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325A - 시공 조인트 - Google Patents

시공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25A
KR20220034325A KR1020200116538A KR20200116538A KR20220034325A KR 20220034325 A KR20220034325 A KR 20220034325A KR 1020200116538 A KR1020200116538 A KR 1020200116538A KR 20200116538 A KR20200116538 A KR 20200116538A KR 20220034325 A KR20220034325 A KR 2022003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joint
construction joint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577B1 (ko
Inventor
유식용
Original Assignee
일도티씨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도티씨에스(주) filed Critical 일도티씨에스(주)
Priority to KR102020011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04B1/6804Joint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6Methods of mak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 E01C23/098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illing or priming, with or without working the surface of the filling 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 thereto, e.g. for filling the joints of stone-sett paving with preformed elements, e.g. joint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판 형태의 신축줄눈대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 조인트 {CONSTRUCTION JOINT}
본 발명은 시공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 변화에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신축작용시 균열을 예방할 수 있는 시공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에서의 콘크리트 구조체인 도로나 지하/지상 주차장 바닥을 여러 조각으로 가름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 또는 부등침하나 진동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키는, 즉 구조체의 신축작용 흡수와 균열 진행을 유도 또는 중단시키게 하는 인위적인 균열 저감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균열 저감구조는 대략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생 후 또는 양생 전 건식이나 습식공정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전자 건식에서는 양생이 완료된 구조체의 표면에 소정의 컷팅공정을 통해 골형의 신축 줄눈을 구비하여 주입 또는 삽입방식에 의해 탄력적인 소재의 신축 줄눈재가 설치되고, 후자의 습식에서는 구조체의 양생 전에 매몰방식으로 신축 줄눈대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균열 저감구조에서 습식 신축 줄눈대의 경우를 보면, 구조체의 기저층 상에 상면이 개구되는 채널형의 신축 줄눈대를 격자 상으로 배치한 후, 그 신축 줄눈대의 높이 기준으로 마감층이 타설되어 양생과정에서 구조체가 여러 조각의 분할구조체로 가름되는 것으로 구조체의 균열을 예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신축 줄눈대를 이용한 균열 저감구조에서 상면이 개구된 신축 줄눈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해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이물질의 유입 또는 우수나 생활오수 등의 폐수 고임 현상이 일어나 악취발생의 주요인 되어 주기적으로 청소시키어야 하는 유지관리에 불편이 따를 뿐 아니라, 신축 줄눈대의 홈이 외부로 노출되어 구조체의 외관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 신축 출눈대 내에 이물질의 유입 또는 폐수의 고임 현상방지와, 신축작용에 대응하는 완충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근래에는 이물질 유입 차단과 폐수의 고임 방지를 위한 균열 저감구조 이외 비 연속적인 구조체인 교량에서 이물질이나 유수의 유입방지를 위한 신축이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구조체에서의 인접 분할구조체들 각기에 "ㄱ"자 형으로 이루어 상면의 내측 단이 상호암수의 결합을 이루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들이 상호 대향 배치되고, 이 수직플레이트들 각기의 상면 하부에서 어느 하나는 수형의 이물질차단 플레이트와 다른 하나는 수형의 이물질차단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암형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이들이 상호 암수의 형합관계를 가지고 신축이음장치의 상면이 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하면서 구조체 인접 분할구조체들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이 흡수되게 하여서 이물질의 유입이나 폐수의 고임 현상이 방지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주로 교량, 즉 비 연속적인 분할구조체(교량 상판)로 이루는 구조체에 시공되어 그 분할구조체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 또는 유수나 폐수의 유입이 방지되게 하고 있는 것이나, 이는 교량구조체에 적합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기에서의 비 연속적인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같이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연속적 구조체인 바닥에서 이물질의 유입이나 폐수의 고임 현상이 방지되게 하는 균열 저감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06011
선행문헌은,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줄눈 형성시 줄눈재틀을 설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줄눈재틀의 높이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타설 높이를 별도로 정하지 않고도 시공할 수 있으며, 줄눈재틀을 기준으로 폴리머 포장용 콘크리트를 시공함으로써 포장 두께를 박층 으로 균일하게 포장할 수 있는, 줄눈재틀을 이용하여 줄눈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균열 저감구조를 갖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판 형태의 신축줄눈대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축줄눈대 및 높이 조절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높이 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줄눈대와 높이 조절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홈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하는 일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대향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 조인트는, 상기 신축줄눈대의 좌우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다우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 및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제2 상부 플레이트의 경계선은 곡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균열 저감구조를 갖는 시공 조인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다른 시공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신축 줄눈대(110), 높이 조절부(120), 하부 플레이트(131, 132) 및 상부 플레이트(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시공 조인트(100)는 콘크리트 타설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공 조인트(10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공 조인트의 상부와 콘크리트 바닥면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축 줄눈대(1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영역을 분할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축 줄눈대(110)는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층을 여러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신축 줄눈대(11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1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20)는 상기 신축 줄눈대(11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 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120)와 신축 줄눈대는 별도의 결합수단(1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20)는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접하는 일면과 상기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과 취급상 안전을 위해 바닥면과 수직으로 절곡된 면을 추가하여 ㄷ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190)은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 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부(120)에서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접하는 일면 및 신축 줄눈대(110)에 각각 높이 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은 독립된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이 때 높이조절을 위해서 원하는 높이만큼 상기 높이조절부(12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높이 조절 홈에 결합수단(190)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120)와 신축 줄눈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절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시공 조인트(100)의 시공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신축줄눈대(11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110)와 제1 하부 플레이트(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 굴절부 및 평탄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가 신축 줄눈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형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의 제1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180)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고,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축할 때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접하고 있는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80)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 양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는 각각 스터드 볼트(151, 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시 상기 스터드 볼트(151, 152)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줄눈대에 의해 분할되는 제1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1 스터드 볼트(151)가 매립되고 제2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2 스터드 볼트(152)가 매립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스터드 볼트가 매립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각각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형태에서, 각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면에 상부 플레이트(141, 14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플레이트(141)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13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결합은 용접 이외에도 암수 형태의 결합부를 적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시공시에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서로 접하는 형태로 구현되나,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서로 이격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의 최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었을 때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분할된 콘크리트 영역이 수축하게 되면 각 콘크리트 영역에 접해있는 제1 하부 플레이트(1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132)에는 양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180)는 파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면이 서로 접해있던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는 접해있던 면이 이격되어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상부 플레이트(1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42)로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가 이격되면, 각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도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 사이에 생긴 이격 공간이 하부에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1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의 이격공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1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가 접하는 경계선은 제1 하부 플레이트(131) 상부 혹은 제2 하부 플레이트(132) 상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100)는 신축 줄눈대(110)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는 신축 줄눈대(110)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의 판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M자 형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161, 162)은 상기 시공 조인트(1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공 조인트(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 응력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는 조인트(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좌우로 벌어진 콘크리트 바닥의 하중 차이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단응력을 플레이트 다우웰이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레이트 다우웰은 2열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공 조인트(100)의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161)과 시공 조인트(100)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신축 줄눈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레이트 다우웰(161) 및 제2 플레이트 다우웰(16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신축 줄눈대(210), 높이 조절부(220), 하부 플레이트(231, 232) 및 상부 플레이트(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시공 조인트(200)는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공 조인트의 상부와 콘크리트 바닥면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축 줄눈대(2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영역을 분할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축 줄눈대(210)는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층을 여러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21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20)는 상기 신축 줄눈대(21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 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220)와 신축 줄눈대는 별도의 결합수단(2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220)는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접하는 일면과 상기일면과 수직으로 절곡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 안정성과 취급상 안전을 위해 바닥면과 수직으로 절곡된 면을 추가하여 ㄷ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수단(290)은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 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부(220)에서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접하는 일면 및 신축 줄눈대(210)에 각각 높이 조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홈일 수 있으며, 이 때 높이조절을 위해서 원하는 높이만큼 상기 높이조절부(22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높이 조절 홈에 결합수단(290)을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20)와 신축 줄눈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조절부(2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시공 조인트(200)의 시공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신축줄눈대(210)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 줄눈대(210)와 제1 하부 플레이트(2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 굴절부 및 평탄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가 신축 줄눈대(210)의 상부에 거치된 형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의 제1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280)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고,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2면을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축할 때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접하고 있는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80)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 양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는 각각 스터드 볼트(251, 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시 상기 스터드 볼트(251, 252)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줄눈대에 의해 분할되는 제1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1 스터드 볼트(251)가 매립되고 제2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제2 스터드 볼트(252)가 매립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스터드 볼트가 매립됨으로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각각 다른 영역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있다.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형태에서, 각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면에 상부 플레이트(241, 24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23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결합은 용접 이외에도 암수 형태의 결합부를 적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동일한 두께를 갖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가 접하는 형태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공시에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서로 접하는 형태로 구현되나,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서로 이격되고,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24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의 최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었을 때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1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분할된 콘크리트 영역이 수축하게 되면 각 콘크리트 영역에 접해있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1) 및 제2 하부 플레이트(232)에는 양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고,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280)는 파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면이 서로 접해있던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는 접해있던 면이 이격되어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상부 플레이트(2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242)로 각각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가 이격되면, 각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도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에 생긴 이격 공간이 하부에 생긴 제1 하부 플레이트(23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사이의 이격공간과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가 접하는 경계선은 제1 하부 플레이트(231) 상부 혹은 제2 하부 플레이트(232) 상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의 접선은 곡선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의 접선을 곡선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변화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상부 플레이트(242) 사이에 발생한 이격공간은 무거운 지게차나 화물차의 하중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200)는 신축 줄눈대(210)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는 신축 줄눈대(210)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의 판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M자 형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261, 262)은 상기 시공 조인트(200)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공 조인트(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 응력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는 조인트(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좌우로 벌어진 콘크리트 바닥의 하중 차이에 의해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단응력을 플레이트 다우웰이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플레이트 다우웰은 2열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공 조인트(200)의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261)과 시공 조인트(200) 전체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신축 줄눈대(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레이트 다우웰(261) 및 제2 플레이트 다우웰(262)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조인트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시공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이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작용을 일으키기 이전의 모습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조인트의 상부면인 제1 상부 플레이트(34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342)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작용이 신축 줄눈대의 우측에서 일어날 때의 도면이다. 도 3의 (b)의 경우는 신축 줄눈대310) 우측에 위치한 콘크리트 영역(B)이 수축하므로 상기 콘크리트 영역과 접하고 있는 제2 하부 플레이트(332) 및 제2 상부 플레이트(34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제2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있던 결합부재(380)는 파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각 부분의 결합구조, 결합수단, 스터드 볼트 및 플레이트 다우웰의 형태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신축줄눈대 120 : 높이조절부
131, 132 : 하부 플레이트 141, 142 : 상부 플레이트
151 ,152 : 스터드 볼트 161, 162 : 플레이트 다우웰

Claims (9)

  1. 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을 분할하는 판 형태의 신축줄눈대;
    상기 신축줄눈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줄눈대의 매설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신축줄눈대 상부에 결합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
    일면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결합된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계선이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또는 제2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2 상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시공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 및 높이 조절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높이 조절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끼워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줄눈대와 높이 조절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하는 일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 및 제2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제2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플레이트 및 제2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대향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터드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줄눈대의 좌우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다우웰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다우웰은,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다우웰; 및
    상기 시공 조인트 높이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다우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와 제2 상부 플레이트의 경계선은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조인트.
KR1020200116538A 2020-09-11 2020-09-11 시공 조인트 KR10247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ko) 2020-09-11 2020-09-11 시공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ko) 2020-09-11 2020-09-11 시공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25A true KR20220034325A (ko) 2022-03-18
KR102473577B1 KR102473577B1 (ko) 2022-12-05

Family

ID=8093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38A KR102473577B1 (ko) 2020-09-11 2020-09-11 시공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8902A (zh) * 2022-07-12 2022-10-18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06A (ja) * 1992-06-12 1993-12-21 Motonosuke Arai 道路継目伸縮装置
KR20190046150A (ko) * 2017-10-25 2019-05-07 서문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06A (ja) * 1992-06-12 1993-12-21 Motonosuke Arai 道路継目伸縮装置
KR20190046150A (ko) * 2017-10-25 2019-05-07 서문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8902A (zh) * 2022-07-12 2022-10-18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198902B (zh) * 2022-07-12 2023-09-08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577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230B2 (en) Plate concrete dowel system
US6926463B2 (en) Disk plate concrete dowel system
US7314333B2 (en) Plate concrete dowel system
US7604432B2 (en) Plate concrete dowel system
RU2418917C2 (ru) Структурные элемен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2050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판 연결 공법
KR20220034325A (ko) 시공 조인트
EP0168205B1 (en) Screed rails
US3273473A (en) Road expansion joint
KR101916744B1 (ko) 강성이 향상된 교량 상부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US11359370B2 (en) Block for dry construction
KR101842997B1 (ko) 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구조 및 차도 포장 시공방법
US4479916A (en) Method of making a building panel
KR102427300B1 (ko)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555364B1 (ko) 교량 받침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US20050036834A1 (en) Monolithic pour joint
US20230151557A1 (en) Support product
US370625A (en) jackson
RU2704412C1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стык
US725846A (en) Floor, roof, or like construction.
JPS6316536B2 (ko)
US1870807A (en) Tile and soffit means for concrete floor construction
JP3062871B2 (ja) 床版施工方法
JPS5817773Y2 (ja) 道路橋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桁
KR101354505B1 (ko) 교각 지점부의 교량 연속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