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802A -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802A
KR20220031802A KR1020200112659A KR20200112659A KR20220031802A KR 20220031802 A KR20220031802 A KR 20220031802A KR 1020200112659 A KR1020200112659 A KR 1020200112659A KR 20200112659 A KR20200112659 A KR 20200112659A KR 20220031802 A KR20220031802 A KR 2022003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mart device
vehicle
slo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민
차대희
최호림
최찬욱
Original Assignee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802A/ko
Publication of KR2022003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는 스마트기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슬롯(101); 및 상기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An armrest of vehicle in which holding function,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sterilizing function for smart devices are provided in the manner of built-in}
본 발명은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을 제공하며 그러한 기능들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박스 위에 장착된 암레스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콘솔박스의 덮개로서의 용도 및 탑승자의 팔을 걸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그와 같은 전통적인 용도들 외에 스마트폰 거치 기능, 스마트폰 충전 기능과 같은 다른 용도들이 추가 접목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와 같은 용도들이 추가된 암레스트들에 있어서 설계구조가 복잡해서 제조단가가 지나치게 상승하거나 용도 추가에 따른 추가적인 부품들 중 일부가 밖으로 노출된 형태로 설계되어 암레스트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도출된 발명으로서, 차량용 암레스트에 전통적인 용도 외에 스마트폰 거치 기능, 무선 충전 기능 등이 추가되면서도 설계구조가 간단하고 외관도 깔끔하여 소비자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슬롯(101); 및 상기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130);을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슬롯(101)이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후면측에 USB 포트(102)가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암레스트 본체(110); 및 상기 암레스트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슬롯(101)이 형성된 내부하우징(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130)이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저면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암레스트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슬롯(101) 내 공간에 스마트기기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14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내부하우징(120) 내에 배치된 리플렉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내부하우징(120) 및 상기 리플렉터(150)를 관통하여 형성된 UV-LED 홀(121, 151)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모듈(140)이 상기 UV-LED 홀(121, 151)에 배치된 UV-LED 유닛(14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상태표시모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모듈이 살균동작 표시등(103) 및 충전상태 표시등(104)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슬롯(101) 내에 구비되는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 상기 차량 뒷문에 구비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스피커공(1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에 의해 상기 스마트기기(10)가 거치 상태로 감지되는 도중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 뒷문이 열린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공(105)을 통해 분실방지음이 송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레스트에 슬롯이 구비되고 여기에 스마트기기를 삽입하여 거치시키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스마트기기 거치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암레스트에 무선충전모듈 및 살균모듈이 제공되어 슬롯에 거치된 스마트기기에 대한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모듈 및 살균모듈도 암레스트 본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도 역시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기기에 대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되므로 설계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의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의 외관도 깔끔하여 소비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암레스트에 스마트기기를 거치해 둔 채로 하차하는 경우 스피커공을 통해 분실방지음을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암레스트의 스마트폰 거치 기능으로 인한 스마트기기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암레스트(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암레스트(100)의 구성들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보여지는 구성들 중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암레스트(100)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암레스트(100)의 내부하우징(120) 및 무선충전모듈(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암레스트(100)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내부하우징(120)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암레스트(100)의 적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암레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100)는 차량 내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암레스트(100)는 그 하측에 배치되는 콘솔박스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콘솔박스 덮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암레스트(100)의 후면 측에는 슬롯(101), USB 포트(102), 살균동작 표시등(103), 충전상태 표시등(104) 및 스피커공(105)이 구비된다.
슬롯(101)은 스마트기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슬롯(101)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로는 스마트폰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으나, 슬롯(101)에는 소형 크기의 태블릿 PC와 같이 슬롯(101)에 삽입될 수 있는 다른 스마트기기가 거치될 수도 있다.
슬롯(101)은 암레스트(100)의 후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들어간 형상으로 제공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101)이 경사진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차량의 급가속 또는 급정거 시에 슬롯(101)으로부터 스마트기기(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USB 포트(102)는 USB 커넥터를 구비한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이다. 차량의 뒷자석에 착석한 탑승자는 USB 포트(102)에 충전 케이블을 삽입하고 이를 스마트기기에 연결하여 이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 기능이 없는 스마트기기의 경우 USB 포트(102)를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살균동작 표시등(103)은 암레스트(100)의 살균동작 여부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100)는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에 대한 살균기능을 제공하며, 살균동작 표시등(103)은 그러한 살균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충전상태 표시등(104)은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100)는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에 대한 충전기능을 제공하며, 충전상태 표시등(104)은 슬롯(101)에 거치된 상태로 충전 중인 스마트기기(101)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상태 표시등(104)은 복수의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량에 따라 켜진 램프의 수가 증가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상태 표시등(104)을 보고 스마트기기(101)의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스피커공(105)은 소리를 방출하는 구성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100)는 뒷자석의 탑승자가 암레스트(100)에 스마트기기(10)를 거치해둔 채로 하차하는 경우 스마트기기(10)를 잊지 않도록 돕기 위한 소리를 경고음이나 안내멘트음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스피커공(105)을 통해 그 소리가 방출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암레스트(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암레스트(100)의 구성들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보여지는 구성들 중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암레스트(100)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암레스트(100)의 내부하우징(120) 및 무선충전모듈(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암레스트(100)는 암레스트 본체(11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본체(110)는 커버부(110A) 및 베이스부(110B)로 구성된다. 커버부(110A) 상면은 탑승자의 팔이 걸쳐질 수 있는 부분이다. 베이스부(110B)는 평판부(111) 및 하방돌출부(112)로 구성된다. 하방돌출부(112)에 후술하는 내부하우징(12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2a)이 형성된다.
암레스트(100)는 내부하우징(120)을 또한 포함한다.
내부하우징(120)에 전술한 슬롯(101)이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슬롯(101)에 스마트기기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120)은 암레스트 본체(110)에 내장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B)에 형성된 전술한 수용공간(112a)에 장착된다. 내부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다.
암레스트(100)는 무선충전모듈(130)을 또한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모듈(130)은 암레스트 본체(110) 안에 내장되며 구체적으로 내부하우징(120)의 저면에 장착된다. 무선충전모듈(130)은 PCB 기판(131) 및 그 위에 배치된 유도코일(132)을 포함한다. 유도코일(132)과 스마트기기(10) 내의 유도코일(미도시)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스마트기기(10)가 무선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원리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암레스트(100)는 암레스트 본체(110) 안에 내장된 한 쌍의 살균모듈(140) 및 리플렉터(150)를 또한 포함한다.
한 쌍의 살균모듈(140)은 내부하우징(120)의 슬롯(101) 안으로 스마트기기 살균을 위한 자외선(UV)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리플렉터(150)는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살균모듈(140)은 PCB 기판(141) 및 그에 실장된 UV-LED 유닛(142)을 포함하며, UV-LED 유닛(142)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소자(143)(도 9 참조)를 구비한다. 내부하우징(120)에 한 쌍의 UV-LED 홀(121)이 관통 형성되고, 리플렉터(150)에도 그에 대응되게 한 쌍의 UV-LED 홀(151)이 관통 형성된다. 내부하우징(120)의 UV-LED 홀(121) 및 리플렉터(150)의 UV-LED 홀(151)이 조합되어 UV-LED 홀(121, 151)을 형성하며, 그 조합 형성된 홀(121, 151)에 UV-LED 유닛(142)이 삽입 장착된다.
리플렉터(150)는 내부하우징(120) 내에 배치되며, 살균모듈(140)이 조사한 자외선을 반사시킴으로써 슬롯(101) 안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에 자외선이 보다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자외선 살균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150)는 내부하우징(120)과 유사한 형상이되 앞뒤 및 하방이 개방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150)는 상면부(155) 및 양측면부(156, 157)를 포함한다. 전술한, 한 쌍의 UV-LED 홀(151)은 대략 상면부(155)와 양측면부(156, 157)의 경계부근에 형성된다. 리플렉터(150)는 반사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예로써 알루미늄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암레스트(100)는 USB 포트모듈(160)을 또한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모듈(160)은 PCB 기판(161) 및 그 위에 장착된 USB 포트유닛(162)을 포함한다. USB 포트유닛(162)에는 전술한 USB 포트(102)가 구비되며, USB 포트유닛(162) 내부에는 USB 포트(102)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통해 스마트기기(1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암레스트(100)는 상태표시모듈(170)을 또한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표시모듈(170)은 PCB 기판(171), 살균동작 표시등(103) 및 충전상태 표시등(104)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동작 표시등(103)은 암레스트(100)의 살균동작 여부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LED 램프이고, 충전상태 표시등(104)은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LED 램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암레스트(100)의 동작 및 효과를 중심으로 추가 설명한다.
도 8은 암레스트(100)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내부하우징(120)의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10은 암레스트(100)의 적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00)는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는 슬롯(101) 안으로 삽입되는 스마트기기(10)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는 내부하우징(120)의 상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승자는 암레스트(100)에 구비된 슬롯(101)에 스마트기기(10)를 삽입시켜 암레스트(100)에 스마트기기(1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에 의해 스마트기기(10)의 거치 상태가 감지되고, 그 감지 신호에 연동하여 무선충전모듈(130) 및 살균모듈(140)이 가동된다.
그리하여 무선충전모듈(130)에 의해 스마트기기(1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수행된다. 또한 살균모듈(140)에 의해 스마트기기(10)에 대한 살균이 수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소자(143)로부터 조사된 자외선 중 일부는 직접 스마트기기(10)에 조사되고 다른 일부는 리플렉터(150)에 의해 반사되어 스마트기기(10)에 조사된다.
살균모듈(140)이 작동되는 동안 전술한 살균동작 표시등(103)이 켜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그 가동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충전상태 표시등(104)을 통해 스마트기기(10)가 충전된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레스트(10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박스(200) 상부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기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전술한 슬롯(101)이 암레스트(100)의 후면측에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되어 있어서 특히 뒷자석을 이용하는 탑승자가 암레스트(100)에 제공된 스마트기기 거치 기능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암레스트(100)는 택시 차량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택시 차량에 본 발명의 암레스트(100)가 적용된 경우 뒷자석을 이용하는 손님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동안 스마트기기(10)를 암레스트(100)에 거치시키고 충전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다만, 손님이 암레스트(100)에 스마트기기(10)를 거치시킨 채 하차하여 스마트기기(10)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암레스트(100)는 스마트기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차량 뒷문이 열림과 동시에 스피커공(105)(도 1 참조)을 통해 경고음이나 안내멘트음 형태의 분실방지음을 송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경고음으로는 ‘삐이~~’와 같은 소리가 송출될 수 있고, 안내멘트음으로는 ‘거치된 휴대폰을 가져가세요’와 같은 안내멘트음이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분실방지음 송출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뒷자석 손님이 깜박하고 암레스트(100)에 스마트기기(10)를 거치한 채로 하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암레스트(100)에는 전술한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가 구비되므로 암레스트(100)는 그 감지 신호를 통해 스마트기기(10)가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는 각각의 문에 개폐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개폐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암레스트(100)가 뒷문 열림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암레스트(100)의 분실방지음 송출 기능은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 및 개폐감지센서가 제공하는 감지신호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암레스트(100)는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에 의해 스마트기기(10)가 암레스트(100)에 거치된 상태로 감지되는 도중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차량 뒷문이 열린 것으로 감지되는 즉시 스피커공(105)을 통해 전술한 분실방지음을 송출한다.
100 : 암레스트
101 : 슬롯
102 : USB 포트
103 : 살균동작 표시등
104 : 충전상태 표시등
105 : 스피커공
110 : 암레스트 본체
120 : 내부하우징
130 : 무선충전모듈
140 : 살균모듈
150 : 리플렉터
160 : USB 포트모듈
170 : 상태표시모듈

Claims (9)

  1. 스마트기기(10)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슬롯(101); 및
    상기 슬롯(101)에 거치된 스마트기기(1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130);을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101)은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USB 포트(102)가 제공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암레스트 본체(110); 및
    상기 암레스트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슬롯(101)이 형성된 내부하우징(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130)은 상기 내부하우징(120)의 저면에 장착된
    차량용 암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슬롯(101) 내 공간에 스마트기기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모듈(140)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내부하우징(120) 내에 배치된 리플렉터(15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20) 및 상기 리플렉터(150)를 관통하여 형성된 UV-LED 홀(121, 151)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모듈(140)은 상기 UV-LED 홀(121, 151)에 배치된 UV-LED 유닛(142)을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상태표시모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모듈은 살균동작 표시등(103) 및 충전상태 표시등(104)을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101) 내에 구비되는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
    상기 차량 뒷문에 구비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스피커공(1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기기 감지센서(180)에 의해 상기 스마트기기(10)가 거치 상태로 감지되는 도중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 뒷문이 열린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공(105)을 통해 분실방지음이 송출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KR1020200112659A 2020-09-03 2020-09-03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KR20220031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659A KR20220031802A (ko) 2020-09-03 2020-09-03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659A KR20220031802A (ko) 2020-09-03 2020-09-03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802A true KR20220031802A (ko) 2022-03-14

Family

ID=8082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659A KR20220031802A (ko) 2020-09-03 2020-09-03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8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8693A1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P3018560A1 (en) Integrated overhea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JP2006117207A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CN107531178B (zh) 照明装置
US20100133208A1 (en)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CN110949155A (zh) 车辆端口装置
CN113167442A (zh) 用于可充电照明模块的系统和方法和相关载体
KR20220031802A (ko) 스마트기기를 위한 거치기능, 무선충전기능 및 살균기능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현된 차량용 암레스트
JP5221212B2 (ja) 照明付コンパクト容器
WO2011105467A1 (ja) カードリーダ
US10594070B2 (en) Vehicle media hub assembly
JP2010143357A (ja) ルーフコンソールの照明構造
US20040051503A1 (en) Multi-function car accessory
JP6021451B2 (ja) 車両用内装装置における光源配置構造
WO2020026753A1 (ja) 照明装置、ドアトリム、車両用ドア、及び車両
JP5372291B1 (ja) 車輌用発光エンブレム
JP6675001B2 (ja) ワンタッチ開閉操作式の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2456981B1 (ko) 글로브 박스
CN110391535B (zh) 照亮式连接器盖体组件
JP4308415B2 (ja) ルームミラー及び室内灯
CN214689285U (zh) 一种车用储物盒
US20210040783A1 (en) Illuminated latch
JP2023060459A (ja) Ledランプ装置およびledランプ装置を備えた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2020093648A (ja) 車載照明装置
CN115183843A (zh) 一种液位判定方法、装置和香氛器、香氛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