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003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003A
KR20220037003A KR1020200118777A KR20200118777A KR20220037003A KR 20220037003 A KR20220037003 A KR 20220037003A KR 1020200118777 A KR1020200118777 A KR 1020200118777A KR 20200118777 A KR20200118777 A KR 20200118777A KR 20220037003 A KR20220037003 A KR 2022003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exposed area
coordinates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현
구자승
김수원
오예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003A/ko
Priority to US17/444,807 priority patent/US11635865B2/en
Priority to CN202111077061.4A priority patent/CN114578995A/zh
Publication of KR2022003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비노출 영역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 및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상기 노출 영역과 상기 비노출 영역의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계 판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상기 비노출 영역과 상기 노출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활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 부재에 의해 산출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에 따라 상기 활성 영역의 표시 범위를 조절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작은 표시 장치를 원하면서도 큰 화면으로 영상을 볼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용이한 휴대성과 큰 화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접히거나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이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더라도, 확장 및 수축에 따라 달라지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과 수납된 영역을 용이하게 구별하고, 노출된 영역에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비노출 영역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 및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상기 노출 영역과 상기 비노출 영역의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계 판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상기 비노출 영역과 상기 노출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활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 부재에 의해 산출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에 따라 상기 활성 영역의 표시 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가 가변할 수 있다.
상기 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비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화상 및 화면은 확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플렉시블 표시 터치 모듈이며,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벤딩 영역과 제2 비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비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경계 판단 부재는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부재는 구동 배선 및 센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싱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판단 부재는 상기 터치 부재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 셀프 커패시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비노출 영역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여, 상기 노출 영역과 상기 비노출 영역의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에 따라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노출 영역에서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비노출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커패시턴스 값을 커패시턴스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상기 커패시턴스의 값이 상기 커패시턴스 임계 값과 동일한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노출 경계의 좌표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각 프레임마다 진행되고,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와 n-1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가 동일한 경우,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프레임 카운트가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과 동일하거나 큰 경우,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측정하는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호 커패시턴스 및 셀프 커패시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가 가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화상 및 화면은 확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플렉시블 표시 터치 모듈이며,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벤딩 영역과 제2 비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 중에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이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더라도, 확장 및 수축에 따라 달라지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과 수납된 영역을 용이하게 구별하고, 노출된 영역에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표시 장치의 노출 영역 및 비노출 영역의 단면도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터치 모듈의 노출 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은 표시 장치(10)의 표시 터치 모듈(300)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제1 방향(DR1)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제2 방향(DR2)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현된 “상부”, “상면”, "상측"은 표시 터치 모듈(3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 "하측"은 표시 터치 모듈(3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후술할 활성 영역(AAR)을 통해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활성 영역(AAR)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하우징(100), 가이드 롤러(200) 및 표시 터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표시 장치(1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수납하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터치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고, 표시 터치 모듈(30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하우징(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내부에는 가이드 롤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00)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벤딩 영역(BA)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롤러(200)는 표시 터치 모듈(300)이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00)는 하우징(1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00)은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sliding)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표시 부재(310) 및 터치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310)는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재(31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30)(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부재(3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특별한 구분을 요하지 않는 이상 실시예에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단순히 표시 패널로 약칭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거된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터치 부재(32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부재(320)는 표시 부재(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20)는 표시 부재(31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 부재(320)는 표시 부재(310)의 박막 봉지층(미도시)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부재(320)는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부재(31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터치 부재(320)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을 감지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부재(320)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에서 커패시턴스의 차이를 센싱함으로써,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부재(310)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활성 영역(AAR)과 비활성 영역(NAR)을 포함한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터치 모듈(300)가 터치 기능을 갖는 경우에 터치 입력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인 터치 영역 또한 활성 영역(AAR)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활성 영역(AAR)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터치 입력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인 터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활성 영역(AAR)이 적용되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활성 영역(AAR)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행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의 형상은 평면도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표시 영역 및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을 둘러쌀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 영역(AAR)의 적어도 일부 영역 외측에는 비활성 영역(N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베젤 영역은 비활성 영역(NAR)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플렉시블(flexible) 표시 터치 모듈일 수 있다. 즉, 표시 터치 모듈(300)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및/또는 롤링(rolling)이 가능한 표시 터치 모듈을 지칭한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벤딩 영역(BA), 제1 비벤딩 영역(NBA1)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표시 터치 모듈(300)의 일 변에 평행한 연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의 폭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에 비해 훨씬 작을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NBA1)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벤딩 영역(BA)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벤딩 영역(NBA1)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벤딩 영역(BA)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벤딩 영역(BA)/비벤딩 영역(NBA1, NBA2)과 활성 영역(AAR)/비활성 영역(NAR)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중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는 활성 영역(AAR)이면서 동시에 제1 비벤딩 영역(NBA1)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위치는 비활성 영역(NAR)이면서 동시에 제1 비벤딩 영역(NBA1)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위치는 활성 영역(AAR)이면서 동시에 폴딩 영역(FDA)일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은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 모두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의 경계에 해당하는 벤딩 영역(BA)에도 활성 영역(AAR)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은 비벤딩 영역(NBA1, NBA2), 벤딩 영역(BA) 등의 경계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 중 어느 한 영역에만 활성 영역(AAR)이 위치할 수 있고,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에는 활성 영역(AAR)이 배치되지만 벤딩 영역(BA)에는 활성 영역(A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표시 터치 모듈(300)의 표시 부재(310) 및 터치 부재(320)는 벤딩 영역(BA)의 폭 방향을 따라 단면상 곡선을 이루도록 휘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표시 터치 모듈(300)이 아웃 벤딩(out-bending, 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다. 아웃 벤딩되는 경우, 표시 터치 모듈(300)의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배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며,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 가려지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된다. 다시 말해서, 아웃 벤딩되는 경우, 표시 터치 모듈(300)은 표시 터치 모듈(300)의 외측을 향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벤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 터치 모듈(300)의 제2 비벤딩 영역(NBA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에서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된 영역을 비노출 영역(CA)으로,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노출 영역(EA)으로 지칭할 수 있다.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사이에는 노출 경계(EB)가 위치할 수 있다. 비노출 영역(CA)은 제2 비벤딩 영역(NBA2)을 포함하고, 노출 영역(EA)은 벤딩 영역(BA)과 제1 비벤딩 영역(NBA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비노출 영역(CA)은 벤딩 영역(BA)의 일부를 더 포함하거나, 벤딩 영역(BA) 및 제1 비벤딩 영역(NBA1)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비노출 영역(CA)과 활성 영역(AAR)/비활성 영역(NAR)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중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는 활성 영역(AAR)이면서 동시에 노출 영역(EA)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위치는 비활성 영역(NAR)이면서 동시에 노출 영역(EA)일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모두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은 노출 영역(EA), 비노출 영역(CA) 등의 경계(노출 경계(EB))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비노출 영역(CA) 및 벤딩 영역(BA)/비벤딩 영역(NBA1, NBA2)은 고정되지 않으며, 표시 터치 모듈(300)의 슬라이딩(sliding)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가 더 참조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10)의 표시 터치 모듈(300)가 슬라이딩(sliding)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이 확장되고, 비노출 영역(CA)이 수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된 표시 터치 모듈(300)을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터치 모듈(300)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표시 터치 모듈(300)의 슬라이딩에 따라, 노출 경계(EB)가 이동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되는 경우, 가이드 롤러(200)가 회전하면서, 표시 터치 모듈(300)의 슬라이딩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벤딩 영역(BA)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1 비벤딩 영역(NBA1)이 확장되고, 제2 비벤딩 영역(NBA2)이 수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BA)이 마치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노출 영역(EA) 및 제1 비벤딩 영역(NBA1)이 확장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제1 방향(DR1) 타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 경우, 노출 영역(EA) 및 제1 비벤딩 영역(NBA1)이 수축되고, 비노출 영역(CA) 및 제2 비벤딩 영역(NBA2)이 확장될 수도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비노출 영역(CA)은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되어 사용자가 시인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터치 모듈(300)의 활성 영역(AAR) 중 노출 영역(EA)을 감지하여,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시 터치 모듈(300)의 슬라이딩에 따라, 확장 및 수축하는 노출 영역(EA)을 감지하기 위해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정확히 감지할 필요가 있다. 노출 경계(EB)의 좌표는 터치 부재(3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터치 모듈(300)은 표시 부재(31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 및 터치 부재(320)를 구동하는 터치 컨트롤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310)는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부재(31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스캔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부재(310)는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부재(310)는 각 화소(PX)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만, 표시 부재(310)는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화소(PX)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hin film transistor), 유지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호스트 프로세서(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 또는 상기 GPU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는 호스트 프로세서(400)로부터 제공된 입력 영상데이터(IDAT) 및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표시 부재(310)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IDAT)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CTRL)는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마스터 클록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 및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 구동 신호(DPS)를 생성하고, 표시 부재(310)에 표시 패널 구동 신호(DPS)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부재(310)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구동 신호(DPS)는 스캔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는 표시 부재(310)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드라이버, 표시 부재(310)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표시 부재(310)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발광 드라이버, 및 상기 스캔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발광 드라이버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부재(320)은 주변의 외부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 펜, 하우징(200, 도 2 참조) 등)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를 센싱하는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부재(320)은 구동 라인(Tx), 및 센싱 라인(Rx)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은 하나씩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은 각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 각각은 다이아몬드 형태의 복수의 연속된 다각형들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컨트롤러(340)가 터치 부재(320)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호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 센싱 방식 및 셀프 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센싱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0)는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들의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상호 커패시턴스 센싱 방식의 터치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컨트롤러(340)는 센싱 라인(Rx)의 셀프 커패시턴스(또는, 센싱 라인(Rx)과 상기 외부 물체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셀프 커패시턴스 센싱 방식의 터치 센싱 동작을 수행하거나, 구동 라인(Tx)의 셀프 커패시턴스(또는 구동 라인(Tx)과 상기 외부 물체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셀프 커패시턴스 센싱 방식의 터치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컨트롤러(340)는 구동 라인(Tx)에 구동 신호(TxP)를 인가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0)는 구동 신호(TxP)가 인가된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 사이의 커패시티브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에 의해 센싱 라인(Rx)에 유도된 센싱 신호(RxP)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컨트롤러(340)는 센싱 신호들(RxP)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TxP)가 인가된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들의 변화를 센싱하거나, 구동 라인(Tx) 및/또는 센싱 라인(Rx)의 셀프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외부 물체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데이터(TD)를 생성하고, 이를 호스트 프로세서(40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은 경계 판단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 판단 부재(350)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을 구분하고, 각각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경계 판단 부재(350)는 노출 경계(EB)의 좌표(또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경계 판단 부재(350)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에서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경계 판단 부재(350)는 노출 경계(EB)의 좌표(또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경계 판단 부재(350)는 감지부(351), 데이터 처리부(352), 비교 연산부(353) 및 메모리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51)는 터치 부재(320)의 전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부재(320)의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에서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6이 더 참조된다.
도 6은 표시 장치의 노출 영역 및 비노출 영역의 단면도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노출 영역(EA) 및 비노출 영역(CA) 각각에서 터치 부재(320)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이 표시 부재(310) 상에 직접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며, 비노출 영역(CA)에서,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노출 영역(EA) 및 비노출 영역(CA)에서,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351)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출 영역(EA)에서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으며, 노출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상호 커패시턴스(Cm_EA)를 포함할 수 있고, 셀프 커패시턴스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비노출 영역(CA)에서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상호 커패시턴스(Cm_CA) 뿐만 아니라,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를 포함할 수 있다.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의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는 구동 배선(Tx)과 하우징(100) 사이 및 센싱 배선(Rx)과 하우징(10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는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이 하우징(100)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이 하우징(100)과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커패시턴스는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출 영역(EA)은 상호 커패시턴스(Cm_EA) 만을 포함하고, 비노출 영역(CA)은 상호 커패시턴스(Cm_CA)와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은 하우징(100)과의 셀프 커패시턴스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셀프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출 영역(EA)의 상호 커패시턴스(Cm_EA)와 비노출 영역(CA)의 상호 커패시턴스(Cm_CA)는 상이할 수 있다.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하우징(100)이 인접하거나 접촉함에 따라, 비노출 영역(CA)의 상호 커패시턴스(Cm_CA)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노출 영역(CA)의 구동 배선(Tx)과 센싱 배선(Rx)은 표시 터치 모듈(300, 도 1 내지 도 4)에 인접하거나 접촉한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의해, 비노출 영역(CA)의 상호 커패시턴스(Cm_CA)은 노출 영역(EA)의 상호 커패시턴스(Cm_EA)와 상이할 수 있다. 즉,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은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상호 커패시턴스(Cm_EA, Cm_CA)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51)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의 센싱 배선(Rx)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의 커패시턴스를 센싱할 수 있다. 도 5에서 감지부(351)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의 센싱 배선(Rx)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배선(Tx)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감지부(531)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의 상호 커패시턴스(Cm_CA, Cm_EA) 및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를 센싱하는 방법은 상술한 터치 컨트롤러(340)가 터치 부재(320)를 구동하는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감지부(531)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의 상호 커패시턴스(Cm_CA, Cm_EA) 및 셀프 커패시턴스(Cs_Tx, Cs_Rx)를 센싱하는 방법은 터치 컨트롤러(340)가 구동 라인(Tx)과 센싱 라인(Rx) 사이의 상호 커패시턴스의 변화 및 셀프 커패시턴스를 센싱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비교 연산부(352)는 감지부(351)로부터 터치 부재(320) 전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비교 연산부(352)는 터치 부재(320) 전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각각을 기 저장된 커패시터 임계 값을 비교한다. 후술하겠으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이 커패시터 임계 값을 넘어가는 부분이 노출 경계(EB)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53)는 비교 연산부(352)로부터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과 커패시터 임계 값을 비교한 커패시터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과 커패시터 임계 값을 비교한 커패시터 정보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5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변환된 커패시터 정보를 경계 산출부(354)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계 산출부(354)는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과 커패시터 임계 값을 비교한 커패시터 정보를 전달받고, 커패시터 정보를 기초로 노출 경계(EB)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할 수 있다. 경계 산출부(354)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경계 정보(BDT)를 호스트 프로세서(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경계 산출부(354)는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경계 정보(BDT)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400)는 경계 정보(BDT)를 전달받고, 경계 신호(BIDT)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계 신호(BIDT)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경계(노출 경계(EB))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계(노출 경계(EB)) 일측의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하라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신호(BIDT)를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는 표시 부재(310)의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의 경계 정보(BDT)를 직접 전송받는 경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가 직접 상기 경계(노출 경계(EB)) 일측의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하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355)는 터치 부재(320) 전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 값과 기 저장된 커패시터 임계 값을 비교한 정보 및/또는 경계 산출부(354)에 의해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또는,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355)는 상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내장 메모리 및 외장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경계 판단 부재(35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 및 터치 컨트롤러(340)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경계 판단 부재(350)는 터치 컨트롤러(34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 컨트롤러(340)는 경계 판단 부재(3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경계 판단 부재(350)의 구성 중 일부는 터치 컨트롤러(340)와 함께 제공되고, 다른 일부는 호스트 프로세서(400)(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경계 판단 부재(350)의 감지부(351), 비교 연산부(352) 및 데이터 처리부(353)는 터치 컨트롤러(340)와 함께 제공되고, 경계 산출부(354)는 호스트 프로세서(400) (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표시 터치 모듈(300)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사이의 노출 경계(EB)를 산출하는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과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미도시)을 설정하며, 터치 부재(320)의 각 영역에서 센싱된 터치 커패시턴스 값을 초기화한다(S100). 이하에서,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턴스는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와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어, 터치 부재(320)의 터치 여부를 판단한다(S200). 터치 부재(320)의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활성 영역(AAR)의 터치 부재(320)에서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를 감지하고,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 값과 비교하여, 감지된 상기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가 상기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이를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활성 영역(AAR)의 터치 부재(320)에서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를 감지하고,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 값보다 큰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를 갖는 영역이 국부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여부를 보다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 값보다 큰 상호 커패시턴스 및/또는 셀프 커패시턴스를 갖는 영역이 터치 부재(320)의 활성 영역(AAR)의 제2 방향(DR2) 및/또는 제1 방향(DR1) 폭의 1/2보다 작거나, 1/10보다 작거나, 1/20보다 작은 경우, 해당 영역에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 부재(320)의 상호 커패시턴스와 셀프 커패시턴스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터치 부재(320)에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시, 터치 부재(320)의 터치 여부를 판단한다(S200). 터치 부재(320)에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산출한다(S3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터치 부재(320)의 전 영역에 걸쳐 터치 커패시턴스를 센싱한다(S310). 다시 말해서, 활성 영역(AAR)의 터치 부재(320)의 전 영역에 걸쳐 상호 커패시턴스 및 셀프 커패시턴스를 감지한다. 이 경우, 터치 부재(320)에 터치 입력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터치 부재(320)는 하우징(100)의 간섭에만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영향을 받은 노출 영역(EA)과 비노출 영역(CA) 각각에서 상이한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와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만을 감지할 수 있다.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와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의 감지는 감지부(35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와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 각각을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산출한다(S320). 도 9를 더 참조하여,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산출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터치 모듈의 노출 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a)는 슬라이드 전 상태의 표시 장치(10)를 도시하고 (b)는 슬라이드 후 상태의 표시 장치(10)를 도시하며, (c)는 터치 부재(320)의 위치별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9에서 (c)의 가로축은 단면도상 표시 터치 모듈(300)의 일측 단부(X)에서 타측 단부(Y)까지의 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 및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센싱 값을 나타낸다.
도 9에서 (c)는 표시 터치 모듈(300)의 일측 단부(X)으로부터 타측 단부(Y)까지 각 지점에서의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 및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센싱 값을 나타낸다. (c)에서 그래프 A는 (a)의 경우에 대한 상기 센싱 값을, 그래프 B는 (b)의 경우에 대한 상기 센싱 값을 나타낸다. 아울러, 그래프(c)는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을 포함한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노출 경계(EB)에서 센싱 값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노출 경계(EB)의 일측에 배치된 영역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큰 센싱 값을 포함하고, 타측에 배치된 영역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작은 센싱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노출 영역(CAa, CAb)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큰 센싱 값을 포함하며, 노출 영역(EAa, EAb)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작은 센싱 값을 포함하고, 노출 경계(EB)는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센싱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값은 노출 경계(EB)의 일측에 배치된 영역(비노출 영역(CAa, CAb))과 타측에 배치된 영역(노출 영역(EAa, EAb))은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에 걸쳐 연속되며, 노출 경계(EB)에서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을 지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비노출 영역(CAa, CAb)이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작은 센싱 값을 포함하고, 노출 영역(EAa, EAb)이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보다 큰 센싱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부재(320)에서, 일측 단부(X)에서 타측 단부(Y)까지 터치 부재(320)를 따라 각 영역에서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 및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센싱하고, 이를 기 저장된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각 영역에서 측정된 센싱 값은 제2 방향(DR2)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은 센싱 대상이 상호 커패시턴스(Cs_Tx, Cs_Rx, 도 6 참조)인 경우와 셀프 커패시턴스(Cm_CA, Cm_EA, 도 6 참조)인 경우에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경계(EAa, EAb)의 좌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b)와 같이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a, EAb)이 확장되고 비노출 영역(CAa, Cab)이 축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전 상태인 (a)의 노출 경계(EBa)는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일측 단부(X)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후 상태인 (b)에 도시된 노출 경계(EBb)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경계(EBa, EBb)의 좌표가 달라지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a, THCb)을 통해, 노출 경계(EBa, EBb)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c)에서 그래프 A의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a)과 그래프 B의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b)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표시 터치 모듈(3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a, THCb)의 좌표(또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커패시턴스 임계 값(THCa, THCb)을 센싱함으로써, 노출 경계(EBa, EBb)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 현재 프레임(frame)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와 이전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각 프레임마다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터치 표시 모듈(300)의 슬라이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산출하는 동작은 각 프레임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컨트롤러(340)은 터치 부재(320)을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경계(EB)의 좌표는 각 프레임마다 산출될 수 있고, 초당 120번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레이트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노출 경계(EB)의 좌표가 산출되는 횟수가 프레임 레이트와 상이할 수도 있다.
현재 프레임을 n번째 프레임으로 지칭할 수 있고, 이 경우, 이전 프레임은 n-1번째 프레임으로 지칭할 수 있다(n은 자연수).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와 n-1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비교한다.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와 n-1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가 상이한 경우, 프레임 카운트를 초기화한다(S331). 프레임 카운트를 초기화하는 경우, 프레임 카운트가 '0'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카운트를 초기화한 후, 다시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턴스를 센싱하는 단계(S310)로 돌아간다.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와 n-1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프레임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332).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 카운트에서 1을 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프레임 카운트를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과 비교한다(S340).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다시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턴스를 센싱하는 단계(S310)로 돌아간다.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산출된 노출 경계(EB)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 중이며, 노출 영역(EA)의 확장 또는 수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이전에 확정된 노출 경계(EB)가 유지되며, 이를 기준으로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현재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확정한다(S350).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산출된 노출 경계(EB)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 중이 아니며, 노출 영역(EA)의 확장 또는 수축이 멈춘 상태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노출 경계(EB)와 상이한 좌표를 갖는 새로운 노출 경계(EB)가 확정될 수 있다.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의 프레임 카운트를 계산하고, 이를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과 비교함으로써, 슬라이딩 중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컨트롤러(340)의 프레임 레이트가 120Hz이고 매 프레임마다 노출 경계(EB)의 좌표가 산출되며, 프레임 카운트의 초기 값이 '0'이며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이 120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과 동일하거나 큰 경우, 노출 경계(EB)가 1초 이상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딩이 중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 레이트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에 따라, 슬라이딩이 중지된 상태로 인식하는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이어, 확정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는 호스트 프로세서(400)로 전송한다(S400).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확정된 노출 경계(EB)의 좌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어, 호스트 프로세서(400)는 노출 경계(EB)의 좌표에 기초하여,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한다(S500). 다시 말해서, 호스트 프로세서(400)는 노출 경계(EB)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30)는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활성 영역(AAR)이 노출 영역(EA), 비노출 영역(CA) 및 노출 경계(EB)에 걸쳐 배치되더라도, 비노출 영역(CA)은 하우징(100)에 의해 커버되어, 사용자가 시인하지 못할 수 있다.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터를 센싱하여, 노출 경계(EB)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함으로써,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는 화면이 표시되고, 활성 영역(AAR)의 비노출 영역(C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시인할 수 있는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만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부재(320)를 통해 노출 영역(EA), 비노출 영역(CA) 및 노출 경계(EB)를 산출하므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고, 표시 장치(10)를 형성하는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공정 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d), (e), (f)는 표시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점차 슬라이딩됨에 따라, 달라지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d'), (e'), (f')는 각각 도 10의 (d), (e), (f)의 표시 터치 모듈(300)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터치 모듈(300)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 가이드 롤러(200, 도 2 및 도 4 참조)는 생략하였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이 확장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은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벤딩 영역(BA)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벤딩 영역(BA)에 걸쳐 화상 및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이 확장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화면이 시인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되어, 노출 영역(EA)이 확장되는 경우,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d), (e), (f) 각각에서 표시 장치(10)는 동일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하나,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d)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보다 (e)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이 더 크고, (e)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이 (f)에서 표시된 화면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이 축소되는 경우,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점차 축소될 수도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g), (h), (i)는 표시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점차 슬라이딩됨에 따라, 달라지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13에서, (g'), (h'), (i')는 각각 도 12의 (g), (h), (i)의 표시 터치 모듈(300)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터치 모듈(300)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1)의 표시 터치 모듈(300)이 표시하는 화면의 동작이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이 확장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이 확장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화면이 시인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되어, 노출 영역(EA)이 확장되는 경우,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점차적으로 보다 많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전체 화상 및 영상의 1/2를 표시하며, (h)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전체 화상 및 영상의 3/4을 표시하고, (i)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전체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터를 센싱하여, 노출 경계(EB)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함으로써, 활성 영역(AAR)의 비노출 영역(C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_1)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확장되는 노출 영역(CA)에서 다양한 화면 구동 방식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표시 터치 모듈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j), (k), (l)는 표시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표시 터치 모듈(300)이 점차 슬라이딩됨에 따라, 달라지는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2)의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벤딩부(B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0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이 확장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이 확장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화면이 시인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되어, 노출 영역(EA)이 확장되는 경우, 활성 영역(AAR)의 노출 영역(EA)에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은 점차 확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j), (k), (l) 각각에서 표시 장치(10_2)는 동일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하나,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j)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보다 (k)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이 더 크고, (k)에서 표시된 화면의 화상 및 영상이 (l)에서 표시된 화면보다 클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의 제1 비벤딩 영역(NBA1)에서 화면이 표시되고, 벤딩 영역(BA)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되더라도, 표시 터치 모듈(300)의 벤딩 영역(BA)의 곡률 및 곡률 반경은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경계(EB)로부터 벤딩 영역(BA)과 제1 비벤딩 영역(NBA1) 사이의 경계까지의 거리(또는 화소의 수)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확정된 노출 경계(EB)의 좌표에 반영하여, 벤딩 영역(B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제1 비벤딩 영역(NBA1)에만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터를 센싱하여, 노출 경계(EB)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함으로써, 활성 영역(AAR)의 비노출 영역(C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_2)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 터치 모듈(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확장되는 노출 영역(CA)에서 다양한 화면 구동 방식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3)의 표시 터치 모듈(300_3)은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3)의 하우징(100_3)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가이드 롤러(200_3)는 제1 가이드 롤러(210)과 제2 가이드 롤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3)의 표시 터치 모듈(300_3)은 제1 벤딩 영역(BA1), 제2 벤딩 영역(BA2), 제1 비벤딩 영역(NBA1), 제2 비벤딩 영역(NBA2) 및 제3 비벤딩 영역(NB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벤딩 영역(NBA1)의 일측에는 제2 비벤딩 영역(NBA2)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3 비벤딩 영역(NBA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은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벤딩 영역(BA2)은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3 비벤딩 영역(NBA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_3)은 노출 영역(EA), 제1 비노출 영역(CA1), 제2 비노출 영역(CA2), 제1 노출 경계(EB1) 및 제2 노출 경계(E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출 경계(EB1)는 노출 영역(EA)과 제1 비노출 영역(CA1)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노출 경계(EB2)는 노출 영역(EA)과 제2 비노출 영역(C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은 제1 비벤딩 영역(NBA1),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노출 영역(CA1)은 제2 비벤딩 영역(NBA2)을 포함하고, 제2 비노출 영역(CA2)은 제3 비벤딩 영역(NBA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터치 모듈(300_3)은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에 의해 노출 영역(EA)이 확장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은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터치 모듈(300_3)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노출 영역(EA)은 제1 방향(DR1) 일측으로 확장되거나. 제1 방향(DR1) 타측으로 확장되거나,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터를 센싱하여, 노출 경계(EB1, EB2)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함으로써, 활성 영역(AAR)의 비노출 영역(C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_3)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 터치 모듈(300_3)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CA)이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4)의 표시 터치 모듈(300_4)은 인 벤딩(in-bending, 또는 인 폴딩(in-folding))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치 모듈(300_4)은 인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비벤딩 영역(NBA1)과 제2 비벤딩 영역(NBA2)은 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며, 표시 터치 모듈(300_4)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 일부 가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터치 모듈(300_4)의 비노출 영역(CA)은 제2 비벤딩 영역(NBA2) 및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벤딩 영역(NBA1)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터치 모듈(300_4)의 노출 영역(EA)은 제1 비벤딩 영역(NBA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터치 모듈(300_4)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노출 영역(EA)은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터치 부재(320)의 터치 커패시터를 센싱하여, 노출 경계(EB)를 산출하고, 이를 확정함으로써, 활성 영역(AAR)의 비노출 영역(CA)에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_4)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 터치 모듈(300_4)이 다양한 방법으로 벤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EA: 노출 영역
220: 제2 터치 도전층 CA: 비노출 영역
100: 하우징 EB: 노출 경계
200: 가이드 롤러
300: 표시 터치 모듈
310: 표시 부재
320: 터치 부재
BA: 벤딩 영역
NBA1, NBA2: 비벤딩 영역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비노출 영역,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영역, 및 상기 비노출 영역과 상기 노출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 및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상기 노출 영역과 상기 비노출 영역의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계 판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경계 판단 부재에 의해 산출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에 따라 상기 활성 영역의 표시 범위를 조절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가 가변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비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화상 및 화면은 확대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플렉시블 표시 터치 모듈이며,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벤딩 영역과 제2 비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비노출 영역의 활성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판단 부재는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계 산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부재는 구동 배선 및 센싱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싱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판단 부재는 상기 터치 부재의 상호 커패시턴스 및 셀프 커패시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표시 장치.
  1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 및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며,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는 비노출 영역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부재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여, 상기 노출 영역과 상기 비노출 영역의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에 따라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커패시턴스의 값을 커패시턴스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커패시턴스 값이 상기 커패시턴스 임계 값과 동일한 경우, 해당 영역의 좌표를 노출 경계의 좌표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각 프레임마다 진행되고,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와 n-1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가 동일한 경우,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프레임 카운트가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카운트가 프레임 카운트 임계 값과 동일하거나 큰 경우, 산출된 노출 경계의 좌표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측정하는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호 커패시턴스 및 셀프 커패시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경계의 좌표가 가변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노출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화상 및 화면은 확대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터치 모듈은 플렉시블 표시 터치 모듈이며,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벤딩 영역과 제2 비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비벤딩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0118777A 2020-09-16 2020-09-1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2003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77A KR20220037003A (ko) 2020-09-16 2020-09-1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7/444,807 US11635865B2 (en) 2020-09-16 2021-08-1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2111077061.4A CN114578995A (zh) 2020-09-16 2021-09-09 显示装置及驱动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777A KR20220037003A (ko) 2020-09-16 2020-09-1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03A true KR20220037003A (ko) 2022-03-24

Family

ID=8062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777A KR20220037003A (ko) 2020-09-16 2020-09-16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5865B2 (ko)
KR (1) KR20220037003A (ko)
CN (1) CN114578995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80B1 (ko) *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400298B1 (ko) 2012-06-14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31825B1 (ko)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95345B2 (en) * 2014-05-30 2018-10-09 Apple Inc. Low power scan for device wake up and unlock
KR102423718B1 (ko) 2015-11-18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5511B1 (ko) 2015-12-10 2022-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36791B1 (ko) 2016-07-29 2023-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78995A (zh) 2022-06-03
US20220083176A1 (en) 2022-03-17
US11635865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46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706621B2 (ja) 表示及び感知データの時分割
US9372584B2 (en) Mitigating electrode interference in an integrated input device
US9448675B2 (en) Input sensing using a gate select line of a display device
KR102008512B1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에지부 좌표 보상 방법
US117685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interference
KR20150042705A (ko) 정보 처리 장치
US111944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ximity sensing for display panel having a variable display frame rate
KR20100036850A (ko) 접촉 감지 센서를 이용한 터치 패널 장치
US9678613B2 (en) Input device and display
US1156759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panel
US1112733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ource driving of pixel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image, and image output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180132499A (ko) 터치 스크린에 구비되는 지문 센싱 어레이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 지문 센싱 어레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동하는 구동 집적 회로.
KR20160095668A (ko) 표시 장치의 영상 보상 방법 및 표시 장치
US10535118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terminal thereof
KR2022003700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55653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416100B2 (en) Display device
US20210181917A1 (en) Touch sens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 touch sensor
KR102674204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69182B1 (ko)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20046748A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을 포함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40071254A (ko)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69902A (ko) 표시 장치
KR20210097877A (ko)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