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86B1 -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86B1
KR102445986B1 KR1020200111568A KR20200111568A KR102445986B1 KR 102445986 B1 KR102445986 B1 KR 102445986B1 KR 1020200111568 A KR1020200111568 A KR 1020200111568A KR 20200111568 A KR20200111568 A KR 20200111568A KR 102445986 B1 KR102445986 B1 KR 10244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consumption
production
consump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986B9 (ko
KR20220029961A (ko
Inventor
최용선
박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to KR102020011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9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1333 priority patent/WO2022050626A1/ko
Publication of KR2022002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86B1/ko
Publication of KR10244598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8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는 단계; (b) 각 장치 별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시간 주기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및 전력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c)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별로 구비되어,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어, 전력소비객체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한다.

Description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AND PROVIDING ENERGY USAGE RATIO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력(에너지) 소비객체가 어떤 전력생산객체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란 기존의 화석연료 및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무공해 에너지로서, 일반적으로 대체에너지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지열 및 해양에너지 등등을 통해 획득되는 에너지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화석연료 및 원자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때마다 자연파괴가 늘어나는 상황이며, 상기의 화석연료 및 원자력 자원의 고갈위험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에 들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RE100과 같이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친환경적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자는 캠페인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력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자신이 소비하는 전력이 어떤 방법을 통해 생산되었는지 여부를 일반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전력의 생산방식을 확인할 수 없기에 계획적인 전력운용도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혹은 기업)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자신이 사용한 전력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비된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비자는 사용한 전력 중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의 비율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의 고유역할 중 하나인 저장된 데이터가 위변조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는 단계; (b) 각 장치 별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 설정된 주기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및 전력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c)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별로 구비되어,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어, 전력소비객체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산출한 상기 전력의 소비량에 참조하여 특정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한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생산객체는 전력소비객체의 단말이 관심을 갖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1 전력생산객체, 관심을 갖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2 전력생산객체 및 외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중계하는 방식을 갖는 제 3 전력생산객체로 구성되고, 전력소비객체는 전력생산객체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전력소비객체 및 다른 전력소비객체가 소모 후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는 제 2 전력소비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 이전에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산출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이 블록체인 망으로 전달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어느 제 1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1 블록정보로 저장하되, 제 1 시점 이후의 어느 제 2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2블록정보로서 저장하되, 제 1 블록정보에 덧붙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망은 퍼블릭 블록체인망, 컨소시움 블록체인망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 이후 통계치는 블록체인 망으로 전달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 이전에 블록체인 망은 서버, 전력생산객체, 전력소비객체,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고, 블록체인 망에 참여된 주체별로 자신만의 개인키를 보유하여, 개인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공개키로 블록체인을 암호화하여 상기 주체별로 저장하고, (c) 단계는 개인키를 기반하여 블록체인을 복호화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전력소비객체에 소속된 단말, 전력생산객체에 소속된 단말 및 에너지사용감시객체에 소속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고, (c)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비객체가 소비하거나,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한 전력의 양과 비율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날짜별, 기간별, 전력소비객체 별 또는 전력소비객체를 포함하는 그룹 별 전력의 생산 또는 소비량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계치는 API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고, 각 장치 별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설정된 주기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가 및 전력 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고,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별로 구비되어,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어, 전력소비객체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혹은 기업)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자신이 사용한 전력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비된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는 사용한 전력 중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의 비율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RE100에서 재생에너지 비율 증명 및 그에 따른 원산지의 증명이 용이해지기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도, 서비스는 API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개별 또는 소규모의 생산자/소비자도 손쉽게 전력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며, 감시조직은 API를 이용하여 현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통계치를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서버(100)및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생산객체(300)에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의 생산량을 측정하고, 전력소비객체(400)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고, 각 장치 별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시간 단위별로(기 설정된 주기 별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 및 전력소비객체(400)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력생산객체(300)는 전력(에너지)을 생산하는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신재생에너지 생산발전소(예를 들어, 태양광발전소, 지력발전소, 풍력발전소 등)와 같은 대단위의 전력생산객체(300)이거나, 태양광발전모듈과 같은 소단위의 전력생산객체(300)를 제 1 전력생산객체(301)로 그루핑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반대로 화력발전과 같이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관심을 갖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을 제 2 전력생산객체(302)로 분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두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예를 들면, 외부에서 에너지 단지 내부로 유입되는 에너지) 은 제 3 전력생산객체(303)로 분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준 이외에도 임의의 분류기준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재생에너지 그룹,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재생에너지 그룹,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그룹 등 필요에 따라 각 구성에 대한 구분조건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력생산객체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본 발명에서 설명된 예에 한하지 않는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 별로 구비되어,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여, 서버(100)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망(500)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전력소비객체(400)는 전력생산객체(3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전력소비객체(401) 및 다른 전력소비객체가 소모 후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는 제 2 전력소비객체(402)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에너지)을 소비하는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은 전력생산객체(300)로부터 직접 생산된 전력을 수신하기에 제 1 전력소비객체(401)로 분류될 수 있고, 공장은 특정 단지가 소모하고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제 2 전력소비객체(40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400)에 구비되어, 전력소비객체(400)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여, 서버(100)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망(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전력생산객체(300) 또는 전력소비객체(400)에 구비되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설치되는 배전반의 위치나 측정 효율에 따라 배전반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와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는 각 1개의 객체마다 장착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객체를 포함한 1개의 그룹 단위로 장착되어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기 설정된 구역 내의 복수의 전력소비객체(401, 402)와 연동되어 각 건물 별 전력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에너지) 사용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고, 이를 블록체인 망(500)이나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치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게 된다. 서버(100)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망(500)에 참여한 전력생산객체(300)와 전력소비객체(400)가 생성한 정보 역시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각각의 객체에게 분산되어 저장됨으로써, 각 생성된 정보의 보안과 검증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여러 객체에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생산객체(300), 전력소비객체(400) 외에도 이를 감시하는 객체나 그 밖의 별도의 객체에 저장될 수 있고, 블록체인 기록용 객체가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요청에 기반하여 블록체인 망(500)에 기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각각의 전력생산객체(300)의 전력 생산량이나 비율을 통계치로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서버(100)는 일반적인 로컬 서버에 대응되거나, 클라우드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를 구현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에 대한 통계치가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 전력소비객체(400)가 이용한 전력에 대한 통계치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 망(500)을 통해 전력에 대한 정보 및 통계치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이 블록체인 망(500) 내의 임의의 주체에게 전력에 대한 통계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전력에 대한 통계치가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200)이 확인할 수 있다.
즉, 다르게 설명하면, 각 시점마다 생산된 전력데이터, 각 시점마다 소비된 전력데이터, 통계치 등은 그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고, 블록체인 망 내의 각 주체가 저장하고 있는 블록정보에 이어서 저장(즉, 분산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전력소비객체(400)에 소속된 단말, 전력생산객체(300)에 소속된 단말 및 에너지사용감시객체에 소속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회사가 소비하는 전력이 어디서 생산되는지 혹은 얼마나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싶은 일반 회사의 관리자나, 자신의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어디로 제공되는지 확인하고픈 관리자 혹은 RE100을 체크하기 위한 관리자 등이 사용하는 단말이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혹은 서버(100)와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블록체인 망(5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블록블럭 망(5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수신된,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선택적 실시예로, 블록정보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망(500)에 저장되되, 블록체인 망(500)은 퍼블릭 블록체인망, 컨소시움 블록체인망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블록체인 망(500)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사용하는 블록체인 망(500)의 종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로부터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한다(S310).
또한, 추가적으로 서버(100)는 각각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의 고유식별자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특정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여 산출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는 블록체인 망(500)과의 개별적 통신을 통해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블록정보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300) 및 전력소비객체(400)가 소정의 기간 이내에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한다(S320).
이때, 서버(10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계치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각각의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어느 제 1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1 블록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이후, 서버(100)는 제 1 시점 이후의 어느 제 2 시점에서 측정된 전력 생산량 또는 소비량을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2블록정보로서 저장하되, 앞서 저장한 제 1 블록정보에 제 2 블록정보를 덧붙여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망(500) 내에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서버(100) 및 각 객체의 사용자 단말(200)이 참여하고, 어느 한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제1시점에 측정한 에너지소비 정보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객체들로 전송되어 제1블록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후, 다른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가 제 2 시점에서 측정한 에너지 생산정보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객체들로 전송되어 앞서 생성한 제1블록에 덧붙여 제 2 블록을 생성한 후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버(100)에서 생성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다른 객체들로 전송되어 제 3 블록을 생성한 후 저장되는 것이다.
만약,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별도로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블록체인 망(500)에 전달한 상태라면, 서버(100)는 기 저장된 정보에서 계산된 통계치만을 블록체인에 추가 기록하게 된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 전력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100) 및 블록체인 망(500)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만 전달하거나, 서버(100)가 생성한 통계치를 블록체인 망(500)에 추가할 것인지 여부 등은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서버(100)가 산출하게 되는 통계치의 경우 날짜별, 기간별(이때, 기간은 주별, 월별 등이 일반적이나, 짧게는 시간이나 분 단위도 적용될 수 있다.), 전력소비객체(400) 별 또는 전력소비객체(400)를 포함하는 그룹 별 전력의 생산 또는 소비량에 대한 통계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한다(S330).
이때, 통계치는 특정 기간 동안 전력소비객체(400)가 소비하거나,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의 양과 비율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력생산객체(300) 중 풍력발전모듈1, 풍력발전모듈2, 태양광발전모듈1, 화석발전모듈1이 존재할 경우, 전력소비객체(400)는 24시간동안 풍력발전모듈1로부터 100Wh, 풍력발전모듈2로부터 200Wh, 태양광발전모듈1로부터 200Wh, 화석발전모듈1로부터 500Wh를 전력소비객체(400)가 전달받았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이를 단순히 기간대비 수치로 저장할 수도 있고, 재생에너지 생산객체와 외부에너지 공급객체 간의 비율로서 저장할 수 있다(풍력발전모듈1은 10%, 풍력발전모듈2는 20%, 태양광발전모듈1은 20%, 화석발전모듈1은 50%).
또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전력생산객체(300)와 체결된 계약에 의해 해당기간의 특정 에너지원의 발전량을 특정 전력소비객체(400)에게 우선 할당하는 방법을 통해 전력의 소비량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력소비객체(401)가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제 1 전력생산객체(301)에게 생산된 전력을 자신에게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기간 이내에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제 1 전력소비객체(401)로 우선 전달된다. 이때, 제 2 전력소비객체(402)는 우선 전달된 해당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공급받게 되므로, 나머지 전력에 기초하여 전력소비량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전력생산객체와 전력소비객체 간의 계약에 따라 전력 배분을 하고 배분된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에는 서로 다르게 되는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전력소비객체(400)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전력망을 물리적으로 끊어버리고, 미리 배당된 전력생산객체(300)와 전력소비객체(400)를 서로 연결하여 전력소비객체(400)로 전력을 배분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편으로, 전력소비객체(400)로 물리적으로는 다수의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개념적(가상적)으로 특정 전력생산객체(300)가 특정소비개체(400)에게 전력을 보냈다고 가정하고 배분된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경우 VPPA(virtual power purchase agreement)라 하며, 실제로 재생에너지와 일반에너지가 섞인 전력공급망에서도 재생에너지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 적용되는 전력 배분방식은 가상적인 전력 공급방식을 우선으로 적용하여, 전력소비객체(400)가 수신하는 전력 비율을 산출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에 언급한 2가지 방법 중 다른 하나 또는 모두가 적용될 수 있고, 그 밖의 방법이 개발되는 경우 새롭게 개발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기간 동안 전력생산객체(300)의 생산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전력소비객체(400)의 전력소비량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력생산객체(300)가 생산한 전력들 중 전력소비객체(400)로 할당하는 비율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력생산객체(300) 각각의 생산량 비율을 산출할 경우, 전력소비객체(400) 각각의 전력 소비량 비율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배분을 가상으로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재생에너지의 관리가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현재 재생에너지의 생산/소비사항 및 비율을 알려주는 서비스(renewable energy as a service)를 더 제공하게 된다. 즉,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400)의 요청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생산량/소비사항 및 그 비율에 대한 정보를 전력소비객체(400)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추가 실시예로, API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생산된 전력의 원산지(이는 전력생산객체(300)의 종류와 대응될 수 있다.)별 소모된 전력의 비율에 대한 데이터를 API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또한, 단계(S3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전에 서버(100)로부터 통계치를 수신하기 위한 사전 인증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할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암호화된 블록체인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S310) 내지 단계(S330)에서 블록체인 망(500) 내의 주체(서버(100), 전력생산객체(300), 전력소비객체(4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는 블록체인 망(500)으로 전달되어 기록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블록체인 망 내의 각 주체들에게 분산저장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에 수행되는 암호화 기법은 다양하게 차용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전력생산객체(300) 또는 전력소비객체(400)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각 주체로 분산저장된다(S410).
이때, 앞서 서술한바와 같이 블록체인 망(500)에는 서버(100), 전력생산객체(300), 전력소비객체(40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3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게 된다.
이때, 블록체인을 암호화 하는 이유는 블록체인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정해진 사용자만이 조회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전력소비객체(400)의 사용자 단말(200)이 소비량 데이터 조회를 요청한다(S420).
이때, 데이터 조회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전력소비객체(400) 이외에도 전력생산객체(300)의 사용자 단말(200)이나 서버(100) 그 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조회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블록체인 망에 참여된 주체별로 자신만의 개인키를 보유하며,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개인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공개키로 블록체인을 암호화하여 주체별로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블록체인 망(500) 내의 주체에 저장된 블록정보를 참조하여 소비량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430).
상기에 서술한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력생산객체(300)가 100Wh의 전력을 생산했다라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전력생산객체(300)는 제 1 블록정보를 제 1 공개키(이는, 전력생산객체(300)의 개인키로 생성된 공개키이다.)로 암호화하여 생성하고, 블록체인 망(500) 내의 각 주체들로 전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100Wh를 소비했다는 데이터를 생산하는 경우, 제 1 블록정보에 이어 제 2 블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되, 제 2 공개키(이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의 개인키로 생성된 공개키이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블록체인 망(500)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력 소비량을 조회하는 경우, 블록체인 망(500)에 참여중인 서버(100)로 조회를 요청하고, 서버(100)는 자신에게 부여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내의 제 2 블록정보를 조회함으로써, 100Wh가 소비됨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200)이 블록체인 망(500)에 참여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제 2 블록정보를 조회함으로써, 100Wh가 소비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통계치는 사용자 단말(200)이 요청한 기간 내의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의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그래프 및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어, 사전에 사용자 단말(200)이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이 전력소비객체(400)에 소속된 단말인 경우, 전체 전력에 대한 소비량 혹은 외부에너지 공급객체로부터 전달받는 전력에 대한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이 전력소비객체(400)가 1달 동안 총 소비하게 되는 전력을 2000kWh로 설정하고, 3주차에 2000kWh의 전력 사용이 완료되면,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410)가 그 이상의 전류공급을 차단하거나, 사용자 단말(200)로 전력을 초과하여 사용하였다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전력생산객체 310: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400: 전력소비객체 410: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

Claims (1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는 단계;
    (b) 각 장치 별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 설정된 주기 별로, 각각의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및 전력 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c)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산출한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이 블록체인 망으로 전달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되고,
    각각의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어느 제 1 시점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상기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1 블록정보로 저장하되, 상기 제 1 시점 이후의 어느 제 2 시점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 생산량 또는 소비량을 상기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2블록정보로서 저장하되, 상기 제 1 블록정보에 덧붙여 저장하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블록체인 망은 상기 서버, 전력생산객체, 전력소비객체,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버의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고,
    상기 블록체인 망에 참여된 주체별로 자신만의 개인키를 보유하여, 상기 개인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공개키로 상기 블록체인을 암호화하여 상기 주체별로 저장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개인키를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별로 구비되어,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생산객체는 상기 전력소비객체의 단말이 관심을 갖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1 전력생산객체, 상기 관심을 갖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2 전력생산객체 및 외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중계하는 방식을 갖는 제 3 전력생산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소비객체는 상기 전력생산객체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전력소비객체 및 다른 전력소비객체가 소모 후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는 제 2 전력소비객체로 구성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산출한 상기 전력의 소비량에 참조하여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한 상기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여 산출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망은 퍼블릭 블록체인망, 컨소시움 블록체인망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통계치는 상기 블록체인 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력소비객체에 소속된 단말, 상기 전력생산객체에 소속된 단말 및 에너지사용감시객체에 소속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소비하거나,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한 전력의 양과 비율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날짜별, 기간별, 상기 전력소비객체 별 또는 상기 전력소비객체 별 전력의 생산 또는 소비량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상기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치는 AP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는 방법은 상기 전력생산객체와 전력소비객체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전력망에 기반하여 구분하는 방법 및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전력소비객체로 전력을 전달했다고 가정하는 VPPA (virtual power purchase agreement)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되,
    상기 VPPA 방법을 우선으로 적용하여 상기 전력의 소비량을 구분하여 산출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
  14.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로부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고, 각 장치 별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기 설정된 주기별로, 각각의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및 전력 소비객체가 생산하거나 소비한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고, 특정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되,
    상기 각 장치의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및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산출한 상기 고유식별자, 전력 생산량 및 전력 소비량이 블록체인 망으로 전달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되고, 각각의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또는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가 어느 제 1 시점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 생산량 또는 전력 소비량을 상기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1 블록정보로 저장하되, 상기 제 1 시점 이후의 어느 제 2 시점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 생산량 또는 소비량을 상기 고유식별자와 함께 제 2블록정보로서 저장하되, 상기 제 1 블록정보에 덧붙여 저장하고, 상기 전력의 통계치를 산출하기 이전에 상기 블록체인 망은 서버, 전력생산객체, 전력소비객체,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버의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고, 상기 블록체인 망에 참여된 주체별로 자신만의 개인키를 보유하여, 상기 개인키를 기반으로 생성된 공개키로 상기 블록체인을 암호화하여 상기 주체별로 저장하고, 상기 통계치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인키를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을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전력 생산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생산객체 별로 구비되어,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 소비량 감지장치는 각각의 전력소비객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소모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전력생산객체는 상기 전력소비객체의 단말이 관심을 갖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1 전력생산객체, 상기 관심을 갖지 않는 전력 생산 방식을 갖는 제 2 전력생산객체 및 외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중계하는 방식을 갖는 제 3 전력생산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소비객체는 상기 전력생산객체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제 1 전력소비객체 및 다른 전력소비객체가 소모 후 남은 잉여전력을 수신하는 제 2 전력소비객체로 구성되는 것인,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의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생산객체 별 전력 소비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00111568A 2020-09-02 2020-09-02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68A KR102445986B1 (ko) 2020-09-02 2020-09-02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CT/KR2021/011333 WO2022050626A1 (ko) 2020-09-02 2021-08-25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68A KR102445986B1 (ko) 2020-09-02 2020-09-02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61A KR20220029961A (ko) 2022-03-10
KR102445986B1 true KR102445986B1 (ko) 2022-09-23
KR102445986B9 KR102445986B9 (ko) 2023-02-23

Family

ID=8049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68A KR102445986B1 (ko) 2020-09-02 2020-09-02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5986B1 (ko)
WO (1) WO20220506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81B1 (ko) * 2018-12-07 2019-06-25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IoT 허브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IoT 플랫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445B1 (ko) * 2015-04-02 2019-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7745B1 (ko) * 2015-09-02 2017-02-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KR101717854B1 (ko) * 2015-09-03 2017-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전력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81B1 (ko) * 2018-12-07 2019-06-25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IoT 허브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IoT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986B9 (ko) 2023-02-23
WO2022050626A1 (ko) 2022-03-10
KR20220029961A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ang et al. Blockchain for cybersecurity in smart grid: A comprehensive survey
CN111259070B (zh) 一种业务数据存储、获取的方法及相关装置
Yapa et al. Survey on blockchain for future smart grids: Technical aspects, applications, integration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Wang et al. AEBIS: AI-enabled blockchain-based electric vehicle integration system for power management in smart grid platform
CN107909358B (zh) 能源的结算方法、装置和系统
US20120059528A1 (en) Server, charging server, power consumption calcula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6719561B2 (ja) 供給媒体(例えば、電力)取引契約システム
Ghosh et al. A privacy-aware design for the vehicle-to-grid framework
US20120310801A1 (en) Power usage calculation system
Yahaya et al. A secure and efficient energy trading model using blockchain for a 5G-deployed smart community
Yagmur et al. Blockchain-based energy applications: The DSO perspective
Di Silvestre et al. An energy blockchain, a use case on tendermint
Muzzammel et al. Advanced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the incorporation of novel security features
KR102548260B1 (ko) 전력감지장치의 데이터 정밀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전력감지장치
KR102445986B1 (ko) 재생에너지 전력량 정보 모니터링 및 에너지 사용비율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95474B1 (ko)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US9429602B2 (en) Partial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power usage amount calculation system, and partial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US20140304168A1 (en) Data managing apparatus, meter apparatus and data managing method
Eldegwi et al. Utilization of Mobile Agents for Building a Secure Decentralized Energy System with Remote Monitoring
Song Blockchain-based power trading process
KR102131495B1 (ko) 전력량 정보 보안 방법
CN113614770A (zh) 能量系统的操作数据
TW202223817A (zh) 電能量測裝置
CN113034011A (zh) 电力资源调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Boccardo et al. Energy footprint framework: A pathway toward smart grid sustain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