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192A -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192A
KR20220033192A KR1020200115279A KR20200115279A KR20220033192A KR 20220033192 A KR20220033192 A KR 20220033192A KR 1020200115279 A KR1020200115279 A KR 1020200115279A KR 20200115279 A KR20200115279 A KR 20200115279A KR 20220033192 A KR20220033192 A KR 2022003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astening part
detachable
general
distance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202B1 (ko
Inventor
손희원
Original Assignee
(주)세진콘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콘트롤 filed Critical (주)세진콘트롤
Priority to KR102020011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2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operating with electr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일측에 제1 체결부가 구비된 센서본체; 내부에 검출코어가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체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되는 착탈형 감지체; 상기 센서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범용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의 장비에 설치 및 재설치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고 또한 적은 구성 부품으로 다양한 설치 조건들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IN CLOSE RANGE}
본 발명은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일명, 근접센서라고 함)는 물체가 접근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물체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근접센서는 감지방식에 따라 크게 전자유도를 이용하는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형 근접센서, 물체와 근접센서 간의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등의 3종류로 분류된다.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는 LC 발진회로가 구비되어 LC 발진회로에서 고주파자계를 발생시켜 금속물체가 접근하게 되면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금속물체에 유도자계가 흐르면서 고주파자계에 변화(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출력회로를 통해 물체를 감지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90776호(2011.08.10.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7481호(2017.11.15. 공고일)(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에는 각각 근접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근접센서는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에 설치되어 부품이나 제품 등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산업전반에 걸친 사용되는 근접센서는 사용 조건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즉, 근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와 물체를 감지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를 갖는 근접센서들이 존재하고, 감도를 좌우하는 근접센서의 외경에 따라 다양한 외경을 갖는 근접센서들이 존재하고, 근접센서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적용되는 실드형과 비실드형 근접센서가 존재하고, 근접센서의 출력에 따라 NPN, PNP, Normal Open(NO), Normal Close(NC), 직류 2선식, 직류 3선식 근접센서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의 설치 조건들의 조합에 해당되는 근접 센서들이 존재하여 그 종류가 백여가지가 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장 실무자들은 기계를 시운전하면서 발생하는 현장 여건의 변화에 따라 당초 설계와 다른 근접센서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그 현장 상황에 맞는 근접센서를 구입하기가 매우 어렵고 시일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근접센서를 제작하는 회사는 다양한 종류의 근접센서들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아울러 근접센서들을 판매하는 업체도 많은 종류의 근접센서들을 보유해야 하므로 유지 비용 부담이 크게 될 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근접센서들을 유지 판매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의 장비에 설치 및 재설치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구성 부품으로 다양한 설치 조건들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일측에 제1 체결부가 구비된 센서본체; 내부에 검출코어가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체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되는 착탈형 감지체; 상기 센서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범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본체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본체몸통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범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수나사산들에 체결되는 한쌍의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본체몸통부의 일측에 연장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된 연결너트와,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본체의 일측에 저항값을 조절하여 감지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정볼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본체의 일측에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선택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본체의 일측에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형 감지체는 상기 검출코어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된 감지몸통부와, 상기 감지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감지몸통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홀이 구비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수용돌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과, 상기 수용돌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코어와 수용돌기의 삽입홀 바닥면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형 감지체의 감지몸통부의 타측에 착탈형 실드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용 케이블은 네 개의 일출선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본체와 착탈형 감지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장용형 연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용형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몸통부와, 상기 연결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서본체의 제1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형 체결부와, 상기 연결몸통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탈형 감지체의 제2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체결부와, 상기 연결몸통부, 암형 체결부, 수형 체결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센서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착탈형 감지체의 검출코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형 체결부는 상기 연결몸통부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홀이 구비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수용돌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형 체결부는 상기 연결몸통부에 연장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된 연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센서본체와, 그 센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고주파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검출코어가 구비된 착탈형 감지체를 포함하게 되므로 감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착탈형 감지체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센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 다양한 장비에 설치하는 작업 및 교체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센서본체와, 그 센서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용형 연결부재와, 그 장용형 연결부재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고주파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검출코어가 구비된 착탈형 감지체를 포함하게 될 경우, 감지거리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장용형 연결부재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센서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감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착탈형 감지체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장용형 연결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의 다양한 장비에 설치하는 작업 및 교체하는 작업이 빠르고 쉽게 된다. 아울러, 적은 구성 부품으로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센서)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제작 회사나 부품 판매 업체는 적은 수의 부품을 가공하거나 보유하게 되어 생산성을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판매 취급이 수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컨베이어시스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일실시예는, 센서본체(100), 착탈형 감지체(200), 범용 케이블(400)을 포함한다.
센서본체(100)는 내부에 고주파 발진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10)이 장착되며, 일측에 제1 체결부(120)가 구비된다. 센서본체(100)의 일예로, 센서본체(1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이 장착되는 본체몸통부(130)와, 그 본체몸통부(130)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체결부(120)와, 본체몸통부(130)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범용 케이블(400)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몸통부(130)의 수나사산들(131)에 한쌍의 너트들(150)이 체결되고 그 한쌍의 너트들(10) 사이에 풀림방지와셔(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110)는 캐패시터, 고주파발진회로(회로일부) 등을 포함한다. 제1 체결부(120)의 일예로, 제1 체결부(120)는 본체몸통부(130)의 일측에 연장 돌출되는 삽입돌기(121)와, 그 삽입돌기(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된 연결너트(122)와, 삽입돌기(121)에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110)과 연결되는 리드선(123)을 포함한다. 연결너트(122)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미세돌기들이 형성되도록 거친면 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형 감지체(200)는 내부에 검출코어(210)가 구비되며, 일측에 제1 체결부(12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220)가 구비된다. 착탈형 감지체(200)의 일예로, 착탈형 감지체(200)는 검출코어(210)가 내부에 구비된 감지몸통부(230)와, 그 감지몸통부(230)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검출부(232)와, 감지몸통부(23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 체결부(220)를 포함한다. 검출코어(210)는 보빈(211)과, 그 보빈(211)의 외주면에 권선된 권선코일(212)을 포함한다. 권선코일(212)의 권선수가 많을수록 감도가 좋아지게 되나 검출코어(210)의 외경이 커지게 되고, 권선코일(212)의 권선수가 적을수록 감도는 낮아지게 되나 외경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몸통부(230)의 외경은 검출코어(210)의 외경에 따라 결정된다. 검출부(232)는 권선코일(212)과 연결된다. 검출부가 감지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비실드 형태가 된다. 제2 체결부(220)의 일예로, 제2 체결부(220)는 감지몸통부(23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홀(2)이 구비되는 수용돌기(221)와, 그 수용돌기(22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223)과, 수용돌기(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검출코어(210)와 수용돌기(221)의 삽입홀 바닥면과 연결되는 리드선(223)을 포함한다. 즉 제2 체결부는 검출면의 반대편쪽에 위치한다. 착탈형 감지체(200)는 외경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착탈형 감지체(200)를 센서본체(100)에 체결시, 착탈형 감지체(200)의 제2 체결부(220)를 센서본체(100)의 제1 체결부(120)에 체결한다. 이때, 착탈형 감지체(200)의 제2 체결부(220)의 수용돌기 삽입홀에 제1 체결부(120)의 삽입돌기(121)가 삽입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너트(122)를 회전시켜 수용돌기(221)의 수나사산들(222)에 체결한다. 착탈형 감지체(200)가 센서본체(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착탈형 감지체(200)의 리드선(223)과 센서본체(100)의 리드선(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착탈형 감지체(200)의 검출코어(210)과 센서본체(100)의 인쇄회로기판(110)이 연결된다.
착탈형 감지체(200)에 착탈형 실드캡(2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형 실드캡(240)은 착탈형 감지체(200)의 검출부(232)가 내부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이때 검출부(232)의 측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착탈형 실드캡(240)의 일예로, 착탈형 실드캡(240)은 검출부(23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검출부(232)의 외경과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한쪽에 착탈형 감지체(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부가 구비된다. 착탈형 실드캡(240)은 검출부(23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착탈결합부가 감지몸통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결합부는 암나사산들이고 감지몸통부(23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어 서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형 실드캡(240)은 검출부(232)의 측면만 노출시키고 외주면은 막아 주변 금속장치의 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시킨다.
착탈형 감지체(200)에 착탈형 실드캡(2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별도로 실드캡이 구비된 실드형 근접센서와 실드캡이 구비되지 않은 비실드형 근접센서로 나누는 것을 배제하여 종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센서본체(100)의 일측에 저항값을 조절하여 감지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정볼륨(1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거리조정볼륨(150)은 인쇄회로기판(110)에 연결된다. 또한, 센서본체(100)의 일측에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선택스위치(1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그 출력선택스위치(160)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연결된다. 센서본체(100)의 일측에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1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시등(170)은 인쇄회로기판(110)에 연결된다.
범용 케이블(400)은 센서본체(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센서본체(100)의 케이블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센서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10)에 연결된다. 범용 케이블(400)은 네가닥의 출력선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가닥의 출력선들은 전원선(+), 전원선(-), 제1 신호출력선(NO), 제2 신호출력선(NC)으로 구성된다. 2선식이 필요한 경우 전원선(+)와 전원선(-)을 사용하고, 3선식이 필요한 경우 전원선(+), 전원선(-), 그리고 제1 신호출력선(NO;Normal Open)나 제2 신호출력선(NC;Normal Close)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한편 제1,2 신호출력선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범용 케이블(400)은 2선식과 3선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2선식 케이블과 3선식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게 되어 케이블들의 종류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본체(100)와 착탈형 감지체(20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장용형 연결부재(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일예로, 장용형 연결부재(30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몸통부(310)와, 그 연결몸통부(310)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센서본체(100)의 제1 체결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형 체결부(320)와, 연결몸통부(31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착탈형 감지체(200)의 제2 체결부(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체결부(330)와, 연결몸통부(310), 암형 체결부(320), 수형 체결부(3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센서본체(100)의 인쇄회로기판(110)과 착탈형 감지체(200)의 검출코어(210)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40)를 포함한다. 연결몸통부(310)의 길이는 길게하거나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암형 체결부(320)는 연결몸통부(310)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홀(3)이 구비되는 수용돌기(321)와, 그 수용돌기(32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322)을 포함한다. 수용돌기(321)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수용돌기(321)의 삽입홀(3)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형 체결부(330)는 연결몸통부(310)에 연장 돌출되는 삽입돌기(331)와, 그 삽입돌기(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된 연결너트(332)를 포함한다. 삽입돌기(33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용형 연결부재(300)는 센서본체(100)와 착탈형 감지체(200) 사이에 체결시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암형 체결부(320)를 센서본체(100)의 제1 체결부(120)에 체결시킨다. 이때,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암형 체결부(320)의 삽입홀(3)에 센서본체(100)의 제1 체결부(120)의 삽입돌기(121)가 삽입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체결부(120)의 연결너트(122)를 회전시켜 암형 체결부(320)의 수용돌기 수나사산들(322)에 체결시킨다.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암형 체결부(320)와 센서본체(100)의 제1 체결부(1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연결와이어(340)와 센서본체(100)의 리드선(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장용형 연결부재(300)를 센서본체(1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수형 체결부(330)에 착탈형 감지체(200)의 제2 체결부(220)를 체결시킨다. 이때, 착탈형 감지체(200)의 제2 체결부(220)의 수용돌기 삽입홀(2)에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수형 체결부(330)의 삽입돌기(331)가 삽입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수형 체결부(330)의 체결너트(332)를 회전시켜 제2 체결부(220)의 수용돌기 수나사산들(222)에 체결시킨다. 착탈형 감지체(200)가 장용형 연결부재(3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착탈형 감지체(200)의 리드선(223)과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연결와이어(340)가 연결되어 착탈형 감지체(200)의 검출코어(210)와 센서본체(100)의 인쇄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이 센서본체(100), 장용형 연결부재(300), 착탈형 감지체(200)를 포함하게 될 경우, 구현할 수 있는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센서)는 종래의 근접센서들보다 적은 구성부품으로 많은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본체(100)의 종류가 한 개이고 장용형 연결부재(300)가 길이에 따라 세 개 종류이고 착탈형 감지체(200)가 외경 크기에 따라 세 개 종류일 경우 7개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 근거리 물체감지장치는 9가지 형태이고, 착탈형 실드캡(240)이 착탈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구현될 수 있는 근거리 물체감지장치는 18가지 형태이고, 센서본체(100)에 연결되는 네가닥 출력선이 구비된 케이블(400)을 고려하면 36가지 형태가 된다. 한편, 장용형 연결부재(300)가 길이에 따라 네 개 종류이고 착탈형 감지체(200)가 외경 크기에 따라 네 개 종류로 할 경우 부품은 두 개가 증가하게 되나 구현될 수 있는 형태가 배가 된다. 반면, 종래에는 64가지 형태를 구현할 경우 64종류의 근접센서들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적용에서는 복잡성을 고려하여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종류가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는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 다양한 장비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일예로, 컨베이어시스템에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가 컨베이어시스템에 장착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시스템의 컨베이어벨트 프레임(510)에 센서장착부재(520)가 설치되고 컨베이어벨트(530)를 따라 이동하는 제품(또는 부품)을 감지하도록 센서장착부재(520)에 본 발명에 따른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가 장착된다. 이때,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의 센서본체(100)가 센서장착부재(520)에 관통된 상태에서 센서본체(100)의 너트들(10)에 의해 고정되며, 착탈형 감지체(200)는 컨베이어벨트(530) 쪽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컨베이어시스템이 작동하여 컨베이어벨트(530)가 무한궤도 움직임을 하게 되면 컨베이어벨트(530)에 일렬로 놓여지는 제품(또는 부품)(540)들이 컨베이어벨트(53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는 착탈형 감지체(200)의 검출코어(210)에서 고주파자계를 발생시킨다. 컨베이어벨트(530)와 함께 이동하는 제품(540)이 컨베이어벨트(530)의 옆에 장착된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의 옆을 지나가게 되면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의 착탈형 감지체(200)에서 발생시킨 고주파자계가 변하게 되며 고주파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센서본체(20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10)의 출력회로를 통해 물체(540)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되면서 컨베이어벨트(530)를 따라 이송되는 제품(540)의 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제품(540)이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를 통과한 시간을 체크할 수도 있다.
한편, 컨베이어벨트(530)로 이송되는 제품의 종류가 변경되어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의 감도를 높이게 될 경우 센서본체(100)에 체결된 착탈형 감지체(200)를 센서본체(100)로부터 분리하고 외경이 큰 착탈형 감지체를 센서본체(100)에 체결하게 된다. 한편, 제품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변경되어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S)가 감지해야할 거리가 멀어진 경우 센서본체(100)에 체결된 착탈형 감지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용형 연결부재(300)를 센서본체(100)에 체결하고 그 장용형 연결부재(300)에 착탈형 감지체(200)를 체결하여 착탈형 감지체(200)를 제품과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착탈형 감지체(200)에 착탈형 실드캡(240)이 필요한 경우 착탈형 감지체(200)의 감지몸통부(230)의 일측에 착탈형 실드캡(240)을 결합시킨다. 또한, 범용 케이블(400)은 네가닥의 출력선들으로 구성되어 컨베이어시스템에 맞게 네가닥의 출력선들 중 선택적으로 2선식 또는 3선식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이 구비된 센서본체(100)와, 그 센서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과 함께 고주파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검출코어(210)가 구비된 착탈형 감지체(200)를 포함하게 되므로 감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착탈형 감지체(200)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센서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 다양한 장비에 설치하는 작업 및 교체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이 구비된 센서본체(100)와, 그 센서본체(1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용형 연결부재(300)와, 그 장용형 연결부재(3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과 함께 고주파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검출코어(210)가 구비된 착탈형 감지체(200)를 포함하게 될 경우, 감지거리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장용형 연결부재(300)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센서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감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착탈형 감지체(200)들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장용형 연결부재(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생산설비, 포장설비, 부품제조라인 등 다양한 장비에 설치하는 작업 및 교체하는 작업이 빠르고 쉽게 된다. 아울러, 적은 구성 부품으로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물체감지센서(장치)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제작 회사나 부품 판매 업체는 적은 수의 부품을 가공하거나 보유하게 되어 생산성을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판매 취급이 수월하게 된다.
100; 센서본체 200; 착탈형 감지체
300; 장용형 연결부재 400; 범용 케이블

Claims (7)

  1.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일측에 제1 체결부가 구비된 센서본체;
    내부에 검출코어가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체결부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되는 착탈형 감지체;
    상기 센서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범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본체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들이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본체몸통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범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부와, 상기 본체몸통부의 수나사산들에 체결되는 한쌍의 너트들을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본체몸통부의 일측에 연장 돌출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들이 구비된 연결너트와,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감지체는 상기 검출코어가 내부에 구비된 감지몸통부와, 상기 감지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검출부와, 상기 감지몸통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감지몸통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홀이 구비되는 수용돌기와, 상기 수용돌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산들과, 상기 수용돌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코어와 수용돌기의 삽입홀 바닥면과 연결되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본체와 착탈형 감지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장용형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형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몸통부와, 상기 연결몸통부의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서본체의 제1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형 체결부와, 상기 연결몸통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탈형 감지체의 제2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체결부와, 상기 연결몸통부, 암형 체결부, 수형 체결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센서본체의 인쇄회로기판과 착탈형 감지체의 검출코어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KR1020200115279A 2020-09-09 2020-09-09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KR10239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79A KR102398202B1 (ko) 2020-09-09 2020-09-09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279A KR102398202B1 (ko) 2020-09-09 2020-09-09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192A true KR20220033192A (ko) 2022-03-16
KR102398202B1 KR102398202B1 (ko) 2022-05-17

Family

ID=8093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279A KR102398202B1 (ko) 2020-09-09 2020-09-09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2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999Y1 (ko) * 2001-08-31 2002-01-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분리형 방사선 피폭 선량률 측정기
JP2004153018A (ja) * 2002-10-30 2004-05-27 Omron Corp 近接センサの封止方法
JP2006236948A (ja) * 2005-02-28 2006-09-07 Omron Corp 近接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2633A (ja) * 2001-03-15 2007-09-20 Omron Corp 近接センサ
KR101797481B1 (ko) * 2016-06-22 2017-11-15 주식회사 한영넉스 시인성이 향상된 근접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2633A (ja) * 2001-03-15 2007-09-20 Omron Corp 近接センサ
KR200262999Y1 (ko) * 2001-08-31 2002-01-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분리형 방사선 피폭 선량률 측정기
JP2004153018A (ja) * 2002-10-30 2004-05-27 Omron Corp 近接センサの封止方法
JP2006236948A (ja) * 2005-02-28 2006-09-07 Omron Corp 近接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97481B1 (ko) * 2016-06-22 2017-11-15 주식회사 한영넉스 시인성이 향상된 근접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202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241849A1 (zh) 铁磁性物体检测装置和检测油管接箍的方法
US11486773B2 (en) Non-contact magnetostrictive sensor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such sensors
JP6929964B2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における位置および/またはライン監視用のシステム
JP5174879B2 (ja) 導電物体の検出装置
EP0715008B1 (en) Solid-state sliver sensor
CN104407043B (zh) 基于电磁感应的钢帘线缺陷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EP3249363B1 (en) Inductive transducer shielding method
JP2021522459A (ja) 摩耗検出付き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CN107831547A (zh) 一种金属探测器以及金属探测器对其检测线圈进行补偿的方法
KR102398202B1 (ko) 범용 근거리 물체감지장치
JPH0518791A (ja) 非接触距離計測用センサ装置
CA2424472C (en) Transformer probe
US3381216A (en) Combination of a textile spinning frame or the like and a mechanism for determining the misalignment and to aid in the centering of a spindle therein
WO2013057246A1 (en) Self centering, split multicore current sensor
US4675603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CN210954212U (zh) 一种罗氏线圈测试装置
CN214887036U (zh) 铁磁性物体检测装置
CN202153472U (zh) 柔性电流变送器
US4050010A (en) Apparatus utilizing a test surface with a magnetic flux gap for detecting dimensional disconformities of manufactured elements
US5680201A (en) Apparatus for including tank circuit with shielded, single turn coil, detecting passage of end of workpiece
CN207216039U (zh) 一种金属探测器
US4035696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machine parts subject to wear
US3185923A (en) Magnetic inspection device having variable intensity audible alarm means responsive to spacing between device and test piece
CN215726346U (zh) 一种电涡流传感器探头及电涡流传感器
CN105251697A (zh) 键盘装配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