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75A -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 Google Patents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75A
KR20220034375A KR1020200116661D KR20200116661D KR20220034375A KR 20220034375 A KR20220034375 A KR 20220034375A KR 1020200116661 D KR1020200116661 D KR 1020200116661D KR 20200116661 D KR20200116661 D KR 20200116661D KR 20220034375 A KR20220034375 A KR 2022003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layer
layers
conductive
yar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61D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호
신민기
이동규
권오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3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for measuring the tension across the width of a band-shaped flexible memb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A textile member capable of sensing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comprises: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 support member; and a conductive thread.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each form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support member has elasticit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nd is connected while being entangled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he conductive thread is knit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he conductive thread is connected only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 unit and the lower layer unit. In addition, the conductive thread is connected only between two adjacent layers among three adjacent layers between upper layers of the upper layer unit and between lower layers of the lower layer unit.

Description

압력 방향 및 세기의 감지가 가능한 섬유부재{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Textile member capable of sensing pressure direction and strength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본 발명은 섬유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또는 산업용 섬유산업에 사용되는 섬유부재에서, 에어메쉬 원단에 소정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사를 특정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횡방향의 압력의 방향 및 압력의 세기의 감지가 가능한 섬유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be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in a fiber member used in the clothing or industrial textile industry, by connecting a conductive yarn having a predetermined resistance to an air mesh fabric in a specific direction, the direction and pressure of the press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relates to a fibrous member capable of sensing the strength of

일반적으로 섬유 기반의 압력 센서의 경우, 외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정전용량형 센서를 주로 사용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fiber-based pressure sensor, a capacitive sensor is mainly used to measure an externally applied load.

이러한 정전용량형 센서의 경우,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도성 레이어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사이에 유전체로서 탄성력을 갖는 섬유 폼(form) 레이어를 삽입하는 형태이며, 이를 통해, 상하 전도성 레이어의 두께가 가변됨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ase of such a capacitive sensor, a conductive layer serving as an electrod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ber form layer having elasticity as a dielectric is inserted between the conductive layers, and through this, the thickness of the top and bottom conductive layers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nses that the capacitance changes as the is changed.

그러나, 이러한 정전용량형 센서는 기본적으로 2차원 형태로 배치가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섬유 내에 배치될 때 통기성 및 세탁성을 방해하는 단점을 가진다. 나아가, 미세한 정전용량 값의 측정시 노이즈에 의한 측정값의 부정확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se capacitive sensors have to be basically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form, and thu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ir permeability and washability are hindered when arranged in fibers.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accuracy of the measurement value due to noise increases when measuring the fine capacitance value.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2461호에서는, 종래 정전용량형 센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에어메쉬 원단(10) 사이를 필라멘트사(11)를 지지대로 삽입 연결한 상태에서, 소정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사를 상하 방향으로 메쉬망 구조로 편성 연결하는 것만으로, 저항센서를 구현하고, 특히 미세한 정전용량 값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Accordingl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2461, the abov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apacitive sensor is solved, and as shown in FIG. 1, the filament yarn 11 is inserted and connected between the air mesh fabric 10 as a sup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implements a resistance sensor only by knitting and connecting conductive yarns having a predetermined res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mesh structure, and in particular, a technology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a fine capacitance value.

다만, 상기 등록특허 제10-2052461호의 경우, 메쉬망 구조의 편성 연결의 한계로 인해, 인가되는 실제 힘의 방향과 무관하게 수직방향의 힘 성분만 센싱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2052461, there is a limit in which only the vertical force component can be sens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actual applied for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knitted connection of the mesh network stru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24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5246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메쉬 원단에 소정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사를 특정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인가되는 힘 또는 압력의 횡방향 성분 및 횡방향 세기를 센싱할 수 있는 압력 방향 및 세기의 감지가 가능한 섬유부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conductive yarn having a predetermined resistance to the air mesh fabric in a specific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lateral component and lateral strength of the applied force or pressure. It relates to a fibrous member capable of sensing a pressure direction and intensity that can be sens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섬유부재는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지지부재 및 전도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은, 각각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형성하도록 얽히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을 지지한다.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에 편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과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 사이에서는 대각선 방향으로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의 상부 레이어들 사이, 및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의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서로 인접한 3개의 레이어들 중 인접한 2개의 레이어들 사이에서만 연결된다. The fiber member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 support member and a conductive yar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form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respectively. The support member has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nd is entangled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he conductive yarn is knit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he conductive yarn is connected only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 unit and the lower layer unit. In addition, the conductive yarn is connected only between two adjacent layers of three adjacent layers between upper layers of the upper layer unit and between lower layers of the lower lay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 및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ductive yarn may continuously extend between the upper layer unit and the lower lay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들 및 상기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 일 측 방향으로만 경사지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ductive yarn may be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s and the lower laye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사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레이어가, 상기 하부 레이어에 마주하는 상부 레이어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한 상부 레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ductive yarn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layer adjacent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upper layer facing the lower layer based on upper and lower layer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사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상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서로 연결된 상부 레이어들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레이어들과는 연결되지 않으며, 서로 인접한 2개의 하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서로 연결된 하부 레이어들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 레이어들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yarn, when connecting two adjacent upper layers to each other, is not connected to upper lay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terconnected upper layers, but connects two adjacent lower layers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ower layers respective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terconnected lower layers may not be connec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로 연결 편성되는 2개의 상부 레이어들, 및 상기 서로 연결 편성되는 2개의 하부 레이어들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wo upper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wo lower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 또는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에 횡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일 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상기 전도사는, 경사각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ductive yarn connected to be inclined in the one direction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laterally to the upper layer unit or the lower laye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사와 연결되는 저항 측정회로에서 측정되는 초기 상태의 저항값과, 상기 경사각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저항 측정회로에서 측정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이 센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by compa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itial state measured in the resistance measurement circuit connected to the conductor and the resistance value measured in the resistance measurement circuit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or decreases can be sens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각각은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메쉬(mesh)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필라멘트 파일사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may be formed in a mesh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and the support member may be a filament pile yarn.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사이에 편성되어 연결되는 전도사가, 일 방향으로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됨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 또는 압력에 따라, 기울어진 상태의 전도사의 기울어지는 경사각이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경사각 변화는 상기 전도사로부터 측정되는 저항 또는 전압의 변화량을 서로 다르게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인가되는 힘 또는 압력의 횡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onductive yarn knitted and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is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s a whole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the force or pressure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ly, the inclined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ductor in the inclined state is changed, and this change in inclination angle can induce different amounts of change in resistance or voltage measured from the conductor, and through thi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pplied force or pressure can detect

즉, 기 설정된 상기 전도사의 경사각은, 횡 방향의 인가 압력 또는 힘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전도사 경사각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측정되는 저항 또는 전압값이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 또는 전압값의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 또는 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t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resistance or voltage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is changed, such resistance or voltage value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may be sensed based on the change in .

나아가, 상기 전도사의 경사각에 따른 전압값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 또는 힘의 세기, 즉 크기도 도출할 수 있다. Furthermore,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the strength of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that is, the magnitude may also be derived.

이를 통해, 상기 섬유부재가 적용되는 의류는 물론, 직물 베이스로 제작되는 의료용 로봇 등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인가되는 힘의 방향 및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applied to clothes to which the fiber member is applied, as well as a medical robot made of a fabric base,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directions and strengths of various applied forces.

도 1은 종래의 에어메쉬 원단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섬유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가 상부 레이어들 및 하부 레이어들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연결 상태만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2의 섬유부재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섬유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연결 상태만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6의 섬유부재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n image showing a conventional air mesh fabric.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b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ductive yarn is connected to upper layers and lower layers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iber member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b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6 ,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iber member of FIG. 6 .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에어메쉬 원단을 도시한 이미지이다.1 is an image showing a conventional air mesh fabri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메쉬 원단은, 3차원 입체 구조를 가지며, 양 메쉬원단 레이어들(10) 사이에 탄성을 가진 필라멘트사(11)를 지지대로 삽입 연결한 구조로, 상부 또는 하부 레이어들(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탄성을 가진 필라멘트사(11)가 압축되고, 인가되는 압력이 사라지면 상기 필라멘트사(11)는 다시 원 위치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ir mesh fabric has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lament yarn 11 having elasticity is inserted and connected as a support between both mesh fabric layers 10, the upper o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s 10, the elastic filament yarn 11 is compressed, and when the applied pressure disappears, the filament yarn 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섬유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가 상부 레이어들 및 하부 레이어들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b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ductive yarn is connected to upper layers and lower layers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섬유부재(20)는 상부 레이어 유닛(100), 하부 레이어 유닛(200), 지지부재(300) 및 전도사(400)를 포함한다. 2 and 3 , the fiber memb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layer unit 100 , a lower layer unit 200 , a support member 300 , and a conductive yarn 400 .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및 상기 지지부재(300)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종래의 에어메쉬 원단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섬유부재(20)는 상기 전도사(400)가 더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전도사(4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압력 또는 힘의 인가 방향 및 세기를 센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ructures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nd the support member 300 in this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air mesh fabric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ber member 2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yarn 400, and by additionally providing the conductive yarn 400, it is possible to sense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or force applied. characterized.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은 직물로 이루어져 상면 및 하면의 층을 이루는 것으로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by forming layers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fabric.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의 단면에는 복수의 통기공들(110, 210)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은 메쉬(mesh)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 holes 110 and 210 may be formed in the cross-s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re formed of a mesh ( mesh) can be formed in a network structure.

즉,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mesh)망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 2에서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므로 서로 이격된 원형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That is,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have a mesh network structure as shown in FIG. 1 , and since the cross-section is shown in FIG. 2 , it has a circular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though shown, it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의 상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제2, 제3 및 제4 상부 레이어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은, 상기 지지부재(300)의 하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제2, 제3 및 제4 하부 레이어들(201, 202, 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layer unit 100 includ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upper layers ( 101 , 102 , 103 , and 104 , and similarly, the lower layer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cond, third and thir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 It may include 4 lower layers 201 , 202 , 203 , and 204 .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의 개수는, 후술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개수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is only selective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은 서로 연결되더라도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 도 2에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 레이어들 및 하부 레이어들을 도시한 것이다.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re not electrically energized even thoug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상부 레이어들 및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 후술되는 상기 전도사(400)를 통해 서로 연결된 레이어들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충분하다. Also, between the upper layers and the lower layers, i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at the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ductive wir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한편, 상기 복수의 통기공들(110, 21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각각에 형성되며, 복수의 통기공들(110, 210)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거나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vents 110 and 210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nd the plurality of vents 110 and 210 have different sizes or the same as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이와 같은 복수의 통기공들(110, 210)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형성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의 통기성 및 건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su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0 and 21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the ventilation and drying power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can be improved. It works.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30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어, 탄성력을 갖는 필라멘트 파일사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300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for example, a filament pile yarn having an elastic force.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탄성력을 갖는 필라멘트 파일사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을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섬유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necting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with a filament pile having elastic force,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can be formed into one fibrous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an

또한, 상기 지지부재(300)인 상기 필라멘트 파일사는 복잡하게 얽히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얽히는 구조는 매우 다양하고 임의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ament pile yarn, which is the support member 300 , may connec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while being complicatedly entangled, and the entangled structure may be very diverse and arbitrarily formed.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00)는 외부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어느 한쪽의 레이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반대측 레이어를 향해 이동했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an external pressu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of the layers, the support member 300 moves toward the opposite layer and exerts an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외부압력에 의해 눌리는 경우 압축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신속히 복원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다.Therefore, the support member 300 is compressed when pressed by an external pressure, and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can be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moved.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300)는 폴리올리피계, PVC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등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고무상 고분자로서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부틸러버(BR), 이소프렌러버(IR), 클로로프렌러버(CR), 실리콘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formed of one of widely known thermoplastic elastomers, such as polyolipi-based, PVC-based, polystyrene-based, polyester-based, polyurethane-based, and polyamide-based, and, in addition, NBR (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butyl rubber (BR), isoprene rubber (IR), chloroprene rubber (CR), silicone rubber, and the like.

상기 전도사(400)는 연결 전도사(410), 상부 전도사(420) 및 하부 전도사(430)를 포함한다. The conductive wire 400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0 , an upper conductive wire 420 , and a lower conductive wire 430 .

상기 연결 전도사(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300)를 관통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된다.이 경우,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연결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편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As shown, the connection conductive wire 410 passes through the support member 30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nd is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conductive wire 410 is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connection of is knit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편성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통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connected so as to be organized, i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nnecting.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 전도사(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를 일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기울어진 상태, 즉 연결되는 경사의 경사각(θ, 도 4 참조)은 일정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connecting conductor 410 i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in one direction, that is,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in the right direction. connect Also, in this case,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necting conductor 410,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θ, see FIG. 4) of the connected inclination may be constant.

즉,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제1 연결 전도사(411)는,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제2 연결 전도사(412)는,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와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서로 연결한다.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yarn 411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0 connects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1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ductive wire 412 connects the second lower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to each other.

도 2에서,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 및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와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와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결국, 상기 제1 연결 전도사(411)는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며 우측으로 기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 및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전도사(412)는 동일한 경사각(θ)을 가지며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 및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연결한다. In FIG. 2 ,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 a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r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is case , the first upper layer 101 a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yarn 411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and is right connecting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to The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re connected.

이상과 같이, 상기 연결 전도사(420) 각각은, 상기 우측으로 기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연장되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부 레이어와 하부 레이어를 서로 연결한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onnecting conductors 420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in the diagonal direction inclined to the right, and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s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들(10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들(100) 사이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connects between the upper layer units 100 . That is,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s between the upper layer units 100 .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전도사(420)의 제1 상부 전도사(421)는,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에 우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서로 연결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first upper conductive yarn 421 of the upper conductive yarn 420 includes the first upper layer 101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1 adjacent to the first upper layer 101 in the right direction. The upper layers 1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상부 전도사(420)의 제2 상부 전도사(422)는, 상기 제3 상부 레이어(103)와 상기 제3 상부 레이어(103)에 우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4 상부 레이어(104)를 서로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conductive yarn 422 of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connects the third upper layer 103 and the fourth upper layer 104 adjacent to the third upper layer 103 in a right direction to each other. connect

이 경우,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와 상기 제3 상부 레이어(103)는 서로 연결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in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 the second upper layer 102 and the third upper layer 103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101, 102)은 서로 연결하고, 이에 연이은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102, 103)은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것으로, 결국 인접하는 세 개의 상부 레이어들(101, 102, 103)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상부 레이어들만 서로 연결한다. That is, in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 a pair of adjacent upper layers 101 and 1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consecutive upper layers 102 and 103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three upper layers 101 , 102 , and 103 , only two adjacent upp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하부 전도사(430)도 상기 상부 전도사(4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하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며,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 및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에서, 상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이 서로 연결되면 하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도 서로 연결되고, 이와 달리 상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 하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도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The lower conductive wire 430 also connects the lower layers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 and accordingly, in a pair of upper layers and a pair of lower layer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when a pair of upp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per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low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wer layers of the pair are also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도사(430)의 제1 하부 전도사(431)는,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에 좌측 방향으로 인접한 하부 레이어(참조번호 없음)를 서로 연결한다. For example, as shown, the first lower conductive yarn 431 of the lower conductive yarn 430 includes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a lower layer adjacent to the first lower layer 201 in the left direction ( no reference numbe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전도사(430)의 제2 하부 전도사(432)는,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와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에 좌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를 서로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conductive wire 432 of the lower conductive wire 430 connects the third lower layer 203 a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adjacent to the third lower layer 203 in the left direction to each other. connect

이 경우, 상기 하부 전도사(430)는,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는 서로 연결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in the lower conductive wire 430 ,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하부 전도사(430) 역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202, 203)은 서로 연결하고, 이에 연이은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203, 204)은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것으로, 결국 인접하는 세 개의 하부 레이어들(202, 203, 204)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하부 레이어들만 서로 연결한다. That is, in the lower conductive wire 430, a pair of adjacent lower layers 202 and 203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consecutive lower layers 203 and 204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three lower layers 202 , 203 and 204 , only two adjacent low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도사(400)는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을 연결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conductive wire 400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s as a whole, and may extend continuous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즉, 상기 제1 하부 전도사(431)가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 전도사(411)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 전도사(411)에 연장되는 제1 상부 전도사(421)는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에 인접한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로 연장된다. That is, the first lower conductive wire 431 extends to surround the first lower layer 201 , and extends to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1 to provide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A first upper conductive wire 421 extending diagonally between 101 and exte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1 extends to surround the first upper layer 101 and extends to the first upper layer ( It extends into the second upper layer 102 adjacent to 101 .

또한, 상기 제1 상부 전도사(421)는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연결 전도사(412)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와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연결 전도사(412)에 연장되는 제2 하부 전도사(432)는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를 감싸도록 연장된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에 인접한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로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first upper conductive wire 421 extends to surrou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 and extends to the second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2 to provide the second upper layer 102 and the second lower layer. A second lower conductive wire 432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202 and extending to the second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2 is the second lower layer extending to surrou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 It extends into the third lower layer 203 adjacent to 202 .

이상과 같이, 상기 전도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을 통해, 연속적으로, 상기 하부 레이어들 및 상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wire 400 continuously connects the lower layers and the upper layers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as shown in FIG. 3 .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원형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각각에 직조되는 상기 전도사들(400)은 실질적으로 상기 원형 형상의 구조를 감싸며 직조된다.In this cas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which case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are each woven into each other. The conductive yarns 400 are woven around the substantially circular-shaped structure.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형, 타원형 등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도사들(400)은 상기 각각의 라운드 된 형상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is shown as a circle in FIGS. 2 and 3, but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oval, and accordingly, the conductive wire The elements 400 may be connec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having the round shape.

한편, 상기 전도사(400)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 저항을 가지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소재는 예를 들면, 은, 구리, 알루미늄, 철, 아연,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거나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전도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conductive yarn 400 may be made of a fabric,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esistanc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silver, copper, aluminum, iron, zinc, nickel, an alloy thereof, or a conductive material of carbon nanotub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도 2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연결 상태만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2의 섬유부재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iber member of FIG.

도 2 및 도 3에서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사(400)는, 결국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The conductive wire 400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in FIGS. 2 and 3 is ultimately connected as in FIG. 4 .

즉, 상기 전도사(400)에서, 상기 연결 전도사(410)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며, 상기 하부 전도사(43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진다.That is, in the conductive yarn 400 ,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410 is inclined to be inclin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wer conductive yarn 430 .

또한, 상기 하부 전도사(430)와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상기 하부 전도사(430)는 연결과 단속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전도사(420)도 연결과 단속이 교번적으로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lower conductive thread 430 and the upper conductive thread 420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lower conductive thread 430 is alternately connected and interrupted, and the upper conductive thread 420 is also connected and interrupted. This is done alternately.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400)는,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과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이 교번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도 4와 같은 연결을 갖게 된다. Thus, as a whole, the conductive wire 400 has a connection as shown in FIG. 4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upper layers and a pair of lower layers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전도사(400)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연결되는 경우, 후술되는 도 9 내지 도 11의 회로를 통해 상기 전도사에 인가되는 저항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Meanwhile, when the conductive wire 40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 resistance or voltage applied to the conductive wire may be measured through the circuits of FIGS. 9 to 11 to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resistance is measured.

즉, 초기 상태에서, 상기 섬유부재(20)의 상기 전도사(400)가 도 4와 같은 형태의 연결을 갖게 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B'구간의 초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at is,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conductive yarn 400 of the fiber member 20 has a connection in the form shown in FIG. 4 , it may have an initial resistance value of section 'B' as shown in FIG. 5 .

이 경우, 상기 섬유부재(20)로, 횡방향으로 압력 또는 힘(이하, 압력으로 통칭한다)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초기 저항값은 변화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a pressure or forc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brous member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is changed.

이 경우, 횡방향으로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압력의 인가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400)는 압축되며, 상기 전도사(400)가 전체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전도사들 사이의 접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초기 저항값보다 저항값이 감소하는 것은 자명하다. In this case, when a pressure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pplied, the conductive yarn 400 is compressed as a whol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sure, and as the conductive yarn 400 is compressed as a whole, the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yarns increases and accordingly As the resistance decreases, it is obvious that the overall resistance value decreases than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다만, 상기 횡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인가되는가에 따라, 상기 초기 저항값에 대하여 저항값이 감소하는 비율은 서로 다르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which directio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applied, the ratio of the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으로는 우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으로는 좌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된 상기 전도사(400)는,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400)가 연결되는 상태는 유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pressure in a righ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and a pressure in a lef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 unit 200, in FIG. As for the conductive wire 400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decreased. In this case, even if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decreased,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400 is connected as a whole is mainta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5의 'A'구간에서와 같이,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감소하는 저항값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400)가 연결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전도사들(400) 사이의 접촉 정도가 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저항값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pressure is applied in the above direction, as in section 'A' of FIG. 5 , the magnitude of the decreasing resistance value may be maintained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That is,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wires 400 are connected as a whole is maintained,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wires 400 is not large, and accordingly, a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can be maintained relatively small.

이와 달리,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으로는 좌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으로는 우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된 상기 전도사(400)는,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도사(400)가 압축되는 정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전도사(400)의 초기 연결 상태는 상대적으로 덜 유지되도록 변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in the lef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and the pressure in the righ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 unit 200, as shown in FIG. In the conductive yarn 400 connected together,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increased. In this case, as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increased,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conductive yarn 400 increases, and the initial connection state of the conductive yarn 400 is changed to be relatively less mainta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5의 'C'구간에서와 같이,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감소하는 저항값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400)가 연결되는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전도사들(400) 사이의 접촉 정도가 크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저항값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pressure is applied in the above direction, as in section 'C' of FIG. 5 , the magnitude of the decreasing resistance value may be changed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That is,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wires 400 are connected as a whole cannot be maintained,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wires 400 is greatly increased, and accordingly, a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is relatively significantly increased.

이상과 같이, 상기 섬유부재(20)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사(400)가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상태에서는, 인가되는 횡 방향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전도사(400)가 연결되는 형태가 유지되거나 붕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저항값의 감소 정도가 변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400 connected to the fiber member 20 is connected to be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shape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400 is connected is maintained or collapsed depending on the applied lateral pressure. In this case,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and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ressure can be detected based on this.

나아가, 상기 저항값의 감소 정도를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세기까지 감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based on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even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pressure may be sens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섬유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b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섬유부재(30)는, 전도사(500)가 연결되는 방향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섬유부재(20)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상기 섬유부재(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The fiber member 30 in this embodiment is shown in the figure except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500 is connected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of the fiber member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brous member 20 of 2 .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overlapping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전도사(500)는 연결 전도사(510), 상부 전도사(520) 및 하부 전도사(5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conductive yarn 50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0 , an upper conductive yarn 520 , and a lower conductive yarn 530 .

상기 연결 전도사(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를 일 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연결 전도사(510)의 기울어진 상태, 즉 연결되는 경사의 경사각(θ, 도 7 참조)은 일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connecting conductor 510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that is,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to the left. Also, in this case,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0 ,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θ, see FIG. 7 ) of the connected inclination may be constant.

즉, 상기 연결 전도사(510)의 제1 연결 전도사(511)는,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 전도사(510)의 제2 연결 전도사(512)는,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와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서로 연결한다.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1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0 connects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1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ductive wire 512 connects the second lower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to each other.

도 6에서,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 및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와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와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결국, 상기 제1 연결 전도사(511)는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며 좌측으로 기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 및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전도사(512)는 동일한 경사각(θ)을 가지며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 및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연결한다. In FIG. 6 ,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 and the second lower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r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is case , the second upper layer 102 and the first lower layer 201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1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and left connecting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first upper layer 101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layer 202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re connected.

이상과 같이, 상기 연결 전도사(520) 각각은, 상기 좌측으로 기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연장되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부 레이어와 하부 레이어를 서로 연결한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onnecting conductors 520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in the diagonal direction inclined to the left, and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s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상기 상부 전도사(520)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들(10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상기 상부 전도사(520)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들(100) 사이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upper conductive wire 520 connects between the upper layer units 100 . That is, the upper conductive wire 520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s between the upper layer units 100 .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전도사(520)의 제1 상부 전도사(51)는,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와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에 좌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부 레이어(참조번호 없음)를 서로 연결한다.For example, as shown, the first upper conductive yarn 51 of the upper conductive yarn 520 includes the first upper layer 101 and the upper layer (leftward) adjacent to the first upper layer 101 . no reference numbe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상부 전도사(520)의 제2 상부 전도사(522)는, 상기 제3 상부 레이어(103)와 상기 제3 상부 레이어(103)에 좌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를 서로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conductive yarn 522 of the upper conductive yarn 520 connects the third upper layer 103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djacent to the third upper layer 103 in the left direction to each other. connect

이 경우, 상기 상부 전도사(520)는, 상기 제1 상부 레이어(101)와 상기 제2 상부 레이어(102)는 서로 연결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in the upper conductive wire 520 , the first upper layer 101 and the second upper layer 10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상부 전도사(52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102, 103)은 서로 연결하고, 이에 연이은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103, 104)은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것으로, 결국 인접하는 세 개의 상부 레이어들(102, 103, 104)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상부 레이어들만 서로 연결한다. That is, in the upper conductive wire 520 , a pair of adjacent upper layers 102 and 1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uccessive upper layers 103 and 104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three upper layers 102 , 103 , and 104 , only two adjacent upp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하부 전도사(530)도 상기 상부 전도사(5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하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며,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 및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에서, 상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이 서로 연결되면 하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도 서로 연결되고, 이와 달리 상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 하부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도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The lower conductive wire 530 also connects the lower layers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onductive wire 520 , and accordingly, in a pair of upper layers and a pair of lower layer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when a pair of upp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per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low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wer layers of the pair are also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도사(530)의 제1 하부 전도사(531)는,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와 상기 제1 하부 레이어(201)에 우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를 서로 연결한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first lower conductive yarn 531 of the lower conductive yarn 530 includes the first lower layer 201 and the second lower conductive yarn 531 adjacent to the first lower layer 201 in the right direction. The lower layers 2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전도사(530)의 제2 하부 전도사(532)는,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와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에 우측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4 하부 레이어(204)를 서로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conductive yarn 532 of the lower conductive wire 530 connects the third lower layer 203 and the fourth lower layer 204 adjacent to the third lower layer 203 in the right direction to each other. connect

이 경우, 상기 하부 전도사(530)는, 상기 제2 하부 레이어(202)와 상기 제3 하부 레이어(203)는 서로 연결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in the lower conductive wire 530 , the second lower layer 202 and the third lower layer 203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하부 전도사(530) 역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201, 202)은 서로 연결하고, 이에 연이은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202, 203)은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것으로, 결국 인접하는 세 개의 하부 레이어들(201, 202, 203)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하부 레이어들만 서로 연결한다. That is, in the lower conductive wire 530, a pair of adjacent lower layers 201 and 202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consecutive lower layers 202 and 203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three lower layers 201 , 202 and 203 , only two adjacent low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전도사(500)는 전체적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을 연결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음은 도 3에서와 같고, 세부적인 연속 연결 상태에 대하여는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wire 500 as a whole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layers, but may extend continuous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s in FIG. 3 , and a detailed continuous connection state will be omitted. .

도 7은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연결 상태만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6의 섬유부재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ly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6 ,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iber member of FIG. 6 .

도 6에서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사(500)는, 결국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The conductive yarn 500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in FIG. 6 has a form connected as shown in FIG. 7 .

즉, 상기 전도사(500)에서, 상기 연결 전도사(510)는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며, 상기 하부 전도사(53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진다. That is, in the conductive yarn 500 ,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510 is inclined to be inclined to the left, and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lower conductive yarn 530 .

또한, 상기 하부 전도사(530)와 상기 상부 전도사(52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상기 하부 전도사(530)는 연결과 단속이 교번적으로 수행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전도사(520)도 연결과 단속이 교번적으로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lower conductor 530 and the upper conductor 520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connection and interruption of the lower conductor 530 are alternately performed, and similarly, the upper conductor 520 is also connected and interrupted. This is done alternately.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500)는, 한 쌍의 상부 레이어들과 한 쌍의 하부 레이어들이 교번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도 7과 같은 연결을 갖게 된다. Thus, as a whole, the conductive wire 500 has a connection as shown in FIG. 7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upper layers and a pair of lower layers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전도사(500)가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에 연결되는 경우, 후술되는 도 9 내지 도 11의 회로를 통해 상기 전도사에 인가되는 저항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Meanwhile, when the conductive wire 50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 resistance or voltage applied to the conductive wire may be measured through the circuits of FIGS. 9 to 11 to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resistance is measured.

즉, 초기 상태에서, 상기 섬유부재(20)의 상기 전도사(500)가 도 7과 같은 형태의 연결을 갖게 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B′'구간의 초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at is,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conductive yarn 500 of the fiber member 20 has a connection in the form shown in FIG. 7 , it may have an initial resistance value in the section 'B' as shown in FIG. 8 .

이 경우, 상기 섬유부재(20)로, 횡방향으로 압력 또는 힘(이하, 압력으로 통칭한다)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초기 저항값은 변화하게 된다. 횡방향으로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전도사(500)로부터 측정되는 저항값이 감소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다만, 상기 횡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인가되는가에 따라, 상기 초기 저항값에 대하여 저항값이 감소하는 비율은 서로 다르게 된다. In this case, when a pressure or forc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brous member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is changed. When the press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applied, the resistance value measured from the conductive yarn 500 is decreased as described above, but,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applied,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is The rate at which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is different.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으로는 좌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으로는 우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된 상기 전도사(500)는,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증가(즉,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도가 증가함)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500)가 연결되는 상태는 유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pressure in a lef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and a pressure in a righ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 unit 200, in FIG. As for the conductive yarn 500 connected as shown, the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increased. In this case, even if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increased (that is, the degree of inclination to the left increases),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500 is connected as a whole is mainta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8의 'C′'구간에서와 같이,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감소하는 저항값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500)가 연결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전도사들(500) 사이의 접촉 정도가 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저항값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in the above direction, as in the section 'C' of FIG. 8 , the magnitude of the decreasing resistance value may be maintained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That is,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wires 500 are connected as a whole is maintained,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wires 500 is not large, and accordingly, a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can be maintained relatively small.

이와 달리,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으로는 우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으로는 좌측방향(←)을 향하는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된 상기 전도사(500)는,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각(θ′)이 상대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전도사(500)가 압축되는 정도가 증가(전도사가 수직 방향으로 기립함에 따라 압축정도가 증가함)하게 되며 상기 전도사(500)의 초기 연결 상태는 상대적으로 덜 유지되도록 변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in the righ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and the pressure in the left direction (←)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 unit 200, as shown in FIG. In the conductive yarn 500 connected together, the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θ' is relatively decreased. In this case, as the inclination angle θ ′ is relatively decreased,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conductive yarn 500 increases (the degree of compression increases as the conductive yarn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e initial connection state is changed to be relatively less mainta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도 8의 'A′'구간에서와 같이,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감소하는 저항값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상기 전도사(500)가 연결되는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전도사들(500) 사이의 접촉 정도가 크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저항값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pressure is applied in the above direction, as in section 'A' of FIG. 8 , as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the magnitude of the decreasing resistance value may be changed relatively significantly. That is,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wires 500 are connected as a whole cannot be maintained,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wires 500 is greatly increased, and accordingly, a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is relatively significantly increased.

이상과 같이, 상기 섬유부재(20)에 연결되는 상기 전도사(500)가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상태에서는, 인가되는 횡 방향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전도사(500)가 연결되는 형태가 유지되거나 붕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기 저항값과 대비하여 저항값의 감소 정도가 변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저항값의 감소 정도를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세기까지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500 connected to the fiber member 20 is connected to be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shape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500 is connected is maintained or collapsed depending on the applied lateral pressure. In this case,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and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ressure can be detected based on this. Furthermore, based on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resistance value, even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pressure may be sensed.

도 9는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우선, 상기 전도사(400, 500)의 저항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에 연결된 상기 상부 전도사(420)는 전원과 연결되어 전압(V)을 공급받으며 저항(R1)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200)에 연결된 상기 하부 전도사(430)는 접지된다.First, referring to FIG. 9 as one method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wires 400 and 500 ,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generate a voltage (V). The lower conductive wire 430 that is supplied and connected to the resistor R1 and connected to the lower layer unit 200 is grounded.

이 경우,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100)에 연결된 상기 상부 전도사(420)의 일단의 출력전압(Vsense)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전압(Vsense)을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양단에 걸리는 출력저항(Rsense)을 계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Vsense of one end of the upper conductive wire 420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unit 100 may be measured,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200) can measure the output resistance (Rsens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0 connected between.

상기 출력저항(Rsense)은 하기 식 (1)을 통해 계측된다.The output resistance Rsense is measur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식 (1)
Figure pat00001
Equation (1)

이와 달리,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각각에 연결된 상기 상부 및 하부 전도사들(420, 430)은 휘스톤브릿지(Wheatstone bridge) 회로와 연결된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10 as another method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or, the upper and lower conductors 420 and 430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re formed by a Wheatstone bridge. ) is connected to the circuit.

이 경우, 상기 휘스톤브릿지 회로의 초기저항(R)은 하기 식 (2)와 같이,In this case, the initial resistance (R) of the Wheatstone bridge circuit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R1 = R2 = R3 = R 식 (2)R1 = R2 = R3 = R Equation (2)

회로에 구비된 저항들(R1, R2, R3) 각각의 저항값과 같이 설정된다. The resistors R1, R2, and R3 provided in the circuit are set to have the same resistance value.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통해, 휘스톤브릿지 회로의 출력전압(Vout)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전압(Vout) 및 상기 초기저항(R)을 이용하여 하기 식 (3)을 통해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저항의 변화량(ΔR)을 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Wheatstone bridge circuit may be measured through the circuit shown in FIG. 10, and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the output voltage Vout and the initial resistance R ), the amount of change (ΔR) of the resistance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wire 410 can be obtained.

Figure pat00002
식 (3)
Figure pat00002
Equation (3)

따라서, 상기 식 (3)을 통해 저항의 변화량(ΔR)을 구하면, 하기 식(4)를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100, 200) 사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양단에 걸리는 출력저항(Rsense)을 계측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amount of change (ΔR) of resistance is obtained through Equation (3), it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conductor 410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100 and 200 through Equation (4) below. The output resistance (Rsense) can be measured.

Figure pat00003
식 (4)
Figure pat00003
Equation (4)

즉, 이상과 같이, 상기 섬유부재(20, 30) 외부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전도사들(420, 430)이 별도의 저항 또는 전압 측정 회로와 연결되고, 저항 또는 전압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섬유부재(20, 30)의 내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 전도사(410)의 저항 변화를 계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섬유부재(20, 30)에 인가되는 압력을 계측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onductors 420 and 430 to the outside of the fiber member 20 and 30 are connected to a separate resistance or voltage measuring circuit, and based on the resistance or voltage change, the fiber member A change in resistance of the connecting conductive yarn 410 connected to the inside of 20 and 30 can be measured, and through th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ber members 20 and 30 can be measured.

도 11은 도 2 또는 도 6의 섬유부재에서, 전도사의 저항을 감지하는 회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ircuit for sensing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yarn in the fiber member of FIG. 2 or FIG. 6 .

도 11에 도시된 회로를 통해서는, 서로 인접한 섬유부재들(20, 30) 사이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rough the circuit shown in FIG. 11 , it is possible to output a differential voltage between the fiber members 20 and 30 adjacent to each other.

즉,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부재(20)에 대한 출력저항(Rsense) 계측 회로를 통해, 즉 상기 식 (1)을 통해, 상기 출력저항(Rsense)의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상부 전도사(420)의 일 단의 출력전압(Vsense)을 측정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That is, referring to FIG. 9 , when information on the output resistance Rsense is provided through the output resistance Rsense measuring circuit for the fiber member 20, that is, through the above formula (1), the upper conductive yarn ( 420) can measure the output voltage (Vsense) of one end is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식 (1)로부터, 도 11의 좌측의 상기 섬유부재(20)에 연결되는 회로에서 상기 출력전압(Vsense+)은 상기 출력저항(Rsense1)으로부터 하기 식 (5)와 같이 도출된다. Accordingly, from Equation (1), the output voltage Vsense+ in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fiber member 20 on the left side of FIG. 11 is derived from the output resistance Rsense1 as in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04
식 (5)
Figure pat00004
formula (5)

마찬가지로, 상기 식 (1)로부터, 도 11의 우측의 상기 섬유부재(30)에 연결되는 회로에서 상기 출력전압(Vsense-)도 상기 출력저항(Rsense2)으로부터 하기 식 (6)과 같이 도출된다. Similarly, from Equation (1), the output voltage Vsense- in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fiber member 30 on the right side of FIG. 11 is also derived from the output resistance Rsense2 as in Equation (6) below.

Figure pat00005
식 (6)
Figure pat00005
Equation (6)

따라서, 상기 도 11의 회로에서, 상기 양 측의 섬유부재들(20, 30) 사이의 차동 전압(Vsense)은 하기 식 (7)과 같이 도출되며, 하기 식 (7)에서, R1>>Rsense1 및 R>>Rsense2이면, 상기 식 (8)로 상기 차동 전압(Vsense)이 도출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ircuit of FIG. 11, the differential voltage Vsense between the fiber members 20 and 30 on both sides is derived as in Equation (7) below, and in Equation (7), R1>>Rsense1 and R>>Rsense2, the differential voltage Vsense may be derived by Equation (8).

Figure pat00006
식 (7)
Figure pat00006
Equation (7)

Figure pat00007
식 (8)
Figure pat00007
Equation (8)

이상과 같이, 상기 섬유부재들(20, 30) 외부로 연결되는 별도의 회로 구성을 통해, 복수의 서로 인접하는 섬유부재들(20, 30) 사이에서의 차동 전압을 도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differential voltage between a plurality of adjacent fiber members 20 and 30 can be derived through a separate circuit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ber members 20 and 30 .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사이에 편성되어 연결되는 전도사가, 일 방향으로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됨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 또는 압력에 따라, 기울어진 상태의 전도사의 기울어지는 경사각이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경사각 변화는 상기 전도사로부터 측정되는 저항 또는 전압의 변화량을 서로 다르게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인가되는 힘 또는 압력의 횡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onductive yarn knitted and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is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s a whole is connected in a zigzag form, the force or pressure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ly, the inclined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ductor in the inclined state is changed, and this change in inclination angle can induce different amounts of change in resistance or voltage measured from the conductor, and through thi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pplied force or pressure can detect

즉, 기 설정된 상기 전도사의 경사각은, 횡 방향의 인가 압력 또는 힘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전도사 경사각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측정되는 저항 또는 전압값이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저항 또는 전압값의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 또는 힘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t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resistance or voltage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is changed, such resistance or voltage value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may be sensed based on the change in .

나아가, 상기 전도사의 경사각에 따른 전압값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상기 인가되는 압력 또는 힘의 세기, 즉 크기도 도출할 수 있다. Furthermore,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ductor,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pressure or force, that is, the magnitude may also be derived.

이를 통해, 상기 섬유부재가 적용되는 의류는 물론, 직물 베이스로 제작되는 의료용 로봇 등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인가되는 힘의 방향 및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applied to clothes to which the fiber member is applied, as well as a medical robot made of a fabric base, and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various applied forces can be deri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20, 30 : 섬유부재 100 : 상부 레이어 유닛
101, 102, 103, 104 : 상부 레이어들
200 : 하부 레이어 유닛
201, 202, 203, 204 : 하부 레이어들
300 : 지지부재 400, 500 : 전도사
410, 510 : 연결 전도사 420, 520 : 상부 전도사
430, 530 : 하부 전도사
20, 30: fiber member 100: upper layer unit
101, 102, 103, 104: upper layers
200: lower layer unit
201, 202, 203, 204: lower layers
300: support member 400, 500: conductor
410, 510: connecting evangelist 420, 520: upper evangelist
430, 530: lower evangelist

Claims (9)

각각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형성하도록 얽히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에 편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과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 사이에서는 대각선 방향으로만 연결되고,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의 상부 레이어들 사이, 및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의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서로 인접한 3개의 레이어들 중 인접한 2개의 레이어들 사이에서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upper and lower layer units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respectively;
a support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nd being entangled to form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nd
It is knitted in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and includes a conductive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The conductive yarn is connected only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 unit and the lower layer unit,
The conductive yarn is, between the upper layers of the upper layer unit and between the lower layers of the lower layer unit, the fib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only between the two adjacent layers of the three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 및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ducting yarn,
A fib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ntinuously extending between the upper layer unit and the lower lay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사는,
상기 상부 레이어들 및 상기 하부 레이어들 사이에서, 일 측 방향으로만 경사지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ducting yarn,
A fib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s and the lower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사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 레이어들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레이어가, 상기 하부 레이어에 마주하는 상부 레이어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한 상부 레이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ducting yarn,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b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layer is connected to an upper layer adjacent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upper layer facing the lower lay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사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상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서로 연결된 상부 레이어들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레이어들과는 연결되지 않으며,
서로 인접한 2개의 하부 레이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서로 연결된 하부 레이어들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하부 레이어들과는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ducting yarn,
When two upper layer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layers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ed upper layer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wo adjacent low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brous member is not connected to the lower layers respective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terconnected lower lay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 편성되는 2개의 상부 레이어들, 및 상기 서로 연결 편성되는 2개의 하부 레이어들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wo upper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wo lower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 유닛 또는 상기 하부 레이어 유닛에 횡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일 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된 상기 전도사는, 경사각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4. The method of claim 3,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upper layer unit or the lower layer unit,
The conductive yarn connected to be inclined in the one direction, the fib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or decrea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사와 연결되는 저항 측정회로에서 측정되는 초기 상태의 저항값과,
상기 경사각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저항 측정회로에서 측정되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이 인가되는 방향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itial state measured in the resistance measuring circuit connected to the conductor,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or decrea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is sensed by comparing the res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resistance measuring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이어 유닛들 각각은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메쉬(mesh)망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필라멘트 파일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부재.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 units is formed in a mesh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The support member is a fib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ament pile yarn.
KR1020200116661D 2020-09-11 2020-09-11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KR202200343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1A KR102378947B1 (en) 2020-09-11 2020-09-11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75A true KR20220034375A (en) 2022-03-18

Family

ID=809351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61D KR20220034375A (en) 2020-09-11 2020-09-11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KR1020200116661A KR102378947B1 (en) 2020-09-11 2020-09-11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61A KR102378947B1 (en) 2020-09-11 2020-09-11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34375A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61B1 (en) 2017-11-24 2019-12-06 한국기계연구원 3d air-mesh textile with resistive sens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47B1 (en)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147B2 (en) Woven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woven fabric layers
US7544627B2 (en) Pressure sensing fabric
US6714117B2 (en) Detector constructed from fabric
US9645021B2 (en) Sheet pressure sensor
KR101326796B1 (en) Textile touch sensor
JP2010203809A (en) Pressure-sensit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sensor using the same
WO2005096133A1 (en) Textile form touch sensor
JP2017194960A (en) Flexible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52461B1 (en) 3d air-mesh textile with resistive sensing information
US20220252472A1 (en) Stitched sensor
JP2020009418A (en) Position-sensing composite yarn for capacitive touch sensing
JP6671910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102378947B1 (en) Textile element sensing direction and intensity of pressure
JP5659349B2 (en) Tensile deformation detection cloth
JP2017123911A (en) Motion measu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20077383A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101770141B1 (en) Electric textile
US20200264058A1 (en)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in vertical direction, strain sensor for sensing tension in horizontal dir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ors
KR102010174B1 (en) Strain sensor for sensing tensil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066868B (en) Bending degree detection unit, device and method and wearable equipment
KR102009750B1 (en) Flexible pressure measuring system and large-sized textile having the same
KR20200068369A (en) Serial arrange textile type stret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743387A1 (en) Fabric product and sensing fabric made thereof
KR102002699B1 (en) Textile type hybrid controller includeing one touch electrode
WO2021106227A1 (en) Contact pressure sensor, knitted article equipped with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pressure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