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491A -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491A
KR20220035491A KR1020227005851A KR20227005851A KR20220035491A KR 20220035491 A KR20220035491 A KR 20220035491A KR 1020227005851 A KR1020227005851 A KR 1020227005851A KR 20227005851 A KR20227005851 A KR 20227005851A KR 20220035491 A KR20220035491 A KR 2022003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stator core
cover element
wall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1771B1 (ko
Inventor
다비드 월리스코
베른트 건터만
세놀 게츠겔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3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6Self-contained devices, i.e. including own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축(7)을 따라 배치된 로터 및 스테이터 코어(2)를 갖는 스테이터(1)를 구비한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1)는 코일(5)들의 도선(8)의 섹션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서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벽이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 및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장착하기 위한 각각 벽(4a)에 의해 완전하게 둘러싸인 연결 통로들을 갖는 장착 요소(4)들을 구비한 커버 요소(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케이블(8a)들 또는 연결 라인(8b)들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절연 요소(6)의 벽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 요소(3)는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2)에서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 접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벽을 덮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2), 커버 요소(3)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포팅 재료(12)에 의해 충전된다.

Description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증기 유체, 특히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 장치, 특히 전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는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공통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터 및 스테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는 코일들의 도선의 섹션으로서 형성된 연결 케이블들과 연결 라인들을 갖는다.
냉매 압축기로도 지칭되는, 냉매 회로를 통해 냉매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이동성 애플리케이션들용, 특히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들용 압축기들은 종종 가변 용량을 갖는 피스톤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들은 풀리에 의해 구동되거나 전기적으로 구동된다.
전동식 압축기는 적절한 압축 기구(compressing mechanism)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이외에 이러한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버터는 차량 배터리의 직류를 전기 연결을 통해 전기 모터에 공급되는 교류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동식 압축기들의 종래의 전기 모터들은 스테이터 코어 상에 배치되는 코일들을 갖는 링 모양의 스테이터 코어와 로터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내부에 배치된다. 로터 및 스테이터는 로터의 회전축 또는 공통 대칭축 상에 정렬되고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다. 한편으로 자동차 내에서의 설치 공간을 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테이터를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의 구성요소들 사이, 특히 스테이터와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다.
인버터는 전기 모터의 연결부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들과 핀들로 형성되고, 스테이터의 코일들의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인 커넥터들용 플러그 연결부들을 가진다. 상기 연결 케이블들은 스테이터 코어의 단부면들을 따라 안내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모터 하우징에 대해 스테이터 절연체로 덮여 있지 않다. 또한, 하우징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간격이 종종 매우 좁다.
예를 들어,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과 높은 절연 저항을 모두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상 도체들로도 지칭되는 연결 라인들 또는 도선들이 서로로부터, 그리고 스테이터 및 모터 하우징의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로부터 모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특히 에나멜 구리선(enamelled copper wire)으로 형성된, 코일들의 도선들의 섹션들로서 전기 모터의 개별 위상의 연결 라인들의 영역들은, 플라스틱 절연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충분하지 않은 연면 거리들(creepage distances) 및 간극들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압 레벨에 따라,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 간에 충분한 절연 간극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절연체는 또한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결함들 또는 다공성, 특히 핀홀들을 나타낼 수 있고, 절연 저항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특히 하우징의 구성요소들에 전기적 플래시 오버(flashover)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만약 각각 절연에서 결함을 나타내는 2개의 구리선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결함들이 서로 직접 대향하거나 적어도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구리선들 간의 전기적 플래시 오버의 위험은 매우 크다.
특히 예를 들어 최대 1,000V와 같은 고전압 범위에서 작동할 때, 전기 구동식 압축기에서의 요구 사항들은 특히 매우 높다. 국제 표준은, 예를 들어, 지정된 전압 범위를 위해 2개의 도선들 사이에서 또는 인접하는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에 대해 연면 거리들 및 간극들이 최소 10mm 내지 14mm일 것을 요구한다. 2개의 코일들 사이에서 가장 짧은 에어 갭이 일반적으로 약 4mm이고, 가장 짧은 연면 거리가 일반적으로 약 5mm인 약 400V의 초고전압(약어 "EHV(extra-high voltage)")을 위한 최첨단 전기 모터 내부에 설치된, 공기 조화 시스템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밀폐된 전기 모터를 위한 최소 800V의 극고전압(약어 "UHV(ultra-high voltage)")에서의 사용을 위한 절연 시스템이 자동차 산업의 가장 큰 과제이다.
필요한 절연 간극 또는 절연 거리를 달성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의 전동식 압축기들의 전기 모터들은,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 그리고 더 나아가 압축기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 사이에 충분히 큰 거리들,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에 대해 충분하지 않은 거리를 갖는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의 영역들이 완전히 포팅되는 것을 요구한다. 연결 라인들의 포팅과 함께, 전압 레벨에 따라,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 그리고 더 나아가 압축기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 사이에 포팅되지 않은 연결 라인들에 비해 더 좁은 간극들도 가능하다. 포팅되지 않은 연결 라인들을 갖는 모터를 사용할 경우, 모터에 의해 또한 전동식 압축기용으로도 큰 장착 공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 유체의 전동식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를 제공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최소 800V 내지 1,000V의 전압 레벨에서도 절연 조정에 대한 관련 요구 사항들이 충족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특히, 도선들 또는 도선들의 연결 케이블들 또는 연결 라인들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인접하는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상기 장치는 쉽고 따라서 시간 절약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가져야 하며, 그리고 예를 들어 무게와 필요한 공간 및 제조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쉽게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독립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특히 전기 모터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장치는 2개의 단부면들 사이에서 공통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터와 스테이터 코어를 갖는 고정된 스테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된 코일들의 도선의 섹션으로서 형성된 연결 케이블들과 연결 라인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로터의 외측 표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로터를 둘러싸면서 위치된다.
상기 도선들은 코일들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권취된 에나멜 구리선으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서 권취되지 않은 도선들의 단부들은 연결 케이블들 또는 연결 라인들로서 그리고 각각 도선들의 자기 비활성 섹션으로서 대응하는 권선으로부터 유도되어 나온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위상의 코일들의 연결 및 접속을 위한 연결 케이블들은 코일들의 영역에서의 도선들과 유사하게 코일들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지 에나멜로 형성되는 반면,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의 연결부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라인들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킷으로 절연된다.
상기 스테이터는 절연 요소를 갖고, 상기 절연 요소의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의, 특히 중공 원형 원통형의 벽은 상기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에서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보다 돌출하며, 여기서 연결 케이블들 또는 연결 라인들은 상기 절연 요소의 벽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용어 '축 방향'은 상기 로터의 종축 및 회전축에도 상응하는 상기 스테이터의 종축의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축 방향으로 정렬된 일 단부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배치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각각 벽에 의해 둘레 주위로 둘러싸인,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 통로들을 갖는 장착 요소들을 구비한 커버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요소는 상기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들 또는 연결 라인들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보다 돌출하는 상기 절연 요소의 벽을 덮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둘레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접촉하고 이를 완전히 둘러싸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기 커버 요소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보다 돌출하는 상기 절연 요소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팅 재료로 충전된다.
상기 절연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벽의 내부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절연 요소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개선 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코일들을 형성하기 위해 권취된 도선들의 반전 영역들이 상기 커버 요소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가려져 있고, 포팅 재료로 포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요소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중공 원형 원통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폐쇄된 둘레를 갖는, 그리고 축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링 표면들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하나의 링 표면을 갖는 링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요소의 외부 반경과 내부 반경에 배치된 상기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반경 방향 링 표면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이 상기 스테이터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들은 상기 커버 요소가 링 윤곽을 통한 단면에서 U자 형상을 갖도록 그들의 단부면들이 서로 연결되어 배치된다는 것이다.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을 향해 말단으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의 일 단부면, 특히 상기 커버 요소의 내부 반경에 배치된 배치된 링 표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접촉한다. 서로 연결된 상기 링 표면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은 포팅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링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 주위로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여기서 단지 상기 반경 방향 링 표면은 연결 통로의 벽의 영역에서 관통 개구를 갖는다.
상기 커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된 상기 커버 요소는 또한, 특히 필요한 절연 간극들을 보장하기 위해 포팅 재료와 조합하여서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위한 장착 요소들이 상기 커버 요소의 일체형 부품들이며, 그 결과 상기 커버 요소와 상기 장착 요소들이 하나의 유닛, 특히 일체형 사출 성형 요소로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선들의 상기 연결 케이블들 또는 연결 라인들이 상기 절연 요소의 벽의 외측 표면에 접하도록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절연 요소의 벽의 외측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라인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 방향으로 리세스로서, 특히 홈으로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를 갖는다. 도선의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라인은 칼라 내에 완전히 통합될 수 있다.
'완전 통합'은 도선의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라인이 칼라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상기 도선은 이의 전체 직경에 걸쳐 상기 칼라 내에 매립된다. 상기 도선은 그 어떤 위치에서도 상기 칼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도선의 최대 직경은 상기 칼라의 깊이보다 작거나 상기 칼라의 깊이에 상응한다.
상기 절연 요소의 벽 내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 요소의 벽 내부에 적어도 2개의 칼라들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칼라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서로 적절한 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개선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들은 원통형으로, 특히 원형 원통형 또는 핀형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커버 요소의 장착 요소의 연결 통로를 통해 운반되며,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를 장착하고 포팅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원형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간극이 상기 장착 요소의 벽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한 중공 원형 원통형 슬리브로서 각 하나의 접촉 요소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측면 표면의 내부 표면에 의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를 둘러싸고 전기적 접촉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상기 접촉 요소의 외경이 포팅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간극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통로의 벽의 내경에 상응하는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접촉 요소를 상기 장착 요소 및 이에 따라 상기 커버 요소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 요소와 상기 장착 요소의 벽 사이에 포팅 재료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경우에 상기 코일들의 상기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이, 상기 접촉 요소를 통해, 일 단부에서 상기 접촉 요소 내에 배치된 플러그인 커넥터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한다. 여기서, 상기 도선의 단부는 상기 스테이터를 향해 정렬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 요소의 일 단부면에서 상기 접촉 요소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스테이터를 장착할 때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연결 케이블들과 연결 라인들을 갖는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감긴 도선들 및 절연 요소와 함께 스테이터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연결 케이블들과 연결 라인들은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의 벽에 배치되고,
- 축 방향으로 정렬된 스테이터 코어의 일 단부면에 각각 벽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결 통로들을 갖도록 형성된 장착 요소들을 구비한 커버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연결 통로들은 각각 도선의 연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하나의 접촉 요소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접촉 요소들 각각의 내에 각 하나의 플러그인 커넥터가 삽입되며, 그리고
- 상기 스테이터 코어, 커버 요소 및 절연 요소, 그리고 상기 장착 요소들의 벽들과 상기 접촉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포팅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 및
- 공통의 종축 상에 로터와 스테이터를 배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로터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연속하는 공동으로서 형성된 체적이 포팅 재료에 의한 포팅을 단일 공정 단계로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개선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단계 동안, 상기 커버 요소 및 상기 스테이터의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된,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들의 반전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적어도 국부적으로 포팅 재료로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커버 요소 및 절연 요소 사이에, 그리고 상기 장착 요소들의 벽과 상기 접촉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 및 상기 커버 요소 및 상기 스테이터의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된,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들의 반전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연속적인 유닛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 내의 냉매 압축기용으로 증기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최소한의 필수 구성요소들을 갖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들을 갖는다:
- 간단한 조립 그리고 절연 요소 또는 스테이터 코어 상에 커버 요소의 간단한 고정, 이와 동시에 특히 포팅 재료에 의한 U자형 섹션을 충전하여 커버 요소를 포팅함으로써 도선들의 연결 케이블들과 연결 라인들의 최상의 전기 절연이 달성되고, 여기서 특히 접촉 요소들에 대한 연결부들을 갖는 상기 연결 케이블들, 연결 라인들 및 커버 요소와 스테이터 코어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에 배치된 모든 추가적인 전기 전도성 연결부들이 하나의 공정 단계에서 서로에 대해 그리고 주변에 대해 밀폐형으로 절연되며, 또한, 냉매와 전류가 흐르는 연결부들의 완전한 절연 그리고 이에 따라 포팅된 영역들 내에서 최소한의 오염도가 달성되고,
- 전압 레벨에 따라, 플러그인 커넥터들과 접촉 요소들 간의 전기적인 플러그 연결들의 절연 뿐만 아니라 절연 저항은 증가하고 필요한 공간은 감소하며,
- 전압 레벨에 따라, 필요한 절연 거리들을 제공함으로써 도선들과 추가 전기 전도성의 비활성 구성요소들 사이에 단락 전류 발생이 방지되고,
- 충분하지 않은 절연 저항으로 인해 제조 시 폐기율이 감소하여, 최소 수준의 비용이 발생하며, 그리고
- 압축기의 사용 수명이 최대화된다.
커버 요소의 단일 조립 단계에 의해, 특히 코일들 또는 도선들, 특히 도선들의 연결 라인들, 구체적으로 연결 케이블들의 사이에서 특히 자기 비활성 연결부들이, 절연 간극을 확대시키고 절연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완전히 덮여 있다. 더욱이, 모터의 하우징을 향해 정렬된 스테이터의 단부면이 기계적으로 강화되며, 이는 하우징에서 스테이터의 수축 단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들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a는 스테이터 코어 및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된,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요소들을 갖는 커버 요소와 함께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 모터의 스테이터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1b 및 1c는 커버 요소 없이 스테이터의 제1 단부면의 상세도를 각각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1d는 커버 요소를 포함하여 도 1a의 스테이터의 상세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2a 및 2b는 커버 요소를 장착 요소들에 삽입된 플러그인 커넥터들과 함께 상세도로 도시하고, 그리고 추가로 연결 라인들과 함께 각각 평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2c는 커버 요소를 플러그인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장착 요소의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에는, 특히 냉매 회로를 통해 냉매를 운반하기 위한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으로,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 모터의 스테이터(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1)는 스테이터 코어(2) 및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되고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요소(4)들을 갖는 커버 요소(3)와 함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b 및 1c에는 각각 커버 요소 없이, 스테이터 코어(2)에 배치된 코일(5)들을 갖는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의 상세도가 사시도로 도시되는 반면, 도 1d에는 커버 요소(3)를 포함하여 도 1a의 스테이터(1)의 상세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 모터, 예를 들어 3상 교류 모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로터 및 반경 방향으로 상기 로터의 외측 표면에, 따라서 상기 로터 둘레에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시트들로서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2) 및 전기 절연 재료로부터 형성된 절연 요소(6)가, 스테이터(1)의 종축 및 로터의 회전축에도 상응하는 종축(7)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2 단부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절연 요소(6)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터 코어(2)의 오버몰드(overmold)로서, 그리고 이에 따라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상기 코일(5)들은 각각, 도선(8)으로도 지칭되고 전기 도체로서 형성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스테이터 코어(2)의 영역 둘레에 권취되는 하나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전체 도선(8)들은 에나멜 구리선으로부터 형성된다. 권취되지 않은 도선(8)들의 단부들은 각각 자기 비활성 섹션인 연결 케이블(8a)들 또는 연결 라인(8b)들로서 상응하는 권선으로부터 유도되어 나온다.
동일한 위상의 코일(5)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 케이블(8a)들은 도선(8)들의 제1 섹션으로서 에나멜 처리된 전선들로만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전기 모터의 연결부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성된 연결 라인(8b)들은 도선(8)들의 제2 섹션으로서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절연되어 있다.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스테이터 코어(2)의 영역들은 웨브(web) 형태를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2)의 외벽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스테이터 코어(2)와 코일(5)들의 도선(8)들을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 요소(6)가, 코일(5)들의 도선(8)들과 스테이터 코어(2)의 해당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 요소(6)는 내부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정렬된 웨브들의 단부들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기재된 방식으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반전 영역들은 스테이터 코어(2)의 웨브들 둘레에 권취된 코일(5)들의 도선(8)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테이터 코어(2), 코일(5)들 및 절연 요소(6)는 전기 모터의 스테이터 유닛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터 코어(2)의 오버몰드로서 형성된 절연 요소(6)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 측면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2)의 외벽의 내부와 접촉한다. 절연 요소(6)의 벽은, 특히 도 1b 및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1)의 단부면들에서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한다.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자기 활성 섹션들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절연 요소(6)의 영역들 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절연 요소(6)는 스테이터 코어(2)와 코일(5)들의 도선(8) 사이에 배치된다.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영역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벽을 가지며, 이 벽은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중단된다. 자기 비활성이고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지 않으며 코일들(5)의 권선들 사이에서 연결 케이블(8a)들로서 형성되는 도선(8)들의 영역들은,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영역 내에서 전체 둘레 주위를 돌고, 그루브 형태로 형성된 칼라들 내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연결 라인(8b)들로서 형성된, 도선(8)들의 자기 비활성 섹션들 또한, 장착 영역으로도 지칭되는 상기와 같은 칼라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서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도선(8)들의 자기 비활성 섹션들을 갖는 절연 요소(6)의 영역은 연결 링으로도 지칭된다.
모터의 전압 레벨에 따라, 예를 들어 도선(8)들과 인접하는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 간의 단락 또는 플래시 오버(flashover)를 방지하기 위해, 도선(8)들과, 하우징과 같은 모터의 다른 전기 전도성, 금속 구성요소들 또는 압축기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는, 절연 거리로도 지칭되는 관련 표준에 상응하는 관련 간극(clearance)들이 준수되어야 한다. 커버 요소(3)의 설치 덕분에, 절연 간극들은 커버 요소가 없는 절연 간극들에 비해 확장되고, 단락 또는 플래시 오버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1d에 도시된 플러그인 커넥터들을 장착하기 위한, 벽(4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결 통로들을 갖는 장착 요소(4)들을 구비한 커버 요소(3)는,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벽을 덮는다.
스테이터(1)가 장착된 상태에서, 종축(7)을 중심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 커버 요소(3)는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1), 특히 스테이터 코어(2)에 완전히 접촉하고, 여기서 커버 요소(3)의 외경은 스테이터 코어(2)의 외경보다 작다.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위한 장착 요소(4)들은 커버 요소(3)의 일체형 부분들이며, 따라서 커버 요소(3)와 장착 요소(4)들이 하나의 유닛으로서, 특히 일체형 사출 성형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체형 형태는 성형 공정 동안 실현된다.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특히 중공 원통형으로, 구체적으로 중공 원형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체 둘레 주위로 폐쇄된,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으로서 형성된 커버 요소(3)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링 표면(3a)들 및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하나의 링 표면(3b)을 갖는다. 커버 요소(3)의 외부 반경 및 내부 반경 상에 형성된 상기 축 방향 링 표면(3a)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반경 방향 링 표면(3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종축(7)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된 반경 방향 링 표면(3b)은, 커버 요소(3)가 링 윤곽을 통한 단면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다리 길이를 갖는 U자 형상을 갖도록 축 방향 링 표면(3a)들을 서로 연결한다. 제1 축 방향 링 표면(3a)은 외벽으로서 형성되고, 반면 제2 축 방향 링 표면(3a)은 내벽으로서 형성된다. 반경 방향 링 표면(3b)은 단부면들에서 축 방향 링 표면(3a)들을 서로 연결한다. 링 표면(3a, 3b)들은 각각 전체 둘레 주위로 폐쇄된 표면들로서 형성되고, 여기서 반경 방향 링 표면(3b)은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연결 통로들의 벽(4a)들의 영역에서만 중단되어 있다.
링 표면(3a, 3b)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은,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영역과 이에 배치되는 도선(8)들의 연결 케이블(8a)들 및 연결 라인(8b)들의 수용, 그리고 그에 따라 연결 링의 수용을 위한, 포팅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몰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 커버 요소(3)는 외벽으로서 형성된 제1 축 방향 링 표면(3a)의 내부 표면과, 내벽으로서 형성된 제2 축 방향 링 표면(3a)의 외부 표면과 함께 각각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영역의 벽의 측면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커버 요소(3)는 특히 도선(8)들의, 코일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지 않고 해당 권선들로부터 유도되어 나오거나 또는 해당 권선들에 삽입되는 에나멜 처리된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의 영역들 뿐만 아니라, 스테이터(1)의 주변을 향해,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을 향해 정렬되고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을 덮는다. 특히, 도선(8)들의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은 절연 요소(6)와 커버 요소(3) 사이에서 보호되는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커버 요소(3) 및 또한 절연 요소(6)가 전기 절연 구성요소들이기 때문에, 상기 절연 요소(6) 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요소(3)에 의해 덮힌 도선(8)들은 전기 절연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커버 요소(3)는, 특히 전압 레벨에 따라 예를 들어 모터의 하우징에 대한 확대된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에 의해, 모터의 하우징과 같은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에 대해 절연 간극들 또는 요구되는 절연 저항들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다.
커버 요소(3)의 링 표면(3a, 3b)들과 연결 링, 그리고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공동으로서 형성된 체적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포팅 재료로 충전되거나 포팅되어, 결과적으로 절연 요소(6)와 커버 요소(3)는 그들 사이에 배치된 도선(8)들에 견고하게 그리고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추가 접착제로서 포팅 재료를 이용하여 체적 또는 공동을 포팅함으로써, 전류 흐름을 위한 간극 및 이에 따라 누설 전류 또는 크리핑(creeping) 전류를 위한 가능한 유동 경로를 폐쇄하기 위해 소위 시멘트 접합부(cemented connection)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 요소(3), 절연 요소(6) 및 이러한 절연 요소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은, 인접하는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연면 거리를 피하기 위해, 특히 전기 전도성 요소들 사이에서의 연면 거리를 요구되는 최소 수준으로 연장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데, 특히 시멘트로 접착된다.
따라서 시멘트 접합부는 접착제, 수지, 에폭시 또는 2개의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 간의 전류 흐름을 방지하는 다른 포팅 재료와 같은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2개의 재료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커버 요소(3)는 연결 링의 보호 외에 상이한 위상의 도선(8)들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포팅 재료용 몰드로도 사용된다. 도선(8)들이 서로에 대해 매우 좁은 간극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벽과 커버 요소(3) 사이에 형성되는 전체 공동을 내부에 매립되는 도선(8)들과 함께 포팅 재료로 포팅함으로써 요구되는 연면 거리들 및 간극들이 보장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최소 800V의 극고전압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놓인 요구 사항들을 충족하는 절연 시스템이 제공된다.
게다가, 스테이터(1)의 단부면에서 스테이터 코어(2) 너머로 돌출하는 절연 요소(6)를 커버 요소(3) 및 포팅 재료로 덮음으로써, 전기 모터의 하우징 내부에서 그리고 도선(8)들 사이에서 흐르는 유체로서 냉매에 대한 연결 링에 배치된 도선(8)들의 완전 기밀 밀봉이 제공된다.
전기 모터 또는 압축기의 설치 후, 특히 작동 중에, 커버 요소(3)와 절연 요소(6)의 연결의 자체 분리는 배제된다. 커버 요소(3)는, 특히 작동 동안, 예를 들면 진동에 의한 분리와 같이, 구성요소들이 힘 없이 분리될 수 없을 만큼 절연 요소(6)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2a 및 2b는 커버 요소(3)를 장착 요소(4)들에 삽입된 플러그인 커넥터(9)들과 함께 상세도로, 그리고 연결 라인(8b)들 각각을 평면도로 도시하고, 반면에 도 2c는 커버 요소(3)를 플러그인 커넥터(9)를 삽입하기 위한 장착 요소(4)를 통해 단면도로 도시한다. 스테이터(1)와 인버터 간의 전기적 연결로서 플러그인 커넥터(9)들에 의해서는 각 위상의 도선(8)들이 인버터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핀형 플러그 커넥터(9)들은, 벽(4a)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 전기 모터의 코일(5)들과 인버터 간의 전기적 연결의 구성요소들로서 사용되는, 커버 요소(3)의 장착 요소(4)들의 연결 통로들을 통해 삽입된다. 장착 요소(4)의 벽(4a)과 플러그인 커넥터(9) 사이에는, 특히 도 2a에 도시된 하나의 링형 또는 중공 원형 원통형 간극(10)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10)은 슬리브 형태로 형성된 접촉 요소(11)의 장착을 위한, 그리고 포팅 재료(12)의 수용을 위한 역할을 한다.
코일(5)들의 도선(8)들의 연결 라인(8b)들은 그들의 단부(8c)들 상에서 접촉 요소(11)를 통해 장착 요소(4) 내에 배치된 플러그인 커넥터(9) 또는 접촉 요소(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선(8)의 단부(8c)는 스테이터(1)를 향해 정렬된 접촉 요소(11)의 제1 단부면에서 상기 접촉 요소(11)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되어 있다. 접촉 요소(11)의 제2 단부면은 스테이터(1)에서 멀어지고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중공 원형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촉 요소(11)는, 측면 표면의 내부 표면에 의해 모든 영역에서 전기적 접촉으로 플러그인 커넥터(9)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접촉 요소(11)의 내부 표면의 내경은, 플러그인 커넥터(9)와 접촉 요소(11) 사이의 압력 끼워맞춤을 보장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커넥터(9)의 외경에 상응하거나 약간 작다.
접촉 요소(11)는 장착 요소(4)의 연결 통로 내에 배치되며, 여기서 접촉 요소(11)의 외경은 포팅 재료(12)를 수용하기 위한 간극(10)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연결 통로의 벽(4a)의 내경에 상응한다. 결과적으로 포팅 재료(12)는, 접촉 요소(11)를 장착 요소(4) 및 이에 따라 커버 요소(3)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 요소(11)와 장착 요소(4)의 벽(4a) 사이에 배치된다.
스테이터(1)를 조립할 때, 그리고 절연 요소(6)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2) 및 각각 연결 케이블(8a) 및 연결 라인(8b)을 갖는 도선(8)들, 커버 요소(3) 뿐만 아니라 접촉 요소(11) 및 플러그인 커넥터(9)와 같은 개별 구성요소들을 배치한 후에는, 커버 요소(3)와 절연 요소(6), 그리고 벽(4a)들과 접촉 요소(11)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들이 포팅 재료(12)로 충전되거나 포팅된다. 상기 공동들은 연속적인 체적을 형성하기 때문에, 포팅 재료(12)에 의한 포팅은 단일 공정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요소(3)의 링 표면(3a, 3b)들 및 연결 링에 의해, 그리고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과 장착 요소(4)들의 벽(4a)들 및 접촉 요소(11)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커버 요소(3)가 절연 요소(6) 및 커버 요소(3)와 절연 요소(6) 사이에 배치된 도선(8)들, 그리고 접촉 요소(11)들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9)들 모두에 견고하게 그리고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으로, 포팅 재료(12)로 충전되거나 포팅된다.
도선(8)들의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 및 접촉 요소(11)들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9)들은 포팅 재료(1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덮이며, 따라서 서로로부터 그리고 인접하는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포팅 재료에 의한 포팅은 대안적으로 별도의 공정 단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 요소(11)들과 장착 요소(4)들의 벽(4a)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들은, 이미 포팅된 커버 요소(3) 내부에서,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장착 요소(4)들 내에, 특히 장착 요소(4)들 내에 배치된 접촉 요소(11)들 내에 조립한 후, 포팅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서로로부터 절연한다.
체적은 도 2c에 파선으로 도시된 특정 레벨까지 포팅 재료(12)로 충전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크리핑 전류에 중요한 모든 영역들이 포팅된다. 체적을 포팅함으로써, 크리핑 전류 또는 단락 전류의 형성을 허용하는, 전위 경로(potential path)로도 지칭되는 연면 거리의 형성이 피해지는 방식으로, 인접하는, 특히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이 서로로부터 절연된다. 이 경우 잠재적 크리핑 전류의 유동 경로 또는 경로가 중단되고, 스테이터 코어(2)를 갖는 스테이터(1), 절연 요소(6) 및 도선(8)들의 연장, 특히 종축(7) 방향으로의 연장이 최소화된다. 전류가 흐르는 구성요소들을 서로로부터 그리고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지정된 전압 범위에서의 절연에 대한 요구 사항이 완전히 충족된다.
1: 스테이터 2: 스테이터 코어
3: 커버 요소 3a: 축 방향 링 표면
3b: 반경 방향 링 표면 4: 장착 요소
4a: 장착 요소(4)의 벽 5: 코일
6: 절연 요소 7: 종축
8: 도선 8a: 연결 케이블
8b: 연결 라인 8c: 연결 라인(8b)의 단부
9: 플러그인 커넥터 10: 간극
11: 접촉 요소 12: 포팅 재료

Claims (20)

  1. 2개의 단부면들 사이에서 공통의 종축(7)을 따라 연장되는 로터 및 스테이터 코어(2)를 갖는 스테이터(1)를 구비하는,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로서, 상기 스테이터(1)는
    - 코일(5)들의 도선(8)의 섹션으로서 형성된,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을 포함하며,
    -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서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벽과 함께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8a)들 및/또는 연결 라인(8b)들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절연 요소(6)의 벽 주위에 배치되며,
    - 플러그인 커넥터(9)들을 장착하기 위한, 각각 벽(4a)에 의해 둘레 주위로 둘러싸인 연결 통로들을 각각 갖는 장착 요소(4)들을 구비한 커버 요소(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요소는, 상기 연결 케이블(8a)들 및/또는 연결 라인(8b)들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상기 절연 요소(6)의 벽을 덮는 방식으로,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에서 둘레 주위를 따라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2)에 완전히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2), 상기 커버 요소(3)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상기 절연 요소(6)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팅 재료(12)로 충전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1)의 제1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코일(5)들을 형성하기 위해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이 상기 커버 요소(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포팅 재료(12)로 포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3)가 축 방향으로 정렬된 중공 원형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3)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링 표면(3a)들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하나의 링 표면(3b)으로 둘레 주위가 폐쇄된 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3)의 외부 반경과 내부 반경에 배치되는,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3a)들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반경 방향 링 표면(3b)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3b)은 상기 종축(7)에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3a)들은 상기 커버 요소(3)가 링 윤곽을 통한 단면에서 U자 형상을 갖도록 각 단부면들에서 서로 연결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3)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3b)에 연결된 단부면을 향해 말단으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으로 정렬된 링 표면(3a)의 일 단부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2)에 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표면(3a, 3b)들은 전체 원주에 걸쳐 폐쇄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경 방향 링 표면(3b)은 연결 통로의 벽(4a)의 영역에서 관통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3)는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8)들의 상기 연결 케이블(8a)들 및/또는 연결 라인(8b)들은 상기 절연 요소(6)의 벽의 외측 표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요소(6)의 벽은 연결 케이블(8a) 및/또는 연결 라인(8b)을 장착하기 위한,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연장되고 리세스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colla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9)들은 원통형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벽(4a)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커버 요소(3)의 장착 요소(4)의 연결 통로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1)를 장착하고 포팅 재료(12)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원형 원통형 간극(10)이 상기 장착 요소(4)의 벽(4a)과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9)를 장착하기 위한 각각 중공 원형 원통형 슬리브 형태인 접촉 요소(11)가 각각의 플러그인 커넥터(9) 내에 형성되고, 전기 접촉이 설정되는 방식으로 측면 표면의 내부 표면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9)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1)의 외경은 포팅 재료(12)를 수용하기 위해 전체 둘레 주위로 형성된 간극(10)을 더하여 상기 연결 통로의 상기 벽(4a)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8)들의 상기 연결 라인(8b)들의 단부(8c)들은 상기 접촉 요소(11)를 통해 상기 접촉 요소(11) 내에 배치된 플러그인 커넥터(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8)의 단부(8c)는 상기 스테이터(1)를 향해 정렬된 상기 접촉 요소(11)의 일 단부면에서 상기 접촉 요소(11)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기 유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스테이터(1)를 장착할 때:
    -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 코어(2)보다 돌출하는 절연 요소(6)의 벽에 배치되는 연결 케이블(8a)들과 연결 라인(8b)들이 장착되고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감긴 도선(8)들 및 절연 요소(6)와 함께 스테이터 코어(2)를 배치하는 단계,
    - 축 방향으로 정렬된 스테이터 코어(2)의 일 단부면에 각각 벽(4a)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연결 통로들을 갖는 장착 요소(4)를 구비한 커버 요소(3)를 배치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연결 통로들은 각각 도선(8)의 연결 라인(8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접촉 요소(11)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각 하나의 플러그인 커넥터(9)가 상기 접촉 요소(11)들 각각에 삽입되며, 그리고
    - 상기 스테이터 코어(2), 커버 요소(3) 및 절연 요소(6), 그리고 상기 장착 요소(4)들의 벽(4a)들과 접촉 요소(11)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팅 재료(12)로 충전하는 단계, 및
    - 공통의 종축(7) 상에 로터 및 스테이터(1)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1)는 상기 로터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하는 단계 동안, 상기 커버 요소(3) 및 상기 스테이터(1)의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된,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팅 재료(12)로 충전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2), 커버 요소(3) 및 절연 요소(6) 사이에 형성된 체적, 그리고 상기 장착 요소(4)들의 벽(4a)들과 접촉 요소(11)들 사이에 형성된 체적 및 상기 커버 요소(3) 및 상기 스테이터(1)의 단부면의 방향으로 정렬된, 코일(5)들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도선(8)들의 반전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은, 연속적인 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회로 내의 냉매 압축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증기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특히 전기 모터의 용도.
KR1020227005851A 2019-12-11 2020-11-30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71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33998.7 2019-12-11
DE102019133998.7A DE102019133998A1 (de) 2019-12-11 2019-12-11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orrichtung
PCT/KR2020/017225 WO2021118134A1 (en) 2019-12-11 2020-11-30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491A true KR20220035491A (ko) 2022-03-22
KR102671771B1 KR102671771B1 (ko) 2024-06-04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7502B2 (ja) 2024-02-22
JP2023506161A (ja) 2023-02-15
CN114731088A (zh) 2022-07-08
WO2021118134A1 (en) 2021-06-17
DE102019133998A1 (de) 2021-06-17
US20220324298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5274B (zh) 用于驱动压缩机的设备和用于安装该设备的方法
KR102661127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절연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US11394283B2 (en) Combined UHV insulation system
KR10225990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KR20230101852A (ko) 압축기 구동 장치를 위한 밀봉 장치 및 압축기 구동 장치 및 밀봉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
US11713754B2 (en)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ice
KR102331561B1 (ko) 절연 조립체를 포함하는 압축기 구동 장치
KR10267177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US11658535B2 (en) Apparatus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apparatus
KR20220035491A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40014703A1 (en) Assembly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refrigerant compressor,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refrigerant compressor, and method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i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