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853A -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853A
KR20220031853A KR1020200113443A KR20200113443A KR20220031853A KR 20220031853 A KR20220031853 A KR 20220031853A KR 1020200113443 A KR1020200113443 A KR 1020200113443A KR 20200113443 A KR20200113443 A KR 20200113443A KR 20220031853 A KR20220031853 A KR 2022003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oduct
height
display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코팩
Priority to KR102020011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853A/en
Publication of KR2022003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8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2External coverings o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2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dvertising plate made of a corrugated plastic box for a display stand of a large discount sto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a disclosed embodiment, an advertising plate made of a corrugated plastic box material rather than paper is proposed. When made using a corrugated plastic box, an advertising plate is convenient to transport and store, and is not easily damaged or faded, thereby being used again for the same advertisement or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n a store.

Description

단프라박스 소재의 대형할인점 매대용 광고판 및 그 제조방법{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An advertisement board for a large discount store made of Danpla box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단프라박스 소재의 대형할인점 매대용 광고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board for a large discount store made of danpla box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국내에서, 창고형 대형 할인점은 기존에 코스트코와 같이 외국계 기업이 존재하였을 뿐이나, 그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같이 국내 기업들 또한 창고형 대형 할인점을 늘려나가고 있다. 특히 온라인 판매가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들의 매출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에도, 창고형 할인점은 특유의 경쟁력으로 오히려 성장하고 있다.In Korea, there were only foreign companies like Costco for large warehouse-type discount stores, but as their popularity increases, domestic companies such as E-Mart Traders are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s. In particular, although the sales of offline stores are declining due to the increase in online sales, warehouse-type discount stores are rather growing with their unique competitiveness.

단, 창고형 할인점의 경우 기존의 대형마트와는 제품의 디스플레이 및 판매 방식이 상이하다. 따라서, 창고형 할인점에 특화된 제품 박스 및 광고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warehouse-type discount stores, the display and sales methods of produc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large marts.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product box and an advertisement method specialized for a warehouse-type discount sto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프라박스 소재의 대형할인점 매대용 광고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board for a large discount store kiosk made of danpla box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단프라박스 소재의 대형할인점 매대용 광고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안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illboard for a large discount store made of Danpla box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pos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창고형 대형 할인점에 특화된 포장박스 및 광고판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제품 시인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보관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y providing a packaging box and a billboard specialized for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product visibility and convenience for consumers, and improving product storage and safet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창고형 대형 할인점을 위한 포장 기획, 디자인 및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1차 포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가 중첩되는 창고형 대형 할인점의 판매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디스플레이 박스와 함께 이용되는 광고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대용량의 제품을 담기 위한 큰 사이즈의 박스인 몬스터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지부를 갖는 1차 포장박스 및 이를 보관할 수 있는 2차 포장박스의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aging planning,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imary packag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box including a suppor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ales stand of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overla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illboard used together with a display box.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nster box, which is a box of a large size for containing a large-capacity product.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lot structure of a primary packaging box having a support portion and a secondary packaging box capable of sto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창고형 대형 할인점을 위한 포장 기획, 디자인 및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aging planning,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기획 단계에서, 국내외 자료조사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제품의 포장 기획과 디자인을 구상한다. 이후 기획된 패키지를 2D 및 3D 데이터화하여,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시뮬레이션하며 디자인을 완료한다. In the planning stage, the product packaging planning and design are conceiv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data research databases. After that, the planned package is converted into 2D and 3D data, and the design is completed by simulating it in the same way as in reality.

완료된 디자인은 연계된 생산공정을 통해 샘플제작 및 전체 제작(양산)과정을 거치게 되며,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금형 설계 후 양산한다.The completed design undergoes sample production and overall production (mass production) through the linked production process, and in the case of plastic materials, it is mass produced after designing the mold.

완성된 포장은 제품을 넣어 밀봉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되거나, 물류센터로 이송되어 할인점 배치를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된다.The finished packaging is completed through the process of putting the product and sealing it, or it is transported to the distribution center to complete the preparation for discount store placement.

개시된 실시 예에서, 포장은 제품을 직접적으로 포장하는 1차 포장과, 포장된 제품을 수납, 보관, 이송함은 물론 할인점에서 제품을 디스플레이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 2차 포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된다.In the disclosed embodiment, packaging is understood to include primary packaging for directly packaging the product, and secondary packaging configured to store, store, and transport the packaged product, as well as display and sell the product at a discount store. do.

도 2 및 도 3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1차 포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imary packag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제품을 Pet(GAG) 패키지 속에 안착하고, 고주파, 저주파로 적찹하여 포장하는 클램쉘(Clamshall) 포장방법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 a clamshall packaging method is shown in which the product is seated in a Pet (GAG) package, and packed with high and low frequencies.

도 3을 참조하면, 제품을 Pet(GAG) 패키지 속에 안착하고, 외부에서 종이를 풀접착, 열접착하여 포장하는 블리스터(Blister) 포장방법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 a blister packaging method is shown in which the product is seated in a Pet (GAG) package, and the paper is glued and heat-bonded from the outside to be packaged.

이러한 1차 포장과정은, 디스플레이 및 상품설명 직원이 적은 창고형 대형 할인점에서 소비자가 제품의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 측면이 투명한 소재(예: 플라스틱)로 구성되도록 하고, 부피를 줄이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구성된다.This primary packaging process ensures that at least one sid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g plastic)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check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n a large discount store with few display and product description staff, reducing the volume and preventing theft.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sealing using heat or adhesive to prevent i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1차 포장된 제품은, 복수의 제품을 수납, 보관하고, 이송하며, 할인점에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작업 없이도 박스채로 디스플레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 2차 포장과정을 거치게 된다.A secondary packaging process configured to store, store, and transport a plurality of products, and to display and sell the products primarily packaged according to the method shown in FIGS. 2 and 3 without a separate display operation at a discount store. will go through

2차 포장의 경우 수납, 보관, 이송 및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강도와 내구성이 강해야 하며, 또한 복수의 2차 포장 박스가 서로 중첩되어 보관 및 판매되므로, 아래쪽에 있는 박스 및 그 내부의 제품이 위쪽에 있는 박스의 무게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구조를 갖추어야 한다.In the case of secondary packaging, strength and durability must be strong so that the product is not damaged during storage, storage, transport and display. Also, since a plurality of secondary packaging boxes are stored and sold overlapping each other, A support structure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box above it.

또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소비자가 제품을 쉽게 발견하고, 관찰하며,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쉽게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2차 포장은 각 부분의 모양과 크기, 비율 등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packaging needs to optimize the shape, size, and proportion of each part because it must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consumers to easily discover, observe, and purchase products while satisfying these conditions. .

또한, 창고형 대형 할인점의 경우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홍보직원 없이도 홍보를 가능케 하는 광고판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이하에서는, 창고형 대형 할인점용 2차 포장 및 광고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warehouse-type discount store, it is essential to use a billboard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consumers and enables publicity without a PR staff member. Hereinafter, secondary packaging and billboards for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박스는 1차 포장된 제품을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슬롯과, 박스 전면부의 일 측면에 제품을 확인하고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box includes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a primary packaged product can be inserted,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ox to check and take out the product.

디스플레이 박스의 가로 길이는 제품의 가로 길이에 따라, 제품을 슬롯에 삽입하여 세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display box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by inserting the product into the slot accor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duct.

반면, 디스플레이 박스의 세로 길이(B)는 제품의 높이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품의 높이보다 소정의 값만큼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박스의 슬롯의 높이(C)는 박스의 세로 길이(B)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으나, 박스의 세로 길이(B)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의 높이(C)는 박스의 세로 길이(B)의 절반 이상, 혹은 절반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length B of the display box may be design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product, but may be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roduct by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he height (C) of the slot of the display box may be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vertical length (B) of the box, but may be designed to be lower than the vertical length (B) of the box. For example, the height (C) of the slot may be designed to be half or more or less than half of the vertical length (B) of the box.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박스 위에 다른 디스플레이 박스가 중첩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최상단의 디스플레이 박스에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꺼내어 구매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박스의 높이(B) 와 슬롯의 높이(C)는 동일하게 설계되거나, 슬롯의 높이(C)가 박스의 높이(B)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box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other display boxes do not overlap, or when consumers take out a product from the topmost display box and want to place it so that they can purchase it, the height of the box (B) and the height of the slot (C) ) may be designed identically, or the height (C) of the slot may be designed to be at least half of the height (B) of the box.

또한, 박스의 높이(B)는 제품의 높이에 따라서, 즉 제품의 높이보다 아주 작은 소정의 여유공간만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B) of the box may be designed to have only a predetermined free space that is very small than the height of the product, that i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duct.

이와 같이 설계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를 쌓아두고 소비자가 최상단의 디스플레이 박스에서 제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비자가 아래쪽의 디스플레이 박스에서는 제품을 꺼내기 어렵게 하여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품이 소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When designed in this way,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stacked so that the consumer can take out the product from the uppermost display box, and als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take out the product from the lower display box so that the product can be exhausted sequentially from the top. has an inducing effect.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A)는 슬롯의 높이(C)가 박스의 높이(B)의 절반 이하일 경우 슬롯의 높이(C)와 같거나 작게 설계될 수 있고, 슬롯의 높이(C)가 박스의 높이(B)의 절반 이상일 경우, 슬롯의 높이(C)보다 작게, 혹은 절반 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 of the display unit can be design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C) of the slot when the height (C) of the slot is less than half the height (B) of the box, and the height (C) of the slot is the height of the box (B). If it is more than half of the height (B), it may be designed to be less than or less than half the height (C) of the slot.

실시 예에 따라서, 슬롯의 높이(C)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A)가 슬롯의 높이(C)보다 높게 설계되어, 제품의 이탈을 막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height (C) of the slo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height (A) of the display unit is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C) of the slot, thereby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separated.

또한,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가 쌓여 있는 경우, 아래쪽의 디스플레이 박스로부터 용이하게 제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스가 사람 키보다 높이 쌓이도록 해야 하는 경우, 소비자가 맨 위의 박스에서 제품을 꺼낼 수 없으므로 아래쪽에서 용이하게 꺼내도록 해야 할 수 있다.In addition, contrary to the above, when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stacked, it may be necessary to easily take out the product from the lower display box. For example, if boxes need to be stacked taller than a person's height, you may need to make it easier for the consumer to pull them out from the bottom as they cannot get the product out of the top box.

이 경우, 슬롯의 높이(C)가 박스의 높이(B)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하고, 박스의 높이(B)는 제품의 높이에 슬롯의 높이(C)를 더한 것보다 크게 하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A) 또한 슬롯의 높이(C)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슬롯에서 빼내어 디스플레이 박스 바깥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C) of the slot should be less than half the height (B) of the box, the height (B) of the box should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roduct plus the height (C) of the slot, and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A)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C) of the slot, so that the consumer can take the product out of the slot and take it out of the display box.

이 경우, 상단의 여유 공간으로 인해 박스의 지지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중앙에 지지대 구조를 마련하거나, 박스의 외주면 또는 외주면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하는 지지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a support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ox is not weakened due to the free space at the top, or a support member for reinfor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x or a corn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도 5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박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box including a support.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박스의 중앙에 지지부가 마련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의 높이(E)는 박스의 높이(D)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로 길이가 짧은 제품의 경우, 디스플레이 박스에 가로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품 간 경계를 구분하고, 또한 박스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n example in which a suppor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a display box is illustrated. The height (E) of the support part may be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D) of the box,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a product having a short horizontal length, a plurality of products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display box. However, in this case, a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to separate the boundaries between products a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ox without collapsing.

지지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를 중첩하는 경우에도, 상단의 디스플레이 박스의 무게로 인해 제품이나 박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Even when the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overlapped, the support part may also serve to support the product or the box so that the product or the box is not damaged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display box.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박스의 가로 길이(A)와 세로 길이(D)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긴 경우), 디스플레이 박스 외주면의 지지력만으로는 박스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중앙에 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지지부와 외주면 사이의 간격(C)과 박스의 세로 길이(D) 간의 간격이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박스를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A) to the vertical length (D) of the display box is out of a preset range (eg, when the horizontal length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box It can be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box by itself. Therefore, in this case, by providing the support part in the center, the box can be design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 and the vertical length (D) of the box are within a preset range.

간격(C)은 제품의 가로 길이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박스는 슬롯 없이도 스스로 서 있을 수 있는 제품을 보관하는 데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분마다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슬롯이 마련될 수도 있다.The gap (C) may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duct, and the display box shown in FIG. 5 may be mainly used to store a product that can stand on its own without a slo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a slot for supporting the product may be provided for each part.

디스플레이 박스 하부의 높이(F)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A)와 마찬가지로, 제품의 이탈을 막으면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관찰하기 쉽게 하고 제품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The height (F) of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box is similar to the height (A) of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4, while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separated, it is to be set to a height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observe the product and take it out easily. can

이상과 같이 도 4 및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박스의 구조와, 각 디스플레이 박스에서 제품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 소비자 편의성을 제고하며 제품의 보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규격에 대해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FIGS. 4 and 5 ,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box and standards for improving product visibility and safety, enhancing consumer convenience, and improving product storability in each display box have been described.

이러한 규격은 제품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가로, 세로 및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박스의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가로로 하나의 제품이 배치될지, 혹은 복수의 제품이 배치될지도 결정될 수 있다.These standards can be automatically designed according to preset rules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duct. For example,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the display box may be set according to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the product, and whether one product or a plurality of products will be arranged horizontally may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제품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슬롯의 필요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품의 가로 길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가로로 제품이 하나가 배치될지, 복수 개가 배치될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ther a slot is requir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of the product, and whether one product or a plurality of products are to be arranged horizontally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du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can

또한, 제품의 높이와 가로 길이에 기반하여 사이에 지지대가 들어가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또한 지지대의 규격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height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roduct, whether or not the support is inserted therebetween may be determined, and also the size of the support may be determined.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품의 규격에 따라 일일이 박스를 설계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최적의 규격을 갖는 박스의 형태가 설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의 개입 없이 균일한 품질의 디스플레이 박스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ape of the box having the optimal size can be automatically designed without having to design each box according to the product specifica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oducing a display box of uniform quality without human intervention.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가 중첩되는 창고형 대형 할인점의 판매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ales stand of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overlapp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100)가 앞뒤, 좌우, 상하로 중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100 are overlapped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s illustrated.

창고형 할인점의 경우 별도의 매대 없이 받침대(110)위에 디스플레이 박스(100)를 쌓아두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창고형 대형 할인점에서 사용되는 제품 박스는 그 자체가 디스플레이 박스로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In the case of a warehouse-type discount store,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display is performed simply by stacking the display box 100 on the pedestal 110 without a separate shelf. It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a display box.

또한, 받침대(110)와 디스플레이 박스(10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박스(100)의 높이를 높이고, 판매되는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Also, between the pedestal 110 and the display box 100 , an advertisement board for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display box 100 and promoting a product for sale may be further provided.

도 7을 참조하면, 받침대(110)의 위에 배치되는 광고판(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받침대(110) 위에 광고판(120)이 마련되고, 그 위에 디스플레이 박스(100)들이 배치되는, 창고형 대형 할인점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advertisement board 120 disposed on the pedestal 110 is shown, and in FIG. 8 , the advertisement board 120 is provided on the pedestal 110, and the display boxes 100 are disposed thereon, An example of a general display method of a warehouse-type large discount store is shown.

기존의 광고판(120)은 주로 종이 박스나 골판지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종이로 만든 광고판은 쉽게 망가지고, 보관과 이송이 까다로우며,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 existing billboard 120 is often made of a paper box or a corrugated cardboard material. However, billboards made of paper have the disadvantages of being easily damaged, difficult to store and transport, and difficult to recycle.

이에 개시된 실시 예에서는, 종이가 아닌 단프라 소재로 만들어진 광고판을 제안한다. 단프라는 플라스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P)을 원재료로 만든 것으로, 종이상자의 단면과 같이 가운데에 구명이 뚫려있는 형태로 제조된 보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골판지와 같으며, 이사용 상자 등 박스를 제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종이 박스에 비해 튼튼하면서도 가벼우며, 물이나 충격에 의하여 잘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a billboard made of danpla material rather than paper is proposed. Danpla is a board made of polypropylene (PP), a plastic resin, as a raw material, and has a hole in the middle like the cross section of a paper box. For example, it is like corrugated cardboard made of plastic, and is mainly used to manufacture boxes such as moving boxes. Compared to paper boxes, it is strong and l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easily damaged by water or impact.

또한, 단프라를 이용하여 광고판을 만드는 경우 이송과 보관이 편리하며, 잘 손상되거나 삭지 않으므로 동일한 광고에 다시 사용하거나, 매장에서 상대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다른 광고에 재활용하는 것 또한 간단하다.In addition, when making a billboard using Danpla, it is convenient to transport and store, and it is not easily damaged or destroyed, so it can be reused for the same advertisement or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n the store. Do.

또한 많은 박스를 올려두었을 때, 혹은 박스의 배치나 이송과정 등에서 무게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많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a convenient advantage because it does not cause a lot of damage due to weight or external impact when many boxes are placed or in the process of disposing or transporting boxes.

상술한 디스플레이 박스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박스 형태의 제품들을 보관 및 디스플레이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들이 중첩되어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들이었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boxes store and display relatively small box-shaped products, and were premised on overlapping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도 9를 참조하면, 대용량의 제품을 담기 위한 큰 사이즈의 박스인 몬스터박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몬스터박스는 세로로 긴 제품 등을 대용량으로 담아 판매하는 데 이용되며, 복수의 박스를 중첩시키기보다는 박스를 한 층으로만 배치하되, 소비자들이 지나가면서 제품을 쉽게 빼갈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Referring to FIG. 9 , an example of a monster box, which is a box of a large size for containing a large-capacity product, is shown. The Monster Box is used to sell vertically long products in large capacity. Rather than overlapping multiple boxes, the box is placed on one floor only, but it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consumers can easily take out the product as they pass by.

박스의 가로 길이(A)와 높이(C)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제품이 쓰러지지 않으면서도 소비자가 제품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스의 바닥면의 대각선 길이는 제품의 높이보다 길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horizontal length (A) and height (C) of the box may be designed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take out the product without falling over, depending on the product specification. For example, the diagonal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may be designed not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product.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폭(B)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기대어질 수 있도록 제품의 폭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는 제품이 쓰러져 박스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B) of the display unit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roduct so that at least one product can be leaned on, and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may be designed so that the product does not fall out of the box.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박스의 규격은 제품의 규격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설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of such a box may be automatically designed according to a preset rul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product.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지부를 갖는 1차 포장박스 및 이를 보관할 수 있는 2차 포장박스의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lot structure of a primary packaging box having a support part and a secondary packaging box capable of sto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1차 포장박스의 경우, 스스로는 바닥에 세워둘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측면에 지지부(200)를 갖는 1차 포장박스가 제안된다.In the case of the primary packaging box shown in FIGS. 2 and 3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stand on the floor by itself. In order to supplement this, referring to FIG. 10 , a primary packaging box having a support part 200 on the side is proposed.

지지부(200)의 형태는 삼각형 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공간대비 제품을 세워두기에 가장 효율적인 구조 중 하나가 삼각형 기둥이기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지지대가 삼각형 기둥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pport 200 may be a triangular p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since one of the most efficient structures for standing the product in comparison to space is a triangular po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pport may be configured in a triangular pole structure.

지지부(200)는 1차 포장박스의 좌우에 마련되어 1차 포장박스가 스스로 바닥에 서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2차 포장박스(즉, 디스플레이 박스)의 슬롯(300) 또한 삼각형 기둥 형태의 지지부(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imary packaging box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primary packaging box can stand on the floor by itself, and accordingly, the slot 300 of the secondary packaging box (ie, display box) also has a triangular pole shape. It may be configured in a triangular shape to accommodate the support 200 .

지지부(200)가 마련됨으로써 1차 포장박스가 스스로 설 수 있으나, 제품의 간격 유지 및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슬롯(3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대신 지지부(20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슬롯(3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소비자가 제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the support unit 200 is provided, the primary packaging box can stand on its own, but a slot 300 may be provided for product spacing and stable storage. The heigh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consumer to easily take out the product.

또한, 지지부(200)는 1차 포장박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박스가 중첩되어 1차 포장박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여 제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박스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1차 포장박스가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고려하여 박스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양을 줄여, 박스의 생산단가를 낮추면서도 안전성을 높이고, 또한 박스의 무게를 줄여 이송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200 may also serve to suppor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imary packaging box. Through this, a plurality of display boxes are overlapped to suppor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imary packaging box to prevent product damage. By reducing the amount of supporting members u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afety while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box, and also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x to facilitate transport and storag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디스플레이 박스
110 : 받침대
120 : 광고판
200 : 지지부
300 : 슬롯
100: display box
110: pedestal
120: billboard
200: support
300 : slot

Claims (1)

단프라박스 소재의 대형할인점 매대용 광고판 및 그 제조방법A billboard for a large discount store made of Danpla box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0200113443A 2020-09-05 2020-09-05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18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443A KR20220031853A (en) 2020-09-05 2020-09-05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443A KR20220031853A (en) 2020-09-05 2020-09-05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853A true KR20220031853A (en) 2022-03-14

Family

ID=8082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443A KR20220031853A (en) 2020-09-05 2020-09-05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8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107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US6405921B1 (en) Perforated carton and product display system
EP1685030B1 (en) Modular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and displaying palletized retail products
US7111735B2 (en) Base for post in post product packaging and display system
US9938040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US8608050B2 (en) Re-usable, knock-down box apparatus and method
US7581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otwear packaging
US20080078685A1 (en) Efficient tissue roll configurations
US6971518B1 (en) Pallet base packaging system
CA2627331C (en) Packaging structure for housing, transporting, displaying and retailing products
US20130087477A1 (en) Stabilizing Tray For Shipping and Display Stacked Containers
US7472792B2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US9546016B2 (en) Mattress display packaging and display container
US7118023B2 (en) Stackable display container
JPS63218066A (en) Packaging module
US10183777B2 (en) Pallet-sized shipping and display tray
US6568588B2 (en) Stackable display container
US20050023168A1 (en) Shipping and display system
US20150047297A1 (en) Method and devices relating to product packaging and display
US20080190872A1 (en) Modular shipping and display pallet
KR20220031853A (en) Advertis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1854A (en) Display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1855A (en) Display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60131371A1 (en) Exhibiting package with minimum amount of material
CA2821761C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product packaging and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