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364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364A
KR20220035364A KR1020220030897A KR20220030897A KR20220035364A KR 20220035364 A KR20220035364 A KR 20220035364A KR 1020220030897 A KR1020220030897 A KR 1020220030897A KR 20220030897 A KR20220030897 A KR 20220030897A KR 20220035364 A KR20220035364 A KR 2022003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dispenser
dispensing
contain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3644B1 (en
Inventor
박규태
이항복
박경수
권혁구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335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5257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4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364A/en
Priority to KR1020230061639A priority patent/KR20230073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과 얼음을 받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얼음 취출을 위한 아이스 슈트;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 보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가 더 가깝게 위치되며, 물 취출을 위한 워터 슈트; 및 상기 워터 슈트의 전방에 위치되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housing provided at the door and including a dispenser for receiving water and ice, wherein the dispenser includes a cavity formed by being recessed to the rea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opening for accessing the cavity. an ice chu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for dispensing ice; An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is located closer to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than the ice chute, and a water chute for dispensing water; and an input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chute and inputting a command for dispensing water or ice.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가진다.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and has either or bot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hat can store food in a refrigerated state and a freezer that can store food in a frozen state.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냉장고 내부에 있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고, 디스펜서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출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recently, a dispenser has been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so ice inside the refrigerator can be remov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and drinking water can also be dispensed through the dispenser.

디스펜서라 함은,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하여 용기를 수용할 수 있고, 함몰부의 상측에 얼음 취출구와 물 취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말한다. The dispenser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 accommodate a container, and an ice outlet and a water outlet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pression.

종래의 디스펜서는, 함몰부의 폭과 깊이에 제한이 있고, 용기를 받치는 받침대의 크기가 작아서, 부피가 큰 용기에 물을 받을 때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Conventional dispensers have limitations in the width and depth of the depression, and the size of the stand supporting the container is small, causing inconvenience when receiving water in a large container.

선행기술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3870호(2007년11월29일)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3870 (November 29,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피가 큰 용기에 물을 받을 때 해당 용기를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shortcoming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tand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a bulky container when receiving wa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을 받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상부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한 취출 슈트; 상기 취출 슈트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디의 후면부에 제공되는 푸쉬 패드;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트레이; 상기 용기 트레이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용기 트레이가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트레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트레이의 전면부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It is provided at the door and includes a dispenser for receiving water or ice, wherein the dispenser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that is recessed to the rear to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a cavity; a dispensing chut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penser housing for dispensing water or ice; a push pad provided on a rear portion of the cavity adjacent to the extraction chute; a container tray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avity and selectively rotating forward to support the container;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tray and includes a rotation axis that allows the container tray to rotate forward, and when the container tray is folded,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tray forms a rear portion of the cavity. .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과 얼음을 받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provided at the door to receive water and ice.

상기 디스펜서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얼음 취출을 위한 아이스 슈트;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물 취출을 위한 워터 슈트;를 포함한다. The dispenser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including a cavity that is recessed to the rea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opening for accessing the cavity; an ice chu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for dispensing ice;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d includes a water chute for discharging water.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워터 슈트의 전방에 위치되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chu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mmand for dispensing water or ice.

상기 디스펜서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아이스 슈트 사이에 상기 워터 슈트가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The water chut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and the ice chute.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display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입력부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과, 통 얼음 또는 분쇄 얼음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들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ater or ice, and a button for selecting whole ice or crushed ice. Buttons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워터 슈트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and the water chute may be located behind the opening in the dispenser housing.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의 하방에 구비되는 푸쉬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ns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push pad provided below the ice chute.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단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display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op of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부피가 큰 용기를 이용하여 물 또는 얼음을 받을 때 사용되는 별도의 받침대가 제공되므로, 부피가 큰 용기를 이용한 물 또는 얼음 취출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tand is provided for receiving water or ice using a large container, so the water or ice extraction process using a large container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accomplished.

또한, 상기 받침대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받침대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장해물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stand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ecoming an obstacl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door.

또한, 받침대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받침대가 디스펜서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받침대가 쉽게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pedestal forms a part of the dispenser when it is not in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destal is not easily exposed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디스펜서의 종단면도.
도 4는 용기 트레이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트레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디스펜서의 종단면도.
도 8은 용기 트레이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의 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cut along II of Figure 2.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tray in us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cut along II in Figure 6.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tray in us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12) 및 상기 도어(12)의 전면에 제공되어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and/or a freezing chamber therein, and one or more doors ( 12) and a dispenser 20 provided in front of the door 12 to receive water or ice.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마운트 타입 또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dditionally, the dispenser 20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디스펜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용기 트레이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cut along line II of Figure 2, and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tray in use. .

도 2 내지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0)의 가장자리에는 냉장고 도어(12)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아웃 도어(121)가 밀착된다. 즉, 아웃 도어(121)가 냉장고 도어(12)의 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 도어(121)의 내측에 상기 디스펜서(20)의 크기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에 상기 디스펜서(20)가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outer door 121 forming the front part of the refrigerator door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dispense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utdoor door 121 forms the front part of the refrigerator door 12, and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ispenser 2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outdoor door 121. Then, the dispenser 20 is mounted in the hole.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20)는, 전면부를 이루는 디스펜서 하우징(22)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후면부를 이루는 디스펜서 베이스(21)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과 디스펜서 베이스(21)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층(33) 및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전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2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8)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후면에는 제 1 컨트롤 패널(32)이 제공된다. In detail, the dispenser 20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22 forming the front part, a dispenser base 21 forming a rear part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nd a space between the dispenser housing 22 and the dispenser base 21. It includes a filled insulating layer 33 and a display 28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dditionally, a first control panel 3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housing 22, which corresponds to the rear of the display 28.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전면(22a)은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121a)과 동일면을 형성한다. The front surface 22a of the dispenser housing 22 forms the same surface as the front surface 121a of the outdoor door 121.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에는 용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캐비티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은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형성하기 위한 개구(22b)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는 상면과, 측면과, 배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측면과 배면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ㄷ" 자 횡단면을 이룰 수도 있고, 측면과 배면이 부드럽게 라운드져서 측면과 배면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housing 22 is formed with a cavity that is recessed back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The dispenser housing 22 includes an opening 22b to provide access to the cavity. The cavity consists of a top surface, a side surface, a back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dditionally, the side and back surfaces of the cavity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form a "ㄷ" shaped cross-section, or the sides and back may be smoothly rounded so that the side and back surfaces are not clearly defined.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아이스 슈트(25)와 물 취출을 위한 워터 슈트(2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워터 슈트(26)는 상기 아이스 슈트(25)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고, 직경이 작은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슈트(26)에는 물공급 라인(261)이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 ice chute 25 for dispensing ice and a water chute 26 for dispensing water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In detail, the water chute 26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ice chute 25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with a small diameter. Additionally, a water supply line 26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hute 26.

또한, 상기 아이스 슈트(25)의 상단에는 얼음 취출 경로가 되는 얼음 배출 덕트(27)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얼음 배출 덕트(27)는 상기 아이스 슈트(25)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열층(33)과 상기 디스펜서 베이스(21)를 관통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얼음 배출 덕트(27)의 상단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가 놓여서,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얼음 배출 덕트(27)를 통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배출 덕트(27) 내부에는 얼음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271)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ce discharge duct 27, which serves as an ice extraction path, is extended from the top of the ice chute 25, and the ice discharge duct 27 extends upward from the top of the ice chute 25 to form an ice discharge duct 27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ice chute 25. (33) and passes through the dispenser base (2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ice bank storing ice is placed at the top of the ice discharge duct 27, and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is discharged to the ice chute 25 through the ice discharge duct 27. It can be. Additionally, a damper 271 that selectively blocks ice discharg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ce discharge duct 27.

한편,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는 용기를 받치는 용기 트레이(29)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을 이루는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일부분은 후방으로 더 함몰되어 트레이 안착부(221)를 형성한다. 즉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에서 상기 캐비닛을 형성하는 후면에서 상기 개구(22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가 함몰된다. Meanwhile, a container tray 29 supporting the container is rotatably mounted at the rear of the cavity. And,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22 forming the rear of the cavity is further depressed to the rear to form a tray seating portion 221. That is,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is de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22b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housing 22 forming the cabinet.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에 안착되며,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표면(이하에서는 전면부로 정의한다)은 상기 캐비티의 후면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쉽게 확인되지 않고 단순히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일부분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9)이 하단에는 회전축(291)이 제공되어,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291)은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하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 단부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측면부에 삽입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좌측면 하단부와 우측면 하단부에 상기 회전축(291)이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측면부에 각각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tray 29 is seated on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tray 29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container tray 29 is accommodated in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hereinafter defined as the front portion) forms the rear portion of the cavity.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tray 29 is formed to be flush with the dispenser housing 22, so that the container tray 29 is not easily identifie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and is simply recognized as a part of the dispenser housing 22.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a rotation axis 29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ray 29, so that the container tray 29 can be rotated forward. The rotation shaft 291 penetrate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tray 29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lternatively,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291 protrudes from the lower left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of the container tray 29 and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22 is possible.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일 방향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에 수용될 수 있고, 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The container tray 29 can be accommodated in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can support the container when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에 안착되었을때,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291a)은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container tray 29 is seated on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the front surface 291a of the container tray 29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291a)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개구(2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291a of the container tray 29 may be inclined away from the opening 22b of the dispenser housing 22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개구(22b)와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291a) 간의 최대 수평 거리(D1)는 상기 아이스 슈트(25)의 출구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aximum horizontal distance D1 between the opening 22b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nd the front surface 291a of the container tray 29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outlet of the ice chute 25. .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개구(22b)와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291a) 간의 최대 수평 거리(D1)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개구(22b)와 상기 회전축(291)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크다. In addition, the maximum horizontal distance D1 between the opening 22b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nd the front surface 291a of the container tray 29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ning 22b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nd the rotation axis 291. )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또한,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는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푸쉬 패드(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패드(3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후면에는 상기 푸쉬 패드(3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제 2 컨트롤 패널(34)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push pad 30 for inputting a water or ice dispensing comman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vity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tray 29. Additionally, a second control panel 34 that receives commands from the push pad 3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housing 22, which corresponds to the rear of the push pad 30.

또한, 상기 캐비티의 저면을 이루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에는 잔수 받이가 제공되며, 상기 잔수 받이는,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잔수 트레이(24)와, 상기 잔수 트레이(24)의 상면을 덮는 잔수 커버(23)를 포함한다. 상기 잔수 커버(23)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잔수홀(23)이 형성되어, 상기 워터 슈트(26)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상기 잔수 트레이(24)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housing 22 forming the bottom of the cavity is provided with a residual water receiver, which includes a residual water tray 24 sunk down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residual wat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dual water tray 24. Includes cover (23). One or more still water holes 23 are formed in the still water cover 23 to allow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chute 26 to collect in the still water tray 24.

상기 잔수 트레이(24)의 바닥면(241a)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개구(22b)의 하단(22c)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도어(121)의 전면(121a)과 상기 잔수 트레이(24)는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 트레이(29)와 상기 잔수 트레이(24)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241a of the residual water tray 24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22c of the opening 22b of the dispenser housing 22.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121a of the outdoor door 121 and the residual water tray 24 may be arranged to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ditionally, interference between the container tray 29 and the remaining water tray 24 can be prevented while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회전축(291)은 상기 잔수 트레이(24) 보다 상기 개구(22b)에서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axis 291 of the container tray 29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opening 22b than the residual water tray 24.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상기 회전축(29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며, 수평 상태까지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수평 상태에서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수평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용기가 놓이는 면(이하 후면부로 정의한다)과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에는 래치부(293)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래치부(293)는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상기 트레이 안착부(22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를 눌렀다 떼는 동작에 의하여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ainer tray 29 can rotate forward about the rotation axis 291 and can rotate to a horizontal state. And, in a horizontal state, the container tray 29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a latch portion 293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container is placed (hereinafter defined as the rear portion) and the tray seating portion 221. In detail, the latch part 293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container tray 29 to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tray seating part 221, and the jammed state is released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front part of the container tray 29. Includes a structure that is

또한, 상기 회전축(291)에는 트레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를 눌렀다 떼면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자동으로 수평 상태까지 회전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동 수단의 구조나 메카니즘은 종래에 널리 쓰이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으로 개방되는 카세트 데크에 적용되는 구동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래치부(293)를 눌렀다 떼면 소정 크기의 반발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91)에는 감속 기구가 제공되어,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구적 메카니즘은 당업자에 의하여 충분히 이해되고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dditionally, the rotation shaft 291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tray. The driving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otate the container tray 29 to a horizontal state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tray 29 is pressed and released. The structure or mechanism of the driving means may be a widely used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driving means applied to an automatically opening cassette deck may be employed. Alternatively, when the latch portion 293 is pressed and released, a repulsive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generated, and this repulsive force causes the container tray 29 to rotate forward, and a deceleration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291, so that the container The tray 29 may be allowed to rotate at low speed. Since this mechanical mechanism is well understood and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xamples or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2)의 전면부에는 취출 메뉴 입력을 위한 입력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1)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과, 얼음의 취출 형태, 즉 통얼음 또는 분쇄 얼음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물 온도 설정 버튼 또는 물 용량 설정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 버튼들은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터치 버튼 또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스위치 온/오프 되도록 하는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n input unit 31 for inputting a dispensing menu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dispenser housing 22. The input unit 31 may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water or ice, a button for selecting a dispensing type of ice, that is, whole ice or crushed ice, a water temperature setting button, or a water volume setting button. Additionally, these input buttons may include a touch button that uses capacitance change or an on/off button that turns the switch on/off by pressing it with a finger.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8)에는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28)는 LCD 패널 또는 LED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 취출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물이 취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28)에는 물이 취출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컵에 물이 떨어지는 형상의 이미지나 동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물 취출이 중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28)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이후에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28)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부터 직전 취출 모드가 무엇이었는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28) 화면에 물취출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되어 있으면, 이전에 물 취출 동작이 수행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얼음 취출을 원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8)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푸쉬 패드(30)를 누르기 전에 취출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취출 모드와 다른 취출 모드가 작동하는 상황, 즉 얼음 취출을 원하는데 물이 취출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an image or video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mmand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28. In detail, the display 28 includes an LCD panel or an LED panel.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water dispensing mode and presses the push pad 30, an image or video indicating that water is being dispense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8 while water is being dispensed. As shown, an image or video of water falling into a water cup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8. Also,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pressing the push pad 30 and water dispensing stops, the image or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28 can also stop. Then, before the user presses the push pad 30 to dispense water or i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at the previous dispensing mode was from the image or video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8. For example, if an image or video corresponding to the water dispensing m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28, the user can recognize that a water dispensing operation has been previously performed. If the user wants to dispense ice, the dispensing mode can be changed before pressing the push pad 3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play 28.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ituation in which a dispensing mode different from the dispensing mode intended by the user is operated, that is, a situation in which water is dispensed when ice is desired, does not occu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트레이(29)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조이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ainer tray 29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rotate it by hand.

상세히,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29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회동시켜 용기를 올려놓고자 할 때, 상기 파지홈(292)을 잡고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용기 트레이(29)는 상기 회전축(29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후면부에 별도의 래치 구조가 필요 없고, 상기 회전축(291)에도 별도의 감속 기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In detail, a gripping groove 292 that the user can grip with his or her fingers may be reces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tray 29. Also,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container tray 29 to place a container, the user holds the grip groove 292 and rotates the container tray 29 forward. Then, the container tray 29 rotates forward about the rotation axis 291. In this structu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latch structure on the rear part of the container tray 29,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eceleration mechanism to be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291.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디스펜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용기 트레이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cut along line II of Figure 6, and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tray is used.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structure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structures are omitt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경우, 상기 푸쉬 패드(30)가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 상측에 제공되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 컨트롤 패널과 제 2 컨트롤 패널이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제공됨을 밝혀 둔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push pad 30 is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ontainer tray 29. Also, although not show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control panel and the second control panel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r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용량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해서는 상기 푸쉬 패드(3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입력부(31)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31)에는 대용량 취출을 위한 취출 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예컨대 대용량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해서, 물 또는 얼음 선택을 위한 버튼 이외에, 취출 용량 선택 버튼과 취출 버튼이 추가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push pad 30 cannot be used to dispense large-capacity water or ice, the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unit 31 must be used. Therefore, the input unit 31 should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dispensing button for dispensing large amounts of water or ice. For example, in order to dispensing large amounts of water or ice, a dispensing capacity selection button and a dispensing button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button for selecting water or ice. It should be.

상세히, 사용자가 소용량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해서는 상기 입력부(31)에 구비된 취출물 선택 버튼을 누른 다음 용기로 상기 푸쉬 패드(30)를 눌러서 원하는 취출물, 즉 물과 얼음 중 어느 하나가 취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대용량 취출을 위해서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부(31)에 구비된 취출물 선택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취출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취출물의 용량을 선택한 다음 취출 버튼을 눌러야 한다.In detail, in order to dispense small-capacity water or ice, the user presses the object selection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unit 31 and then presses the push pad 30 with a container to dispense the desired object, that is, either water or ice. do. However, for large-capacity dispensing, when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forward, the desired dispensing object is selected by pressing the dispensing object selection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unit 31, the capacity of the selected dispensing object is selected, and then the dispensing button is pressed. You have to press it.

한편, 상기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캐비티의 후면에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수용되는 트레이 안착부(224)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트레이 안착부(224)의 내측에서 소정 깊이로 더 함몰되는 용기 수용홈(2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용기를 캐비티 안쪽으로 더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용기 수용홈(222)은 이전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Meanwhile, at the rear of the cavity formed in the dispens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tray seating portion 224 in which the container tray 29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addition, a container receiving groove 222 that is further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seating portion 224. This is to allow the container to be pushed further into the cavity while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forw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ainer receiving groove 222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또한,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푸쉬 패드(30)가 안착되는 푸쉬패드 안착홈(29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패드(30)의 전면부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로부터 더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In addition, a push pad seating groove 294 in which the push pad 30 is seated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container tray 29. 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push pad 30 is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urther from the front part of the container tray 29.

도 8을 참조하면, 대용량 취출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수평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 트레이(29)를 회동시키는 메카니즘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8, in order to take out a large volume, the user rotates the container tray 29 forward to make it horizontal. The mechanism for rotating the container tray 29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상기 푸쉬 패드(30)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와 한 몸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푸쉬 패드(30)에 가압력이 제공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 패드(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수평 상태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푸쉬 패드(30)가 상기 잔수 커버(23)를 포함하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가 좋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1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부에 상기 푸쉬 패드(30)가 설치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푸쉬 패드(30)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상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Additionally, since the push pad 30 rotates as one body with the container tray 29, pressing force should not be provided to the push pad 30 when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ush pad 30 is such that the push pad 30 interfer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including the residual water cover 23 when the container tray 29 is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A location that doesn't work is good. To achieve this, the push pad 30 must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ontainer tray 29, which corresponds to the area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12. Therefore, the push pad 3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int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tray 29.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경우, 푸쉬 패드(30)가 용기 트레이(29)의 전면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패드(30)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푸쉬 패드 안착홈(29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패드(30)는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축(30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해서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상기 푸쉬 패드(30)는 상기 회전축(301)을 중심으로 약간 만큼 후방으로 틸팅된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cas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ush pad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container tray 29. And, the push pad 30 is seated in the push pad seating groove 294 recess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iner tray 29. Additionally, the push pad 3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by a rotation axis 301 provided at the lower end.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pad 30 to dispense water or ice, the push pad 30 is tilted slightly backward about the rotation axis 301.

한편,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명령 입력으로 인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발생부(50)가 필요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입력 신호 발생부(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an input signal generator 50 is required to recognize that pressing the push pad 30 as a water or ice dispensing command input.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put signal generator 50 will be described.

상기 입력 신호 발생부(5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푸쉬 패드(30)와 용기 트레이(29)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푸쉬 패드(30)와 용기 트레이(29)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되는 마그넷(52)과, 다른 일측에 제공되는 홀센서(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마그넷(52)이 상기 푸쉬 패드(3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홀센서(51)가 상기 푸쉬 패드 안착홈(294)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The input signal generator 50 may be provided to the push pad 30 and the container tray 29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it may be provided to either the push pad 30 or the container tray 29. It may include a magnet 52 and a Hall sensor 51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magnet 5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ush pad 30 and the Hall sensor 5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ush pad seating groove 294, but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마그넷(52)이 상기 홀센서(51)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홀센서(51)에서는 상기 마그넷(52)을 감지하지 못한다. 그리고, 취출 명령 입력을 위해서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상기 마그넷(52)이 상기 홀센서(51)의 직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상기 홀센서(51)에서는 상기 마그넷(52)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여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발생된 펄스는 신호선을 통하여 컨트롤 패널로 전송된다. 그리고, 펄스 온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고,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펄스 오프 상태가 되면 취출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In this structure, when the extraction command is not input, the magnet 52 is maintained spaced apart from the Hall sensor 51, and the Hall sensor 51 does not detect the magnet 52. can not do it. Then, when the push pad 30 is pressed to input a take-out command, the magnet 52 moves directly below the Hall sensor 51, and as a result, the Hall sensor 51 moves from the magnet 52. A pulse is generated by detecting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Then, the generated puls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panel through a signal line. Water or ice is dispensed while the pulse-on state is maintained, and when the force pressing the push pad 30 is removed and the pulse-off state is maintained, the dispensing operation is stopp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취출 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발생부의 또다른 예로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nother example of an input signal generator for detecting a fetch command may include an on-off switch.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온오프 스위치 형태의 입력 신호 발생부(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 패드(30)의 배면과 상기 푸쉬 패드 안착부(294)의 안착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The input signal generator 53 in the form of an on-off switch presented in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ush pad 30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push pad seating portion 294, respectively, as shown. .

상세히,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명령 입력을 위하여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상기 푸쉬 패드(30)의 배면에 구비된 접점부와 상기 푸쉬 패드 안착부(294)에 구비된 접점부가 연결되어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위치 온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고,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면 취출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push pad 30 is pressed to input a water or ice dispensing command,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ush pad 30 and the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push pad seating portion 294 are connected to switch. It becomes on. Additionally, water or ice can be dispensed while the switch is on, and dispensing can be stopped when the switch is off.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용기 트레이와 푸쉬 패드에 구비되는 취출 명령 입력 메카니즘의 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ensing command input mechanism provided in the container tray and push pad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 발생부(50)는, 앞서 설명한 입력 신호 발생부(50)가 용기 트레이(29)의 상단부와 용기 안착부(222)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input signal generato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input signal generator 50 described abov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tray 29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eating portion 222,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상세히, 상기 푸쉬 패드(30)는 상기 용기 트레이(29)의 전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푸쉬 패드(30)를 누르면 상기 용기 트레이(29)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기 트레이(29)에 장착된 마그넷(52)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홀센서(51)에서 상기 마그넷(52)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홀센서(51)로부터 펄스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In detail, the push pad 3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ontainer tray 29, and when the push pad 30 is pressed, the container tray 29 is pushed backward. Then, the magnet 52 mounted on the container tray 29 moves rearward, so that the Hall sensor 51 detects the magnet 52, and accordingly, a puls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Hall sensor 51. do.

본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 발생부(50)는 홀센서와 마그넷 구조 외에 도 10에서 설명한 스위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 structure described in FIG. 10 can be applied to the input signal generator 50 in addition to the Hall sensor and magnet structure.

Claims (1)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과 얼음을 받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얼음 취출을 위한 아이스 슈트;
상기 캐비티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물 취출을 위한 워터 슈트; 및
상기 워터 슈트의 전방에 위치되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nd
Provided in the door, it includes a dispenser for receiving water and ice,
The dispenser is,
A dispenser housing including a cavity that is recessed to the rea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opening for accessing the cavity;
an ice chu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for dispensing ice;
a water chu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for dispensing water; and
A refrigerator located in front of the water chute and including a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KR1020220030897A 2021-03-15 2022-03-11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7A KR102533644B1 (en) 2021-03-15 2022-03-11 Refrigerator
KR1020230061639A KR20230073160A (en) 2021-03-15 2023-05-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33A KR102375257B1 (en) 2020-06-11 2021-03-15 Refrigerator
KR1020220030897A KR102533644B1 (en) 2021-03-15 2022-03-11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33A Division KR102375257B1 (en) 2020-06-11 2021-03-15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39A Division KR20230073160A (en) 2021-03-15 2023-05-1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364A true KR20220035364A (en) 2022-03-22
KR102533644B1 KR102533644B1 (en) 2023-05-18

Family

ID=809885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97A KR102533644B1 (en) 2021-03-15 2022-03-11 Refrigerator
KR1020230061639A KR20230073160A (en) 2021-03-15 2023-05-12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39A KR20230073160A (en) 2021-03-15 2023-05-12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364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48A (en) * 2006-11-23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038052A (en) * 2007-10-15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48A (en) * 2006-11-23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038052A (en) * 2007-10-15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644B1 (en) 2023-05-18
KR20230073160A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754E1 (en) Refrigerator
US9581382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054242B1 (en) Refrigerator
US6651449B2 (en) Water bottle fill button for refrigerators
KR102218018B1 (en) Refrigerator
US8640484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US20070289669A1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040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100122230A (en) Refrigerator
KR20090102576A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EP2837902A2 (en) Refrigerator
US8881951B2 (en) Refrigerator
US2015027629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66062B1 (en) A refrigerator
US2010017541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88937A (en) Refrigerator
KR102230228B1 (en)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Refrigerator
KR102375257B1 (en) Refrigerator
KR102124037B1 (en) Refrigerato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200036455A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ssembly
KR20140104094A (en) Refrigerator
KR101221763B1 (en)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operational lever in refrigerator
KR101751050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