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757A -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757A
KR20220036757A KR1020200119320A KR20200119320A KR20220036757A KR 20220036757 A KR20220036757 A KR 20220036757A KR 1020200119320 A KR1020200119320 A KR 1020200119320A KR 20200119320 A KR20200119320 A KR 20200119320A KR 20220036757 A KR20220036757 A KR 2022003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d
category
channel
basic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919B1 (ko
Inventor
김명섭
김은지
이재명
최유성
최희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알파
Priority to KR102020011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9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관합니다. 마치 TV 채널 안에 또 다른 채널들이 있는 듯한, 혹은 샵 안에 또 다른 샵이 있는 듯한 체험을 시청자에게 줍니다. 시청자는 채널을 바꾸지는 않은 상태로 그런 체험을 합니다.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기본 채널의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합니다. 그다음, 사용자 리모컨이 TV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M(M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카테고리 식별자가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을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합니다.

Description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THE STREAMING METHOD FOR VOD CONTENTS CATEGORIZED AT DATA AREA ON SCREEN OF ONE DATA BROADCASTING CHANNEL}
본 발명은 티커머스에 관하며 특히 TV 채널에서 VOD 영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홈쇼핑 서비스에 관한다.
데이터 방송으로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티커머스(T-Commerce)는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콘텐츠에 기반하지는 않는다. 흔히 말하는 TV 홈쇼핑 방송은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임에 비해, 데이터 방송 홈쇼핑은 VOD 콘텐츠를 제공한다. GS 홈쇼핑, CJ 홈쇼핑 등의 TV 홈쇼핑은 실시간으로 방송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현장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K쇼핑과 같은 데이터 방송 홈쇼핑은 미리 제작된 비디오 콘텐츠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어서 시청자에게는 다소 현장감을 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데이터방송 기술이 발전하고, VOD 기반으로 제공되는 티커머스에 시청자들이 더욱 적응하면서 생방송 홈쇼핑과 VOD 방송 홈쇼핑 사이의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오히려 생방송으로 제공되는 TV 홈쇼핑은 한 번에 하나의 상품밖에 판매할 수 없다는 한계가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다.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1475449호를 통해 셋톱박스 ID 기반 티커머스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안하면서 티커머스 기술 분야를 앞서나갔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TV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원하는 상품을 리모콘으로 선택할 때, 해당 상품의 VOD 영상이 재생되는 방식이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651371호를 통해서 화면을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서 복수의 VOD 방송을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상적인 기술이기는 해도 실제로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시청자들이 한 번에 여러 개의 VOD를 TV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상품을 판매하려는 업체에서도 TV 화면을 독점해서 자기 상품이 판매되기를 원하지,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시청자의 집중이 방해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브레인 스토밍도 토론도 하고 오랫동안 연구하고 개발하면서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아주 혁신적인 방식의 티커머스 서비스를 선보인다. 본 발명은 한 개의 TV 채널을 통해 마치 TV 안의 TV를 시청하는 듯한 체험을 구현해 낼 수는 없을까?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편의상 <기본 채널>이라고 칭한다)에서 여러 개의 VOD 방송 '채널'이 임베디드되어 '편성'된 '것처럼' 구현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여러 개의 VOD 방송을 선택적으로 현장감 있게 시청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 채널의 시청자에게 카테고리별로 24시간 스트리밍되는 VOD 편성표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즐겨찾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셋톱박스 아이디 별로 개인화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국면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TV 기본 채널의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고,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TV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M(M은 1이상인 정수)개의 카테고리 식별자가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각각 복수 개의 카테고리 VOD 영상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카테고리 VOD 영상들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24시간 연속으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해 사용자 리모컨이 미리 즐겨찾기를 설정한 후,
상기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다시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r)에서는 즐겨찾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TV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는 TV 기본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 표시되는 M(M은 1이상인 정수)개의 카테고리 식별자마다 복수 개의 VOD 영상을 미리 등록하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VOD 영상들을 연속하여 스트리밍을 하며,
셋톱박스 아이디가 상기 TV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상기 TV 기본 채널의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고,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TV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스트리밍되고 있는 카테고리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국면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티커머스 관리자 서버는 복수의 카테고리 샵을 분류한 다음 각 카테고리 샵마다 복수의 상품 VOD 영상을 등록하고, 또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품 VOD 영상이 연속하여 스트리밍되도록 설정하고,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 외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카테고리 샵 식별자가 표시되도록 하며,
셋톱박스 아이디가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되,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특정 카테고리 샵 식별자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스트리밍되고 있는 상품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샵에 대해 사용자 리모컨이 미리 즐겨찾기를 설정한 후,
상기 셋톱박스 아이디가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서 다시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r)에서는 즐겨찾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상품 VOD 영상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국면은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으로서:
셋톱박스 아이디가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 외의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카테고리 샵 식별자를 선택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선택되거나 변경된 카테고리 샵에 포함되는 상품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하되, 상품 VOD 영상을 처음부터 스트리밍하는 것이 아니라, 카테고리 샵이 변경된 시점(Tc)에서 스트리밍되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상기 상품 VOD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상품 카테고리 별 영상을 24시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편성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두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듯한 생동감 있고 현장감 있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기본 채널이라는 하나의 TV 채널에 다수개의 채널이 데이터 영역에 있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어서, 채널을 바꾸지 않고서도 여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는 체험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서버에서 카테고리를 추가, 삭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채널 안의 채널이 새롭게 생기고, 사라지고, 수정되는 전에 없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에게 카테고리별로 24시간 스트리밍되는 VOD 편성표가 제공되는데, 시청자가 특정 카테고리에 대해 즐겨찾기를 선택함으로써 셋톱박스 아이디 별로 개인화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기본 채널의 메인 화면(2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더 많은 상품보기 버튼(240)을 사용자가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미니 편성표(245)의 구성 예를 나타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 카테고리 별로 VOD 영상이 어떻게 구성되고 재생되는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VOD 영상의 스트리밍 특성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는 TV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쉽게 이해하자면, '예컨대' 올레TVTM에서는 2번으로 할당된 출원인의 K쇼핑 채널을 뜻한다. 즉 2번 채널이 본 발명의 기본 채널이 되겠고, 본 발명을 통해 제공되는 VOD 영상은 이러한 기본 채널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내믹하게 제공될 것이다. 하지만 채널 번호와 그 채널 번호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서버 장비로 영상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구성된다. 방송장비를 포함해서, VOD를 네트워크를 통해 TV(10) 화면으로 스트리밍하는 서버, ARS 서버, 과금처리를 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 등 복수의 서버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의 구성과 기능은 다양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VOD 영상들을 기본 채널을 통해 어떻게 TV(10)로 제공되고 데이터 방송 UI를 통해서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편의상 여러 개의 채널이 포함된 방송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라거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되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는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그것들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는 카테고리 VOD 매니저(110) 및 카테고리 편성표(120)를 이용하여 VOD 영상들을 관리하며 기본 채널에서 전송하고,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를 처리한다.
카테고리 VOD 매니저(110)는 TV 화면의 데이터 영역(도 2에서 다시 설명한다)을 통해 표시되는 카테고리와 그 카테고리에 소속된 VOD 영상의 연속 재생을 스케줄링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M(M은 1이상인 정수)개의 카테고리가 미리 등록되어 있으며, 각 카테고리마다 복수 개의 카테고리 VOD 영상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카테고리 VOD 영상마다 그것이 소속되는 카테고리가 식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테고리 VOD 영상들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트리밍된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기본 채널 안의 포함된 또 다른 멀티 채널로 이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TV 채널 번호를 변경하지 않고도, 같은 번호 안에서, 여러 채널을 돌려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매력 포인트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현명하고 현저한 효과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카테고리 편성표(120)는 각 카테고리마다 어떤 순서로 VOD 영상들이 스트리밍되는지를 설정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즉, 본 발명의 카테고리 VOD 영상들은 이 카테고리 편성표(120)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 스트리밍되는 것이다. 이 카테고리 편성표(120)는 사용자의 TV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해서 카테고리 편성표(120)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해서 즐겨찾기, 열람하기, 시청 예약하기 등의 이벤트를 할 수 있다.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50, 160, 17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셋톱박스 아이디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60)은기본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VOD 영상들을 보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로그 기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주문 결제에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V(10)와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 사이는 직접 통신하지 않는다. TV(10)에 내장되어 있거나 혹은 외장으로 설치되는 셋톱박스(20)와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가 통신한다.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기본 채널을 선택하면, 셋톱박스(20)와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가 통신하게 되는데, 그때 셋톱박스(20)를 특정하는 셋톱박스 아이디는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100)에 전달된다. 서버 관점에서 보자면, 시청자가 기본 채널을 선택했다는 것은, 결국 셋톱박스 아이디가 기본 채널에 진입했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데이터 방송에서 있어서 TV(10)는 셋톱박스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사용자는 리모컨(1)을 이용해서 기본 채널을 변경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 카테고리를 변경하거나 VOD 영상을 선택하거나 주문, 검색, 정보열람 등의 이벤트를 서버로 보낼 수 있다. 리모컨(1)는 특히 상하좌우 방향의 조작 키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방향 키를 이용해서 일련의 선택 이벤트를 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기본 채널의 메인 화면(2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화면(200)는 VOD 영상 재생 영역(210)과 데이터 영역(220)을 포함한다. VOD 영상 재생 영역(210)을 통해 VOD 영상이 재생된다. 데이터 영역(220)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식별자(230, 231)가 표시된다. 편의상, 1, 2, 3, A, B, C, D 등으로 카테고리 식별자(230)을 표시했지만, 실제로는 카테고리의 명칭이 표시될 것이다. 예컨대 '베스트 상품', '오늘의 패션', '행복한 주방대전', '추석선물맛집' 등의 명칭이 되겠다. 도면에서는, 현재, 'K 쇼핑'의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210)에서 재생되고 있다.
메인 화면(200)에는 그 밖의 화면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RS 전화 상담을 하는 전화번호 표시부(250), 주문 버튼(260)(여기에서 OK(261)는 리모컨에서 OK 버튼을 누르라는 가이드이다), 더 많은 상품보기 버튼(240)이 예시될 수 있다.
더 많은 상품보기 버튼(240)은 본 발명에서 특별한 기능을 발휘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자. 시청자가 기본 채널의 VOD 영상을 보면서, 어떤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그때 도 2의 더 많은 상품보기 버튼(240)을 누르면,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미니 카테고리 편성표(245)가 VOD 영상 재생 영역(210)위를 향해 나타난다. 사용자는 리모컨 조작버튼을 상, 하로 움직여서 원하는 VO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품 XXX"를 선택하면 이전에 편성되었던 "상품 XXX"에 대한 VOD 영상을 바로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카테고리 1(161)이 있다. 예컨대 <추석선물세트>라는 카테고리를 생각해 보자. 이 카테고리 1에는 복수의 VOD 영상들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 VOD 영상들은 <추석선물세트>라는 카테고리의 상품에 관한 VOD 영상일 것이다. 이들 VOD 영상들의 재생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어떻게 설정되는가? 카테고리 1 편성표(121)에 따라 설정된다. 즉, 카테고리 1 편성표(121)에 따라, 카테고리 1에 등록된 복수의 VOD 영상들이 연속으로 스트리밍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테고리 1 편성표(121)에 따라 24시간 반복 스트리밍된다. 사용자의 접속과는 무관하게 스트리밍된다. 어떤 VOD 영상이 11:00에 스트리밍되기 시작했는데, 어떤 사용자가 11:19분에 해당 카테고리 1(161)을 선택했다면 11:00의 시점부터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택 시각인, 재생한 지 19분이 지난 11:19분 지점에서 VOD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다.
카테고리 2(162)이 있다. 예컨대 <즉석/간편식품>이라는 카테고리를 생각해 보자. 이 카테고리 2에는 복수의 VOD 영상들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 VOD 영상들은 <즉석/간편식품>이라는 카테고리의 상품에 관한 VOD 영상일 것이다. 이들 VOD 영상들의 재생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어떻게 설정되는가? 카테고리 2 편성표(122)에 따라 설정된다. 즉, 카테고리 2 편성표(122)에 따라, 카테고리 2에 등록된 복수의 VOD 영상들이 연속으로 스트리밍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테고리 2 편성표(122)에 따라 24시간 반복 스트리밍된다. 사용자의 접속과는 무관하게 스트리밍된다. 어떤 VOD 영상이 19:30에 스트리밍되기 시작했는데, 어떤 사용자가 19:45분에 해당 카테고리 2(162)를 선택했다면 19:30의 시점부터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택 시각인, 재생한 지 15분이 지난 19:45분 지점에서 VOD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다.
카테고리 M(163)이 있다. 예컨대 <욕실의 품격>이라는 카테고리를 생각해 보자. 이 카테고리 M에는 복수의 VOD 영상들이 등록되어 있다. 이들 VOD 영상들은 <욕실의 품격>이라는 카테고리의 상품에 관한 VOD 영상일 것이다. 이들 VOD 영상들의 재생 순서가 설정될 수 있다. 어떻게 설정되는가? 마찬가지로 카테고리 M편성표(123)에 따라 설정된다. 즉, 카테고리 M 편성표(123)에 따라, 카테고리 M에 등록된 복수의 VOD 영상들이 연속으로 스트리밍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테고리 M 편성표(123)에 따라 24시간 반복 스트리밍된다. 사용자의 접속과는 무관하게 스트리밍된다. 어떤 VOD 영상이 60분의 러닝 타임으로 13:45에 스트리밍되기 시작했는데, 어떤 사용자가 14:40분에 해당 VOD 영상을 선택했다면 13:45의 시점부터 처음부터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택 시각인, 앞으로 5분 후면 끝나는 시점인 14:40분 지점에서 VOD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다.
카테고리 및/또는 카테고리에 소속된 VOD 영상들의 언제든지 새로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름도 변경될 수 있으며, VOD 영상도 새로 추가되거나 삭제 또는 교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카테고리 VOD 영상의 스트리밍 특성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5(a)는 일반적인 VOD 영상의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VOD#1 영상이 TV 화면을 통해 재생된다(S1). 이때 사용자가 VOD#2 영상을 선택한다(S2). 선택 이벤트가 일어난 시각(T0)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선택 이벤트 시각(T0)은 기술적으로 그다지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다음 단계에서 VOD#1 영상을 중지하고 VOD#2 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기 때문이다(S3).
반면 본 발명의 방식은 다르다. 도 5(b)와 같다. 먼저 VOD#1 영상이 TV 화면을 통해 재생된다(S10). 이때 VOD#2 영상도 스트리밍 중이다. 다만 사용자의 TV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VOD#2 영상을 선택한다(S20). 이때에도 선택 이벤트가 일어난 시각(T0)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선택 이벤트 시각(T0)은 기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다음 단계에서 VOD#1 영상을 중지하고 VOD#2 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T0 시점부터 재생하기 때문이다(S30).
도 6은 본 발명의 이러한 원리를 더 자세히 나타내준다.
셋톱박스 아이디가 본 발명의 기본 채널에 진입한다. 그때 진입 시점(Te)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기본 채널을 통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된다. 예컨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입 시점(Te)의 편성표에 따른 기본 VOD 영상(190)이 TV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것이다. TV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는 카테고리 1, 카테고리 2, 카테고리 3, 카테고리 M에 대해서 각각의 VOD 영상들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각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스트리밍 중이다. 바람직하게는 24시간 편성하여 연속으로 스트리밍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TV 화면의 데이터 영역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1의 VOD 영상을 선택한다고 가정하자. 그때의 선택 시점(Ts)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스트리밍 중이었던 카테고리 VOD 영상(191)을 사용자의 TV 화면에 스트리밍한다.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VOD 영상(192, 193, 194)도 마찬가지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 채널에서 구현 가능한 프로세스이다.
먼저 사용자가 기본 채널에 진입한다(S100). 이는 서버 관점에서 본다면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진입한다는 의미이다.
그다음 기본 채널이 유지된 상태에서(즉, 사용자가 다른 채널로 TV 화면을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후속하는 각 단계들이 실행되도록 한다(S200).
우선 기본 채널 기본 채널에 진입한 진입 시점(Te)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기본 채널의 기본 VOD 영상을 TV 메인화면의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한다(S210).
다음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해서 TV 메인 화면의 데이터 영역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220).
그러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기본 VOD 영상의 재생을 선택된 카테고리의 미리 등록된 카테고리 VOD 영상을 스트리밍한다(S230).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카테고리 VOD 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서버 측에서 스트리밍되고 있는 그 카테고리 VOD 영상을 그 선택 시점(Ts)부터 재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시청자는 TV 채널을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여러 채널의 TV를 보는 듯한 사용자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해서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있다(S240). 그러면 그 변경 시점(Tc)에서 변경된 카테고리의 미리 등록된 카테고리 VOD 영상을 스트리밍한다(S250). 마찬가지로 이 카테고리 VOD 영상은 서버 측에서 이미 스트리밍되고 있었으므로 처음부터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변경 시점(Tc)부터 재생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방송에서는 TV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그 TV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카테고리의 목록과 각 카테고리에 대한 카테고리 편성표를 열람할 수 있다. 그러면서 리모컨을 이용해서 카테고리를 즐겨찾기하거나 또는 카테고리 VOD 영상에 대한 시청예약을 할 수 있다. 그러면 그 즐겨찾기를 설정한 후에, 다시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r)에서는 메인화면에서 우선적으로 즐겨찾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이 스트리밍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셋톱박스 아이디에 따른 개인화 영상 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관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방송으로 구현되는 티커머스 서비스에 관련된다. 이러한 TV 홈쇼핑방송을 제공하는 이러한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서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샵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이 적용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카테고리 VOD 영상의 재생은 그 카테고리에 진입한 시점부터 표시되는 구성임을 강조하기는 했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런 구성이 종래에 없던 본 발명만의 유별난 특징이기 때문이었다. 사용자가 카테고리 편성표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고 있지 않은 기존 VOD 영상을 시청하려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시청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 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 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7)

  1.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TV 기본 채널의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고,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TV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M(M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카테고리 식별자가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는 각각 복수 개의 카테고리 VOD 영상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카테고리 VOD 영상들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24시간 연속으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것인,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또는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서 VOD 영상에 대해 사용자 리모컨이 미리 즐겨찾기를 설정한 후,
    상기 셋톱박스 아이디가 TV 기본 채널에 다시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r)에서는 즐겨찾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VOD 영상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TV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4. 기본 채널 관리자 서버는 TV 기본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 표시되는 M(M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카테고리 식별자마다 복수 개의 VOD 영상을 미리 등록하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VOD 영상들을 연속하여 스트리밍을 하며,
    셋톱박스 아이디가 상기 TV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상기 TV 기본 채널의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고,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TV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스트리밍되고 있는 카테고리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5. 티커머스 관리자 서버는 복수의 카테고리 샵을 분류한 다음 각 카테고리 샵마다 복수의 상품 VOD 영상을 등록하고, 또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품 VOD 영상이 연속하여 스트리밍되도록 설정하고,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 외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카테고리 샵 식별자가 표시되도록 하며,
    셋톱박스 아이디가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e)에서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되,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특정 카테고리 샵 식별자를 선택하면, 그 선택 시점(Ts)에서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스트리밍되고 있는 상품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샵 또는 상기 카테고리 편성표에서 상품 VOD 영상에 대해 사용자 리모컨이 미리 즐겨찾기를 설정한 후,
    상기 셋톱박스 아이디가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서 다시 진입하면,
    그 진입 시점(Tr)에서는 즐겨찾기 설정된 카테고리의 상품 VOD 영상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편성표에 따라 상기 티커머스 기본 채널의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7. 셋톱박스 아이디가 티커머스 기본 채널에 진입하면,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본 VOD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사용자 리모컨이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 외의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카테고리 샵 식별자를 선택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선택되거나 변경된 카테고리 샵에 포함되는 상품 VOD 영상을 상기 VOD 영상 재생 영역을 통해 스트리밍하되, 상품 VOD 영상을 처음부터 스트리밍하는 것이 아니라, 카테고리 샵이 변경된 시점(Tc)에서 스트리밍되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편성표에 따라 상기 상품 VOD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KR1020200119320A 2020-09-16 2020-09-16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KR10256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20A KR102567919B1 (ko) 2020-09-16 2020-09-16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20A KR102567919B1 (ko) 2020-09-16 2020-09-16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57A true KR20220036757A (ko) 2022-03-23
KR102567919B1 KR102567919B1 (ko) 2023-08-16

Family

ID=8096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320A KR102567919B1 (ko) 2020-09-16 2020-09-16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046A (ko) * 2009-09-17 2011-03-2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20120058061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브이오디 콘텐츠 채널을 통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9963A (ko)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가상 채널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3510A (ko) * 2017-08-29 2019-03-08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에서 리모컨 특가상품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046A (ko) * 2009-09-17 2011-03-2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20120058061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브이오디 콘텐츠 채널을 통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9963A (ko)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가상 채널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333A (ko) * 2017-04-03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3510A (ko) * 2017-08-29 2019-03-08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에서 리모컨 특가상품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919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972B2 (en) Media content search results ranked by popularity
RU2338331C2 (ru) Нелинейная интерактивная видеонавигация
KR102017437B1 (ko) 속성을 공유하는 상이한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를 연관시키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819883B2 (ja) 双方向型メディアガイド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メディアライブラリ
JP5619621B2 (ja)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の画面に表示するメディア資産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123796B (zh) 使用播放列表的系统和方法
US20060015925A1 (en) Sales presentation video on demand system
JP2007520956A (ja) 放送メディアから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への自動切換えを有する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
JP2013225895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検索および録画予約システム
JP2004511967A (ja) ユーザメディアリストを構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621211B2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KR20170003902A (ko)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서비스 추천 방법
JP4828531B2 (ja) 端末においてストリーム放送の遠隔的な処理および再生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記録装置、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67919B1 (ko) 하나의 데이터 방송 채널의 데이터 영역에서 카테고리로 분류된 vod 영상들을 연속 편성하여 스트리밍하는 방법
JP6110968B1 (ja) コンテンツ付加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3243704A (ja) 情報処理端末
KR101145985B1 (ko) 비선형 인터랙티브 비디오 네비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