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320A -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320A
KR20220037320A KR1020200165476A KR20200165476A KR20220037320A KR 20220037320 A KR20220037320 A KR 20220037320A KR 1020200165476 A KR1020200165476 A KR 1020200165476A KR 20200165476 A KR20200165476 A KR 20200165476A KR 20220037320 A KR20220037320 A KR 20220037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period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260B1 (ko
Inventor
김기완
최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수
Publication of KR2022003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4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or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01R35/007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METHOD FOR IMPROVING DATA ACCURACY OF ENERGY MEASURING DEVICE AND ENERGY MEASURING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및 소비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함에 있어서, 제한된 데이터 전송량 안에서 전체 기간 동안의 데이터 통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력량의 변화가 큰 구간에서 전력량의 데이터 정밀도를 높이는 것에 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란 기존의 화석연료 및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무공해 에너지로서, 일반적으로 대체에너지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지열 및 해양에너지 등등을 통해 획득되는 에너지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화석연료 및 원자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때마다 자연파괴가 늘어나는 상황이며, 상기의 화석연료 및 원자력 자원의 고갈위험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에 들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RE100과 같이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친환경적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자는 캠페인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력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자신이 소비하는 전력이 어떤 방법을 통해 생산되었는지 여부를 일반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전력의 생산방식을 확인할 수 없기에 계획적인 전력운용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계획적인 전력 운용을 위하여 최근 생산된 전력 및 소비된 전력에 대한 통계를 만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며, 스마트미터기를 통해 생산 및 소비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스마트미터기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작동을 하는 경우, 기 설정된 통신 요금제 하에 작동하게 되는데, 요금제에 따르는 통신량의 제한이 존재한다. 그런데, 전력량이 급감하거나 급증하는 등의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짧은 주기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해주어, 관리자의 주의를 요함과 동시에 중요한 순간의 데이터를 정밀도 있게 보내줄 필요가 있는데, 기존의 요금제 하에서는 특정 기간동안의 전체 데이터 허용량과 1회 최대 전송가능한 데이터량에 의해 전송주기가 일정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중요한 순간에 정밀도 있는 데이터를 전송해주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혹은 기업)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자신이 사용한 전력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비된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비자는 사용한 전력 중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의 비율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의 고유역할 중 하나인 저장된 데이터가 위, 변조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한정적인 데이터 통신량을 사용하면서, 전력량 변화폭을 측정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를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화폭을 판단하는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것일 수 있다.
또한, 각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특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는 상기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 이하를 만족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력량을 전송한 바로 이전 시점 이후부터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시점까지의 제1 시구간 동안 측정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시구간 중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와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시구간 중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와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구분하여 다른 타이밍에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주기보다 긴 한계전송주기에 따라 전력량을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 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되,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또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 별로 구비되어, 생산되는 전력량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 감지장치로부터 각 전력감지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는 단계; (b) 각 전력감지장치 별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 설정된 주기 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 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c)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a-2)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a-1)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량을 측정한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제한된 데이터 전송량 내에서, 전체 기간 동안의 통신량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전력량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상대적으로 적게하고, 전력량의 변화가 많은 구간에 상대적으로 통신량을 많이 적용함으로써, 관심을 가져야 할 시간 구간에서의 전력량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화폭을 측정하는 전력감지장치의 전력량 데이터 전송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화폭을 측정하는 전력감지장치의 전력량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누적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화폭을 측정하는 전력감지장치의 전력량 데이터 전송주기를 설명하고자 하는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해 데이터 변화폭에 따라 전송주기를 달리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기에 관한 기술적 특징을 언급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마트미터기가 어떠한 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전제사항을 먼저 언급하고자 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은 어디까지나 일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미터기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외에 전력량 측정이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등장하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모두 스마트미터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서버(100)및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생산객체(300)에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의 생산량을 측정하고, 전력소비객체(400)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고, 각 장치 별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시간 단위별로(기 설정된 주기 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 및 전력소비객체(400)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력생산객체(300)는 전력(에너지)을 생산하는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신재생에너지 생산발전소(예를 들어, 태양광발전소, 지력발전소, 풍력발전소 등)와 같은 대단위의 전력생산객체(300)이거나, 태양광발전모듈과 같은 소단위의 전력생산객체(300)를 제 1 전력생산객체(301)로 그루핑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반대로 화력발전과 같이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관심을 갖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을 제 2 전력생산객체(302)로 분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두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예를 들면, 외부에서 에너지 단지 내부로 유입되는 에너지) 은 제 3 전력생산객체(303)로 분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준 이외에도 임의의 분류기준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재생에너지 그룹,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재생에너지 그룹,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그룹 등 필요에 따라 각 구성에 대한 구분조건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력생산객체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본 발명에서 설명된 예에 한하지 않는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 별로 구비되어,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여, 서버(100)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망(500)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전력소비객체(400)는 전력생산객체(3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전력소비객체(401) 및 다른 전력소비객체가 소모 후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는 제 2 전력소비객체(402)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에너지)을 소비하는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은 전력생산객체(300)로부터 직접 생산된 전력을 수신하기에 제 1 전력소비객체(401)로 분류될 수 있고, 공장은 특정 단지가 소모하고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제 2 전력소비객체(40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400)에 구비되어, 전력소비객체(400)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여, 서버(100)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망(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전력생산객체(300) 또는 전력소비객체(400)에 구비되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설치되는 배전반의 위치나 측정 효율에 따라 배전반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와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는 각 1개의 객체마다 장착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객체를 포함한 1개의 그룹 단위로 장착되어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기 설정된 구역 내의 복수의 전력소비객체(401, 402)와 연동되어 각 건물 별 전력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에너지) 사용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고, 이를 블록체인 망(500)이나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치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게 된다. 서버(100)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망(500)에 참여한 전력생산객체(300)와 전력소비객체(400)가 생성한 정보 역시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각각의 객체에게 분산되어 저장됨으로써, 각 생성된 정보의 보안과 검증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여러 객체에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생산객체(300), 전력소비객체(400) 외에도 이를 감시하는 객체나 그 밖의 별도의 객체에 저장될 수 있고, 블록체인 기록용 객체가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요청에 기반하여 블록체인 망(500)에 기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의 전력 생산량이나 비율을 통계치로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버(100)는 일반적인 로컬 서버에 대응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를 구현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에 대한 통계치가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 전력소비객체(400)가 이용한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 망(500)을 통해 전력에 대한 정보 및 통계치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이 블록체인 망(500) 내의 임의의 주체에게 전력에 대한 통계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에 대한 통계치가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200)이 확인할 수 있다.
즉, 다르게 설명하면, 각 시점마다 생산된 전력데이터, 각 시점마다 소비된 전력데이터, 통계치 등은 그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고, 블록체인 망 내의 각 주체가 저장하고 있는 블록정보에 이어서 저장(즉, 분산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전력소비객체(400)에 소속된 단말, 전력생산객체(300)에 소속된 단말 및 에너지사용감시객체에 소속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회사가 소비하는 전력이 어디서 생산되는지 혹은 얼마나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싶은 일반 회사의 관리자나, 자신의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어디로 제공되는지 확인하고픈 관리자 혹은 RE100을 체크하기 위한 관리자 등이 사용하는 단말이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혹은 서버(100)와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블록체인 망(5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블록체인 망(5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된,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선택적 실시예로, 블록정보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망(500)에 저장되되, 블록체인 망(500)은 퍼블릭 블록체인망, 컨소시움 블록체인망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블록체인 망(500)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사용하는 블록체인 망(500)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한다(S310).
또한, 추가적으로 서버(100)는 각각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의 고유식별자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특정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여 산출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블록체인 망(500)과의 개별적 통신을 통해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블록정보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300) 및 전력소비객체(400)가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한다(S320).
이때, 서버(1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치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각각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어느 제 1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1 블록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이후, 서버(100)는 제 1 시점 이후의 어느 제 2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2블록정보로서 저장하되, 앞서 저장한 제 1 블록정보에 제 2 블록정보를 덧붙여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망(500) 내에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서버(100) 및 각 객체의 사용자 단말(200)이 참여하고, 어느 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제1시점에 측정한 에너지소비 정보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객체들로 전송되어 제1블록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다른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가 제 2 시점에서 측정한 에너지 생산정보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객체들로 전송되어 앞서 생성한 제1블록에 덧붙여 제 2 블록을 생성한 후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버(100)에서 생성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다른 객체들로 전송되어 제 3 블록을 생성한 후 저장되는 것이다.
만약,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별도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블록체인 망(500)에 전달한 상태라면, 서버(100)는 기 저장된 정보에서 계산된 통계치만을 블록체인에 추가 기록하게 된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 전력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100) 및 블록체인 망(500)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만 전달하거나, 서버(100)가 생성한 통계치를 블록체인 망(500)에 추가할 것인지 여부 등은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서버(100)가 산출하게 되는 통계치의 경우 날짜별, 기간별(이때, 기간은 주별, 월별 등이 일반적이나, 짧게는 시간이나 분 단위도 적용될 수 있다.), 전력소비객체(400) 별 또는 전력소비객체(400)를 포함하는 그룹 별 전력의 생산 또는 소비량에 대한 통계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한다(S330).
이때, 통계치는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비객체(400)가 소비하거나,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의 양과 비율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력생산객체(300) 중 풍력발전모듈1, 풍력발전모듈2, 태양광발전모듈1, 화석발전모듈1이 존재할 경우, 전력소비객체(400)는 24시간동안 풍력발전모듈1로부터 100Wh, 풍력발전모듈2로부터 200Wh, 태양광발전모듈1로부터 200Wh, 화석발전모듈1로부터 500Wh를 전력소비객체(400)가 전달받았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이를 단순히 기간대비 수치로 저장할 수도 있고, 재생에너지 생산객체와 외부에너지 공급객체 간의 비율로서 저장할 수 있다(풍력발전모듈1은 10%, 풍력발전모듈2는 20%, 태양광발전모듈1은 20%, 화석발전모듈1은 50%).
또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전력생산객체(300)와 체결된 계약에 의해 해당기간의 특정 에너지원의 발전량을 특정 전력소비객체(400)에게 우선 할당하는 방법을 통해 전력의 소비량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력소비객체(401)가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제 1 전력생산객체(301)에게 생산된 전력을 자신에게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기간 이내에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제 1 전력소비객체(401)로 우선 전달된다. 이때, 제 2 전력소비객체(402)는 우선 전달된 해당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공급받게 되므로, 나머지 전력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량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전력생산객체와 전력소비객체 간의 계약에 따라 전력 배분을 하고 배분된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에는 서로 다르게 되는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전력소비객체(400)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전력망을 물리적으로 끊어버리고, 미리 배당된 전력생산객체(300)와 전력소비객체(400)를 서로 연결하여 전력소비객체(400)로 전력을 배분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편으로, 전력소비객체(400)로 물리적으로는 다수의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개념적(가상적)으로 특정 전력생산객체(300)가 특정소비개체(400)에게 전력을 보냈다고 가정하고 배분된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VPPA(virtual power purchase agreement)라 하며, 실제로 재생에너지와 일반에너지가 섞인 전력공급망에서도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 적용되는 전력 배분방식은 가상적인 전력 공급방식을 우선으로 적용하여, 전력소비객체(400)가 수신하는 전력 비율을 산출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에 언급한 2가지 방법 중 다른 하나 또는 모두가 적용될 수 있고, 그 밖의 방법이 개발되는 경우 새롭게 개발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기간 동안 전력생산객체(300)의 생산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전력소비객체(400)의 전력소비량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들 중 전력소비객체(400)로 할당하는 비율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력생산객체(300) 각각의 생산량 비율을 산출할 경우, 전력소비객체(400) 각각의 전력 소비량 비율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배분을 가상으로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재생에너지의 관리가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현재 재생에너지의 생산/소비사항 및 비율을 알려주는 서비스(renewable energy as a service)를 더 제공하게 된다. 즉,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400)의 요청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생산량/소비사항 및 그 비율에 대한 정보를 전력소비객체(400)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추가 실시예로, API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생산된 전력의 원산지(이는 전력생산객체(300)의 종류와 대응될 수 있다.)별 소모된 전력의 비율에 대한 데이터를 API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미터기의 동작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미터기는 전력생산객체(300)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소비객체(400)로부터 소비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S410)
이 때, 스마트 미터기는 전력생산객체(300) 및 전력소비객체(400)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된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되, 측정을 실시간으로 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 마다 측정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데이터 변화폭 수치 이상인 경우, 스마트 미터기는 서버(100)로 기 설정된 주기보다 짧은 제1주기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420) 즉, 데이터 변화폭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관심있게 모니터링해야하는 데이터이므로, 짧은 시간 간격으로 서버(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데이터 변화폭은 기간과 전력량에 따라서 복수 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전력량이 측정되되, 측정시간이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경우, 또는 같은 시간에 전력량의 변화가 많아지거나 적어지는 경우 등을 데이터 변화폭이 발생된 경우로 볼 수 있다. 또는 전력량과 시간이 함께 변화하는 경우도 데이터 변화폭이 발생된 경우로 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며, 다양한 기준에 의해 데이터 변화폭이 발생된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때, 데이터 변화폭을 판단하는 기 설정된 주기가 제 2주기라고 할 때, S420단계의 제1주기는 제 2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각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특정 기간(예를 들어, 한 달)동안 누적하여,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은 기 설정되어 있다. 스마트 미터기 활용시, 통신사의 특정 요금제에 가입하여 활용하게 되는데 통신사 별로 한 달 동안 통신 가능한 데이터량에 대해 요금제 별로 규정해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주기가 제 1주기 및 제 2주기로 변화하고, 때로는 제3주기,?? 제N주기의 형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면서 데이터가 전송되더라도 요금제가 규정한 범위 내에서 전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각 주기별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 이하를 만족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스케줄링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한정된 데이터 전송량 안에서 전력량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주기는 데이터의 변화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미리 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 정도 또는 전력량 크기에 따른 데이터 변화 정도에 따라 스마트 미터기는 데이터 변화 정도에 따른 주기 변화를 수집하고, 수집 된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 주기를, 예를 들어, n개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의 전송주기의 단위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 변화 정도, 즉 분 단위, 초 단위, 시간 단위 등 이 될 수 있다.
또는, 그 외에도, 전력량 크기에 따른 데이터 변화 정도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전송주기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데이터 변화폭 수치 이하인 경우, 스마트미터기는 서버(100)로 제 2주기에 맞춰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430)
이러한 주기는 전력량 변화 폭에 따라, 여러 주기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주기의 최대 시간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화폭이 1시간동안 없더라도, 1시간이 되었을 때에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야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량 변화 폭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주기로 전송을 하지만, 한계전송주기가 따로 지정되어 있어서, 예를 들어, 1시간을 넘는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5 를 참조하여, 스마트 미터기는 측정된 전력량이 기 설정된 데이터 변화폭 이상인 경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10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미터기는 측정된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데이터 변화폭 이상인 경우, 서버(100)로 전력량 데이터를 두 가지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S421)
먼저, 스마트 미터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측정되었지만, 아직 전송되지 않은 과거의 전력량 데이터를 최근 전력량 데이터와 함께 누적하여 전력량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S422)
또는, 과거의 전력량 데이터를 최근 전력량 데이터와 각각 다른 타이밍에 구분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S423)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90분까지는 큰 전력량 변화가 없어서, 제 2 주기 또는 한계전송주기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전의 전력량 변화 폭에 비출 때, 90분 이후인 (A)구간부터 역시 한계전송주기로 전송하기로 스케줄링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B) 구간부터 전력량 변화폭이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 제2주기가 아닌 더 짧은 제 1 주기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이때, 스마트 미터기는 (A)구간이 끝난 시점부터 제1주기만큼 지난 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로 재스케줄링이 될 수 있다.
스마트 미터기는 (B)구간이 끝나는 지점에서 (A)와 (B) 구간의 데이터를 모두 한꺼번에 전송할 수도 있다. (S422)
또는, (A)와 (B) 구간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다른 타이밍에 전송할 수도 있다. (S423)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DB
200: 사용자 단말
300: 전력생산객체
31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400: 전력소비객체
4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

Claims (9)

  1.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화폭을 판단하는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은 것인,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특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는 상기 최대 회당 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최대 누적 데이터 전송량 이하를 만족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것인,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력량을 전송한 바로 이전 시점 이후부터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시점까지의 제1 시구간 동안 측정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시구간 중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와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시구간 중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와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구간의 전력량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구분하여 다른 타이밍에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주기보다 긴 한계전송주기에 따라 전력량을 전송하는 것인,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8.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제공하는 전력감지장치에 있어서,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 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및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및 소비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전력량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설정된 전력량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감지장치.
  9.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또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 별로 구비되어, 생산되는 전력량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 감지장치로부터 각 전력감지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는 단계;
    (b) 각 전력감지장치 별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 설정된 주기 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 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a-2) 상기 전력감지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 1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a-3) 상기 (a-1) 단계 이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데이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주기보다 긴 제 2 주기로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 방법.
KR1020200165476A 2020-09-17 2020-12-01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KR102548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10 2020-09-17
KR20200119610 202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20A true KR20220037320A (ko) 2022-03-24
KR102548260B1 KR102548260B1 (ko) 2023-06-28

Family

ID=8093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76A KR102548260B1 (ko) 2020-09-17 2020-12-01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32B1 (ko) * 2022-09-23 2023-06-28 주식회사 해줌 에너지 데이터 기반 re100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8975A (ja) * 2002-01-23 2003-07-31 Denso Corp 伝送装置
KR20170099003A (ko) * 2016-02-22 2017-08-3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ami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5882B1 (ko) * 2018-10-10 2019-12-1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8975A (ja) * 2002-01-23 2003-07-31 Denso Corp 伝送装置
KR20170099003A (ko) * 2016-02-22 2017-08-3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ami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5882B1 (ko) * 2018-10-10 2019-12-13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식 전력량계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32B1 (ko) * 2022-09-23 2023-06-28 주식회사 해줌 에너지 데이터 기반 re100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260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3804C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metrics in renewable energy systems
US201801233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easurement and Control of Synchronized Remote Energy Resources
US9576472B2 (en) Real-time monitoring and dissemin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production data
US20120059528A1 (en) Server, charging server, power consumption calcula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509162A (zh) 一种居民智能用电管理方法和管理系统
CN109190818B (zh) 电力资源管理方法及系统、服务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Tarroja et al. Solar power variability and spatial diversification: implications from an electric grid load balancing perspective
CN111625583B (zh) 业务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3412182A (zh) 利用电能计量装置监测电压合格率的方法
Prasad et al. Synergy of solar photovoltaics-wind-battery systems in Australia
CN114026591A (zh) 用于与电网约束交易以确保电网稳定性的分布式账本
KR102548260B1 (ko)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Qiu et al. Multi‐objective generation dispatch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economy and security
KR20210115955A (ko) 가상 발전 플랫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laimi et al. Energy management algorithms in smart grids: State of the art and emerging trends
CN11571914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分布式光伏配储方法
KR102445986B1 (ko)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Bucksteeg et al. Impacts of renewables generation and demand patterns on net transfer capacity: implications for effectiveness of market splitting in Germany
US20180306847A1 (en) System for checking the performance of energy and monitoring photovoltaic solar or wind plants
EP39669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forecasting, aggregation, and validation
KR20220037581A (ko)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Baniata et al. Assessing anthropogenic heat flux of public cloud data centers: current and future trends
Andolšek et al. Flexibility and optimization services validation in a microgrid
CN115310811B (zh) 一种微电网电力能源公平调度方法
Mishi Matching geographically distributed micro-datacenters’ energy consumption with renewable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