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857A -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857A
KR20220032857A KR1020200114690A KR20200114690A KR20220032857A KR 20220032857 A KR20220032857 A KR 20220032857A KR 1020200114690 A KR1020200114690 A KR 1020200114690A KR 20200114690 A KR20200114690 A KR 20200114690A KR 20220032857 A KR20220032857 A KR 2022003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information
driving
goods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중훈
이정일
조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11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857A/en
Publication of KR2022003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8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bstract

A method in which a robot delivers goods in group facilities in conjunc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includes receiving good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a delivery destin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on a group facility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generating a delivery rout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when recognizing a display means in an entrance/exit area for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delivery destination while traveling on the delivery route in an outdoor traveling mode in which a first positioning method is employed for traveling, an entrance/exit door and/or elevator control request signal for entering the interior from the entrance/exit area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changing the traveling mode from the outdoor traveling mode to an indoor driving mod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using an entrance/exit door and/or elevator opened by control of the management server to mov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in the interior, and delivering the goods to the delivery destination.

Description

물품 배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A product delivery robot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roduct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택트 기반으로 집단 시설에서 물품 배달 서비스를 로봇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물품 배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delivery robot that provides a product delivery service using a robot in a collective facility based on untact,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roduct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현재 공동 주택(예를 들어, 아파트, 빌라 등)과 빌딩 등 집단 시설에서 택배 회사의 배달 기사들이 택배나 물품을 운반할 때, 배달 기사들은 공동 현관에서 택배 배달지에 해당하는 호출 벨을 누르고 출입한 후, 배달지로 택배와 물품을 직접 배달한다. 이때, 택배 수령인이 부재일 경우, 배달 기사들은 배달할 물품들을 배달지의 현관 앞에 두거나 경비실에 보관하고 추후 택배 수령인이 수령하도록 통보하고 있다.Currently, when delivery drivers from a delivery company transport parcels or goods in collective facilities such as apartment houses (eg apartments, villas, etc.) and buildings, the delivery drivers press the call bell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t the common entrance and enter and exit. After that, the courier and goods are delivered directly to the delivery destination. At this time, if the delivery recipient is absent, delivery drivers place the items to be delivered in front of the door of the delivery address or store them in the security room, and notify the delivery recipient to receive them later.

이에 따라, 배달 기사들이 경비실로 이동하여 우편물이나 택배물의 보관을 부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경비실 근무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 물품 수령인은 자신의 택배물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배달지의 현관 앞에 물품을 둘 경우 분실의 우려가 높아진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delivery drivers have to move to the guard room and ask for storage of mail or parcels. And, when the guard office worker is away, the item recipient frequently cannot find his/her own parcel, and if the item is left in front of the door of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risk of loss increases.

또한, 배달 기사로 가장하여 공동 주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생활 속 거리두기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배달 기사들로부터 직접 물품을 수령하려 하지 않는 요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물품 배달 기사와 수령인은 경비실을 이용하여 물품을 보관/수령하거나, 각 건물의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물품을 보관하거나 수령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물품 분실의 위험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In addition, there are people who try to break into apartment houses by pretending to be delivery drivers, and in a situation where social distancing is required due to the spread of the viru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not to receive items directly from delivery drivers. Even in this situation, there is still a high risk of inconvenience and loss of goods because the delivery driver and the recipient must use the security room to store/receive the goods or use the unmanned delivery box of each building to store or receive the goods. am.

또한, 종래의 물품 배달 로봇들은 실외 주행만을 전담하는 로봇과 실내 주행만을 전담하는 로봇이 분리되어 있다. 즉, 실외 주행 전용 로봇은 GPS를 사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주행하고, 실내 주행 전용 로봇은 위치 인식자와 방향 인식자 등 태그를 인식하여 주행에 참고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roduct delivery robots, a robot dedicated only to outdoor driving and a robot dedicated only to indoor driving are separated. That is, an outdoor driving-only robot recognizes a location using GPS and drives, and an indoor driving-only robot recognizes tags, such as a location recognizer and a direction recognizer, to refer to the driving.

따라서 실외 주행 로봇이 실내로 진입할 경우 GPS를 사용하지 못하여 주행 불가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두 대의 로봇을 이용하여야만 실외에서 실내로 물품을 배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outdoor traveling robot enters the room, it cannot use the GPS and thus falls into a driving impossible stat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goods can be delivered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only by using two robots.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한 대의 로봇을 이용하여, 실외에서 실내까지 물품 수령인이 요청한 시간에 물품을 수령인의 목적지로 배달할 수 있는 물품 배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delivery robot that can deliver goods from the outdoors to indoors, to the destination of the recipient at the time requested by the recipient, using one robot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a method of providing a product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to provide.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로봇이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집단 시설에서 물품을 배달하는 방법으로서,As a method in which a robot,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livers goods in a group facility in conjunc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물품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물품 배달 정보와 상기 집단 시설의 정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물품 배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위치 측위 방식으로 주행하는 실외 주행 모드로, 상기 물품 배달 경로를 주행하는 단계,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주행하는 도중에 실외에서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의 실내로 진입하는 진출입 구역의 표시 수단을 인식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진출입 구역에서 상기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행 모드를 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 실내 주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개방된 상기 출입문 및/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서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까지 이동하고,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에 상기 물품을 배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Receiving the goods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the goods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precise information of the group facility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reating a goods delivery rout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n outdoor driving mode driving in a first positioning method , driving the product delivery route, when recognizing a display means of an entry/exit zone that enters the interior of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from the outside while driving in the outdoor driving mode, enters the room from the entry/exit zone with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a door and/or elevator control request signal to , moving from the indoor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and delivering the product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상기 실외 주행 모드는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파악하여 주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실내 주행 모드는 상기 출입문의 일측 및 상기 실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상기 표시 수단을 촬영하며 주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outdoor driving mode may be a mode of driving by determining a location from a GPS signal, and the indoor driving mode may be a mode of driving while photographing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display means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room.

상기 제어 요청 신호는,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가 2층 이상이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제어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call control request signal for calling the elevator when the goods delivery destination is two or more floors.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주행하는 도중에, 주행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품 배달 경로를 변경하며, 상기 장애물은 라이다 센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While driving in the outdoor driving mode, an obstacl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is recognized, the product delivery path is changed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can be recognized through a lidar sensor .

상기 집단 시설의 정밀 정보는, 집단 시설에 포함된 복수의 건물들의 위치 정보와 건물 간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배달 정보는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로 상기 물품을 배달할 물품 배달 요청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cise information of the group facility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buildings included in the group facility, and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cludes a product delivery request time to deliver the product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주행과 실외 주행이 가능한 한 대의 로봇을 이용하여 물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ods delivery service using one robot capable of running indoors and outdoors.

또한, 다양한 택배 회사들의 출입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택배 기사들의 집단 시설 내 이동의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the access of various courier companie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fficulty of moving courier drivers in a group facility.

그리고, 수령인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물품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물품 분실에 대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물품 배달에 대한 자동화를 통해 경비실의 관리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cipient can receive the product at a desired time, the risk of product loss can be reduced, and the management task of the security office can be reduced through automation of the product delivery.

또한, 로봇의 비전 인식을 위한 카메라 내장을 통해 녹화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침입자 및 위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monitor intruders and dangerous situations using images recorded through a built-in camera for recognizing the robot's v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 배달 로봇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달 로봇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nvironment to which a product delivery robo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rticle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집단 시설을 복수의 아파트 동들로 구성된 아파트 단지라 지칭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oduct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roduct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ollective facility is referred to as an apartment complex composed of a plurality of apartment building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 배달 로봇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nvironment to which a product delivery robo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배달 로봇(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봇'이라 지칭함)(100)은 아파트 단지의 실외와 아파트 동 내부를 주행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200)로부터 단지 정밀 정보를 수신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goods delivery rob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bo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100 is complex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in order to drive the outside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 inside of the apartment building. receive

로봇(100)은 위성(도면 미도시)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로봇(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주행하거나, 아파트 단지 또는 아파트 동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위치 표시 수단(300)들을 인식하면서,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달한다. The robot 100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satellite (not shown)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obot 100 and drive, or while recognizing a plurality of location display means 300 installed inside an apartment complex or apartment building, deliver the goods to the destination.

여기서, 위치 표시 수단(300)은 로봇(100)이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각 위치 표시 수단(300)은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며, 각 위치 표시 수단(300)에 대한 정보는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 the position display means 300 may be any type of display means capable of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so that the robot 100 can recognize the current position. Each location display means 300 i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each location display means 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

그리고, 로봇(100)은 실외 또는 실내를 주행하면서 센싱한 장애물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한 장애물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로봇(100)은 장애물을 센싱하는 센서로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robot 100 may check the positions of obstacles sensed while driving outdoors or indoors, and transmi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obstacles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In this case, the robot 1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using a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as a sensor for sensing an obstac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로봇(100)은 인식한 장애물들의 위치, 그리고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아파트 단지의 단지 정밀 정보(예를 들어, 동별 위치, 동별 간격 등)를 기초로, 목적지까지 실외 주행 시 최단 주행 경로 또는 안전 주행 경로 등 주행 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서, 로봇(100)이 장애물을 센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robot 100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obstacles, and the complex information of the apartment complex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for example, the location of each building, the interval of each building, etc.), the shortest driving path when traveling outdoors to the destination. Alternatively, a driving route such as a safe driving route is created. Here, the method for the robot 100 to sense the obstacle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100)은 위치 표시 수단(300)의 인식과 주행 방향의 전방의 이미지 분석(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전 인식'이라 지칭함)을 통해 건물의 진출입 구역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진출입 구역에 로봇(100)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주행 모드를 실내 주행 모드에서 실외 주행 모드로, 또는 실외 주행 모드에서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다. 여기서, 진출입 구역은 로봇(100)이 실외에서 건물 실내로 진입하거나, 실내에서 실외로 진입하는 아파트 공용 현관 등을 의미한다. The robot 100 grasps the location of the entry/exit zone of the building through recognition of the location display means 300 and image analysis of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sion recogn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bot 100 is in the entry/exit zone, the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the indoor driving mode to the outdoor driving mode or from the outdoor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Here, the entry/exit zone means an apartment common entrance through which the robot 100 enters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o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만약, 실외를 주행하던 로봇(100)이 비전 인식을 통해 진출입 구역 위치를 확인한 후 아파트 공용 현관 내부로 진입하기 직전 또는 진입한 직후,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하여 주행을 이어간다. 반대로, 로봇(100)이 실내를 주행하고 있었다면, 비전 인식을 통해 진출입 구역 위치를 확인하였다면, 실외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다.If the robot 100, which was traveling outdoors,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entry/exit zone through vision recognition, then immediately before or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apartment common entrance, changes the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and continues driving. Conversely, if the robot 100 was traveling indoors and the location of the entry/exit zone was confirmed through vision recognition, the driving mode is changed to the outdoor driving mode.

또한, 로봇(100)은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에 있는 공용 현관을 개폐하거나,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등의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로봇(100)과 연동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는 로봇(100)의 요청에 따라 공용 현관을 개폐하거나, 엘리베이터를 미리 호출하는 등의 제어 신호를 토대로, 공용 현관과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obot 100 generates a request signal such as opening and closing a public entrance on the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or calling an elevator,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interlocked with the robot 100 . The management server 200 controls the common entrance and the elevator based on a control signal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public entrance or calling the elevato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obot 100 .

배달 기사가 목적지 별로 매핑되어 있는 물품 보관함(400)에 물품을 보관하고, 물품 수령자에 의해 요청된 물품 배달 요청 시간을 입력하면, 물품 보관함(400)이 연동하는 관리 서버(200)는 물품 배달 목적지, 배달 요청 시간 등 물품 배달 정보를 로봇(100)으로 전송한다. 로봇(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물품 배달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고, 배달 요청 시간에 물품을 배달한다.When the delivery driver stores the goods in the goods locker 400 mapped for each destination, and inputs the goods delivery request time requested by the goods recipi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interlocked with the goods locker 400 is the goods delivery destination , and transmits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such as delivery request time to the robot 100 . The robot 100 sets a route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delivers the product at the delivery request time.

식별 정보가 각각 부여된 위치 표시 수단(300)은 아파트 단지 내에 일정 간격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각 식별 정보와 위치 표시 수단(300)들이 설치된 위치 정보는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한다. The location display means 300 to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partment complex. The management server 200 manages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location display means 300 are installed.

여기서, 로봇(10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robo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로봇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utonomous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100)은 버스(1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제1 정보 수집 장치(140), 제2 정보 수집 장치(150), 제3 정보 수집 장치(160), 인터페이스(170), 저장 장치(180) 그리고 구동 장치(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robot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 a memory 130 , a first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40 , a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bus 120 . 3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 an interface 170 , a storage device 180 , and a driving device 190 .

프로세서(110)는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 또는 저장 장치(17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후 설명할 로봇(100)의 기능들 및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100, and may be a processor of various types that processes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10 may be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 or the storage device 170 . 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functions and methods of the robot 100 to be described later.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부터 물품 배달 정보와 단지 정밀 정보를 수신한다. The processor 110 receives the goods delivery information and only precise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interface 170 .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1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로봇(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2 정보 수집 수단(150)을 통해 위치 표시 수단(300)을 인식하여 로봇(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3 정보 수집 장치(160)가 송출한 레이저를 토대로 전방에 장애물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satellite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40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obot 10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robot 100 by recognizing the position display unit 300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based on the laser transmitted by 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

여기서, 제1 정보 수집 장치(140)는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고, 제2 정보 수집 수단(150)은 표시 수단(300)이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 수집 수단(160)은 장애물 존재 여부를 판판단하기 위해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first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40 may be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GPS signal from a satellite, and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5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means 300 or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ront. In addition, 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60 is described using a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프로세서(110)는 각 정보 수집 장치(140~160)들이 수집한 정보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물품 배달 정보 및 단지 정밀 정보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The processor 110 generates a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140 to 160 ,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 and only precise information.

여기서, 물품 배달 정보는 목적지 정보와 배달 요청 시간을 포함하고, 추가로 수령자에 의해 요청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단지 정밀 정보는 기 설정된 기준 위치(예를 들어, 로봇 충전소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아파트 동별 위치와 동별 간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clude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delivery request time,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recipient. The complex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for each apartment building based on a preset reference location (eg, a robot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an interval for each building.

프로세서(110)는 물품 배달 정보에 포함된 배달 요청 시간에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달하도록 구동부(19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processor 110 generates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90 to deliver the product to the destination at the delivery request time included in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프로세서(110)는 제2 정보 수집 장치(150)가 진출입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요청 신호는 공용 현관 개방 요청 신호와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공용 현관 출입구에 공용 현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or 110 generates a request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when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ntry/exit zone. The request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public entrance opening request signal and an elevator call request signal.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display means including common entra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talled at each common entrance entran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서, 공용 형관 개방 요청 신호는 제2 정보 수집 장치(150)를 통해 목적지로 진입하기 위한 공용 현관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 신호는, 로봇(100)의 하차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목적지 정보를 토대로 물품이 배달될 목적지가 1층인지 또는 2층 이상인지 확인하고, 2층 이상인 경우 로봇(100)의 엘리베이터 하차 위치를 목적지의 층수로서 하차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Here, the public hall opening request signal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public entrance for entering the destination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 The elevator call request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isembarkation location of the robot 100 .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destination to which the goods will be delivered is the first floor or the second floor or higher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if the second floor or higher, the elevator disembarkation position of the robot 100 as the number of floors of the destination and the disembarkation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프로세서(110)는 진출입 구역 정보를 수집하면, 현재 주행 모드인 실외 주행 모드에서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다. When the entry/exit zone information is collected, the processor 110 changes the driving mode from the outdoor driving mode, which is the current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종래에는 로봇은 실외에서 자율주행 시 초정밀 GPS를 사용하여 위치를 인식하여 주행하고, 실내에서 주행할 경우 인식자와 같은 태그를 인식하여 주행하였다. 이 경우, 로봇이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할 때 초정밀 GPS의 오류로 인해 주행 불가 상태에 놓인다. 반대로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더라도 태그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여 주행 불가 상태에 놓인다.Conventionally, when autonomous driving outdoors, a robot recognizes a location using ultra-precision GPS to drive, and when driving indoors, a robot recognizes a tag such as a recognizer and drives. In this case, when the robot enters the room from the outside, it is placed in a state of being unable to travel due to an error of the ultra-precision GPS. Conversely, even when moving from indoor to outdoor, an error occurs in tag recognition and driving is disabled.

따라서, 종래에는 물품을 실외에서 실내로 배달할 때 실외 주행용 로봇이 물품을 공용 현관 앞까지 가져오고, 실내 주행용 로봇이 공용 현관에서 물품을 전달받아 목적지로 배달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100)은 제1 정보 수집 장치(140)가 수집한 GPS 신호를 토대로 실외에서 주행하고, 아파트 동 내부로 진입하기 전 제2 정보 수집 장치(150)를 통해 위치 표시 수단(300)을 비전 인식하여 실내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한 대의 로봇(100)이 실외와 실내를 모두 주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when delivering goods from outdoors to indoors, the outdoor driving robot brings the goods to the front of the common entrance, and the indoor driving robot receives the goods from the public entrance and delivers the goods to the destination. However, the robo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uns outdoors based on the GPS signal collected by the first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40 and uses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before entering the apartment building. By changing the driving mode so that the position display means 300 can be vision-recognized and driven indoors, one robot 100 can drive both outdoors and indoors.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실외 주행 모드에서는 GPS 뿐만 아니라 단지 정밀 지도를 이용하여 주행하고, 실내로 진입하기 직전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실내 주행 모드로 변경된 로봇(100)이 제2 정보 수집 장치(150)를 통해 인식자인 위치 표시 수단를 인식하여 실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outdoor driving mode, the processor 110 drives using not only the GPS but also the precision map, and changes the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just before entering the room.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allows the robot 100, which has been changed to the indoor driving mode, to recognize the position indicating means, which is a recognizer,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to drive indoors.

메모리(13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111)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하며, ROM(read only memory)(1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 loads a corresponding program so that instructions described to execute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cessed by the processor 111 , and a read only memory (ROM) 131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13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1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3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110 , and the memory 130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제1 정보 수집 수단(140)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10)로 제공한다.The first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40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satellite and provides it to the processor 110 .

제2 정보 수집 장치(150)는 로봇(100)이 주행하면서 주행 경로 상의 배경을 촬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주행 경로 상의 배경은 프로세서(110)에서 비전 인식 처리되며, 로봇(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주행 경로 상의 배경은 로봇(100)이 공용 현관과 같은 진출입 구역의 주변에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captures a background on a travel path while the robot 100 travels,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will be used as an example. The background on the driving route is vision-recognized by the processor 110 and used to extrac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100 . In addition, the background on the driving path is also used to check whether the robot 100 is in the vicinity of an entry/exit area such as a public entrance.

또한, 제2 정보 수집 장치(150)는 공용 현관 내부로 진입한 로봇(100)이 미리 바닥이나 천장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자(예를 들어, QR 코드 등)를 인식하여, 로봇(100)이 공용 현관에서 엘리베이터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정보 수집 장치(150)의 카메라 종류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recognizes a recognizer (eg, QR code, etc.) installed on the floor, ceiling, or wall of the robot 100 that has entered the public entrance in advance, and the robot 100 ) to move from the common entrance to the elevator. Here, the type of camera of the secon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50 is not limited to any one.

제3 정보 수집 장치(160)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주행 중인 로봇(100)이 정보를 수집하는 다양한 장비(예를 들어, 라이다, 깊이 카메라, 관성 측정 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등)들에 해당한다. 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includes various equipment (eg, lidar, depth camera,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etc.) from which the moving robot 100 collec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correspond to

제3 정보 수집 장치(160)는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과 같은 정적 장애물을 인지하거나, 아파트 단지를 이동하는 사람들과 같은 동적 장애물들을 인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3 정보 수집 장치(160)가 장애물들을 인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recognizing static obstacles such as a structur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recognizing dynamic obstacles such as people moving in an apartment complex. The method for recognizing obstacles by 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thu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method.

인터페이스(170)는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여,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배달 지도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7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물품 배달 정보와 아파트 단지 정보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17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The interface 170 interworks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transfer the delivery map generated by the processor 11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Also, the interface 170 receives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and apartment complex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 And the interface 170 transfer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11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저장 장치(180)는 로봇(100)이 주행하는 아파트 단지의 단지 정밀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또한, 저장 장치(180)는 제3 정보 수집 장치(160)를 통해 수집한 장애물의 특징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각 장애물의 특징 정보는 장애물의 형태,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애물의 특징 정보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storage device 180 stores and manages the complex information of the apartment complex in which the robot 100 drives.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180 stores and manage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obstacle collected through the thir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60 .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obstacle may include the shape and size of the obstacle,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obstacle is not limited to any one.

구동 장치(19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로봇(100)을 사업장 내부에서 주행 시킨다. The driving device 190 drives the robot 100 inside the workplac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

이상에서 설명한 로봇(100)이 기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달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A method in which the robot 100 described above delivers goods from a preset reference position to a destin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배달 기사가 목적지 별로 매핑되어 있는 물품 보관함(400)에 물품을 보관하고, 물품 수령자에 의해 요청된 물품 배달 요청 시간을 입력하면, 물품 보관함(400)이 연동하는 관리 서버(200)는 물품 배달 목적지, 배달 요청 시간 등 물품 배달 정보를 수신하고(S100), 수신한 물품 배달 정보를 로봇(100)으로 전송한다(S101).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delivery driver stores the goods in the goods locker 400 mapped for each destination, and inputs the goods delivery request time requested by the goods recipient, the goods locker 400 interlocks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such as a delivery destination and a delivery request time (S1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to the robot 100 (S101).

여기서, 관리 서버(200)는 S100 단계에서 물품 배달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물품 수령인의 단말(도면 미도시)로 물품이 도착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령인에 의해 입력된 물품 배달 요청 시간에 해당 물품을 로봇(100)을 이용하여 배달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도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 step S100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oduct has arrived to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product recipient. In additio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product will be delivered using the robot 100 may be transmitted at the product delivery request time input by the recipien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품 수령자가 물품을 구매할 때, 배달 요청 시간을 입력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물품 배달 기사가 물품을 물품 보관함(400)에 보관할 때, SMS나 온라인 메신저 등을 통해 배달 요청 시간을 수령자로 하여금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수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물품 배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oods recipient purchases the goods,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inputting the delivery request time. You can also ask the recipient to enter the delivery request time.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and store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cipient's terminal.

로봇(100)은 물품 배달 정보에 포함된 물품 배달 목적지와 기 저장된 배달 지도, 그리고 단지 정밀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배달 경로를 생성한다. 그리고 로봇(100)은 기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대기한다(S102). 여기서, 기준 위치는 로봇(100)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위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obot 100 creates a product delivery route by using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included in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a pre-stored delivery map, and only precise information. And the robot 100 waits at a preset reference position (S102). Here, the reference posi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harging position allowing the robot 100 to be charg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로봇(100)은 물품 배달 정보를 토대로, 현재 시각이 수령자에 의해 요청된 물품 배달 시간인지 확인한다(S103). 만약 물품 배달 시간이면, 로봇(100)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실외 주행 모드로 목적지까지 물품을 탑재하여 이동한다(S104). 여기서, 물품은 물품 관리원에 의해 로봇(100)에 탑재될 수도 있고, 물품 보관함(400)이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로봇(100)이 물품 보관함(400)을 통째로 탑재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robot 1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goods delivery time requested by the recipient based on the goods delivery information (S103). If it is the delivery time of the goods, the robot 100 receives the GPS signal from the satellite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and mounts the goods to the destination in the outdoor driving mode and moves (S104). Here, the article may be mounted on the robot 100 by the article manager, and the article storage box 400 is implemented in a movable form so that the robot 100 can mount the article storage box 400 as a whole. not limited to the form.

로봇(100)은 실외 주행 모드로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표시 수단(300)들을 인식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주행 중인 전방의 배경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105). 이렇게 수집된 위치 정보와 주행 경로를 토대로 로봇(100)은 실외 주행을 지속한다.While moving to the destination in the outdoor driving mode, the robot 100 recognizes the position display means 300 installed on the driving path, collects position information, and collects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s in front of the vehicle (S105). Based on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vel route, the robot 100 continues to travel outdoors.

또한, 로봇(100)은 수집한 전방의 배경 정보로부터 로봇(100)이 현재 진출입 구역 즉, 공용 현관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였는지 판단한다(S106). 만약 진출입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지 않았다면, 로봇(100)은 주행 경로에 따라 계속 이동한다.In addition, the robot 100 determines whether the robot 100 has collected an image of the current entry/exit area, that is, a common entrance from the collected background information (S106). If information on the entry/exit zone is not collected, the robot 100 continues to move according to the travel route.

예를 들어, GPS 신호를 기초로 현재 위치를 확인한 로봇(100)은 비전 인식을 통해 전방의 이미지로부터 공용 현관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공용 현관의 특징점에 대한 기준 정보는 사전에 로봇(100) 내부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로봇(100)은 추출한 특징점과 저장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로봇(100) 전방에 진출입 구역인 공용 현관이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100, which has confirmed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GPS signal, extracts the feature point of the common entrance from the image in front through vision recognition. Since the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common entrance is stored inside the robot 100 in advance, the robot 100 compares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with the stored feature points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on entrance, which is the entry/exit area, is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100. can

만약 진출입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면, 로봇(100)은 공용 현관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S107). 여기서, 제어 요청 신호에는 공용 현관에 매핑되어 있는 공용 현관 식별 정보와 엘리베이터로 이동할 목적지 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로봇(100)은 배달 목적지가 1층이라면, 엘리베이터 호출 제어 요청 신호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If information on the entry/exit zone is collected, the robot 100 generates a control request signal for opening a common entrance and a control request signal for calling an elevator (S107). Here, the control request signal may include public entra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public entrance and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to be moved to the elevator. If the robot 100 is a delivery destination on the first floor, the elevator call control request signal may not be generated.

로봇(100)은 S107 단계에서 생성한 제어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S108). 이와 동시에 로봇(100)은 실외 주행 모드로부터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다(S109). 주행 모드의 변경에 따라 로봇(100)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을 중단하고, 카메라를 통해 위치 표시 수단을 인식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The robot 100 transmits the control request signal generated in step S107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S108). At the same time, the robot 100 changes the driving mode from the outdoor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S109).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riving mode, the robot 100 stops receiving the GPS signal from the satellite, recognizes the location display means through the camera, and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로봇(100)으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한 관리 서버(200)는 제어 요청 신호에 포함된 공용 현관 식별 정보를 토대로 해당 공용 현관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110).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ing the control request signal from the robot 100 controls the corresponding common entrance to be opened based on the common entra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request signal ( S110 ).

또한, 제어 요청 신호에 목적지 층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관리 서버(200)는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여 1층으로 이동한 후, 목적지 층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111). 여기서, 관리 서버(200)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공용 현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f the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rol request signal, the management server 200 calls the elevator to move to the first floor and then controls to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S111). Her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call an elevator or open a public entrance is already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실내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변경한 로봇(100)은 건물 내부로 진입하고, 목적지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탑승한다(S112). 목적지 층 전에 엘리베이터가 열리면, 로봇(100)은 전방에 층 표시 수단을 인식하여 목적지 층인지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ot 100, which has changed the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enters the building and board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112). If the elevator is opened before the destination floor, the robot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stination floor by recognizing the floor display means in front.

엘리베이터가 목적지 층에 도착하면, 로봇(100)은 목적지 층임을 확인하고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한다(S113).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하차 지점에서부터 목적지까지 생성된 경로를 기초로 물품을 배달한다(S114). 목적지에 물품 배달을 완료하면, 로봇(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절차를 역으로 실행하여, 기준 위치로 복귀한다.When the elevator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the robot 100 confirms that it is the destination floor and gets off the elevator (S113). And the goods are delivered based on the path created from the disembarkation point of the elevator to the destination (S114). When the delivery of goods to the destination is completed, the robot 100 reverses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o return to the reference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 물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100)은 목적지에 도착한 후, 관리 서버(200)로 목적지 도착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대 내 물품 수령자가 로봇(100)의 도착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200)는 로봇 도착 알림 수단(예를 들어, 현관 차임벨, 세대 내 디스플레이, 수령자 단말 등)을 통해 로봇(100)의 도착을 알릴 수 있다. After arriving at the destination, the robot 100 that provides the goods delivery service through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may transmit a destination arrival notification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Through this, the management server 200 uses a robot arrival notification means (eg, a door chime, an in-house display, a recipient terminal, etc.) to recognize the arrival of the robot 100 so that the item recipient in the household can recognize the arrival of the robot 100 through the robot 100 ) can be announced.

또한, 각 세대 별 택배 종류 및 수량 추이, 그리고 실외와 실내 이동 시 장애물의 유무나 시간대별 지체 통계 등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를 학습시켜, 사전에 물품 수령자의 입력이 없어도 물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learning the management server 200 using the type and quantity of parcel delivery for each household, the presence of obstacles when moving outdoors or indoors, or delay statistics for each time period, the product delivery service is provided without prior input from the recipient of the goods. may provid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Claims (5)

로봇이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집단 시설에서 물품을 배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물품 배달 목적지를 포함하는 물품 배달 정보와 상기 집단 시설의 정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물품 배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위치 측위 방식으로 주행하는 실외 주행 모드로, 상기 물품 배달 경로를 주행하는 단계,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주행하는 도중에 실외에서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의 실내로 진입하는 진출입 구역의 표시 수단을 인식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진출입 구역에서 상기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행 모드를 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 실내 주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개방된 상기 출입문 및/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서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까지 이동하고,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에 상기 물품을 배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 배달 방법.
A method for a robot to deliver goods in a group facility in conjunc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management server,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and precise information of the group facility, and generating a product delivery rout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driving the product delivery route in an outdoor driving mode driving in a first positioning method;
When the display means of the entry/exit zone that enters the interior of the goods delivery destination is recognized from the outside while driving in the outdoor driving mode, a door and/or elevator control request signal for entering the room from the entry/exit zone to the management server sending the step,
changing the driving mode from the outdoor driving mode to the indoor driving mode; and
Using the door and/or elevator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server, moving from the indoor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and delivering the product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A method of delivering good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주행 모드는 GPS 신호로부터 위치를 파악하여 주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실내 주행 모드는 상기 출입문의 일측 및 상기 실내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상기 표시 수단을 촬영하며 주행하는 모드인, 물품 배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utdoor driving mode is a mode for driving by identifying a location from a GPS signal,
The indoor driving mode is a mode of driving while photographing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display means atta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roo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는,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가 2층 이상이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제어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물품 배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request signal is
If the goods delivery destination is more than the second floor, including a call control request signal to call the elevator, goods delivery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주행하는 도중에, 주행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품 배달 경로를 변경하며,
상기 장애물은 라이다 센서를 통해 인식하는, 물품 배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ile driving in the outdoor driving mode, recognize an obstacl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change the product delivery route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The obstacle is recognized through a lidar sensor, the goods delivery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시설의 정밀 정보는, 집단 시설에 포함된 복수의 건물들의 위치 정보와 건물 간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배달 정보는 상기 물품 배달 목적지로 상기 물품을 배달할 물품 배달 요청 시간을 포함하는, 물품 배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cise information of the group facility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buildings included in the group facility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buildings,
The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cludes a product delivery request time to deliver the product to the product delivery destination.
KR1020200114690A 2020-09-08 2020-09-08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KR202200328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90A KR20220032857A (en) 2020-09-08 2020-09-08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90A KR20220032857A (en) 2020-09-08 2020-09-08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857A true KR20220032857A (en) 2022-03-15

Family

ID=8081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90A KR20220032857A (en) 2020-09-08 2020-09-08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85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9625A1 (en) * 2021-08-24 2023-03-02 Lg Electronics Inc. Delivery system
WO2023209266A1 (en) * 2022-04-25 2023-11-02 Kone Corporation Transport of package from buildings provided with eleva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69625A1 (en) * 2021-08-24 2023-03-02 Lg Electronics Inc. Delivery system
WO2023209266A1 (en) * 2022-04-25 2023-11-02 Kone Corporation Transport of package from buildings provided with elev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868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obot relocalization
US9563206B2 (en) 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system software and methods
US102524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botic delivery between moving targets
KR20220032857A (en) Courier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providing courier delivery service using the same
WO2015120473A1 (en) Entryway based authentication system
KR20150104863A (en) The manless receiving system of the delivered package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632537B1 (en) The method for ordering goods is putting in the smart cart by using the smart unmaned store system
KR102433438B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vement between floors of autonomous mobile robot
KR102484732B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vement between floors of autonomous mobile robot
WO2019231575A1 (en) A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102558767B1 (en) Robot-friendly building
KR20180071458A (en) parking gu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beacon
KR20180040255A (en) Airport robot
JPWO2019138447A1 (en) Elevator system
Mishra et al. IoT impact and challenges on robotic waiters in automation of restaurants and hotels
US20220106167A1 (en) Automatically controlled door assembly as an elevator level door of an elevator system
US11185182B2 (en) Package delivery placement system
US10950076B1 (en) Garage access unit
JP2022152847A (en) Delivery robot and notification method
KR102636608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KR20230091639A (en) Robot-friendly building,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ing using robot
KR102640758B1 (en) 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JP2022152848A (en) Home delivery device
JP7246424B2 (en) Home delivery device
JP7245864B2 (en) Travel control device, travel control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