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337A -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337A
KR20220038337A KR1020227001113A KR20227001113A KR20220038337A KR 20220038337 A KR20220038337 A KR 20220038337A KR 1020227001113 A KR1020227001113 A KR 1020227001113A KR 20227001113 A KR20227001113 A KR 20227001113A KR 20220038337 A KR20220038337 A KR 2022003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delink
value
transmission power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헤이 요시오카
사토시 나가타
얀루 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2003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단말.

Description

단말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A(LTE Advanced), NR(New Radio)(5G라고도 부른다))에서는, User Equipment(UE) 등의 단말끼리가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사이드링크(D2D(Device to Device)라고도 부른다)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또, V2X(Vehicle to Everything)를 실현하는 것이 검토되고, 사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V2X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일부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간에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V(Vehicle to Vehicle), 자동차와 도로변에 설치되는 노변장치(RSU: Road-Side Unit)와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자동차와 드라이버의 모바일 단말과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및, 자동차와 보행자의 모바일 단말과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P(Vehicle to Pedestrian)의 총칭이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3 V15.2.0(2018-06) 비특허문헌 2: 3GPP TS 38.211 V15.6.0(2019-06) 비특허문헌 3: 3GPP TS 38.214 V15.5.0(2019-03) 비특허문헌 4: 3GPP TS 38.331 V15.5.1(2019-04)
New Radio(NR)의 사이드링크(SL)에서, 송신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서포트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3GPP의 릴리스 16에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open-loop transmitter power control, OLPC)만을 서포트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향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의 송신 전력 제어를 어떻게 수행할지, 현시점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의 송신 전력 제어를 어떻게 수행할지, 현시점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들의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V2X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a는 사이드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b는 사이드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되는 MAC PDU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SL-SCH subheader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LTE-V2X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에서 사용되는 채널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단말의 리소스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a는 NR의 V2X에서 규정되는 SL transmission mode 1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b는 SL transmission mode 2a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c는 SL transmission mode 2c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d는 SL transmission mode 2d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a는 유니캐스트 PSCCH/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b는 그룹캐스트 PSCCH/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c는 브로드캐스트 PSCCH/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LTE의 사이드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사용되는 수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는 NR-Uu에 있어서의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는 경우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b는 NR-Uu에 있어서의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는 경우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c는 NR-Uu에 있어서의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는 경우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CSI-RS를 수반하는 PSCCH 심벌을 포함하는 슬롯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distance-based HARQ가 적용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PUSCH-PathlossReferenceRS에 기초하는 레퍼런스 신호에서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을 규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PUSCH-PathlossReferenceRS 정보 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TCI state와 레퍼런스 신호와의 대응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송신측의 단말이 L3-RSRP 측정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2개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의 방식은 LTE 혹은 NR의 사이드링크(SL(Sidelink))인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직접 통신의 방식은 해당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사이드링크'라는 명칭은 일 예이며, '사이드링크'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고, UL(Uplink)이, SL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SL은, DL(Downlink) 또는 UL과 주파수 또는 시간 리소스의 차이에 따라 구별되어도 좋으며, 다른 명칭이어도 좋다.
또, UL와 SL이, 시간 리소스, 주파수 리소스, 시간·주파수 리소스,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Pathloss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참조 신호, 동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참조 신호(PSS/SSS/PSSS/SSSS)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복수의 조합의 차이에 의해 구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UL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Pathloss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참조 신호로서, 안테나 포트 X_ANT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고, SL(SL로서 사용하는 UL를 포함한다)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Pathloss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참조 신호로서, 안테나 포트 Y_ANT의 참조 신호를 사용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유저장치(UE)라 불려도 좋다)이 차량에 탑재되는 형태를 주로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은 사람이 보유하는 단말이어도 좋으며, 단말이 드론 혹은 항공기에 탑재되는 장치이어도 좋으며, 단말이 기지국, RSU, 중계국(릴레이 노드), 스케줄링 능력을 갖는 유저장치 등이어도 좋다.
(사이드링크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링크를 기본 기술로 함으로써, 먼저, 기본적인 예로서, 사이드링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기술의 예는 3GPP의 Rel. 14 등에서 규정되어 있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NR에 있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NR에서는, 해당 기술과 다른 기술이 사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E-UTRA 기술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노드를 통하지 않고, 인접하는 2개 이상의 유저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직접 통신이라 정의되어도 좋다. 사이드링크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라 정의되어도 좋다.
사이드링크에는, 크게 나눠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이 있다. '디스커버리'에 대해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iscovery period마다, Discovery 메시지용 리소스 풀이 설정(configured)되고, 단말(UE라고 칭해진다)은 그 리소스 풀 내에서 Discovery 메시지(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Type 1, Type 2b가 있다. Type 1에서는, 단말이 자율적으로 리소스 풀로부터 송신 리소스를 선택해도 좋다. Type 2b에서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신호)에 의해 준정적인 리소스가 할당되어도 좋다(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대신에, 사이드링크의 RRC 시그널링인 PC5-RRC가 적용되어도 좋으며, DCI 및/또는 SCI가 적용되어도 좋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도,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C(Sidelink Control) period마다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데이터 송신용 리소스 풀이 주기적으로 설정된다. 송신측의 단말은 Control 리소스 풀(PSCCH 리소스 풀)로부터 선택된 리소스에서 SCI에 의해 데이터 송신용 리소스(PSSCH 리소스 풀) 등을 수신측에 통지하고, 해당 데이터 송신용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는, 모드 1과 모드 2가 있다. 모드 1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보내지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다이나믹하게 리소스가 할당되어도 좋다. 모드 2에서는, 단말은 리소스 풀로부터 자율적으로 송신 리소스를 선택해도 좋다. 리소스 풀에 대해서는, SIB에서 통지되는 등(SIB 대신에, MIB,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사이드링크의 RRC 시그널링인 PC5-RRC 등이 적용되어도 좋다), 미리 정의되는 것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 Rel-14에서는, 모드 1과 모드 2에 더해, 모드 3과 모드 4가 있다. Rel-14에서는, SCI와 데이터를 동시에(1 서브 프레임에서), 주파수 방향으로 인접한 리소스 블록에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CI를 SA(scheduling assignment)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디스커버리'에 이용되는 채널은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이라 칭해지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SCI 등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채널은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이라 칭해지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채널은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이라 칭해져도 좋다. PSCCH과 PSSCH은 PUSCH 베이스의 구조를 갖고,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복조 참조 신호)가 삽입되는 구조가 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SCCH을 사이드링크의 제어 채널이라 칭해도 좋으며, PSSCH을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라 칭해도 좋다. PSCCH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라 칭해도 좋으며, PSSCH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사이드링크의 데이터 신호라 칭해도 좋다.
사이드링크에 이용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MAC header, MAC Control element, MAC SDU(Service Data Unit), Padding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MAC PDU는 그 외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MAC header는, 하나의 SL-SCH(Sidelink Shared Channel) subheader와, 하나 이상의 MAC PDU subheader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L-SCH subheader는, MAC PDU 포맷 버전(V), 송신원 정보(SRC), 송신처 정보(DST), Reserved bit(R)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V는, SL-SCH subheader의 선두에 할당되고, 단말이 이용하는 MAC PDU 포맷 버전을 나타내도 좋다. 송신원 정보에는, 송신원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어도 좋다. 송신원 정보에는, ProSe UE ID에 관한 식별자가 설정되어도 좋다. 송신처 정보에는, 송신처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어도 좋다. 송신처 정보에는, 송신처의 ProSe Layer-2 Group ID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어도 좋다.
LTE-V2X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구조의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PSCCH의 리소스 풀 및 PSSCH의 리소스 풀이 할당되어도 좋다. 또, '커뮤니케이션'의 채널의 주기보다도 긴 주기로 '디스커버리'에 사용되는 PSDCH의 리소스 풀이 할당되고 있다. 또한, NR-V2X에서는, PSDCH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 사이드링크용 동기 신호로서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커버리지 밖 동작을 위해 사이드링크의 시스템 대역, 프레임 번호, 리소스 구성 정보 등의 브로드캐스트 정보(broadcast information)를 송신하는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이 이용되어도 좋다. PSSS/SSSS 및 PSBCH은, 예를 들면,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PSSS/SSSS를 SLSS라 칭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정하고 있는 V2X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방식이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뮤니케이션'과 '디스커버리'의 구별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술이, '디스커버리'에서 적용되어도 좋다.
(시스템 구성)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기지국(10), 단말(20A), 및 단말(20B)을 갖는다. 또한, 실제로는 다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지만, 도 6은 예로서 단말(20A), 및 단말(20B)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단말(20A)은 송신측, 단말(20B)은 수신측을 의도하고 있지만, 단말(20A)과 단말(20b)은 모두 송신 기능과 수신 기능의 양방을 구비한다. 이하, 단말(20A, 20B) 등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단말(20)' 혹은 '단말'이라 기술한다. 도 6에서는, 일 예로서 단말(20A)과 단말(20B)이 모두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은, 모든 단말(20)이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와, 일부의 단말(20)이 커버리지 내에 있으며, 타방의 단말(20)이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와, 모든 단말(20)이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20)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장치이며, LTE 혹은 NR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E)로서의 셀룰러 통신의 기능, 및, 사이드링크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단말(20)은, GPS 장치, 카메라, 각종 센서 등, 보고 정보(위치, 이벤트 정보 등)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단말(20)이, 일반적인 휴대단말(스마트폰 등)이어도 좋다. 또, 단말(20)이, RSU이어도 좋다. 해당 RSU는, UE의 기능을 갖는 UE 타입 RSU이어도 좋으며,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BS 타입 RSU(gNB 타입 UE라 불려도 좋다), 또는 중계국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20)은 하나의 본체의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각종 센서가 차량 내에 분산하여 배치되는 경우라도, 해당 각종 센서를 포함시킨 장치가 단말(20)이다. 또, 단말(20)은 각종 센서를 포함하지 않고, 각종 센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단말(20)의 사이드링크의 송신의 처리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LTE 혹은 NR에서의 UL 송신의 처리 내용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단말(20)은, 송신 데이터의 코드워드를 스크램블하고, 변조하여 complex-valued symbols를 생성하고, 해당 complex-valued symbols(송신 신호)를 1 또는 2 레이어에 맵핑하고, 프리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precoded complex-valued symbols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맵핑하고, 송신 신호(예: CP-OFDM, DFT-s-OFDM)를 생성하고, 각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또, 기지국(10)에 대해서는, LTE 혹은 NR에 있어서의 기지국(10)으로서의 셀룰러 통신의 기능, 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2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능(예: 리소스 풀 설정, 리소스 할당 등)을 갖고 있다. 또, 기지국(10)은, RSU(gNB 타입 RSU), 중계국, 또는 스케줄링 기능을 갖는 단말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단말(20)이 SL 혹은 UL에 사용하는 신호 파형은, OFDMA이어도 좋으며, SC-FDMA이어도 좋으며, 그 외의 신호 파형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일 예로서, 시간 방향으로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예: 10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주파수 방향은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다. 1 서브 프레임은 1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일 예이다. 단, TTI는, 서브 프레임이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TTI는, slot 또는 mini-slot, 그 외의 시간 영역의 단위이어도 좋다. 또,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1 서브 프레임당 슬롯 수가 규정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1 슬롯당 심벌 수가 14 심벌이어도 좋다. 또한, 1 심벌에는, 멀티패스에 기인하는 심벌 간 간섭을 저감하기 위한 가드 기간인 Cyclic Prefix(CP)가 포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은, 기지국(10)으로부터 단말로 보내지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다이나믹하게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드인 모드 1, 단말이 자율적으로 리소스 풀로부터 송신 리소스를 선택하는 모드인 모드 2, 기지국(10)으로부터 SL 신호 송신을 위한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드(이후, 모드 3이라 부른다), 자율적으로 SL 신호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선택하는 모드(이후, 모드 4라 부른다)의 어느 모드도 취할 수 있다. 모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으로부터 단말(20)에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예를 들면, scheduled 또는 ue-Selected 등의 파라미터의 통지)을 수행함으로써 설정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드 4의 단말(도 7에서는 UE로서 나타낸다)은, 동기된 공통의 시간·주파수 그리드(또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로부터 무선의 리소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단말(20)은, 백그라운드에서 센싱을 수행하여, 센싱 결과가 양호한 리소스이며, 다른 단말에 예약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를 후보 리소스로서 특정하고, 후보 리소스로부터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를 선택한다.
(NR의 V2X의 개요)
NR의 V2X에서는, LTE의 V2X에서 규정되어 있는, SL transmission mode 3 및 SL transmission mode 4와 동일한 송신 모드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transmission mode는 resource allocation mode로 읽혀도 좋으며, 이름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8a∼도 8d를 참조하여, NR의 V2X에서 규정되어 있는 송신 모드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8a는, NR의 V2X에서 규정되는 SL transmission mode 1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NR의 V2X에서 규정되는 SL transmission mode 1은, LTE의 V2X에서 규정되어 있는, SL transmission mode 3에 대응된다. NR의 V2X에서 규정되는 SL transmission mode 1에서는, 기지국(10)이 송신 리소스를 스케줄링하여, 송신측의 단말(20A)에 송신 리소스를 할당한다. 단말(20A)은, 할당된 송신 리소스에 의해, 신호를 수신측의 단말(20B)로 송신한다.
도 8b, 도 8c, 및 도 8d는, NR의 V2X에서 규정되어 있는 SL transmission mode 2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NR의 V2X에서 규정되는 SL transmission mode 2는, LTE의 V2X에서 규정되어 있는, SL transmission mode 4에 대응된다.
도 8b는, SL transmission mode 2a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SL transmission mode 2a에서는,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A)은, 자율적으로 송신 리소스를 선택하여, 선택한 송신 리소스에 의해, 신호를 수신측의 단말(20B)로 송신한다.
도 8c는, SL transmission mode 2c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SL transmission mode 2c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이 일정 주기/패턴의 송신 리소스를, 단말(20A)에 대해(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에 의해) 사전에 설정하여, 단말(20A)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 주기/패턴의 송신 리소스에 의해, 신호를 수신측의 단말(20B)로 송신한다. 여기서, 기지국(10)이 단말(20A)에 대해 일정 주기/패턴의 송신 리소스를 사전에 설정하는 것 대신에, 예를 들면, 사양에 의해, 일정 주기/패턴의 송신 리소스가 단말(20A)에 대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 8d는, SL transmission mode 2d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SL transmission mode 2d에서는, 예를 들면, 단말(20)이 기지국(10)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은, 송신 리소스를 스케줄링하여, 송신측의 단말(20A)에 송신 리소스를 할당한다. 단말(20A)은, 할당된 통신 리소스에 의해, 수신측의 단말(20B)로 송신해도 좋다. 즉, 단말(20)은, 다른 단말(20)(예를 들면, 단말(20A) 및/또는 단말(20B))의 송신을 제어해도 좋다.
또, NR에서는, 도 9a∼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의 종별로서,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의 3 종류의 통신 종별이 현재 검토되고 있다.
도 9a는, 유니캐스트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니캐스트란,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A)로부터 수신측의 단말(20B)로의 1대1의 송신을 말한다.
도 9b는, 그룹캐스트 PSCCH/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룹캐스트란,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A)로부터 수신측의 단말(20)의 그룹인, 단말(20B) 및 단말(20B')로의 송신을 말한다.
도 9c는, 브로드캐스트 PSCCH/PSSCH 송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브로드캐스트란,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A)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수신측의 모든 단말(20)인, 단말(20B), 단말(20B'), 및 단말(20B")로의 송신을 말한다.
New Radio(NR)의 사이드링크(SL)에서, 송신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서포트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3GPP의 릴리스 16에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open-loop transmitter power control, OLPC)를 서포트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단말(20)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향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LTE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하향 링크(DL)의 전파 손실(패스로스)이 사용되고 있다. NR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는,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가 도입되어 있으며,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NR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 및/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NR의 사이드링크의 유니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수신측의 단말(20)은, 송신측의 단말(20)에 사이드링크의 RSRP(SL-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송신한다. NR의 사이드링크의 유니캐스트 통신에 있어서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의 경우, 송신측의 단말(20)은 패스로스의 추정(측정, 산출, 도출 등으로 되어도 좋다)을 수행한다. 수신측의 단말(20)에서 SL-RSRP가 사용 가능해지기 전에,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의 패스로스 추정을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해, 앞으로, 검토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또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closed-loop transmitter power control)에서는, 기지국(10)이 상향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단말(20)의 송신 전력을 지정한다. 그러나, 릴리스 16의 사이드링크에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채용하는 것, 즉, 사이드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커맨드를 서포트하는 것은 상정되고 있지 않다. 단, 장래의 NR의 사이드링크에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채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본 개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이용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NR의 사이드링크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해, 하향 링크(DL: 송신측의 단말(20)과 기지국(10)(gNB)과의 사이)의 패스로스만을 사용하도록 단말(20)을 설정하는 것, 사이드링크(SL: 송신측의 단말(20)과 수신측의 단말(20)의 사이)의 패스로스만을 사용하도록 단말(20)을 설정하는 것, 및 하향링크의 패스로스 및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를 사용하도록 단말(20)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NR의 사이드링크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 및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를 사용하도록 단말(20)의 설정이 수행되는 경우,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도출되는 전력값 및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도출되는 전력값 중, 최소의 전력값이 채용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또, 개루프 송신 전력에 사용되는 P0의 값 및 α의 값은,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 및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대해, 따로따로 설정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도 10은, LTE의 사이드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사용되는 수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수식에 의하면,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PSSCH) 및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PSCCH)의 사이에서, 송신 전력이 분배된다. 도 10에 도시되는 수식에 의하면, PSCCH에 대해 할당되는 송신 전력은, PSSCH에 대해 할당되는 송신 전력보다도 커져 있다.
(과제 A)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의 송신 전력 제어를 어떻게 수행할지, 현시점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의 송신 전력 제어를 어떻게 수행할지, 현시점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의 CSI-RS에 대해 Power-boosting을 적용할지 여부, 및 사이드링크의 PTRS에 대해 Power-boosting를 적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후에서는, CSI-RS는 사이드링크의 CSI-RS(SL-CSI-RS)를 의미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PT-RS는 사이드링크의 PT-RS(SL-PT-RS)를 의미해도 좋다. 또, 각각의 이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SL-CSI-RS는 사이드링크의 CSI 측정 등에 이용되는 RS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SL-PT-RS는 사이드링크의 위상 보상에 이용되는 RS이어도 좋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NR-Uu(5G의 단말(20)과 5G의 Radio Access Network(RAN)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PDSCH 또는 PU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부스트하는 경우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는, NR-Uu의 상향 링크의 PTRS에 대한 부스트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예에 의하면,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PT-RS)은, PUSCH에 대해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에만 있어서 송신된다. PT-RS는, 표식
Figure pct00001
에 의해 리소스 엘리먼트(k, l)에 맵핑된다. 여기서, W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이며, βPTRS는, amplitude scaling factor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진폭의 스케일링 계수(amplitude scaling factor) βPTRS가 PTRS에 대해 적용되고, PTRS의 송신 전력은, PU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과 비교하여, 부스트되게 된다. 또한, 도 11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k' 및 Δ는,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도 11b는, NR-Uu의 하향 링크의 PTRS에 대한 부스트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b의 예에 있어서 도시되는 Table 4.1.2에는, 리소스 엘리먼트마다, 그리고 레이어마다의, PT-RS Energy per Resource Element(EPRE)의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의 EPRE에 대한 비(ρPTRS)에 기초하여, 진폭의 스케일링 계수인 βPTRS가 정의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Table 4.1.2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 epre-Ratio가 제로가 되는 경우이며, 그리고 PDSCH의 레이어 수가 1보다도 큰 경우에, βPTRS의 값이 1보다도 커지고, PTRS의 송신 전력은, PD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에 대해 부스트(증가)되게 된다.
도 11c는, NR-Uu의 CSI-RS에 대한 부스트의 규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c의 예에서는, 하향 링크의 CSI-RS의 EPRE는, 파라미터 ss-PBCH-BlockPower로 부여되는 Synchronization Signal 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SS/PBCH) 블록의 하향 송신 전력 및 파라미터 powerControlOffsetSS로 부여되는 CSI-RS의 전력 오프셋에 의해 도출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즉, CSI-RS의 송신 전력은, SS/PBCH 블록의 송신 전력에 대해 부스트되는 경우가 있다.
(제안 A)
(옵션 A1)
단말(20)은, PSSCH와 결합되는 CSI-RS의 송신 전력의 값을,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또, 단말(20)은, PSSCH과 결합되는 PT-RS의 송신 전력의 값을,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A1-1)
CSI-RS의 송신 전력을 결정(산출, 도출 등이어도 좋다)하기 위한 함수는,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을 변수로 하는 함수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PT-RS의 송신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함수는,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을 변수로 하는 함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CSI-RS의 송신 전력은,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PT-RS의 송신 전력은,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도 12는, CSI-RS를 수반하는 PSCCH 심벌을 포함하는 슬롯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CSI-RS의 송신 전력 PCSIRS 및 CSI-RS를 수반하는 PSSCH 심벌의 송신 전력 PPSSCH, b를 이하와 같이 규정해도 좋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여기서, α는, 사양서에 정의되어 있는 값(예를 들면, 고정값 또는 변수)이어도 좋으며, (사전에)설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지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PPSSCH, a는, PSCCH 및 CSI-RS를 수반하지 않는 PSCCH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으며, 혹은 PSCCH 및/또는 PSSCH의 각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다. NCSIRS는, CSI-RS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hysical Resource Block(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CSI-RS의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수이어도 좋다. NPSSCH는, PSSCH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PSSCH의 RE의 수이어도 좋다.
도 12에 도시되는 1 슬롯의 구간에 있어서, 각 심벌에 할당되는 합계의 송신 전력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은, 주파수 영역에서 CSI-RS와 PSCCH이 다중되는 심벌에 대해서는, CSI-RS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고, 그리고 해당 CSI-RS 이외의 PSCCH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할당되는 전력을 낮추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와 같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CSI-RS에 전력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CSI-RS의 종별은, NZP-CSI-RS(Non-Zero-Power CSI-RS)이어도 좋다.
도 12에 도시되는 1 슬롯의 구간에 있어서, 각 심벌에 할당되는 합계의 송신 전력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이유로서, 만약에, 1 슬롯의 구간의 도중에 전력을 바꾸면, RF 장치가 전력을 변경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고, RF 장치의 송신의 특성 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하나의 슬롯에 있어서, 심벌 간의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있어서, PSCCH과 PSSCH가 다중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1 심벌에 할당되는 합계의 송신 전력이 P인 것으로 한 경우, 도 12의 슬롯의 CSI-RS와 PSSCH이 다중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1 심벌에 할당되는 합계의 송신 전력은 P가 된다. 1 심벌에 할당되는 합계의 송신 전력은 일정하기 때문에, 복수의 채널이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되는 경우에는, 합계의 송신 전력을 해당 복수의 채널에 대해 할당하게 된다.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되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특정한 채널을 우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특정한 채널의 송신 전력을 그 외의 채널의 송신 전력보다도 부스트한다는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CSI-RS는, 적어도 시간 영역에 있어서, PSCCH과 겹치는(Overlap) 것이 금지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CSI-RS는, 적어도 시간 영역에 있어서, PSSCH에 결합되는 DM-RS와 겹치는(Overlap) 것이 금지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전력 제어에 관한 수식이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즉 단말의 구성을 간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상술한 CSI-RS는, 적어도 시간 영역에 있어서, PSCCH과 겹치는(Overlap) 것이 허용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CSI-RS는, 적어도 시간 영역에 있어서, PSSCH에 결합되는 DM-RS와 겹치는(Overlap) 것이 허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나의 심벌에 있어서, CSI-RS의 송신 전력은, PSSCH, PSCCH, PSSCH 및/또는 PSCCH에 결합되는 DL-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과의 비에 의해 구해져도 좋다. 상술한 수식을 후술하는 수식과 같이 변경함으로써, 우선시켜야 하는 신호를 부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CSI-RS는 PT-RS로 치환되어도 좋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의 심벌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서 PSSCH, CSI-RS, 및 PT-RS를 다중하는 경우, 예를 들면, CSI-RS의 송신 전력 PCSIRS, PT-RS의 송신 전력 PPTRS,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 PPSSCH, c를 이하와 같이 규정해도 좋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여기서, α는, 사양서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값(예를 들면, 고정값 또는 변수)이어도 좋으며, (사전에)설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지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β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사전에)설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지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PPSSCH, a는, PSCCH, CSI-RS 및 PT-RS를 수반하지 않는 PSSCH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으며, 혹은 PSCCH 및/또는 PSSCH의 각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다. PPSSCH, c는, CSI-RS 및 PT-RS를 수반하는 PSSCH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다. NCSIRS는, CSI-RS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hysical Resource Block(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CSI-RS의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수이어도 좋다. NPTRS는, PT-RS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hysical Resource Block(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PT-RS의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수이어도 좋다. NPSSCH는, PSSCH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PSSCH의 RE의 수이어도 좋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의 심벌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에서 PSCCH, PSSCH 및 CSI-RS를 다중하는 경우, 예를 들면, CSI-RS의 송신 전력 PCSIRS, PSCCH의 송신 전력 PPSCCH,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 PPSSCH, c를 이하와 같이 규정해도 좋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여기서, α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사전에)설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지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β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사전에)설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으며, 지정되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PPSSCH, a는, PSCCH, CSI-RS 및 PT-RS를 수반하지 않는 PSSCH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으며, 혹은 PSCCH 및/또는 PSSCH의 각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다. PPSSCH, c는, CSI-RS 및 PT-RS를 수반하는 PSSCH 심벌의 송신 전력이어도 좋다. NCSIRS는, CSI-RS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CSI-RS의 RE의 수이어도 좋다. NPSCCH는, PSCCH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PSSCH의 RE의 수이어도 좋다. NPSSCH는, PSSCH의 리소스량에 기초하는 값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PRB 중의 심벌에 포함되는 PSSCH의 RE의 수이어도 좋다.
여기서, ZP-CSI-RS(Zero-Power CSI-RS)의 경우, NCSIRS=0으로 해도 좋다.
(A1-2)
단말(20)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지 여부, 및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A1-1에 있어서의 수식 내의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은, 사양서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α=3, β=3이어도 좋다. 단말(20)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지 여부, 및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A1-1에 있어서의 수식 내의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또, 단말(20)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지 여부, 및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A1-1에 있어서의 수식 내의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은, 예를 들면,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및/또는 Sidelink Control Information(SCI)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CI/SCI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전용의 필드가 규정되어도 좋다. 또, CSI-RS의 존재/설정을 나타내는 다른 필드가 규정되어도 좋다. 또, 단말(20)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지 여부, 및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A1-1에 있어서의 수식 내의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은, 예를 들면, CSI-RS의 구성 및/또는 PT-RS의 구성에 의존해도 좋으며,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CSI-RS의 리소스 및/또는 PT-RS의 리소스에 의존해도 좋다. 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PT-RS의 리소스가 적은 경우에는,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고, CSI-RS 및/또는 PT-RS의 리소스가 많은 경우에는,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은,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과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CSI-RS 및/또는 PT-RS의 구성 중에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요소를 포함시켜도 좋다. 또한, 이들의 정보는,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으며,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와 DCI 및/또는 SCI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A1-3)
CSI-RS의 송신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함수는, 단말(20)의 최대 송신 전력 이외에 대해서는,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을 고려하지 않는 함수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PT-RS의 송신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함수는, 단말(20)의 최대 송신 전력 이외에 대해서는,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을 고려하지 않는 함수이어도 좋다. 이 경우, CSI-RS의 송신 전력은,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 아니게 된다. 마찬가지로, PT-RS의 송신 전력은,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 아니게 된다. 이와 같이, 옵션 A1을 적용함으로써, CSI-RS 및/또는 PT-RS를 부스트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를 취득할 때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RSRP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리고/또는 위상 잡음을 보상할 때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옵션 A2)
단말(20)은, PSSCH과 결합된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PSSCH의 송신 전력과 반드시 같게 설정해도 좋다. 즉, PSSCH의 합계의 송신 전력 PPSSCH은, CSI-RS의 송신 전력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그리고 PSSCH 데이터의 RE, CSI-RS의 RE, 및/또는 PT-RS의 RE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배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의 실장이 쉬워지고, 그리고 사양의 변경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20)은, 송신 전력을, 송신 기회 i마다 산출해도 좋으며, 리소스 풀마다 산출해도 좋으며, 서브 채널마다 산출해도 좋으며, 혹은,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등의 캐스트 종별마다 산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은, 송신 기회 i의 송신 기간의 길이, 리소스 풀의 크기, 서브 채널, 캐스트 종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송신 전력은, 송신 기회 i의 송신 기간의 길이, 리소스 풀의 크기, 서브 채널, 캐스트 종별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의 계산식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CSI-RS 및/또는 PT-RS를, DM-RS로 치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전력'은, 'RE마다의 송신 전력'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과제 B)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도 13은,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 가장 거리가 떨어져 있는 수신측의 단말(20), 즉, 그룹 내에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값이 최대가 되는 수신측의 단말(20)이,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그룹 내에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값이 최대가 되는 수신측의 단말(20)이,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하고 그리고 충분한 송신 전력의 값보다도 큰 값으로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은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그룹에 대한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측정의 리소스 및 보다 많은 피드백의 리소스가 필요해진다.
(제안 B)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이 규정되어도 좋다.
(옵션 B1)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 내의 수신측의 단말(20) 전부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그룹 내의 수신측의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무효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는,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RSRP를 수신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으며, 혹은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RS를 수신하여 송신측의 단말(20)이 RSRP를 측정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의 단말(20)은 그룹캐스트 통신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는 효과적이 아니다. 옵션 B1의 수법에 의하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효과적인 경우에만, 해당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옵션 B2)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캐스트의 Acknowledgement(ACK)/Negative-Acknowledgement(NACK) 피드백이 유효가 되어 있는 경우에,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무효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그룹캐스트의 Acknowledgement(ACK)/Negative-Acknowledgement(NACK) 피드백은,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은 ACK를 송신하고,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은 NACK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즉,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유효가 되는 것은, 통신에 대한 보다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것, 및/또는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유효가 되는 경우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상정된다.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무효가 되는 경우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옵션 B2에 있어서, '그룹캐스트의 Acknowledgement(ACK)/Negative-Acknowledgement(NACK) 피드백'은, '그룹캐스트의 HARQ-ACK 피드백'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그룹캐스트의 HARQ-ACK 피드백에는, 이하의 2개의 수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1.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은 ACK를 송신하고,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은 NACK를 송신한다.
2.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에는, 수신측의 단말(20)은 ACK 및 NACK를 송신하지 않고, 트랜스포트 블록의 복호에 실패한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은 NACK를 송신한다.
(옵션 B3)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에 따라,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임계값 X보다도 작은(또는 X 이하의)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임계값 X 이상인(또는 X보다도 큰)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임계값 X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리소스 풀의 설정에 기초하여 규정 또는 결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폭주 레벨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측정의 리소스 및 피드백의 리소스는 적어진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는 것은 효과적이라고 상정된다.
(옵션 B4)
3GPP의 회합에서는, 거리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거리 및/또는 RSRP)에 따라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가 규정되는 기능(distance-based HARQ)이 검토되고 있다. 송신측의 단말(20)에 거리적으로 가까운 수신측의 단말(20)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 거리적으로 먼 수신측의 단말(20)에 대해서는, 그 정도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거리적으로 먼 수신측의 단말(20)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도 14는, distance-based HARQ가 적용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HARQ 피드백이 유효가 되어 있는 수신측의 단말(20)에 대해서는, 통신에 대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HARQ 피드백이 유효가 되어 있는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를 취득한 다음에,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통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는,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RSRP를 수신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으며, 혹은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RS를 수신하여 송신측의 단말(20)이 RSRP를 측정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distance-based HARQ에 있어서, 송신측의 단말(20)과 수신측의 단말(20)과의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Y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에, 수신측의 단말(20)에서, HARQ 피드백이 유효가 되어도 좋다. 여기서, 임계값 Y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리소스 풀의 설정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폭주 레벨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옵션 B4의 수단에 의하면, 통신에 대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수신측의 단말(20)에 대해서만,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해당 수신측의 단말(20)과의 통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옵션 B5)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range requirement를 만족시키는 수신측의 단말(20) 전부의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상기 이외의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은,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는,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RSRP를 수신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으며, 혹은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RS를 수신하여 송신측의 단말(20)이 RSRP를 측정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져도 좋다.
이와 같이, 옵션 B5의 수법에 의하면, 그룹캐스트 송신을 수신하는 것이 기대되는 단말(20)에 대해서만,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해당 단말(20)과의 통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옵션 B6)
상술한 옵션 B1에서 옵션 B5 중, 적어도 2개의 옵션을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옵션 B1 및 옵션 B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대체적으로, 예를 들면, 옵션 B1 또는 옵션 B2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 장치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옵션 B1부터 옵션 B6까지의 어느 것의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통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경우에는, 해당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고, 효과적이 아닌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는 등의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안 B에 있어서, RSRP는 패스로스, RSRQ, CSI의 적어도 하나로 치환되어도 좋으며, 송신측의 단말(20)과 수신측의 단말(20)의 사이의 통신 품질에 관련된 정보이어도 좋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RSRP가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송신측의 단말(20)이 해당 RSRP 및/또는 RSRP를 얻기 위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 완료 및/또는 취득 완료인 것을 의미해도 좋다.
(과제 C)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어느 신호로 할지 규정해도 좋다.
릴리스 15의 NR-Uu의 경우, 패스로스를 측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서 SS/PBCH 블록(SSB) 및 CSI-RS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PUCCH-PathlossReferenceRS, PUSCH-PathlossReferenceRS, pathlossreferenceRS in SRS-ResourceSet의 3개의 정보 요소에 대해, SSB 또는 CSI-RS의 ID를 설정하고, 그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여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도 15는, 상위 레이어의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에 기초하는 레퍼런스 신호에서 패스로스를 측정하는 것을 규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PUSCH-PathlossReferenceRS 정보 요소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USCH-PathlossReferenceRS 정보 요소 중에 referenceSignal이라는 정보 요소가 포함되고, ssb-Index 또는 csi-RS-Index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SSB를 송신하지 않는 단말(20)이 존재해도 좋다. 따라서,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SSB를 적용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또,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스탠드 얼론으로 단말(20)이 CSI-RS를 송신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즉, CSI-RS만의 송신은 허용되지 않고, CSI-RS는 송신 데이터 등과 동시에 송신된다.
(제안 C)
(옵션 C1)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DM-RS만이 사용 가능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의 DM-RS의 인덱스 또는 포트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등으로서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및/또는 다른 단말(20)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DM-RS 포트를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옵션 C2)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CSI-RS만이 사용 가능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의 CSI-RS의 인덱스 또는 포트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CSI-RS 포트를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옵션 C3)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DM-RS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추가적으로, 사이드링크의 CSI-RS가 사용 가능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CSI-RS의 사용에 대해서는, 단말(20)의 실장에 의존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의 DM-RS의 인덱스 또는 포트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DM-RS 포트를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옵션 C4)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CSI-RS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추가적으로, 사이드링크의 DM-RS가 사용 가능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DM-RS의 사용에 대해서는, 단말(20)의 실장에 의존해도 좋다.
여기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의 CSI-RS의 인덱스 또는 포트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그리고/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CSI-RS 포트를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의 설정)
PSSCH과 결합되는 사이드링크의 SSB, 및/또는 사이드링크의 CSI-RS, 및/또는 사이드링크의 DM-RS는,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PSCCH/PSSCH/PSFCH의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로서, 및/또는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PSCCH/PSSCH/PSFCH의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로서,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가 사양에 의해 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지 않고,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는, 이하의 옵션 Ci부터 Cv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옵션 Ci)
브로드캐스트 송신에 대해 사용되는 DM-RS 및/또는 CSI-RS, 또는 PC5-RRC 접속이 수행되기 전의 사이드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DM-RS 및/또는 CSI-RS를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로 해도 좋다.
(옵션 Cii)
수신되는 모든 DM-RS 및/또는 CSI-RS를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로 해도 좋다. 옵션 Cii의 변형 예로서, 예를 들면, 특정한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DM-RS 및/또는 CSI-RS를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로 해도 좋다.
(옵션 Ciii)
사이드링크 채널에 대해, TCI state가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는 경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또는 지정되는 경우, TCI state에 결합되는 QCL type-A RS 및/또는 QCL type-B RS 및/또는 QCL type-C RS 및/또는 QCL type-D RS를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로 해도 좋다. 도 17은, TCI state와 레퍼런스 신호와의 대응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옵션 Civ)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무효로 하고, 그리고/또는 하향 링크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유효로 해도 좋다.
(옵션 Cv)
L1-RSRP 측정 및/또는 L3-RSRP 측정을 위해 규정된 DM-RS 및/또는 CSI-RS, L1-RSRP 측정 및/또는 L3-RSRP 측정을 위해 (사전에)설정된 DM-RS 및/또는 CSI-RS, 또는 L1-RSRP 측정 및/또는 L3-RSRP 측정을 위해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 DM-RS 및/또는 CSI-RS를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로 해도 좋다.
(전력의 정규화)
복수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각각 CSI-RS를 송신하는 경우, 예를 들면, 2개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CSI-RS를 송신하는 경우, 각 CSI-RS의 송신 전력이 2분의 1이 되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단순하게 전력을 평균화함으로써 RSRP를 도출하면, 2개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CSI-RS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RSRP의 값은 2분의 1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패스로스의 계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안테나 포트의 수의 설정 등에 따라 전력의 정규화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고 상정된다.
(옵션 Ca)
단말(20)은, RS가 단일의 RS 포트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또는 RS가 단일의 CDM 그룹으로부터 송신되는 경우에만,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다.
(옵션 Cb)
이하의 전력 정규화를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서, 단말(20)은, RS 포트의 수에 상관없이,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다.
- RSRP의 계산에서는, RS 포트 수 및/또는 각 포트로부터의 송신 전력을 고려한다.
- Case 1: RS 포트의 수가 복수이고, 합계의 송신 전력이 단일의 RS 포트의 경우의 송신 전력과 같은 경우, 순간적으로 RSRP P1은, 각 RS 포트로부터의 RSRP, P2, P3, ...의 합을 취함으로써 산출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하나의 RS 포트로부터의 RSRP, P2에 대해, RS 포트 수를 곱셈함으로써, 순간적으로 PSPR P1이 산출되어도 좋다.
- Case 2: RS 포트의 수가 복수이며, 합계의 송신 전력이 단일의 RS 포트의 경우의 송신 전력과 다르고, 그리고 차분이 ZdB인 경우, 순간적으로 PSPR P1은, 각 RS 포트로부터의 RSRP, P2, P3, ...의 합으로부터 ZdB를 뺄셈함으로써 산출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하나의 RS 포트로부터의 RSRP, P2에 대해, RS 포트 수를 곱셈한 다음에, 그 결과에서 ZdB를 뺄셈함으로써, 순간적으로 PSPR P1이 산출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RSRP의 측정을 위한 RS 포트의 수가 복수인 경우, 합계의 송신 전력이 반드시 단일의 RS 포트로부터의 송신 전력과 동일해지도록 규정(또는 결정,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옵션 Cc)
레퍼런스 신호와 PSSCH의 데이터가 주파수 분할 다중하는 경우에만, 또는 레퍼런스 신호와 PSSCH의 데이터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지 않는 경우에만, 단말(20)은,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다.
(옵션 Cd)
단말(20)은, 레퍼런스 신호와 PSSCH의 데이터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다. 레퍼런스 신호와 PSSCH의 데이터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 단말(20)은, 레퍼런스 신호가 PSSCH의 데이터와 주파수 분할 다중되지 않는 경우에 기초하여, RSRP의 보정을 수행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레퍼런스 신호가 PSSCH의 데이터와 주파수 분할 다중되지 않는 경우, 단말(20)은, 레퍼런스 신호가 PSSCH의 데이터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RSRP의 보정을 수행해도 좋다.
또한, 레퍼런스 신호와 PSSCH의 데이터를 주파수 분할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사양에 의해 규정되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되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DCI 및/또는 SCI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제안 C의 수법에 있어서, PSSCH의 데이터는, PS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의미해도 좋으며, CSI를 의미해도 좋으며, 그 외에 PSSCH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의미해도 좋다.
상술한 제안 C의 수법에 의하면, 수신측의 단말(20)이 어떻게 RSRP 측정/계산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송신측의 단말(20)은, 패스로스를 적절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는, L1-RSRP 및/또는 L3-RSRP 측정이어도 좋으며, L1-RSRP 및/또는 L3-RSRP를 측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이어도 좋으며, 패스로스를 측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이어도 좋으며,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용 레퍼런스 신호이어도 좋다.
(과제 D)
도 18은, 송신측의 단말(20)이 L3-RSRP 측정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2개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송신측의 단말(20)은, 수신측의 단말(20)에 대해 PSSCH의 데이터(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블록 및/또는 CSI)를 수반하는 RS를 송신하고,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RSRP 피드백을 취득함으로써, L3-RSRP의 측정 결과를 취득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송신측의 단말(20)은,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PSCCH의 데이터(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블록 및/또는 CSI)를 수반하는 RS를 수신하고, 수신한 RS에 기초하여 L3-RSRP를 산출해도 좋다. 이와 같이, 송신측의 단말(20)에서는,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송신측의 단말(20)에서 산출한 L3-RSRP에 기초하여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송신측의 단말(20)에 있어서, 피드백되는 L3-RSRP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분간해서 사용하는 것을 규정해도 좋다. 또한, 이후에서는, 피드백되는 L3-RSRP는, 피드백되는 전력 정보(예를 들면, L1-RSRP)에 기초하는 L3-RSRP로 치환되어도 좋다.
(제안 D)
(옵션 D1)
송신측의 단말(20)은,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와의 양방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 및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를 우선하는 경우,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 및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를 사용해도 좋다. 또,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를 우선하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측의 단말(20)이,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사용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은,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SP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평균화하여 사용해도 좋다. 평균화를 수행하는 경우, 적절하게, 가중치를 부여해도 좋다.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는, 단말(20)의 실장에 의존해도 좋다.
(옵션 D2)
송신측의 단말(20)은,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만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송신측의 단말(20)이,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의 송신 전력 제어에 사용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옵션 D3)
송신측의 단말(20)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만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이외의 목적으로 보고되어 있다고 상정되어도 좋다.
(옵션 D4)
사양서에 있어서, 상술한 옵션 1부터 옵션 3까지 중, 적어도 2개의 옵션을 상정해두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옵션을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설정해도 좋으며, 사이드링크에서의 RRC 시그널링인 다른 단말(20)에 의해 송신되는 PC5-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해도 좋으며, 네트워크에 의해 지정해도 좋다.
제안 D의 수법과 같이, 송신측의 단말(20)에 있어서, 피드백되는 L3-RSRP와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를 분간해서 사용하는 것을 규정함으로써,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할 때의 단말(20)의 동작이 명확해진다.
(장치 구성)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10) 및 단말(20)의 기능 구성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10)〉
도 19는, 기지국(1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은, 송신부(101)와, 수신부(102)와, 제어부(103)를 갖는다. 도 19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또한, 송신부(101)를 송신기라 칭하고, 수신부(102)를 수신기라 칭해도 좋다.
송신부(101)는, 단말(20) 측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부(102)는, 단말(20)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수신부(102)는 수신하는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여, 품질값을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제어부(103)는, 기지국(10)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송신에 관련된 제어부(103)의 기능이 송신부(101)에 포함되고, 수신에 관련된 제어부(103)의 기능이 수신부(102)에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제어부(1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해, 하향 링크(DL: 송신측의 단말(20)과 기지국(10)(gNB)과의 사이)의 패스로스만, 사이드링크(SL: 송신측의 단말(20)과 수신측의 단말(20)의 사이)의 패스로스만, 또는 하향 링크의 패스로스 및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를 사용하도록 단말(20)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작성하고, 송신부(101)는 해당 커맨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제어부(103)는, 단말(20)이,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는 것을 결정하고, 그리고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을 설정하고, 송신부(101)는, 해당 증가량(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제어부(1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에 대한 임계값 X를 설정하고, 송신부(101)는 해당 임계값 X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제어부(103)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사이드링크의 DM-RS 또는 CSI-RS의 포트 또는 인덱스를 설정하고, 송신부(101)는 해당 포트 또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제어부(103)는, PSSCH과 결합되는 사이드링크의 SSB, 및/또는 사이드링크의 CSI-RS, 및/또는 사이드링크의 DM-RS를, 송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PSCCH/PSSCH/PSFCH의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로서, 및/또는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PSCCH/PSSCH/PSFCH의 패스로스 레퍼런스 신호(pathloss reference RS)로서 설정해도 좋으며, 송신부(101)는, 해당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20)로 송신해도 좋다.
〈단말(20)〉
도 20은, 단말(2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은, 송신부(201)와, 수신부(202)와, 제어부(203)를 갖는다. 도 20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또한, 송신부(201)를 송신기라 칭하고, 수신부(202)를 수신기라 칭해도 좋다. 또, 단말(20)은, 송신측의 단말(20A)이어도 좋으며, 수신측의 단말(20B)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20)은 스케줄링 단말(20)이어도 좋다.
송신부(201)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작성하고, 해당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수신부(202)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 수신부(202)는 수신하는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여, 품질값을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제어부(203)는, 단말(20)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송신에 관련된 제어부(203)의 기능이 송신부(201)에 포함되고, 수신에 관련된 제어부(203)의 기능이 수신부(202)에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PSSCH과 결합되는 CSI-RS의 송신 전력의 값을, PSC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또, 단말(20)의 제어부(203)는, PSSCH과 결합되는 PT-RS의 송신 전력의 값을,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값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말(20)의 수신부(202)는,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 및 CSI-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의 증가량(예를 들면, 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03)는, 수신부(202)가 수신한 해당 증가량(α의 값 및/또는 β의 값)에 기초하여,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PSSCH과 결합된 CSI-RS 및/또는 PT-RS의 송신 전력을, PSSCH의 송신 전력과 반드시 같아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대해,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 내의 수신측의 단말(20) 전부의 RSRP를 사용 가능한 경우에,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그룹 내의 수신측의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무효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무효가 되어 있는 경우에,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그룹캐스트의 ACK/NACK 피드백이 무효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그룹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그룹 내의 단말(20)의 수가, 임계값 X보다도 작은 경우 또는 임계값 X 이하인 경우에는,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distance-based HARQ가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하는 수신측의 단말(20)의 RSRP를 사용 가능한 경우,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NR의 사이드링크의 통신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패스로스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참조 신호로서, 사이드링크의 DM-RS 및 사이드링크의 CSI-R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송신측의 단말(20)의 제어부(203)는, 수신측의 단말(20)로부터 피드백되는 L3-RSRP 및 송신측의 단말(20) 자신이 산출한 L3-RSRP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도 19∼도 20)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무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은, 상기 하나의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에는, 판단, 결정, 판정, 계산, 산출, 처리, 도출, 조사, 탐색, 확인, 수신, 송신, 출력, 액세스, 해결, 선택, 선정, 확립, 비교, 상정, 기대, 간주, 알림(broadcasting), 통지(notifying), 통신(communicating), 전송(forwarding), 구성(configuring), 재구성(reconfiguring), 할당(allocating, mapping), 배정(assigning)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을 기능시키는 기능 블록(구성부)은, 송신부(transmitting unit)나 송신기(transmitter)라 호칭된다.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20)과 기지국(10)은 모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과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단말(20)과 기지국(10)은 각각,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단말(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단말(20)과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1001∼1006으로 나타내어지는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단말(20)과 기지국(1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 통신장치(100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단말(20)의 제어부(203)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 있어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2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에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라이프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이어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에 의해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단말(20)과 기지국(10)은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하기의 단말 및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단말.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은, 상기 심벌 내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차지하는 제1 비율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은, 상기 심볼 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차지하는 제2 비율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할 때의 제어가 명확해진다.
상기 제1 값을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신호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값을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CSI-RS의 리소스가 적은 경우에는, CSI-RS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하고, CSI-RS의 리소스가 많은 경우에는, CSI-RS의 송신 전력을, PSSCH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과 같은 값으로 설정하는 등의 운용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퍼런스 신호와,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해도 좋다.
레퍼런스 신호와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겹치는 경우, 우선시켜야 하는 신호를 부스트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식을 복잡화하게 하고, 장치의 실장이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식의 복잡화 및 장치의 실장의 복잡화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값을, 항상,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치의 실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리고 사양의 변경도 적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단말에 의한 통신 방법.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부스트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은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 상, 단말(20)과 기지국(10)은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20)이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10)이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R(new Radio),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복수의 시스템이 조합되어(예를 들면, LTE 및 LTE-A의 적어도 하나와 5G와의 조합 등) 적용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지국(10)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10)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10) 및 기지국(1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1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 무선 기술의 적어도 하나는,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 본 개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심벌의 적어도 하나는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적절한 명칭에 의해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수신 포인트(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스몰 셀,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단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단말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에 탑재된 디바이스, 이동체 자체 등이어도 좋다. 해당 이동체는, 탈것(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이어도 좋으며, 무인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예를 들면, 드론, 자동 운전차 등)이어도 좋으며, 로봇(유인형 또는 무인형)이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통신 동작 시에 이동하지 않는 장치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센서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이어도 좋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 통신(예를 들면, D2D(Device-to-Device), V2X(Vehicle-to-Everything)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단말 간 통신에 대응되는 문언(예를 들면, '사이드(side)')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 하향 채널 등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 프린트 전기 접속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따라 파일럿(Pilot)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각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더욱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numerology)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어느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 및 수신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어도 좋다.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미니 슬롯보다 큰 시간 단위로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A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B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 TTI의 적어도 하나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의 송신 시간 단위이어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이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서브 슬롯,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상관없이 같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12이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RB의 시간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 등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부분 대역폭 등이라 불려도 좋다)은,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어느 수비학용의 연속하는 공통 RB(common resource blocks)의 서브 세트를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공통 RB는, 해당 캐리어의 공통 참조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RB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좋다. PRB는, 어느 BWP에서 정의되고, 해당 BWP 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도 좋다.
BWP에는, UL용 BWP(UL BWP)와, DL용 BWP(DL BWP)가 포함되어도 좋다. UE에 대해, 1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설정된 BWP의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이어도 좋으며, UE는, 액티브한 BWP 밖에서 소정의 신호/채널을 송수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캐리어' 등은,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본 개시는, 이들의 관사 뒤에 이어지는 명사가 복수형인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또한, 해당 용어는, 'A와 B가 각각 C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다르다'와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 기지국
20 단말
101 송신부
102 수신부
103 제어부
201 송신부
202 수신부
203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메모리
1003 스토리지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6)

  1.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은, 상기 심벌 내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가 차지하는 제1 비율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은, 상기 심볼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차지하는 제2 비율에 기초하여 규정되는, 단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을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신호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값을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단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퍼런스 신호와,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사이드링크의 제어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는, 단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값을, 항상, 상기 제2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하는, 단말.
  6.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심벌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의 공유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및 사이드링크의 레퍼런스 신호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의 제2 값과 같은 값 또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전력의 제1 값을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의 제2 값을 상기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단말에 의한 통신 방법.
KR1020227001113A 2019-07-22 2019-07-22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220038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28716 WO2021014547A1 (ja) 2019-07-22 2019-07-22 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337A true KR20220038337A (ko) 2022-03-28

Family

ID=7419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13A KR20220038337A (ko) 2019-07-22 2019-07-22 단말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17867A1 (ko)
EP (1) EP4007445A4 (ko)
KR (1) KR20220038337A (ko)
CN (1) CN114128401B (ko)
WO (1) WO2021014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4812A1 (en) * 2018-09-13 2020-03-19 Sharp Kabushiki Kaisha Selec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v2x messages
US20220256524A1 (en) * 2019-07-25 2022-08-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Beam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1226943A1 (en) * 2020-05-14 2021-11-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hase noise reduction in very high frequency spectrum
US20220094499A1 (en) * 2020-09-18 2022-03-24 Qualcomm Incorporated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in sidelink
US20220225283A1 (en) * 2021-01-14 2022-07-1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ment on sidelink power control
CN117063524A (zh) * 2021-03-31 2023-11-1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csi和定位测量导出和处理的侧行链路参考信号请求字段
US20230007462A1 (en) * 2021-07-02 2023-01-05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band
US20230119446A1 (en) * 2021-10-18 2023-04-2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side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using access link signaling
US20230180132A1 (en) * 2021-12-06 2023-06-08 Qualcomm Incorporated Beam based power control for sidelin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699B1 (ja) * 2011-10-04 2013-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集積回路
WO2014116020A1 (ko) * 2013-01-24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57987A1 (ko) * 2015-10-01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에서의 참조신호 송신 방법 및 단말
JP2019149594A (ja) * 2016-07-15 2019-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6811969B2 (ja) * 2017-02-01 2021-01-13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WO2018158925A1 (ja) * 2017-03-02 2018-09-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172452B2 (en) * 2017-05-05 2021-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sidelink signal by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9150477B (zh) * 2017-06-28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EP3503635A1 (en) * 2017-12-22 2019-06-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mergency notification (urllc) requesting spontaneous grant free transmission for v2x
US11394517B2 (en) * 2018-01-12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ultiplexing of a reference signal on an uplink shared channel
US10863447B2 (en) * 2018-07-1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3 V15.2.0(2018-06)
비특허문헌 2: 3GPP TS 38.211 V15.6.0(2019-06)
비특허문헌 3: 3GPP TS 38.214 V15.5.0(2019-03)
비특허문헌 4: 3GPP TS 38.331 V15.5.1(2019-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28401A (zh) 2022-03-01
WO2021014547A1 (ja) 2021-01-28
EP4007445A1 (en) 2022-06-01
US20220417867A1 (en) 2022-12-29
CN114128401B (zh) 2024-02-09
JPWO2021014547A1 (ko) 2021-01-28
EP4007445A4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8337A (ko) 단말 및 통신 방법
US2022001433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JP703961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4128399B (zh) 终端以及通信方法
JPWO201823524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08420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20232520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919373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WO201823527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10142099A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US20220377724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20023347A (ko)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2598133B1 (ko) 단말,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JP677938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KR20220079835A (ko) 단말 및 통신 방법
US20220376816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WO201914233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4128400B (zh) 终端以及通信方法
KR20210154186A (ko) 유저장치, 및 통신 방법
KR20210146331A (ko) 유저장치
JPWO201916793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4938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20338172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408455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7074682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