 주파수 대역폭 내에 있는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적어도 일부 단말 디바이스와의 적어도 일부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통신들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유닛 및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되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통신들을 수신하게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KR1020167003790A 2013-08-16 2014-05-19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232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0723 2013-08-16
EP13180723.2 2013-08-16
PCT/EP2014/060198 WO2015022091A1 (en) 2013-08-16 2014-05-19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961A true KR20160043961A (ko) 2016-04-22
KR102232476B1 KR102232476B1 (ko) 2021-03-29

Family

ID=4898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790A KR102232476B1 (ko) 2013-08-16 2014-05-19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820279B2 (ko)
EP (1) EP3033849B1 (ko)
JP (2) JP6336593B2 (ko)
KR (1) KR102232476B1 (ko)
CN (1) CN105453476B (ko)
WO (1) WO2015022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2092A1 (en) * 2013-08-16 2015-02-19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5022091A1 (en) * 2013-08-16 2015-02-19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KR102262300B1 (ko) * 2015-06-17 2021-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협대역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TWI593255B (zh) * 2016-03-09 2017-07-2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長距離廣域網路設備控制方法
WO2018027900A1 (en) * 2016-08-12 2018-02-15 Mediatek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virtual carrier operation
EP3506701B1 (en) * 2016-09-30 2022-01-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WO2019158208A1 (en) * 2018-02-16 2019-08-22 Nokia Technologies Oy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US10682098B2 (en) 2018-03-22 2020-06-16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Predictive use of quantitative imaging
WO2020255654A1 (ja) * 2019-06-17 2020-12-24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220369294A1 (en) * 2019-06-26 2022-11-17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201A1 (ja) * 2005-10-04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の使用周波数帯域マッピング方法、位置管理装置、移動局装置の位置登録方法、ページング方法、及びこれら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542091A (ja) * 2006-06-19 2009-11-2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初期の信号メッセージにおいて初期のユーザ識別情報のセキュリティを保護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2104633A1 (en) * 2011-02-04 2012-08-09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Inserting virtual carrier in conventional ofdm host carrier in communications system
JP2012169728A (ja) * 2011-02-10 2012-09-06 Seiko Epson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2172323A1 (en) * 2011-06-14 2012-12-20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WO2013093437A1 (en) * 2011-12-19 2013-06-2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2430B (zh) * 2005-10-04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台装置、基站装置、移动台装置的使用频带映射方法、位置管理装置、移动台装置的位置登记方法、寻呼方法及执行这些方法的程序及记录介质
US8345604B2 (en) * 2007-06-07 2013-01-01 Qualcomm Incorporated Effectuating establishment of internet protocol security tunnels for util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WO2011162565A2 (ko) * 2010-06-24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GB2487757B (en) 2011-02-03 2015-11-04 Nvidi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GB2487908B (en) 2011-02-04 2015-06-1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7906B (en) 2011-02-04 2015-02-25 Wireless Tech Solutions Llc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GB2487909B8 (en) 2011-02-04 2015-01-21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7907B (en) 2011-02-04 2015-08-26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88513B (en) 2011-02-04 2015-06-24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n
GB2487780B (en) 2011-02-04 2015-01-14 Sca Ipla Holdings Inc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CN115767752A (zh) * 2011-02-11 2023-03-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增强型控制信道的系统和方法
GB2491859C (en) * 2011-06-14 2021-02-1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93703C (en) * 2011-08-11 2020-03-04 Sca Ipla Holdings Inc OFDM subcarrier allo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GB2493917B (en) * 2011-08-19 2016-04-06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st transmissions
JP5796448B2 (ja) * 2011-10-07 2015-10-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GB2497742B (en) * 2011-12-19 2017-02-22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EP2882121B1 (en) * 2012-07-30 2019-10-09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50046122A (ko) 2012-08-14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비용 머신 타입 통신 장치들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6516263B2 (ja) 2012-12-03 2019-05-22 ソニー株式会社 Lteのためのグループベースのpdcch能力
KR102142740B1 (ko) 2012-12-03 2020-08-07 소니 주식회사 감소된 대역폭 단말기들에의 제어 정보의 전송
EP2992626A4 (en) * 2013-05-01 201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2D COMMUNICATION
WO2015022091A1 (en) * 2013-08-16 2015-02-19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5022092A1 (en) 2013-08-16 2015-02-19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5043958A1 (en) * 2013-09-27 2015-04-0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CN106416386B (zh) * 2014-06-05 2020-07-07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以及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201A1 (ja) * 2005-10-04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の使用周波数帯域マッピング方法、位置管理装置、移動局装置の位置登録方法、ページング方法、及びこれら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542091A (ja) * 2006-06-19 2009-11-2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初期の信号メッセージにおいて初期のユーザ識別情報のセキュリティを保護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2104633A1 (en) * 2011-02-04 2012-08-09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Inserting virtual carrier in conventional ofdm host carrier in communications system
JP2012169728A (ja) * 2011-02-10 2012-09-06 Seiko Epson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2172323A1 (en) * 2011-06-14 2012-12-20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WO2013093437A1 (en) * 2011-12-19 2013-06-2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3476B (zh) 2020-03-03
US11082978B2 (en) 2021-08-03
JP2016532378A (ja) 2016-10-13
US20190327742A1 (en) 2019-10-24
KR102232476B1 (ko) 2021-03-29
US20180042020A1 (en) 2018-02-08
JP6336593B2 (ja) 2018-06-06
US10356785B2 (en) 2019-07-16
CN105453476A (zh) 2016-03-30
WO2015022091A1 (en) 2015-02-19
US10104668B2 (en) 2018-10-16
EP3033849B1 (en) 2018-04-04
US20160174227A1 (en) 2016-06-16
EP3033849A1 (en) 2016-06-22
US20190029021A1 (en) 2019-01-24
US9820279B2 (en) 2017-11-14
JP2018160902A (ja)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772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plurality of subframes
US10123320B2 (en) System, method and base station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plurality of subframes
US11082978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EP3641457B1 (en) Method for using radio interface technolog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JP2020523915A (ja) 通信装置、ユーザ機器、通信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及びユーザ機器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
US11026230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6010135B2 (ja) 半二重および全二重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JP2015507870A (ja) 半二重および全二重のための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