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493A - 텐트 및 텐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텐트 및 텐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493A
KR20220034493A KR1020200116945A KR20200116945A KR20220034493A KR 20220034493 A KR20220034493 A KR 20220034493A KR 1020200116945 A KR1020200116945 A KR 1020200116945A KR 20200116945 A KR20200116945 A KR 20200116945A KR 20220034493 A KR20220034493 A KR 2022003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upport
frame
frame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493A/ko
Publication of KR2022003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조립된 텐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져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지면 상에서 지지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며, 지면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커넥터 및 복수의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들에는 텐트 천에 의하여 조립된 텐트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텐트 및 텐트 조립체{TENT AND TENT ASSEMBLY}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안정적으로 자립이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캠핑이나 야영시에 취침 등을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폴 형상의 프레임에 텐트 천을 결합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텐트는 조립되었을 때 텐트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트링 및 펙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고, 이는 텐트의 설치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종래의 텐트 구조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텐트는 폴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폴의 양 단부가 직접 지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의 텐트는 폴의 단부가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이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없다. 또한, 텐트의 폴들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텐트의 내측 공간은 텐트의 상부를 향하여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텐트는 내측 공간이 협소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42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텐트의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자립이 가능하고, 충분한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조립된 텐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져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지면 상에서 지지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며, 지면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커넥터 및 복수의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들에는 텐트 천에 의하여 조립된 텐트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 커넥터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통형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통형부는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지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지지 커넥터는 한 쌍의 통형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보강 리브와, 한 쌍의 통형부 및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지지부는 지지 커넥터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 천은 지지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텐트 천이 텐트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씌워질 때 지지 프레임 상에 걸쳐지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결합부는 지지 프레임의 정상부에 걸쳐지는 중심부로부터 양 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는 내측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하는 지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지붕 프레임은 상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는 일단이 지지 커넥터에 연결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지지 커넥터 중 인접한 지지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가상선들은 다각형 형상의 기저면을 형성하고,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가상선들을 따라 복수의 지지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가상선들에 대해 내측 공간의 외부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지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과, 제2 지지 프레임과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는 제2 지지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연결 커넥터는 제2 지지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에 결합되고 제2 지지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커버는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몸체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2개의 지지 프레임들은 지지 커넥터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고,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로 조립되어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텐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텐트는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를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연결 커넥터는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에 결합되고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수용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는 복수로 구비된 텐트 및 복수로 구비된 텐트들 중 인접한 텐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천을 포함하고, 연결 천은 인접한 텐트들 각각의 지지 프레임들 중 서로 대향하는 지지 프레임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텐트는 텐트 프레임과 텐트 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이 안정적으로 자립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텐트를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텐트 프레임은 내측 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의 텐트에 비해 더 큰 내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텐트는 여러 종류의 지지 프레임이 준비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지지 프레임이 조합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텐트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환경의 조건(예를 들어, 텐트가 설치될 장소의 면적, 형상 등)들을 고려하여 필요에 맞게 텐트의 설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 프레임에 텐트 천이 결합된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연결 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보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전실 텐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1)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1), 지지 커넥터(12) 및 텐트 천(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프레임(11)은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조립된 텐트 프레임(10)을 형성한다. 텐트 프레임(10)은 텐트(110)의 내부에 내측 공간(13)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지지 프레임(11) 각각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져 텐트(1)가 조립되었을 때에 지면 상에서 지지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진다.
지지 커넥터(12)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11)의 일 단부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지지 커넥터(12)는 지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커넥터(12)는 지지 커넥터(12)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11)의 단부들을 고정하는 동시에, 조립된 텐트 프레임(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텐트(1)는 4개의 지지 프레임(11)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지 커넥터(12)들은 4개의 지지 프레임(11) 중 서로 인접한 지지 프레임(11)의 단부들을 연결하여 지면 상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접한 지지 커넥터(12)들을 연결하는 가상선(15)들은 사각형 형상의 기저면(16)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지지 프레임(11)들은 사각형 형상의 가상선(15)들을 따라 지지 커넥터(12)들에 연결되어 텐트 프레임(10)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기저면(16)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 6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텐트(1)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1)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기저면(16)을 형성할 수 있다.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의 위에 씌워지며 텐트 프레임(10)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1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텐트 천(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텐트(1)의 내부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텐트 천(2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은 텐트의 내부와 통하는 출입구(14)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커넥터(12)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11)의 단부들이 고정된 상태에서, 텐트 프레임(10)에 텐트 천(20)이 결합되면, 텐트 천(20) 자체의 탄성에 의해 지지 프레임(11)들에는 조립된 텐트 프레임(10)의 내측 공간(13)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텐트(1)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므로, 텐트(1)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프레임(11)은 지지 커넥터(12)를 연결하는 가상선(15)들에 대해 내측 공간(13)의 외부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텐트(1)의 상부를 향할수록 텐트(1)의 내측 공간(13)의 단면적은 점점 커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트(1)는 기존의 텐트에 비하여 더 큰 내측 공간(13)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커넥터(12)는 지지부(120)와, 한 쌍의 통형부(122)를 구비한다.
지지부(120)는 지지 커넥터(12)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 커넥터(12)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텐트(1)가 안정적으로 자립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120)는 대략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지지부(12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의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텐트(1)는 지지부(120)를 지면에 고정시키 위한 별도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는 고정 홀(121)을 통과하여 지지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부재는 고정 홀(121)을 통과하는 고리 형상의 띠 또는 고정 못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띠 또는 고정 못을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부(12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부의 고정 구성은 텐트를 세울 때 필요한 고정 수단이 아닌, 텐트가 세워진 이후에 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에 해당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한 쌍의 통형부(122)는 지지부(120)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이 개방되어 지지 프레임(11)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한 쌍의 통형부(122) 각각의 타측은 지지부(1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통형부(122)에는 지지 프레임(11)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수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통형부(122)는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지부(12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통형부(122)는 V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커넥터(12)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11)들은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된다.
또한, 지지 커넥터(12) 각각은 한 쌍의 통형부(1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보강 리브(124)와, 한 쌍의 통형부(122) 및 지지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보강 리브(12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강 리브(124)는 지지부(12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통형부(122)의 상부면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 리브(125)는 통형부(12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부(120)로 연결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보강 리브(124, 125)에 의해 지지 커넥터(12)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커넥터(12)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11)들에 외력이 가해질 때, 지지 커넥터(12)가 변형되어 지지 프레임(11)들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보강 리브(124, 125)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상 및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 프레임에 텐트 천이 결합된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 상에 씌워짐으로써 텐트 프레임(10)과 결합될 수 있다.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에 씌워질 때 지지 프레임(11)의 구부러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그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는 지지 프레임(11)이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텐트 천(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이다. 따라서 텐트 천(20)이 텐트 프레임(10)에 씌워질 때 결합부(21)는 지지 프레임(11) 상에 걸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텐트 천(20)을 텐트 프레임(10)에 씌우고, 텐트 천(20)의 결합부(21)를 텐트 프레임(10)의 지지 프레임(11) 상에 걸치는 방식으로 텐트 프레임(10)과 텐트 천(2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텐트 천의 결합 방식은 텐트 천을 복수의 지점에서 텐트 프레임과 결합시키는 기존의 텐트의 경우와 비교하여 쉽고 단순하다. 따라서 텐트의 설치 경험이 많지 않은 사용자라도 쉽고 빠르게 텐트 천을 텐트 프레임 상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는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진 지지 프레임(11)의 정상부에 걸쳐지는 중심부(22)로부터 양 단부(23)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텐트 천(20)이 텐트 프레임(10)에 씌워질 때 텐트 천(20)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은 지지 프레임(11)의 정상부에 집중된다. 따라서 결합부(21)는 중심부(2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결합부(21)가 지지 프레임(11)에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지지 프레임(11)과 결합부(21)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텐트 천(20)과 텐트 프레임(1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텐트 천(20)의 결합부(21)의 길이는 텐트 천(20)이 결합되는 텐트 프레임(1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텐트 천(20)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에 늘어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에 타이트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텐트(1)의 사용 시에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텐트 프레임(10)의 외측에서 텐트 천(20)을 씌우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텐트 천(2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텐트 프레임(10)의 내측에 내부 텐트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내부 텐트는 스트랩 등을 통하여 텐트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텐트(1)는 지붕 프레임(30) 및/또는 지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붕 프레임(30) 및 지주(40)가 함께 도시되었으나, 텐트(1)는 지붕 프레임(30)만을 포함하거나, 지주(4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텐트(1)는 지붕 프레임(30) 및 지주(4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상 상황에 맞추어 텐트(1)에 지붕 프레임(30) 및/또는 지주(40)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은 지붕 커넥터(31)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의 각각의 일단은 지붕 커넥터(31)에 결합되어 지붕 프레임(30)은 지붕 커넥터(31)를 중심으로 방사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붕 프레임(30)의 타단은 텐트 프레임(10)의 지지 프레임(1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지붕 커넥터(3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붕 커넥터(31)는 각각의 지붕 프레임(30) 및/또는 지주(40)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지붕 프레임(30)은 텐트(1)의 상부면에서 텐트 천(2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붕 프레임(30) 각각은 상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에 텐트 천(20)이 결합되면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은 텐트 천(20)에 텐트(1)의 상부를 향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힘에 의하여 지붕 프레임(30)을 구비하는 텐트(1)는 텐트 천(20)의 상부면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넓은 내부의 공간을 가지는 텐트(1)를 제공할 수 있다.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뿐만 아니라 지붕 프레임(3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텐트 천(20)이 텐트(1)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텐트 프레임(10)의 각각의 지지 프레임(11)들이 지붕 프레임(3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텐트(1)의 구조적 강성 역시 더욱 향상되어 바람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다.
지주(40)는 내측 공간(13)의 내부에 배치되고, 기저면(16)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지주(40)는 텐트 천(20)이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고, 이로 인하여 텐트(1)의 상부면은 전체적으로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설 시 텐트(1)의 상부면에 쌓인 눈은 텐트(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지면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텐트(1)는 지주(40)를 더 포함함으로써, 눈이 텐트(1)의 상부면에 과도하게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40)는 텐트(1)의 내측 공간(13)의 내부에서 텐트 천(20)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텐트(1)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주(40)를 구비한 텐트(1)는 바람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텐트(1)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은 지지 프레임(11)을 서로 연결시키는 지지 커넥터(12)에 추가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 프레임(30)의 각각의 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지지 프레임(11)들의 사이에서 지지 커넥터(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붕 프레임(30) 각각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은 텐트(1)의 텐트 프레임(10)이 형성하는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텐트 천(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트(1)는 보다 넓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텐트 천(20)은 텐트 프레임(10)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붕 프레임(3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텐트 천(20)이 텐트(1)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텐트 프레임(10)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붕 프레임(30) 또한 텐트(1)의 골조를 형성하므로, 텐트(1)의 구조적 강성 역시 더욱 향상되어 바람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텐트(1)는 텐트 프레임(10) 및 텐트 천(20)을 구비한다. 앞서 살펴본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지지 커넥터(12)들이 형성하는 기저면(16)이 사각형 형상인 것과는 달리(도 1 참조),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지지 커넥터(12)들은 삼각형 형상의 기저면(16)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텐트(1)는 3개의 지지 프레임(11)들이 삼각형 형상의 가상선(15)들을 따라 3개의 지지 커넥터(12)들에 연결되어 텐트 프레임(10)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텐트(1)는 다양한 형상의 기저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기저면(16)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기저면(16)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텐트(1)의 인접한 지지 커넥터(12)를 연결하는 가상선(15)들은 오각형 형상, 육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의 기저면(1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지지 프레임(11) 및 지지 커넥터(12)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기저면을 갖는 텐트(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변 환경의 조건(예를 들어, 텐트(1)가 설치될 장소의 면적, 형상 등)들을 고려하여 필요에 맞게 텐트(1)의 설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연결 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텐트(1)는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1)는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모듈화된 텐트(1)가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텐트 조립체는 동일한 2개의 텐트(1)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텐트(1)들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복수의 모듈화된 텐트(1)들은 서로 결합하여 텐트 조립체를 형성한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텐트 조립체는 다양한 형상의 기저면을 갖는 텐트(1)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기저면을 갖는 텐트(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삼각형 형상의 기저면을 갖는 텐트(1)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오각형 형상의 기저면을 갖는 텐트(1)가 배치된 후, 서로 결합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텐트 조립체를 형성하는 텐트(1)의 기저면의 형상 및 텐트(1)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치 장소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개수의 텐트(1)를 결합하여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텐트 조립체는 인접한 텐트(1)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천(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천(50)은 인접한 텐트(1) 각각의 지지 프레임(11)들 중 서로 대향하는 지지 프레임(11)들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천(50)에 의해 텐트(1)들의 내측 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텐트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천(50)은 결합부(51) 및 본체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천(50)의 결합부(51)는 상술한 텐트 천(20)의 결합부(5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부(54)는 인접한 텐트(1)들 사이의 공간을 둘러싼다. 연결 천(50)의 본체부(5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텐트(1)들 사이의 연결 공간(예를 들어, 연결 통로)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텐트 조립체에서 모듈화된 텐트(1)들 각각이 자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트 조립체는 복수의 텐트(1)들을 고정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안정적으로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보조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3 실시예에 전실 텐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2)는 텐트 프레임(10)과, 텐트 천(20)을 포함하고, 텐트 프레임(10)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려진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과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의 각각의 단부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 커넥터(12)를 포함한다.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1)는 다각형 형상의 기저면(16)을 형성하여 복수의 지지 프레임(11) 및 지지 커넥터(12)만으로 자립이 가능한 것과 비교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2)에서는, 지지 커넥터(12)에 연결된 제1 지지 프레임(11a) 및 제2 지지 프레임(11b)만으로는 기저면이 형성되지 않아 자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텐트(2)의 텐트 프레임(10)은 제2 지지 프레임(11b)과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17)과, 제2 지지 프레임(11b)과 후방 프레임(17)을 서로 연결하는 보조 커넥터(18)를 포함한다. 지지 커넥터(12)와 후방 프레임(17)의 단부는 지면에 접촉하여 텐트 프레임(10)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텐트(2)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11a), 제2 지지 프레임(11b) 및 후방 프레임(17)을 포함하는 텐트 프레임(10)에 의해 내측 공간(13)이 형성되며, 제1 지지 프레임(11a) 부분에는 텐트 천(20)을 씌우지 않게 하여 텐트(2)의 내부와 통하는 출입구(1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 커넥터(12)에 의해 제1 지지 프레임(11a) 및 제2 지지 프레임(11b)의 단부들이 고정된 상태에서, 텐트 프레임(10)에 텐트 천(20)이 결합되면, 텐트 천(20) 자체의 탄성에 의해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들에는 내측 공간(13)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 프레임(11b)에 연결된 후방 프레임(17)을 연결함으로써, 텐트 프레임(10)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따라서 텐트(2)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므로, 텐트(2)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커넥터(18)는 제2 지지 프레임(11b)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181)이 형성된 몸체부(180)와, 몸체부(180)에 결합되고 후방 프레임(17)이 삽입되는 개구(183)와, 개구(18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몸체부(180) 상에 힌지 결합된 커버(18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 프레임(11b)과 후방 프레임(17)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관통홀(181)과 개구(183)는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보조 커넥터(18)의 관통홀(181) 및 개구(183)의 구성은 상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홀(181)에는 후방 프레임(17)이 삽입될 수 있으며, 개구(183)에는 제2 지지 프레임(11b)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커넥터(18)는 제2 지지 프레임(11b) 및 후방 프레임(17)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181)이 형성된 몸체부(180)와, 몸체부(180)에 결합되고 제2 지지 프레임(11b) 및 후방 프레임(17)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개구(183)를 형성하는 커버(18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커버(182)가 개구(183)를 개방하는 상태로 회전되어 있으면 후방 프레임(17)이 개구(183)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도 10에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후방 프레임(17)이 개구(183)에 수용된 후 커버(182)가 개구(183)를 폐쇄하는 상태로 회전하여 고정되면, 후방 프레임(17)이 개구(18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후방 프레임(17)은 제2 지지 프레임(11b)의 외측 측면에 결합된다.
그러나 보조 커넥터(18)가 후방 프레임(17)을 수용하기 위해 커버(18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후방 프레임(17)이 개구(183)를 향해 가압되고, 개구(183)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후방 프레임(17)이 개구(183)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텐트(2)는 출입구(14)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된 전실 텐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실 텐트(60)는 제1 지지 프레임(11a)에 결합되어 출입구(14) 공간에 별도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제1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텐트(1)도 전실 텐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텐트(2)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2)는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모듈화된 텐트(2)가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프레임(17)은 두 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레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할 필요 없이 동일한 지지 프레임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텐트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환경의 조건(예를 들어, 텐트가 설치될 장소의 면적, 형상 등)들을 고려하여 필요에 맞게 텐트의 설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3)는 텐트 프레임(10)과, 텐트 천(20)을 포함하고, 텐트 프레임(10)은 2개의 서브 프레임(10a, 10b)과 2개의 서브 프레임(10a, 10b)을 서로 연결하는 보조 커넥터(18)를 포함한다.
2개의 서브 프레임(10a, 10b) 중 제1 서브 프레임(10a)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려진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와,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 각각의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 커넥터(1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프레임(10b)은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 및 지지 커넥터(12)를 포함한다.
앞서 살펴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텐트(1)는 다각형 형상의 기저면(16)을 형성하여 복수의 지지 프레임(11) 및 지지 커넥터(12)만으로 자립이 가능한 것과 비교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3)에서는, 각각 2개의 지지 프레임(11a, 11b) 및 지지 커넥터(12)를 구비하는 제1 서브 프레임(10a) 및 제2 서브 프레임(10b)만으로는 기저면이 형성되지 않아 자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텐트(3)의 텐트 프레임(10)은 제1 서브 프레임(10a)과 제2 서브 프레임(10b)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기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3)는 제1 서브 프레임(10a)의 제2 지지 프레임(11b)과 제2 서브 프레임(10b)의 제2 지지 프레임(11b)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보조 커넥터(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프레임(10a) 및 제2 서브 프레임(10b)은 서로 연결되며, 제1 서브 프레임(10a)의 지지 커넥터(12) 및 제2 서브 프레임(10b)의 지지 커넥터(12)는 지면에 접촉하여 텐트 프레임(10)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텐트(3)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프레임(10a) 및 제2 서브 프레임(10b)을 포함하는 텐트 프레임(10)에 의해 내측 공간(13)이 형성되며, 제1 서브 프레임(10a) 및/또는 제2 서브 프레임(10b)의 제1 지지 프레임(11a) 부분에는 텐트 천(20)을 씌우지 않게 하여 텐트(3)의 내부와 통하는 출입구(1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텐트(3)는 출입구(14) 공간에 별도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전실 텐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서브 프레임(10a, 10b)의 제1 지지 프레임(11a) 및 제2 지지 프레임(11b)의 단부들이 지지 커넥터(12)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의 서브 프레임(10a, 10b)들이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텐트 프레임(10)에 텐트 천(20)이 결합되면, 텐트 천(20) 자체의 탄성에 의해 지지 프레임(11a)들에는 내측 공간(13)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텐트(3)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므로, 텐트(3)는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10a, 10b)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11a, 11b)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지 프레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지 프레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할 필요 없이 동일한 지지 프레임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텐트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환경의 조건(예를 들어, 텐트가 설치될 장소의 면적, 형상 등)들을 고려하여 필요에 맞게 텐트의 설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텐트(3)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3)는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모듈화된 텐트(3)가 복수로 구비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따른 텐트(1, 2, 3)들 중 2개의 이상의 텐트가 결합되어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 조립체는 제3 실시예의 텐트(3)와 제1 실시예의 텐트(1) 또는 제2 실시예의 텐트(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텐트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개수의 텐트들을 결합하여 텐트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텐트
10: 텐트 프레임
11: 지지 프레임
12: 지지 커넥터
13: 내측 공간
14: 출입구
15: 가상선
16: 기저면
17: 후방 프레임
18: 보조 커넥터
20: 텐트 천
21: 결합부
30: 지붕 프레임
31: 지붕 커넥터
40: 지주
50: 연결 천
60: 전실 텐트

Claims (18)

  1.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조립된 텐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아치 형상으로 구부러져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에 지면 상에서 지지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며, 지면 상에 고정 가능한 복수의 지지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는 상기 텐트 천에 의하여 상기 조립된 텐트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인장력이 가해지는,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커넥터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지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통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통형부는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통형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보강 리브와, 상기 한 쌍의 통형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커넥터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을 포함하는,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천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텐트 천이 상기 텐트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씌워질 때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걸쳐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정상부에 걸쳐지는 중심부로부터 양 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하는 지주를 더 포함하는, 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붕 프레임은 상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곡선 형상을 갖는, 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 커넥터에 연결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커넥터 중 인접한 지지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가상선들은 다각형 형상의 기저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가상선들을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 커넥터에 연결되는, 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가상선들에 대해 상기 내측 공간의 외부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텐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지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텐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텐트.
  16.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 프레임들이 상기 지지 커넥터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로 조립되어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텐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텐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를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 조립체 중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수용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텐트.
  18. 텐트 조립체로서,
    복수로 구비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텐트; 및
    상기 복수로 구비된 텐트들 중 인접한 텐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천;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천은 상기 인접한 텐트들 각각의 지지 프레임들 중 서로 대향하는 지지 프레임들에 결합되는, 텐트 조립체.
KR1020200116945A 2020-09-11 2020-09-11 텐트 및 텐트 조립체 KR20220034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45A KR20220034493A (ko) 2020-09-11 2020-09-11 텐트 및 텐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945A KR20220034493A (ko) 2020-09-11 2020-09-11 텐트 및 텐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93A true KR20220034493A (ko) 2022-03-18

Family

ID=8093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945A KR20220034493A (ko) 2020-09-11 2020-09-11 텐트 및 텐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44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48B1 (ko) 2015-09-22 2017-08-0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온열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48B1 (ko) 2015-09-22 2017-08-0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온열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38021A1 (en) Modular tent system
US20060060310A1 (en) Portable privacy screen
KR200492954Y1 (ko) 텐트
EP0267909B1 (en) Building structures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KR20220034493A (ko) 텐트 및 텐트 조립체
US5899028A (en) Saddle span shelter and joining system
GB2121850A (en) Cavity-walled tents
US6843261B2 (en) Lightweight flexible frame for shelter structure
KR101308066B1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WO1999041473A1 (en) Multiple peak cable tent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2662407B1 (ko) 연결 가능한 대형 천막
KR102662403B1 (ko) 대형 천막
KR20200014612A (ko)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KR102211321B1 (ko)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KR102230500B1 (ko) 텐트
KR20220051576A (ko) 텐트
GB2148967A (en) Improved tent
KR200423433Y1 (ko) 천막 구조
EP3194689A1 (en) Tent with pocket elements
KR100674128B1 (ko) 조립식 텐트
KR20030046890A (ko) 천막
KR20200114138A (ko) 텐트의 확장 및 용도변경이 용이한 모듈 텐트
KR200196103Y1 (ko) 텐트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