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323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2323A KR20220032323A KR1020200113963A KR20200113963A KR20220032323A KR 20220032323 A KR20220032323 A KR 20220032323A KR 1020200113963 A KR1020200113963 A KR 1020200113963A KR 20200113963 A KR20200113963 A KR 20200113963A KR 20220032323 A KR20220032323 A KR 202200323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eld coil
- plate
- ground
- housing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EIPFZHSYJVQDO-UHFFFAOYSA-N ferric oxide Chemical compound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전방하우징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하는 필드코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는, 필드코일이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필드코일 하우징과, 상기 필드코일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필드코일 커넥터 및, 싱기 필드코일과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필드코일 접지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판은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상에서 상기 필드코일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접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조립 부품수 및 부품 가공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조립 부품수 및 부품 가공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압축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그 압축기의 구동원(예를 들어, 엔진)과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단속(斷續)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하여, 그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종래 압축기(1)의 필드코일 조립 구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압축기(1)는 크게 압축기구(미도시)가 내장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에 조립되고 상기 압축기구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풀리 조립체(3) 및, 상기 풀리 조립체(3) 및 상기 압축기구와 연결되며 동력 전달 여부를 조정할 수 있는 디스크 허브 조립체(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을 참고하면, 디스크 허브 조립체(4)는 필드 코일 조립체(8)가 내장되어 있으며, 필드 코일 조립체(8)는 전자력으로 디스크(미도시)가 풀리 조립체(3)에 탈착되며 동력 전달 여부를 조정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종래 필드코일 조립체(8)는 필드코일이 내장된 필드코일 하우징(8c)과, 필드코일 하우징(8c)의 중앙측에 형성된 중공부(8a) 및, 필드코일 하우징(8c)을 케이싱(2)의 돌출부(2d)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플랜지판(8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판(8b)에는 케이싱(2)에 결합된 필드코일 조립체(8)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엠보(8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드코일과 연결선(5a)으로 연결되고 + 단자를 구성하는 필드코일 커넥터(5)와, 필드코일과 연결선(6a)으로 연결되고 - 단자를 구성하는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코일 조립체(8)를 케이싱(2)에 조립하기 위해, 작업자는 돌출부(2d)에 필드코일 하우징(8c)을 삽입한다. 여기서 돌출부(2d)는 원통형의 중앙블록(2a) 및 중앙블록(2a)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지지블록(2b) 및 지지블록(2b)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리테이너홈(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8b)의 개구부에 지지블록(2b)이 끼워지며 결합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리테이너(9)를 삽입하여 리테이너(9)가 리테이너홈(2c)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리테이너홈(2c)을 측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리테이너홈(2c)에 리테이너(9)가 끼워지며, 플랜지부(8b)가 지지블록(2b)에 고정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조립 공정에서 필드코일 조립체(8)는 케이싱(2)에 결합되게 된다.
다음 도 6를 참고하면, 필드코일 커넥터(5)와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이 필드코일 하우징(8c)의 내부와 연결되며 필드코일과 + / - 단자로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을 참고하면, 종래에는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 조립의 경우, 케이싱(2)에 마련된 브라켓 결합부(2f)에 브라켓(7)의 체결홀(7a)을 볼트(6b)로 체결할 때,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의 홀을 함께 체결하였다.
그리고 필드코일 커넥터(5) 조립의 경우, 브라켓(7)에 필드코일 커넥터(5)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5b)를 길이방향으로 끼워 넣어서 조립한다.
최종적인 조립 형태는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립 방식에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 조립의 경우, 작업자가 와이어링 형태의 접지판을 가진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과 브라켓(7)을 함께 잡고 볼트(6b)로 한번에 체결해야 해서 조립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량마다 압축기 사양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의 와이어링 형태의 접지판과 브라켓(7)의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일관성이 없어 작업자가 각 형태마다 다른 작업부하가 발생하므로 조립시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 구조의 경우,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이 필드코일 조립체(8) 및 케이싱(2)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어, 파손 및 부식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6)이 볼트(6b) 하나로만 브라켓(7)에 결합되며 케이싱(2)에 접지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차량의 운행 중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볼트(6b)의 조임이 느슨해진다면, 접지 상태가 해제되어 필드 코일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의 접지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조립 부품수 및 부품 가공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접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방하우징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하는 필드코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는, 필드코일이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필드코일 하우징;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필드코일과 +단자를 형성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필드코일 커넥터; 및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을 관통하며 싱기 필드코일과 -단자를 형성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필드코일 접지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상에서 상기 필드코일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에서 상기 돌출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으로 신장된 내측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지판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과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 및 상기 전방하우징은 하나의 체결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구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진 지지블록; 상기 전방하우징상에서 상기 지지블록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블록판; 및 상기 지지블록판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판이 삽입되는 접지터미널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플랜지홀; 상기 접지판에 형성되는 접지판홀; 및 상기 접지터미널홈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체결구를 상기 플랜지홀과 상기 접지판홀 및 상기 체결홈을 결합하여,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과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 및 상기 전방하우징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판은 복수의 접지면을 통해 상기 돌출부에 접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터미널홈에 형성된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접지면; 및 상기 접지터미널홈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판에 형성된 제2 면에 접촉되는 제2 접지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접지터미널홈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된 제3 면에 접촉되는 제3 접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를 상기 전방하우징에 고정하는 커넥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브라켓은 사각 판 형상의 커넥터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 결합판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이 필드코일 하우징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작업자는 필드코일 하우징을 케이싱의 돌출부에 삽입하고 볼트체결하는 간편한 쉬운 공정으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을 케이싱에 접지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필드코일 하우징을 케이싱에 리테이너로 고정하는 조립 공정과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을 브라켓과 볼트를 이용하여 케이싱에 고정하여 접지시키는 조립 공정으로 나뉘어져 조립 공정이 다소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볼트로 필드코일 하우징과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 및 케이싱을 상호 고정하고 접지시킬 수 있어 조립공정이 단축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축된 조립 공정이 가능함에 따라 리테이너 부품의 제거, 리테이너홈 가공 공정 생략,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의 연결선 길이 단축 등 조립 부품수를 줄이고,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압축기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이 필드코일 하우징상에서 필드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종래 필드코일 조립체와 케이싱의 외측부에 배치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었던 파손 및 부식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립 구조에서는 필드코일 하우징에서 엠보가 삭제되는 경우에도,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을 고정할 때 사용되는 체결구로 필드코일 조립체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지판이 다수의 면을 통해 케이싱에 접지되므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압축기에서 필드코일 커넥터 및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압축기에서 필드코일 조립체의 조립 부품들과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개시된 돌출부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4는 필드코일 조립체와 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필드코일 조립체와 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
도 6은 종래 필드코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압축기에서 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압축기에서 필드코일 조립체의 조립 부품들과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압축기의 케이싱에서 돌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돌출부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인 필드코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인 필드코일 조립체에 엠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에 개시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압축기에서 필드코일 조립체의 조립 부품들과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개시된 돌출부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4는 필드코일 조립체와 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필드코일 조립체와 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
도 6은 종래 필드코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압축기에서 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압축기에서 필드코일 조립체의 조립 부품들과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압축기의 케이싱에서 돌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돌출부에 대한 부분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인 필드코일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인 필드코일 조립체에 엠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a 및 도 11b에 개시된 필드코일 접지 터미널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판식 압축기의 기본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판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한도내에서만 유효하다.
도 7을 참고하면, 사판식 압축기(10)에는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20)이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 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21)가 형성되며, 이 센터 보어(21)에는 샤프트(9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린더 블럭(20), 전방하우징(30) 및 후방하우징(40)을 포함하여 케이싱(6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센터 보어(21)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 보어(22)가 실린더 블럭(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70)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22)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며, 피스톤(7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보어(22) 내의 냉매가 압축된다. 실린더 보어(22)와 피스톤(70)은 압축실을 형성한다.
실린더 블럭(20)의 전방에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전방하우징(30)은 실린더 블럭(20)과의 대향면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럭(2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
전방하우징(30)의 전방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전자클러치(400)가 결합되고, 전자클러치(400)는 필드코일 조립체(100), 풀리 조립체(300)와 결속되는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는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하우징(30)의 전방에는 베어링에 의해 풀리 조립체(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가 필드코일 조립체(100)의 전자력에 의해 풀리 조립체(300)와 결속되면, 풀리 조립체(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샤프트(94)가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 블럭(2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40)이 결합된다. 이때, 후방하우징(40)에는 실린더 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후방하우징(40)의 외주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토출실(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구(미도시)는 후방하우징(40)의 일측에 형성되고, 후방하우징(40)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는 흡입실(42)과 연결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
이때, 실린더 블럭(20)과 후방하우징(4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50)가 개재되며, 토출실(41)은 밸브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된다.
또한, 샤프트(94)에는 로터(93)가 외주면에 배치되고, 로터(93)는 링크(95)에 의해 사판(91)과 연동되며, 사판(9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슈(62)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70)과 연결되고, 사판(9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0)은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냉매를 압축하는 사판(91), 슈(62), 피스톤(70), 실린더 보어(22), 밸브플레이트(50) 등을 포함하여 압축기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압축기(10)의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샤프트(94)에 대한 사판(91)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토출실(41)과 크랭크실(31)을 연통하는 유로의 개도가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사판식 압축기는 실린더 블럭(20)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 보어(22)가 샤프트(94)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른 바 방사 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판(91)이 회전하게 되면, 복수의 피스톤(70)이 운동을 하게 되어 유체를 압축하고, 유압에 의해 밸브도어가 개방되면서 밸브플레이트(5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실(41)로 압축된 유체를 밀어 내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압축기(10)의 실시예는 케이싱(60), 돌출부(32) 및 필드코일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한 도 7에 대한 설명부분을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하우징(30), 실린더블록(20), 후방하우징(40)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는 상기 케이싱(60)의 전방하우징(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에는 필드코일 조립체(100)와 함께 상술한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 및 풀리 조립체(300)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는 상기 돌출부(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자력 발생을 조정하여 엔진으로부터 풀리 조립체(300)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이 케이싱(6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10)구로의 전달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전자력을 발생시키면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가 풀리 조립체(300)에 접촉되고,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와 연결된 샤프트(94)로 회전 동력이 전달되며, 반대로 전자력을 제거하면 디스크 허브 조립체가 풀리 조립체(300)에 비접촉되면서 샤프트(94)로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11a을 참고하면, 이러한 전자력 발생을 위해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는 필드코일 하우징(110), 필드코일 커넥터(170) 및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의 원통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필드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의 중앙측에는 상기 돌출부(32)에 삽입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에서 상기 돌출부(32)를 바라보는 측에는 플랜지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판(120)에는 상기 중공부(111)의 내측으로 신장된 내측 플랜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둘레 일부에는 플랜지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판(120)의 중앙측에는 상기 돌출부(32)에 삽입되는 개구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170)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을 관통하며 상기 필드코일과 연결선(175)으로 연결되고, +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170)는 상기 케이싱(60)의 전방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방하우징(30)에는 브라켓 결합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브라켓(172)에는 브라켓홀(172b)가 가공되어 있고, 커넥터 볼트(171)를 브라켓홀(172b)과 브라켓 결합부(39)를 체결하여 커넥터 브라켓(172)을 전방하우징(30)에 고정한다.
여기서 커넥터 브라켓(172)에는 사각 판 형상의 커넥터 결합판(172a)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브라켓(172)의 상단에는 한 쌍의 끼움블록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블록을 상기 커넥터 결합판(172a)에 길이방향으로 끼워 넣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조로 필드코일 커넥터(170)는 케이싱(60)에 고정하고, 외부 전력원과 연결하여 + 단자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은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을 관통하며 상기 필드코일과 연결선(169)으로 연결되고, -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의 접지판(161)은 와이어링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돌출부(32)에 접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2)는 중앙블록(33), 지지블록(34) 및 지지블록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블록(33)의 중앙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블록(33)의 중앙측을 관통하며 샤프트(94)와 디스크 허브 조립체(200)가 상호 연결되게 된다.
상기 지지블록(34)은 상기 중앙블록(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이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에 형성된 개구부(127)가 상기 지지블록(34)의 외주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블록(34)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의 개구부(127)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판(35)은 상기 전방하우징(30)상에서 상기 지지블록(34)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블록판(35)은 상기 전방하우징(30)의 일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판(35)의 일부에는 접지터미널홈(37) 및 엠버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홈(37)은 상기 접지판(161)이 끼워져 조립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접지터미널홈(37)에는 체결홈(38)이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엠버홈(36)은 도 11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에 엠버(180)가 가공된 경우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11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에 엠버가 가공되지 않은 경우, 즉 엠버 가공 공정이 생략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블록판(35)에도 상기 엠버홈(36)을 가공하는 공정은 생략된다.
도 11a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2)에 결합된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1b에서와 같이 엠버(180)가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엠버(180)는 도 9에 개시된 엠버홈(36)에 삽입되며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11a에서와 같이, 엠버가 가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은 접지판(161), 접지판홀(162) 및 고정블록(1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판(161)은 고정블록(164)에 의해 상기 연결선(169)와 전기적인 연결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블록(164)의 형상은 상기 접지판(16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피스(164a)와 상기 연결선(169)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피스(164b) 및 상기 제1,2 고정피스(164a,164b)를 상호 연결하며 연결선(169)과 접지판(161)이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링크피스(164c)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접지판(161)은 와이어링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접지판(161)상에는 접지판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판(161)은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상에서 상기 필드코일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필드코일이 내장되어 있고, 이때 상기 플랜지판(120)은 상기 중공부(111)보다 내측으로 신장된 내측 플랜지부(125)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접지판(161)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에 배치되므로,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상에서 필드코일보다는 안쪽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에는 플랜지홀(126)이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홀(126)의 배치 위치는 상기 접지판홀(162)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판(161)에 형성된 접지판홀(162),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에 형성된 플랜지홀(126) 및 상기 접지터미널홈(37)에 형성된 체결홈(38)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하나의 체결구(190)로 체결하여,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 및 상기 전방하우징(3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엠버가 가공되어 있지 않더라도, 하나의 체결구(190)로 일체로 결합시키므로, 회전방지를 위한 엠버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하나의 체결구(190)로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 및 상기 전방하우징(30)을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체결구(190)로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을 상기 전방하우징(30)의 돌출부(32)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로 리테이너 부품이 필요없으며, 그에 따라 N 표시영역의 돌출부(32)에 리테이너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즉 조립 부품수가 줄어들고, 가공 공정이 단축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110)을 상기 전방하우징(30)에 조립하는 공정과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을 상기 전방하우징(30)에 접지 조립하는 공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였고,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을 상기 전방하우징(30)에 조립할 때는 작업자가 상기 접지판(161)과 상기 커넥터 브라켓(172)을 각각 잡고 커넥터 볼트로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접지판(161)을 상기 내측 플랜지부(125)로 배치되도록 하고, 하나의 체결구(190)로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축하였으며, 조립 작업의 용이성을 높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음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판(161)은 상기 전방하우징(30)과의 접지영역을 넓혀 차량 운행 중 진동 또는 충격 등의 경우에도 접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판(161)은 제1 접지면(161a), 제2 접지면(161b) 및 제3 접지면(16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면(161a)은 상기 접지판(161)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접지면(161b)은 상기 접지판(161)의 방사방향 둘레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접지면(161c)은 상기 접지판(161)에서 상기 개구부(127)를 바라보는 측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접지터미널홈(37)에는 제1 면(37a)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터미널홈(37)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판(35)에는 제2 면(37b)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터미널홈(37)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34)에는 제3 면(37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판(161)이 상기 접지터미널홈(37)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1 접지면(161a)은 상기 접지터미널홈(37)의 제1 면(37a)에 접지되고, 상기 제2 접지면(161b)은 상기 지지블록판(35)의 제2 면(37b)에 접지되며, 상기 제3 접지면(161c)은 상기 지지블록(34)의 제3 면(37c)에 접지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접지판(161)이 3면을 통해 각각 상기 접지터미널홈(37), 상기 지지블록판(35) 및 상기 지지블록(34)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볼트에 의해 브라켓에 접지되는 구조보다는 접지 상태를 유지하는 안정성은 높아지게 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 구조에 따르면 작업자는 필드코일 하우징(110)을 케이싱(60)의 돌출부(32)에 삽입하고 볼트체결하는 간편한 쉬운 공정으로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을 케이싱(60)에 접지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볼트로 필드코일 하우징(110)과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 및 케이싱(60)을 상호 고정하고 접지시킬 수 있어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축된 조립 공정이 가능함에 따라 리테이너 부품의 제거, 리테이너홈 가공 공정 생략,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의 연결선 길이 단축 등 조립 부품수를 줄이고,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압축기(10)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더하여,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이 필드코일 하우징(110)상에서 필드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종래 필드코일 조립체(100)와 케이싱(60)의 외측부에 배치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었던 파손 및 부식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립 구조에서는 필드코일 하우징(110)에서 엠보가 삭제되는 경우에도, 필드코일 접지터미널(160)을 고정할 때 사용되는 체결구(190)로 필드코일 조립체(100)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지판(161)이 다수의 면을 통해 케이싱(60)에 접지되므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압축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압축기
30:전방하우징
32:돌출부 33:중앙블록
34:지지블록 35:지지블록판
36:엠버홈 37:접지터미널홈
38:체결홈 39:브라켓 결합부
60:케이싱
100:필드코일 조립체 110:필드코일 하우징
111:중공부 120:플랜지판
121:플랜지홈 125:내측 플랜지부
126:플랜지홀 127:개구부
160:필드코일 접지터미널 161:접지판
161a:제1 접지면 161b:제2 접지면
161c:제3 접지면 162:접지판홀
164:고정블록 169:접지터미널 연결선
170:필드코일 커넥터 171:커넥터 볼트
172:커넥터 브라켓 172a:커넥터 결합판
172b:브라켓홀 175:커넥터 연결선
176:끼움블록
190:체결구
32:돌출부 33:중앙블록
34:지지블록 35:지지블록판
36:엠버홈 37:접지터미널홈
38:체결홈 39:브라켓 결합부
60:케이싱
100:필드코일 조립체 110:필드코일 하우징
111:중공부 120:플랜지판
121:플랜지홈 125:내측 플랜지부
126:플랜지홀 127:개구부
160:필드코일 접지터미널 161:접지판
161a:제1 접지면 161b:제2 접지면
161c:제3 접지면 162:접지판홀
164:고정블록 169:접지터미널 연결선
170:필드코일 커넥터 171:커넥터 볼트
172:커넥터 브라켓 172a:커넥터 결합판
172b:브라켓홀 175:커넥터 연결선
176:끼움블록
190:체결구
Claims (9)
-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방하우징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결합하는 필드코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코일 조립체는,
필드코일이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필드코일 하우징;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필드코일과 +단자를 형성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필드코일 커넥터; 및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을 관통하며 싱기 필드코일과 -단자를 형성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필드코일 접지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상에서 상기 필드코일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에서 상기 돌출부를 바라보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으로 신장된 내측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지판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과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 및 상기 전방하우징은 하나의 체결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개구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진 지지블록;
상기 전방하우징상에서 상기 지지블록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블록판; 및
상기 지지블록판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판이 삽입되는 접지터미널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플랜지홀;
상기 접지판에 형성되는 접지판홀; 및
상기 접지터미널홈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체결구를 상기 플랜지홀과 상기 접지판홀 및 상기 체결홈을 결합하여, 상기 필드코일 하우징과 상기 필드코일 접지터미널 및 상기 전방하우징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복수의 접지면을 통해 상기 돌출부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터미널홈에 형성된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접지면; 및
상기 접지터미널홈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판에 형성된 제2 면에 접촉되는 제2 접지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접지터미널홈의 둘레 일부를 따라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된 제3 면에 접촉되는 제3 접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를 상기 전방하우징에 고정하는 커넥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브라켓은 사각 판 형상의 커넥터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드코일 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 결합판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963A KR20220032323A (ko) | 2020-09-07 | 2020-09-07 | 압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963A KR20220032323A (ko) | 2020-09-07 | 2020-09-07 | 압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2323A true KR20220032323A (ko) | 2022-03-15 |
Family
ID=8081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3963A KR20220032323A (ko) | 2020-09-07 | 2020-09-07 | 압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2323A (ko) |
-
2020
- 2020-09-07 KR KR1020200113963A patent/KR20220032323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50551B2 (ja) | 2気筒回転式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 |
US6402483B1 (en) | Double-headed piston compressor | |
JPH08135752A (ja) | 動力伝達装置 | |
EP1091123B1 (en) | Housing for a swash plate compressor | |
KR20220032323A (ko) | 압축기 | |
KR102321486B1 (ko) | 스크롤 압축기 및 스크롤 압축기 제조방법 | |
US20200025197A1 (en) | Scroll compressor | |
US5802954A (en) | Reciprocating piston compressor | |
JP6879667B2 (ja) | 分割式ハウジングの位置決め構造、これを備えたスクロール圧縮機 | |
KR102040968B1 (ko) |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리어헤드 | |
JP2013204446A (ja) | 圧縮機 | |
CN113167262B (zh) | 斜盘式压缩机 | |
JP2014118923A (ja) | 圧縮機 | |
JP4638656B2 (ja) | 圧縮機 | |
WO2024142500A1 (ja) |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KR100225428B1 (ko) | 왕복 피스턴식 압축기 | |
KR101452501B1 (ko) | 압축기 | |
WO2024185233A1 (ja) |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 |
US12006933B2 (en) | Scroll compressor | |
EP3604736B1 (en) | Compressor and compressor system | |
EP1233180A2 (en) | Compressor housing | |
JP2943064B2 (ja) | 気体圧縮機の取付け構造 | |
CA2525814A1 (en) | Drive shaft for compressor | |
JPH09264254A (ja) | ピストン式圧縮機及びその組付方法 | |
JPS6155638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