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808A - 버튼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버튼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808A
KR20220036808A KR1020200119501A KR20200119501A KR20220036808A KR 20220036808 A KR20220036808 A KR 20220036808A KR 1020200119501 A KR1020200119501 A KR 1020200119501A KR 20200119501 A KR20200119501 A KR 20200119501A KR 20220036808 A KR20220036808 A KR 2022003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이용곤
이제준
임재원
민건우
조민수
성주환
채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1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808A/ko
Priority to JP2022549800A priority patent/JP2023515058A/ja
Priority to CN202180017134.2A priority patent/CN115176378A/zh
Priority to EP21869550.0A priority patent/EP4099484A4/en
Priority to PCT/KR2021/010779 priority patent/WO2022059927A1/ko
Priority to US17/908,488 priority patent/US2023034398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 할 수 있어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전지가 분해 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필요시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현저히 담보할 수 있는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하부 캔; 및 하부 캔의 상단 개구를 덮는 상부 캔을 포함하고, 하부 캔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비딩부가 마련되고, 비딩부 위쪽에 위치하는 하부 캔의 상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를 감싸면서 상부 캔과 하부 캔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튼형 이차전지{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 할 수 있어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전지가 분해 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필요시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현저히 담보할 수 있는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화석 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 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지 등의 전력 저장 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전지를 사용하는 전자 모바일 기기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기가 점점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맞추어서 버튼형 이차전지 등의 소형 전지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버튼 모양의 이차전지(10)는 상부, 하부 하우징이 나뉘어 있는 형태로, 그 모양이 상부 원통형 캔(4)과 하부 원통형의 캔(3)이 억지 끼움의 형태 였다. 즉, 하부 원통형 캔(3)의 외경이 상부보다 약간 커서 서로 억지 끼워 맞춤의 형태가 되는 것이었다. 억지로 끼워 맞추는 형태의 경우 그 끼워진 마찰력으로 인해 버튼형 이차전지의 형태가 유지되는 원리이다. 그리고 종래 버튼 모양의 이차전지는 상부 캔(4)과 하부 캔(3)이 내부 전극조립체(1)의 사이즈에 맞게 제작되어 끼움 결합을 하였기에 내부에 따로 여유 공간이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내부 가스 발생 등으로 내부 압력이 커지면 마찰력 말고는 고정하고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상부 캔(4)과 하부 캔(3)의 분리가 될 가능성이 컸다. 내부 압력이 차오르는 경우는 부반응에 의해 차오를 수도 있지만, 일반 사이클 진행 시에도 차오를 수 있는데,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차오르면 상부 캔과 하부 캔이 분리되어 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지 내부 반응으로 인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전지가 필요했으며, 상부 캔과 하부 캔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 제품의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 할 수 있어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전지가 분해 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필요시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현저히 담보할 수 있는 버튼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하부 캔; 및 하부 캔의 상단 개구를 덮는 상부 캔을 포함하고, 하부 캔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비딩부가 마련되고, 비딩부 위쪽에 위치하는 하부 캔의 상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를 감싸면서 상부 캔과 하부 캔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와 하부 캔의 상단부 절곡된 형태 부분 사이에는 절연체가 개재되어 있고, 절연체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일 수 있다.
상부 캔은 평면도 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되 테두리 단부 보다 중앙부가 상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와 중앙부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의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홀 내에는 중심홀이 꽉 차도록 센터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캔과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space)이 마련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상부캔을 연결하는 전극 탭을 더 포함하고, 전극 탭의 일단은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연결되고, 전극 탭의 타단은 상부 캔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캔과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space)이 마련되어 있고, 포집 공간을 가로지르는 형상을 가지는 벤트 몸체부; 및 벤트 몸체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의 하면에 맞닿도록 형성된 벤트 외연부;를 포함하는 벤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트 몸체부는 외각 테두리부에 파인 홈 형상의 파단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공간은, 벤트 몸체부의 상면과 상부 캔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집 공간과, 벤트 몸체부의 하면과 전극조립체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집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벤트 유닛을 연결하는 전극 탭을 더 포함하고, 전극 탭의 일단은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연결되고, 전극 탭의 타단은 벤트 몸체부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탭의 타단과 벤트 몸체부의 하면이 서로 접합된 지점은 파단 노치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단 노치는 하부 캔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발생할 때 파단될 수 있다.
파단 노치가 파단 되면, 벤트 몸체부와 벤트 외연부는 서로 분리되고, 전극조립체와 상부 캔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파단 노치가 파단 되면, 내부 가스는 제2 포집 공간에서 제1 포집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의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홀 내에는 센터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센터핀은 복수의 센터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센터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하부 캔, 및 하부 캔의 상단 개구를 덮는 상부 캔을 포함하고, 하부 캔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비딩부가 마련되고, 비딩부 위쪽에 위치하는 하부 캔의 상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를 감싸면서 상부 캔과 하부 캔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 할 수 있어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전지가 분해 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필요시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현저히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는 전지일 수 있고, 원통 형태 전지의 지름의 길이가 전지의 높이보다 더 큰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50), 하부 캔(110), 및 상부 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150)는 전극(151)과 분리막(152)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전극조립체(150)는 하부 캔(110)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캔(110)은 원통형태에서 상단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전극조립체(150)는 젤리롤형 형태일 수 있다. 전극조립체(150)가 하부 캔(110)에 배치될 때, 전극조립체(150)의 권취 축이 지면에 수직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캔(130)은 플레이트 형태이거나 단차진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캔(130)은 하부 캔(110)의 상단 개구를 덮는 형태일 수 있다.
하부 캔(11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비딩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비딩부(111)는 하부 캔(110)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딩부(111)는 단면이 90도로 각진 형태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면과 달리 곡면의 형태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비딩부(111) 위쪽에 위치하는 하부 캔의 상단부(112)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132)를 감싸면서 상부 캔(130)과 하부 캔(110)이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132)와 하부 캔의 상단부(112) 절곡된 형태 부분 사이에는 절연체(170)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캔의 상단부(112)는 벤딩 또는 절곡된 형태로 굽어 있을 수 있다. 절곡된 형태 내부로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132)가 삽입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하부 캔의 상단부(112)는 압입의 방식으로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132)와 절연체(170)를 함께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압력을 가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상부 캔(130)이 쉽게 하부 캔(1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전지 밖으로 누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체(170)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일 수 있다. PBT 재질의 경우 기계적 물성이 좋으며, 특히 강성이 높아서 기밀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상부 캔(130)은 평면도 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되, 도 2에서 도시 되듯이 단면도 상으로는 테두리 단부(132) 보다 중앙부(131)가 상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132)와 중앙부(131)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부 캔(130)과 전극조립체(150) 사이에는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120)(space)이 마련될 수 있다. 전지 내에 포집 공간(120)이 마련되어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 할 수 있으며,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전지가 분해 되거나(즉, 본 발명은 가스 압력에 의해 전지가 쉽게 분해되지 않음)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지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150)의 중심부에는 중심홀(15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중심홀(153) 내에는 중심홀(153)이 꽉 차도록 센터핀(19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센터핀(190)이 중심홀(153)을 꽉 채우도록 형성될 경우 전극조립체(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 반응이 진행되다 보면 발생하는 내부 열과 내부 가스 등에 의하여 특히 지지력이 약한 전극조립체(150)의 코어부가 변형될 수 있는데, 이렇게 코어부가 변형되면 양극과 음극을 분리해주는 분리막(152)이 변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만나는 등의 쇼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중심홀(153)이 꽉 차도록 센터핀(19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쇼트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전극조립체(150)의 전극(151)과 상부캔을 연결하는 전극 탭(15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전극 탭(154)의 일단은 전극조립체(150)의 전극(151)에 연결되고, 전극 탭(154)의 타단은 상부 캔(130)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 되듯이 전극 탭(154)이 상부 캔(130)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면 낙하 등의 충격에서 일부 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낙하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전극 탭(154)이 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필요시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과도한 내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벤트 유닛(26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실시예 1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는 벤트 유닛(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트 유닛(260)은 벤트 몸체부(261)와 벤트 외연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실시예 2에서도, 상부 캔(230)과 전극조립체(250) 사이에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220)(space)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2에서 벤트 몸체부(261)는 이 포집 공간(220)을 가로지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벤트 유닛(260)은 포집 공간(220)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벤트 외연부(263)는 벤트 몸체부(26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232)의 하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에서 포집 공간(220)은, 벤트 몸체부(261)의 상면과 상부 캔(23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집 공간(221)과, 벤트 몸체부(261)의 하면과 전극조립체(25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집 공간(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벤트 몸체부(261)는 외각 테두리부에 파인 홈 형상의 파단 노치(262)를 포함할 수 있다. 파단 노치(262)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도록 파여진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모양은 삼각 형태일 수도 있고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반원의 형태일 수도 있다. 최초에는 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제2 포집 공간(222)을 채우게 되는데, 내압이 점점 증가하게 되면 압력을 견지지 못하고 벤트 몸체부(261)에 형성되어 있는 파단 노치(262)가 파단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내부 가스는 제2 포집 공간(222)에서 제1 포집 공간(221)으로 이동하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는 전극조립체(250)의 전극(251)과 벤트 유닛(260)을 연결하는 전극 탭(2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탭(254)의 일단은 전극조립체(250)의 전극(251)에 연결되고, 전극 탭(254)의 타단은 벤트 몸체부(261)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전극 탭(254)의 타단이 상부 캔(230)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었지만, 실시에 2에서는 전극 탭(254)의 타단이 상부 캔(230)이 아닌 벤트 유닛(260)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특히 실시예 1과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 되듯이 전극 탭(254)이 벤트 몸체부(261)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면 낙하 등의 충격에서 일부 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낙하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전극 탭(254)이 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극 탭(254)의 타단과 벤트 몸체부(261)의 하면이 서로 접합된 지점은 파단 노치(26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단 노치(262)는 하부 캔(210)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발생할 때 파단 될 수 있다. 파단 노치(262)가 파단 되면, 벤트 몸체부(261)와 벤트 외연부(263)는 서로 분리되고, 전극조립체(250)와 상부 캔(230)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에서 내부 가스 발생 후 작동의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전지 부반응 등에 의하여 내부 가스가 발생하면 가스는 가벼운 기체이므로 상승하여 제2 포집 공간(222)을 채울 수 있다. 이후 제2 포집 공간(222)이 다 차서 전지 내부 압력이 점점 더 높아지게 되면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벤트 유닛(260)의 벤트 몸체부(261)에 형성되어 있는 파단 노치(262)가 파단되게 된다.
파단 노치(262)가 파단되면 벤트 몸체부(261)와 벤트 외연부(263)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가스 압력은 벤트 몸체부(261)를 상측으로 가압 방출시키는데, 가스 압력의 반작용 및 중력이 작용하게 되면 벤트 몸체부(261)는 다시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벤트 몸체부(261)와 벤트 외연부(263)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게 될 수 있다.
벤트 몸체부(261)는 통상의 작동 시에는 굴곡지거나 만입된 부분이 없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벤트 몸체부(261)의 외주 지름과 벤트 외연부(263)의 내주 지름은 동일한 지름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내압에 의하여 벤트 유닛(260)의 파단 노치(262)가 파단되는 경우는 벤트 몸체부(261)가 만입되거나 돌출된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최소한 벤트 몸체부(261)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벤트 몸체부(261)의 외주 지름 크기가 벤트 외연부(263)의 내주 지름보다 작아지게 되어(정사영의 지름을 비교하는 것을 의미), 벤트 몸체부(261)가 벤트 외연부(263)의 내주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벤트 몸체부(261)와 벤트 외연부(263)는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본원발명에서 외부 단자 역할을 하는 상부 캔(230)이 벤트 외연부(263)에만 직접 연결되어 있고 벤트 몸체부(261)에는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전극 탭(254)과 벤트 몸체부(261)가 서로 접합된 지점이 파단 노치(262)의 내측에 위치(평면도 상에서 파단 노치가 만드는 원의 내부)되어 있기 때문에, 벤트 몸체부(261)가 벤트 외연부(263)와 완전히 분리되게 되면 전극조립체(250)와 상부 캔(23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 흐름이 차단되면, 전지에 의한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과전류나 내부 고압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지의 안전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한편, 파단 노치(262)가 파단 되면, 내부 가스는 제2 포집 공간(222)에서 제1 포집 공간(221)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벤트 유닛(260)과 상부 캔(230) 사이의 공간인 제1 포집 공간(221)은 추가 공간으로서, 과한 압력으로 벤트 유닛(260)의 파단 및 전류 차단 일어났을 때, 추가 가스 포집을 위한 여유 공간으로 전지 밖으로 가스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상부 캔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에 가스가 상부 캔을 뚫고 밖으로 나갈 수는 없다). 웨어러블(wearable)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특성 상 가스가 전지 밖으로 나가면 인체에 유해한 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과한 가스로 인해 전류 차단은 되나 가스는 전지 외부로 나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에서, 전극조립체(250)의 중심부에는 중심홀(253)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홀(253) 내에는 센터핀(29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 2의 센터핀(290)은 실시예 1과 달리, 복수의 센터핀 내부 공간(291)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센터핀(290)일 수 있다. 센터핀에 형성된 센터핀 내부 공간(29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열을 지으며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의 센터핀(290)을 사용하게 되면 전해액의 주액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전지 내부에 포함되는 전해액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전지의 용량과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데, 다공성 센터핀(290)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전해액을 주액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다공성 센터핀(290)이라고 하더라도, 센터핀(290)이 중심홀(253)을 꽉 채우도록 형성되어 외부 기계적인 압력으로부터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즉, 실시예 2에서도 중심홀(253)이 가득차도록 형성된 센터핀(290)이 삽입됨에 따라 전극조립체(2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버튼형 이차전지
110: 하부 캔
111: 비딩부
112: 하부 캔의 상단부
120: 포집 공간
130: 상부 캔
131: 중앙부
132: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
150: 전극조립체
151: 전극
152: 분리막
153: 중심홀
154: 전극 탭
170: 절연체
190: 센터핀
200: 버튼형 이차전지
210: 하부 캔
211: 비딩부
212: 하부 캔의 상단부
220: 포집 공간
221: 제1 포집 공간
222: 제2 포집 공간
230: 상부 캔
231: 중앙부
232: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
250: 전극조립체
251: 전극
252: 분리막
253: 중심홀
254: 전극 탭
260: 벤트 유닛
261: 벤트 몸체부
262: 파단 노치
263: 벤트 외연부
270: 절연체
290: 센터핀
291: 센터핀 내부 공간

Claims (15)

  1.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하부 캔; 및
    상기 하부 캔의 상단 개구를 덮는 상부 캔을 포함하고,
    하부 캔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비딩부가 마련되고,
    상기 비딩부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캔의 상단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캔과 상기 하부 캔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버튼형 이차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와 상기 하부 캔의 상단부 절곡된 형태 부분 사이에는 절연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절연체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캔은 평면도 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되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 보다 중앙부가 상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와 상기 중앙부는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홀 내에는 상기 중심홀이 꽉 차도록 센터핀이 구비되어 있는 버튼형 이차전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캔과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space)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상기 상부캔을 연결하는 전극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탭의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 탭의 타단은 상기 상부 캔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캔과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내부 가스가 포집될 수 있는 포집 공간(space)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포집 공간을 가로지르는 형상을 가지는 벤트 몸체부; 및 상기 벤트 몸체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캔의 테두리 단부의 하면에 맞닿도록 형성된 벤트 외연부;를 포함하는 벤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벤트 몸체부는 외각 테두리부에 파인 홈 형상의 파단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포집 공간은,
    상기 벤트 몸체부의 상면과 상기 상부 캔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집 공간과,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면과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집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과 상기 벤트 유닛을 연결하는 전극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탭의 일단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 탭의 타단은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면에 C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의 타단과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면이 서로 접합된 지점은 상기 파단 노치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단 노치는 하부 캔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발생할 때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단 노치가 파단 되면, 상기 벤트 몸체부와 상기 벤트 외연부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상부 캔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단 노치가 파단 되면, 상기 내부 가스는 상기 제2 포집 공간에서 상기 제1 포집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중심부에는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홀 내에는 센터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핀은 복수의 센터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센터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KR1020200119501A 2020-09-16 2020-09-16 버튼형 이차전지 KR20220036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01A KR20220036808A (ko) 2020-09-16 2020-09-16 버튼형 이차전지
JP2022549800A JP2023515058A (ja) 2020-09-16 2021-08-13 ボタン型二次電池
CN202180017134.2A CN115176378A (zh) 2020-09-16 2021-08-13 纽扣型二次电池
EP21869550.0A EP4099484A4 (en) 2020-09-16 2021-08-13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PCT/KR2021/010779 WO2022059927A1 (ko) 2020-09-16 2021-08-13 버튼형 이차전지
US17/908,488 US20230343988A1 (en) 2020-09-16 2021-08-13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01A KR20220036808A (ko) 2020-09-16 2020-09-16 버튼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08A true KR20220036808A (ko) 2022-03-23

Family

ID=8077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501A KR20220036808A (ko) 2020-09-16 2020-09-16 버튼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3988A1 (ko)
EP (1) EP4099484A4 (ko)
JP (1) JP2023515058A (ko)
KR (1) KR20220036808A (ko)
CN (1) CN115176378A (ko)
WO (1) WO20220599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737A (ja) * 1997-04-22 1998-11-13 Fuji Film Selltec Kk 電池用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
US6183902B1 (en) * 1998-06-05 2001-02-0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eaded electrode cup for a miniature galvanic cell
US20100047666A1 (en) * 2008-08-25 2010-02-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Shaped Catalytic Electrode Casing
EP2394324B1 (de) * 2009-02-09 2015-06-10 VARTA Microbattery GmbH Knopfzell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EP2827398B1 (de) * 2013-07-17 2016-02-24 VARTA Microbattery GmbH Metall-Luft-Knopfzell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803528B1 (ko) * 2014-12-26 2017-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화학 소자
KR102459618B1 (ko) * 2015-09-23 2022-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565019B1 (ko) * 2018-06-04 2023-08-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가 구비된 원통형 이차전지
CN210245625U (zh) * 2019-05-28 2020-04-03 深圳金山电池有限公司 纽扣电池封装结构
CN111883716A (zh) * 2020-08-31 2020-11-03 宁波市万恒电池配件有限公司 一种微型扣式电池密封与防爆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9927A1 (ko) 2022-03-24
JP2023515058A (ja) 2023-04-12
US20230343988A1 (en) 2023-10-26
EP4099484A4 (en) 2023-09-20
CN115176378A (zh) 2022-10-11
EP4099484A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5624B (zh) 具有改善的安全性的端帽组件和采用此组件的圆柱形二次电池
KR100399783B1 (ko) 이차 전지와 그 제조방법
KR20130074236A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KR101264425B1 (ko) 캡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10741821B2 (en) Secondary battery
CN109716555B (zh) 可再充电电池
KR101775545B1 (ko) 단락 돌기를 갖는 이차 전지
CN113826257A (zh) 圆柱形电池及其制造方法
KR20080099449A (ko) 이차 전지
KR20220036808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010054738A (ko) 밀폐전지
KR20160015778A (ko)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
KR101264461B1 (ko) 캡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캡조립체 조립방법
KR20220037339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220139619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8791A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EP4175034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100824899B1 (ko) 이차전지
US20230268593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KR20220043784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130090097A (ko) 이차 전지
KR20220037343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20230050177A (ko) 버튼형 이차전지
KR101222244B1 (ko) 이차전지
KR20220036853A (ko) 버튼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