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743A -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743A
KR20220037743A KR1020200120584A KR20200120584A KR20220037743A KR 20220037743 A KR20220037743 A KR 20220037743A KR 1020200120584 A KR1020200120584 A KR 1020200120584A KR 20200120584 A KR20200120584 A KR 20200120584A KR 20220037743 A KR20220037743 A KR 2022003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horizontal
sensor
unit
leve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김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용 filed Critical 김대용
Priority to KR102020012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743A/ko
Publication of KR2022003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는 하향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판스프링의 곡부가 맞닿도록 탄력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함입부에는 탄력재로 형성된 완충프레임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횡방향 균형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판 하부에는 종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주인과 떨어져 수송수단에 적재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평상시와 동일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수단의 다양한 흔들림에도 바닥부가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이송 시 사망률 및 스트레스를 최대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운송 수단에 케이지 탑재시 평상시와 동일한 환경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절부 및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되며,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케이지에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운송 시 케이지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수평유지가 가능한 IoT기반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이동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핵가족화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며 은퇴자, 독신자 등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였고,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용품들이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도중에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보로 근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반려동물을 품에 안거나 반려동물에 목줄을 채워서 이동할 수 있지만 불편하고, 자동차, 버스, 열차, 항공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원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가방 등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운반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반려동물 운반용 가방은 실용신안공보 제20-0398002호에 공개된 저판부 면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저판부에 접하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며 저면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제1상부면과, 저면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저면부와의 거리는 제1상부면과 저면부 사이의 거리와 다르게 형성된 제2상부면와, 제1상부면과 제2상부면을 연결하는 사면으로 구성된 상면부와, 저면부와 상면부와 각각 변을 공유하고 저면부와 상면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되며, 내부공간의 저판부 상에 위치하는 받침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완동물 운반용 가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주인과 반려동물이 함께 있는 경우만을 고려하여 만든 것으로, 주인과 떨어져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특히, 항공기의 경우 케이지를 포함한 반려 동물의 무게가 7kg 이하인 경우에 기내반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가방과 반려동물의 무게를 합산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반려동물이 수용된 이동가방을 기내가 아닌 화물 공간에 두어야하기 때문에 주인과 반려동물은 떨어져 있게 되어 반려동물은 장시간 동안 낯선 환경에서 혼자 지내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8801호에는 케이지 내부에 센서 및 모듈이 설치되어 휴대단말 등의 매개로 내부 환경의 정보 송신 및 수신과 더불어 제어가 가능한 케이스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흔들림과 더불어 대부분의 반려동물용 케이스는 화물칸에 적재되고, 상기 화물칸의 환경은 온도조절과 환기가 어려워 반려동물이 이동 중 스트레스를 크게 받아 사망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이동 스트레스를 감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이지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002호에는 저면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상부면과, 상기 저면부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와의 거리는 상기 제 1 상부면-상기 저면부 사이의 거리와 다르게 형성된 제 2 상부면 및 상기 제 1 상부면 및 제 2 상부면을 연결하는 사면으로 구성된 상면부 및;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와 각각 변을 공유하며 상기 저면부 및 상면부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부;로 구성된 받침 패드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8801호에는 사용자가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할 때 휴대가 간편하고,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받는 스트레스와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개폐도어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여러 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장착칸이 구비된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탈착되게 장착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76003호에는 자외선과 적외선을 방출하는 광원부와, 애완동물의 유무 및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설치하고, 센서부에서 검출된 애완동물의 유무 및 상태에 따라 광원부의 조명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능동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살균기능과 치료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케이스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31004호에는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패널과 방에 위치한 전면패널 및 후방에 위치한 후면패널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일정한 간이 형성된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된 채 개폐 가능한 상부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측면패널의 연결부위 및 상기 측면패널과 후면패널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이 자석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슬롯홈이 마련된 연결부; 및 상기 케이지의 하부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배설물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및 상기 측면패널에는 상기 슬롯홈의 형상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삽입구가 각각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슬롯홈은 상기 삽입구가 삽입되어 자석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물질로 이루어진 슬롯홈이 형성되는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운송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흔들림과 더불어 대부분의 반려동물용 케이스는 화물칸에 적재되는 바, 상기 화물칸의 환경은 온도조절과 환기가 어려워 반려동물이 이동 중 스트레스를 크게 받아 사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평상시와 동일한 환경을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절부 및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되며,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케이지에는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운송시 케이지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수평유지가 가능한 IoT기반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이동 케이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 설치되고, 고무 또는 스프링구조의 탄성력을 포함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되어 횡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됨으로써 종방향의 흔들림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는 하향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판스프링의 곡부가 맞닿도록 탄력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함입부에는 탄력재로 형성된 완충프레임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횡방향 균형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판 하부에는 종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는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은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 구동부는 곡면 또는 낮은 홈 형태로 중심부를 향해 하향하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은 볼 구동부가 형성된 측면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측단면은 타원구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볼 구동부 중심부에는 롤링볼이 안착되고 횡방향 충격파 발생시 롤링볼의 유동에 따라 상부 프레임이 수평이동한 후, 롤링볼은 중심부로 위치가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은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 구동부는 곡면 또는 낮은 홈 형태로 중심부를 향해 하향하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은 볼 구동부가 형성된 측면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측단면은 타원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볼 구동부는 열과 행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에는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구동부 형성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롤링볼이 설치되며, 상기 롤링볼을 감싸도록 형성된 볼케이스와, 상기 볼케이스와 연결되도록 탄성 재질의 선형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인과 떨어져 수송수단에 적재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평상시와 동일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수단의 다양한 흔들림에도 바닥부가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이송 시 사망률 및 스트레스를 최대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에 대한 감쇄효율과 수평조절 반응이 기존에 비해 향상되어 보다 안정감있는 반려동물 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2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2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수평조절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수평조절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반려동물이란, 통상적으로 개와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및 조류, 파충류, 양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와 관련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는 이동시 반려동물이 임시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는 출입제어가 가능한 출입문이 설치되며,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형성되는 바디 케이스(10); 상기 바디 케이스에 설치되어 무게 검출센서, 영상검출센서, 온도센서, 조도센서, 수평센서,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20); 바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장치부, 내부조명조절부, 환기부, 심신안정부, 자동배변처리부, 수평조절장치, 먹이공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절부(30); 사용자가 통신수단을 매개로 상기 센서부 또는 조절부의 정보가 공유되고 명령이 가능한 관리 단말기(40); 센서부, 조절부, 중앙 서버, 관리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통신수단(100); 센서부, 조절부, 관리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수단과 정보가 송, 수신되는 통신모듈, 상기 송,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값을 설정하여 명령을 송, 수신하여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중앙처리장치(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센서부 및 조절부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장치와 상기 센서부 및 조절부가 후술할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매개로 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 장치 등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사용자가 통신수단 및 관리단말기를 매개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사물인터넷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물이 통신 수단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저전력 및 고효율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관리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통신 수단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수단은 상기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를 구성하는 센서부, 조절부, 중앙 서버, 관리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로서 통신 수단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Beacon, LORA 통신 등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신 수단은 상기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실현가능한 통신 이외에 장래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관리단말기와 연동되어 중앙처리장치에서 수집된 정보가 통신 수단을 매개로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는 센서부, 조절부, 관리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수단과 정보가 송, 수신되는 통신모듈, 상기 송, 수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입력값을 설정하여 명령을 송, 수신하여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센서부는 무게 검출센서, 영상검출센서, 온도센서, 조도센서, 수평센서,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은 케이지내부에 바닥, 측면, 윗면 등 다양하게 위치 할 수 있다.
무게 검출센서는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 수용공간에 반려동물의 유무 및 수용 시 무게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디 케이스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검출센서는 임의의 무게측정 소자(도면부호 미표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전자식 체중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식 체중계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무게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하다.
영상검출센서는 바디 케이스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내부 케이스 수용공간에 반려동물의 유무 검출 및 상태를 휴대용단말기를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검출 센서는 CCD센서 또는 CMOS 센서, 일정범위로 회전구동이 가능한 이동식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이스 내부를 촬영하여 애완동물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이미지 센서가 취급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바디 케이스 내부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체온을 센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는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서미스터(NTC), 서미스터(NTC, PTC, CTR) 감온 페라이트 등을 포함하는 금속식 온도계와 기체온도계, 유리제2중관 온도계, 수정 온도계, 백금온도 측정저항체, 백금-백금로듐 열전쌍 등이 될 수 있으며, NQR(핵4중극공명), 초음파, 광섬유를 사용한 센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온도값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온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적외선이 방사되는 적외선 온도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적외선 온도센서는 온도 측정 물체가 태양빛을 받아 소정 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체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의 복사량을 재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이에 따라 케이지 내부의 온도감지 및 내부에 입식된 반려동물의 체온 측정이 용이하다. 적외선 온도센서의 적외선 발광부를 반려동물의 코등 부분으로 조사하면 반사된 적외선 값으로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바디 케이스 주변의 조도값을 센싱할 수 있어, 수용된 반려동물에게 미치고 있는 주변 조도 환경에 대한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값을 단말기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센서는 감광 기전효과를 이용하여 기전력을 일으키는 데 사용하는 광전지를 적용한 CDS센서, LLS 센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수평센서는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통상적인 수평센서(horizontal sensor)가 설치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먹이공급부에 설치된다. 자이로 센서는 난기류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하여 일정 이상 기울기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다음에서 설명하는 센서값과 연결되어 복합적인 장치 구동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이 또는 물통와 연결되는 공급파이프 등의 돌출부위를 회전시키거나 케이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위가 안전한 면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자이로센서값을 LED 발열부로 보내어 광원을 조사함으로서 아로마 향초를 승화시키도록 하는 복합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건강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건강관리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가능하다. 건강관리센서는 광학센서, 형광화학센서, 화학 바이오센서, 효소 FET센서, 미생물센서, 면역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지센서가 추가 설치 가능하다. 환경감지센서는 습도센서, 먼지측정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조절부는 바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반려동물의 환경을 평상시와 동일하게 유지시켜 보다 쾌적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조절부는 온도조절 장치부, 내부조명 조절부, 환기부, 심신안정부, 자동배변처리부, 수평조절장치, 먹이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부는 케이스 바디 내부의 온도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발열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또는 중앙처리장치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케이지 내부 온도값이 전송되고 분석하여 관리 단말기를 매개로 온도조절장치부에 온도 조절신호를 송신하게 되어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내부조명조절부는 반려동물의 생체정보 및 환경에 따라 측정된 조도값이 수집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에 따라 적절한 파장영역을 가변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조명조절부는 가시광선, 자외선 또는 적외선이 발광될 수 있는 광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조명 조절부는 조도센서, 무게검출센서, 영상센서에 따라 센싱된 값에 따라 반려동물의 무게에 따른 조명정보, 자세에 따른 조명정보, 신체부위에 따른 조명정도 값을 단말기 또는 중앙처리장치가 설정된 명령에 따라 조사한다.
일실시예로서 반려동물이 일정시간 부동자세를 유지하면 수면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작용을 하는 자외선 파장영역으로 발광되도록 조절하고, 사용자가 관리단말기를 매개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치료작용을 하는 적외선 파장영역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내부조명 조절부는 내부 빛 환경 조절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이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표피에 기생하는 세균,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다.
환기부는 송풍모듈 및 산소발생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모듈은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바디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는 냉방 또는 가열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케이스와 공기 송풍 통로가 될 수 있는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소발생모듈이 송풍구에 설치되어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산소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산소발생모듈 실시예는 고체산소 카트리지일 수 있다. 환기부는 환경감지센서로 감지된 바디 케이스 산소농도, 먼지농도들이 설정값 이외로 벗어나면 단말기 또는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신안정부는 케이스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향을 발산시킬 수 있고, 상기 향의 실시예로는 반려동물 주인의 생체향일 수 있다.
심신안정부는 다각통형상으로 내부에 반려동물 주인의 생체향기를 포함하는 아로마 향초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향초를 향하여 광원을 조사할 수 있는 LED 발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ED발열부를 둘러싸며 열 차단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LED 발열부의 광원이 아로마 향초를 향해서만 조사되도록 하여 바디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증감방지와 동시에 빛의 광사로 내부에 입식된 반려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로마 향초는 LED 발열부로부터 조사된 광원으로 열을 받으며 승화하게 되고 이때 방출하는 향이 하우징의 통공을 통해 바디 케이스 내부로 발산되어 반려동물의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송풍으로 향발산하는 시스템에 비해 발열을 통해 향을 발산시킴으로써 향 발산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로마 향초는 고체, 젤, 졸, 갤 또는 액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와 LED 발열부 및 제어부가 관리단말기와 연결됨으로서 난기류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하여 일정 이상 기울기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자이로센서값을 LED 발열부로 보내어 광원을 조사함으로서 아로마 향초를 승화시키도록 하는 복합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LED 발열부의 구동은 기압측정센서로부터 얻어진 기압 변화값과 연결가능하다.
자동배변처리부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되어 이동시 수용된 반려동물이 용변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배변처리부는 반려동물이 올라가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평평하게 구비되는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에는 배변패드와, 배변패드를 교체할 수 있는 패드 처리장치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배변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처리장치를 매개로 배변판에 공급할 수 있는 패드 보관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판에는 영상검출센서 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반려동물이 배변판으로 진출입 여부 및 배변 유무를 감지하여 신호발생부를 통해 자동배변처리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11)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횡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60)와, 종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횡방향은 전, 후, 좌, 우 등의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x 및 y축 방향을 모두 포함하고, 종방향은 상, 하 방향의 z축방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 바닥부는 수평조절장치에 구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유동성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조절장치의 구동에 따라서 함께 작동하여 바닥부가 외부의 흔들림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수평조절부(60)는 고무 또는 스프링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포함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에 따른 구현예로서 감쇄지지부는 고감쇠고무(HDR;High Damping Rubber)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는 바디케이스에 횡방향에 진동이 가해지면 바디케이스 바닥부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절연기능과 진동폭을 작게 하는 감쇄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센서부의 센싱단계가 없어도 바닥부가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조절부(70)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스테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z축의 이동을 감지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1축 짐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의 감지에 의해 수평유지가 가능하다면 1축으로 구동하여 상,하 방향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직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평조절장치가 x축, y축, z축 등의 3축의 짐벌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센싱, 센싱감지, 수평조절장치 구동의 3단계가 3축 모두에 동시다발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3축 짐벌구조의 수평조절장치가 외부 충격빈도와 흔들림이 많은 이동 케이스에 설치되는 경우 센싱된 기울기 값과 설정값과의 계산으로 인한 반응감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져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신속한 수평유지 반응이 수행되기가 어렵다. 신속한 수평유지 반응은 내부에 살아있는 생물체에게는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는 횡방향의 흔들림은 수평조절부가 횡파에 대한 충격감쇄를 통해 균형을 조절하고 수직조절부는 센싱에 의한 기울기 복원값에 따라 z축이 구동함으로써 횡방향의 균형을 조절되어 기존의 수평조절장치에 비해 즉각적인 수평조절반응으로 인해 내부에 입식된 반려동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조절장치로 수송수단의 물리적인 흔들림에도 바디케이스 바닥부는 수평을 유지하여 내부에 입식된 반려동물이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다치게 되거나, 내부에 부딪혀 스트레스 받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또한, 추가적으로 스피커, 디스플레이를 바디케이스 측면에 설치하여 관리단말기를 매개로 내부에 수용된 반려동물과 주인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11)의 하부에는 하향 곡선 형태로 형성된 판스프링(61)의 곡부가 맞닿도록 탄력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함입부에는 탄력재로 형성된 완충프레임(6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판(63)으로 이루어져 횡방향 균형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판 하부에는 종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현된 수평조절부는 탄성력을 포함하는 단일구조의 수평조절부에 비해 보다 진동감쇄와 수평균형조절이 빠르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반려동물 이동이 가능하다.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2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11)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64) 및 하부 프레임(65)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수직조절부를 매개로 바닥케이스 내측 하부면에 고정되어 후술 할 충격파에 의해 수평이동 발생 시 유동 및 위치가 변위되지 않는다.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과 맞닿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의 충격에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 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은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형성된다. 상기 볼 구동부는 곡면 또는 낮은 홈 형태로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하는 경사구조로 상,하부 프레임은 상기 볼 구동부가 형성된 측면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측단면은 타원홈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볼 구동부가 맞닿아 형성된 타원홈에는 롤링볼(66)이 설치된다.
또한, 볼 구동부가 형성된 측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롤링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롤링볼은 볼 구동부의 라운드 구조 범위 내에서만 유동할 수 있다.
롤링볼은 횡방향의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원홈의 중심부에 안착되는데 이는 중심부가 주변의 곡면부에 비해 깊은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횡방향으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롤링볼은 상기 타원홈의 경사를 따라 롤링하나, 중심부의 깊은 경사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심부를 향하여 위치가 복원된다.
이때 복원시간은 볼 구동부의 중심부와 주변부와의 경사각에 따라 상이해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ㅀ의 경사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부 프레임은 충격과 함께 롤링볼의 롤링작용으로 횡방향의 충격을 감쇄함과 센싱부의 감지 없이도 횡방향의 균형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수평조절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64) 및 하부 프레임(65)과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에는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열과 행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설치된 볼 구동부는 전술한 실시예 2에 게시된 볼 구동부와 동일한 작용이 실시되나 실시예 2에 비해 수평이동에 따른 변위 이후 초기상태로의 복귀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수평조절장치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평조절장치의 수평조절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 어느 한 측면에는 라운드 형상의 볼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구동부 형성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롤링볼이 설치되며, 상기 롤링볼을 감싸도록 형성된 볼케이스(67a)와, 상기 볼케이스와 연결되도록 탄성 재질의 선형고정부(6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케이스는 롤링볼의 롤링작용이 최대한 저해되지 않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볼케이스와 연결되는 선형고정부는 선형의 스프링 또는 고무재질의 탄성력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에 횡방향의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선형고정부가 롤링볼의 이동폭을 줄임에 따라 수평이동의 변위폭을 감소시켜 보다 안정적인 수평상의 균형조절 효과가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본 발명은 반려동물 주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이송 케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관련 사업 종사자들의 이윤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1: 바디케이스 바닥부 60: 수평조절부
61: 판스프링 62: 완충프레임 63: 지지판
64: 상부프레임 65: 하부프레임 66: 롤링볼
67a: 볼케이스 67b: 선형고정부
70: 수직조절부

Claims (3)

  1.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 설치되고, 고무 또는 스프링구조의 탄성력을 포함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되어 횡방향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됨으로써 종방향의 흔들림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
  2.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는 하향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판스프링의 곡부가 맞닿도록 탄력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 함입부에는 탄력재로 형성된 완충프레임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횡방향 균형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지지판 하부에는 종방향의 균형을 조절하는 수직조절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
  3. 반려동물이 거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 전면부에는 반려동물 수용 후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상기 바디 케이스 하부 상측면에는 수용된 반려동물을 수평으로 유지 및 지지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케이스 바닥부에는 수평센서와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센서의 감지에 따라 수평조절장치가 바디케이스 바닥부의 균형을 자동으로 유지하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바디케이스 바닥부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수직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z축 회전체 및 상기 z축 회전체를 구동하는 z축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부와, 상기 수평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신부에서 측정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축 구동부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 케이지
KR1020200120584A 2020-09-18 2020-09-18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KR20220037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84A KR20220037743A (ko) 2020-09-18 2020-09-18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84A KR20220037743A (ko) 2020-09-18 2020-09-18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43A true KR20220037743A (ko) 2022-03-25

Family

ID=8093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584A KR20220037743A (ko) 2020-09-18 2020-09-18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774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02Y1 (ko)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101876003B1 (ko) 2015-11-19 2018-07-0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101931004B1 (ko) 2016-12-28 2018-12-19 남궁성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
KR200488801Y1 (ko) 2016-11-28 2019-03-20 김태현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02Y1 (ko) 2005-07-04 2005-10-12 이인숙 애완 동물 운반용 가방
KR101876003B1 (ko) 2015-11-19 2018-07-0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200488801Y1 (ko) 2016-11-28 2019-03-20 김태현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KR101931004B1 (ko) 2016-12-28 2018-12-19 남궁성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234B1 (en) Combined climate-controlled kennel supporting enclosure and carrying kennel and associated method
US8291866B2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pet enclosures
KR102160365B1 (ko)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반려동물용 이동 케이지
KR101876003B1 (ko)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US6409654B1 (en) Incubator system with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capabilities
KR101931004B1 (ko) IoT 기술과 자기주도형 학습 알고리즘기반의 인공지능 애완동물용 하우스 및 시스템
US20200068853A1 (en) Network-based pet tracking and reporting system
KR20210014376A (ko) 스마트 펫 하우스
CN109690435A (zh) 保持自然的距离感的行为自主型机器人
KR20120053441A (ko)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GB2554636A (en) Animal monitoring system, network and method
JP2009247216A (ja) ペット収容体用の冷暖房システム
US20020195062A1 (en) Apparatus for deterring animals from avian enclosures
KR20220037743A (ko) 반려동물용 iot기반 이동용 케이지
KR20200097928A (ko)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EP369571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20210156970A (ko) 반려동물용 IoT 기반 이동용 케이지
KR20080114142A (ko) 코쿤형 육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쿤형 육아 관리 시스템
EP2090158A1 (en) Temperature controlled pet kennel
KR102188121B1 (ko) 반려동물 놀이장치
KR20210099468A (ko) 펫 태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00039A (ko) Iot 기술을 접목시킨 이동형 케이지
KR101708839B1 (ko)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Chukwuka Microhabitat use by the nocturnal, cool-climate gecko Woodworthia “Otago/Southland” in the context of global climate change
KR102091333B1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