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103A -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 Google Patents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103A
KR20220036103A KR1020200118279A KR20200118279A KR20220036103A KR 20220036103 A KR20220036103 A KR 20220036103A KR 1020200118279 A KR1020200118279 A KR 1020200118279A KR 20200118279 A KR20200118279 A KR 20200118279A KR 20220036103 A KR20220036103 A KR 2022003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ilm
planar heating
area
transparent plana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803B1 (en
Inventor
서지훈
김부종
유금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테드 filed Critical (주)아이테드
Priority to KR102020011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0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대상 부재에 장착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이 위치한 상기 대상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하며,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제공한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mounted on an object member including an opaque layer,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metal nanostructures crossing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to apply a voltage to the conductive layer. It includes a bus ba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bus bar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where the opaque layer is located,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first region is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Transmits light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the second area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area provides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ncluding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Description

투명 면상 발열 필름{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본 출원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름형태의 발열체로 이용될 수 있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that can be used as a film-type heating element.

자율 주행을 위한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집되므로,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는 자율 주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자율 주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센서에 발생할 수 있는 김서림 및 성에를 제거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 또는 오류 정보의 수집을 방지해야 한다.Since information for autonomous driving is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whether the sensor operates normally may be an essential element for implementing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 safe autonomous driv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ensor or collection of error information by removing fogging and frost that may occur on the sensor.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자율 주행 자동차 센서의 김서림/성에 제거 방안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며, 센서 자체에 그러한 구조가 구비되었다고 해도, 센서의 시야를 제공하는 자동차의 앞유리에 이를 제거하는 별도의 구조 또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자동차의 앞유리에 김서림/성에가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웠다.However, it is not clear how to remove fogging/frost from self-driving car sensors currently on the market, and even if the sensor itself is equipped with such a structure, a separate structure to remove it is installed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that provides the sensor's field of view. Or, if fogging/frost occurs on the windshield of a car because the device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자동차 유리에 장착되고 김서림/성에를 방지할 수 있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that can be mounted on automobile glass and prevent fogging/fros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대상 부재에 장착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이 위치한 상기 대상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하며,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mounted on an object member including an opaque layer, wherei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ncludes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metal nanostructures crossing each other and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and includes a bus bar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onductive layer,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bus bar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where the opaque layer is located, and the conductive layer defin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transmits light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the second region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을 투과하는 영역 및 전파를 투과하는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이 광/전파 등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김서림/성에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자동차 내부의 센서가 오작동 하거나 및 오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area and a pattern area transmitting radio waves,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ception of light/radio waves, etc. It can perform an anti-fog function, preventing sensors inside the car from malfunctioning and collecting error data.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 and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패턴층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이 장착된 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이 장착된 대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다시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tern layer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nother diagram show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arget member equipped with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target member on which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2 to 17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custom,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You can.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sense,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not just th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본 명세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대상 부재에 장착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이 위치한 상기 대상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하며,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중앙보다 상기 대상 부재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대상 부재 중 상기 불투명층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는 내부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상기 불투명층에 형성된 개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전파 수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의 크기는 상기 전파 수신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센서와 대응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부재는 제1 대상 부재, 제2 대상 부재 및 상기 제1 대상 부재와 상기 제2 대상 부재 사이에 위치한 불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기 제1 대상 부재와 상기 제2 대상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대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대상 부재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mounted on an object member including an opaque layer is formed on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metal nanostructures crossing each other and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layer. and a bus bar for Light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is transmitted, the second area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area includes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The conductive layer may be located closer to an edge of the target member than the center of the target member, and the bus ba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nner area defined by an outline of the opaque layer of the target member. The conduct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target membe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reg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ning formed in the opaque layer. The second area includes a radio wave receiving area, and the size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adio wave receiving area. Additionally, th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third area corresponding to a third sensor located outside the target member. The object member includes a first object member, a second object member, and an opaque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object member and the second object member,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bject member and the second object member. It is mounted between members, and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target member to the first target member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the bus bar may be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paque layer.

본 명세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윈도우는 투명 부재, 상기 투명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광을 차단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불투명층 및, 상기 불투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된 버스바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고, 상기 투명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한다. 상기 불투명층은 상기 투명 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기 불투명층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는 내부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층은 상기 불투명층의 상기 개구부를 커버(cover)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의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window for an automobile mounted on a vehicle includes a transparent member, an opaque layer locat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to block light from the outside,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paque layer.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ncluding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metal nanostructures located in a region and crossing each other and a bus bar formed on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th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area corresponds to the opening and transmits light incident on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second area includes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and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ransparent member. The opaque laye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edge of the transparent membe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region defined by the outline of the opaque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is located at the opening of the opaque layer. covers, and the bus bar may include a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sandwiching the opening of the opaque layer.

본 명세서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대상 부재에 장착되고, 인가된 전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통해 대상 부재에 발생하는 김서림/성에를 방지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ounted on a target member and can prevent fogging/frost occurring on the target member through heat generated from an applied voltag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idea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idea of the invention may create other regressive inventions or ideas of the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t is possi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에 부착된 대상 부재(20), 대상 부재(20)를 통해 폐쇄되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0)가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t least one sensor 30 may be mounted on a target member 20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and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closed through the target member 20 .

본체(10)는 차량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선박, 비행기와 같은 다른 교통 수단 또는 건축물일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0 is shown as a vehicle,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an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ship or an airplane, or a building.

대상 부재(20)는 차량과 같은 교통 수단에 장착된 유리-창문-, 또는 건축물에 설치된 유리-창문-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arget member 20 may be glass-windows-installed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vehicle, or glass-windows-installed in a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30)는 본체(10)의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30)는 대상 부재(20)의 가까이에 위치하여 대상 부재(20)를 통해 차량(10)의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ensor 30 can coll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 The sensor 30 is located close to the target member 20 and can obtain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10 through the target member 20.

센서(30)의 오작동 및 오류 정보의 수집을 방지하기 위해, 대상 부재(20)에는 김서림/성에를 방지할 수 있는 발열체가 장착될 수 있고, 발열체의 위치는 센서(30) 또는 센서(30)의 정보 획득을 위한 수신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ensor 30 and collection of error information, the target member 20 may be equipped with a heating element capable of preventing fogging/frost, and the location of the heating element is determined by the sensor 30 or the sensor 30. It may correspond to a reception area for obtaining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패턴층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이 장착된 대상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이 장착된 대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ttern layer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Another drawing show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arget member equipped with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ure 6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is a front view of a target member equipped with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에 발생할 수 있는 김서림/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기재(1100), 전기 에너지로부터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 및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버스바(1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used to remove fogging/frost that may occur on the target member 2000, and includes a base 1100 to support the overall shap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 a conductive network 1200 that generates heat energy from electrical energy, and a bus bar 1300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onductive network 1200.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투명한 대상 부재(2000)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부재(2000)는 차량 또는 건축물에 장착되는 플라스틱, 유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상 부재(2000)는 차량에 장착되는 윈드글래스(wind glass), 윈드 스크린(windscreen) 또는 윈드쉴드(windshield) 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target member 2000. Here, the target member 2000 may be plastic or glass mounted on a vehicle or building. Specifically, the target member 2000 may be a wind glass, windscreen, or windshield mounted on a vehicle.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도전성 물질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고, 대상 부재(2000)에 발생한 성에/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optically transparent.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an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and remove frost/fog generated on the target member 2000.

기재(1100)는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1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일 수 있고, 전자기파를 투과시킬 수 있고,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재(1100)는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1100)는 탄화수소 폴리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The substrate 110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substrate 1100 may be optically transparent, may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may transmit heat. The substrate 1100 may have a flexible structure. The substrate 1100 may have a hydrocarbon polymer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it may be a thermoplastic plastic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기재(1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기재(1100)과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재(11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기재(1100)가 생략되는 경우,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대상 부재(2000)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0. Alternatively,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11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ase material 1100 may be omitted. When the substrate 1100 is omitted,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formed on the target member 2000.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은 금속 일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포함하는 물질은 은(Ag), 금(Au), 백금(Pt), 구리(Cu) 또는 그 밖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나노 구조체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외부의 전기에너지를 전달받고, 전기에너지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가지는 면 저항 값은 기재(1100)의 면 저항 값보다 작을 수 있다.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metal.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a nanostructure made of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copper (Cu), or other met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provide a path for electrons to move.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receive external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 heat energy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energy. The sheet resistance valu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1100.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다수의 금속 나노 구조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다수의 금속 나노 구조체가 상기 교차점에 의해 연결되어 망구조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가지는 면 저항은 금속 나노 구조체의 개수, 직경,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면 저항은 금속 나노 구조체의 개수가 많을 수록, 직경이 클 수록, 길이가 짧을수록 낮을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가 가지는 면 저항은 교차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 교차점의 크기가 클수록 낮을 수 있다.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formed by multiple metal nanostructure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tal nanostructures at the intersection points to form a network structure. At this time, the sheet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diameter, and length of the metal nanostructures. The sheet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lower as the number of metal nanostructures increases, the diameter increases, and the length decreases. The sheet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network may be lower as the number of intersections increases or the size of the intersections increases.

한편, 금속 나노 구조체로부터 망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금속 나노 구조체에 열 또는 압력 등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금속 나노 구조체의 크기/형태가 변화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금속 나노 구조체의 단면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화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network structure from a metal nanostructure, heat or pressure, etc. may be applied to the metal nanostructure, and as a result, the size/shape of the metal nanostructure may change, specifically,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nanostructure. It can change from a circular shape to an oval shape.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며,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광 투과율은 상기 기재(1100)의 광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optically transparent, and whe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is formed transparentl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1100.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network 1200 can block electromagnetic wave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can block signals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 빛의 산란, 반사(난반사를 포함한다), 굴절, 회절 또는 분산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헤이즈 값이 달라질 있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함으로써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헤이즈가 개선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전성 네트워크(1200)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하거나, 도전성 네트워크(1200)상에 추가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degree of scattering, reflection (including diffuse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dispersion of light may vary, and the haze valu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vary. By improv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haz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an be improved. To this end, heat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network 1200, or an additional layer is added o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can be formed.

한편,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도전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전층은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층(layer)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전성 네트워크(1200) 및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전성 네트워크(1200)는 매트릭스에 매립된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layer'. Here, the conductive layer refers to a layer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ncluding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may include only the conductive network 1200, or may include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the matrix. You may. That i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embedded in a matrix.

여기서, 매트릭스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금속 나노 구조체 사이를 메우는 물질일 수 있다. 매트릭스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를 외부의 공기/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도전성 네크워크(12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매트릭스는 단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여러 물질의 복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매트릭스는 상기 기재(1200)과 동일한 물질 일 수도 있다. 매트릭스는 탄화 수소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일 수 있고, 도전성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매트릭스가 도전성 물질인 경우, 매트릭스는 금속 나노 구조체와 버스바(1300)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matrix may be a material that fills the gaps between the metal nanostructures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matrix may be used to protect the conductive network 1200 from external air/moisture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matrix can be formed from a single material or a composite of several materials. The matrix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substrate 1200. The matrix may be a polymer having a hydrocarbon structure or a conductiv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matrix is a conductive material, the matrix may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etal nanostructure and the bus bar 1300.

버스바(1300)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버스바(1300)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와 접촉할 수 있고, 버스바(1300)와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와 접촉하는 부분을 통해 전자가 이동할 수 있다. The bus bar 1300 may be loc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bus bar 13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electrons may move through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s bar 1300 and the conductive network 1200.

버스바(13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1300)는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은 페이스트(Silver paste)일 수 있다. 또한, 버스바(1300)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은나노 와이어(Silver nanowire)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13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The bus bar 1300 may include a metal such as silver (Ag),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it may be silver paste. Additionally, the bus bar 1300 may include a metal nanostructure and a silver nanowire.

버스바(1300)의 저항 값은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저항 값 보다 낮을 수 잇다. 버스바(1300)의 저항 값은 실질적으로 0에 가까울 수 있다. 버스바(1300)를 거쳐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를 이동하는 전자의 이동 속도는 빠를 수 있고, 전자의 이동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발열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 of the bus bar 1300 may be low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us bar 1300 may be substantially close to 0. The movement speed of electrons moving through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rough the bus bar 1300 may be fast, and as the movement speed of electrons increases, the heat generation rate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may be improved.

버스바(130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버스바(1300)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버스바(1300)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1300)의 광 투과율은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광 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The bus bar 1300 may be formed transparently or opaquely. The bus bar 1300 may or may not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bus bar 130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may be formed transparentl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bus bar 130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버스바(130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버스바(1300)의 두께, 높이 및 폭은 다양할 수 있다. 버스바(1300)는 선의 형태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bus bar 1300 may vary. The thickness, height, and width of the bus bar 1300 may vary. The bus bar 1300 may be in the form of a line.

버스바(1300)는 다수일 수 있다. 다수의 버스바(1300) 중 적어도 두개는 서로 마주보거나 평행할 수 있다.There may be multiple bus bars 1300.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1300 may face each other or be parallel.

한편,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상기 기재(1100), 도전성 네트워크(1200) 및 버스바(1300)외에 추가적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layers in addition to the substrate 1100,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the bus bar 1300, for example, a coating layer.

코팅층은 도전성 네트워크(1200) 및 버스바(1300)를 외부 수분/공기로부터 보호하는 절연층일 수 있다. 코팅층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코팅층의 일부는 상술한 매트릭스일 수 있다. 또, 코팅층에 따라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헤이즈 값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는 코팅층에 포함된 물질의 굴절율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코팅층은 굴절율이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that protects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the bus bar 1300 from external moisture/air. The coating layer may be us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the matrix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the haze valu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ating layer. This may be due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and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two or more materials/layers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코팅층은 단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여러 물질의 복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팅층은 탄화 수소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일 수 있고, 도전성 물질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층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전자기파를 투과시킬 수 있고,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코팅층은 다른 층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single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composite of several materials. The coating layer may be a polymer with a hydrocarbon structure or a conductiv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ating layer can transmit light, trans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transmit heat. The coating layer may transmit heat energy generated in other layers. The coating layer may have a flexible structure.

코팅층은 2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코팅층이 2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층은 도전성 네크워트(1200)와 버스바(1300) 사이에, 다른 하나의 층은 버스바(13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ating layer may be composed of two layers. If the coating layer is composed of two layers, one layer is betwee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and the bus bar 1300, and the other layer is on the bus bar 1300. may be formed i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1010 and a second region 1020.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대상 부재(2000) 너머의 본체(10)-차량 또는 건축물일 수 있음- 내부에 장착된 센서부(3000)를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be for the sensor unit 3000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 - which may be a vehicle or a building - beyond the target member 2000.

여기서, 센서부(3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00)는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unit 30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The sensor unit 3000 may include a first sensor 3010 and a second sensor 3020.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는 서로 그 기능이 다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3010)는 빛을 검출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고, 제2 센서(3020)는 전파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2 센서(3020)는 전파를 발신하고, 발신된 전파가 외부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센서(3010)는 광학 센서, 더 구체적으로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센서(3020)는 전파 센서 또는 안테나일 수 있다.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3010 may detect light and obtain information through it, and the second sensor 3020 may acquire information by receiving radio waves. Alternatively, the second sensor 3020 may acquir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radio waves and receiving radio waves returned after the transmitted radio waves are reflected by an external object. The first sensor 3010 may be an optical sensor, more specifically a camera. The second sensor 3020 may be a radio wave sensor or an antenna.

또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버스바(13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또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일부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not include the bus bar 1300. Accordingly,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refer to a portion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제1 영역(1010)은 제1 센서(3010)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센서(3010)가 광학 센서인 경우, 제1 영역(1010)은 제1 센서(3010)가 수신할 광을 투과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010)의 크기 및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영역(1010)의 크기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The first area 1010 may be for the first sensor 3010. When the first sensor 3010 is an optical sensor, the first area 1010 may be an area for transmitting light to be received by the first sensor 3010.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10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size of the first area 1010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fo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제2 영역(1020)은 제2 센서(3020)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센서(3020)가 전파를 수신/전달하는 것인 경우, 제2 영역(1020)은 제2 센서(3020)가 수신할 전파를 투과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020)은 제2 센서(3020)가 전달할 전파를 투과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020)의 크기 및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영역(1020의 크기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2센서(3020)의 수신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area 1020 may be for the second sensor 3020. When the second sensor 3020 receives/transmits radio waves, the second area 1020 may be an area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sensor 3020. The second area 1020 may be an area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second sensor 3020.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second area 10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size of the second area 1020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fo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제2 영역(1020)은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영역(1020)에 대응되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일부는 전파 수신/전달을 위한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의 크기 및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패턴부의 크기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2센서(3020)의 수신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area 1020 may include a pattern area.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1020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for receiving/transmitting radio wave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size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fo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패턴부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전파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pattern portion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The pattern portion may be used to prevent the conductive network 1200 from blocking radio waves.

여기서, 패턴부의 형상 및 패턴은 다양할 수 있다. Here, the shape and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may vary.

패턴부의 형상은 이와 대응되는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과 대응되므로, 그 형상은 비정형적일 수 있으며, 원형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패턴부가 곡면 형상의 대상 부재에 부착되는 경우, 패턴부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대상 부재와 멀어질수록 펼쳐지는(outwardly)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second sensor 3020, its shape may be irregular and may be close to a circular shape. When the pattern portion is attached to a curved target member, the overall cross-section of the pattern portion may have a fan-shaped shape that spreads outwardly as it moves away from the target member.

패턴부의 패턴은 제거부와 비제거부를 포함하며, 이들의 두께 또는 간격에 따라서도 패턴의 형태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패턴은 다양한 줄무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면과 수직하는 세로줄 또는 지면과 평행한 가로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패턴은 버스바(1300)와 평행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버스바(1300)와 각을 이루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도 5와 같이 버스바(1300)와 수직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패턴은 전류의 이동방향과 평행할 수도 있고, 각을 이룰 수도 있다.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includes a removal portion and a non-removal portion, and the shape of the pattern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r spacing thereof. The pattern may have various stripe forms, for example, vertical line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r horizontal lines parallel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pattern may have a shape parallel to the bus bar 1300, or may have a shape forming an angle with the bus bar 1300. Specifically, the pattern may have a shape perpendicular to the bus bar 1300, as shown in FIG.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have a shape. That is, the pattern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current movement or may form an angle.

또,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또는 도전층 내에서 제거부와 비제거부의 두께는 다를 수 있으며, 이는 도전 물질을 제거한 양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단면을 살펴볼 때, 패턴부가 형성된 패턴 영역의 단면은 요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removed portion and the non-removed portion withi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or the conductive layer may be different,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removed.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cross section of the pattern area where the pattern portion is formed may have a concavo-convex shape.

여기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중 제거부는 그 두께-또는 높이-가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다. 제거부와 비제거부의 높이 차이는 도전성 네트워크(또는 도전층)의 두께 값 보다 작을 수 있고, 도 2와 달리 제거부가 도전성 네트워크(1200)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경우, 제거부와 대응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일부의 두께는 기재(110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Here, the removal part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the part with the lowest thickness or heigh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removed part and the non-removed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value of the conductive network (or conductive layer), and unlike FIG. 2, when the removed part is formed by completely removing the conductive network 1200, heat is generated in the transpare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emoved part. The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film 1000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100.

한편,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코팅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영역(1020)의 패턴부는 코팅층과 접촉할 수 있다. 즉, 패턴부의 제거부에는 코팅층의 일부가 채워질 수 있다. 즉, 패턴의 형성으로 인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빈 공간은 코팅층으로 메워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ncludes a coating layer, the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0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ating layer. That is, a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filled in the removed portion of the pattern portion. That is, the empty spac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resulting from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can be filled with a coating layer.

또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코팅층을 포함하는 경우, 코팅층을 형성한 후 제2 영역(1020)의 패턴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패턴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팅층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으며, 패턴부의 제거부에는 코팅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ncludes a coating layer, the pattern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020 may be formed after forming the coating layer.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removed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pattern portion, and the coating layer may not be present in the removed portion of the pattern portion.

이처럼, 제2 영역(1020)에 패턴부가 형성되면, 패턴부의 제거부를 통해 제2 센서(3020)를 향해 입사하는 전파 또는 제2 센서(3020)가 발신하는 전파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을 투과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pattern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1020, the radio waves incident toward the second sensor 3020 through the removal portion of the pattern portion or the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second sensor 3020 ar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will be able to penetrate.

도 3을 참조하면, 패턴부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형, 오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square, trapezoid, pentagon, or hexagon, or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a circle or polygon.

또, 패턴부의 패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패턴은 가로형, 세로형, 사선형, 물결형 또는 동심원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 형태가 포함하는 선의 두께 또는 선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Patterns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horizontal, vertical, diagonal, wavy, or concentric circle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included in each shape or changes in the spacing between lines.

이처럼, 패턴부의 형상 또는 패턴의 형태는 도시된 형상/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시된 형상/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such,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or the form of the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llustrated shapes/forms, but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s/form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various shapes not mentioned.

여기서, 제2 영역(1020)과 달리 제1 영역(1010)에 대응되는 도전성 네트워크(1200)의 일부는 패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제1 영역(1010)과 대응되는 제1 센서(3010)가 전파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이기 때문일 수 있다. Here, unlike the second area 1020, a part of the conductive network 1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010 may not include a pattern portion, which means that the first sensor 30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010 ) may be because it is not greatly affected by radio waves.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의 광 투과 및 전파 투과 기능을 살펴볼 때,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 사이의 광 투과 기능 및 전파 투과 기능은 다를 수 있다.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의 광 투과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영역(1020)의 광 투과 기능이 제1 영역(1010)의 광 투과 기능보다 다소 우수할 수 있다. 또, 패턴부를 포함하지 않는 제1 영역(1010)의 전파 투과 기능 보다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영역(1020)의 전파 투과 기능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3010)의 경우,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3020) 중 어디에 대응되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나, 제2 센서(3020)가 제1 영역(1010)과 대응되는 경우, 제2 센서(3020)의 전파 수신 기능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When looking at the light transmission and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s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the light transmission function and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between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be different. . The light transmission functions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but the light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second area 1020 including the pattern portion is the light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first area 1010. It may be somewhat superior. Additionally, the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second region 1020 including the pattern portion may be bett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1010 not including the pattern por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sensor 3010, there will be no problem in exercising its function no matter which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3020 it corresponds to, but the second sensor 30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rea ( In the case corresponding to 1010), a problem may occur in the radio wave reception function of the second sensor 3020.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1020)은 패턴 영역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1020)은 제1 영역(1010)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영역(1010)보다 도전물질을 덜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패턴부의 효과와 동일하게 제1 영역(1020)의 전파 투과 기능이 보장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area 1020 may not include a pattern area. At this time, the second region 1020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region 1010 and contains less conductive material than the first region 1010, so that the first region 1020 has the same effect as the pattern portion described above. The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can be guaranteed.

또,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102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그 두께 또한 제2 영역(10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area 102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may not include a pattern area, and may also have a thickn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area 1020.

한편, 도 2에서는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이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이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그 영역이 반드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eanwhile, in FIG. 2,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are shown as having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have various shapes not shown. Here,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area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so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are transparen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rea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in the planar heating film 1000.

또, 도 2에서는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고, 그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의 크기 및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예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FIG. 2,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are shown to b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and have the same siz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Therefore, the sizes and positions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various examples not shown.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과 대상 부재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but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nd the target member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대상 부재(2000)는 불투명층(2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arget member 2000 may include an opaque layer 210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2000.

여기서, 대상 부재(2000) 중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장착되는 영역은 발열체 영역(2200)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발열체 영역(2200)이란 발열체가 장착되는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발열 발생 여부와는 무관하다. 즉, 발열체 영역(2200)은 발열 영역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발열체 영역(2200)의 전체가 발열될 수도 있고, 일부가 발열될 수도 있다. Here, the area wher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of the target member 2000 is mounted may be referred to as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and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is intended to specify the location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mounted, so the actual heat generation It has nothing to do with whether it occurs or not. That is,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does not refer to a heating area, and the entir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generate heat, or a portion may generate heat.

발열체 영역(2200)은 불투명층(2100)과 대응될 수 있다. 발열체 영역(2200)은 실질적으로 불투명층(2100)의 외곽선으로부터 정의되는 내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correspond to the opaque layer 2100.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be substantially located in an internal area defined from the outline of the opaque layer 2100.

이 때, 발열체 영역(2200)내에 있는 버스바(1300)는 불투명층(21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버스바(130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서 투명도가 가장 낮은 부분일 수 있고, 심미성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s bar 1300 within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not be visible to the user due to the opaque layer 2100. The bus bar 1300 may be the part with the lowest transparency i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may preferably be hidden from the user for aesthetics.

여기서, 불투명층(2100)은 광을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불투명층(2100)은 광이 입사하는 방향에 있는 물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불투명층(2100)은 대상 부재(2000)의 일부 또는 대상 부재(2000)에 설치된 것의 일부를 가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opaque layer 2100 may block light.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used to protect materials in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ncident.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u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2000 or a portion of what is installed on the target member 2000.

불투명층(2100)은 세라믹 또는 에나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층(210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불투명층(2100)의 광 투과율 값은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광 투과율 값보다 작을 수 있다. The opaque layer 2100 may include ceramic or enam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aque layer 21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The light transmittance value of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도 5를 참조하면, 대상 부재(2000)의 발열체 영역(2200)은 개구 영역(2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 영역(2210)이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of the target member 2000 may include an opening area 2210. Here, the opening area 2210 may refer to an optically transparent area.

불투명층(2100)의 일부는 개구부(2110)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2110)은 개구 영역(2210)과 대응될 수 있다. 즉, 개구 영역(2210)은 개구부(2110)로부터 정의될 수 있으며, 개구 영역(2210)의 크기는 개구부(2110)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개구부(2110)는 불투명층(210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거나, 개구부(2110)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불투명층(2100)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opaque layer 2100 may have an opening 2110, and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opening area 2210. That is, the opening area 2210 may be defined from the opening 2110, and the size of the opening area 2210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opening 2110. The opening 2110 is a part of the opaque layer 2100. It can be formed by removing or by forming the opaque layer 2100 in other parts except the opening 2110.

또, 개구부(211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즉, 불투명층(2100)의 개구부(211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도전성 네트워크(1200)로 커버(cover)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at is, the opening 2110 of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covered with the conductive network 120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개구부(2110)는 광을 투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개구부(2110)가 투과한 광은 센서부(30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센서(3010)가 광학 센서인 경우, 개구부(2110)는 광학 센서의 수신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센서(3010)가 광학 센서인 경우, 개구부(2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센서(3010)를 위한 제1 영역(1010)과 대응될 수 있다. The opening 2110 may be used to transmit light.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 2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3000. When the first sensor 3010 is an optical sensor,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receiving area of the optical sensor. When the first sensor 3010 is an optical sens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1010 for the first sensor 3010.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센서부(3000)의 제1 센서(3010)가 광학 센서인 경우, 개구부(2110)의 위치는 광학 센서의 수신 영역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개구부(2110)의 크기는 광학 센서의 수신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수신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더 작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may vary. When the first sensor 3010 of the sensor unit 3000 is an optical sensor, the position of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area of the optical sensor. The size of the opening 2110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iving area of the optical sensor,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it may be set smaller depending on the designer's intention.

한편, 실시예에 따라 대상 부재(2000)는 불투명층(210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개구 영역(2210)은 발열체 영역(2200)의 투명한 일부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arget member 2000 may not include the opaque layer 2100, and in this case, the opening area 2210 may be interpreted as a transparent partial area of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은 대상 부재(2000)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센서(3010)와 대상 부재(200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은 클 수 있다. The reception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including an optical sensor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target member 2000. The lo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target member 2000, the larger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may be.

또, 광학 센서인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은 제1 센서(3010)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reception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which is an optical sensor, may vary depending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ensor 3010.

한편, 도 5에서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버스바(1300)가 도전성 네트워크(1200)보다 대상 부재(2000) 또는 불투명층(2100)과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대상 부재(2000)에 장착되는 형태가 도시된 것을 통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버스바(1300)보다 도전성 네트워크(1200)가 대상 부재(2000) 또는 불투명층(2100)과 가까이 위치하도록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n FIG. 5, the bus bar 130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shown to be located closer to the target member 2000 or the opaque layer 2100 than the conductive network 120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e form in which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mounted on the target member 2000 will not be limited to what is shown.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mounted so that the conductive network 1200 is located closer to the target member 2000 or the opaque layer 2100 than the bus bar 130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would be possible.

이하에서는 대상 부재(2000)에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장착되는 형태의 일 예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mounted on the target member 2000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대상 부재(2000)는 제1 부재(2010) 및 제2 부재(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재(2010) 및 제2 부재(2020)는 유리 또는 창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arget member 2000 may include a first member 2010 and a second member 2020. Here, the first member 2010 and the second member 2020 may be glass or a window.

대상 부재(2000)는 불투명층(2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불투명층(2100)은 제1 부재(2010) 및 제2 부재(20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arget member 2000 may include an opaque layer 2100, and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member 2010 and the second member 2020.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 부재(2020)로부터 상기 제1 부재(2010)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r1)으로 정의할 때, 불투명층(2100)은 제2 부재(2020)의 제1 방향(r1)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불투명층(2100)은 제2 부재(202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해당 업종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member 2020 to the first member 2010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r1, the opaque layer 21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econd member 2020. It may be located at (r1), and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2020 or may be 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relevant industry.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에 장착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부재(2010) 및 제2 부재(20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불투명층(2100)의 제1 방향(r1)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mounted on the target member 2000.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member 2010 and the second member 202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r1 of the opaque layer 2100.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중간층(1700)를 통해 제1 부재(2010) 및 제2 부재(20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중간층(1700)은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을 매립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중간층(1700)은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중간층(1700)은 상기 대상 부재(2000) 사이에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중간층(1700)을 통해 외부 공기 및 수분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중간층(1700)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fixed between the first member 2010 and the second member 2020 through the intermediate layer 1700. The intermediate layer 1700 may be used to bury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intermediate layer 170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intermediate layer 1700 may be used to seal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between the target members 2000.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an be blocked from external air and moisture through the intermediate layer 1700. The durability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ntermediate layer 1700.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은 중간층(170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영역(1020)은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고, 패턴부의 제거부에는 중간층(1700)의 일부가 채워질 수 있다. 즉, 패턴의 형성으로 인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빈 공간은 중간층(1700)으로 메워질 수 있다. The first region 1010 and the second region 102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layer 1700. The second area 1020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1700 may be filled in the removed portion of the pattern portion. That is, the empty spac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can be filled with the intermediate layer 1700.

중간층(170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고, 전자기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층(17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중간층(1700)은 폴리비닐 부티랄(PVB),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OU). 아이오노머(ionomer), 아이오노플라스트(ionoplast),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에 기초한) 현장(cast in place: CIP) 수지, 열가소성 물질, 또 다른 적절한 고분자 물질, 또는 이의 조합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iddle layer 1700 can transmit light and electromagnetic waves. The intermediate layer 1700 may be optically transparent. The middle layer 1700 is polyvinyl butyral (PVB), polycarbonate, ethylene vinyl acetate (EVA), 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OU). ionomer, ionoplast, cast in place (CIP) resin (e.g., based on acrylic, polyurethane, or polyester), thermoplastic, another suitable polymer material, or It may include polymer materials, such as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광학 센서인 제1 센서(3010)-이하에서는 제1 센서(3010)가 광학 센서인 것에 기초하여 기술됨-의 수신 영역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1 수신 영역(s1) 및 불투명층(2100)에 대한 제2 수신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6,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which is an optical sensor - hereinafter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sensor 3010 being an optical sensor - is the first sensor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may include a receiving area s1 and a second receiving area s2 for the opaque layer 2100.

여기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제1 센서(3010)에 대하여 불투명층(2100) 보다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제1 수신 영역(s1)의 크기는 제2 수신 영역(s2)크기 보다 작을 수 있으나,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및 불투명층(2100)의 장착/설계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Here, whe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located closer to the first sensor 3010 than the opaque layer 2100, the size of the first receiving area s1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However, i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design typ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the opaque layer 2100.

또 여기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및 불투명층(2100)의 일면이 제1 센서(3010)의 광 입사 방향과 수직하지 않는 경우, 제1 수신 영역(s1)과 제2 수신 영역(s2)은 완전히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신 영역(s1)은 제2 수신 영역(s2)과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부분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Also, here, whe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the opaque layer 2100 is not perpendicular to the light incident direction of the first sensor 3010, the first receiving area s1 and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may not correspond completely. As shown, the first receiving area s1 may be partially spaced apart from and partially correspond to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는 대상 부재(2000)에 대한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상 부재(2000)는 불투명층(2100) 외에 모두 투명한 부재이므로,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는 불투명층(2100)에 대한 제2 수신 영역(s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2110)는 제2 수신 영역(s2)에 대응되고, 개구부(2110)의 크기는 제2 수신 영역(s2)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ption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with respect to the target member 2000. Since the target member 2000 is a transparent member except for the opaque layer 2100,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pening 2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for the opaque layer 2100. Accordingly, the opening 2110 corresponds to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and the size of the opening 2110 may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영역(1010)의 크기 및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1 센서(301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010)은 제1 수신 영역(s1)에 대응되고, 제1 영역(1010)의 크기는 제1 수신 영역(s1)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area 101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fo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ccordingly, the first area 1010 corresponds to the first reception area s1, and the size of the first area 10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first reception area s1.

또,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영역(1010)의 크기 및 위치는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확정된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가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10)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기확정된 개구부(2110)의 크기가 제2 수신 영역(s2) 보다 작거나, 개구부(2110)의 위치가 제2 수신 영역(s2)과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 더욱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101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pening 211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is,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are used to determin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1010. Size and location can be determined. This may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when the size of the previously determined opening 2110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or when the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receiving area s2.

한편, 도 6을 통해 도시된 불투명층(2100)과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사이의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장착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불투명층(2100)과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위치 관계는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층(2100)은 제1 부재(201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해당 업종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 때 불투명층(2100)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방향(r1)에 위치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osition between the opaque layer 210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shown in FIG. 6 i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ounting form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the opaque layer 210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re shown in FI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For example,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010, or may be 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industry. In this case,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 may be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r1).

또 한편, 도 6에서는 센서부(3000)가 본체(10)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센서부(3000)와 대상 부재(2000) 및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사이의 위치 관계 중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센서부(3000)는 실시예에 따라 본체(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가 개별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3010)는 본체(10)의 상부와 가깝게, 제2 센서(3020)는 본체(10)의 하부와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6, the sensor unit 3000 is shown to be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but this is du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 unit 3000, the target member 200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is only for explaining one example. Accordingly, the sensor unit 3000 may be located in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main body 1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located individually.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301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제1 센서(3010)를 위한 제1 영역(1010) 및 제2 센서(3020)를 위한 제2 영역(1020)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센서부(3000)가 포함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영역(1010)만을 포함하거나, 제3 센서(3030)를 위한 제3 영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irst area 1010 for the first sensor 3010 and a second area 1020 for the second sensor 3020. Howev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3000,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ncludes only the first area 1010 o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rea for the third sensor 3030. It may also be included.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7을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센서(3010)를 위한 제1 영역(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3010)의 기능은 다양할 수 있고, 제1 센서(3010)의 기능에 따라 제1 영역(1010)의 형상, 위치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a first area 1010 for the first sensor 3010. Here, the function of the first sensor 3010 may vary,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1010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first sensor 3010.

일 예로, 제1 센서(3010)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영역(1010)은 광을 투과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으며, 개구부(211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sensor 3010 may acquire information by detecting light. The first area 1010 may be an area for transmitting light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110.

다른 예로, 제1 센서(3010)가 전파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전파를 발신하는 것인 경우, 제1 영역(1010)은 전파를 투과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010)은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개구부(2110)와 대응될 수도 있고,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3010 receives radio waves to obtain information or transmit radio waves, the first area 1010 may be an area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The first area 1010 may include a pattern area and may or may not correspond to the opening 2110.

한편, 제1 센서(3010)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몇 가지 기능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제1 센서(30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것 외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상이한 기능을 가지는 제1 센서(3010)가 본체(10)에 장착되고, 이를 위한 제1 영역(1010)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구비되는 경우도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functions of the first sensor 3010 should not be limited to a few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first sensor 3010 may be provided with func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sensor 3010 having a different function from that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area 1010 for this is provided o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included in

또 한편, 제1 센서(30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2 센서(3020), 후술한 제3 센서(3030) 및 제4 센서(3040)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몇 가지 기능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것 외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sensor 3010, the second sensor 3020 described above, the third sensor 3030, and the fourth sensor 3040 described later should not be limited to a few func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scope of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must be interpreted, including cases where it has func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3 센서(3030)를 위한 제3 영역(1030) 및 제4 센서(3040)를 위한 제4 영역(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센서(3030) 및 제4 센서(3040)는 센서부(3000)에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a third area 1030 for the third sensor 3030 and a fourth area 1040 for the fourth sensor 3040. Here, the third sensor 3030 and the fourth sensor 3040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unit 3000.

제3 센서(3030)의 기능에 따라서 제3 영역(1030)은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제3 센서(3030)의 수신 영역과 대응되는 불투명층(2100)의 일부에 개구부(2110)가 위치할 수도 있고,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third sensor 3030, the third area 1030 may or may not include a pattern area. Additionally, the opening 2110 may or may not be located in a part of the opaque layer 21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area of the third sensor 3030.

제4 센서(3040)의 기능에 따라서 제4 영역(1040)은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제4 센서(3040)의 수신 영역과 대응되는 불투명층(2100)의 일부에 개구부(2110)가 위치할 수도 있고,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fourth sensor 3040, the fourth area 1040 may or may not include a pattern area. Additionally, the opening 2110 may or may not be located in a part of the opaque layer 21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area of the fourth sensor 3040.

상술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센서부(3000)에 포함된 다수(적어도 3개 이상)의 센서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단순히 4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이 제1 영역(1010) 내지 제3 영역(1030)을 가지는 것, 제1 영역(1010) 내지 제4 영역(1040)을 가지는 것, 또는 그 외에 더 많은 영역을 가지는 것은 상술한 도 8 또는 상술한 기재를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도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intended to explain that a plurality of sensors (at least three or more) included in the sensor unit 3000 correspond to at least a part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orresponds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is not intended to explain that the film 1000 simply includes four regions. Therefor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has the first region 1010 to the third region 1030, the first region 1010 to the fourth region 1040, or more regions. What ha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G. 8 or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and such cases may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 영역(2210), 즉 불투명층(2100)의 개구부(2110)가 하나의 센서의 수신 영역과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불투명층(2100)의 개구부(2110)는 둘 이상의 센서, 예를들어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대응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opening area 2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at is, the opening 2110 of the opaque layer 2100, has been described as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area of one sensor, but the opening 2110 of the opaque layer 2100 ) may correspond to the reception area of two or more sensor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을 참조하면, 개구부(2110)는 대상 부재(2000)에 대한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개구부(2110), 즉 불투명층(2100)이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을 위해 제거되는 것은 다양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opening 2110 may be set based on the reception areas of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for the target member 2000. There may be various cases in which the opening 2110, that is, the opaque layer 2100, is removed for the receiving areas of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일 예로, 제2 센서(3020)가 광학 센서인 경우, 개구부(2110)는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sensor 3020 is an optical sensor,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receiving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다른 예로, 제2 센서(3020)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투명층(2100)을 제거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 때, 개구부(2110)는 광뿐 아니라 다른 파장을 투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is may be to remove the opaque layer 2100 that may affect the function of the second sensor 3020. At this time, the opening 2110 may be used to transmit not only light but also other wavelengths.

예를 들어, 불투명층(2100)이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불투명층(2100)은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불투명층(2100)은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aque layer 2100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the opaque layer 2100 may block radio waves. The opaque layer 2100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can block signals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이 때, 개구부(2110)는 전파를 투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개구부(2110)가 투과한 전파는 센서부(30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센서(3020)가 전파를 수신/전달하는 것인 경우, 개구부(2110)는 제2 센서(3020)의 전파 수신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개구부(2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센서(3020)를 위한 제2 영역(1020)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센서(3020)에 대한 개구부(2110)와 제2 영역(1020) 사이의 관계는 상술한 실시예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opening 2110 may be used to transmit radio waves. Radio waves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 2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3000. When the second sensor 3020 receives/transmits radio waves,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radio wave reception area of the second sensor 3020.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11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area 1020 for the second sensor 30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2110 of the second sensor 3020 and the second area 1020 may be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한편, 불투명층(2100)이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을 위해 제거되는 이유는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Meanwhile, it is obvious that the reason why the opaque layer 2100 is removed for the receiving area of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may include various examples not mentioned. do.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는 대상 부재(2000)에 대한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ption areas of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with respect to the target member 2000.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의 크기 및 위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대한 제1 센서(3010) 및 제2 센서(3020)의 수신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제1 영역(1010) 및 제2 영역(1020)의 크기 및 위치는 개구부(2110)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re determined by the reception of the first sensor 3010 and the second sensor 3020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rea, but as described abov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1010 and the second area 1020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re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pening 2110. It may be decided.

한편, 도 9에서는 제2 영역(1020)이 포함하는 패턴부의 패턴이 버스바(1300)와 수직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른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 9에서는 제2 영역(1020)의 단면이 요철 형태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패턴부의 패턴에 따라 단면상에서 요철 형태가 드러나지 않은 것뿐일 것이다. Meanwhile, in FIG. 9,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included in the second area 1020 is shown as perpendicular to the bus bar 130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pattern. Also, in FIG. 9,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1020 is shown as not having an uneven shape. However, this may simply mean that the uneven shape is not revealed in th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층(2100)이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고, 불투명층(2100)의 폭이 대체적으로 일정하나 대상 부재(2000)의 상부에 불투명층(2100)의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불투명층(2100)이 대상 부재(2000)의 상부에 가까이 위치한 별도의 부재, 예를 들어 룸 미러(room mirror) 또는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를 가리기 위함일 수 있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불투명층(2100)은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opaque layer 2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located along the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and the width of the opaque layer 2100 is generally constant, but the opaque layer (2100)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target member 2000. It has been explained on the basis that the width of 2100 is formed to be large - this means that the opaque layer 2100 is a separate member located close to the top of the target member 2000, for example, a room mirror or an inside mirror. This may be to cover the mirror -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opaque layer 2100 may have a different shape.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불투명층(2100)은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할 수 있고,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로부터 불투명층(2100)이 형성된 위치, 즉 불투명층(2100)의 폭은 대체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10 and 11,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located along the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and the position where the opaque layer 2100 is formed from the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that is, the opaque layer ( The width of 2100) may be generally constant.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불투명층(2100)의 형상이 도 4에 도시된 불투명층(2100)의 형상과 상이한 이유는 룸 미러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룸 미러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다른 구성/부품으로 대체되는 경우, 불투명층(2100)은 이를 가리기 위해 두껍게 형성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불투명층(2100)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불투명층(2100)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영역보다 작을 수 있을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shape of the opaque layer 2100 shown in FIGS. 10 and 11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paque layer 2100 shown in FIG. 4 may be because a separate member such as a room mirror is not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re is. If a separate member, such as a room mirror, is replaced with another component/part, the opaque layer 2100 may not need to be thickly formed to cover it.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opaque layer 2100 shown in FIGS. 10 and 11 obstructs the driver's view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where the opaque layer 2100 shown in FIG. 4 obstructs the driver's view.

이 때, 발열체 영역(2200)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부재(2000)의 상부 중앙에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부재(2000)의 상부 중앙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대상 부재(2000)의 하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도 있다. 발열체 영역(220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upper center of the target member 2000 as shown in FIG. 10, but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target member 2000 as shown in FIG. 11. It may be located close to the lower part of the target member 2000. The loc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may be located in various locations not mentioned.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영역(2200)이 불투명층(2100)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것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발열체 영역(2200)이 불투명층(2100)의 일부에 대응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being located in the inner area of the opaque layer 210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is located in the inner area of the opaque layer 2100. It may correspond to some.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의 다시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to 17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대상 부재(2000)는 시야 영역(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야 영역(2002)은 사용자에게 대상 부재(2000) 너머의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투명한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to 17 , the target member 2000 may include a viewing area 2002. Here, the viewing area 2002 may refer to a transparent area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view beyond the target member 2000.

발열체 영역(2200)은 시야 영역(2002)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시야 영역(2002)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외곽선은 시야 영역(2002)보다 대상 부재(2000)의 중앙으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는 내부 영역은 시야 영역(2002)를 포함하고,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외곽선은 불투명층(2100)의 외곽선 보다 대상 부재(20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The heating element area 2200 may include a viewing area 2002.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cover the entire viewing area 2002. The outlin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target member 2000 than the viewing area 2002. The inner area defined by the outlin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ncludes the viewing area 2002, and the outlin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arget member 2000 rather than the outline of the opaque layer 2100. It can be located close by.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의 대부분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중앙은 시야 영역(2002)과 대응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가장자리는 불투명층(2100)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130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불투명층(2100)과 대응될 수 있다. 이는 버스바(1300)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be located in most areas of the target member 2000.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correspond to the viewing area 2002. An edg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correspond to the opaque layer 2100. Here, the bus bar 1300 is located in a partial area close to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and may correspond to the opaque layer 2100. This may be to prevent the bus bar 1300 from being recognized.

이 때, 버스바(1300)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으로부터 대상 부재(2000)에 열이 전달되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시야 영역(2002)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시야 영역(2002)에 발생하는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13,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rea wher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o the target member 2000 may differ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bus bar 1300 is formed. As an exampl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transfer heat to the viewing area 2002 to remove fogging/frost occurring in the viewing area 2002. This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3, 16, and 17.

다른 예로,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불투명층(2100)이 위치한 대상 부재(2000)의 일부, 자세하게는 센서부(3000)와 대응되는 대상 부재(2000)의 일부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센서부(3000)의 오작동 또는 오류 정보의 수집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ransfers heat to a part of the target member 2000 where the opaque layer 2100 is located, specifically to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2000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3000, thereby Malfunction of the unit 3000 or collection of error information may be prevented. This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한편 도 12 내지 도 17에 있어서, 일부 버스바(1300)는 곡률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곡선, 직선 및 그 밖에 형태를 가지는 버스바도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Meanwhile, in FIGS. 12 to 17, some of the bus bars 1300 are shown as having a curvatur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obvious that bus bars having curves, straight lines, and other shape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버스바(1300)의 위치에 따른 투명 발열 필름(1000)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한다.Below, various examples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s bar 1300 will be described.

도 13를 참조하면, 버스바(1300)는 투명 발열 필름(1000)의 대부분을 통해 열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투명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의 시야 영역(2002) 및 센서부(3000)와 대응되는 영역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그 영역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bus bar 1300 may be arranged to generate heat through most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That is,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can remove fogging/frost generated in the viewing area 2002 and the sensor unit 3000 of the target member 2000 by transferring hea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3000.

두 개의 버스바(1300)는 투명 발열 필름(100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두 개의 버스바(1300)는 시야 영역(2002)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투명 발열 필름(1000) 또는 대상 부재(2000)의 두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The two bus bars 130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edge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The two bus bars 1300 may be positioned at two edges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or the target member 2000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viewing area 2002.

버스바(1300)는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를 들어,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은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 중 상부 또는 하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소정의 각도(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30도 이하일 수 있음)를 가지도록 배치된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를 도시한 것이나, 투명 발열 필름(1000)의 대부분에 열이 발생하도록 배치된 버스바(1300)의 배치형태는 상술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치형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bus bar 1300 may include a first bus bar 1310 and a second bus bar 1320. For example,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may b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may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respectively. Here, FIG. 13 shows a first bus bar 1310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or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30 degrees or less). ) and the second bus bar 1320, but the arrangement of the bus bar 1300 arranged so that heat is generated in most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above drawing, and various It may include the layout type.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전달된 전기 에너지는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사이에는 시야 영역(2002)이 위치할 수 있고, 시야 영역(2002)의 김서림/성에는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사이를 이동하는 전자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사이에는 불투명층(2100)과 대응되는 대상 부재(2000)의 비시야 영역의 일부가 위치할 수도 있다. Electrical energy transferred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move from one of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to the other. A viewing area 200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nd the fogging/fogging of the viewing area 2002 may include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can be removed through electrons moving between them.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non-viewable area of the target member 2000 corresponding to the opaque layer 21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버스바(1300)는 투명 발열 필름(1000)의 일부를 통해 열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투명 발열 필름(1000)은 센서부(3000)와 대응되는 영역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그 영역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the bus bar 1300 may be arranged to generate heat through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That is,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transfers hea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3000, thereby removing fog/frost generated in the area.

두 개의 버스바(1300)는 투명 발열 필름(1000) 또는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나, 시야 영역(2002)을 기준으로 한 쪽 가장자리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 또는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 영역(가장자리와 가까운 일부 영역을 지칭함) 중 일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서로 평행하며, 세로, 가로 또는 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The two bus bars 130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edge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or the target member 2000, but may all be located at one edge based on the viewing area 2002. For example,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face each other in some of the edge areas (refers to some areas close to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or the target member 2000. Can be positioned to view. Here,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at an angle.

여기서, 도 14는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 중 상부 또는 하부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또는 소정의 각도(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60도 이상일 수 있음)를 가지도록 배치된 버스바(13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대상 부재(2000)의 가장자리 중 상부 또는 하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소정의 각도(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30도 이하일 수 있음)를 가지도록 배치된 버스바(1300)를 도시한 것이나, 투명 발열 필름(1000)의 일부에 열이 발생하도록 배치된 버스바(1300)의 배치형태는 상술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치형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FIG. 14 shows a bus bar 1300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or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60 degrees or more). 15 shows a bus bar 1300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or at a predetermined angle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30 degrees or less) with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arget member 2000.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bus bar 1300 arranged to generate heat in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and may include various arrangements.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에 전달된 전기 에너지는 불투명층(2100)과 대응되는 대상 부재(2000)의 비시야 영역의 일부를 횡단할 수 있고, 비시야 영역의 일부에 발생하는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사이에는 센서부(3000)의 센서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사이의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일부 영역은 개구부(2210)와 대응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energy transferred to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traverse a portion of the non-viewable area of the target member 2000 corresponding to the opaque layer 2100, and may cause fogging/frost occurring in a portion of the non-visible area. It can be removed. At least on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30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 partial area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between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may correspond to the opening 2210.

한편,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가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다른 일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FIGS. 14 and 15,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re shown as being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re shown in FIGS. The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may be located in other parts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버스바(1300)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의 대부분 또는 일부를 통해 열이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투명 발열 필름(1000)은 대상 부재(2000)의 시야 영역(2002) 또는 센서부(3000)와 대응되는 영역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그 영역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전체적/부분적으로 선택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발열체에 소비되는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6 and 17 , the bus bar 1300 may be arranged to generate heat through most or part of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That is, the transparent heating film 1000 transfers heat to the viewing area 2002 of the target member 2000 or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3000, thereby removing fog/frost generated in the area.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can be selectively driven wholly or partially, which may be to use the power consumed by the heating element more efficiently.

버스바(1300)는 두 개 이상일 수 있고, 버스바(1300) 중 두 개에 전압이 인가되면 그 두 개의 버스바(1300) 사이의 영역에 열이 발생할 수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bus bars 1300, and when voltage is applied to two of the bus bars 1300, heat may be generated in the area between the two bus bars 1300.

도 16를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네 개의 버스바(13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중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제3 버스바(1330) 및 제4 버스바(1340)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four bus bars 1300, of which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r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third bus bar 1330 and the fourth bus bar 1340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야 영역(2002)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도 있고,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3 버스바(1330) 및 제4 버스바(134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비시야 영역의 일부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remove fogging/frost generated in the viewing area 2002 by applying voltage to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 may remove fogging/frost generated in a portion of the non-viewable area by applying voltage to the third bus bar 1330 and the fourth bus bar 1340.

도 17을 참조하면,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세 개의 버스바(13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중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는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제3 버스바(1330)는 '도 15의 제1 버스바(1310)'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include three bus bars 1300, of which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r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third bus bar 1330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bus bar 1310 of FIG. 15'.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1 버스바(1310) 및 제2 버스바(132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야 영역(2002)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도 있고, 투명 면상 발열 필름(1000)은 제2 버스바(1320) 및 제3 버스바(133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비시야 영역의 일부에 발생한 김서림/성에를 제거할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may remove fogging/frost generated in the viewing area 2002 by applying voltage to the first bus bar 1310 and the second bus bar 1320, and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1000 ) may remove fogging/frost generated in a portion of the non-viewable area by applying voltage to the second bus bar 1320 and the third bus bar 133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불투명층을 포함하는 대상 부재에 장착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에 있어서,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이 위치한 상기 대상 부재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대상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하며,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In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mounted on the target member including an opaque layer,
A conductive layer containing metal nanostructures that intersect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bus bar formed on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for applying voltage to the conductive layer,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bus bar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target member where the opaque layer is located,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area transmits light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The second area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area includes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중앙보다 상기 대상 부재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대상 부재 중 상기 불투명층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는 내부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layer is located closer to the edge of the target member than the center of the target member,
The bus bar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area defined by the outline of the opaque layer among the target members.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ductive layer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target member.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상기 불투명층에 형성된 개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region are determined based on the opening formed in the opaque layer.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전파 수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의 크기는 상기 전파 수신 영역의 크기보다 큰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rea includes a radio wave receiving area, and the size of the pattern port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adio wave receiving are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대상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 센서와 대응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third area corresponding to a third sensor located outside the target member.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부재는 제1 대상 부재, 제2 대상 부재 및 상기 제1 대상 부재와 상기 제2 대상 부재 사이에 위치한 불투명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기 제1 대상 부재와 상기 제2 대상 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대상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대상 부재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member includes a first object member, a second object member, and an opaque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object member and the second object membe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object member and the second object member,
When defining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target member to the first target member as the first direction, the bus bar is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paque layer.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차량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윈도우에 있어서,
투명 부재;
상기 투명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광을 차단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불투명층; 및
상기 불투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상호 교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일부에 형성된 버스바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고, 상기 투명 부재에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도전물질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부재에 입사되는 전파를 투과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In automotive windows mounted on vehicles,
transparent member;
an opaque layer locat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to block light from the outside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locat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opaque layer and includes a conductive layer including metal nanostructures that intersect each other, and a bus bar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Th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corresponds to the opening and transmits light incident on the transparent member,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pattern portion from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partially removed, and transmits radio waves incident on the transparent member.
Automotive window contain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은 상기 투명 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은 상기 불투명층의 외곽선으로 정의되는 내부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층은 상기 불투명층의 상기 개구부를 커버(cover)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불투명층의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를 포함하는
투명 면상 발열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유리.

According to clause 8,
The opaque laye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edge of the transparent member,
The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region defined by the outline of the opaque layer,
The conductive layer covers the opening of the opaque layer,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sandwiching the opening of the opaque layer.
Automotive glass containing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KR1020200118279A 2020-09-15 2020-09-15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KR102431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79A KR102431803B1 (en) 2020-09-15 2020-09-15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279A KR102431803B1 (en) 2020-09-15 2020-09-15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103A true KR20220036103A (en) 2022-03-22
KR102431803B1 KR102431803B1 (en) 2022-08-11

Family

ID=8098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279A KR102431803B1 (en) 2020-09-15 2020-09-15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700A (en) * 2014-11-03 2017-07-0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Transmissive front-face heater for vehicle sensor system
KR101861235B1 (en) * 2016-05-03 2018-05-29 전자부품연구원 Conductive film comprising silver nano wire,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700A (en) * 2014-11-03 2017-07-0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Transmissive front-face heater for vehicle sensor system
KR101861235B1 (en) * 2016-05-03 2018-05-29 전자부품연구원 Conductive film comprising silver nano wire,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803B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3164B2 (en) Window glass with heatable light transmission sensor array
CN111409314B (en) Automobile laminated glass
JP5905109B2 (en) Flat glass with illuminated switch face
KR102175577B1 (en) Electrode Plate and Electrochomic Mirror Using the Same
KR102663943B1 (en) Automotive composite pane glass with heatable inlay elements
US20220272798A1 (en) Transparent heating film
EA028505B1 (en) P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529327A (en) Transparent electrode
WO2019230733A1 (en) Glass
JP7209461B2 (en) Laminated glass for vehicles, image display systems and windshields
CA2918636A1 (en) Heatable laminated side pane
KR102606457B1 (en) External luminous signal vehicle glazing, vehicles incorporating it and their manufacturing
CN112154064A (en) Composite glass pane having a recess in the inner glass pane
JP2007079452A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reflective sheet
CN115119541A (en) Glass pane with heatable sensor region
CN114040845B (en) Glass element, device with glass element and related thermal imager
KR20220036103A (en) Transparent planar heating film
KR102663944B1 (en) Composite pane containing functional inlay elements
KR20120029786A (en) Out side mirror in vehicle
KR102356440B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R102228662B1 (en) Transparent heating film
JP7338666B2 (en) Electromagnetic wave sensor cover
JP4052245B2 (en) Corner cube retroreflective skin material
US20240157912A1 (en) Pane arrangement with a heatable sensor window
JP7444052B2 (en) Glass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