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59A - 통신 케이블 - Google Patents

통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59A
KR20220032859A KR1020200114695A KR20200114695A KR20220032859A KR 20220032859 A KR20220032859 A KR 20220032859A KR 1020200114695 A KR1020200114695 A KR 1020200114695A KR 20200114695 A KR20200114695 A KR 20200114695A KR 20220032859 A KR20220032859 A KR 2022003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uni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호
신상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859A/ko
Publication of KR2022003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및 일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8개의 페어유닛을 구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수를 줄이고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케이블{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및 일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8개의 페어유닛을 구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수를 줄이고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음성 전화와 인터넷 통신 모두를 인터넷망을 통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음성 전화의 경우에도 인터넷망에 연결된 곳이라면 음성 데이터를 위한 이더넷 케이블 형태의 통신 케이블과 전원선만 연결하면 인터넷 전화를 통한 음성 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이더넷 케이블인 UTP(Unshielded Twisted Pair) 통신 케이블은 도체를 절연체로 절연하여 구성되는 2개의 도선 구리선을 서로 다른 대연피치를 갖도록 꼬아 만든 4개의 페어유닛(pair unit)을 수지 재질의 케이블 자켓으로 감싸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영향 없는 인터넷 전화와 인터넷 통신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전화와 컴퓨터 등에 이더넷 통신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유선 인터넷 전화와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좌석별로 이더넷 케이블을 2씩 연결하여 하나는 인터넷 전화기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인터넷 전화와 컴퓨터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대형 사무실 같은 공간에서 전산실과 개별 사무공간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사무실과 전산실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개수가 증가되면 그 연결거리에 따라 비용도 증가하고, 유지보수도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4개 페어유닛의 이더넷 케이블 2개를 하나의 케이블 자켓 내부에 수용하여 단일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할 수 없고 특정 방향으로의 굽힘성이 나빠지고 밴딩 과정에서 특정 페어유닛에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인가되어 해당 케이블에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및 일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8개의 페어유닛을 구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수를 줄이고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도선이 서로 꼬여 구성되는 페어유닛 8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은 중심부에 1개의 중심 페어유닛 및 상기 중심 페어유닛 둘레에 7개의 위성 페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8개의 페어유닛에서 각 페어유닛의 복수 개의 도선들 간 대연피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 중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가 가장 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는 상기 위성 페어유닛의 대연피치 중 가장 짧은 대연피치의 1.5배 내지 1.9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는 상기 위성 페어유닛의 평균 대연피치의 1.2배 내지 1.7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 페어유닛은 유닛 세퍼레이터로 피복되고,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은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는 시스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층 내측에 구비된 충실형 베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는 시스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심 페어유닛 상에 충실 압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층 및 상기 베딩층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스테인레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컴파운드를 압출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외경이 6.5 내지 7.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또는 내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치패널; 및, 상기 패치패널과 전술한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수요기기가 접속 가능한 아웃렛;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상기 통신 케이블은 상기 아웃렛의 2개의 모듈러잭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모듈러잭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수요기기를 상기 패치패널을 매개로 상기 외부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패치패널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수요기기는 각각 통상적인 4페어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에 의하면, 8개의 페어유닛을 하나의 케이블화하여, 인터넷 전화, VoIP 등 음성 서비스와 인터넷 통신 등 데이터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개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에 의하면, 8개의 페어유닛을 하나의 케이블화 하면서도 통신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일반 통신 케이블과 동등 수준의 밴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에 의하면, 전산실과 사무공간 또는 생활공간의 아웃렛을 연결하는 통신용 케이블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케이블이 점유하는 포설 공간을 최소화하며, 포설 과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에 의하면, 8개의 페어유닛을 하나의 원형 케이블화 하면서 통신 케이블 전체 직경이 Cat. 6A 등급의 4-페어(4-pair) 통신 케이블의 외경 규격에 대응할 정도로 설계되어 통신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 통신용 패치코드가 적용된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통신 케이블은 벽면에 설치되는 아울렛(outlet)의 RJ45 규격의 모듈러잭에 접속되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은 4개의 페어유닛을 구비한다.
따라서, 인터넷 전화, VoIP 등 음성 서비스와 인터넷 통신 등 데이터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신 선로 상에 2개의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하나 본 발명은 통신 선로 상에서 하나의 케이블만 설치하여 인터넷 전화와 인터넷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통신 케이블(100)은 도체(11) 및 상기 도체(11)를 감싸는 절연층(13)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도선(10)이 서로 다른 대연피치로 서로 꼬여 형성된 8개의 페어유닛을 포함하는 코어(C) 및 상기 코어(C)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8개의 상기 페어유닛 중에서 4개의 페어유닛은 음성 신호 전송, 접지 및 그에 따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되고, 나머지 4개의 페어유닛은 데이터, 접지 또는 그에 따른 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은 '1+7' 구조로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C)의 중심에 배치되는 하나의 중심 페어유닛(30c) 및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 둘레에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을 배치하여, 8개의 페어유닛을 갖는 원형 통신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케이블(100) 내부에 상기 8개의 페어유닛을 원형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 각각과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과 상호 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페어유닛이 모두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경우 '1+6'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상호 외접의 조건이나, '1+7' 구조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페어유닛의 직경이 더 커야 케이블 원형 구성에 유리하다.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구성하는 상기 도체(11)의 직경 또는 상기 절연층(13)의 두께를 확대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구성하는 상기 도체(11) 및 상기 절연층(13)의 규격과 재질은 플러그 단자 접속 등을 고려하여 UTP 케이블 국제 기준(ANSI/TIA/EIA 568A)에서 제시하는 도체 및 절연층의 직경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하므로 상기 도체(11)의 직경 또는 상기 절연층(13)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더 나아가,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구성하는 상기 도체(11)의 직경 또는 상기 절연층(13)의 두께를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구성과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면, 상기 통신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110) 사이의 전기적 특성인 임피던스(Impedance) 값이 달라져, 각종 통신 특성을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둘레에 유닛 세퍼레이터(20)으로 감싸 피복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에 대한 '1+7' 구조를 완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감싸는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는 시스층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을 구성하는 시스층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lene-Diene Rubber; EPDM),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CR), 클로로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CPE), 스테인레스 스프링 스틸(Stainless Spring Steel; CSP) 재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컴파운드를 압출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닛 세퍼레이터(20)를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은 상기 코어(C) 내부에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으로 피복되어 직경이 확대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 둘레에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이 외접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케이블의 진원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응력 또는 하중이 케이블의 특정 부분으로 집중되지 않게 되어 단선이나 통신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은 전체 외경이 6.5 내지 7.5 밀리미터(mm)로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Cat. 6A 등급의 4-페어(pair) 통신 케이블의 외경 규격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종래 통신 케이블에 비하여 상기 코어(C) 내부에 더 많은 개수의 상기 페어유닛을 구비하여 동일 등급의 이더넷 케이블 수준의 데이터 전송능력을 확보하면서도 케이블 전체 외경은 종래 Cat. 6A 등급의 4-페어(pair) 통신 케이블의 외경과 비슷하게 유지되어 통신 케이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C)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에 구비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이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중심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구성하는 도선(1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접촉 시 상기 도선(10) 사이에 마찰 및 진동이 발생하여 감쇄량(Attenuation)이 증가되는 등 케이블의 통신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감쇄량(Attenuation)은 신호 전력 손실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은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를 상기 8개의 페어유닛 중 가장 길게 형성하여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에서 특히 증가된 감쇄 특성을 보완해주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페어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도선(1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한 피치로 서로 꼬여진 구조를 갖는데,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도선(10)의 꼬임 피치를 대연피치라고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도선(10)의 대연피치가 길어짐에 따라 연입률(twisting factor)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체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의 누름에 의한 상기 도선(10)의 감쇄량 증가를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 및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대연피치에 따라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우려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증가 문제는 될 수 있다. 상기 코어(C)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 중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를 가장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대연피치, 즉 8개의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를 모두 다르게 구성하는 경우 케이블의 급격한 신호 감쇄를 회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는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대연피치 중 가장 짧은 대연피치의 1.5배 내지 1.9배가 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는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평균 대연피치의 1.2배 내지 1.7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가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대연피치 중 가장 짧은 대연피치의 1.5배 미만이 되거나 대연피치 평균의 1.2배 미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연입률 증가에 따라 도체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감쇄 특성(Attenuation) 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의 대연피치가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30s)의 대연피치 중 가장 짧은 대연피치의 1.9배를 초과하거나 대연피치 평균의 17배 초과로 구성되는 경우, 케이블 유연성(flexibility) 및 페어유닛 간의 조합에서 간섭에 해당하는 NEXT (Near-end crosstalk) 특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8개의 페어유닛 각각을 구성하는 상기 도체(11)는 구리, 연동(annealed copper), 주석도금동(tinned copp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선(solid wire) 또는 연선(stranded wir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111a, 113a)가 단선인 경우 외경이 약 0.5 내지 0.6 mm일 수 있고, 연선인 경우 소선경이 약 0.2 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13)은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PTFE) 수지,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수지, 과불소화산(Perfluorinated Acid; PFA) 등의 불소수지, 난연성 폴리에틸렌(Fire-resistant Polyethylene; FRPE), 난연성 폴리프로필렌(Fire-resistant Polypropylene; FRPP) 등의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C)는 상기 코어(C)를 보호하는 완충재 또는 보호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케이블 자켓(50)이 감싸도록 구성하여 통신 케이블을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자켓(50)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또는 무할로겐 저연재(LSZH, Low smoke zero halogen or low smoke free of halogen)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감싸는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는 내부 단면이 원형으로 비어있는 중공형 시스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는 시스층 및 상기 시스층 내측에 구비된 충실형 베딩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을 구성하는 상기 충실형 베딩층(40)은 페어유닛 외측에 충실 방식으로 압출된 후 시스층이 피복되거나, 동시에 압출되어 상기 시스층과 상기 중심 페어유닛(30c)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는 시스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심 페어유닛 상에 충실 압출된 형상으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을 구성하는 상기 충실형 베딩층(40)을 일체로 압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을 구성하는 상기 충실형 베딩층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VA),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Proplene-Diene Rubber; EPDM),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CR), 클로로폴리에틸렌(Chlorinated polyethylene; CPE), 스테인레스 스프링 스틸(Stainless Spring Steel; CSP) 재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컴파운드를 압출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20)는 시스층 및 상기 시스층 내측에 구비된 충실형 베딩층(40)을 구비하여 중심 페어유닛(30c)가 위성 페어유닛(30s)의 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여 통신 케이블 진원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로 구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은 외부 또는 내부 통신망(600)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500),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500)에 연결되는 패치패널(200) 및 패치패널(200)과 연결되는 아웃렛(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통신망은 인터넷(internet) 통신망일 수 있고, 상기 내부 통신망은 인트라넷(intranet) 등의 내부 통신을 위한 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은 예를 들면 상기 패치패널(200)과 아웃렛(3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2개의 케이블이 아닌 하나의 케이블로 컴퓨터(C)와 인터넷 전화(V)를 외부 통신망(600)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500)는 근거리외부 통신망(LAN)을 구성할 때 단말기간 집선 장치로 자료교환(스위칭)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외부 통신망(600)과 연결된 라우터(400) 등에 연결되거나,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L3 스위치로서 직접 외부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500)는 여러 개의 아웃렛(3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속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MAC 주소)를 판단하고 그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포트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500)와 아웃렛(300)는 패치패널(2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치패널(200)은 다수의 모듈러잭(210)이 구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은 패치패널(200)근방에서 분기되어 2개의 모듈러잭(21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스위치(500) 및 패치패널(200)은 일반적으로 통신실에 위치하고, 각각의 아웃렛(300)는 이격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구비되어 컴퓨터(C)와 인터넷 전화(V) 또는 프린터 등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치패널(200)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에서 아웃렛(300)를 연장시킨 포트들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유닛을 말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500)와 아웃렛(300)는 패치패널(200)을 매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패치패널(200)과 아웃렛(300)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100)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에서는 아웃렛(300)와 네트워크 스위치(500) 사이에 하나의 패치패널(2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패치패널(20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패치패널(200) 및 아웃렛(300)의 연결을 위해서, 컴퓨터(C)와 인터넷 전화(V) 또는 프린터의 개수 또는 수요에 따른 아웃렛(300)에 구비된 모듈러잭의 개수만큼의 통신 케이블이 요구되었으나, 연결거리가 길어지고 케이블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비용이 상승하고 유지보수 역시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케이블을 적용하여 통신실과 각각의 아웃렛(300)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의 수를 반으로 줄이고, 아웃렛 근방에서 케이블 자켓을 탈피하여 분기점(d)을 형성한 후 분기된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제1 분기유닛(100a)과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2 분기유닛(100b)을 아웃렛(300)의 각각의 모듈러잭에 접속하고, 각각의 통신 수요기기를 아웃렛과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줄이면서도, 설치 또는 유지 보수과정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이더넷 통신 케이블을 단지 바인딩하는 기능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통신 케이블
10 : 페어유닛
20 : 세퍼레이터
50: 케이블 자켓

Claims (13)

  1.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도선이 서로 꼬여 구성되는 페어유닛 8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은 중심부에 1개의 중심 페어유닛 및 상기 중심 페어유닛 둘레에 7개의 위성 페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
  2. 1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페어유닛에서 각 페어유닛의 복수 개의 도선들 간 대연피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8개의 페어유닛 중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가 가장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는 상기 위성 페어유닛의 대연피치 중 가장 짧은 대연피치의 1.5배 내지 1.9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는 상기 위성 페어유닛의 평균 대연피치의 1.2배 내지 1.7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페어유닛은 유닛 세퍼레이터로 피복되고, 상기 7개의 위성 페어유닛은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7. 제6에 있어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는 시스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층 내측에 구비된 충실형 베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세퍼레이터는 시스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심 페어유닛 상에 충실 압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층 및 상기 베딩층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스테인레스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컴파운드를 압출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외경이 6.5 내지 7.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
  11. 외부 또는 내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치패널; 및,
    상기 패치패널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수요기기가 접속 가능한 아웃렛;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상기 패치패널 및 상기 아웃렛과 상기 수요기기는 각각 통상적인 4페어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통신 케이블은 상기 아웃렛의 2개의 모듈러잭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모듈러잭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수요기기를 상기 패치패널을 매개로 상기 외부 통신망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00114695A 2020-09-08 2020-09-08 통신 케이블 KR20220032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95A KR20220032859A (ko) 2020-09-08 2020-09-08 통신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95A KR20220032859A (ko) 2020-09-08 2020-09-08 통신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59A true KR20220032859A (ko) 2022-03-15

Family

ID=8081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95A KR20220032859A (ko) 2020-09-08 2020-09-08 통신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8537B2 (en) Multi-pair data cable with configurable core filling and pair separation
US6462268B1 (en) Cable with twisting filler and shared sheath
KR100302533B1 (ko) 케이블부설매체및근거리통신망
US6812408B2 (en) Multi-pair data cable with configurable core filling and pair separation
KR100503688B1 (ko) 케이블접속매체와통신신호캐리어와근거리통신망
KR100884122B1 (ko) 패치 케이블
CA2741669C (en) Communication cable with improved crosstalk attenuation
US7262366B2 (en) Bundled cable using varying twist schemes between sub-cables
US20030106704A1 (en) Electrical cable apparatus
KR20220032859A (ko) 통신 케이블
CN205595084U (zh) 一种多功能音响线缆
US6608255B1 (en) Local area network cabling arrangement having improved capacitance unbalance and structural return loss
KR200190771Y1 (ko) 펄스부호변조 다중화 장비의 국내배선용 단자함과 교환기단자반의 접속 케이블
CN210837236U (zh) 一种耐折弯同轴电缆
CN205487457U (zh) 一种复合屏蔽式音响线缆
CN215815303U (zh) 防老化通信电缆
CN217086237U (zh) 一种传输电源线
CN112885516A (zh) 一种六类网线
CN116097376A (zh) PoE电缆
KR20230125890A (ko) 가동용 이더넷 케이블
KR20070103690A (ko) xDSL 케이블
AU2002307326A1 (en) Cable with twisting filler and shared sh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