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400A -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 Google Patents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400A
KR20220038400A KR1020227005358A KR20227005358A KR20220038400A KR 20220038400 A KR20220038400 A KR 20220038400A KR 1020227005358 A KR1020227005358 A KR 1020227005358A KR 20227005358 A KR20227005358 A KR 20227005358A KR 20220038400 A KR20220038400 A KR 2022003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oid
col
polysaccharide
matrix
covalently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아탈랭
장-노엘 토렐
Original Assignee
바이오뉴클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뉴클리아이 filed Critical 바이오뉴클리아이
Publication of KR2022003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8Cross-linked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2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lip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8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hemical form
    • A61L2300/802Additives, excipients, e.g. cyclodextrins, fatty acids,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 비-설페이트화 가교결합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1 콜로이드(Col-1)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성 네트워크; 및 -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2 콜로이드(Col-2)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성 네트워크;를 조합하는, 생물학적 및 생체역학적 활성을 활용하고, 피부 병변 및/또는 쓰라림의 발달 및 악화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리병리학적 파라미터를 중화시킬 수 있는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본 발명은 피부 병변(lesion) 및/또는 쓰라림(sore), 특히 방사선피부염의 발생 및 악화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리병리학적 파라미터(parameter)를 중화시킬 수 있는 생체역학적 활성을 활용하는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bipolymeric matrix)에 관한 것이다.
185개 국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국제암연구기관(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 의해 공개된 최근의 추정에 따르면, 1,810만의 새로운 암 증례가 2018년에 전세계적으로 진단되었다.
프랑스에서, 새로운 암 증례의 전체적인 수는 30년 동안 매년 증가되고 있다. 이것은 주로 인구의 고령화 및 진단 방법의 발전으로 인한 것이다. 2017년에, 국립암연구소에 따르면 대도시 프랑스에서 새로운 암이 400,000 증례 추정되었다.
따라서, 암은 프랑스 및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 있다.
종양의 본성, 그 분자 프로필 및/또는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질환의 진행을 제한 또는 중단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가 실행된다. 단독으로 또는 다학문적 처치의 틀 내에서 조합하여 수행하든, 수술, 방사선치료법, 면역치료법, 호르몬 치료법, 표적화 치료법 또는 화학치료법 사이에 고전적인 구분이 행해진다.
상기 치료는 신체에 특히 공격적이고, 대개 부작용이 동반된다.
특히, 방사선 치료법(또는 방사선조사)은 암 세포를 파괴 또는 손상시키기 위한 고-에너지 광선의 사용을 수반한다. 이온화 방사선의 주된 생물학적 효과는 종양 세포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자유 라디칼의 형성을 통해 DNA 가닥을 파괴해 버려서 세포의 죽음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노출은 방사선피부염과 같은 부작용의 발병을 유도한다. 이것은 피부 병변이고, 그 증세는 국제 분류인 "부작용에 대한 공통의 전문용어 기준(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에 따라 등급으로 분류된다:
- 등급 1: 특히 광 피부 포토타입(phototype)을 갖는 대상체에서 방사선치료법 기간 이후 수일 내에서 최대 3주까지 일어나는 홍반. 이것은 종종 쓰라린 감각 및 부종을 동반한다. 치료가 중단될 때 이것은 빈번하지만 신속하게 축소되고, 박리작용기 후에 종종 피부 부속기관(모낭, 한선 또는 피지선)에 대한 손상에 의해 모발 손실이 초래된다.
- 등급 2: 중간 강도의 홍반 및 부종, 방사선조사 부위에서 제한된 삼출성 플라크.
- 등급 3: 방사선조사가 계속될 때 대개 홍반을 뒤따르는 삼출성 방사선피부염. 방사선조사 수 주 후의 분리(detachment) 및 융합성 궤양에 의해 특정되고, 진피가 드러나게 된다. 상피화(또는 상피의 복원)는 병변의 부위에 따라 수 주 내지 수 개월에 걸쳐 일어나고, 대부분 영구적인 색채이상 및 탈모를 야기한다. 방사선 치료법은 대개 치유의 시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단되어야 한다.
- 등급 4: 과잉투여를 입증하는 급성 방사선괴사로서, 현재 매우 광범위한 표면 또는 침윤성 종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예외적이다(매우 짧은 시간 내의 대량의 방사선조사). 이것은 괴사 및 출혈 현상을 갖는 매우 고통스러운 염증성 패치로서 수일 내에 나타나고, 근육, 건(tendon) 및 뼈를 노출할 수 있는 심부 괴사로 진행된다.
따라서, 다소 삼출성인 중간 단계를 통해 단순 건성 홍반으로부터 조직 괴사까지 범위이므로, 방사선피부염은 임의의 특정 치료 프로토콜의 대상이 아니다. 이들이 무수하게 다양한 만큼, 상기 타입의 피부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치료법은 화상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완화제, 더모코르티코이드, 드레싱, 예컨대 바셀린 거즈, 히드로겔, 히드로콜로이드 또는 심지어 목탄 또는 은-코팅 드레싱).
최적의 치료법의 선택은 치료되는 병변의 타입, 다시 말해 건성, 진물성, 매우 삼출성, 감염성 등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예를 들면, 히드로겔-타입 드레싱은 건성 병변의 치유를 촉진하여서 이를 습윤 환경에 유지하게 하기 쉽다. 반면에, 이것을 삼출성 방사선피부염에 적용하면 침연(maceration)의 현상을 유도해 치유를 억제하기 쉽고, 감염 또는 중복감염(superinfection)을 초래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방사선 치료법 유래의 이온화 방사선 이외의 수단에 의해 손상받을 수 있다.
피부 쓰라림 또는 병변은 조직의 연속성에서의 중단이다. 피부 또는 점막이 파괴, 절단 또는 벗겨질 때 상처가 있다. 쓰라림의 증세는 그 위치, 외형 및 기원(화상, 물림, 절단, 등)에 의해 특정된다.
피부 병변은 생물학적 및 임상적 특징, 예컨대 수화/영양에 대한 필요성 및 폐색에 대한 필요성에 기반하여 분류될 수 있다. 병변을 3가지 패밀리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 진물성 병변: 이것은 공기가 통과하게 하기 위하여 비-폐색성 처치를 이용한 건조를 필요로 하는 침연을 거치는 병변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기저귀 발진, 접힘부의 침연, 진물성 병변 또는 물집을 갖는 수두를 포함한다.
- 제I형 비-진물성 병변: 이것은 반-폐색성, 통기성 처치를 이용한 수화를 필요로 하는 피상적 내지 중간-크기 병변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결림, 절단, 쓰라림이 건조된 후 일상 생활의 마멸(abrasion), 치유기에서의 수두, 심미적 활동(박리, 레이저, 영구적 모발 제거, 문신, 문신 제거, 등)에 뒤따르는 병변 또는 비-진물성 기저귀 발진을 포함한다.
- 제II형 비-진물성 병변: 이것은 외부 환경에 대한 차단막을 생성하기 위해 폐색성 처치를 이용한 지질-보충 영양을 필요로 하는 중간 내지 주된 병변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갈라진 피부, 쓰라림, 치수염, 화상 또는 찰과상을 포함한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대해 신체를 단리 및 보호한다. 쓰라림이 일어날 때, 신체는 자연적인 생물학적 현상을 촉발한다: 치유. 이것은 복잡한 복구 공정이며, 신체는 잠재적인 출혈을 중단하고, 상처를 보호, 세척 및 폐쇄해야 한다. 손상된 조직은 처음 조직과 가능한 가깝게 복원되어야 한다.
병변의 자연적 치유 공정은 생화학적, 생물학적 및 세포적 단계의 연속이며, 이들 모두는 치유를 위해 필수적이다.
치유는 서로 중첩되는 정확한 연대적 순서에 따라 복구 공정을 진행하는 구체적인 세포 활동에 의해 특정되는 3가지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1 - 염증 또는 변연절제술(debridement) 단계: 병변이 형성된 직후, 국소 혈관이 확장하여 증가된 혈관 투과성 및 혈장 누출을 초래한다. 상기 혈관확장은 혈관수축과 이후의 병변의 바닥에서 특히 혈소판의 작용으로 인해 혈액의 손실을 제한하는 응고가 형성된 직후에 이어진다. 이후, 화학주성 물질에 의해 이끌려 전-염증성 세포(백혈구 및 대식세포)가 주위 조직으로부터 도착하여 병변을 세척하고, 죽은 조직, 미생물 및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상기 단계는 12 내지 24시간에 시작되고, 홍조(홍반), 종창(부종), 통증 및 국소 온도의 증가에 의해 특정되는 염증 반응을 초래한다.
필요하기는 하지만, 상기 염증 단계는 3일 이상 지속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지 않다면 세포 증식 및 새로운 상피 형성 또는 (상피화)의 후속 단계가 지연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염증은 자유 라디칼, 예컨대 반응성 질소 종(RNS) 및 반응성 산소 종(ROS)의 존재에 의해 자극 및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병변에서 새롭게 합성된 생체분자의 산화를 자연적으로 유도하고, 이에 따라 세포 재생 및 치유의 공정을 늦추게 된다.
단계 2: 출아(budding) 또는 과립 조직 형성 단계: 상기 단계 동안에, 대식세포에 의한 자극 및 모집 후에 결합 조직 세포인 섬유아세포가 대량으로 나타난다. 섬유아세포는 상당한 양의 콜라겐, 엘라스틴 및 진피의 세포 매트릭스의 다른 요소를 생산한다. 동시에, 내피 세포는 손상된 모세혈관의 말단에서 출아를 형성한다. 상기 웃자람(overgrowth)은 과립 조직이 손실된 물질을 채우고 섬유아세포가 병변의 가장자리에 도착할 때 중단된다.
단계 3: 표피화 또는 상피화 단계: 원발성 흉터가 형성되면, 25 또는 30일 정도에, 콜라겐이 현저하게 악화되기 시작하고, 상기 원발성 흉터의 리모델링의 시작을 표시한다. 상기 단계 동안에, 병변의 가장자리는 근섬유아세포의 작용 및 표피와 진피 사이의 접합부의 강화로 인해 천천히 수축을 계속한다. 그 결과, 조금씩 상기 흉터는 접촉하기에 더 유연하고, 더 부드럽고, 더 연하게 된다. 상기 리모델링은 6개월 내지 1년 이상 이후에 최종 흉터의 형성을 야기한다.
최종 흉터의 품질은 그 크기, 그 위치 및 특히 치유의 초기 진행에 의존하며, 이에 따라 원발성 흉터의 형성 동안의 처치 및 후속 조치가 중요하다.
급성 병변의 원발성 치유 공정에서의 변경은 드레싱 및 물질을 이용한 전문화된 처치를 필요로 하는 소위 "지향성" 치유를 허용하는 만성이고 복잡한 병변의 형성, 또는 심지어 기능적 후유증을 제공할 수 있는 보기 흉한 비정상적 흉터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올바르게 치료되지 않은 병변은 현저한 감염의 위험성을 제공하고, 이는 결국 치유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용어 "오염"은 손상된 조직에 아직 증식되지 않은 박테리아가 살고 있을 때 사용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콜로니화(colonization)"라는 어구(phase)는 병변 내에서 박테리아의 증식을 수반한다. 콜로니화는 "중대한 콜로니화"로, 다시 병변의 국소 감염으로 변할 수 있다. 이후, 박테리아는 손상된 조직 내로 더 깊이 침투하고, 거기서 증식하여, 염증 반응을 초래한다. 이러한 감염의 일반적인 징후는 병변 영역에서의 열, 발진, 통증, 또는 백혈구증가증이다. 혈류를 통해, 국소 감염은 "전신 감염"으로 발달하여 신체 전체로 퍼질 수 있고, 잠재적으로 대상체의 사망을 유도할 수 있는 급성 패혈증으로 발달한다.
상처 처치의 분야에서, 드레싱의 선택은 그 치료적 효과를 보증하고 요구되는 멸균 조건 하에 상기 처치를 수행하는 것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최고의 치료의 선택은 치료되는 상처의 타입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명확한 것 같다. 최대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드레싱은 이상적으로 감염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과량의 삼출액 및 혈액을 흡수하고, 병변 주위에 촉촉한 환경을 생성 또는 유지하고, 백혈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양호한 열 절연을 유지하고, 또는 통기성일 수 있는 것과 같은 많은 특성 및 기능을 조합해야 한다.
오늘날, 이러한 특성의 스펙트럼은 단일 드레싱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드레싱을 병변의 타입에 맞추거나, 심지어 치유 단계가 진행할 때 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대의 효율로 모든 타입의 피부 병변 및/또는 증세 등급의 병변, 특히 방사선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특유의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한 명확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출원인은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가 병변의 타입, 그 발달 상태 및/또는 그 치유 상태와 무관하게 병변의 치유를 위해 필수적인 조건(습도, 온도, pH, 산소화)을 구조화 및 제어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논의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체역학적 활성을 활용하고, 피부 병변 및/또는 상처의 발달 및 악화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리병리학적 파라미터를 중화시킬 수 있는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며, 다음을 조합한다:
- 비-설페이트화(unsulfated) 가교결합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1 콜로이드(Col-1)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성 네트워크; 및
-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2 콜로이드(Col-2)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성 네트워크.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콜로이드"는 질서정연하게 쌓인 구성 분자로부터 유래되는 결정질 입자(비-비결정질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콜로이드는 또한 "양자점(quantum dot)" 또는 나노결정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것은 수성 매체 중의 콜로이드의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Col-1 및 Col-2 콜로이드의 결합의 개념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이다. 결합은 비-공유 결합 또는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비-공유 또는 공유 결합은 단일 화합물의 형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나노결정에 대한 적어도 한 타입의 화합물의 분자의 다수의 결합이 가능하다.
Col-2/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의 형성은 특히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의 형성의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의 지식에 따라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콜로이드(Col-2)는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티올기(R-S-H)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상기 Col-2 콜로이드가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의 존재 하에 놓여질 때,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가 갖고 있는 티올기 및 상기 콜로이드 Col-2를 구성하는 금속 분자의 황 원자들(S) 사이에 공유 결합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콜로이드(Col-2)는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Col-2 콜로이드는 표면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cysteamine)과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제2 콜로이드(Col-2) 및 음전하를 갖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사이에 비-공유적 정전기 상호작용을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양전하를 갖는" 및 "음전하를 갖는"은 중성, 생리학적 또는 산성 pH(pH 3-7)에서 콜로이드의 표면에 제공되는 전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콜로이드는 종래의 기술, 예를 들면 소위 전구체의 성장의 "바텀-업(bottom-up)" 접근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 경로는 나노물질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며, 핵화 단계 및 단리된 원자로부터의 성장 단계를 수반한다. 이것은 상기 콜로이드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Col-1 및 Col-2 콜로이드는 서로 상이하고, 즉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화학적 요소를 구성한다. 사실, 이들은 동일한 특성을 갖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ol-1 콜로이드는 Ce, Si, Ge, Sn, Te, B, N, P, As, Al, Sb, Ga, In, Cd, Zn, Cu, Cl, Pb, Tl, Bi, Ti, U, Ba, Sr, Li, Nb, La, I, Mo, Mn, Ca, Fe, Ni, Eu, Cr, Br, Ag, Pt, Hg, 및 그 조립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 원소로 이루어진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ol-2 콜로이드는 화학 원소, 바람직하게는 Pt, Au, Ni, Cu, Pd 및 Ag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ol-2 콜로이드를 구성하는 금속은 제로(zero) 산화 상태를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CeO2) 콜로이드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ol-2 콜로이드는 백금(Pt) 콜로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ol-2 콜로이드는 그 표면에 아민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Col-2 콜로이드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어(core)를 갖지만,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표면을 갖는다. 이것은 코어/표면 타입의 개념이다. 용어 "코어"는 코어/쉘(shell) 타입 구조와 연관되지 않는다.
Col-2 콜로이드의 표면은 선택적으로 산화물 층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콜로이드는 금속 코어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는 산화물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CeO2) 콜로이드이고, 상기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인 백금(Pt) 콜로이드이다.
일반적으로, Col-1 콜로이드 및/또는 Col-2 콜로이드는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 자릿수(order)의 평균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ol-1 콜로이드 및/또는 Col-2 콜로이드는 바람직하게는 0.1 nm 내지 1,0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m 내지 100 n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nm 미만, 또는 심지어 5 n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상기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XRD에 의해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ol-1 콜로이드의 크기는 0.4 nm 내지 2 n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ol-2 콜로이드의 크기는 1 내지 5 n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nm이다.
X-선 회절(XRD)은 고체 상태에서 결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이다.
용어 "크기"는 상기 Col-1 및 Col-2 콜로이드의 가장 큰 치수, 예를 들면 구 형상의 Col-1 및 Col-2 콜로이드의 경우에는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및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의 수 평균 크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덱스트로오스,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같은 폴리머로 코팅된 비-공유 또는 공유 결합되기 이전의 콜로이드의 크기가 또한 상기 표시된 값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적절한 경우에,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비결합된 CeO2 콜로이드 및 비결합된 Pt 콜로이드의 크기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드의 코팅은 그 형성 동안에 그 성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Col-1/덱스트로오스 또는 Col-1/마이오-이노시톨 복합체에서, 덱스트로오스 및 마이오-이노시톨은 그 형성 동안에 상기 Col-1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콜로이드의 성장의 제어"는 콜로이드의 크기가 더 작고 다분산도가 더 적게 되는, 다시 말해 평균 주변의 좁은 분포를 형성할 때 모든 입자가 충분히 폐쇄된 크기를 갖는 메커니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드는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드는 도핑(dopping)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콜로이드는 원소,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콜로이드의 합성 동안에 도입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1 kDa 내지 5백만 달톤(Da), 바람직하게는 5 kDa 내지 1 MDa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 히알루론산, 구아 검, 잔탄 검, 아카시아 검, 풀룰란, 덱스트란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알기네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폴리머성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에 해당하는 가교결합제, 바람직하게는 2가 금속,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면 칼슘 또는 마그네슘에 의해 가교결합된다. 상기 가교결합제는 특히 칼슘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네트워크는 금속에 의해 가교결합된 알기네이트에 해당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교결합제 대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질량 비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ol-1 콜로이드 대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질량 비는 1:50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 비는 1:10이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ol-1 콜로이드/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에서, 상기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 히알루론산, 구아 검, 잔탄 검, 아카시아 검, 풀룰란, 덱스트란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알기네이트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1 내지 4천만 달톤(D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천만 Da, 바람직하게는 천 5백만 내지 2천 5백만 Da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그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aphanothece sacrum) 폴리사카라이드; 설페이트화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예를 들면 더마탄 설페이트, 헤파린, 헤파란 설페이트 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글루칸; 푸칸; 푸코이단; 카라기난; 울반, 펜토산 폴리설페이트인 화합물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상기 Col-2 콜로이드와 접촉되기 전에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폴리머성 네트워크는 Col-2 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표면이 있고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제로 산화 상태를 갖는 백금 콜로이드에 의해 가교결합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Col-2 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는 백금 콜로이드는 표면이 있고 상기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되며, 이것은 Col-2의 아민기와 본 발명에 따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의 설페이트 사이에 비-공유 상호작용을 확립하게 한다.
상기 기술된 2가지 구현예에서, 상기 Col-2 콜로이드는 가교결합제로 작용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ol-2 콜로이드 대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질량 비는 1:50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15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량 비는 1:20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대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의 비는 30: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5:1이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Col-2 콜로이드/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에서, 상기 Col-2 콜로이드는 백금 콜로이드이고,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그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 설페이트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예를 들면 더마탄 설페이트, 헤파린, 헤파란 설페이트 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글루칸, 푸칸, 푸코이단, 카라기난, 울반, 펜토산 폴리설페이트인 화합물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물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나타내고,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를 나타내며, 물은 70 중량% 내지 99 중량%를 나타낸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다음을 함유한다:
- 이산화세륨 콜로이드;
- 알기네이트;
- 칼슘 카보네이트;
- 제로 산화 백금 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
- 폴리비닐피롤리돈;
- 글루콘산 또는 글루코노락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노락톤;
-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 및
- 물.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다음을 함유한다:
- 이산화세륨 콜로이드;
- 알기네이트;
- 칼슘 카보네이트;
- 시스테아민을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제로 산화 백금 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
- 글루코노락톤;
-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 및
- 물.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 병변을 방지하고 및/또는 치유하기 위한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 병변은 건성 또는 삼출성이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사선피부염을 방지하고 및/또는 치유하기 위한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선피부염은 건성 내지 삼출성 등급이다.
달리 말하면, 이것은 등급 1, 2 또는 3의 방사선피부염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병변 주변에 상기 병변의 악화를 방지하고 및/또는 그 치유를 가속화하는 것을 선호하는 환경(습도, 온도, pH, 산화, 항균 기능 및 항산화 기능)을 생성하는 2개의 가교결합된 네트워크의 얽힘(entanglement)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이온성 결합에 의해 가교결합된 매트릭스에 해당한다.
병변의 발생시에,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치유의 속도 및 품질을 선호하는 가습 환경을 보장한다. 특히, 상기 가습 환경은 상피화 단계 동안에 새롭게 생성된 세포의 분열 및 이동에 유리하다. 상기 병변의 가습화는 또한 완전한 치유를 늦추고 환자가 병변 부위에서의 경증 우울증과 같은 소정의 해로운 부작용을 피하게 하는 표면 딱지의 형성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체온, 즉 대략 37℃와 가까운 온도로 병변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각질세포의 정확한 증식 및 효소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7 내지 7.6의 pH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따라서 병변에서 병원성 유기체의 증식을 제한하면서 상피의 증식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피부에 자연적으로 할당된 역할인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지만, 피부는 손상된 후에는 더 이상 이를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은 산화, 다시 말해 치유를 위해 필수적인 병변 및 외부 환경 사이의 가스 교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출혈 및 병변에 의해 분비된 삼출액에 대한 효과적이고 중요한 높은 흡수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은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고, 표피의 복원 공정에서의 중단을 유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기네이트 및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유체 및 삼출액의 흡수를 허용하고; 기계적 강도 및 탄성에 기여하며, 병변의 온도 및 pH를 유지함으로써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알기네이트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eO2의 Col-1 콜로이드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는 염증을 완전히 억제하지 않고 이를 제어하는 항산화 역할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상기 복합체는 계속적으로 합성되면 병변을 만성이 되게 할 수 있는 RNS 및/또는 ROS 타입의 자유 라디칼의 합성을 제거, 감소 또는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 바람직하게는 Pt Col-2 콜로이드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는 항균 역할을 갖는다.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피부 병변, 특히 방사선피부염을 예방 및/또는 치유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장기간 지속된다.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또한 더 적게 교환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이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상피 세포를 제한적으로 찢게 됨으로써 치료되는 병변에 충격이 더 적다.
또한,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환자의 입원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공하며, 치유에 있어서의 진행이 이제 종래의 원격의료에 의해 원격으로 모니터될 수 있다.
사실, 혁신적 방식으로, 병변이 감염될 때, 박테리아 개체군의 증식은 pH에서의 변동, 바람직하게는 pH에서의 증가를 유도한다. 세륨의 원자가 레벨에서의 변화가 뒤따른다. 이것은 올바른 치유를 보장하고 대상체에 대한 합병증(패혈증,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드레싱을 교체하고 및/또는 병변 감염을 치료할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투명으로부터 유색, 예를 들면 오랜지색으로 매트릭스의 색상 변화를 야기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투명한 구조는 의료 종사자가 가능하게는 원격으로 치유의 진행을 용이하게 관찰하여 실시간으로 임의의 가능한 합병증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 및 드레싱은 몇 가지 특징 및 기능을 조합하며, 이것은
- 비-독성 및 비-알레르기성이고;
- 외부 환경으로부터 병변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 감염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 과량의 삼출액 및 혈액을 흡수할 수 있고;
- 병변 주위에 가습 환경을 생성 및 유지하고;
- 치유를 가속화 및 개선하고;
- 병변 주위에 양호한 열 절연을 유지하여 혈액 흐름 및 표피 세포의 이동을 개선하고;
- 통기성이고 병변 및 그 환경 사이의 가스 교환을 허용하며;
- 병변에서 상피의 성장은 촉진하지만 유기체의 증식은 제한하는 레벨로 pH를 유지하고;
- 병변에 부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 연장된 사용 기간을 제공하고, 즉 보다 경제적이고 병변에 대해 덜 충격적이며;
- 히드로겔과 히드로콜로이드 드레싱 사이의 중간적인 흡수 특성을 갖고;
- 보호성이고;
- 항산화성이고; 및
- 항균성;인 것을 허용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가지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표면이 있고 생체적합성 폴리머와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A); 및
-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B).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가지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표면이 있고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A); 및
-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B).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용액 (A) 및 (B)를 혼합함으로써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지 용액 (A) 및 (B)는 4/5의 용액 (A) 및 1/5의 용액 (B)의 비율로 혼합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실행되는 용액 (A) 및 (B)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인 백금 콜로이드이고;
- 상기 생체적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콘산 또는 글루코노락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노락톤이고; 및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티올기의 부가에 의해 변형된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에 해당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실행되는 용액 (A) 및 (B)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고, 표면이 있고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백금인 백금 콜로이드이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코노락톤이고; 및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가지 용액 (A) 및 (B)를 혼합한 후, 상기 폴리머 네트워크는 상호간의 상호작용 없이 가교결합되고 얽히게 되어서, 겔의 형태이고 가소화 효과를 갖는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를 형성하며, 이것은 치료되는 병변을 덮고, 상기 병변 주위에 보호성이고 통기성인 필름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이온성 결합에 의해 가교결합된 겔에 해당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가지 용액 (A) 및 (B)는 병, 분무기, 주사기 또는 단일-용량 바이알 내에 포장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가지 용액 (A) 및 (B)는 2개-구획(compartment) 용기에 포장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용액 (A)는 pH 7이고,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생체적합성 폴리머와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며; 및
- 용액 (B)는 pH 3이고,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용액 (A)는 pH 7이고,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며; 및
- 용액 (B)는 pH 3이고,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실행되는 용액 (A) 및 (B)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인 백금 콜로이드이고;
- 상기 생체적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콘산 또는 글루코노락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노락톤이고; 및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2개-구획 용기의 예는:
- 도스유럽(Doseurope)에 의해 판매되고, 구체적으로 4:1 비를 위해 디자인된 42 ㎖ 부피의 이중 주사기(제품 코드: D-KART-050-04), 정적 혼합기 L212(제품 코드: M-50-212) 및 4:1 이중 주사기 총(제품 코드: PIST-50-4: 1)으로 이루어진 2개-구획 주사기; 또는
- 네오팩(Neopac)에 의해 시판되는 2개-구획 이지믹스 튜브(Easymix Tube);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실행되는 용액 (A) 및 (B)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인 백금 콜로이드이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코노락톤이고; 및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 및 이로부터 기인하는 이점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한하는 방식이 아닌 다음의 도면 및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알기네이트와 비-공유적으로 결합하기 전의 CeO2 콜로이드의 디프랙토그램(diffractogram)을 보여준다.
도 2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와 공유적으로 결합하기 전에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Pt 콜로이드의 디프랙토그램을 보여준다.
도 3은 2가지 상업적 제품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ABTS의 분해 활성(% 기준)을 시간(분)의 함수로서 보여준다.
1/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세륨 콜로이드(Col-1)의 합성
0.1-2 mmol의 덱스트로오스 또는 마이오-이노시톨 및 0.5-5 당량의 이산화세륨 전구체, 예컨대 염화세륨을 10-100 ㎖의 물에 용해시킨다. 용해되었을 때, 1-10 당량의 암모니아를 첨가한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 1-5시간 동안 유지한다. 아세톤을 카운터 용매(counter solvent)로 첨가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정제되게 한다. 펠렛(pellet)을 원하는 농도로 물에 재분산시킨다.
상기 합성 공정의 결과는 덱스트로오스 또는 마이오-이노시톨로 코팅된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다. 상기 복합체에서, 덱스트로오스 및 마이오-이노시톨은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고 입자의 크기를 평균 크기 정도로 좁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공유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금 콜로이드(Col-2)의 합성
10 내지 100 ㎖의 물에 용해된 0.1 내지 10 mmol의 글루코노락톤으로부터 용액을 제조한 후, 가열해 환류시킨다.
환류가 도달될 때, 10 내지 100 ㎖의 물에 용해된 0.01 내지 10 mmol의 콜로이드성 백금 전구체 염, 예컨대 클로로플라틴산 및 0.001 내지 1 mmol의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상기 반응 매체에 첨가한다.
상기 용액이 1 내지 5시간 동안 환류되게 한다.
이후,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톤을 카운터 용매로 첨가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정제되게 한다. 이후, 펠렛을 원하는 농도로 물에 분산시킨다.
상기 합성 공정의 결과는 PVP에 분산된 백금 콜로이드이다. 상기 콜로이드는 본 발명에 따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되고 그 반합성(hemisynthesis)이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3/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의 반-합성
10 내지 100×10-7 mmol의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를 10 내지 1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교반한다.
100,000-100,000,00×10-7 mmol의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 10 내지 100분 동안 유지한다.
1,000,000 내지 100,000,000×10-7 mmol의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 하에 유지한다. pH를 4로 조정한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 6 내지 24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후, pH를 6으로 조정한다.
티올기를 부가함으로써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를 침전시키기 위해 상기 용액을 대략 그 부피의 10배의 에탄올 내에 붓고, 원심분리에 의해 상기 화합물을 회수한 후, 이를 최소의 물에 용해시키고(1-5 질량%의 용액), 동결건조한다.
4/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비-공유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금 콜로이드(Col-2)의 합성
0.1-10 mmol의 글루코노락톤을 10-1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가열해 환류시킨다.
환류가 도달될 때, 10-100 ㎖의 물에 용해된 0.1-1 당량의 콜로이드성 백금 전구체 염, 예컨대 클로로플라틴산 및 0.01-0.1 당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상기 반응 매체에 첨가한다.
상기 용액을 환류 하에 1-5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0.1-1 당량의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한다. 상기 용액을 교반 하에 1-5시간 동안 유지한 후, 아세톤을 카운터 용매로 첨가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정제되게 한다. 이후, 펠렛을 원하는 농도로 물에 분산시킨다.
상기 합성 공정의 결과는 시스테아민의 부가에 의해 변형되고 PVP에 분산된 백금 콜로이드이다. 상기 콜로이드는 설페이트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쿨롱 상호작용).
5/ 본 발명에 따른 CeO 2 /알기네이트 및 Pt/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 콜로이드
작은 크기의 CeO2 및 Pt 입자는 더 큰 면적을 덮고, 따라서 더 많은 수의 분자를 각각의 입자의 표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송되는 Cu-Kα 공급원의 XRD를 이용하여 분말에 대한 디프랙토그램을 측정하였다.
알기네이트로 비-공유 결합하기 전의 CeO2 콜로이드의 디프랙토그램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티올기의 부가에 의해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로 공유 결합하기 전의 Pt 콜로이드의 디프랙토그램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제조 공정
2가지 용액 (A) 및 (B)를 4/5의 용액 (A) 및 1/5의 용액 (B)의 비율로 혼합한다.
용액 (A)는 실시예 1로부터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CeO2 콜로이드, 및 알기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및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기술된 반응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Pt/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 콜로이드, 및 물을 포함하고;
용액 (B)는 물에 분산된 자연형의(변형되지 않은)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용액 A는 실시예 1로부터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CeO2 콜로이드, 알기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실시예 4에 따른 백금 콜로이드 및 자연형의(변형되지 않은)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INCI) 및 물을 포함하고; 용액 B는 물에 분산된 자연형의(변형되지 않은)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한다.
혼합한 후,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가교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가 얽힘으로써 수 분(1-5분), 또는 심지어 수 초(1분 미만) 내에 형성된다.
7/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항산화 활성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 알기네이트와 비-공유적으로 결합되고 매트릭스의 0.01 내지 1 중량%의 함량을 나타내는 Col-1 콜로이드;
- 티올기의 부가에 의해 변형된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매트릭스의 0.001 내지 0.1 중량%의 함량을 나타내는 Col-2 콜로이드;
- 매트릭스의 70 내지 99 중량%의 함량을 나타내는 물;을 포함한다.
14 mM의 ABTS(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의 스톡(stock) 용액을 동일한 부피의 암모늄 퍼설페이트의 수력학적 용액의 4.9 mM 용액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양이온성 ABTS 라디칼을 생산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암소에서 인큐베이션한다. 734 nm에서 1.5의 흡광도를 수득하기 위하여, 수득된 용액을 150 mM의 NaCl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버퍼(0.2 M, 및 pH 7.4)로 1/100으로 희석한다.
1.2 내지 12 ㎎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상이한 질량의 샘플을 물에 240 g/L로 분산시키고, 수 중 0.07 mM의 상기 양이온성 ABTS 용액 2,970 ㎕에 첨가한 후, 암소에서 교반 하에 둔다.
30분의 인큐베이션 후, 상기 ABTS는 완전히 분해된다.
상기 생성물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자외선(UV) 분광광도법 용기에서 상기 제조된 것과 같은 3,000 ㎕의 ABTS 용액과 혼합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소에서 인큐베이션한다. 이후, 흡광도를 20분마다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항산화 특성을 2가지 상업적 제품과 비교한다:
- 건성이거나, 섬유소성이거나, 괴사성인 쓰라림을 치료하기 위한 나트륨 알기네이트를 함유하는 히드로겔에 해당하는 Nu-Gel® 드레싱;
- 알기네이트 및 항균 효소 시스템을 포함하는 겔에 해당하는 Flaminal Hydro® 드레싱.
상기 데이터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그 결과는 120시간 후 대략 85%의 ABTS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에 의해 분해되었지만, 상기 Nu-Gel® 및 Flaminal Hydro® 드레싱은 각각 대략 18% 및 27%의 ABTS를 분해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용액의 항산화 활성은 지수적이고, 2가지 상업적 드레싱의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더 크다.
8/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에 의한 삼출액의 흡수능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에 의한 삼출액의 흡수능을 삼출성 또는 심지어 매우 삼출성인 쓰라림을 치료하기 위하여 표시된 다양한 상업적 제품과 비교하였다.
50 ㎖의 소 태아 혈청 및 50 ㎖의 0.1% 펩톤 및 0.9%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희석액을 혼합함으로써 삼출 용액을 제조한다. 1.98 ㎠의 면적을 얻도록 시트 드레싱을 자른다. 1.98 ㎠의 면적을 덮도록 상기 겔 드레싱을 붓는다.
각각의 샘플을 직경 3 ㎝의 페트리(Petri) 접시에 둔 후, 칭량한다(m0). 각각의 드레싱을 4 ㎖의 삼출액으로 덮은 후, 상기 페트리 접시를 밀봉하고, 이를 21℃에서 72시간 동안 보관한다. 나머지 삼출액을 각각의 접시로부터 제거하고, 각각의 샘플을 다시 칭량한다(m1).
각각의 드레싱의 삼출액 흡수능을 다음의 식에 따라 결정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드레싱 브랜드 타입 60시간 후의 흡수
(g/100 ㎠)
Permafoam Comfort 히드로파이버 66.25
Biatain Adhesive 히드로셀룰러 101.60
Intrasite Conformable 히드로겔 시트 11.64
Hydrotac 히드로겔 시트 35.41
Tegarderm Hydrocolloid Thin 히드로콜로이드 19.81
Duoderm Extra Thin 히드로콜로이드 30.90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 히드로겔 시트 15.36
상기 결과는 삼출성 또는 심지어 매우 삼출성인 쓰라림용으로 표기된 히드로파이버(hydrofiber) 및 히드로셀룰러(hydrocellular) 타입의 드레싱이 65 내지 100 g/㎠의 흡수된 삼출액으로 더 나은 흡수를 가짐을 보여준다.
히드로겔-타입의 시트 드레싱은 10-35 g/㎠의 삼출액을 흡수한다.
저-삼출성의 쓰라림용으로 표기된 히드로콜로이드-타입의 드레싱은 20 내지 30 g/㎠의 삼출액을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는 이를 히드로겔-타입의 시트 드레싱에 둘 때 15 g/㎠의 삼출액을 흡수한다. 이것은 삼출액 흡수 테스트를 이겨낸 액체 형태의 유일한 시트 히드로겔인데, 그 이유는 평가된 2가지 상업적 히드로겔(Intrasite Conformable 및 Hydrotac)은 삼출액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해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삼출액의 흡수를 허용하면서 드레싱의 형상을 유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가교결합에 의해 설명된다.
또한, 삼출액의 흡수는 천천히 점진적으로 일어나서, 상기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가 재배열되게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테스트된 상업적인 제품은 삼출액을 스폰지처럼 흡수한다. 그 결과, 포화된 후, 상기 제품은 삼출액을 더 이상 흡수할 수 없고, 따라서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Claims (16)

  1. - 비-설페이트화 가교결합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1 콜로이드(Col-1)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성 네트워크; 및
    -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공유적으로 또는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제2 콜로이드(Col-2)를 포함하는 제2 가교결합된 폴리머성 네트워크;를 조합하는, 생체역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 병변 및/또는 쓰라림의 발달 및 악화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리병리학적 파라미터를 중화시킬 수 있는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 히알루론산, 구아 검, 잔탄 검, 아카시아 검, 풀룰란, 덱스트란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알기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ol-2 콜로이드는 백금 콜로이드이고,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그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설페이트, 예를 들면, 더마탄 설페이트, 헤파린, 헤파란 설페이트 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글루칸, 푸칸, 푸코이단, 카라기난, 울반, 펜토산 폴리설페이트인 화합물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콜로이드(Col-2)는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쓰라림을 방지 및/또는 치유하기 위한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매트릭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병변은 건성 또는 삼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선피부염을 예방 및/또는 치유하기 위한 드레싱으로 사용하기 위한 매트릭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방사선피부염이 건성 내지 삼출성 등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성 매트릭스.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3차원 바이폴리머성 매트릭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매트릭스는
    -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와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표면이 있고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A); 및
    -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용액 (B);를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 바람직하게는 제로 산화 상태의 코어를 갖는 백금의 백금 콜로이드이고, 표면이 있고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코노락톤이고; 및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가지 용액 (A) 및 (B)는 4/5의 용액 (A) 및 1/5의 용액 (B)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가지 용액은 병, 분무기, 주사기 내에, 또는 단일 용량 바이알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가지 용액은 2개-구획 용기에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용액 (A)는 pH 7이고,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Col-1 콜로이드,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 및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과 공유적으로 결합된 Col-2 콜로이드를 포함하고; 및
    - 용액 (B)는 pH 3이고, 산성화제 및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Col-1 콜로이드는 이산화세륨 콜로이드이고;
    - 상기 비-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고;
    - 상기 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공급원은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카보네이트이고;
    - Col-2 콜로이드는 제로 산화 상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그 코어가 제로 산화 상태를 나타내는 백금이고, 콜로이드가 양전하를 갖게 할 수 있는 제제,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아민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 상기 산성화제는 글루코노락톤이고;
    - 상기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INCI 명칭이 아파노테케 사크룸 폴리사카라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27005358A 2019-07-18 2020-07-17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KR20220038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8136 2019-07-18
FR1908136A FR3098723B1 (fr) 2019-07-18 2019-07-18 Traitement ecobiologique des effets secondaires de la radiotherapie.
PCT/EP2020/070323 WO2021009360A1 (fr) 2019-07-18 2020-07-17 Traitement ecobiologique des effets secondaires de la radiotherap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400A true KR20220038400A (ko) 2022-03-28

Family

ID=6787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358A KR20220038400A (ko) 2019-07-18 2020-07-17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401618A1 (ko)
EP (1) EP3999132B1 (ko)
JP (1) JP2022540698A (ko)
KR (1) KR20220038400A (ko)
CN (1) CN114173834B (ko)
DK (1) DK3999132T3 (ko)
FI (1) FI3999132T3 (ko)
FR (1) FR3098723B1 (ko)
PT (1) PT3999132T (ko)
WO (1) WO20210093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880A (en) * 1987-12-21 1999-06-29 Bukh Meditec A/S Reduction of skin wrinkling using sulphated sugars
TWI436793B (zh) * 2006-08-02 2014-05-11 Baxter Int 快速作用之乾密封膠及其使用和製造方法
US20100098768A1 (en) * 2008-10-16 2010-04-22 Clarkson University Method of neuroprotection from oxidant injury using metal oxide nanoparticles
FR3020570B1 (fr) * 2014-04-30 2017-07-21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Association d'un acide hyaluronique et d'un polysaccharide sulfate
AR110125A1 (es) * 2016-11-07 2019-02-27 Croma Pharma Ges M B H Compuestos poliméricos que liberan sulfuro de hidrógeno
RU2699362C2 (ru) * 2018-01-16 2019-09-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ОВАСКИН" (ООО "Новаскин")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наночастиц диоксида церия и полисахаридов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FR3081711B1 (fr) * 2018-05-31 2020-10-16 Bionuclei Procede de protection topique contre des molecules polluantes atmospheriques et/ou des radicaux libres formes par une exposition a un rayonnement ultraviolet
CN109607591B (zh) * 2018-12-14 2020-12-25 西安交通大学 一种纳米二氧化铈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0698A (ja) 2022-09-16
EP3999132B1 (fr) 2023-12-27
PT3999132T (pt) 2024-03-19
FR3098723A1 (fr) 2021-01-22
DK3999132T3 (da) 2024-03-11
WO2021009360A1 (fr) 2021-01-21
CN114173834A (zh) 2022-03-11
FR3098723B1 (fr) 2023-01-13
FI3999132T3 (fi) 2024-03-25
CN114173834B (zh) 2023-11-21
US20220401618A1 (en) 2022-12-22
EP3999132A1 (fr)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if et al. Polymer-based biomaterials for chronic wound management: Promises and challenges
Qian et al. Dual cross-linked organic-inorganic hybrid hydrogels accelerate diabetic skin wound healing
Kaur et al. Biomaterials-based regenerative strategies for skin tissue wound healing
Politano et al. Use of silver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s: silver review
Wiegand et al. Polymer‐based biomaterials as dressings for chronic stagnating wounds
Shivakumar et al. Prospection of chitosan and its derivatives in wound healing: Proof of patent analysis (2010–2020)
Wang et al. Multi-layer-structured bioactive glass nanopowder for multistage-stimulated hemostasis and wound repair
JPH04502569A (ja) 創傷治療用ゲル配合物
Jeong et al. Effective wound healing by antibacterial and bioactive calcium-fluoride-containing composite hydrogel dressings prepared using in situ precipitation
Shi et al. Dual light-responsive cellulose nanofibril-based in situ hydrogel for drug-resistant bacteria infected wound healing
Ju et al. Silk fibroin based hydrogel for regeneration of burn induced wounds
EP04725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N111097067A (zh) 一种促伤口快速愈合的抗菌性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Uraloğlu et al. An evaluation of five different dressing materials on split‐thickness skin graft donor site and full‐thickness cutaneous wounds: an experimental study
JPH05506861A (ja) 損傷されたかまたは病気になった組織の局所的処置用の組成物および方法
RU2699362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наночастиц диоксида церия и полисахаридов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Yang et al. Self-healing hydrogels based on biological macromolecules in wound healing: A review
CN111073001A (zh) 一种两性葡聚糖水凝胶及应用
CN104983722A (zh) 一种皮肤祛疤修复喷膜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38400A (ko) 방사선치료법의 부작용의 생태생물학적 치료
Hao et al. Functional drug-delivery hydrogels for oral and maxillofacial wound healing
RU2467767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и изделия на ее основе
Zhang et al. A guanosine/konjac glucomannan supramolecular hydrogel with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immunoregulatory properties for cutaneous wound treatment
Wang et al. Silk fibroin and κ-carrageenan composite films containing zinc-doped bioactive glass for wound closure
Emam-Djomeh et al. Chitosan/poly (ethylene glycol)/ZnO bionanocomposite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