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74A -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74A
KR20220032174A KR1020200113624A KR20200113624A KR20220032174A KR 20220032174 A KR20220032174 A KR 20220032174A KR 1020200113624 A KR1020200113624 A KR 1020200113624A KR 20200113624 A KR20200113624 A KR 20200113624A KR 20220032174 A KR20220032174 A KR 2022003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ied
rotation speed
drying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김영민
이정훈
문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174A/ko
Priority to EP21195174.4A priority patent/EP3964637A1/en
Priority to AU2021336460A priority patent/AU2021336460A1/en
Priority to CN202180055804.XA priority patent/CN116234954A/zh
Priority to US17/468,183 priority patent/US20220074120A1/en
Priority to US17/468,203 priority patent/US11939719B2/en
Priority to EP21195178.5A priority patent/EP3964638A1/en
Priority to AU2021335846A priority patent/AU2021335846A1/en
Priority to US17/468,165 priority patent/US20220074113A1/en
Priority to CN202180055247.1A priority patent/CN116324077A/zh
Priority to CN202180055246.7A priority patent/CN116194633A/zh
Priority to PCT/KR2021/012168 priority patent/WO2022050826A1/en
Priority to AU2021335847A priority patent/AU2021335847A1/en
Priority to EP21195185.0A priority patent/EP3964639A1/en
Priority to PCT/KR2021/012167 priority patent/WO2022050825A1/en
Priority to PCT/KR2021/012166 priority patent/WO2022050824A1/en
Publication of KR2022003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6Microwave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고 전력 인가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장 발생부는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매쳐를 포함하며, 드럼은 상기 양극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50 rpm 미만으로 하여 피건조물이 낙하하지 않고 드럼의 내주면을 다라 미끄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발생시켜 유전 가열을 통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건조기는 가열된 공기로부터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의류에 함유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의 증발을 유도하는 것으로, 비열이 낮은 공기로부터 이보다 비열이 큰 물로 열의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열 공기의 온도에 비해 실제 물의 온도 상승은 높지 않고, 소비된 전력에 비해 건조 성능이 낮다.
또한, 의류에 함유된 물이 증발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드럼 내의 기온이 섭씨 100도 이상의 고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온의 공기가 의류에 닿아 옷감의 변성,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건조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물을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시스템을 갖추기도 하는데, 이 경우 가열된 공기의 계속적인 배출로 드럼 내부의 온도 하강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히터 작동시간이 증가되고, 그로 인한 전력소비량과 건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흡수된 수분을 진동시켜 가열하는 고주파(RF) 의류 건조기가 개발되었다.
한편, 고주파(RF) 의류 건조기의 경우 RF 전원공급기의 장시간 사용 시 과열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피건조물을 섞어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RF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 상태로 드럼만 50rpm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원심력에 의하여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고, 회전 중에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력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KR2007-0056287A에는 열풍식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건조기에서는 건조 과정 중에 열풍이 피건조물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드럼을 50rpm으로 일정하게 회전시켰다.
이 경우, 피건조물은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드럼 내부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중력에 의하여 낙하운동을 하게된다. 이 경우, 피건조물이 낙하운동을 하면서 열풍과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건조 성능이 증가될 수 있으나, 피건조물이 수축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미국등록특허 US9447537B에는 전극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유전 가열하는 의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양극이 고정되고,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의 발명에서도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드럼이 정지한 상태에서 양극에 RF 전원이 인가된다. 드럼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하고, 임피던스 매칭 이후에는 계속적인 가열이 가능하여 빠른 속도로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 피건조물의 내부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여 국부 과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의류 내부의 국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90초 동안 피건조물을 가열한 후, RF 전류 공급을 중단하고 5초 동안 드럼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을 섞어주었다.
그러나, 피건조물을 섞어주는 과정에서 드럼의 원심력에 의하여 피건조물의 낙하운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의류가 수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피건조물을 섞는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낙하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수축을 감소시켜, 자연 건조와 비슷한 수준의 수축율을 제공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건조물에 이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건조물에 국부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전 가열 방식의 건조기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도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을 가열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고, 전력 인가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장 발생부는,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양극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50 rpm 미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의 반지름과 상기 교반 회전 속도(rad/s)의 제곱을 곱한 값은, 중력가속도 크기의 0.27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양극에 전력이 인가될 경우, 미리 설정된 건조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상기 건조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30rpm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건조물은,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양극을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양극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 단계; 및 상기 양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을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30rp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교반 회전 속도의 제곱은, 상기 드럼의 반지름에 반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반지름과 상기 교반 회전 속도(rad/s)의 제곱을 곱한 값은, 중력가속도 크기의 0.27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교반 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교반 시간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교반 시간은 3초 이상 7초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을 미리 설정된 건조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건조 회전 속도는 상기 교반 회전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 회전 속도가 0 초과, 7r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 단계 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하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이 상기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드럼의 회전 속도 범위를 설정하여 피건조물을 섞는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낙하하지 않고 드럼의 내주면을 다라 미끄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낙하운동을 방지하여 기계력에 의한 피건조물의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피건조물의 내부 온도를 50도 이하로 유지시켜 피건조물에 이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섞이면서 피건조물에 국부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극이 고정되고, 드럼이 회전하는 유전 가열 방식의 건조기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도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방패널과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후방패널을 분해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캐비닛을 분해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노치부를 일부 분해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기장 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기장 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적용한 시간에 따라 수축률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가 개시되고, 도 4에는 도 2에서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서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가 개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방패널과 상부패널 및 측면패널을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 개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후방패널을 분해한 상태의 후면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캐비닛을 분해한 상태의 정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기(1)의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0)은 세탁물 건조기(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전방패널(11)과, 후방면을 구성하는 후면패널(12)과, 측면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13)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부패널(14), 하면을 구성하는 하부패널(15)을 포함한다.
전방패널(11)에는 후술하는 드럼(2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 및 세탁물 건조기(1)의 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8)는 세탁물 건조기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9)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피건조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0)과, 드럼(20)에 공기를 공급하고,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덕트부(30)와, 드럼(20) 내부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전기장 발생부(40)가 구비된다.
드럼(20)은 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를 포함하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22), 및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드럼(20)은 캐패시터의 음극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2)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된 제1 고정바디(22a)와, 제1 고정바디(2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바디(22a)에는 덕트부(30)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22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22c)는 드럼 바디(21)의 내부 공기가 덕트부(30)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제 고정바디(2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는,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제2 고정바디(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지부(23)에는 제2 고정바디(23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내부를 캐비닛(10)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23b)가 형성된다.
드럼 바디(21)의 외주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만입 형성된 하나 이상의 노치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치부(24)에는 후술할 양극(41)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럼(20)의 구체적인 구조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5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구동부(50)가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드럼 모터(51), 드럼 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52), 풀리(52)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3)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측면패널(13)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R)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 및 벨트를 거치지 않고 드럼 모터(51)가 직접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도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구동부(5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덕트부(30)는 공기 배출구(22c)에 연결된 배기덕트(31)와, 공기 유입구(23b)에 연결된 공급덕트(32)를 포함한다.
배기덕트(31)는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일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순환팬(33)의 유동력에 의하여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덕트(31)는 공기 흡입관(31a), 팬 하우징(31b) 및 배기관(31c)을 포함한다.
공기 흡입관(31a)은 공기 배출구(22c)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로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기 흡입관(31a)은 공기 배출구(22c)에서부터 중력방향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흡입관(31a)은 전후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의 배관일 수 있다. 이때, 공기 흡입관(31a)의 하측 면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 배출구(22c)를 통과한 후 공기 흡입관(31a)의 내측 면에 응결된 물이 자중에 의하여 흘러내려 모일 수 있고, 후술할 순환팬(33)의 유동력에 의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관(31a) 내부에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팬 하우징(31b)는 공기 흡입관(3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후술할 순환팬(33)의 임펠러(33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 흡입관(31a)을 통과한 공기는 임펠러(33a)의 회전에 의하여 유동되어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기관(31c)은 일측은 팬하우징(31b)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후면패널(12)을 관통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팬 하우징(31b)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배기관(31c)을 통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덕트부(30)는 배기덕트(31)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33)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33)은 배기덕트(31)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33a)와, 임펠러(33a)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3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배기덕트(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임펠러(33a)는 배기관(31c)의 팬하우징(31b) 내부에 수용되어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덕트(32)는 드럼 바디(21) 외부의 공기를 드럼 바디(21)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일 수 있다. 공급덕트(32)는 공기 유입구(23b)와 연통되어 캐비닛(10) 내부와 드럼 바디(2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순환팬(33)이 구동되어 드럼 바디(21)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면, 드럼 바디(21) 외부의 공기는 공급덕트(32)를 통과하여 공기 유입구(23b)를 통하여 드럼 바디(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드럼(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실내의 공기는 물론, 가열된 공기 또는 모두의 조합일 수 있다.
전기장 발생부(40)는 드럼(20)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장 발생부(4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 분자를 진동시켜 가열(유전 가열) 증발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장 발생부(40)는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20)에 대하여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양극(41)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41)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기장 발생부(40)는 양극(41)과 연결되어 양극(41)에 소정 주파수의 전류를 공급하는 매쳐(42)를 포함할 수 있다. 매쳐(42)는 하부패널(15)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매쳐(42)는 양극(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주파수에 동조되도록 유도 계수나 전기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매쳐(42)는 고주파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쳐(42)는 가변 인덕터 및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쳐(42)에 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매쳐(42)에는 히트 싱크(미도시) 및 냉각팬(4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캐비닛(10) 내부의 공기가 히트 싱크를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할 수 있고, 이렇게 가열된 공기를 냉각팬(42a)이 캐비닛(10) 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다시 드럼(20) 내부로 유입되어 피건조물의 건조를 지원할 수 있다.
전기장 발생부(40)는 매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기(43)는 매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41)에 일정한 주파수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41)에 전원이 인가되면 드럼(20)의 내부에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기(43)는 RF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20)은 제어부(100)와 함께 매쳐(42)에 의해 고정 주파수의 전원공급기(43)에 연결되어 적절한 전력, 건조, 부하 크기, 및 건조 종료 시간 설정을 측정하고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원(21)의 바람직한 작동 주파수는 1 MHz 내지 50 MHz 범위에 있다.
전원공급기(43)에 의한 RF 전력 공급은 피건조물이 텀블링 및/또는 정지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의류 등의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린트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과부(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과부(F)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기장 발생부(40)는 제어부(1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18)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1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18)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 등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노치부를 일부 분해한 상태의 정면도가 개시되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기장 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전기장 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4, 도 5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에서의 양극(41)과 드럼(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은(20)은 드럼 바디(21), 제1 지지부(22), 제2 지지부(23), 노치부(24), 드럼 임펠러(25) 및 접지 전극(2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3)에 대해서는 상기의 설명과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럼 바디(2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피건조물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드럼 바디(21)는 원통 형태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치부(24)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드럼 바디(21)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드럼 바디(21)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노치부(24)와 결합되는 것은 물론, 노치부(2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노치부(24)는 원통 형태의 드럼 바디(21)의 외주면 일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치부(24)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드럼 바디(21)와 연결되는 연결부(24a) 및 연결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형성되어 양극(4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양극 수용부(2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치부(24)가 형성된 부분의 드럼(20)은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노치부(24)는 드럼(20)의 바깥쪽에서 볼 때, 드럼 바디(21)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의 형태일 수 있다.
드럼 바디(21)는 노치부(24)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드럼 바디(21)는 3개 구비되고, 노치부(24)는 2개 구비되며, 2개의 드럼 바디(21) 사이에 하나의 노치부(2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노치부(24)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노치부(24) 및 드럼 바디(21)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20)의 전체적인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노치부(24)에는 드럼 바디(21)의 내부를 캐비닛(10)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24c)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24c)를 통하여 드럼(20) 외부의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팬(33)이 구동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31)로 흡입되면, 드럼(20)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될 수 있고, 드럼(20) 외부의 공기는 노치부(24)의 공기 유입구(24c)를 통해 드럼(20)의 중공 내측으로 강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은 피건조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유도하여 추가적으로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양극(41) 및 매쳐(42)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냉각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드럼(2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럼 임펠러(25)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드럼 임펠러(25)는 일정한 간격(120도)으로 3개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16)는 드럼 바디(21)의 내주면 및 노치부(24)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드럼 바디(21)의 내주면 및 노치부(24)의 내측면에서부터 드럼(20)의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임펠러(25)는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드럼(20)이 회전할 경우 피건조물이 드럼 임펠러(25)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드럼(20)과 함께 소정 각도까지 회전한 후 자중에 의하여 하측 면으로 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자연스럽게 섞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드럼 임펠러(25)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교반될 수 있고, 피건조물의 텀블 운동이 커질 수 있으며, 피건조물이 드럼(2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흔들리면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드럼 임펠러(25)에 의하여 피건조물에 번칭(bunching)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회전하는 전도성 드럼(20)은 직접 회전 또는 용량성 커플링 연결에 의해 접지 전극(2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접지 전극(25)은 RF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 전극과 드럼 바디(21)의 연결은 이동 중에 연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접지 전극과 드럼 바디(21)의 연결은 회전 중이거나 정지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양극(41)은 양극 플레이트(41a), 공기 통과홀(41b), 지지프레임(41c), 결합 프레임(41d) 및 고정 패널(41e)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플레이트(41a)는 링 형태의 플레이트는 물론 링에서 소정 각도만큼 잘려진 호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양극 플레이트(41a)는 드럼 바디(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동심원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드럼(20)의 회전 축을 원점으로하여 120도 범위를 걸쳐 형성된 호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즉, 양극(41)은 3분의 1로 절단된 링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플레이트(41a)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양극 플레이트(41a)의 양측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결합 프레임(41d)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공기 통과홀(41b)은 양극 플레이트(41a)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노치부(24)의 공기 유입구(24a)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드럼(20) 외부의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팬(33)이 구동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31)로 흡입되면, 드럼(20)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될 수 있고, 드럼(20) 외부의 공기는 공기 통과홀(41b)를 통해 드럼(20)의 중공 내측으로 강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과홀(41b)을 통하여 공기가 양극 플레이트(41a)를 통과하면서 과열된 양극 플레이트(41a)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41c)은 양극 플레이트(41a)에서 중력 방향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c)은 하측에 배치된 배기관(31c)의 상측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41c)에 의하여 양극 플레이트(41a)는 지지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41d)은 한 쌍의 양극 플레이트(41a)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프레임(41d)은 일측 단부가 꺾인 납작한 바 형태로 형성되고, 꺾인 부분의 납작한 양 면에는 한 쌍의 양극 플레이트(41a)가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때, 결합 프레임(41d)의 꺾인 각도는 양극 플레이트(41a)의 양측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결합 프레임(41d)는 양극 플레이트(41a)의 양측 단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쌍의 양극 플레이트(41a)는 양측 단부가 결합 프레임(41d)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패널(41e)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결합프레임(41d)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패널(41e)은 양극 플레이트(41a)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 패널(41e)에 의하여 복수 개의 양극 플레이트(41a)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드럼(20)이 회전하더라도 드럼(2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양극(41)은 드럼(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드럼 바디(21) 및 노치부(24)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양극(41)은 드럼 바디(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노치부(24)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양극(41)은 피건조물이 드럼(20) 내부에 놓일 경우, 드럼 바디의 하부에 모이더라도 피건조물에 충분한 전기장을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41)은 드럼 바디(21)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 형성된 노치부(24)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41)은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된 노치부(24)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양극(41)은 한 쌍의 고정 패널(41e)에 고정되어 그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양극(41)과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 바디(21)의 외주면이 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양극(41)의 폭과 둘레 길이 및 이들의 비율은 변경 가능하다.
양극(41)은 베어 메탈 또는 절연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절연체는 양극(41) 상에 도장될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드럼(20)은 전도성 재료, 즉 금속, 또는 전도성 층으로 코팅된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드럼(20)의 노치부(24)는 양극(41)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양극(41)은 공간적으로 고정되고, 드럼(20)은 회전할 수 있다. 드럼(20)은 회전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드럼(20)은 양극(41)과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회전 속도를 바꿀 수 있다.
즉, 양극(41)과 드럼(20)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피건조물(의류)은 고정된 양극(41)과 회전하는 전도성 드럼(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41)은 노치부(24)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드럼 바디(21)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드럼 바디(21)의 외주면과 양극(41)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원공급기(43)를 통하여 RF 전력이 인가되면 양극(41)과 드럼(20) 사이의 전기장은 노치부(24)를 전기적으로 관통하여 드럼(2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고, 피건조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은 전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가열되어 증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41)은 드럼(20)과의 관계에서 피건조물의 건조에 필요한 전기장을 유지하여 RF(radio frequency) 용량성(capacitive) 커플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20)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parasitic capacitance)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교적 낮은 RF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양극(41)에는 10MHz 이상 15MHz 이하의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건조물이 드럼(20)과 양극(41)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생 용량은 피건조물 자체의 커패시턴스와는 무관하고, 양극(41)과 드럼(20) 사이의 임의의 커패시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용량성 회로(capacitive circuit)에서 피건조물의 반전도성 (습윤)부하를 통해 AC 전류 흐름을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된 양극(41)과 회전하는 드럼(20) 사이에서 단일 주파수의 RF 생성 전류를 인가하여 피건조물을 유전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는 입력부(118) 및 표시부(119)와 신호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118)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부(118)는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00)에 송신하고, 제어부(100)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19)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의 부하, 건조 진행 상환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부에 송신하여 표시부(119)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센서부(101) 및 도어 개폐부(102)와 연결된다. 센서부(101)는 피건조물의 온도, 드럼(20) 내의 공기의 유동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102)는 드럼(20)에 대하여 도어(112)의 개폐 여부를 제어부(100)에 알리고, 도어(112)가 닫힌 경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여부를 제어부(100)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도어(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도어 개폐부(102)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도어가 닫힌 경우 선택적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를 구동시켜 드럼(20)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드럼(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드럼(20)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제어부(100)에 의해 추적될 수 있다. 이는 피건조물에서 점차 물이 증발함에 따라 건조 주기 동안 최적의 전력 튜닝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00)는 임펠러 모터(33b)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임펠러 모터(33b)를 구동시켜 순환팬(33)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순환팬(3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드럼(20) 내부의 공기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자기장 발생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전원공급부(43)를 제어하여 양극(4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매쳐(42)를 제어하여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에 안정적인 전기장을 인가하여 피건조물을 유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에 최적의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RF 전력, 임피던스(Z), RF 반사 계수, VSWR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러한 측정을 사용하여 상기 부하의 유형, 크기 및 습윤, 및 상기 건조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한 최적의 시간을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건조가 시작되기 전 그리고 건조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신호는 상기와 같이 표시부(119)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알리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SM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 전화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건조 준비 단계(S10), 부하 감지 단계(S20), 건조 단계(S30), 교반 단계(S40) 및 쿨링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준비 단계(S10)에서는 피건조물이 드럼(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의하여 건조 코스가 설정될 수 있다. 피건조물이 드럼(20)의 내부로 투입되면 중력에 의하여 드럼(20)의 바닥에 놓이게 되고, 피건조물은 양극(41)에 인접하게 배치된 노치부(24)와 전도성을 갖는 드럼 바디(21)에 접촉하게 된다.
건조 준비 단계(S10)에서 사용자가 피건조물의 소재 및 양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부(118)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고, 입력부(118)는 이 정보를 제어부(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에는 피건조물의 소재별 기화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의 소재 및 크기에 따라 피건조물에 인가시키는 에너지량을 설정할 수 있다.
부하 감지 단계(S20)에서는 피건조물의 부하를 감지하여 포량을 판단할 수 있다.
포량의 판단은 드럼(20)이 회전하는 중에 드럼 모터(51)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드럼 모터(51)에 작용하는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이 소정의 포량 감지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경우, 드럼 모터(51)에는 포량이 클수록 더 큰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며, 따라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드럼 모터(51)의 전류값을 바탕으로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부하 감지 단계(S20)에서는, 드럼(20)이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wm)로 회전할 수 있다. 교반 회전 속도(wm)에 대해서는 교반 단계(S4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00)에는 피건조물의 소재에 따른 함수율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건조 준비 단계(S10) 또는 부하 감지 단계(S20)를 통하여 수집된 피건조물의 소재 및 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피건조물에 인가되는 에너지량에 따라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예측되는 수분의 증발 시간을 표시부(119)에 송신할 수 있고, 표시부(119)는 예측 시간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양극(41)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드럼(20)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을 유전 가열(dielectric heat)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양극(41)에 전원을 인가시켜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20)과의 관계에서 전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RF 전력이 드럼(20)과 피건조물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양극(41)에 인가되는 전류는 매쳐(42)에 의하여 소정 주파수로 유지될 수 있고, 매쳐(42)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고주파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가 매칭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매쳐(42) 및 전원공급기(43)를 제어하여 적절한 전력, 건조, 부하 크기, 및 건조 종료 시간을 측정하고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원(21)의 바람직한 작동 주파수는 1 MHz 내지 50 MHz 범위에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양극(41)은 드럼(20)과의 관계에서 피건조물의 건조에 필요한 전기장을 유지하여 RF(radio frequency) 용량성(capacitive) 커플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음극 역할을 하는 드럼(20)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parasitic capacitance)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교적 낮은 RF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양극(41)에는 10MHz 이상 15MHz 이하의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용량성 회로(capacitive circuit)에서 피건조물의 반전도성 (습윤)부하를 통해 AC 전류 흐름을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41)과 드럼(20) 사이에서 단일 주파수의 RF 생성 전류를 인가하여 피건조물을 유전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건조 시간(td)동안 양극(41)에 RF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80초 이상 100초 이하의 시간동안 양극(41)에 RF 전력을 인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초의 시간동안 양극(41)에 RF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유전 가열 방식의 건조기에서는 양극에 전원이 인가되면, 드럼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었다. 이는 건조 시작 시, 매쳐가 한번 임피던스 매칭을 하면 이후에는 계속적인 가열이 가능하여 빠른 속도로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피건조물의 내부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피건조물 내부에서 국부 과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피건조물이 염색되어 있는 합성섬유인 경우에는 국부 과열로 인하여 이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합성섬유의 경우 섭씨 5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90초간 건조 후, 5초 동안 드럼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을 섞어주었으나, 피건조물 내부의 열이 충분히 빠져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유전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건조 싸이클이 진행될수록 피건조물의 내부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한계가 있었다.
피건조물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면, 종래 유전 가열 방식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였을 때의 피건조물 내부의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다. 드럼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90초의 시간동안 RF 전력을 인가하고, 5초 동안 RF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36 싸이클 반복한 결과 피건조물 내부의 온도는 섭씨 145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충분히 내부의 열을 배출한 후에 가열하는 경우에는 다시 유전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 및 시간의 소모가 크므로 건조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에 대한 가열을 유지하면서도 국부 과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양극(4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드럼(20)을 회전시킨다. 즉,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건조 회전 속도(wd)로 드럼(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부하 감지 단계(S20)에서의 드럼(20)의 회전 속도 또는 후술할 교반 단계(S40)에서의 드럼(20)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다.
구체적으로, 건조 단계(S30)에서 드럼(20)의 회전 속도 범위는 2가지 관점에서 정할 수 있다.
먼저, 건조 단계(S30)에서 국부 과열이 발생되지 않는 드럼(20)의 회전 속도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피건조물에 이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건조물의 온도를 섭씨 50도 이하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가열 시간당 온도 증가량을 낮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단위 시간당 온도 증가량은 다음의 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때, ΔT는 온도 증가량(℃)을 의미하고, Δt는 가열 시간(초)을 의미한다. 또한, Cp는 유전체의 비열(J/kg·K), f는 주파수(Hz), ρ는 유전체의 밀도(kg/㎥), ε0는 진공상태에서의 유전상수를 나타낸다.
한편, Pv는 유전체에 따라 단위 부피당 흡수하는 전력으로 다음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때, ε"는 손실 계수(relative electric loss factor)를 의미하고, E는 전자 밀도를 의미한다.
여기에, 드럼(20)의 회전에 따른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상기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결합시키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pat00003
외기의 온도가 섭씨 20도일 때, 피건조물의 온도를 섭씨 50도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온도 변화가 30도 이하여야한다. 따라서, 건조 단계(S30)에서의 드럼(20)의 최소 회전속도는 다음의 식에 의하여 정해진다.
Figure pat00004
이때, θ(rad)는 양극(41)이 드럼(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각도를 의미하고, α는 드럼(20)의 회전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드럼(20)의 회전속도는 양극(41)이 드럼(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지하고 있는 각도에 비례한다.
일 예로, 13.56MHz의 주파수를 가진 4000W의 RF 전력을 양극에 인가하고, 호 형태의 양극(41)이 드럼(20)을 감싸는 각도(범위)가 120도(2/3π)이면 본 발명의 건조 단계(S30)에서의 최소 회전 속도는 1.6rpm이다. 그리고, 드럼(20)의 최소 회전 속도(α)가 θ(rad)에 비례하는 것을 고려하면, 드럼(20)을 감싸는 양극(41)의 각도와 드럼(20)의 최소 회전 속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비례식이 성립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즉, 드럼(20)의 최소 회전 속도는, 드럼(20)의 회전축을 원점으로 양극(41)이 드럼(20)을 둘러싸는 각도에 12/5π배이다.
한편,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20)의 회전 속도를 7rpm 이하로 유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전 가열 방식의 RF 건조기에서는 드럼(2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부하가 증가하고, 매쳐(42)는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드럼(20)의 회전 속도가 7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건조물 내부가 유전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양극(41)이 드럼(20)을 둘러싸는 각도의 12/5π배 이상, 7rpm 이하의 회전 속도로 드럼(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피건조물 내부를 유전 가열하여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면서도 피건조물의 온도를 섭씨 50도 이하로 유지시켜 이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 단계(S30)에서는 드럼(20)의 회전에 의하여 피건조물은 적어도 1회 이상 드럼 임펠러(25)와 접촉될 수 있고, 드럼 임펠러(25)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섞이면서 국부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순환팬(33)을 구동시켜 드럼(20) 내부에 존재하는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드럼(20) 외부의 공기를 드럼(2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피건조물의 수증기의 증발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과열된 양극(41) 및 매쳐(42)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건조 단계(S30)에서 제어부(100)는 센서(101)를 통하여 피건조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피건조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드럼(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피건조물의 내부 온도를 50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양극(4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드럼(20)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을 섞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건조 단계(S30)에서 인가 중이던 전원을 차단하여 유전 가열을 중단시키고, 드럼(20)을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wm)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원공급기(43)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피건조물을 섞어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교반 단계(S40)에서의 드럼(20)의 회전 속도는 건조 단계(S30)에서의 드럼(20)의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드럼(20)을 회전시킨다. 즉, 건조 회전 속도(wd)는 교반 회전 속도(wm)보다 작다.
한편, 종래의 열풍 공급 방식의 건조기는 건조 과정 중에 열풍이 피건조물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드럼을 50rpm으로 일정하게 회전시켰다.
이 경우, 피건조물은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드럼 내부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중력에 의하여 낙하운동을 하게된다. 이 경우, 피건조물이 낙하운동을 하면서 열풍과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건조 성능이 증가될 수 있으나, 기계력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는 달리, 피건조물 내부가 가열되는 유전 가열 방식의 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을 섞어 균일하게 가열할 필요는 있으나, 피건조물의 수축을 유발하는 낙하운동을 발생시킬 필요는 없다.
즉, 유전 가열 방식의 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을 섞는 과정에서 피건조물이 낙하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건조물의 수축을 감소킬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 모터(51)를 제어하여 드럼(20)을 50rpm 미만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 단계(S40)에서 교반 회전 속도(wm)는 50rpm 미만이다.
구체적으로, 교반 단계(S40)에서 피건조물이 낙하운동하지 않고,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는 교반 회전 속도(wm)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의 명령에 의하여 드럼 모터(51)가 구동되면, 드럼(2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피건조물은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즉, 드럼(20)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드럼(20) 내부에 피건조물이 투입되면, 중력에 의하여 피건조물은 드럼(20) 내부 중에서 지면에 가까운 부분으로 모인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적어도 일부는 드럼(20)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또한, 피건조물의 자중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드럼(20)의 내주면을 누르는 상태가 된다.
드럼(20)이 회전을 시작하면, 피건조물과 접촉되고 있던 드럼(20)의 내주면이 회전을 시작한다. 이때, 중력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드럼(20)의 내주면을 누르는 힘 또는 관성력에 의하여 피건조물도 드럼(20)의 내주면과 함께 드럼(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피건조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속도는 드럼(20)의 속도일 수 있다. 다만, 피건조물은 중력, 공기저항 등에 의하여 그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드럼(20)의 반지름을 r 이라고 할 때, 교반 회전 속도(wm)로 회전하는 드럼(20)에 수용되는 피건조물의 최대 속도(v)는 드럼(20)의 반지름(r)과 교반 회전 속도(wm)의 곱과 같다(v=r×wm).
그러므로, 피건조물의 질량을 m 이라고 할 때, 교반 단계(S40)에서의 피건조물의 최대 운동에너지(Ek)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6
한편, 드럼(20)의 회전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중력 방향 상측으로 이동하면, 드럼(20) 내부 중에서 지면에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피건조물이 이동된 위치까지의 높이차(h)에 의하여 위치에너지(Ep)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건조물이 드럼에 의하여 이동되었을 경우의 위치에너지(Ep)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이때, 피건조물이 하방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위치에너지(Ep)가 운동에너지(Ek)보다 커야한다(Ep>Ek).
Figure pat00008
또한 위치에너지(Ep)가 운동에너지(Ek)보다 크다고 하더라도 그 지점이 드럼(20) 내부에서 너무 높은 위치일 경우에는 중력에 의한 낙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높이(h)에서 위치에너지(Ep)가 운동에너지(Ek)보다 커져야 한다. 즉, 드럼(20)의 단면(원)을 기준으로 생각할 때, 피건조물의 일부라도 드럼(20)의 상측 반원 구역까지 이동될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낙하운동이 발생되므로, 피건조물 전체가 드럼(20)의 하측 반원 구역에서 위치에너지(Ep)가 운동에너지(Ek)보다 커져야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41)이 드럼(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12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고, 양극(41)의 범위를 내에서 피건조물의 가열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피건조물은 드럼(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최대 120도 범위에 퍼져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60도 범위에 퍼져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피건조물이 드럼(20)의 하측 반원 구역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피건조물은 드럼(2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30도 범위 내에서만 이동되어야한다.
이때의 높이(h)를 드럼(20)의 반지름(r)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9
그러므로, 상기의 식들을 정리하면, 교반 회전 속도(wm)는 다음과 같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10
즉, 교반 회전 속도의 제곱은, 상기 드럼의 반지름에 반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반지름과 상기 교반 회전 속도(rad/s)의 제곱을 곱한 값은, 중력가속도 크기의 0.27배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의 반지름(r)이 30cm라고 하면, 교반 회전 속도(wm)는 약 28.4 rpm일 수 있다.
다만, 상기의 범위는 피건조물이 중력, 공기저항 등에 의하여 그 속도가 감소되지 않았을 경우를 의미하며, 피건조물의 이동 속도가 중력, 공기저항 등에 의하여 그 속도가 감소할 경우에는 교반 회전 속도(wm)를 증가시킨다고 하더라도 피건조물의 낙하운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회전 속도의 차이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피건조물의 낙하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교반 회전 속도(wm) 30rp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피건조물은 드럼(20)이 교반 회전 속도(wm)로 회전할 때,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적용한 시간에 따라 수축률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래프에는 전체 구간에서 30 rpm 이하(0분), 초기 20분 50 rpm 이후 30rpm 이하, 초기 40분 50 rpm 이후 30 rpm 이하, 그리고 전체 구간(80분)에서 50 rpm 으로 드럼을 회전시켰을 때, 면 소재의 의류 수축률이 표시되어 있다.
즉, 드럼을 50 rpm으로 회전시켜 낙차 운동이 발생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수축률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교반 단계(S40)에서 드럼(20)을 30 rpm 이하로 구동하면, 종래에 4~5% 정도이던 피건조물의 수축률이 1.5 % 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피건조물의 낙하운동을 방지하여 기계력에 의한 피건조물의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순환팬(33)을 구동시켜 드럼(20) 내부에 존재하는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드럼(20) 외부의 공기를 드럼(2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피건조물의 수증기의 증발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과열된 양극(41) 및 매쳐(42)를 냉각시킬 수 있다.
교반 단계(S40)에서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교반 시간(tm)동안 RF 전력의 인가를 중단시키고 드럼(20)만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3초 이상 7초 이하의 시간동안 RF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드럼(20)만 회전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초의 시간동안 RF 전력 인가를 중단하고 드럼(20)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건조 단계(S30) 및 교반 단계(S40)는 미리 설정된 수준의 건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된다(S50). 이때, 건조 준비 단계(S10)에서의 피건조물의 부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준까지 부하가 감소하였는지 여부로 건조 수준을 판단할 수 있고, 또한, 드럼 내부의 온도 변화 또는 습도를 통하여 건조 수준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소재별 열용량 및 인가되는 RF 전력을 고려하여 건조에 필요한 시간을 연산하여 건조 수준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건조 단계(S30) 및 교반 단계(S40)는 1시간 동안 36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쿨링 단계(S60)에서 제어부(100)는 피건조물이 미리 설정된 건조 수준에 도달하면 피건조물을 쿨링한다. 쿨링이란, 전기장 발생부(40)를 작동하지 않고, 순환팬(33)을 사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100) 피건조물이 미리 설정된 건조 수준에 도달하면, 소정 시간동안 순환팬(33)을 구동시키고, 드럼(20)을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이 드럼(20)을 따라 회전되고, 순환팬(33)에 의해 형성된 공기 유동에 따라 피건조물이 건조된다.
쿨링 단계(S60)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전체적인 건조 과정이 종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세탁물 건조기
10 : 캐비닛
20 : 드럼
21 : 드럼 바디
24 : 노치부
25 : 드럼 임펠러
30 : 덕트부
31 : 배기덕트
33 : 순환팬
33b : 임펠러 모터
40 : 전기장 발생부
41 : 양극
42 : 매쳐
43 : 전원공급부
50 : 구동부
51 : 드럼 모터
100 : 제어부

Claims (1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고, 전력 인가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장 발생부는,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매쳐;
    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양극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50 rp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반지름과 상기 교반 회전 속도(rad/s)의 제곱을 곱한 값은, 중력가속도 크기의 0.2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양극에 전력이 인가될 경우, 미리 설정된 건조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상기 건조 회전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30r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6.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고, 전력 인가 시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장 발생부는,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의 소스 임피던스와 부하 측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매쳐;
    를 포함하며,
    상기 피건조물은,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7.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양극을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양극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 단계; 및
    상기 양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교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을 미리 설정된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되, 상기 교반 회전 속도는 0 초과, 30r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회전 속도의 제곱은,
    상기 드럼의 반지름에 반비례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반지름과 상기 교반 회전 속도(rad/s)의 제곱을 곱한 값은,
    중력가속도 크기의 0.2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교반 시간동안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교반 시간은 3초 이상 7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을 미리 설정된 건조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건조 회전 속도는 상기 교반 회전 속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 회전 속도가 0 초과, 7r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 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 감지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드럼이 상기 교반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200113624A 2020-09-07 2020-09-07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20032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24A KR20220032174A (ko) 2020-09-07 2020-09-07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EP21195174.4A EP3964637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AU2021336460A AU2021336460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CN202180055804.XA CN116234954A (zh) 2020-09-07 2021-09-07 衣物干燥机及衣物干燥机的控制方法
US17/468,183 US20220074120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US17/468,203 US11939719B2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EP21195178.5A EP3964638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AU2021335846A AU2021335846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US17/468,165 US20220074113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CN202180055247.1A CN116324077A (zh) 2020-09-07 2021-09-07 衣物干燥机及衣物干燥机的控制方法
CN202180055246.7A CN116194633A (zh) 2020-09-07 2021-09-07 衣物干燥机及衣物干燥机的控制方法
PCT/KR2021/012168 WO2022050826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AU2021335847A AU2021335847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EP21195185.0A EP3964639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PCT/KR2021/012167 WO2022050825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PCT/KR2021/012166 WO2022050824A1 (en) 2020-09-07 2021-09-07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24A KR20220032174A (ko) 2020-09-07 2020-09-07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74A true KR20220032174A (ko) 2022-03-15

Family

ID=8081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24A KR20220032174A (ko) 2020-09-07 2020-09-07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402B2 (en) Dielectric dryer drum
EP3839132B1 (en) Fixed radial anode drum dryer
EP2612967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066778B2 (en) Hybrid RF/conventional clothes dryer
EP293877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high frequency drying apparatus
JP2004135998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EP2935686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system for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KR20200073064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6393725B1 (en) Compact microwave clothes dryer and method
KR20220032174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120079797A (ko)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US11939719B2 (en)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rying machine
KR20200073063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32172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20032173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JP5974290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20033684A (ko) 세탁물 건조기
CN212357748U (zh) 一种具有滚筒的电器设备
WO2021098942A1 (e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vapor and/or mist and/or aerosol generator
KR20200073061A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RU2774542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МЕЮЩИМ ФУНКЦИЮ СУШКИ (варианты)
EP412308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2004329352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