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05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050B1
KR101751050B1 KR1020100042236A KR20100042236A KR101751050B1 KR 101751050 B1 KR101751050 B1 KR 101751050B1 KR 1020100042236 A KR1020100042236 A KR 1020100042236A KR 20100042236 A KR20100042236 A KR 20100042236A KR 101751050 B1 KR101751050 B1 KR 10175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ice
tray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2904A (en
Inventor
황정연
강진원
유명동
서운규
정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050B1/en
Priority to US13/696,091 priority patent/US8881951B2/en
Priority to PCT/KR2011/003395 priority patent/WO2011139116A2/en
Publication of KR2011012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펜서 바디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이동하여 용기 수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디스펜서 구조가 평상시에는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structure of a refrigerator, in which a dispenser body part is mov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ontainer is provided only when a dispenser body moves and a water or ice dispensing command is inpu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enser structur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normally.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storing foods at a low temperature.

상세히,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고,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음식물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refrigerator uses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so that cool ai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is supplied to a space for food storage.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타입,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및 바텀 프리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탑마운트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입이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며, 바텀 프리저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다. The refrigerator can be divided into a top mount type, a side by side type, and a bottom freezer type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The top mount type is a type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side by side type is the type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freezing type is the type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is locat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음식물을 인출 또는 수납할 수 있는 홈바 도어 구조에 더하여,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structure capable of extracting water or ice without opening a refrigerator door has been introduced in addition to a home bar door structure that can draw or store foo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이와 같은 디스펜서 구조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도어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후면이 돌출되면서 고내 용적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Such a dispenser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most of the structure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ackward of the door.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dispenser is protruded to reduce the internal volume.

본 발명은, 디스펜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냉장고 도어의 후면 두께를 작게 하여 고내 용적을 늘릴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ear surface of a refrigerator door by increasing the dispenser structure and thereby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또한, 디스펜서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냉장고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minimize the depth of the dispenser and thereby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또한,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디스펜서 사용 시에만 선택적으로 함몰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dispenser is not used, the refrigerato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lightly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is selectively depressed only when the dispenser is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에는 물 또는 얼음을 받기 위한 용기를 수용하는 용기 수용부가 정의되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의하여, 상기 용기 수용부를 정의하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벽이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on the door, the dispenser assembly allowing water or ice to be taken out, wherein the dispenser assembly defines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or ice, And the wall of the dispenser assembly defining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movable backwar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물이나 얼음을 취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펜서 바디가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유지하거나, 냉장고 도어의 전면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사용자에게 디스펜서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or ice is not taken out, the dispenser body is kept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 Therefore, when the user looks at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dispenser appears to be kept hidden.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지 않을 때에는 트레이가 디스펜서 하우징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water or ice is not taken out, the tray remains in the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dispenser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on the tray.

또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디스플레이부가 나타나므로,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깔끔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only when a command for extracting water or ice is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neatly desig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 깊이가 기존의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의 깊이보다 작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되며, 그 결과 고내 용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The depth of the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container in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depress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formed in the conventional dispenser so that the portion project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becomes smaller, The effect of widening the volume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구성하는 이동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and 4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ssembly;
Figure 6 is an incis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II of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tray constituting a tray is taken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assembly;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ispenser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 및 냉동실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ing chamber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door (13).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식 도어일 수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13)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드로어 타입 도어일 수 있다. In detail,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may be a pivotable door pivoting about a vertical axis,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may be a drawer type door slidingly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에도 장착 가능함을 밝혀 둔다. Meanwhile, a dispenser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Here, it is noted that the dispenser assembly 20 can b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door or a freezer compartment door in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enser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freezer compartment door.

상세히,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측방에는 디스플레이(14)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작동하는 경우에만 물의 온도, 고내 온도 등에 관한 정보가 도어 전면에 표시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제시한다. 즉,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의 전면에는 어떤 표시도 나타나지 않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는 순간, 상기의 정보가 활성화되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 방법으로서, 점진적으로 밝아진 후 점진적으로 빛이 소멸하는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타입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detail, a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dispenser assembly 20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 display 14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penser assembly 20. In this embodiment, a display is provided in which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only when the dispenser assembly 20 is operated for water or ice extraction. That is, when no dispenser is used, no indic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door, and the information is activated and displayed outside as soon as a water or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 As a display method, a fade in / out type display method in which light gradually disappears gradually after being gradually illuminated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디스펜서 하우징(2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헤드(23)와,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디스펜서 바디(22) 및,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하단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하단 사이에 개입되고,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트레이(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는, 얼음 취출 버튼(25)이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는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의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The dispenser assembly 20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21, a dispenser head 23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21, and a dispenser housing 23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penser head 23 to the dispenser housing 21, And a tray 26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spenser body 22 and the lower end of the dispenser housing 21 and is capable of being pulled out from the front and back. The dispenser body 22 may be provided with an ice extraction button 25. In this embodiment, the ice extraction button 25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dispenser body 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enser body 22 is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ce extraction button 25. [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은 전면이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며, 전면 테두리부를 지나는 면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dispenser housing 21 has a front opening and a surface passing through the front edge portion may form a substantially same surfac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on which the dispenser assembly 20 is mounted.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FIGS. 3 and 4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ssembly.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 하우징(21)과, 디스펜서 바디(22)와, 디스펜서 헤드(23) 및 트레이(26)를 포함한다.3 to 5, a dispenser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21, a dispenser body 22, a dispenser head 23, and a tray (not shown) 26).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7)가 안착될 수 있다. In detail, a control unit 2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2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head 23.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양 측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구동부(28)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저면에는 상기 트레이(26)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구동부(29)가 장착될 수 있다. The dispenser housing 2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part 28 for moving the dispenser body 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dispenser housing 21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ispenser housing 21 with a second driving unit 29 for moving the tray 26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상면 전단에는 물취출구(211)가 형성되어, 상기 물취출 버튼(24)을 누르면, 상기 물취출구(211)의 직상방에 놓이는 물꼭지(미도시)로부터 물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A water outlet 2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21 so that water is discharged from a water faucet (not shown) placed in the upper chamber of the water outlet 211 when the water takeout button 24 is pressed. Can be taken out.

또한, 상기 디스펜서 바디(22)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보다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얼음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하단부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단차지고, 상기 단차지는 부위에 아이스 슈트(251)의 토출구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이 디스펜서 헤드(23)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의 전면과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 및 도어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을 눌러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퇴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내부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차지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의 출구측 단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입구측 단부와 연통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의 배면 또는 고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의 아이스 메이커, 아이스 빈 및 디스차지 덕트의 구조는 종래의 냉장고에 적용된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enser body 22 is spaced rearward from the dispenser head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facilitating the extraction of ice. In other words, the lower end of the dispenser head 23 and the upper end of the dispenser body 22 are stepp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ice chute 251 can be positioned at the stepped por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22 is positioned behind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head 23,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no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head 23,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2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re flush with each other, When the blowout command is input, the dispenser body 22 may be retracted to expose the ice chute 251 to the outside. Although not shown,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ice is formed in the door, and an outlet-side end of the discharge duct communicates with an inlet-side end of the ice chute. The ice maker and the ice bin in which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is stored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r the floor of the door. The structure of the ice maker, ice bin, and discharge duct may be a structure applied to a conventional refrigerator.

한편, 상기 트레이(26)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트레이(261)와, 전방으로 인출되는 이동 트레이(262) 및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63)를 포함한다. The tray 26 includes a fixed tray 261 fixed to the in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21, a moving tray 262 drawn out forward and a slide guide 262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tray 262 263).

상세히, 슬라이드 가이드(263)는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트레이(262)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slide guide 263 is accommodated in the moving tray 262,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and guiding the moving tray 262 so that the moving tray 262 can move horizontally. The slide guide 263 is fixed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21.

또한,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 및 하강 운동만 수행한다.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작동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fixing tray 26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guide 263 and performs onl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due to the elastic force during the drawing or drawing of the moving tray 262. The structure for operation of the fixed tray 26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상기 이동 트레이(261)는,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전방으로 인출되고, 물 또는 얼음 취출이 끝나면 후퇴하여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 수용된다. Further, when the water or ice ejection command is input, the moving tray 261 is pulled forward, and when water or ice is taken out, the moving tray 261 retreats and is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housing 21. [

한편, 상기 제 1 구동부(28)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측면부 상측 및/또는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수직한 상태로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한다.The first driving unit 28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 or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22 so that the dispenser body 22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부(28)는, 구동 모터(281)와, 상기 구동 모터(28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283)와, 상기 샤프트(283)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283)와 한 몸으로 회전하는 피니언(28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82)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측면에 형성되는 랙(221)과 맞물린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riving unit 28 includes a driving motor 281, a shaft 28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281, and a shaft 283 connected to the shaft 283, And may include a body-rotating pinion 282. The pinion 282 is engaged with a rack 221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22.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29)도 상기 제 1 구동부(28)와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291), 샤프트(293) 및 피니언(29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저면에 형성되는 랙(후술함)에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들(28,29)은 상기 제어부(27)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drive unit 29 may include a drive motor 291, a shaft 293, and a pinion 292, similar to the first drive unit 28. And is engaged with a rack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tray 262. [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s 28 and 29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7.

한편, 상기 물취출 버튼(24)과 얼음 취출 버튼(25)의 배면에는 스위치(30)가 연결되어, 물 또는 얼음의 취출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스위치도 가능하다. 상기 버튼들(24,25)이 눌러지면 상기 스위치(30)가 온되고, 스위치 온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witch 30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water take-out button 24 and the ice take-out button 25 to generate a water or ice take-out command signal. The switch 30 may be a commonly used microswitch or other types of switches. When the buttons 24 and 25 are pressed, the switch 30 is turned on, and a switch-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so that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도 6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6 is an incision oblique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양 측면에는 랙(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221)에는 상기 피니언(282)이 맞물려서, 상기 피니언(28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 용기 수용을 위한 공간, 즉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racks 22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enser body 22 as shown. The pinion 282 is engaged with the rack 221 to allow the dispenser body 22 to slide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inion 282. In detail, the dispenser body 22 is slid rearward,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that is,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21.

또한, 상기 트레이(26)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얼음 취출 명령뿐 아니라 물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도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ray 26 can be pulled out forward only when an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program. Alternatively, not only an ice extraction command but also a water extraction command may be drawn forward.

도 7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4,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는 상기 고정 트레이(261)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를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저면에 형성되는 랙(264)에 상기 피니언(292)이 맞물려서, 상기 피니언(29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이동 트레이(262)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의하여 흔들림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7 and 8, the fixed tray 261 is connected to the slide guide 263 and the movable tray 262 is coupled to the fixed tray 261 and the slide guide 263, . The pinion 292 is engaged with a rack 26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tray 262 so that the moving tray 262 slides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inion 292 . The moving tray 262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out being shaken by the slide guide 263. [

또한,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63)에는 보스 형태의 서포터(265)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26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67)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265)는 상기 탄성 부재(2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265)는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저면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65)가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저면에 형성된 슬리브 또는 홈에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하단부에 의하여 상승 거리가 제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고정 트레이(261)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에서 상하 이동만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면 충분하다.In addition, the fixed tray 261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lide guide 263. In detail, a boss-shaped supporter 265 is inserted into the slide guide 263, and an elastic member 267 such as a spring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er 265. Therefore, the supporter 265 is movable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67, so that the fixed tray 261 can move up and down. The supporter 265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tray 261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er 265 is simply inserted into a sleeve or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tray 261 Lt; / RTI > The fixing tray 26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ising distance is limited by the lower end of the dispenser body 22. In short, it is sufficient that the fixing tray 261 is mounted in the dispenser housing 2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ly.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구성하는 이동 트레이가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tray constituting a tray is drawn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물 취출 버튼(24) 또는 얼음 취출 버튼(25)의 조작에 의하여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구동부(29)의 구동 모터(291)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292)이 회전하여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전방으로 인출된다. 9, the drive motor 291 of the second drive unit 29 operates when a water or ice take-out command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takeout button 24 or the ice takeout button 25. [ Then, the pinion 292 rotates and the moving tray 262 is pulled forward.

상세히, 상기 이동 트레이(262)의 상측 후단부와 상기 고정 트레이(261)의 전단부에는 각각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262a,26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기 탄성 부재(267)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들(262a,262b)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후퇴할 때에도 상기 경사면들(262a,263a) 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부드럽게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트레이(262)가 완전히 인출되어 상기 고정 트레이(261)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트레이(262)와 고정 트레이(261)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In detail, the upper rear end of the moving tray 262 and the front end of the fixing tray 261 may b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262a and 262b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respectively. When the moving tray 262 is completely drawn out, the fixing tray 261 is rai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67. Then, the fixing tray 261 smoothly rises while the inclined surfaces 262a and 26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ontrary, when the movable tray 262 is retracted, the fixed tray 261 smoothly descends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262a and 263a. When the movable tray 262 is completely drawn out and the fixed tray 261 is raise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tray 262 and the fixed tray 261 are flush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물 취출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에만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트레이(26)가 인출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유지하거나, 냉장고 도어의 전면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사용자에게 디스펜서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트레이(26)가 디스펜서 하우징(21)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레이(26)에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ispenser body 22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body 22 is moved forward when no water take-out or ice take-out command is inputted. Then, only when the water or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ted, the dispenser body 22 moves backwar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nd the tray 26 is drawn out. Accordingly, since the dispenser body 22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or is positioned slightly rearward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the dispenser is kept hidden from the user's front of the refrigerator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tray 26 is kept in the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dispenser housing 21,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on the tray 26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 깊이가 기존의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용기 수용을 위한 함몰부의 깊이보다 작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되며, 그 결과 고내 용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Also, since the depth of the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container in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depress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formed in the existing dispenser,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is reduce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widening the internal volum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assembly.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는, 디스펜서 하우징(21)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펜서 바디(22)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 형성되는 물취출 버튼(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1)의 상면에는 물취출구(211)가 형성된다.10 and 11, a dispenser assembly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21, a dispenser body 22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21, And a water take-out button 24 formed on the dispenser body 22. A water outlet 2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211.

상세히, 본 실시예는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통하여 물취출만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21)의 개구부 전체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후방 이동에 의하여 물 취출구(211)가 외부로 노출되고, 동시에 물 저장 용기를 받는 용기 수용부가 정의된다. Specifically,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only taking out water through the dispenser assembly 20. Therefore, the entire opening of the dispenser housing 21 is covered by the dispenser body 22, and the water outlet 211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dispenser body 22, Container acceptance is defin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디스펜서 어셈블리(20)를 통하여 얼음 취출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2,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only ice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dispenser assembly 20 in this embodiment.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1)의 상면에는 아이스 슈트(251)가 형성되고, 디스펜서 바디(22)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에는 얼음 취출 버튼(25) 만이 형성된다. 그외의 구조는 이전 실시예에 개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tail, an ice chute 2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21, and the ice chute 251 is selectively exposed by the movement of the dispenser body 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urther, only the ice extraction button 25 is formed in the dispenser body 22.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20)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물취출구(211)와 아이스 슈트(251)가 디스펜서 헤드(23)와 디스펜서 바디(22)를 경계짓는 단차면에 모두 형성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작동이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13 and 14,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water outlet 211 and the ice chute 251 are all formed on the stepped surface that border the dispenser head 23 and the dispenser body 22, and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body 22 There is a difference in how this is done differently.

상세히, 상기 물 취출구(211)가 상기 아이스 슈트(251)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Specifically, the water outlet 211 is located in front of the ice chute 251, and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3은 물 취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물 취출 버튼(24)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단, 상기 디스펜서 바디(2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 취출구(211)만 노출되는 거리 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Fig.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en a water takeout command is input.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takeout button 24, the dispenser body 22 moves backward. However, the dispenser body 22 does not completely move backward but moves backward by a distance that only the water outlet 211 is exposed.

도 14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얼음 취출 버튼(25)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22)가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51)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트레이(26)는 물 취출시와 얼음 취출시에 모두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어느 하나의 동작 때에만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FIG.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when an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ice extraction button 25, the dispenser 22 moves to the maximum rear position so that the ice chute 251 is exposed . At this time, the tray 26 may be pulled forward to both the water discharge and the ice discharge, or may be pulled forward only when any one of the operations is performed.

여기서, 디스펜서 어셈블리(2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22)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펜서 헤드(23)와, 디스펜서 바디(22) 및 냉장고 도어의 전면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when the dispenser assembly 20 is not used,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head 23 and the dispenser body 22 may be flush with each other. Further, the dispenser head 23, the dispenser body 2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may all be flush with each other.

Claims (17)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전면이 개구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개구면을 덮도록 결합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펜서 바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취출 버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디스펜서 바디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랙;
상기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취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물 또는 얼음을 담기 위한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nd a dispenser assembly provided on the door, the dispenser assembly enabling water or ice extraction,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having a front opening;
A dispenser body coupled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the dispenser body being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a water or ice extraction command;
A take-out button provided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for inputting a water or ice takeout command;
A take-out part formed in the dispenser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or ice is taken out;
A driving un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enser housing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dispenser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to the dispenser bod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rack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A pinion coupled to the rack; And
And a shaft coupled to the pinion and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Wherein a spac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for receiving a container for storing water or ice when the dispenser body is moved backward in response to a water or ice dispensing instruction, the takeou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물 또는 얼음 취출 명령이 입력될 때 외부로 드러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an outer reg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 water or ice extraction command is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물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물 취출 버튼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어, 얼음 취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얼음 취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바닥에 제공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ke-
A water takeout button provided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for inputting a water takeout command,
And an ice extraction button provided inside the dispenser housing for inputting an ice extraction command,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nd a tray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dispenser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 버튼 또는 얼음 취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트레이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y is movabl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water take-out button or the ice take-out butt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상측에 제공되는 디스펜서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헤드에 형성되고,
상기 얼음 취출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dispenser head provided above the dispenser body,
The water take-out button is formed in the dispenser head,
And the ice extraction button is formed on the dispenser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얼음 취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dispenser body is moved backward by pressing at least the ice extraction butt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헤드의 전면부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면부 및 상기 도어의 전면부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a part or all of the front part of the dispenser head, the front part of the dispenser body, and the front part of the door are flush with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보다 후방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enser body is located behind the dispenser hea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디스펜서 헤드와 디스펜서 바디의 경계 부분까지 연장되는 아이스 슈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ake-
Further comprising an ice chute extending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dispenser head and the dispenser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가 후퇴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의 토출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penser body is retracted to expose the discharge port of the ice chu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 버튼 및 얼음 취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 switch which is selectively turned on / off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take-out button and the ice take-out butt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provided within the dispenser housing to receive an on / off signal from the switch and to generate an operating command of the dispens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트레이로 전달하는 제2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enser housing comprises:
A second driving uni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housing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tra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to the tr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트레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pinion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 rack formed on the tray and engaged with the pin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트레이와,
저면에 상기 랙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트레이와,
상기 이동 트레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ray may include:
A fixed tray fixed to the inside of the dispenser housing,
A movable tra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ck and slidable forward or rearward due to rotation of the pinion;
And a slide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tray.
제 1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내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트레이의 저면에 접촉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이동 트레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A supporter in which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slide guid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tray;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er to allow the movable tray to move up and dow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42236A 2010-05-06 2010-05-06 Refrigerator KR101751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en) 2010-05-06 2010-05-06 Refrigerator
US13/696,091 US8881951B2 (en) 2010-05-06 2011-05-06 Refrigerator
PCT/KR2011/003395 WO2011139116A2 (en) 2010-05-06 2011-05-0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en) 2010-05-06 2010-05-06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4A KR20110122904A (en) 2011-11-14
KR101751050B1 true KR101751050B1 (en) 2017-06-26

Family

ID=4539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236A KR101751050B1 (en) 2010-05-06 2010-05-0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0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881B1 (en) * 2013-07-15 202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987A1 (en) * 2006-11-23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0987A1 (en) * 2006-11-23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904A (en)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484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EP3346215B1 (en) Refrigerator
KR101513628B1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97264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78993B1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75538B2 (en) Refrigerator
US8413460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81951B2 (en) Refrigerator
KR102040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1751050B1 (en) Refrigerato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102230228B1 (en) Refrigerator
JP2010071564A (en) Refrigerator
KR102375257B1 (en) Refrigerator
KR102124037B1 (en) Refrigerator
KR101507845B1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Refrigerator
KR20140104094A (en) Refrigerator
KR101611609B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240051634A (en) Refrigerator
KR102158881B1 (en) refrigerator
KR20240051646A (en) Refrigerator
KR20240051627A (en) Refrigerator
KR20170103545A (en) Refrigerator
KR20240052062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