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468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468A
KR20220035468A KR1020227005348A KR20227005348A KR20220035468A KR 20220035468 A KR20220035468 A KR 20220035468A KR 1020227005348 A KR1020227005348 A KR 1020227005348A KR 20227005348 A KR20227005348 A KR 20227005348A KR 20220035468 A KR20220035468 A KR 2022003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astically deformable
deformable portion
li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에드룬드 티옌버그
실베인 자크 에머투리
Original Assignee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3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84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latch-and-c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2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 B65D43/167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컨테이너 하단부(11) 및 컨테이너 덮개(12)를 가지는 식품 컨테이너(10). 컨테이너 하단부(11)는, 기부(13) 및 기부(13)로부터 직립되어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15)를 형성하는 벽(14)을 갖는다. 컨테이너 덮개(12)는 상단 커버(18) 및 측면 연부(19)를 가지고, 상단 커버(18)는, 덮개(12)가 하단부(11)와 폐쇄 연결될 때, 기부(13) 위에 위치된다. 상단 커버(18)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 및 비탄성 부분(26)을 포함한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 및 비탄성 부분(26)이 각각은, 덮개(12)가 하단부(11)와 폐쇄 연결될 때, 기부(13)의 상이한 부분들 위에 위치된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물품과 접촉되는 기부(13)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에 의해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 아래에 위치되는 기부(13)의 부분 상에 놓이고 덮개(12)가 하단부(11)와의 폐쇄 연결로 이동될 때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15) 내에서 물품을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우선권 상호-참조
본원은 2019년 7월 22일자로 출원된 호주 특허출원 2019208141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러한 특허출원의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물품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후의 소비, 일반적으로 동일 날짜의 소비를 위해서 식품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식품 컨테이너로서 개발되었다. 그에 따라, 그러한 용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식품 컨테이너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합한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식품 컨테이너와 관련하여, 식품 컨테이너의 용도의 유형에 관한 하나의 예는, 부모가 점심을 위해서 제공하는 식품 및 취학 연령 어린이가 학교에서 먹는 간식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은, 설명의 임의의 양태가, 본원의 우선일에, 일반적인 전반적 지식의 일부라는 것을 인지하였거나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추후의 소비를 위해서 식품 물품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식품 컨테이너를 입수할 수 있다. 많은 유아 및 취학 연령 어린이는 유치원 또는 학교에서 매일 이러한 컨테이너 내의 하루의 식품을 섭취한다. 마찬가지로, 많은 성인 작업자는 식품 컨테이너 내에서 간식 및 점심을 작업장으로 가져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식품 컨테이너는 대부분 실질적으로 강성인 플라스틱으로만 제조되고, 기부 및 덮개를 포함한다. 기부는 일반적으로 식품의 저장을 위한 수납 공간의 주요 구성요소를 제공하나, 덮개가 또한 수납 공간에 부가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기부 및 덮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연부에 위치되고 대향 연부에 위치되는 클립 또는 걸쇠 구성요소와 협력하는, 경첩에 의해서 함께 연결된다. 클립 또는 걸쇠 구성요소가 협력하여 덮개를 기부에 대한 폐쇄 조건으로 고정한다.
컨테이너의 폐쇄된 조건에서, 컨테이너 내의 수납 공간의 높이는 기부와 덮개의 대면되는 표면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 높이는, 수납 공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식품 물품을 컨테이너 내에 저장하지 못하게 한다. 기부 및 덮개의 강성 속성은, 컨테이너 공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식품 물품을 식품 컨테이너 내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더 큰 식품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덮개가 기부에 대해서 열린 상태가 되어야 하거나, 식품 물품을 식품 컨테이너와 별도로 운반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두가지 결과는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덮개를 기부로부터 클립 해제 또는 걸쇠 해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식품 물품이 컨테이너 내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한편, 식품 컨테이너와 별도로 식품 물품을 이송하는 것이 깜빡 잊고 소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 물품은 종종 작은 조각으로 컷팅될 수 있으나, 더 많은 준비를 필요로 하고, 식품 물품이 컨테이너 내에서 장기간 저장되어야 할 수 있는 경우에, 식품 물품의 시각적 외관 및 영양 가치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UNIKIA AS 명의의 노르웨이 의장 등록 084240은, 일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돔을 갖는 식품 컨테이너를 예시한다. 돔은 컨테이너의 다른 부분 내에 들어가지 않는 식품 물품이 잠재적으로 돔 부분 내에 들어가게 할 수 있으나, 돔의 형상은 고정되며, 그에 따라 그러한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능력이 제한된다. 즉, 정사각형 물품이 돔의 주변부를 향해서 돔의 내측 표면에 대해서 지탱되는 경우에, 돔의 전체 높이가 물품 수용을 위해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돔의 형상이 고정되기 때문에, 돔은 항상 컨테이너 덮개로부터 돌출되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의 부피를 영구적으로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이러한 의장 등록의 식품 컨테이너는, 식품 컨테이너의 수납 공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물품의 수용에 관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현재의 컨테이너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경감시키는 식품 컨테이너와 같은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가 제공되고, 그러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하단부, 및
컨테이너 덮개를 가지고,
컨테이너 하단부는, 기부 및 기부로부터 직립되어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를 형성하는 벽을 가지며,
컨테이너 덮개는 상단 커버 및 측면 연부를 가지고, 상단 커버는, 덮개가 하단부와 폐쇄 연결될 때, 기부 위에 위치되며,
상단 커버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을 포함하며,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의 각각은, 덮개가 하단부와 폐쇄 연결될 때, 기부의 상이한 부분들 위에 위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물품과 접촉되는 기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에 의해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 아래에 위치되는 기부의 부분 상에 놓이고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와의 폐쇄 연결로 이동될 때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서 물품을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유리하게, 수납 공간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에 의해서, 컨테이너의 수납 공간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식품 물품과 같은 물품의 수용을 도울 수 있다. 탄성 변형을 유발한 물품이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면,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변형-전 상태 또는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 그리고 그에 따른 수납 공간의 증가는 일시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물품을 이하에서 "과대 크기" 물품으로 지칭할 것이다.
유리하게,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탄성 변형으로, 과대 크기 물품이 컨테이너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컨테이너 덮개는, 컨테이너가 폐쇄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하단부 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는, 과대 크기 물품을 컨테이너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에 대해서 열려서 유지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물품이 컨테이너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컨테이너 하단부에 대한 덮개의 폐쇄 시에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와 밀봉되는 컨테이너에서, 과대 크기 물품이 수용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탄성 변형 설비는, 컨테이너 내의 과대 크기 물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는, 과대 크기 물품이 또한 컨테이너 내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물품이 쏟아지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가 밀봉되어야 하는 식품 물품이 여전히 컨테이너 내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서, 과대 크기 물품은 컨테이너 내에서 다른 물품과 함께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과대 크기 물품을 깜빡 잊고 소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작다.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와의 폐쇄 연결로 이동될 때 물품이 해당 부분의 각각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도록,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와의 폐쇄 연결될 때 상단 커버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의 각각이 컨테이너 하단부의 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 배치되는 물품이,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또는 비탄성 부분의 아래에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물품이 비탄성 부분 아래에 위치될 때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와 폐쇄 연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크기 또는 높이를 물품이 가지는 경우에, 그러한 물품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 아래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거나 재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컨테이너 하단부 상의 덮개의 폐쇄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외향 변형으로 인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전반적인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난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제거 가능 덮개로서 컨테이너 덮개를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이는 컨테이너 하단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 컨테이너를 개방할 수 있고, 또는 덮개가 예를 들어 경첩에 의해서 컨테이너 하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컨테이너가 폐쇄될 때, 덮개를 컨테이너 하단부와 폐쇄 연결로 고정하기 위한 적합한 클립 또는 걸쇠 배열체(clip or latch arrang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서, 컨테이너 하단부는, 적어도 2개의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격실은, 컨테이너 내에서 수용되는 물품들이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냉장된 물품, 예를 들어 과일이나 음료와 같이, 컨테이너 내에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식품 물품이 샌드위치와 같은 수분 흡수 식품 물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가 2개의 격실로 분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 초과의 격실이 제공될 수 있다. 격실들은 동일한 크기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 2개 초과의 격실이 제공되는 경우에, 격실 중 2개가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격실의 하나 이상이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격실 중 하나의 격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둘 이상의 격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2개의 인접한 격실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인접한 격실들 사이의 구획 벽을 가로질러 걸쳐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하나의 격실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인접한 격실과 같은 다른 격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위에 위치되는 격실들이 다른 중간 격실에 의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제1 및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비탄성 부분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구획 벽이 제공되지 않는 컨테이너에서도, 제1 및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단순히, 컨테이너 내에서 과대 크기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요구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 곳에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예를 들어, 전반적인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난형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으나, 탄성 변형 시에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내에 생성되는 응력이 전반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에 걸쳐 동등하게 생성될 것이기 때문에, 원형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상단 커버가,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2개의 인접 격실들에 걸쳐 연장되는 경우에, 그러한 부분은 그 너비 보다 더 길 수 있고, 그에 따라 직사각형 또는 난형일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변형되지 않거나 휴지 상태에 있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 덮개가 컨테이너 하단부 상에서 폐쇄되는 동안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과대 크기 물품이 결합되지 않을 때,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전반적으로 평면형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그러한 부분의 재료의 연신에 의해서 외측으로 변형된다. 대안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비변형 또는 휴지 상태에서 전반적으로 주름진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경우에, 주름은 직경이 증가되는 원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후자의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외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주름형 횡단면 자체가 변형될 것이고, 주름이 사라질 때까지 주름은 점점 더 얕아 지기 시작할 것이다. 이어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추가적인 변형이 그러한 부분의 재료의 연신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주름진 횡단면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비-평면형 형태의 하나의 예이고, 다른 비-평면형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컨테이너 덮개의 상단 커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비탄성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으나, 이때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비탄성 부분에 비해서 더 얇은 벽 섹션을 갖는다. 예를 들어, 탄성 및 비탄성 부분의 공통 재료가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고, 비탄성 부분의 벽 두께는 2 내지 4 mm의 범위일 수 있는 한편,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벽 두께는 0.2 내지 1 mm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는 몰딩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단 커버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는 또한 몰딩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단 커버에 의해서 생성될 있고, 그에 의해서 몰딩 프로세스는, 하나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위한 그리고 다른 하나가 비탄성 부분을 위한 것인, 2개의 분리된 재료를 오버몰딩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상단 커버는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을 형성하고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수용을 위한 기재 내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비탄성 재료의 기재를 포함한다. 개구부는, 요구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형상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원형 개구부,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난형 개구부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개구부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예를 들어 개구부의 위로부터 또는 개구부의 아래로부터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거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개구부에, 예를 들어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개구부의 테두리에만 연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배열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도 연결될 수 있고, 그러한 연결 지점 또는 지역은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보다 확실한 연결이 상단 커버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비탄성 부분 사이에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대한 연결은 접착제 연결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비탄성 부분의 관련 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세정 목적을 위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부착되는 비탄성 부분의 표면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가로질러 연장되는 개구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거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구분된 섹션들이 내부에 수용되고 고정되는 채널 섹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압입 연결이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비탄성 부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비탄성 부분 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밀어 넣어 지고 그 내부에서 연결되어 유지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 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대한 연결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비탄성 부분 내의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비탄성 부분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연결되고,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지 않고, 비탄성 부분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개구부의 테두리 사이에 결합이 존재하나, 그러한 결합은 단지 지지하는(bearing) 또는 맞닿는 결합이다. 이러한 유형의 결합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제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이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옵션을 언급하였지만, 그러한 연결(존재하는 경우)이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에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개구부의 테두리 사이의 결합이 단지 지지 또는 맞닿음 결함인 경우에, 그러한 결합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러한 부분의 일부가 비탄성 부분 내의 개구부 내로 연장될 수 있고 개구부의 테두리의 대면 연부에 대항하여(against)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컨테이너 덮개의 내측에 부착되고 덮개가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컨테이너 하단부의 표면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밀봉부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의 상부 단부 또는 대면 연부 또는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 제공된 임의의 구획 벽의 상부 단부 또는 대면 연부에 대항하여 밀봉할 수 있다. 밀봉부는 밀봉을 위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덮개가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 및/또는 구획 벽의 상부 단부가 그러한 채널 내로 연장된다.
밀봉부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컨테이너 덮개에 부착될 수 있고, 덮개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연결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착 배열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는 밀봉 부분 및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밀봉부가 하나의 단편의 구성요소가 되도록, 이러한 2개의 부분은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밀봉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위에 위치되는 기부의 부분을 제외하고, 컨테이너 하단부의 전체 기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거나, 컨테이너 하단부가 구획되는 경우에, 밀봉 부분은 격실의 하나 이상의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형태에서, 밀봉부는 2개의 격실 위에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격실 중 하나의 위에 위치되고 밀봉 부분은 다른 격실 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컨테이너 하단부는 3개의 격실을 포함하고, 밀봉부는 격실 중 2개의 위에 위치된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비탄성 부분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각각 연장되는 외부 기재 및 내부 기재를 포함하는, 2개의 별도의 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형태에서, 외부 기재는 개구부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고, 내부 기재는,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상단 커버의 비탄성 부분의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내부 기재가 정상적으로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에 대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 및 내부 기재 중 하나가 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 및 내부 기재 중 다른 하나는 채널 내의 수용을 위한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채널 내의 돌출부의 수용은 내부 기재를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에 부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압입 연결이 내부 기재와 비탄성 부분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비탄성 부분 내에 형성된 개구부 내로 밀어 넣어 지고 그 내부에서 연결되어 유지되는 내부 기재 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형태에서, 외부 기재는 오버몰딩되고 내부 기재는 제거 가능한 밀봉부이다.
본 발명이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도록,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일부 실시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컨테이너가 폐쇄 조건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2는 컨테이너의 덮개가 약간 개방되거나 열린 위치에 있는, 도 1의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단면 A-A을 따라서 도 1의 컨테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 A-A을 통해서 취한, 그러나 컨테이너의 덮개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개방되거나 열린 위치에서, 도 2의 컨테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외측으로 변형된 것을 도시하는, 도 1의 컨테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컨테이너의 덮개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면의 식품 컨테이너(1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테이너의 단지 하나의 형태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의 식품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하단부(11) 및 컨테이너 덮개(12)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하단부(11)는 기부(13)를 가지며, 그러한 기부로부터 벽(14)이 직립된다. 기부(13) 및 벽(14)은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15)를 형성한다. 운반 스트랩(16)이 전방 벽(14)에 고정된다.
컨테이너 덮개(12)는 직사각형 상단 커버(18) 및 측면 연부(19)를 가지며, 측면 연부(19)는, 컨테이너(10)의 폐쇄 조건에서 벽(14)의 상부 단부와 중첩되는 상단 커버(18) 주위에서 하향 연장 립(lip)을 형성한다. 측면 연부(19)는 일반적으로 상단 커버(18)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덮개(12)는, 후방 경첩(21) 및 도 1에 도시된 폐쇄 조건에서 돌출부(23) 주위에 결속되는(lock) 경첩형 클립 또는 걸쇠(22)를 통해서, 컨테이너 하단부(11)에 연결된다. 걸쇠(22)를 돌출부(23)로부터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컨테이너(10)가 개방될 수 있고 덮개(12)가 경첩(21)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그리고 하단부(11)로부터 멀리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확인될 것이다.
컨테이너(10)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 및 비탄성 부분(26)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비탄성 부분(26)이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에서 중단되는 것을 도시한다. 비탄성 부분(26)은 컨테이너(10) 내에서 상단 커버(18)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의 폐쇄 조건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 및 비탄성 부분(26) 모두는 컨테이너 하단부(11)의 기부(13)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각각의 부분(25 및 26)은 기부(13)의 상이한 부분들 위에 위치된다.
도 1의 폐쇄 조건에서 도시되고 도 1의 단면 A-A을 통해서 취한 컨테이너(10)의 횡단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또한 단면 A-A를 통해서 취한 컨테이너(10)를 도시하나, 도 4에서, 덮개(12)는 하단부(11)로부터 약간 열려 있는 한편, 도 5에서, 덮개는 폐쇄 조건에 있으나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을 외측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의 각각에서, 사과 형태의, 구형 식품 물품(30)이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15) 내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덮개(12)가 컨테이너 하단부(11)에 대해서 완전히 개방된, 컨테이너(10)의 도면이다. 도 6은 컨테이너 하단부(11)가 기부(13)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구획 벽(31)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가 또한 구획 벽(31)을 도시하나, 이들은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하단부(11)는 상이한 식품 물품들의 분리된 저장을 위한 분리된 격실들을 형성한다. 2개의 격실(32 및 33)이 도 3 내지 도 5로부터 명확한 한편, 도 6은 컨테이너(10)가 3개의 격실(32 내지 34)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격실(32 및 33)은 형상 및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인 반면, 격실(34)은 컨테이너 하단부(11)의 측면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전반적으로 직사각형인 격실을 형성하고, 그러한 직사각형 격실은 조합된 격실(32 및 33)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이, 각각의 격실(32 및 33)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그 위에서 밀봉하는 더 큰 밀봉 구성요소(35)의 일부라는 것이 도 3 내지 도 5로부터 명확히 확인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격실(33) 위에만 위치된다. 물론,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이 격실(32) 위에서 또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해당 격실 위에서 연장되도록 별도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의 배치가 도 3에서 격실(33) 위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그러한 위치로 또는 단지 하나의 격실 위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밀봉 구성요소(35)는 밀봉 부분(36) 및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을 포함한다. 밀봉 부분(36)은 비탄성 부분(26)의 섹션의 아래에 위치되는 반면, 밀봉 구성요소(35)는, 덮개(12) 내에 형성된 채널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37, 38 및 39)에 의해서 덮개(12)에 고정된다.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상단 커버(18)의 비탄성 부분(26) 내의 개구부(40)를 통해서 연장되고, 개구부(40)의 테두리(41)를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의 외부 주변부 내에 형성된 상응 함몰부 내에 결합시킨다. 개구부(40)는 원형 개구부이고, 그에 따라 테두리(41)는 원형 테두리이다.
전체 밀봉 구성요소(35)가 탄성 변형 가능 재료,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의 재료는 밀봉 부분(36) 및 각각의 돌출부(37, 38 및 39)를 통해서 계속된다. 밀봉 구성요소(35)는, 격실(32 및 33)을 형성하는 벽(14) 및 구획 벽(31)의 상부 단부 또는 연부에 대항하여 밀봉하도록 의도된다. 밀봉 구성요소(35)는 격실(34) 위에 위치되지 않고, 그에 따라 그러한 격실을 밀봉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열은 단지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예로서 채택된 배열이고, 그에 따라 다른 밀봉 구성을 제공하여, 컨테이너 하단부 내에 제공될 수 있는 다른 격실 또는 모든 격실을 밀봉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테이너(10)의 폐쇄 조건에서, 격실(34)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물품의 최대 높이는 높이(H34)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높이는 덮개(12)의 내측 표면과 기부(13) 사이의 간격이고, 격실(34)과 관련하여, 그러한 표면들 사이에는 밀봉부가 개재되지 않는다. 이어서, 밀봉 부분(36)의 존재로 인해서, 격실(3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물품의 최대 높이는 격실(34) 내에서보다 약간 더 낮다. 밀봉 부분(36)이 탄성 변형 가능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기부(13)의 내측 표면과 밀봉 부분(36)의 대면 표면 사이의 간격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물품은 밀봉 부분(36)을 덮개(12)를 향해서 변형시킬 것이나, 그러한 변형은 밀봉 부분(36)이 덮개(12)의 내측 표면과 결합되자 마자 종료될 것이다. 이어서, 격실(32 및 34)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높이가, 덮개(12)가 컨테이너 하단부(11) 상으로 폐쇄될 때 해당 격실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물품에 대해서 적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높이 제한이 격실(33) 내에 배치되는 물품과 관련하여 적용되지는 않는다. 도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높이(H34)를 초과하는 높이로 인해서 격실(32 또는 34) 내에 달리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식품 물품(30)이, 격실(33) 및 컨테이너 하단부(11) 위에 폐쇄된 덮개(12) 내에 성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덮개(12)가 컨테이너 하단부(11)와의 폐쇄 연결로 이동됨에 따라 식품 물품(30)이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과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기부(13)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변형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식품 물품(30)이 구형 물품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이, 기부(13)의 대면 표면과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의 내측 표면(45) 사이에서 연장되는 높이를 초과하는 격실(33) 내의 임의의 물품과 접촉할 때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물품과의 결합 시를 제외하고, 항상 전반적으로 평면형인 구성을 갖는다. 결합 시에, 부분(25)이 외측으로 변형되어, 물품을 격실(33)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물론, 부분(25)의 외측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을 것이나, 컨테이너(10) 내에 배치되는 물품이 일반적으로 높이(H34)보다 낮은 높이일 것임이, 또는 해당 높이 보다 높은 경우에, 약간 정도만 높을 것임이 예상된다. 즉,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일반적으로 H34 보다 단지 약간 정도만 더 높은 물품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도 7 내지 도 10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1의 배열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식과 상이하다. 도 7 내지 도 11은 각각 컨테이너 덮개의 비탄성 섹션의 부분(50) 및 덮개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의 각각은, 휴지 위치(상부 그림) 및 탄성적으로 변형된 위치(하부 그림)인, 2개의 위치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변형 가능 부분(51)의 양 측면 상의 비탄성 부분(50)을 보여주는 일체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부분(51)은 비탄성 부분(50)과 동일한 재료의 얇아진 섹션이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플렌으로부터 부분(50 및 51) 모두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탄성 부분(50)의 벽 두께는 2 내지 4 mm의 범위일 수 있는 한편, 탄성 변형 가능 부분(51)의 벽 두께는 0.2 내지 1 mm의 범위일 수 있다.
도 8은 추가적인 일체형 구성을 도시하나, 도 8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주름형 섹션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외향 탄성 변형은 초기에 부분(51)의 주름형 프로파일의 변형에 의해서 달성되고, 추가적인 변형은 주름 자체의 직선화 또는 편평화에 의해서 달성된다. 주름이 편평화된 후에, 또한 추가적인 변형이 부분(51)의 탄성적인 연신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9는 오버몰딩된 배열을 도시하고, 그에 의해서 TPE(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다른 적합한 연질 탄성 재료, 예를 들어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분(53)이 부분(50)의 비탄성 소성 재료(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와 함께 오버몰딩된다. 부분(53)의 대향 연부들이 부분(50)의 대면 연부들에 연결되어, 2개의 재료를 함께 유지하는 화학적 결합을 오버 몰딩 중에 형성한다.
도 10은, 비탄성 부분(50)이 하향 연장 돌출부(54)를 포함하는 배열을 도시하고, 그러한 돌출부(54) 상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나, 제거 가능한 밀봉부(55)가 고정된다. 밀봉부(55)는,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탄성 부분(50)에 몰딩될 수 있는 오버몰드 섹션(56) 아래에 위치된다.
도 10 배열은 또한, 전체적인 밀봉 구성요소(35)의 밀봉 부분(36)을 또한 제공하지 않으면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을 어떻게 컨테이너(10)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3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밀봉 부분(36) 내로 연장되지 않고 돌출부(38)에서 종료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에서, 그리고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격실(33) 만이 이어서 밀봉될 것이다.
도 11은 도 10과 유사한 배열을 도시하고, 그에 따라 도 11은 사이에 연결된 비탄성 부분(50) 및 오버몰드 섹션(56)을 도시하나, 하향 연장 돌출부(54)에 적용된 제거 가능한 주변 밀봉부(58)를 또한 도시한다. 주변 밀봉부(58)는 도 9의 오버몰드 섹션(56)의 아래에 위치되지 않고, 그 대신, 그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둘러싼다.
도 12는 도 8과 유사한 배열을 도시하고, 그에 따라 도 12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60)의 양 측면 상에서 비탄성 부분(50)을 포함하는 일체형 형태를 도시한다. 부분(60)은, 비탄성 부분(50)과 일체이고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얇은 섹션(61)을 포함한다. 섹션(61)은 주름형 섹션이다. 부분(60)은, 섹션(61)의 상부 표면의 주름 내로 몰딩된 오버몰드 섹션(62)을 더 포함한다. 도 12의 배열에서, 오버몰드 섹션(62)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60)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고, 주름형 섹션(61)은 탄성 변형 가능 부분(6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의 장점은 식품 등급 컨테이너와 가장 관련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컨테이너에서, 식품과 접촉되는 표면에서, 실리콘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실리콘은 다른 재료보다 고가이다. 그러나 도 12에서, 얇은 주름형 식품 등급 PP(섹션(61))의 조합이 오버몰딩된 TPE(섹션(62))과 함께 사용된다. 이는 (섹션(61)이 얇기 때문에) 사용되는 실리콘의 양을 감소시키면서도, 적절하게 착색될 수 있고 만질 때 부드러운 TPE의 이용에 의해서 컨테이너의 외측부의 만족스러운 미적 외관을 촉진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은 비탄성 부분(26)의 평면형 상부 표면과 대략적으로 계속 이어진다. 이러한 것이 미적으로 만족스럽지만,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오버몰딩된 부분(56)이 없는, 도 10의 배열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비-변형 상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 부분(55)이 비탄성 부분(50)의 외부 표면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으나, 물품과의 결합 시에, 물품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변형의 양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 부분(55)은 비탄성 부분(50)의 외부 표면을 통해서 밀릴 수 있고 이를 통과할 수 있다.
식품 컨테이너(10)는 유리하게, 수납 공간의 높이(H34)가 증가되도록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25)에 의해서, 컨테이너(10)의 수납 공간의 높이(H34)를 초과하는 높이를 가지는 식품 물품과 같은 물품의 수용을 돕는다.
"포함한다(복수)", "포함한다(단수)", "포함되는",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임의의 또는 모든 용어가 본 명세서(청구항 포함)에서 사용된 경우에, 이들은 기술된 특징, 정수(integer),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그러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발명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용이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식품 컨테이너이며:
    컨테이너 하단부, 및
    컨테이너 덮개를 가지고,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는, 기부 및 상기 기부로부터 직립되어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를 형성하는 벽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 덮개는 상단 커버 및 측면 연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덮개가 상기 하단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기부 위에 위치되며,
    상단 커버는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을 포함하며,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의 각각은, 덮개가 하단부와 폐쇄 연결될 때, 기부의 상이한 부분들 위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물품과 접촉되는 상기 기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에 의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기부의 부분 상에 놓이고 상기 덮개가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와의 폐쇄 연결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과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상기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서 물품을 수용하는 것을 돕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는 적어도 2개의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격실 중 하나의 위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격실 중 둘 이상의 위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상기 적어도 2개의 격실 중 하나의 위에 위치되고,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상기 적어도 2개의 격실 중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비탄성 부분에 의해서 분리되는, 컨테이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상단 커버를 몰딩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단 커버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 및 비탄성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의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비탄성 부분의 벽 두께보다 얇은 벽 두께를 가지는,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컨테이너 하단 내측부 내의 물품과 접촉되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주름형 횡단면을 가지는, 컨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비탄성 부분을 형성하는 비탄성 재료의 기재를 포함하고, 개구부가 상기 기재 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개구부에 걸쳐 연장되는, 컨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원형 개구부인, 컨테이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테두리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테두리를 가지고,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테두리에 그리고 상기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상단 커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이 부착되는 상기 상단 커버의 내측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의 일부가 상기 채널 내로 수용되고 고정되는, 컨테이너.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 부분은, 상기 덮개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의 표면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밀봉부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컨테이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의 상부 단부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컨테이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의 상부 단부가 내부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7. 제2항을 인용할 때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의 상부 단부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컨테이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의 상부 단부가 내부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9. 제2항을 인용할 때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의 상부 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의 상부 단부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컨테이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기부와 폐쇄 연결될 때, 상기 컨테이너 하단부의 벽의 상부 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의 상부 단부가 내부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KR1020227005348A 2019-07-22 2020-07-14 컨테이너 KR20220035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9208141A AU2019208141B2 (en) 2019-07-22 2019-07-22 Container
AU2019208141 2019-07-22
PCT/AU2020/050727 WO2021011995A1 (en) 2019-07-22 2020-07-14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468A true KR20220035468A (ko) 2022-03-22

Family

ID=7419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348A KR20220035468A (ko) 2019-07-22 2020-07-14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793284B2 (ko)
EP (1) EP4003868B1 (ko)
JP (1) JP2022542841A (ko)
KR (1) KR20220035468A (ko)
CN (2) CN114174189B (ko)
AU (1) AU2019208141B2 (ko)
BR (1) BR112022001098A2 (ko)
CA (1) CA3144529A1 (ko)
IL (1) IL289797A (ko)
WO (1) WO2021011995A1 (ko)
ZA (1) ZA202201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8141B2 (en) * 2019-07-22 2021-08-26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Container
US20230286691A1 (en) * 2022-03-10 2023-09-14 George Miller Sealed container
USD1023685S1 (en) * 2022-03-22 2024-04-23 Taizhou Erchen Dangjia Baby Products Co., Ltd. Lunch box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1328A (en) 1966-07-20 1969-06-24 Dart Ind Inc Container for head lettuce or the like
NL8501681A (nl) * 1985-06-11 1987-01-02 Wavin Bv Deksel voor een houder en verpakking bestaande uit een houder met een deksel.
US6260729B1 (en) * 1999-05-25 2001-07-17 Brian L. Mitchell Article for food sealing and storage
CN2478954Y (zh) 2001-02-15 2002-02-27 宏全国际股份有限公司 塑料容器盖
AU2003230417A1 (en) 2002-05-17 2003-12-02 The O Zon, Inc. Multi-receptacle drinking cup and straws
AUPS331002A0 (en) 2002-07-01 2002-07-25 Csl Limited A container
US7299941B2 (en) * 2003-04-15 2007-11-27 Dart Industries Inc. Container seal with flexible central panel
KR20050004973A (ko) 2003-07-01 2005-01-13 심순택 음식물 수납용기
US7975868B1 (en) * 2004-04-15 2011-07-12 Flies Matthew B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US20100102060A1 (en) 2008-10-24 2010-04-29 Ruse Jr Everett L Drinking container lid apparatus with manually actuated valve
US20110114526A1 (en) * 2009-11-16 2011-05-19 Neumann Maia M Food storage box with compartmentalized tray for meals on-the-go with built in nutritional guide and portion control
US20110121002A1 (en) * 2009-11-20 2011-05-26 Stephanie Stiller Multi-compartment food storage container
NL2007251C2 (en) 2011-08-10 2013-02-12 Bin Innovations Bv Lunchbox.
US10384834B2 (en) * 2015-05-01 2019-08-20 William Thomas SMITH Container for providing aromatic sampling and visualization of contents
US10787302B2 (en) * 2017-01-13 2020-09-29 Jason R. Pupecki Object retention and storage system
AU2019208141B2 (en) * 2019-07-22 2021-08-26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3868B1 (en) 2024-01-31
EP4003868A1 (en) 2022-06-01
CN114174189B (zh) 2023-12-29
BR112022001098A2 (pt) 2022-05-03
ZA202201999B (en) 2023-11-29
WO2021011995A1 (en) 2021-01-28
AU2019208141B2 (en) 2021-08-26
US20220287426A1 (en) 2022-09-15
EP4003868A4 (en) 2023-08-02
CN117922983A (zh) 2024-04-26
CA3144529A1 (en) 2021-01-28
US20230329406A1 (en) 2023-10-19
CN114174189A (zh) 2022-03-11
JP2022542841A (ja) 2022-10-07
IL289797A (en) 2022-03-01
AU2019208141A1 (en) 2021-02-11
US11793284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5468A (ko) 컨테이너
US20140360909A1 (en) Baked goods carrier
US9957089B2 (en) Flexible container lid
US20100237070A1 (en) Storage container
US20080000795A1 (en) Stackable containers
WO2015134697A1 (en) Lid with rotatable closure tab
MX2008011708A (es) Contenedor de almacenamiento al vacio.
US20090200324A1 (en) Foodware Set That Includes A Multifunction Cover-Base Assembly
US20200337428A1 (en) Food container
US20070007297A1 (en) Sealable container
KR20070000578U (ko)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JP7097592B2 (ja) 包装用容器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KR100302647B1 (ko) 포장용 상자
KR101603850B1 (ko) 가변형 용기부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US9415902B2 (en) Clamshell food tray
JP7479085B2 (ja) 包装用容器
AU2018211267B2 (en) Container system
CN106103305A (zh) 用于储存及混合材料的容器装置
JP3060898U (ja) 包装用容器
JP2013086847A (ja) 包装用容器
GB2496364A (en) Nested containers for foodstuffs
JPH10194310A (ja) 包装用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