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410A -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 Google Patents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410A
KR20220035410A KR1020227004044A KR20227004044A KR20220035410A KR 20220035410 A KR20220035410 A KR 20220035410A KR 1020227004044 A KR1020227004044 A KR 1020227004044A KR 20227004044 A KR20227004044 A KR 20227004044A KR 20220035410 A KR20220035410 A KR 2022003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ing
catheter
lumens
integral
longitudinal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체이스 톰슨
Original Assignee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바드 액세스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3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4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anch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2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with embedded structures, e.g. coils, braids, meshes, strands or radiopaque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4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ircumfer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75Light guides, opt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2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배관 벽, 하나 이상의 루멘, 및 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이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는 배관 벽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카테터 관 및 일체형 탐침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또한 개시된다. 카테터 관은 카테터 관의 카테터-관 벽 및 하나 이상의 루멘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테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탐침은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한다. 카테터 관은 또한,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내부에 배치된 카테터 관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서 길이방향 비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본 개시내용은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때때로, 말초 삽입 중앙 카테터("PICC") 또는 중앙 정맥 카테터("CVC")의 선단부가 이동되어 환자의 상대정맥("SVC") 내의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변위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러한 PICC 또는 CVC가 변위되었다고 생각하는 임상의는 일반적으로 흉부 X-레이에 의해서 변위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에 PICC 또는 CVC를 교체한다. 그러나, X-레이는 환자를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시킨다. 그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교체를 위해서, 임상의가 PICC 및 CVC의 변위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것을 해결하는, 광섬유가 일체화된 일체형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관 벽, 하나 이상의 루멘(lumen), 및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bead)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는 배관 벽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배관은 하나의 루멘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배관 벽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배관은 둘 이상의 루멘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일체형 배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동일한 부피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둘 이상의 루멘의 적어도 하나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배관은 일체형 배관의 하나 이상의 격막을 더 포함한다. 둘 이상의 루멘 각각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격막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배관 벽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하나 이상의 격막의 적어도 하나의 격막 내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하나 이상의 격막의 각각의 격막 내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하나의 광섬유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의 번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배관은 범프 배관(bump tubing)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테터 관 및 일체형 탐침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가 본원에서 또한 개시된다. 카테터 관은 카테터 관의 카테터-관 벽 및 하나 이상의 루멘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테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탐침은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한다. 카테터 관은 또한,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내부에 배치된 카테터 관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서 길이방향 비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테터 관은 하나의 루멘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카테터-관 벽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테터 관은 둘 이상의 루멘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의 루멘은, 카테터 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둘 이상의 루멘의 적어도 하나의 루멘은, 카테터 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의료 장치는 카테터 관의 하나 이상의 격막을 더 포함한다. 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격막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카테터-관 벽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하나 이상의 격막의 적어도 하나의 격막 내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하나 이상의 격막의 각각의 격막 내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하나의 광섬유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의 번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은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interface)하도록 구성된다.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의료 장치는 PICC 또는 CVC이다.
일체형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개시되고, 그러한 방법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압출기의 다이를 통해서 관통시키는 단계; 다이를 통해 용융 중합체 재료를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일체형 배관을 형성하는 단계 -일체형 배관은 길이방향 비드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함 -; 및 당김 장치를 사용하여, 냉각 배스를 통과하도록 일체형 배관을 당김으로써, 일체형 배관을 냉각 배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코일화 장치(coiler)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배관을 스풀(spool) 상에서 코일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당김 장치는 일체형 배관을 당기는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 제1 직경을 갖는 일체형 배관의 부분을 생성하고, 일체형 배관을 당기는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 제1직경 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일체형 배관의 부분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컷터(cutter)로 일체형 배관을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이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2-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단부 부분을 포함하도록, 컷터는 당김 장치와 연동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은 카테터 관이다.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의 제1-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이다.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의 제2-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개념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은, 그러한 개념의 특정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을 고려할 때, 당업자에게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단일-루멘 일체형 배관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2개-루멘 일체형 배관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3개-루멘 일체형 배관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대안적인 3개-루멘 일체형 배관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2개-루멘 카테터를 포함하는 CVC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CVC의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가 일체화된 일체형 배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원은, 2019년 7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73,794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기에 앞서서, 본원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가 본원에서 제공되는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가 특정 실시형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많은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거나 그러한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와 관련하여, 용어들은 일부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용어들은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등)는 일반적으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 내에서 상이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을 구별 또는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일련적인 또는 수치적인 제한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특징 또는 단계가 반드시 그러한 순서로 나타날 필요가 없고, 그러한 특징 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형태가 반드시 3개의 특징 또는 단계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좌측", "우측",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및 기타와 같은 라벨은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임의의 특정 고정 위치, 배향, 또는 방향을 암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 대신, 그러한 라벨은, 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 배향, 또는 방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가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근위"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본원에서 개시된 카테터의 "근위 부분" 또는 "근위 단부 부분"은,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부분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근위 길이"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길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의 "근위 단부"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임상의에 근접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단부를 포함한다.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가 카테터의 근위 단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즉, 문맥에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카테터의 근위 부분, 근위 단부 부분, 또는 근위 길이는 카테터의 말단 부분 또는 말단 길이가 아니다.
"원위"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본원에서 개시된 카테터의 "원위 부분" 또는 "원위 단부 부분"은,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부분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원위 길이"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길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가 환자에 대해서 사용될 때, 환자에 근접하도록 또는 환자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카테터의 단부를 포함한다.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는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즉, 문맥에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카테터의 원위 부분, 원위 단부 부분, 또는 원위 길이는 카테터의 말단 부분 또는 말단 길이가 아니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때때로, PICC 또는 CVC의 선단부가 이동되어 환자의 SVC 내의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변위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러한 PICC 또는 CVC가 변위되었다고 생각하는 임상의는 일반적으로 흉부 X-레이에 의해서 변위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에 PICC 또는 CVC를 교체한다. 그러나, X-레이는 환자를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시킨다. 그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교체를 위해서, 임상의가 PICC 및 CVC의 변위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것을 해결하는, 광섬유가 일체화된 일체형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일체형 배관
도 1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110)가 일체화된 단일-루멘 일체형 배관(100)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110)가 일체화된 2개-루멘 일체형 배관(200)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110)가 일체화된 3개-루멘 일체형 배관(300A)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110)가 일체화된 대안적인 3개-루멘 일체형 배관(300B)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배관(100)은, 배관 벽(104), 루멘(102), 및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110)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106)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배관(200)은, 배관 벽(104), 2개의 루멘(202a 및 202b), 및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110)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200)의 길이방향 비드(206)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배관(300A)은, 배관 벽(104), 3개의 루멘(202, 302a 및 302b), 및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110)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300A)의 길이방향 비드(306)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배관(300B)은, 배관 벽(104),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 및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110)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300B)의 길이방향 비드(30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된 일체형 배관은, 적어도 하나의 배관 벽, 하나 이상의 루멘, 및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를 포함한다.
도 1의 일체형 배관(100)과 관련하여, 루멘(1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104), 특히 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106)는 배관 벽(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비드(106)는 일체형 배관(1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사실상, 길이방향 비드(106)는 배관 벽(104), 특히 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루멘(1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비드(106)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 2의 일체형 배관(200)과 관련하여, 2개의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104), 특히 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200)은 일체형 배관(200)의 격막(208)을 더 포함한다. 2개의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208)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08)은 일체형 배관(200)을 2개의 절반체들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일체형 배관(200)의 2개의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200)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루멘(202a 및 202b) 중 다른 루멘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갖는다. 그러나, 격막(208)이 전술한 내용에 따라 일체형 배관(200)을 2개의 동일한 절반체들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2의 일체형 배관(200)의 횡단면이 시계의 면(face)인 경우에서와 같이 3시로부터 9시까지 연장되는 격막(208) 대신, 격막(208)은 2시부터 10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되면, 일체형 배관(200)의 2개의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200)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루멘(202a 및 202b)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질 것이다.
일체형 배관(200)의 길이방향 비드(206)는 배관 벽(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비드(206)는 일체형 배관(2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사실상, 길이방향 비드(206)가 일체형 배관(200)의 중앙 축과 동축적이 되도록, 길이방향 비드(106)가 격막(208), 특히 격막(208)의 중간 부분 내에 결합된다. 그러나, 길이방향 비드(206)는, 대안적으로, 격막(208)의 중간 부분과 배관 벽(104) 사이의 격막(208) 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길이방향 비드(206)는 격막(208) 내로 결합될 필요가 전혀 없다. 그 대신, 길이방향 비드(206)는,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와 같이, 배관 벽(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방향 비드(206)가 일체형 배관(200) 내로 어떻게 결합되는 지와 관계없이, 일체형 배관(200)의 2개의 루멘(202a 및 202b) 중 적어도 하나의 루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비드(206)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 3a의 일체형 배관(300A)과 관련하여, 3개의 루멘(202, 3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104), 특히 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300A)은 일체형 배관(300A)의 2개의 격막(208 및 308)을 더 포함한다. 3개의 루멘(202, 302a 및 302b)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208)에 의해서 형성된다. 2개의 루멘(302a 및 302b)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추가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308)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08)은 일체형 배관(300B)을 2개의 절반체의 제1 세트로 분할하고, 격막(308)은 2개의 절반체의 제1 세트 중 하나의 절반체를 2개의 추가적인 절반체의 제2 세트로 분할한다. 결과적으로, 일체형 배관(300A)의 2개의 루멘(302a 및 302b)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200)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루멘(302a 및 302b) 중 다른 루멘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가지고, 루멘(202)은 일체형 배관(200)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루멘(302a 및 302b)의 부피의 적어도 2배의 부피를 갖는다. 그러나, 전술한 내용에 따라 격막(208)이 일체형 배관(200)을 2개의 절반체의 제1 세트로 분할할 필요가 없고, 격막(308)은 2개의 절반체의 제1 세트 중 하나의 절반체를 2개의 추가적인 절반체의 제2 세트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도 3a의 일체형 배관(300A)의 횡단면이 시계의 면인 경우에서와 같이 12시로부터 6시까지 연장되는 격막(208) 대신, 격막(208)은 11시부터 7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격막(208)의 3시부터 중간 부분까지 연장되는 격막(308) 대신, 격막(308)은 격막(208)의 2시부터 중간 부분까지 또는 2시부터 격막(208)의 중간 부분과 배관 벽(104)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되면, 일체형 배관(300A)의 3개의 루멘(202, 302a 및 302b)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300A)의 임의의 길이에서 3개의 루멘(202, 302a 및 302b)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일체형 배관(300A)의 길이방향 비드(306)는 배관 벽(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비드(306)는 일체형 배관(300A)의 내측에 위치된다. 사실상, 길이방향 비드(306)가 일체형 배관(300A)의 중앙 축과 동축적이 되도록, 길이방향 비드(306)는 격막(208 및 308), 특히 격막(208)의 중간 부분 및 격막(308)의 단부 부분 내에 결합된다. 그러나, 길이방향 비드(306)는, 대안적으로, 격막(208)의 중간 부분과 배관 벽(104) 사이의 격막(208) 내로 또는 격막(308)의 중간 부분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길이방향 비드(306)는 격막(208 및 308) 중 어느 하나의 격막 내로 결합될 필요가 전혀 없다. 그 대신, 길이방향 비드(306)는,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와 같이, 배관 벽(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방향 비드(306)가 일체형 배관(300A) 내로 어떻게 결합되는 지와 관계없이, 일체형 배관(300A)의 3개의 루멘(202, 302a 및 302b) 중 적어도 하나의 루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비드(306)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도 3b의 일체형 배관(300B)과 관련하여,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관 벽(104), 특히 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300B)은 일체형 배관(300B)의 3개의 격막(309a, 309b 및 309c)을 더 포함한다.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3개의 격막(309a, 309b 및 309c) 중 2개의 격막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격막(309a, 309b 및 309c)은 일체형 배관(300B)을 3분체들(thirds)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일체형 배관(300B)의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200)의 임의의 길이에서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 중 다른 루멘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갖는다. 그러나, 3개의 격막(309a, 309b 및 309c)이 전술한 내용에 따라 일체형 배관(300B)을 3개의 동일한 3분체들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3a의 일체형 배관(300A) 및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전술한 예에 따라 구성되면, 일체형 배관(300B)의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의 각각의 루멘은 일체형 배관(300B)의 임의의 길이에서 3개의 루멘(303a, 303b 및 303c)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일체형 배관(300B)의 길이방향 비드(306)는 배관 벽(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비드(306)는 일체형 배관(300B)의 내측에 위치된다. 사실상, 길이방향 비드(306)가 일체형 배관(300B)의 중앙 축과 동축적이 되도록, 길이방향 비드(306)가 격막(309a, 309b 및 309c), 특히 격막(309a, 309b 및 309c)의 각각의 격막의 단부 부분 내에 결합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길이방향 비드(306)가 격막(309a, 309b 및 309c) 중 임의의 격막의 중간 부분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즉, 길이방향 비드(306)는 격막(309a, 309b 및 309c) 중 임의의 격막 내로 결합될 필요가 전혀 없다. 그 대신, 길이방향 비드(306)는,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와 같이, 배관 벽(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방향 비드(306)가 일체형 배관(300B) 내로 어떻게 결합되는 지와 관계없이, 일체형 배관(300B)의 3개의 루멘(203a, 303b 및 303c) 중 적어도 하나의 루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비드(306)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은 그 길이를 따라서 변경되는 직경을 가지는 일체형 범프 배관일 수 있다. 일체형 범프 배관의 직경이 그 길이를 따라 변경되는 방식에 따라 일체형 범프 배관이 미리 결정된 길이로 컷팅될 때, 일체형 범프 배관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단부 부분이, 예를 들어, 포유류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게 구성되도록 그리고 일체형 범프 배관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2-단부 부분이 의료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게 구성되도록, 일체형 범프 배관의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는 제2-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1-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배관 벽(104), 격막(208, 308, 또는 309a 내지 309c), 및 길이방향 비드(106, 206, 또는 306)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은 실리콘과 같은 무기 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기 중합체이다.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의 길이방향 비드(106, 206, 또는 306) 내에 배치된 광섬유(110)는, 선택적으로 광섬유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다른 실리카 유리 또는 유기 중합체의 클래딩(cladding), 또 다른 유기 중합체의 버퍼 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클래딩된, 실리카 유리 또는 유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광섬유 또는 둘 이상의 광섬유의 번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광섬유의 각각의 광섬유는 약 8 ㎛ 내지 약 25 ㎛의 직경을 갖는다.
의료 장치
도 4a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탐침(110)이 일체화된 2개-루멘 카테터 관(402)을 포함하는 CVC(400)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CVC(400)의 카테터 관(402)의 근위-단부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다시, 도 2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일체형 광섬유(110)를 가지는 2개-루멘 일체형 배관(200)의 횡단면을 도시하나; 카테터 관(402)은 일체형 배관(200)의 미리 결정된 길이이고, 그에 따라 일체형 배관(200)의 특징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카테터 관(402) 내로 결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C(400)는 카테터 관(402)을 포함하고, 카테터 관은,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에 상응하게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허브 루멘을 가지는 양분된 허브, 2개의 허브 루멘의 허브 루멘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연장-다리부 루멘을 각각 가지는 2개의 연장 다리부(extension leg), 및 2개의 연장 다리부의 각각의 연장 다리부에 연결되는 루어 연결부(Luer connector)를 포함한다. CVC(400)는, 선택적으로, 카테터 관(402)의 일체화된 광섬유 탐침(110)과 시술 장비 또는 기구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CVC(400)의 허브로부터 연장되는 탐침 연장부(404)를 포함한다. 탐침 연장부(404)는, 광섬유 탐침(110)을 포함하는 카테터 관(402)의 스카이브 부분(skived portion) 또는 다른 관(예를 들어, 연장 관) 내에 배치된 카테터 관(402)의 스카이브 부분일 수 있다.
도 2, 도 4a 및 도 4b의 카테터 관(402)과 관련하여,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테터-관 벽(104), 특히 카테터-관 벽(104)의 내부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카테터 관(402)은 카테터 관(402)의 격막(208)을 더 포함한다.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막(208)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208)은 카테터-관(402)을 2개의 절반체들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카테터-관(402)의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카테터 관(402)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 중 다른 루멘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갖는다. 그러나, 격막(208)이 전술한 내용에 따라 카테터 관(402)을 2개의 동일한 절반체들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2의 카테터 관(402)의 횡단면이 시계의 면인 경우에서와 같이 3시로부터 9시까지 연장되는 격막(208) 대신, 격막(208)은 2시부터 10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되면, 카테터 관(402)의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의 각각의 루멘은 카테터 관(402)의 임의의 길이에서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질 것이다.
일체형 광섬유 탐침(110)이 내부에 배치된 카테터 관(402)의 길이방향 비드(206)가 카테터-관 벽(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길이방향 비드(206)는 카테터 관(402)의 내측에 위치된다. 사실상, 길이방향 비드(206)가 카테터 관(402)의 중앙 축과 동축적이 되도록, 길이방향 비드(206)가 격막(208), 특히 격막(208)의 중간 부분 내에 결합된다. 그러나, 길이방향 비드(206)는, 대안적으로, 격막(208)의 중간 부분과 카테터-관 벽(104) 사이의 격막(208) 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길이방향 비드(206)는 격막(208) 내로 결합될 필요가 전혀 없다. 그 대신, 길이방향 비드(206)는, 일체형 배관(100)의 길이방향 비드와 같이, 카테터-관 벽(104)에 결합될 수 있다. 길이방향 비드(206)가 카테터 관(402) 내로 어떻게 결합되는 지와 관계없이, 카테터 관(402)의 2개의 카테터-관 루멘(202a 및 202b) 중 적어도 하나의 루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 비드(206)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카테터 관(402)의 원위-단부 부분이 카테터 관(402)의 근위-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카테터 관(402)은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200)으로 컷팅된다. 카테터 관(402)의 원위-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카테터 관(402)의 근위-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과 마찬가지로, 카테터-관 벽(104), 격막(208), 및 길이방향 비드(206)를 포함하는 카테터 관(402)은 실리콘과 같은 무기 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기 중합체이다.
카테터 관(402)의 길이방향 비드(206) 내에 배치된 광섬유 탐침(110)은, 선택적으로 광섬유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다른 실리카 유리 또는 유기 중합체의 클래딩, 또 다른 유기 중합체의 버퍼 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클래딩된, 실리카 유리 또는 유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광섬유 또는 둘 이상의 광섬유의 번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광섬유의 각각의 광섬유는 약 8 ㎛ 내지 약 25 ㎛의 직경을 갖는다.
전술한 CVC(400)가 2개-루멘 카테터 관(402)을 가지는 2개-루멘 CVC이지만, CVC(400)와 유사한 2개-루멘 PICC와 같은 다른 의료 장치도 가능하다. 또한, 1개- 또는 3개-루멘 CVC 또는 PICC가 가능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1개-루멘 CVC 또는 PICC는 일체형 배관(100)에 상응하는 카테터 관 및 일체형 광섬유 탐침(110)을 가지며, 여기에서 각각의 3개-루멘 CVC 또는 PICC는 일체형 배관(300A 또는 300B)에 상응하는 카테터 관 및 일체형 광섬유 탐침(110)을 갖는다.
제조
도 5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110)가 일체화된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제조하는 방법이 광섬유(110)를 (하나씩 또는 광섬유의 스풀로부터) 압출기(500)의 다이(502)를 통해서 관통시키는 단계; 다이(502)를 통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용융 중합체 재료(504)를 광섬유(110)를 둘러 싸도록 함으로써, 배치된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형성하는 단계 -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은 길이방향 비드(106, 206, 또는 306) 내에 배치된 광섬유(110)를 포함함 -; 및 당김 장치를 사용하여, 냉각 배스를 통과하도록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당김으로써,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냉각 배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김 장치로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당기는 속도를 증가시켜 제1직경을 갖는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의 부분을 생성하거나, 당기는 속도를 감소시켜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의 부분을 생성한다.
방법은 코일화 장치를 사용하여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스풀 상에서 코일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컷터로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을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들(100, 200, 300A, 또는 300B)로 컷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이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2-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단부 부분을 포함하도록, 컷터는 당김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100, 200, 300A, 또는 300B)이,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200)으로 형성된 카테터 관(402)과 같은 카테터 관일 수 있다. 그러한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200)의 제1-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카테터 관(402)의 원위-단부 부분이다.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200)의 제2-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카테터 관(402)의 근위-단부 부분이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를 본원에서 개시하였고 특정 실시형태를 일부 상세 내용으로 개시하였지만, 그러한 특정 실시형태가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부가적인 변경 및/또는 수정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수 있고, 더 넓은 측면에서, 이러한 변경 및/또는 수정이 또한 포함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3)

  1. 일체형 배관으로서,
    상기 일체형 배관의 배관 벽;
    상기 일체형 배관의 하나 이상의 루멘(lumen) - 상기 하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됨 - ; 및
    상기 배관 벽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일체형 배관의 길이방향 비드(bead) -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함 - ;
    를 포함하는, 일체형 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관은 하나의 루멘을 가지는, 일체형 배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배관 벽에 결합되는, 일체형 배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관은 둘 이상의 루멘을 가지는, 일체형 배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상기 일체형 배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일체형 배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의 적어도 하나의 루멘은, 상기 일체형 배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지는, 일체형 배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관의 하나 이상의 격막;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배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배관 벽에 결합되는, 일체형 배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의 적어도 하나의 격막 내로 결합되는, 일체형 배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 각각의 내로 결합되는, 일체형 배관.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하나의 광섬유를 가지는, 일체형 배관.
  12.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의 번들을 가지는, 일체형 배관.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배관은 범프(bump) 배관인, 일체형 배관.
  14. 의료 장치로서,
    카테터 관; 및
    하나 이상의 광섬유의 일체형 탐침(stylet);
    을 포함하며,
    상기 카테터 관은:
    상기 카테터 관의 카테터-관 벽; 및
    상기 카테터 관의 하나 이상의 루멘 - 상기 하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카테터-관 벽에 의해서 형성됨 -;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카테터 관은,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가지는 상기 카테터 관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구비되는 길이방향 비드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관은 하나의 루멘을 가지는, 의료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카테터-관 벽에 결합되는, 의료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관은 둘 이상의 루멘을 가지는, 의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각각은, 상기 카테터 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의료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의 적어도 하나의 루멘은, 상기 카테터 관의 임의의 길이에서, 상기 둘 이상의 루멘 중 다른 루멘과 상이한 부피를 가지는, 의료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관의 하나 이상의 격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루멘의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의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카테터-관 벽에 결합되는, 의료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의 적어도 하나의 격막 내로 결합되는, 의료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격막 각각의 내로 결합되는, 의료 장치.
  24.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 18항, 제 19항, 제21항,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하나의 광섬유를 가지는, 의료 장치.
  25.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 18항, 제 19항, 제21항,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비드는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의 번들을 가지는, 의료 장치.
  26.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 18항, 제 19항, 제21항, 제22항 및 제2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은 상기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는, 의료 장치.
  27.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 18항, 제 19항, 제21항,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치는 말초 삽입 중앙 카테터 또는 중앙 정맥 카테터인, 의료 장치.
  28. 일체형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압출기의 다이를 통해서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다이를 통해 용융 중합체 재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일체형 배관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일체형 배관은 길이방향 비드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함 -; 및
    당김 장치를 사용하여, 냉각 배스를 통과하도록 상기 일체형 배관을 당김으로써, 상기 일체형 배관을 상기 냉각 배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코일화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 배관을 스풀(spool) 상에서 코일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장치는 상기 일체형 배관을 당기는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 제1 직경을 갖는 상기 일체형 배관의 부분을 생성하고, 상기 일체형 배관을 당기는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제1직경 보다 큰 제2직경을 갖는 상기 일체형 배관의 부분을 생성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컷터로 상기 일체형 배관을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이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2-단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제1-단부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컷터는 상기 당김 장치와 연동되는(synchronized),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상기 일체형 배관은 카테터 관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의 제1-단부 부분은 환자의 해부조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카테터 관의 원위-단부 부분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의 일체형 배관의 제2-단부 부분은 시술 장비 또는 기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상기 카테터 관의 근위-단부 부분인, 방법.
KR1020227004044A 2019-07-12 2020-07-10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KR20220035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3794P 2019-07-12 2019-07-12
US62/873,794 2019-07-12
PCT/US2020/041692 WO2021011408A1 (en) 2019-07-12 2020-07-10 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410A true KR20220035410A (ko) 2022-03-22

Family

ID=7405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044A KR20220035410A (ko) 2019-07-12 2020-07-10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007592A1 (ko)
EP (1) EP3996789A4 (ko)
JP (1) JP2022539686A (ko)
KR (1) KR20220035410A (ko)
CN (2) CN212756809U (ko)
AU (1) AU2020314561A1 (ko)
BR (1) BR112021026633A2 (ko)
CA (1) CA3146654A1 (ko)
MX (1) MX2021016146A (ko)
WO (1) WO20210114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3516B2 (en) * 1992-08-13 2003-09-23 Mark A. Saab Method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of a selected body region
US5614136A (en) * 1995-03-02 1997-03-25 Scimed Life Systems, Inc. Process to form dimensionally variable tubular members for use in catheter procedures
US6419643B1 (en) * 1998-04-21 2002-07-16 Alsius Corporation Central venous catheter with heat exchange properties
US6398775B1 (en) 1999-10-21 2002-06-04 Pulmonx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ed lung access
US7186222B1 (en) * 2002-09-10 2007-03-06 Radiant Medical, Inc. Vascular introducer with temperature monitoring probe and systems for endovascular temperature control
US7922650B2 (en) * 2004-03-23 2011-04-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visualization system with endoscope and mounted catheter
US20050278010A1 (en) 2004-05-27 2005-12-15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with imaging capability
US8761865B2 (en) * 2005-03-10 2014-06-24 Anatoly Babchenko Optical sensor and a method of its use
CA2716657A1 (en) * 2008-03-05 2009-09-11 Robert Hoch Pressure sensing catheter
US9913964B2 (en) 2008-12-29 2018-03-13 Acclar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dilating an airway stenosis
US8585858B2 (en) * 2011-06-06 2013-11-19 Alex M. Kronfeld Medical catheter with bump tubing proximal segment
US8684963B2 (en) 2012-07-05 2014-04-0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with a dual lumen monolithic shaft
US9247992B2 (en) * 2012-08-07 2016-02-02 Covidien, LP Microwave ablation catheter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US9868242B2 (en) * 2014-04-25 2018-01-16 Medtronic Ablation Frontier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a multi-lumen device
WO2016094576A1 (en) * 2014-12-09 2016-06-16 Tephratech LLC Partially shrinkable tubing with multiple lumens and associated methods
US9925285B1 (en) * 2017-06-21 2018-03-27 Inikoa Medical, Inc. Disinfecting method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06401A (zh) 2021-01-12
AU2020314561A1 (en) 2022-01-27
BR112021026633A2 (pt) 2022-02-15
EP3996789A4 (en) 2023-08-23
US20210007592A1 (en) 2021-01-14
CA3146654A1 (en) 2021-01-21
JP2022539686A (ja) 2022-09-13
EP3996789A1 (en) 2022-05-18
WO2021011408A1 (en) 2021-01-21
CN212756809U (zh) 2021-03-23
MX2021016146A (es)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732A (en) Miniscope
US5308342A (en) Variable stiffness catheter
US5116317A (en) Angioplasty catheter with integral fiber optic assembly
AU666383B2 (en) Steerable catheter
JP3462507B2 (ja) カテーテル用の2重内腔管設計
KR20220088458A (ko) 신속 삽입가능 중심 카테터들 및 그 방법(rapidly insertable central catheters and methods thereof)
AU2006333178B2 (en) Medical catheters of modular construction
WO2003051183A3 (en) Sheath for guiding imaging instruments
US20130225937A1 (en) Irrigation Devices Adapted to be used with a Light Source for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Bodily Passages
MXPA97005550A (en) Arterial catheter and catheter and needle unit with best flow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your
JP2011139936A (ja) 斜めの案内ワイヤ出口がある多管腔型胆管カテーテル
JP2010519974A (ja) 内視鏡用の先端面組立体
JP7410942B2 (ja) 医用装置のための支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0673A1 (en) Attachment device for a ureteroscope
JPH0555044B2 (ko)
JP6122102B2 (ja) 可変剛性画像化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5410A (ko) 광섬유가 일체화된 배관, 의료 장치, 및 그 방법(tubing with integrated optical fibe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thereof)
CN114796809A (zh) 球囊导引导管
CA1320890C (en) Angioplasty catheter with integral fiber optic assembly
RU2816042C2 (ru) Трубка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оптическим волокном, медицински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RU2816042C9 (ru) Трубка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оптическим волокном, медицински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220176075A1 (en) Articulating Shaft for a Steerable Catheter System, Catheter, and Fabrication Method
CN106691383A (zh) 一种高通过性oct成像导管
WO1987002473A1 (en) Fiber-optic image-carrying device
US20100069884A1 (en) Multi-Shape Cathete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