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900A -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900A
KR20220033900A KR1020200116326A KR20200116326A KR20220033900A KR 20220033900 A KR20220033900 A KR 20220033900A KR 1020200116326 A KR1020200116326 A KR 1020200116326A KR 20200116326 A KR20200116326 A KR 20200116326A KR 20220033900 A KR20220033900 A KR 2022003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ssage
discharge
opening
hanger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김도엽
박진원
김효성
이동훈
강태경
박일송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900A/ko
Publication of KR2022003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납챔버,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에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토출통로,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모듈 및 미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3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4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구는, 상기 제2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구보다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 대한 발명이다.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옷뿐만 아니라 침구류, 섬유 인형, 신발 등 다양한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의류 종류에 맞는 방식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관리기는 한 방향으로만 공기를 의류수납챔버에 공급하고 있어 종래의 의류관리기가 관리할 수 있는 의류 종류는 한정되었다. 예를 들어, 종래는 송풍기 등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를 의류수납챔버에 공급하였다. 또한, 공기가 한 방향으로 공급되어 수납된 의류에 묻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제거 성능이 떨어져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06337)은 수납부에 의류를 거치시키고 상부 송풍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의류의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기능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의류가 캐비닛 또는 건조기에 선택적으로 수납됨에 따라 공기를 캐비닛으로 송풍하거나 건조기로 송풍되도록 유로가 변경되는 수납 시스템에 대한 것에 불과하며, 캐비닛에서의 공기는 단순히 상하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캐비닛에 수납된 의류의 종류에 따라 캐비닛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바뀌지 못하여 다양한 의류를 해당 의류의 특성에 맞게 관리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먼지 제거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201호(특허문헌 2)는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공기정화기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의류가 보관되는 내부로 공기를 토출할 뿐, 의류가 보관되는 캐비닛 내부로 공기를 토출함에 있어서 공기의 토출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지 못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공기정화기도 캐비닛에 수납된 의류의 종류에 따라 캐비닛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바꾸지 못하여 다양한 의류를 해당 의류의 특성에 맞게 관리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먼지 제거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4557호(특허문헌3)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공기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단순히 의류를 리프레쉬함에 있어서 초기 동작, 중간 동작, 최종 동작에 따라 공기 토출 노즐의 순차적으로 개폐된다는 것만을 개시할 뿐, 의류의 종류에 따라 공기 토출 노즐의 개폐가 변경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3의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의류의 종류와 무관하게 공기 토출 노즐이 동일한 순서로 개폐될 뿐이므로, 특허문헌 3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도 캐비닛에 수납된 의류의 종류에 따라 캐비닛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바꾸지 못하여 다양한 의류를 해당 의류의 특성에 맞게 관리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먼지 제거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의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의류 종류에 따라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6337호(2019.01.18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201호(2010.11.17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4557호(2012.07.0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의류수납챔버에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류수납챔버 내부에 구비된 의류 종류에 맞게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개폐함에 따라 의류수납챔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납챔버,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에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토출통로,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모듈 및 미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3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4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구는, 상기 제2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구보다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1 유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윙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제2 스윙상태에서는,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2 유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상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상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 상측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와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가 교번하여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상기 제1 스윙상태와 상기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윙상태와 상기 제2 스윙상태 사이의 교번 주기는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1 유동모드일 때에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하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측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팬은 상기 하측 토출통로 내 공기가 상기 하측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하부팬이 동작하도록 상기 하부팬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에 구비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에 구비되는 행거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할 때 상기 행거 토출통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중앙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에 상기 중앙팬의 rpm이 더 높도록 상기 중앙팬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3 유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하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측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팬은 상기 하측 토출통로 내 공기가 상기 하측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3 유동모드일 때에 상기 하부팬의 rpm이 더 높도록 상기 하부팬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폐모듈은,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1 사이드 개폐부재 및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사이드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이드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사이드 개폐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에 구비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에 구비되는 행거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 토출통로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개폐모듈은,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1 상측 개폐부재 및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상측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의류수납챔버에 상하좌우의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의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종류에 따라 공기를 송풍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종류에 맞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사이드 토출통로와 제2 사이드 토출통로가 모두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2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1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2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제3 사이드 토출통로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모두 개방된 것을 나타낸 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2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2 사이드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및 제2 상측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제1 상측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2 상측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및 제2 상측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제2 상측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제1 상측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및 제2 상측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가 폐쇄되고, 제1 및 제2 행거 토출통로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1 및 제2 상측 개폐모듈을 나타낸 것으로,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와 제1 및 제2 행거 토출통로가 공기를 연속적으로 토출하도록 개방되고, 제1 상측 토출통로가 폐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전달',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공급, 전달,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0)는 의류를 수납하는 의류수납챔버(100)에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를 통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공기를 제공하고, 여러 유동모드로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개폐함에 따라 의류 종류에 따라 의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관리기(10)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여러 유동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의류에 묻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의류를 효과적으로 제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관리기(10)는 의류수납챔버(100), 도어(200), 행거(300),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 개폐모듈(500), 공급통로(600), 복수 개의 사이드 연결통로(700), 송풍모듈(8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는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수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수납챔버(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의류관리기(10)의 캐비닛일 수 있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은 의류의 입출을 위해 개방될 수 있으며,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에는 수납공간(S)의 개폐를 위한 도어(200)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공간(S)에서는 의류에 대한 캐어 기능이 진행될 수 있다. 수납공간(S) 내 의류에 대한 캐어 기능은 의류 건조를 위한 공기 가열, 공기 제습 및 가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캐어 기능은 통상의 의류관리기(10)에서 수행되는 캐어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의류수납챔버(100)에는 수납공간(S) 내의 공기를 공급통로(600)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부(110)가 제공될 수 있다. 흡입부(110)는 후술할 중앙팬(810) 및 상부팬(8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부(110)는 이물질이 공급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는 흡입부(110)를 통해 유동함으로써 공급통로(600)와 수납공간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도어(20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에 개폐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0)가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는 수납공간(S)에 의류를 보관하거나 행거(30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0)가 폐쇄됨에 따라 캐어 기능을 통해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행거(300)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하여 의류수납챔버(100)의 수납공간(S)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행거(30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행거(300)는 의류가 거치 가능한 옷걸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행거(300) 내부에는 후술할 행거 토출통로(4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행거(300)는 행거바디(310) 및 행거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바디(31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바디(31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전후 방향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행거연결부(320)는 행거바디(310)의 상부를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에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는 공기를 수납공간(S)에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는 개폐모듈(5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 제1 상측 토출통로(421), 제2 상측 토출통로(422), 하측 토출통로(440) 및 행거 토출통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예를 들어, 일측은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사이드 토출구(411h)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는 제1 사이드 토출구(411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는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의 반대측 단부에서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와 합지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와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가 합지되는 부분은 제1 합지부(P1)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후술할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를 통해 이동되어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에서 수납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구(411h)는 제2 사이드 토출구(412h) 및 제4 사이드 토출구(414h)보다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사이드 토출구(413h)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사이드 토출구(412h)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는 제2 사이드 토출구(412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는 제1 합지점(P1)에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를 통해 이동되어 제2 사이드 토출구(412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토출구(412h)는 제1 사이드 토출구(411h) 및 제3 사이드 토출구(413h)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4 사이드 토출구(414h)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예를 들어, 일측은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3 사이드 토출구(413h)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는 제3 사이드 토출구(413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타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는 제3 사이드 토출구(413h)의 반대측 단부에서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와 합지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가 합지되는 부분을 제2 합지부(P2)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합지부(P1)과 제2 합지부(P2)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후술할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를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를 통해 이동되어 제3 사이드 토출구(413h)에서 수납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토출구(413h)는 제2 사이드 토출구(412h) 및 제4 사이드 토출구(414h)보다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타측면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4 사이드 토출구(414h)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사이드 토출구(414h),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제3 사이드 토출구(413h),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과 같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제4 사이드 토출구(414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타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와 제2 합지부(P2)에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를 통해 유동되어 제4 사이드 토출구(414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구(411h), 제2 사이드 토출구(412h)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일측면에서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와 제3 사이드 토출구(413h)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은, 행거(300)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사이드 토출구(413h), 제4 사이드 토출구(414h)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타측면에서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토출구(412h)와 제4 사이드 토출구(414h)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은, 행거(300)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측 토출통로(421)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에서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상측 토출구(421h)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상측 토출통로(421)는 제1 상측 토출구(421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상부팬(8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측 토출통로(421)는 후술할 행거 토출통로(43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는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해 제1 상측 토출구(421h) 및 행거 토출통로(430)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되어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상측 토출통로(422)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상측 토출구(422h)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상측 토출통로(422)는 제2 상측 토출구(422h)로부터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팬(8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측 토출통로(422)는 행거 토출통로(43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의 공기는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해 제2 상측 토출구(422h) 및 행거 토출통로(430)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유동되어 수납공간(S)에 토출될 수 있다.
행거 토출통로(430)는 행거(300)에 구비되고, 행거(300)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행거 토출구(432h, 433h)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행거 토출통로(430)는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행거 토출통로(430)은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2)에서 이동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안내하여 적어도 하나의 행거 토출구(432h, 433h)에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행거 토출통로(430)는 연결부 토출통로(431), 제1 행거 분기통로(432) 및 제2 행거 분기통로(4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토출통로(431)는 행거연결부(32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 토출통로(431)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부에서 제1 상측 토출통로(421)에 연통되도록, 정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상측 토출통로(422)에 연통되도록, 정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토출통로(431)의 하부는 제1 행거 분기통로(432)와 제2 행거 분기통로(433)에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 토출통로(431)는 제1 상측 토출통로(421)와 제2 상측 토출통로(422)에서 전달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행거 분기통로(432) 및 제2 행거 분기통로(433)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행거 분기통로(432)는 행거바디(3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 토출통로(431)와 연통되고, 행거바디(310)에 형성된 제1 행거 토출구(432h)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행거 토출구(432h)는 행거바디(31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행거 분기통로(432)는 제1 행거 토출구(432h)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결부 토출통로(431)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행거 분기통로(433)는 행거바디(3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 토출통로(431)와 연통되고, 행거바디(310)에 형성된 제2 행거 토출구(433h)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행거 토출구(433h)는 행거바디(310)의 하면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행거 분기통로(433)는 제1 행거 토출구(432h)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결부 토출통로(431)에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행거 분기통로(432)와 제2 행거 분기통로(433) 각각은 연결부 토출통로(431)에서 전달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제1 행거 토출구(432h) 및 제2 행거 토출구(433h)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하측 토출통로(44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하면에서 수납공간(S)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하측 토출구(440h)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측 토출통로(440)는 하측 토출구(440h)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하부팬(8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하측 토출구(440h)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도 6, 도 9 및 도 12를 참고하면, 개폐모듈(500)은 제어부(900)에 의하여 제어됨에 따라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모듈(500)은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및 제2 상측 개폐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모듈(500)은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 중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여 공기가 개방된 토출통로(400)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개폐모듈(500)은 회전함에 따라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 중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여 공기가 폐쇄된 토출통로(400)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고하면,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는 제1 합지부(P1) 부근에 배치되어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의 회전에 따라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고하면,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는 제1 합지부(P1)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면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를 개방하고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를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가 제1 합지부(P1)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된 것을 제1 하측 회전 위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의 하측 회전에 의해,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를 통해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8을 더 참고하면,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는 상측으로 회전되면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를 폐쇄하고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가 제1 합지부(P1)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된 것을 제1 상측 회전 위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의 상측 회전에 의해,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를 통해 제2 사이드 토출구(412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가 제1 상측 위치와 제1 하측 위치의 사이에 놓이도록 회전될 경우,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가 모두 개방되면,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1 및 제2 사이드 토출구(411h, 412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는 제2 합지부(P2) 부근에 배치되어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의 회전에 따라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고하면,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는 제2 합지부(P2)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면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를 개방하고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를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가 제2 합지부(P2)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된 것을 제2 하측 회전 위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의 하측 회전에 의해,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를 통해 제3 사이드 토출구(413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1을 더 참고하면,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는 상측으로 회전되면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를 폐쇄하고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가 제2 합지부(P2)의 전방측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된 것을 제2 상측 회전 위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의 상측 회전에 의해,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를 통해 제4 사이드 토출구(414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가 제2 상측 회전 위치와 제2 하측 회전 위치의 사이에 놓이도록 회전될 경우,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는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가 모두 개방되면,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 내의 공기는 제3 및 제4 사이드 토출구(413h, 414h)에서 수납공간(S)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회전되어 제1 상측 토출통로(421)를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제1 상측 토출구(421h)와 상부팬(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측 개폐부재(521)의 회전에 의해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내의 공기는 제1 상측 토출구(421h) 및 행거 토출통로(430)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토출통로(421)와 행거 토출통로(430)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측 개폐부재(521)의 일측 회전은 제1 상측 개폐부재(521)를 상측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측 개폐부재(521)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는 제1 상측 토출구(421h) 및 행거 토출통로(430)를 통해 양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3를 참고하면,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토출통로(421)를 폐쇄하고 행거 토출통로(430)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측 개폐부재(521)의 타측 회전은 일측 회전의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측 개폐부재(521)가 타측으로 회전되면,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는 행거 토출통로(430)로 유동되고, 제1 상측 토출구(421h)로의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상측 개폐부재(521)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해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행거 토출통로(430)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회전되어 제2 상측 토출통로(422)를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제2 상측 토출구(422h)와 상부팬(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측 개폐부재(522)내의 공기는 제2 상측 토출구(422h) 및 행거 토출통로(430) 중 적어도 하나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2를 다시 참고하면,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되면 제2 상측 토출통로(422)를 폐쇄하고, 행거 토출통로(430)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측 개폐부재(522)의 일측 회전은 제2 상측 개폐부재(522)를 상측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측 개폐부재(522)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의 공기는 행거 토출통로(430)로 유동되고, 제2 상측 토출구(422h)로의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참고하면,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및 행거 토출통로(430)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타측 회전은 시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측 개폐부재(522)가 타측으로 회전되면,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의 공기는 제2 상측 토출구(422h) 및 행거 토출통로(430)를 향해 양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상측 개폐부재(522)의 회전에 상관없이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해 행거 토출통로(430)로 유동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공급통로(600)는 흡입부(110)를 통과한 공기를 중앙팬(810) 및 상부팬(830)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통로(600)는 흡입부(110)와 연결되도록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팬(810)과 상부팬(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통로(60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 중 일부는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해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 사이드 연결통로(710, 72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는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해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어 제1 및 제2 상부 토출통로(421, 422)로 유동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9를 다시 참고하면, 복수의 사이드 연결통로(700)는 공기를 복수 개의 사이드 토출통로(411, 412, 413, 414)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사이드 연결통로(700)는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및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는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는 제1 합지부(P1)에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와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에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과 일측면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의 일측은 중앙팬(8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합지부(P1)에서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와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는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에 제2 합지부(P2)에서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사이드 공급통로(72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과 타측면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공급통로(720)의 일측은 중앙팬(8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합지부(P2)에서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에 연통될 수 있다.
송풍모듈(800)은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 공급통로(600) 및 복수 개의 사이드 연결통로(700)에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송풍모듈(800)은 제어부에 제어될 수 있으며, 중앙팬(810), 하부팬(820) 및 상부팬(8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해보면, 중앙팬(810)은 제어부(900)에 제어되어 제1 및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와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 내의 공기가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구(414h)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팬(810)은 의류수납챔버(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흡입부(110)를 통과하여 공급통로(600)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및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1 사이드 연결통로(710) 내의 공기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로 유동되어 제1 사이드 토출구(411h) 및 제2 사이드 토출구(412h)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송풍력에 의하여 제2 사이드 연결통로(720) 내의 공기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로 유동되어 제3 사이드 토출구(413h) 및 제4 사이드 토출구(414h)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토출될 수 있다.
하부팬(820)은 의류수납챔버(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팬(820)은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되어 하측 토출통로(440) 내 공기가 하측 토출구(440h)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팬(820)에 의하여 하측 토출통로(440) 내의 공기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어 하측 토출구(440h)에서 토출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부팬(830)은 의류수납챔버(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팬(830)은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 공기가 제1 상측 토출구(421h), 제2 상측 토출구(422h), 제1 행거 토출구(432h) 및 제2 행거 토출구(433h)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하여 공급통로(600) 내의 공기 중 일부는 상측 방향으로 안내되고,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2)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내의 공기는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1 상측 토출구(421h)에서 토출되거나, 연결부 토출통로(431) 및 행거 분기통로(432, 433)를 통해 제1 바디 토출구(432h) 및 제2 바디 토출구(433h)에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2 상측 토출통로(422) 내의 공기는 제2 상측 토출구(422h)에서 토출되거나, 연결부 토출통로(431) 및 복수의 행거 분기통로(432, 433)를 통해 제1 바디 토출구(432h) 및 제2 바디 토출구(433h)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미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토출통로(40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에 의하여 개폐모듈(500)이 제어됨에 따라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및 제2 상측 개폐부재(522)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를 기초하여 중앙팬(810), 하부팬(820) 및 상부팬(83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동모드는 복수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유동모드는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 종류에 따라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의류관리기(10)를 조작하고, 제어부(9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 중 하나를 기초로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에서 캐어되기 최적화된 의류의 종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동모드는 셔츠 종류의 의류의 캐어에 최적화되고, 제2 유동모드는 양복 상의 종류의 의류의 캐어에 최적화되며, 제3 유동모드는 바지 종류의 의류의 캐어에 최적화되고, 제4 유동모드는 패딩 종류의 의류의 캐어에 최적화될 수 있다.
이하 제1 유동모드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어부(900)는 제1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 하부팬(820) 및 상부팬(83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0)는 제1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을 구동하고, 상부팬(830) 및 하부팬(820)을 구동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900)는 제1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의 rpm을 제3 유동모드일 때보다 높게 설정하고, 제2 유동모드와 제4 유동모드일 때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1 유동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1, 412, 413, 414)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윙상태에서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의해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를 하측으로 회전되고,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를 사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가 개방되고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및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1 사이드 토출구(411h)와 제4 사이드 토출구(414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제2 스윙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의해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는 상측으로 회전되고,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는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 및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가 개방되고,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중앙팬(81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2 사이드 토출구(412h) 및 제3 사이드 토출구(413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제1 유동모드에서 제1 및 제2 스윙상태의 교번 주기는 제2 유동모드 및 제4 유동모드일 때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모드에서 상부팬(830)이 구동된다면, 제어부(900)는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1, 422) 및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 중 하나 이상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900)는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1, 422)가 제3 스윙상태와 제4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고,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가 개방되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스윙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의해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및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제1 상측 토출통로(421)는 개방되고 제2 상측 토출통로(422)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1 상측 토출구(421h) 및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제4 스윙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의해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및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타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제2 상측 토출통로(422)는 개방되고 제1 상측 토출통로(421)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팬(830)의 송풍력에 의하여 제2 상측 토출구(422h) 및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900)는 제1 유동모드에서 상부팬(830)이 구동될 때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1, 422)가 폐쇄되고,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가 개방되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타측으로 회전되고,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상측 개폐부재(521) 및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제1 상측 토출통로(421)와 제2 상측 토출통로(422)를 폐쇄하고,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유동모드에서 하부팬(820)이 구동되면 하부팬(820)은 제어부(900)에 의하여 rpm이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동모드에서 하부팬(820)의 rpm은 제2 내지 제4 유동모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팬(820)의 송풍력에 의하여 하측 토출구(440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제2 유동모드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어부(900)는 제2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 하부팬(820) 및 상부팬(830)을 모두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중앙팬(810)의 rpm을 제1, 제3, 유동모드일 때 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4 유동모드일 때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하부팬(820)의 rpm을 제1 유동모드일 때보다 높게 형성하고, 제3 유동모드일 때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2 유동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1, 12, 413, 414)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상기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 주기는 제1 유동모드 일 때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제1 상측 토출통로(42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2)가 제3 스윙상태와 제4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개방되도록 개폐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동모드에서는 하측 토출구(440h)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구(411h, 412h, 413h, 414h)에서 제1 스윙상태 및 제2 스윙상태 교번 주기에 따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모드에서는 제1 상측 토출구(421h) 및 제2 상측 토출구(422h)에서 제3 스윙상태 및 제4 스윙상태 교번 주기에 따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제3 유동모드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어부(900)는 제3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 및 하부팬(820)을 구동할 수 있다. 제3 유동모드에서 중앙팬(810)의 rpm은 제1 유동모드, 제2 유동모드 및 제4 유동모드일 때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팬(820)의 rpm은 제1 유동모드, 제2 유동모드 및 제4 유동모드일 때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유동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제1 사이드 개폐부재(511)를 타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 사이드 개폐부재(512)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2 사이드 토출통로(412) 및 제4 사이드 토출통로(414)를 개방하고, 제1 사이드 토출통로(411) 및 제3 사이드 토출통로(413)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3 유동모드에서는 제2 및 제4 사이드 토출구(412h, 414h), 하측 토출구(440h)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제4 유동모드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어부(900)는 제4 유동모드에서 제2 유동모드와 동일하게 개폐모듈, 하부팬 및 상부팬을 동일하게 구동하되, 중앙팬의 rpm을 제2 유동모드일 때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유동모드에서 중앙팬의 rpm은 제1 내지 제3 유동모드일 때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5 유동모드에서 하측 토출구(440h)에서 지속적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구(411h, 412h, 413h, 414h)에서는 제1 및 제2 스윙상태 교번 주기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고, 제1 및 제2 상측 토출구(421h, 422h)에서는 제3 및 제4 스윙상태 교번 주기에 따라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가 개방될 때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1, 422)가 제3 스윙상태 및 제4 스윙상태에 교번하여 놓이는 것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유동모드 내지 제4 유동모드 중 하나 이상에서는 제1 및 제2 상측 토출통로(421, 422)가 제3 스윙상태 및 제4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개방되면서도, 제1 및 제2 행거 토출구(432h, 433h)가 개방되도록 개폐모듈(500)이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의해 제1 상측 개폐부재(521)는 일측으로 회전되고 제2 상측 개폐부재(522)는 타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의류관리기(10)의 상태 및 수납공간 내에 구비된 의류의 관리 상태에 대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도어(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는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에 따라 제1 내지 제4 유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수납공간 내에 구비된 의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의류관리기 100: 의류수납챔버
110: 흡입부 200: 도어
300: 행거 310: 행거바디
320: 행거연결부 400: 토출통로
411: 제1 사이드 토출통로 411h: 제1 사이드 토출구
412: 제2 사이드 토출통로 412h: 제2 사이드 토출구
413: 제3 사이드 토출통로 413h: 제3 사이드 토출구
414: 제4 사이드 토출통로 414h: 제4 사이드 토출구
421: 제1 상측 토출통로 421h: 제1 상측 토출구
422: 제2 상측 토출통로 422h: 제2 상측 토출구
430: 행거 토출통로 431: 연결부 토출통로
432: 제1 행거 분기통로 433: 제2 행거 분기통로
432h: 제1 행거 토출구 433h: 제2 행거 토출구
440: 하측 토출통로 440h: 하측 토출구
500: 개폐모듈 511: 제1 사이드 개폐부재
512: 제2 사이드 개폐부재 521: 제1 상측 개폐부재
522: 제2 상측 개폐부재 600: 공급통로
700: 사이드 연결통로 710: 제1 사이드 연결통로
720: 제2 사이드 연결통로 800: 송풍모듈
810: 중앙팬 820: 하부팬
830: 상부팬 900: 제어부

Claims (12)

  1.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납챔버;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에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토출통로;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모듈; 및
    미리 입력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사이드 토출통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3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3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4 사이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구는, 상기 제2 사이드 토출구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구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의류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1 유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윙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제2 스윙상태에서는,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되는,
    의류관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2 유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 상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 상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 상측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와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가 교번하여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상기 제1 스윙상태와 상기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하여 놓이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윙상태와 상기 제2 스윙상태 사이의 교번 주기는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1 유동모드일 때에 더 짧은,
    의류관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하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측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팬은 상기 하측 토출통로 내 공기가 상기 하측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에서 상기 하부팬이 동작하도록 상기 하부팬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에 구비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에 구비되는 행거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제1 스윙상태와 제2 스윙상태로 교번할 때 상기 행거 토출통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통로 내의 공기가 상기 제1 내지 제4 사이드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는 중앙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에 상기 중앙팬의 rpm이 더 높도록 상기 중앙팬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제3 유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유동모드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 및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하면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하측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측 토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팬은 상기 하측 토출통로 내 공기가 상기 하측 토출구로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동모드일 때보다 상기 제3 유동모드일 때에 상기 하부팬의 rpm이 더 높도록 상기 하부팬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모듈은,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1 사이드 개폐부재; 및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3 사이드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4 사이드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사이드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이드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사이드 개폐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수납챔버 내에 구비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에 구비되는 행거 토출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는 상기 행거 토출통로와 연통하는,
    의류관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모듈은,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1 상측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1 상측 개폐부재; 및
    일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 및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며, 타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상측 토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행거 토출통로를 개방하는 제2 상측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KR1020200116326A 2020-09-10 2020-09-10 의류관리기 KR20220033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26A KR20220033900A (ko) 2020-09-10 2020-09-10 의류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26A KR20220033900A (ko) 2020-09-10 2020-09-10 의류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00A true KR20220033900A (ko) 2022-03-17

Family

ID=8093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326A KR20220033900A (ko) 2020-09-10 2020-09-10 의류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90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01A (ko)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KR20120074557A (ko)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06337A (ko) 2017-07-10 2019-01-18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01A (ko)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KR20120074557A (ko)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06337A (ko) 2017-07-10 2019-01-18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717B1 (ko) 의류 관리기
EP2039819B1 (en) Washer-drier machine
US20160175471A1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CN112368440B (zh)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US11111623B2 (en) Drying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48088B1 (ko) 의류건조장치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US10214842B2 (en) Washing machine
EP2057314A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3894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inage connector
KR2022016111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1343A (ko) 의류 관리기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098696B1 (ja)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KR20220033900A (ko) 의류관리기
EP409530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74207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5404635A (zh) 衣物处理装置
JP6239940B2 (ja) 洗濯機
KR102469104B1 (ko) 건조기
KR20190035394A (ko) 복수의 외기 유입부를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30006967A (ko) 의류 관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