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216A - 식품용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216A
KR20220038216A KR1020200120607A KR20200120607A KR20220038216A KR 20220038216 A KR20220038216 A KR 20220038216A KR 1020200120607 A KR1020200120607 A KR 1020200120607A KR 20200120607 A KR20200120607 A KR 20200120607A KR 20220038216 A KR20220038216 A KR 2022003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pace
elastic
contro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259B1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20012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2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는,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 보관 공간과 이웃하게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어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며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조절부 및, 몸체부 내부의 보관 공간과 조절부 사이에 마련되어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절부 내부의 부피 변화에도 몸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 환경 변화나 장기간 사용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보관용기{STORAGE CONTAINER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관용 식품의 보온 또는 보냉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온도에 따른 부피 변화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배달 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음식을 포장하여 보관하기 위한 식품용 보관용기에 대한 보급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보관용기는 포장된 식품의 성분이나 맛을 소정 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보관용기는 식품의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냉 또는 보온 가능하도록 제공됨이 좋다. 만약, 보관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온도가 적절히 유지되지 않을 경우, 식품의 맛이 저하되거나 보관용 식품의 상태 변화로 인한 보관용기의 내구성 저하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보관된 식품에 대한 보냉 또는 보온성이 우수하면서도, 보관성 및 내구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식품용 보관용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78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0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보관되는 식품의 보관성과 함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식품용 보관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는,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보관 공간과 이웃하게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며,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의 상기 보관 공간과 상기 조절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 공간과 마주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가 마련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구획된 조절 공간에 조절체가 수용되며, 상기 조절체는 온도에 따라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체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 공간으로 연결되는 주입구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절체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공간의 내부에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부피 변화 가능한 서브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조절부재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마련되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되,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동일 표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에는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조절 공간으로 배출된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 및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탄성부 사이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와 공유하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절부와 대면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내부로 진입 또는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보다 두께가 두껍고, 면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탄성체에 상기 식품이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냉동 온도 이하에서는 부피가 팽창하고, 상기 냉동 온도 이상에서는 부피가 팽창하기 전의 상태로 수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는,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이웃하게 마련되어,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조절체가 수용되는 조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조절부 및, 상기 보관 공간과 상기 조절 공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체의 부피가 팽창되면 상기 조절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 공간과 마주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가 마련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체는 온수 또는 냉수를 포함하는 유체이며, 상기 조절 공간과 연통하는 주입구를 통해 상기 조절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조절 공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보관 공간과 구획되며, 상기 조절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절체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공간의 내부에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부피 변화 가능한 서브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조절부재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마련되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되,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동일 표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재에는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조절 공간으로 배출된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 및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고,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어,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탄성부 사이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와 공유하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절부와 대면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내부로 진입 또는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보다 두께가 두껍고, 면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탄성체에 상기 식품이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냉동 온도 이하에서는 부피가 팽창하고, 상기 냉동 온도 이상에서는 팽창하기 전의 상태로 부피가 수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보냉 또는 보온으로 인한 온도 변화에 따른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의 부피 변화로 인한 몸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온도 변화에 따른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몸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기간 또는 보관 환경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상관없이 보관된 식품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조절부의 내부에 부피 변화에 따른 확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따른 몸체부를 간섭하지 않아 내구성에 유리하다.
넷째, 내부에 수용된 조절체의 유출 없이, 고온의 온도에 따라 조절부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증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식품용 보관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용 보관용기의 탄성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용 보관용기에 증기구가 마련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용 보관용기에 서브 조절부재가 마련된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브 조절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식품용 보관용기에 수용부재가 마련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용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수용부재가 몸체부의 바닥면을 공유하는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수용부재가 몸체부의 바닥면과 측면을 공유하는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용 보관용기(1)의 탄성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1)는 몸체부(10), 조절부(20) 및 탄성부(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11)이 내부에 마련된다. 몸체부(1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평평한 바닥면(10a)과 바닥면(10a)으로부터 수직 상방형으로 연장된 측면(10b)을 가지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 형상을 가진다. 또한, 몸체부(10)는 보관 공간(11)과 마주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12)가 마련되어 커버(13)에 의해 개폐된다. 커버(13)에 의해 개방된 개구(12)를 통해 식품(미도시)이 몸체부(10) 내부의 보관 공간(11)으로 출입된다.
한편, 몸체부(10)는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용기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사각형이고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원형인 용기인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몸체부(10)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부(10)의 재질도 한정 사항은 아니다. 아울러, 커버(13)는 몸체부(1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10)가 종이류의 재질로 마련될 경우, 커버(13)는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몸체부(10)가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마련될 경우, 커버(13)가 비닐류 또는 종이류의 재질로 마련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몸체부(10)의 일측을 개방시키는 개구(12)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몸체부(10)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12)가 몸체부(10)의 상면 또는 측면 중 일부 영역만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개구(12)가 몸체부(10)의 상면 및 측면에 모두 마련되는 것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구(12)의 형상, 위치 및 크기 등은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12)에 대응되는 커버(13)의 형상 및 크기 등의 조건도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몸체부(10)의 보관 공간(11)에 놓여지는 식품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그릇과 같은 용기(B)에 담지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B)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담지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 가능하다. 아울러, 용기(B)의 사이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식품용 보관용기(1)의 사이즈도 변경될 수 있다.
조절부(20)는 보관 공간(11)과 이웃하게 몸체부(10)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어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며,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된다. 이러한 조절부(20)는 후술할 탄성부(30)에 의해 구획된 몸체부(10) 내부에 마련된 조절 공간(21)에 조절체(C)가 수용된다. 여기서, 조절체(C)는 온도에 따라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체(C)가 고온 또는 저온의 유체인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조절부(20)는 몸체부(10)의 측면(10b)에 관통되어 조절 공간(21)과 연통하는 주입구(22)를 구비하여, 주입구(22)를 통해 조절체(C)가 조절 공간(21)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관 공간(11)에 놓여지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조절 공간(21)으로 고온 또는 저온의 유체를 포함하는 조절체(C)를 주입할 수 있다. 예컨대, 보관 공간(11)에 놓여진 식품을 보온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주입구(22)를 통해 고온의 조절체(C)를 주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30)는 몸체부(10) 내부의 보관 공간(11)과 조절부(20) 사이에 마련되어, 조절부(20)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탄성부(30)는 제1탄성체(31) 및 제2탄성체(32)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31)는 몸체부(10)의 내벽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탄성체(31)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0)의 내벽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탄성체(3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마련된다.
제2탄성체(32)는 제1탄성체(31)와 연결되어 조절부(20)의 조절 공간(21)과 대면하며, 보관 공간(11)의 내부로 진입 또는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여기서, 제2탄성체(32)는 제1탄성체(31)와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마련되며, 면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제2탄성체(32)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탄성체(32)에 식품이 담지된 용기(B)가 놓여지게 된다. 즉, 제2탄성체(32)는 일종의 받침대로써, 식품을 지지한다.
한편, 안정적인 식품의 지지를 위해, 제2탄성체(32)는 제1탄성체(31)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껍도록 마련되어, 식품의 무게에 상관없이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짐이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1)의 보관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몸체부(10)의 보관 공간(11)에 식품이 담지된 용기(B)가 놓여진다. 이때, 용기(B)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제2탄성체(32)에 놓여져 지지된다. 또한, 조절부(20)의 조절 공간(21)으로 조절체(C)가 주입구(22)를 통해 주입된다.
이렇게 식품용 보관용기(1)에 식품이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식품용 보관용기(1)를 보냉 또는 보온시킨다. 만약, 사용자가 식품용 보관용기(1)를 보냉시키고자 할 경우, 저온의 조절체(C)를 조절 공간(21)으로 주입한 후에, 식품용 보관용기(1)를 냉동고에 저장시킨다.
냉동고에 놓여진 식품용 보관용기(1)는 냉동 온도에 의해 조절 공간(21)에 채워진 조절체(C)가 냉동됨으로써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즉, 냉동 온도 이하에서는 조절체(C)의 냉동에 의해 조절부(20)의 부피가 팽창하고, 반대로 냉동 온도 이상에서는 조절체(C)가 해동되어 조절부(20)의 부피가 팽창하기 전의 상태로 수축한다. 이러한 조절체(C)의 부피 변화에 의해, 조절 공간(21)과 대면하는 제2탄성체(32)가 몸체부(10)의 보관 공간(11)을 향해 진입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때, 제2탄성체(32)의 탄성 변형은 제1탄성체(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몸체부(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제2탄성체(32)가 탄성 변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조절체(C)가 수용된 조절 공간(21)의 전체 부피를 제2탄성체(32)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시킬 수 있어, 조절체(C)의 부피 확장으로 인한 몸체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의 일측에 보관 공간(11)이 마련되고, 타측에 보관 공간(11)으로부터 구획된 조절 공간(21)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조절 공간(21)이 마련되는 조절부(20)가 몸체부(10)에 일체로 마련되지 않고, 몸체부(1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몸체부(10)의 타측에 결합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조절부(20)의 조절 공간(21)에 수용된 조절체(C)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23)가 마련될 수 있다. 증기구(23)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측면(10b)을 관통하여 마련되며,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미세한 사이즈를 가진다. 그로 인해, 조절 공간(21)에 수용된 조절체(C)는 증기구(23)를 통해 유출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입자가 매우 작은 증기만이 증기구(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식품용 보관용기(1)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조절체(C)로부터 증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조절체(C)의 증기화로 인해 일정 증기압 기준을 넘어가면, 발생된 증기는 증기구(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로 인해, 조절부(20)가 마련된 몸체부(10)의 일측이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파열되지 않는다. 이때, 일정 증기압 이하에서는 조절체(C)가 조절 공간(21) 내에 보관된 상태가 유지되며, 증기구(23)를 통해 조절체(C)가 유출되지 않아 조절 공간(21)의 내외로 물질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용 보관용기(1)가 서브 조절부재(24)를 포함하는 변형예가 도시된다.
서브 조절부재(24)는 몸체부(10)의 타측 내면에 부피 변화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 조절부재(24)는 내부가 비워진 중공의 서브 조절 공간(24a)을 구비하며,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된다. 즉, 서브 조절부재(24)는 조절 공간(21)의 내부에, 조절체(C)가 채워지지 않는 서브 조절 공간(24a)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브 조절부재(24)의 구성으로 인해 도 5의 도시와 같이, 조절부(20)의 조절 공간(21)에 채워진 조절체(C)가 냉각되어 부피 팽창하더라도, 내부가 비워진 서브 조절 공간(24a)을 가지는 서브 조절부재(24)가 수축하여 조절체(C)의 팽창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식품용 보관용기(1)의 온도 변화에 따른 조절체(C)의 부피 변화로 인한 몸체부(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수용부재(25)를 구비하는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용부재(25)는 내부에 조절체(C)가 수용되어, 조절 공간(21)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경우, 조절체(C)가 탄성부(30)에 의해 구획된 조절 공간(21)에 바로 수용되는 반면, 도 6의 경우에는 조절체(C)가 조절 공간(21)에 놓여진 수용부재(25)의 내부로 조절체(C)가 수용된다. 이때, 수용부재(25)는 주입구(22)와 연결되어 조절체(C)를 주입 받을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5)의 일측은 몸체부(10)의 내벽과 동일 표면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용부재(25)의 바닥면은 몸체부(10)의 바닥면(10a)에 접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수용부재(25)의 바닥면과 몸체부(10)의 바닥면(10a)은 상호 동일한 표면으로 마련된다.
이때, 몸체부(10)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구(23)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수용부재(25)에도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26)가 관통 형성되어, 조절 공간(21) 내의 증기를 도 7과 같이 배출시킨다. 여기서, 수용부재(25)에 마련되는 조절구(26)도 증기구(23)와 마찬가지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사이즈를 가지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로 인해, 수용부재(25)에 조절체(C)가 주입될 때에는 주입 압력을 견딤으로써, 수용부재(25)의 내부에만 조절체(C)가 수용되며 조절구(26)를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수용부재(25)는 수용된 조절체(C)가 냉각되면, 수용부재(25)의 표면이 확장되어 조절 공간(21)의 빈 공간으로 수용부재(25)가 팽창되어 몸체부(10)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수용부재(25) 내부의 조절체(C)의 가열로 인해 발생된 증기는 조절구(26)를 통해 수용부재(25)로부터 조절 공간(21)으로 배출되고, 조절 공간(21)의 증기는 몸체부(10)의 증기구(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로 인해, 조절체(C)의 가열로 인해 발생된 증기로 인한 수용부재(25) 및 몸체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용부재(25)가 몸체부(10)의 바닥면(10a)을 공유하도록 마련되는 변형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즉, 수용부재(25)가 바닥면이 없이, 몸체부(10)의 바닥면(10a) 사이의 공간에 조절체(C)가 수용되어 몸체부(10)의 바닥면(10a)을 덮도록 마련되어, 조절체(C)에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 8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바닥면(10a)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구(23)가 마련되며, 증기구(23)를 통해 수용부재(25) 내부의 증기가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증기구(23)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측면(10b)이 아닌 바닥면(10a)에 마련되도록 변형 가능하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과 같이, 수용부재(25)는 별도의 조절구(26)가 불필요하다.
도 9를 참고하면, 수용부재(25) 및 탄성부(30)가 커버(13)로부터 몸체부(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또 다른 변형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를 참고하면, 탄성부(30)가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 형상이 아닌, 용기(B)가 놓여지는 보관 공간(11)을 감싸는 U자 형상을 가진다. 이때, 탄성부(30)의 제1탄성체(31)는 몸체부(10)의 커버(13)에 마련되고, 제2탄성체(32)는 제1탄성체(31)로부터 상기 몸체부(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수용부재(25)는 탄성부(30)와 몸체부(10) 사이의 U자형의 조절 공간(21)에 대응하여, U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수용부재(25)는 조절 공간(21)내에 위치함에 있어서, 테두리가 제1탄성체(31)와 이웃한 커버(13)에 지지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수용부재(25)는 몸체부(10)의 바닥면(10a) 및 측면(10b)을 공유하도록 마련되어, 조절체(C)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다. 그로 인해, 수용부재(25)는 바닥면(10a) 및 측면(10b)과의 사이에 마련된 조절체(C)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수용부재(25)가 수축되거나 팽창된다.
한편, 몸체부(10)는 바닥면(10a)과 측면(10b)에 증기구(23)가 관통되어 마련된다. 이때, 수용부재(25)가 몸체부(10)의 바닥면(10a)과 측면(10b)을 공유함으로써, 몸체부(10)의 바닥면(10a)과 측면(10b)에 관통 형성된 증기구(23)를 통해 수용부재(25)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로 인해, 도 9에 도시된 수용부재(25) 또한, 증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조절구(26)가 불필요하다.
참고로, 도 9에 도시된 증기구(23) 또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탄성부재(31) 및 조절부재(25)가 U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용기(B)의 측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보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품용 보관용기
10: 몸체부
11: 보관 용기
20: 조절부
21: 조절 공간
22: 주입구
23: 증기구
24: 서브 조절부재
25: 수용부재
30: 탄성부재
31: 제1탄성체
32: 제2탄성체
C: 조절체

Claims (25)

  1.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보관 공간과 이웃하게 상기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며,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의 상기 보관 공간과 상기 조절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부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 공간과 마주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가 마련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구획된 조절 공간에 조절체가 수용되며, 상기 조절체는 온도에 따라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 공간으로 연결되는 주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절체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공간의 내부에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부피 변화 가능한 서브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조절부재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마련되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되,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동일 표면으로 마련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조절 공간으로 배출된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 및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탄성부 사이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와 공유하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절부와 대면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내부로 진입 또는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보다 두께가 두껍고, 면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탄성체에 상기 식품이 놓여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냉동 온도 이하에서는 부피가 팽창하고, 상기 냉동 온도 이상에서는 팽창하기 전의 상태로 부피가 수축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14. 식품이 보관되는 보관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이웃하게 마련되어,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조절체가 수용되는 조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조절부; 및
    상기 보관 공간과 상기 조절 공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체의 부피가 팽창되면 상기 조절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 중공인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 공간과 마주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가 마련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는 온수 또는 냉수를 포함하는 유체이며, 상기 조절 공간과 연통하는 주입구를 통해 상기 조절 공간으로 주입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조절 공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보관 공간과 구획되며,
    상기 조절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절체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 공간의 내부에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부피 변화 가능한 서브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조절부재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마련되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는 식품용 보관용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되, 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동일 표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재에는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상기 조절 공간으로 배출된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절구 및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고,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가 상기 조절 공간에 마련되어, 온도에 따른 상기 조절체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탄성부 사이에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을 공유하여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조절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재와 공유하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구가 마련되되 상기 증기구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일정 증기압 이상에서만 상기 증기를 배출시키는 사이즈를 가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절부와 대면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내부로 진입 또는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보다 두께가 두껍고, 면 방향으로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탄성체에 상기 식품이 놓여지는 식품용 보관용기.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냉동 온도 이하에서는 부피가 팽창하고, 상기 냉동 온도 이상에서는 팽창하기 전의 상태로 부피가 수축하는 식품용 보관용기.
KR1020200120607A 2020-09-18 2020-09-18 식품용 보관용기 KR10250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07A KR102504259B1 (ko) 2020-09-18 2020-09-18 식품용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607A KR102504259B1 (ko) 2020-09-18 2020-09-18 식품용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216A true KR20220038216A (ko) 2022-03-28
KR102504259B1 KR102504259B1 (ko) 2023-02-28

Family

ID=8099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607A KR102504259B1 (ko) 2020-09-18 2020-09-18 식품용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86A (ko) * 1998-03-17 1999-10-05 지관양 밀폐용기속 내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흡수장치
KR200364022Y1 (ko) 2004-07-16 2004-10-08 동진기업 주식회사 식음료용 포장용기
KR20080005789U (ko) 2008-11-06 2008-12-02 (주)동양팩 포장용기
JP2011073780A (ja) * 2009-10-02 2011-04-14 Hosokawa Yoko Co Ltd 収容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86A (ko) * 1998-03-17 1999-10-05 지관양 밀폐용기속 내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흡수장치
KR200364022Y1 (ko) 2004-07-16 2004-10-08 동진기업 주식회사 식음료용 포장용기
KR20080005789U (ko) 2008-11-06 2008-12-02 (주)동양팩 포장용기
JP2011073780A (ja) * 2009-10-02 2011-04-14 Hosokawa Yoko Co Ltd 収容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259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249B1 (en) Ice cubes cooled container
US7028504B2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US7427001B1 (en) Temperature retaining food container
KR101923439B1 (ko) 냉장고
KR101441649B1 (ko) 수비드 머신
BR112014018813B1 (pt) método de dispensação de confeito congelado e aparelho para dispensação de confeito congelado
CN111820566B (zh) 一种电加热的蒸汽饭盒
KR20220038216A (ko) 식품용 보관용기
KR20040063114A (ko) 열 차단 밀폐체 시스템
KR101336913B1 (ko) 택배용 상자
KR20190000092U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식품 보관용기
JP2010098971A (ja) 生殖細胞の保存容器及び保存方法
WO2021196959A1 (zh) 容器连接模块及具有其的制冷电器
KR100597301B1 (ko) 냉장고용 야채함의 냉기공급장치
KR101748501B1 (ko) 보냉 보온 장치
KR10177893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KR100346040B1 (ko) 냉장식품 보온통
KR200321309Y1 (ko) 두부 보관용 온장고
KR102547906B1 (ko) 단열성능과 내부 대류효율이 극대화된, 냉각모듈 도킹형 콜드체인 보냉박스
KR101520668B1 (ko) 과냉각 장치
JP2002107080A (ja) 蓄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20080050152A (ko) 한약 보관부를 갖는 김치냉장고
KR0118129Y1 (ko) 냉장고용 계란 꽂이
KR100299235B1 (ko) 냉장고의전용보관용기구조
KR100377746B1 (ko) 냉장고의 냉기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