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421A - 커피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421A
KR20220032421A KR1020200114167A KR20200114167A KR20220032421A KR 20220032421 A KR20220032421 A KR 20220032421A KR 1020200114167 A KR1020200114167 A KR 1020200114167A KR 20200114167 A KR20200114167 A KR 20200114167A KR 20220032421 A KR20220032421 A KR 2022003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ffee maker
driving mechanism
coffe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총
Original Assignee
월드탑커피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탑커피협동조합 filed Critical 월드탑커피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11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421A/ko
Publication of KR2022003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구동기구의 다관절 링크를 전후로 번갈아 입체적으로 배치하였으므로 큰 가압력을 가할수 있으며, 가압력을 압착부의 양측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구동기구를 동시에 누를 때 압착력을 누설하지 않고 압착부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였으므로 가압력의 가용성을 높인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금속과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메이커{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견고하며, 조작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압착하여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같은 추출성능을 가지지만 기구적 개선으로 인하여 더욱 사용이 쉽고 작은 휴대형 레버 에스프레소 메이커를 제공한다.
원두커피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에소프레스를 제조하는 경우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커피 드립을 이용하여 커피 분말을 필터위에 놓고 온수를 붓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가열된 물로 급속히 커피액을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종이 필터의 사용으로 커피의 오일 성분까지 모두 걸러서 풍미가 떨어지고, 추출 시간이 오래 걸린다. 더치(dutch) 커피 추출법은 상온의 물이나 찬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안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법이지만, 커피 메이커의 구조가 복잡하고 장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현재 레버식 에스프레소 추출기가 상용화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기기는 가격이 비싸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휴대가 불편하다. 또, 오랜 예열시간이 필요하며, 세척이 불편하고, 1개의 레버를 사용하여 레버를 누르는 앞쪽으로 힘이 쏠려 기계가 앞으로 넘어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레버 메카니즘에 차이를 두어 더 쉽게 더 높은 압력을 만들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가능하며,가열 요소에 의한 물을 끊이는 시간이 필요없이 외부의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열수를 공급하고 예열시간이 필요없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추출 성능을 가지지만 기구적 개선으로 인하여 더욱 사용이 쉽고 작은 휴대형 레버 에스프레소 메이커와 같은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로서, 상기 커피메이커는 투명한 원통형의 하우징 위에 설치된 베이스와, 베이스를 일부 통과하도록 설치된 구동기구와, 구동기구에 연결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의 하부는 압착부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하면은 커피추출부로 폐쇄되어, 압착부와 커피추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구는 한쌍의 좌우 구동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구동기구는 원호의 일부에 복수의 치차를 형성한 캠부와, 상기 치차와 대향하는 쪽의 캠부로부터 바깥을 향하도록 길게 형성된 조작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의 바디로 부터 곡선형의 지지편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고 링크의 끝단이 이동부에 연결됨으로써 구동기구와 이동부가 연결되고, 상기 좌우 구동기어의 상기 치차는 서로 치합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좌우 조작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좌측 및 우측 구동기구로부터 동시에 힘을 전달받아 하우징의 아래로 이동하는 제 1위치와, 상기 좌우 조작레버를 위로 당기면 좌측 및 우측 구동기구로부터 동시에 힘을 전달받아 하우징의 위로 이동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링크는 지지편의 제1측면에서 수직 하향 연장된 제1링크, 제1링크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1측면과 반대쪽 방향으로 연장된 제2링크, 제2링크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 연장된 제3링크 및 제3링크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1측면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링크로 이루어진 좌우 가교형의 링크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압착부의 상면을 가로질러 판 형상으로 입설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좌우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4링크가 통과하며 결합됨으로써, 구동기구와 이동부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의 상면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 아래의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이가 커지며 하향하는 복수의 링크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리브는 압착부의 중심에 인접한 중심부와, 압착부의 측벽에 접하도록 긴 높이로 형성된 둘레부와, 중심부와 둘레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공간의 상부는 중심이 높고 주변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전면 베이스와 후면 베이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베이스는 중앙의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바깥으로 약간 골곡지도록 형성된 양측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양측의 측면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반원형의 고리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가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가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상기 지지판과 압착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보강 날개 또는 리브를 설치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 메이커 구동기구의 다관절 링크를 전후로 번갈아 입체적으로 배치하였으므로 더욱 큰가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가압력을 압착부의 양측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다.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구동기구를 동시에 누를 때 우측의 구동기구가 가하는 압착력과 좌측의 구동기구가 가하는 압착력을 누설하지 않고 압착부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였으므로 가압력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금속과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커피 메이커의 구동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피 메이커의 구동기구를 구동한 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커피 메이커의 구동기구를 완전히 누른 경우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피메이커의 구동기구와 이동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조립도
도 5는 도 4의 우측 구동기구를 측면에서 바라 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의 이동부를 위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동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피메이커의 베이스의 조립 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
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도시한 것과 같이 커피 메이커(1)는 투명한 원통형의 하우징 위에 설치된 베이스(14)와, 베이스(14)를 일부 통과하도록 설치된 구동기구(10)와, 구동기구(10)에 연결된 이동부(12)를 포함한다. 이동부(12)의 하부는 압착부
(132)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하면은 커피추출부(18)로 폐쇄되어, 압착부(132)와 커피추출부(18) 사이에 공간(16)이 형성되며 커피 분말 또는 그레인이 커피추출부(18)위에 놓여진다. 공간(16)으로는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고온 또는 상온의 물이 주입된다. 하우징은 커피 분말이나 커피액을 수용할 수 있는 어떠한 용기나 컨테이너도 될 수 있다.
도 1은 커피 원액을 추출하기 전의 대기 상태이다. 사용자가 구동기구(10)를 손으로 눌러 회전시키면, 이동부(12)가 피스톤이 되어 수직 하방으로 점점 직선 이동하며(도 2), 구동기구(10)를 완전히 눌러 압착부(132)가 커피 추출부(18)에 인접함으로써 커피액 추출 작업이 완료된다(도 3) 물은 압착 작업 이전에 주입하여도 좋고,
커피 분말을 먼저 압착한 후 물을 주입하고 커피액을 압착하는 등 2회 이상의 사이클로 추출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구동기구(10)에 대하여 설명한다.구동기구는 한쌍의 좌우 구동기구(10A,10B)로 이루어진다. 좌우 구동기구(10A,10B)는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우측 구동기구(10A)는 전면이 하우징의 앞을 향해 장착되고, 좌측 구동기구(10B)는 후면이 하우징의 앞을 향해 장착되는 점이 다르다. 이하, 우측
구동기구(10A)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좌측 구동기구(10B)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구동기구(10A)는, 원호의 일부에 복수의 치차(108)를 형성하고 가운데 개구(106)를 구비한 원형의 캠부(104)와,치차(108)와 대향하는 쪽의 캠부(104)로부터 바깥을 향하도록 길게 형성된 조작레버(100)를 포함한다. 조작레버(100)는 캠부(104)에 면한 두터운 바디(102)와 바디(102)에서 바깥으로 길게 연장된 가느다란 손잡이(100A)로 이루어진다. 조작레버(100)에서 바디(102)의 다른 쪽 측면에는 곡선형의 지지편(110)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그리고 지지편(110)의 중앙부로부터는 차례로 제1링크(112), 제2링크(114), 제3링크(116) 및 제4링크(122)가 일체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링크(112)는 지지편(110)의 전방에서 수직 하향 절곡되며, 제2링크(114)는 제1링크(112)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뒷쪽으로 연장된다. 지지편(1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이 제2링크(114)의 중앙부에 오도록 설계함으로써, 링크 기구의 전후 안정성을 확보하고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제3링크(116)는 제2링크(114)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 절곡되며, 제4링크(122)는 제3링크(116)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앞쪽으로 연장된다. 제4링크(12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지지판(130)의 개구(130A)에 삽입되도록 제3링크(11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구동기구(10)는 SUS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합금으로 주조 또는 사출로 일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이동부(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부(12)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원통형 실린더 형상의 압착부(132)와 압착부(132)의 상면을 가로질러 판 형상으로 입설된 지지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동부(12)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지지판(130)은 압착부(132)의 상면 양쪽에 부착된 브릿지 형상이며, 좌우 중앙에 개구(130A)가 형성된다. 개구(130A)를 통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4링크(122)가 통과하며 그 끝단이 예를 들어 육각너트(118)로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구동기구(10)와 이동부(12)가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압착부(132)의 상면은 폐쇄되지만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의 아래의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이가 커지며 하향하는 6개의 리브(132A)가 형성된다. 리브(132A)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압착부(132)의 중심에 인접한 중심부(1320)와, 압착부(132)의 측벽에 접하도록 긴 높이로 형성된 둘레부(1324)와 중심부(1320)와 둘레부(1324)를 연결하는 중간부(1322)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것과 같이,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이가 커지는 곡선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공간(16)의 상부는 중심이 높고 주변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며, 압착부(132)가 커피 추출부(18)를 향하여 이동할 때 커피 분말이나 커피액을 공간(16) 내부에 최대한 많이 수용하면서 리브(132A)로 커피 분말 등을 누르며 다질 수 있다.(132B)는 압착부(132)의 측벽에 설치되는 개방 슬롯으로, 리브(132A)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유입 통로 또는 커피액의 유출입 통로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좌우 구동기구(10)는 치차(108)가 치합한 상테로 베이스(14)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조작레버(100)의 손잡이(100A)를 아래로 누르면 좌우 구동기구(10A,10B) 각각의 제1링크(112), 제2링크(114), 제3링크(116) 및 제4링크(122)가 동시에 아래로 이동하면서 이동부(12)의 지지판(130)과 압착부(132)가 수직 하향이동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작레버(100)의 손잡이(100A)를 위로 올리면 좌우 구동기구(10A,10B) 각각의 제1링크(112), 제2링크(114), 제3링크(116) 및 제4링크(122)가 동시에 위로 이동하면서 이동부(12)의 지지판(130)과 압착부(132)가 수직 상향 이동된다.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1)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기구(10)의 다관절 링크 기구가 측면에서 보아 전후로 번갈아 입체적으로 배치되므로 단일 평면상에 링크 기구를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이동부(12)에 더욱 큰 가압
력을 가할 수 있다. 또, 이 가압력이 판 형상의 지지판(130)을 가교하여압착부(132)의 양측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였으므로 지지판(130)을 플런저와 같이 이용하여 커피 분말에 고른 압착력을 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구동기구(10)를 동시에 누를 때 우측의 구동기구(10A)가 가하는 압착력과 좌측의 구동기구(10B)가 가하는 압착력이 누설되지 않고 압착부(132)에 모두 골고루 전달되도록 구성한 점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0032] 다음,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베이스(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140)는 전면 베이스(140A)와 후면 베이스(140B)로 이루어진다. 전면 및 후면 베이스(140A,140B)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전면 베이스(14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전면 베이스(140A)는 중앙의 중앙부(140)와, 중앙부(140)에서 바깥으로 약간 골곡지도록 형성된 양측의 측면부(142)를 포함한다. 중앙부(140)에는 개구(1400A)가 천공된다. 양측의 측면부(142)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반원형의 고리(144)로 연결된다. 전면 베이스(140A)의 고리(144)와 후면 베이스(140B)의 고리(144)는 하우징 입구부 둘레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도록 각각 하우징에 체결됨으로써 베이스(140)가 하우징에 연결된다. 이때 전면 베이스(140A)와 후면 베이스(140B)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을 통하여 구동기구(10)의 캠부(104)의 개구(106)와 개구(1400A)가 정렬되도록 구동기구(10)를 삽입한 후 볼트-너트로 개구(106, 140A)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기구(10)가 베이스(140)에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커피 메이커(1)의 작동 원리는 앞서 기술한 구조로부터 명백하다. 즉, 도 2에서 사용자가 구동기구(10)의 조작레버(100)를 잡고 양손으로 아래로 회전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압착부(132)가 아래로 선형 이동하여 실린더의 플런저와 같이 커피 원료를 커피추출부(18)의 상면에 압착한다. 2개의 조작레버(100)를 누르는 힘은 이동부(12), 구체적으로는 지지판(130)과 압착부(132)의 좌우 각각의 경로를 따라 이동부(12)의 양쪽에 균일하게 전달된다. 좌우의 치차(108)가 상대방 치차에 맞물리면서 회전하도록 정밀하게 교합되어 있으므로, 좌우 조작레버(100)에 가해지는 힘은 동일하게 이동부(12)의 양쪽으로 전달된다. 조작레버(1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마치 지렛대나 시소와 같이, 적은 힘으로 눌러도 이동부(12)의 양측에 균일한 강한 힘을 가할 수 있어 진하고 풍미 있는 커피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이용한 단일 레버 압착 방식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한 번 또는 소수 횟수 조작으로 커피액 추출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를 위한 것이며, 각 부재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갯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지지판(130)과 압착부(132)의 상면을 연결하는 삼각형의 보강 날개나 리브를 설치하여 이동부(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큰 가압력을 가할 때 압착부(132)가 휘어져 압력이 누설되는 것을 막고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압착부(132)를 수직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예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된다.
1 커피메이커
2 구동기구
3 지지판

Claims (1)

  1. 커피 메이커로서, 상기 커피메이커는 투명한 원통형의 하우징 위에 설치된 베이스와, 베이스를 일부 통과하도록 설치된 구동기구와, 구동기구에 연결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이동부의 하부는 압착부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하면은 커피추출부로 폐쇄되어, 압착부와 커피추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구는 한쌍의 좌우 구동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구동기구는 원호의 일부에 복수의 치차를 형성한 캠부와, 상기 치차와 대향하는 쪽의 캠부로부터 바깥을 향하도록 길게 형성된 조작레버를 포함하며, 상기조작레버의 바디로 부터 곡선형의 지지편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고 링크의 끝단이 이동부에 연결됨으로써 구동기구와 이동부가 연결되고 상기 좌우 구동기어의 상기 치차는 서로 치합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좌우 조작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좌측 및 우측 구동기구로부터 동시에 힘을 전달받아 하우징의 아래로 이동하는 제 1위치와, 상기 좌우 조작레버를 위로 당기면 좌측 및 우측 구동기구로부터 동시에 힘을 전달받아 하우징의 위로 이동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피 메이커.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지지편의 제1측면에서 수직 하향 연장된 제1링크, 제1링크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1측면과 반대쪽 방향으로 연장된 제2링크, 제2링크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 연장된 제3링크 및 제3링크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1측면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링크로 이루어진 좌우 가교형의 링크인,커피 메이커.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압착부의 상면을 가로질러 판 형상으로 입설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좌우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제4링크가 통과하며 결합됨으로써, 구동기구와 이동부가 구조적으로 연결된, 커피 메이커.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상면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상면 아래의 중심에서부터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이가 커지며 하향하는 복수의 링크를 더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리브는 압착부의 중심에 인접한 중심부와, 압착부의 측벽에 접하도록 긴 높이로 형성된 둘레부와, 중심부와 둘레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공간의 상부는 중심이 높고 주변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커피 메이커.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면 베이스와 후면 베이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베이스는 중앙의 중앙부와,중앙부에서 바깥으로 약간 골곡지도록 형성된 양측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양측의 측면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반원형의 고리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가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가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한,커피 메이커.
    [청구항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압착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보강 날개 또는 리브를 설치하여 강도를 높인, 커피메이커.
KR1020200114167A 2020-09-07 2020-09-07 커피메이커 KR20220032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67A KR20220032421A (ko) 2020-09-07 2020-09-07 커피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67A KR20220032421A (ko) 2020-09-07 2020-09-07 커피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421A true KR20220032421A (ko) 2022-03-15

Family

ID=8081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67A KR20220032421A (ko) 2020-09-07 2020-09-07 커피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840B2 (en) Brewing device and brewing capsule system with a capsule holder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capsules
US2011008356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GB2403401A (en) Multi-function coffee maker
RO128000B1 (ro) Unitate de infuzare pentru un automat de cafea
US20050172818A1 (en) Apparatus for making espresso coffee
KR20220032421A (ko) 커피메이커
CN210783982U (zh) 一种饮料萃取单元及饮料制备机器
CN106061342A (zh) 拆装式把手
CN201755135U (zh) 咖啡机冲泡器结构
WO2021032190A1 (zh) 料杯及饮料酿造机
KR102202040B1 (ko) 커피 메이커
CN101056567B (zh) 可变换的小型烧烤架
JP3105409U (ja) 茶葉と茶湯を隔離できるティーポット
CN210446511U (zh) 一种泡茶壶
CN110236398A (zh) 一种饮料萃取单元及饮料制备机器
WO2012150496A9 (en) A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CN210383538U (zh) 一种泡茶杯的改进结构
CN104997413B (zh) 一种胶囊咖啡的酿造装置
CN217137568U (zh) 一种蒸泡煮一体茶壶
CN219460886U (zh) 一种带可拆卸支架件的咖啡机
CN2382328Y (zh) 一种握把能自由拆装的水壶
CN213429599U (zh) 一种锅柄易拆装锅具
CN209846766U (zh) 一种便于使用的一键排水式泡茶壶
CN204378986U (zh) 用于烹饪器具的破泡器
CN217137696U (zh) 简易拆装的料理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