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081A -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081A
KR20220031081A KR1020227004091A KR20227004091A KR20220031081A KR 20220031081 A KR20220031081 A KR 20220031081A KR 1020227004091 A KR1020227004091 A KR 1020227004091A KR 20227004091 A KR20227004091 A KR 20227004091A KR 20220031081 A KR20220031081 A KR 2022003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du
sig
bit
prese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 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6Notations for structuring of protocol data, e.g.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SN.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전송기는 서명 심벌을 포함하는 PPDU를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그리고/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수신기가 PPDU를 수신한 후,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그리고/또는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이 방법에서는,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DATA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2019년 7월 12일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631626.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간 경과에 따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프로토콜 표준들의 여러 버전들이 공식화되었다. 각각의 버전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의 프레임 포맷을 정의한다. PPDU는 프리앰블(preamble)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업데이트된 프로토콜 표준들을 지원하는 수신기는 수신된 PPDU의 프로토콜 표준에서 자동 검출(Auto-detection)을 통해 PPDU 프레임 포맷을 식별하여, 수신된 PPDU 내의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최신 WLAN 프로토콜 표준 802.11ax의 차세대 표준에서 PPDU는 극초고 스루풋(EHT: extremely high throughput) PPDU로 지칭될 수 있다. EHT PPDU 내의 프리앰블 부분의 설계에서는, 수신기가 EHT PPDU를 다른 프로토콜 표준들에 정의된 여러 PPDU들과 어떻게 구별할 수 있게 하는지에 대한 솔루션은 아직 없다.
본 출원은 수신기가 다른 프로토콜 표준들에 정의된 여러 PPDU들로부터 EHT PPDU를 구별할 수 있게 하여, 수신기가 수신된 PPDU 내의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게 할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이고,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며,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며; 전송기는 PPDU를 수신기에 송신한다.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0, b3=0, b4=1, b10=1이다. 이러한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는 추가로 제1 PPDU, HE PPDU 및 VHT PPDU를 구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도록 구성되고; (4) 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tail)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HE PPDU 내의 RL-SIG에서 패리티(parity)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거나; 또는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제2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수신기가 PPDU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이고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수신기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서명 심벌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이러한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는 추가로 제1 PPDU, HE PPDU 및 VHT PPDU를 구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가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ode)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HE PPDU 내의 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여기서 PPDU는 서명 심벌을 포함하고, 서명 심벌은 정보 비트들에 대한 채널 코딩을 통해 생성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며; 전송기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한다.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비트 시퀀스에 대해서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기는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제1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여,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수신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신기는 추가로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할 수 있다. 체크가 통과되면, 수신기는 추가로,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비트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그레이(Gray)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기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에 대해 인터리빙 처리를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 또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1 비트 시퀀스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0, b3=0, b4=1, b10=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다.
제4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수신기가 PPDU를 수신하고 ― PPDU는 서명 심벌을 포함함 ―; 수신기가 서명 심벌로부터 제1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며;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제2 비트 시퀀스에 대해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정보 비트들을 획득하고; 그리고 제1 비트 시퀀스가 미리 저장된 제1 비트 시퀀스와 매칭하고 그리고/또는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면, 수신기는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제4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비트 시퀀스에 대해서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기는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제1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여,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수신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신기는 추가로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할 수 있다. 체크가 통과되면, 수신기는 추가로,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비트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그레이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 또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된다. 수신기가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는 제1 비트 시퀀스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결정하며, 여기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비트 시퀀스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제1 비트 시퀀스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제5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이고, 서명 심벌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며; 전송기는 PPDU를 수신기에 송신한다.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L-SIG에 대해 마스킹이 수행된 후에 획득된 L-SIG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다. 이러한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는 추가로 제1 PPDU, HE PPDU 및 VHT PPDU를 구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도록 구성되고; (4) 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은 VHT PPDU 내의 VHT-SIG-A의 두 번째 OFDM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거나; 또는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modulo)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다. 대안으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다.
제6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수신기가 PPDU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수신기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서명 심벌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이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제6 양상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L-SIG에 대해 마스킹이 수행된 후에 획득된 L-SIG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demask)된 이후에 획득된 정보가 L-SIG의 정보와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이러한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는 추가로 제1 PPDU, HE PPDU 및 VHT PPDU를 구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가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ode)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VHT PPDU 내의 VHT-SIG-A의 두 번째 OFDM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7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이고,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며,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송신 유닛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0, b3=0, b4=1, b10=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도록 구성되고; (4) 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HE PPDU 내의 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거나; 또는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제8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처리 유닛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수신기 장치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이고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명 심벌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HE PPDU 내의 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9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PPDU는 서명 심벌을 포함하고, 서명 심벌은 정보 비트들에 대한 채널 코딩을 통해 생성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비트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그레이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에 대해 인터리빙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 또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1 비트 시퀀스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0, b3=0, b4=1, b10=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다.
제10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수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PPDU는 서명 심벌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서명 심벌로부터 제1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고; 서명 시퀀스에 대해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정보 비트들을 획득하고; 그리고 제1 비트 시퀀스가 미리 저장된 제1 비트 시퀀스와 매칭하고 그리고/또는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면,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비트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그레이 시퀀스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 또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된다. 처리 유닛은 제1 비트 시퀀스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비트 시퀀스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제1 비트 시퀀스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제11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이고, 서명 심벌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송신 유닛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L-SIG에 대해 마스킹이 수행된 후에 획득된 L-SIG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도록 구성되고; (4) 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은 VHT PPDU 내의 VHT-SIG-A의 두 번째 OFDM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거나; 또는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다. 대안으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다.
제12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수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수신기 장치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명 심벌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이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L-SIG에 대해 마스킹이 수행된 후에 획득된 L-SIG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된 이후에 획득된 정보가 L-SIG의 정보와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은 VHT PPDU 내의 VHT-SIG-A의 두 번째 OFDM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13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전송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고, PPDU를 송신하도록 전송기를 제어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4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는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PPDU를 수신하도록 수신기를 제어하고,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5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전송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고, PPDU를 송신하도록 전송기를 제어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6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는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PPDU를 수신하도록 수신기를 제어하고,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7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전송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PPDU를 생성하도록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고, PPDU를 송신하도록 전송기를 제어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8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는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프로세서가 PPDU를 수신하도록 수신기를 제어하고, PPDU가 제1 PPDU임을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함께 통합되거나,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이다.
제19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0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입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1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2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4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입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3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4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논리 회로 및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6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논리 회로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입력 인터페이스는 대응하는 방법에서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5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전송기 장치가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26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수신기 장치가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27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전송기 장치가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28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수신기 장치가 제4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29 양상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전송기 장치가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전송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30 양상에 따르면, 수신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수신기 장치가 제6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수신기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제31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제7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8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13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14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19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20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를 포함한다.
제32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제9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10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15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16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21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22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를 포함한다.
제33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제11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12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17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18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 또는 제23 양상에서 제공되는 전송기 장치 및 제24 양상에서 제공되는 수신기 장치를 포함한다.
제34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35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36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37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4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38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39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명령들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6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40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1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1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2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2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3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3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4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4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5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5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있을 때, 컴퓨터는 제6 양상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 양상 내지 제45 양상의 임의의 구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양상 내지 제6 양상의 대응하는 구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솔루션들이 모순되지 않는다면, 앞서 말한 양상들 중 임의의 양상의 다양한 가능한 구현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PPDU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수신기의 자동 검출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DU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자동 검출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DU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자동 검출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명 심벌을 생성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설명들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들에 대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며, 3개의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세 가지 경우들을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및 B만 존재하는 경우.
본 출원의 설명들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초과를 의미한다. 추가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들 또는 목적들을 갖는 유사한 아이템들 또는 동일한 아이템들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이 수량 또는 실행 시퀀스를 제한하지 않으며,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명확한 차이를 지시하지 않는다고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전송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일 수 있고, 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4세대(4G: fourth generation) 액세스 기술,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액세스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시스템은 5세대(5G: fifth generation) 액세스 기술, 예를 들어 뉴 라디오(NR: new radio) 액세스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기술들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 기술 및 NR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시스템은 WLAN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로, 통신 시스템은 또한 미래 지향적 통신 기술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에 배치되고 단말에 대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및 다양한 형태들의 제어 노드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무선 제어기(예를 들어,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시나리오)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들의 매크로 기지국들, (소규모 셀들로 또한 지칭되는) 마이크로 기지국들, 중계국들, 액세스 포인트들(AP: access point) 등일 수 있거나, 기지국의 안테나 패널일 수 있다. 제어 노드는 복수의 기지국들에 접속되고,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커버되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의 기능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이름들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LTE 시스템에서 진화형 NodeB(eNB 또는 eNodeB: evolved NodeB)로 지칭될 수 있거나, 5G 시스템 또는 NR 시스템에서 차세대 노드 기지국(gNB: 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의 특정 명칭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으로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컴퓨터, 미래의 진화된 공용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스테이션(station), 단말 장비(TE: terminal equipment) 등으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modem),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코드리스 전화(cordless phone),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패드(pad), 스마트폰(smartphone), 고객 댁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갖는 센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들의 개발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는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과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통신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객체와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단말, 이를테면 지능형 이송의 단말 및 차량, 스마트 가정의 가정용 디바이스, 스마트 그리드의 전기 검침 기기 또는 전압 모니터링 기기, 환경 모니터링 기기, 지능형 보안 네트워크의 비디오 감시 기기, 또는 금전 등록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들은 복수의 통신 시나리오들, 예를 들어 기계 대 기계(M2M: machine to machine) 시나리오, 매크로-마이크로 통신 시나리오, 강화된 모바일 광대역(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초고신뢰 및 저 레이턴시 통신(URLLC: ultra-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시나리오, 및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 :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 솔루션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들에 대한 제한이 되는 것이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들이,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등장함에 따라 유사한 기술적 문제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일례는 이 방법이 WLAN에 적용되는 예를 사용함으로써 설명된다.
현재, WLAN 프로토콜 표준들은 가장 오래된 것부터 최신 것까지 802.11a/b/g, 802.11n, 802.11ac 및 802.11ax이다. WLAN 프로토콜 표준들에서, (데이터 패킷으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PPDU는 주로 프리앰블(Preamble) 부분 및 데이터(Preamble)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프리앰블 부분은 데이터 부분의 수신을 보조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은 각각의 WLAN 프로토콜 표준에서 PPDU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한다.
(1) 802.11a/b/g에서의 PPDU의 프레임 포맷
802.11a/b/g에서의 PPDU는 비-고 스루풋(비-HT: non-high throughput) PPDU로 지칭될 수 있고, 주로 802.11a/b/g에서의 레거시(legacy) PPDU 구조 등을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한다. 비-HT PPDU는 짧은 트레이닝 필드(STF: short training field), 긴 트레이닝 필드(LTF: long training field), 시그널링 필드(SIG: signal field) 및 데이터(Data)를 포함한다. STF, LTF 및 SIG는 모두 (비-HT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는) 프리앰블(Preamble) 부분에 속한다. 각각의 필드에 의해 점유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들의 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다. SIG의 변조 방식은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인데, 즉 SIG는 BPSK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들의 설명들은 유사하다. 본 출원의 도 2 내지 도 5, 도 6a 및 도 6b,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OFDM 심벌은 약칭으로 심벌로 지칭된다. 본 출원의 도 2 내지 도 5에서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도 5에서 M의 값은 0보다 큰 정수이다.
(2) 802.11n에서의 PPDU의 프레임 포맷
802.11n에서의 PPDU는 고 스루풋(HT: high throughput) PPDU로 지칭될 수 있다. 802.11n에서는, HT PPDU의 2개의 프레임 포맷들이 도입된다. 첫 번째는 HT 혼합 포맷(HT MF: HT Mixed format)으로 지칭될 수 있다. 두 번째는 HT 그린필드 포맷(HT GF: HT greenfield format)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한다. HT MF PPDU는 L-STF, L-LTF, L-SIG, HT-SIG, HT-STF, HT-LTF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L-STF, L-LTF 및 L-SIG는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에 속하고, HT-SIG, HT-STF 및 HT-LTF는 HT 프리앰블 부분에 속한다.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 및 HT 프리앰블 부분은 HT MF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다. L-STF, L-LTF 및 L-SIG에서 "L-"은 레거시 필드를 표현하고, 업데이트된 표준들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레거시 디바이스와 공존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필드에 의해 점유되는 OFDM 심벌들의 양에 대해서는, 도 3의 (a)를 참조한다. L-SIG의 변조 방식은 BPSK이고, HT-SIG의 각각의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직교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QBPSK: quadrature 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이다.
도 3의 (b)를 참조한다. HT GF PPDU는 GF(greenfield)-HT-STF, HT-LTF1, HT-SIG, HT-LTF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GF(greenfield)-HT-STF, HT-LTF1, HT-SIG 및 HT-LTF는 (HT GF 프리앰블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HT 프리앰블 부분에 속한다. 각각의 필드에 의해 점유되는 OFDM 심벌들의 양에 대해서는, 도 3의 (b)를 참조한다. HT-SIG에서 각각의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PPDU의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HT GF PPDU는 더는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HT GF PPDU는 레거시 디바이스와 공존할 수 없다.
(3) 802.11ac에서의 PPDU의 프레임 포맷
802.11ac에서의 PPDU는 초고 스루풋(VHT: very high throughput) PPDU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다.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에 추가로, VHT PPDU는 VHT-SIG-A, VHT-STF, VHT-LTF, VHT-SIG-B 및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VHT-SIG-A, VHT-STF, VHT-LTF 및 VHT-SIG-B는 VHT 프리앰블 부분에 속한다. 각각의 필드에 의해 점유되는 OFDM 심벌들의 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한다. VHT-SIG-A 및 L-SIG에서 첫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둘 다 BPSK 변조이고, VHT-SIG-A에서 두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4) 802.11ax에서의 PPDU의 프레임 포맷
802.11ax에서의 PPDU는 고효율(HE: high efficiency) PPDU로 지칭될 수 있다. 4개의 타입들의 HE PPDU들: HE 단일 사용자(SU: single user) PPDU, HE 다중 사용자(MU: multiple user) PPDU, HE 트리거 기반(TB: trigger based) PPDU 및 HE 확장 범위(ER: extended range) SU PPDU가 있다.
도 5의 (a) 내지 (d)를 참조한다. 4개의 HE PPDU들 각각은 레거시 프리앰블 부분, 반복적 L-SIG(즉, 도 5의 (a) 내지 (d)의 RL-SIG(repeated L-SIG)), HE-SIG-A, HE-STF, HE-LTF, 데이터 및 패킷 확장부(PE: packet extension)를 포함한다. HE MU PPDU는 HE-SIG-B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필드에 의해 점유되는 OFDM 심벌들의 양에 대해서는, 도 5의 (a) 내지 (d)를 참조한다. 4개의 HE PPDU들에서, L-SIG 및 RL-SIG의 변조 방식은 BPSK이다. HE SU PPDU, HE MU PPDU 및 HE TB PPDU에서, HE-SIG-A의 각각의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다. HE ER SU PPDU에서, HE-SIG-A에서 첫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OFDM 심벌들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HE-SIG-A에서 두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다.
HE SU PPDU, HE MU PPDU, HE TB PPDU 및 HE ER SU PPDU의 프리앰블 부분들은 각각 HE SU 프리앰블, HE MU 프리앰블, HE TB 프리앰블 및 HE ER SU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다.
업데이트된 프로토콜 표준들을 지원하는 수신기는 수신된 PPDU의 프로토콜 표준에서 자동 검출을 통해 PPDU 프레임 포맷을 식별하여, 수신된 PPDU 내의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4개의 HE PPDU들 내의 L-SIG들 각각은 레이트(rate) 필드 및 길이 필드를 포함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레이트 필드는 6Mbit/s로 설정된다. HE SU PPDU 및 HE TB PPDU 내의 길이 필드로서 설정되는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이다. HE MU PPDU 및 HE ER SU PPDU 내의 길이 필드로서 설정되는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2이다. 추가로, HE SU PPDU 및 HE TB PPDU 내의 HE-SIG-A들 각각은 포맷(format) 필드를 포함하며, 이 필드는 PPDU가 HE SU PPDU인지 또는 HE TB PPDU인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앞서 말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802.11ax 프로토콜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기(이는 HE 수신기로 지칭될 수 있음)가 일례로 사용된다. 수신기의 자동 검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특정 프로세스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 HT-GF 프리앰블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QBPSK를 사용하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예라면, 검출된 HT-GF 프리앰블은 HT-GF 프리앰블이다. 아니오라면, 분기 1 또는 분기 2가 검출을 위해 계속 사용된다.
(2) 분기 1에서, RL-SIG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단계(2)는: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 및 두 번째 OFDM 심벌을 수신하는 단계, 및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과 두 번째 OFDM 심벌이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말한 PPDU들 내의 HE PPDU만이 RL-SIG를 갖기 때문에,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과 두 번째 OFDM 심벌이 동일함이 검출된다면, 이는 수신된 PPDU가 HE PPDU임을 지시하고, 후속하여 단계(3)가 수행된다.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과 두 번째 OFDM 심벌이 동일함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분기 2로 전환된다.
(3) L-SIG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계(3)는: L-SIG와 RL-SIG를 수신 및 결합하는 단계; 패리티 비트를 디코딩 및 체크하고, L-SIG 내의 레이트 필드가 6Mbit/s로 설정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디코딩이 성공하고, 패리티 체크가 통과되고, 레이트 체크가 통과된다면(즉, L-SIG 내의 레이트 필드가 6Mbit/s로 설정된다고 결정된다면), 단계(4)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패리티 체크 또는 레이트 체크가 실패한다면(즉, L-SIG 내의 레이트 필드가 6Mbit/s로 설정되지 않는다면), 분기 2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L-SIG 내의 길이 필드의 값을 분석한다. 길이 필드의 값을 3으로 나눈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이라면, 이는 수신된 PPDU가 HE SU PPDU 또는 HE TB PPDU임을 지시하고, 단계(5)가 수행된다. 길이 필드의 값을 3으로 나눈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2라면, 이는 수신된 PPDU가 HE MU PPDU 또는 HE ER SU PPDU임을 지시하고, 단계(8)가 수행된다. 길이 필드의 값을 3으로 나눈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이라면, 분기 2로 전환된다.
(5) HE SU 프리앰블 또는 HE TB 프리앰블에서 HE-SIG-A를 검출하고, HE-SIG-A를 수신한다.
(6) HE-SIG-A에 대한 (파싱(parsing)으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수신을 수행하고, 순환 중복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ode) 테스트를 수행한다(즉, CRC 체크를 수행함). CRC 테스트가 통과된다면, 단계(7)가 수행된다.
(7) HE-SIG-A를 분석한다. 단계(7)는 구체적으로: HE-SIG-A 내의 포맷 필드를 체크하는 단계; 포맷 필드가 SU를 지시한다면, HE SU 프리앰블 내의 HE-SIG-A가 검출된다고 결정하는 단계; 또는 포맷 필드가 TB를 지시한다면, HE TB 프리앰블 내의 HE-SIG-A가 수신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 HE-SIG-A에서 두 번째 OFDM 심벌의 위상을 분석한다. HE-SIG-A에서 두 번째 OFDM 심벌의 위상이 QBPSK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HE ER SU 프리앰블 내의 HE-SIG-A가 검출된다고 결정되고, HE-SIG-A가 수신된다. HE-SIG-A에서 두 번째 OFDM 심벌의 위상이 BPSK인 것으로 결정된다면, HE MU 프리앰블 내의 HE-SIG-A가 검출된다고 결정되고, HE-SIG-A가 수신된다.
(9) 분기 2에서, PPDU 내의 SIG가 검출될 수 있다.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라면, 프리앰블의 타입이 HT-MF 프리앰블인 것으로 결정된다.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이고, 두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라면, 프리앰블의 타입은 VHT 프리앰블인 것으로 결정된다. 그렇지 않고, 분기 1을 통해 프리앰블이 HE 프리앰블이 아니라고 결정된다면, 프리앰블이 비-HT 프리앰블인 것으로 결정된다.
단계(1) 내지 단계(9) 사이의 실행 시퀀스는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먼저 분기 2의 단계들을 수행한 다음, 분기 1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분기 2의 단계들이 먼저 수행되고, 이어서 분기 1의 단계들이 수행되고, 이어서 분기 2의 단계들이 다시 수행된다. 예를 들어, 프리앰블이 VHT 프리앰블인지 또는 HT-MF 프리앰블인지가 먼저 결정되고, 그 다음, 프리앰블이 HE 프리앰블인지 여부가 결정되고, 이어서 프리앰블이 비-HT 프리앰블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최신 WLAN 프로토콜 표준 802.11ax의 차세대 표준(이 표준은 802.11be 작업 그룹에 대응함)의 PPDU는 EHT PPDU로 지칭될 수 있고, EHT 표준의 후속 버전의 PPDU는 EHT+ PPDU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기가 EHT PPDU 또는 EHT+ PPDU를 식별하고 다른 여러 타입들의 PPDU들을 EHT PPDU 또는 EHT+ PPDU로서 식별하지 않을 수 있도록,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다음의 3개의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솔루션들은 솔루션 1, 솔루션 2 및 솔루션 3으로 표기된다.
솔루션 1
솔루션 1은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701.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Signature symbol)이고,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며,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솔루션 1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서명 심벌인 PPDU는 EHT PPDU 또는 EHT+ PPDU이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할 때, 복수의 비트들은 연속적인 비트들일 수 있거나, 비연속적인 비트들일 수 있다. 이는 제한적이지 않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협상을 통해 트랜시버에 의해 결정되거나, 프로토콜에 명시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필드로 지칭될 수 있고, 서명 필드는 수신된 PPDU의 프레임 포맷을 식별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명 필드는 서명 필드가 속하는 PPDU가 EHT PPDU 또는 EHT+ PPDU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서명 필드 내의 비트 시퀀스는 (대안으로 서명 시퀀스로 지칭될 수 있는) 특징 시퀀스로 지칭될 수 있다.
서명 심벌에서, 특징 시퀀스 이외의 부분은 정보 비트 부분일 수 있거나, 특징 시퀀스, CRC 및 테일 비트 이외의 부분은 정보 비트 부분일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의 정보는 비트 시퀀스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거나, 정보 비트들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L-SIG는 대안으로, 레거시 디바이스와 공존하도록 BPSK 변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HT PPDU 내의 프리앰블 부분의 일부 필드들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한다.
702. 전송기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수신기가 PPDU를 수신한다.
703.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이고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수신기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제1 PPDU는 EHT PPDU 또는 EHT+ PPDU이다.
수신된 PPDU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이지만, HT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이기 때문에, 수신기는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PPDU가 HT PPDU가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EHT PPDU 또는 EHT+ PPDU가 수신기에 의해 HT-MF PPDU 또는 HT-GF PPDU로서 식별되는 것은 불충분한 공존을 야기하며, 이는 EHT PPDU 또는 EHT+ PPDU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기 쉽다. 따라서 수신기가 EHT PPDU 또는 EHT+ PPDU를 HT-MF PPDU 또는 HT-GF PPDU로서 식별하는 것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고, 공존이 이루어진다.
추가로, 수신기는 서명 심벌이 조건(1)을 충족하는지 그리고/또는 조건(2)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여,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b0 내지 b3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일 수 있고, 솔루션 1의 bi는 서명 심벌에서 i의 인덱스를 갖는 비트이고, 서명 심벌에서 후자의 비트는 더 큰 인덱스를 지시하며, i는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예를 들어, b0 및 b1은 표준 버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0은 11be를 나타내고(이 경우, PPDU는 EHT PPDU임), 01은 11be의 다음 생성을 나타내고, 10은 11be의 다음 이후 생성을 나타내고, 11은 11be의 다음 이후 생성 이후의 생성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 경우, 수신기가 b0b1이 00이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 11be라고 결정한다. 현재, 후속 표준 버전들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들 01, 10 및 11이 예비될 수 있다.
b0b1 표준 버전
00 11be
01 예비
10 예비
11 예비
표준 버전이 PPDU의 프레임 포맷을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한다"는 대안으로,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프레임 포맷을 지시한다"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대응하게, "서명 심벌에서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다"는 대안으로, "서명 심벌에서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프레임 포맷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프레임 포맷이다"로서 설명될 수 있다.
전송기에서, 선택적으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 b3, b4 및 b10은 모두 코딩되지 않은 비트들을 의미하고, b2=0, b3=0, b4=1 및 b10=1이다. 수신기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예를 들어, 제2 사전 설정 비트가 b2 및 b3을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수신기가 수신된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2 및 b3의 값들이 각각 0 및 0이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비트의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한다.
HE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RL-SIG이다. VHT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VHT-SIG-A에서 (VHT-SIG-A1로 표기될 수 있는) 첫 번째 OFDM 심벌이다. 서명 심벌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은 HE PPDU 또는 VHT PPDU와 구별하도록 RL-SIG 또는 VHT-SIG-A1의 비트들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HT-SIG-A1의 예비 비트(b2)가 1로 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에서 b2가 0으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RL-SIG 내의 레이트 필드(b3)가 1로 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3이 0으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RL-SIG 내의 예비 비트(b4)가 0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4가 1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MU-MIMO 전송이 수행될 때, VHT-SIG-A1의 b10은 0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10이 1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조건/특정 조건들은 전송기의 구현에 좌우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특징들을 가질 때, 수신기는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특징/특징들에 대응하는 조건/조건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1)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1)에 대응하는 조건(1)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2)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2)에 대응하는 조건(2)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1) 및 특징(2)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1) 및 특징(2)에 대응하는 조건(1) 및 조건(2)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에서, 선택적으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예를 들어, 서명 심벌에서 CRC 및 테일 비트 이외의 비트들)을 체크하는 데 사용되고; (4) 이진 컨볼루션 코드(BCC: binary convolution code)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예를 들어, 서명 심벌에서 CRC 및 테일 비트 이외의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VHT PPDU 내의 VHT-SIG-A1은 CRC 또는 테일 비트를 갖지 않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는 CRC 및/또는 테일 비트를 전달함으로써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협상을 통해 트랜시버에 의해 결정되거나, 프로토콜에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심벌에서 b14 내지 b17일 수 있고, b14 내지 b17의 CRC는 b0 내지 b13에 대한 체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PPDU 프레임 포맷들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일반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크가 통과된다면, 이는 서명 심벌이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수신된 PPDU가 EHT PPDU 또는 EHT+ PPDU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PPDU가 제1 PPDU가 아니라면, 제1 심벌이 서명 심벌인 것으로 가정되는 방식으로 L-SIG에 후속하는 제1 심벌에 대해 수행된 디코딩 및 CRC 체크가 실패할 높은 확률이 있다. 따라서 제1 PPDU를 식별하는 정확도가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HE PPDU 내의 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과 상이하다. HE PPDU 내의 RL-SIG의 패리티 비트는 특수한 CRC로서 고려될 수 있다. HE PPDU 내의 RL-SIG의 패리티 비트가 단지 1비트만을 점유하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는 CRC에서 복수의 비트들을 설정함으로써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EHT PPDU 또는 EHT+ PPDU는 대안으로, 패리티 비트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앞서 말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다음은 서명 심벌의 특징들을 요약한다.
먼저, HE PPDU 내의 RL-SIG의 필드들은 순차적으로 레이트(rate) 필드, 예비(Reserved) 필드, 길이(Length) 필드, 패리티 비트(Parity) 필드 및 테일 비트(Tail)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드들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에 대해서는, 표 2를 참조한다. VHT PPDU 내의 VHT-SIG-A1의 필드들은 순차적으로: 대역폭(Bandwidth) 필드, 예비(Reserved) 필드, 공간 시간 블록 코딩(STBC: space time block coding) 필드, 그룹 식별자(그룹 ID) 필드, 공간 시간 스트림들의 수(NSTS: number of space time streams)/부분 연관 식별자(PAID: partial association identifier) 필드, 전송 기회 전력 절감_NOTALLOWED(TXOP_PS_NOT_ALLOWED: transmit opportunity power save_NOTALLOWED) 필드 및 예비(Reserved)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드들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에 대해서는, 표 2를 참조한다.
비트 HE PPDU 내의 RL-SIG VHT PPDU 내의 VHT-SIG-A1
필드 비트들의 양 필드 비트들의 양
0 레이트 4 대역폭 2
1
2 예비 1
3 STBC 1
4 예비 1 그룹 식별자 6
5 길이 12
6
7
8
9
10 NSTS/PAID
11
12
13
14
15
16
17 패리티 비트 1
18 테일 비트 6
19
20
21
22 TXOP_PS_NOT_ALLOWED 1
23 예비 1
EHT PPDU 또는 EHT+ PPDU를 HE PPDU 및 VHT PPDU와 구별하기 위해, 솔루션 1의 서명 심벌은 표 3에 도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표 3은 단지 일례일 뿐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특징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표 3의 비트들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b0 내지 b3이 아닐 수 있고, 다른 비트일 수 있으며, CRC는 b14 내지 b17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특징의 특정 의미는 또한 표 3에서의 의미와 상이할 수 있으며, 특정 시나리오에 기반한다.
비트 서명 심벌 특징
필드 비트들의 양
0 특징 시퀀스/표준 버전의 일부 4 b0 내지 b3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은 후속 상이한 표준 버전의 PPDU 포맷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1
2 서명 심벌의 b2는 0으로 설정된다.
(VHT-SIG-A1의 예비 비트 b2는 1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3 서명 심벌의 b3은 0으로 설정된다.
(RL-SIG의 레이트 필드 b3은 1이다.)
4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서명 심벌의 b4는 1로 설정된다.
(RL-SIG의 예비 비트 b4는 0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5 정보 비트들/특징 시퀀스의 일부 5 비트들의 고정 부분 또는 모든 비트들이 서명 필드로서 사용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고정 부분은 바람직하게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전체 OFDM 심벌의 PAPR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된다.
6
7
8
9
10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서명 심벌의 b10은 1로 설정된다.
(MU-MIMO 전송이 수행될 때, VHT PPDU 내의 b10은 0으로 설정된다.)
11 정보 비트들/특징 시퀀스의 일부 3 비트들의 고정 부분 또는 모든 비트들이 서명 필드로서 사용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12
13
14 CRC 4 CRC는 서명 심벌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비트들의 양 및 비트들의 포지션들이 결정될 것이다.
15
16
17
18 테일 비트 6 테일 비트는 BCC 인코딩을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19
20
21
22
23
주: PAPR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의미한다.
표 3의 서명 심벌 내의 모든 특징들은 인코딩 전에 서명 심벌 내의 특징들을 의미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추가로, 수신기는 서명 심벌 이외의 OFDM 심벌의 특징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사례 1 및 사례 2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사례 1: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사례 1에서, 가능한 구현에서는,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사전에 협상을 통해 BPSK 변조인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수신된 PPDU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1에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은 사전에 협상을 통해 QBPSK 변조인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수신된 PPDU에서 서명 심벌에 후속하는 OFDM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2: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사례 2에서, 가능한 구현에서는,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인 것은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사전에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2에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인 것은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사전에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이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방법에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PPDU에 의해 충족되는 사전 설정 조건들이 많을수록,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일 가능성이 더 높고, 수신기의 결정 정확도가 더 높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수신기의 동작들에 관해 보다 명확하게 학습하기 위해, 다음은 수신기의 처리 프로시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사용한다. 이 예에서,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 아니고,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필드보다는 정보 비트들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 분기 1 및 분기 2에 관한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의 관련된 설명들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분기 3의 특정 프로세스가 주로 설명된다. 분기 3의 단계들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을 검출한다. 단계(1)는 구체적으로: CRC를 수신하고 CRC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즉, CRC는 서명 심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체크하는 데 사용됨); 및 테스트가 통과된다면, 단계(2)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분기 1 또는 분기 2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서명 심벌을 분석한다. 단계(2)는 구체적으로: 서명 필드가 사전 설정 특징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즉,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예라면, 단계(3)를 수행하거나; 아니오라면, 분기 1 또는 분기 2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를 분석한다. 나머지가 0이 아니라면, 단계(4)가 수행된다. 나머지가 0이라면, 분기 1 또는 분기 2로 전환된다.
4. 표준 버전을 식별한다. 단계(4)는 구체적으로: 표준 버전 필드(즉, 제1 사전 설정 비트)를 분석하고, 표준 버전 필드에 기초하여, 수신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 대응하는 표준 버전에서 PPDU 프레임 포맷을 식별한다.
단계(5)는 선택적 단계이다. EHT PPDU 또는 EHT+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에는 복수의 PPDU 프레임 포맷들이 있을 수 있으며, 단계(5)의 목적은 EHT PPDU 또는 EHT+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에서 특정 PPDU 프레임 포맷을 식별하는 것이다.
추가로, 수신기에서의 처리 동안, 분기 1이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분기 2 또는 분기 3으로 전환될 수 있다.
솔루션 1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솔루션 2
솔루션 2는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001.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은 서명 심벌이고, 서명 심벌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솔루션 2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이 서명 심벌인 PPDU는 EHT PPDU 또는 EHT+ PPDU이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할 때, 복수의 비트들은 연속적인 비트들일 수 있거나, 비연속적인 비트들일 수 있다. 이는 제한적이지 않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협상을 통해 트랜시버에 의해 결정되거나, 프로토콜에 명시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 및/또는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필드로 지칭될 수 있고, 서명 필드는 수신된 PPDU의 프레임 포맷을 식별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명 필드는 서명 필드가 속하는 PPDU가 EHT PPDU 또는 EHT+ PPDU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서명 필드 내의 비트 시퀀스는 (대안으로 서명 시퀀스로 지칭될 수 있는) 특징 시퀀스로 지칭될 수 있다.
서명 심벌에서, 특징 시퀀스 이외의 부분은 정보 비트 부분일 수 있거나, 특징 시퀀스, CRC 및 테일 비트 이외의 부분은 정보 비트 부분일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비트의 정보는 비트 시퀀스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거나, 정보 비트들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1002. 전송기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수신기가 전송기로부터 PPDU를 수신한다.
1003.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이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수신기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서명 심벌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이다.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서명 심벌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서명 심벌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제1 PPDU는 EHT PPDU 또는 EHT+ PPDU이다.
제1 사전 설정 비트의 관련 설명들에 대해서는, 솔루션 1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전송기에서, 선택적으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고, bi는 서명 심벌에서 i의 인덱스를 갖는 비트이며, i는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신기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예를 들어, 제2 사전 설정 비트가 b9 및 b14을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수신기가 수신된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9 및 b14의 값들이 각각 0 및 0이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비트의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고 결정한다.
HE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은 HE-SIG-A에서 (HE-SIG-A1로 표기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다. VHT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은 VHT-SIG-A에서 (VHT-SIG-A2로 표기될 수 있는) 두 번째 OFDM 심벌이다. 서명 심벌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은 HE PPDU 또는 VHT PPDU와 구별하도록 HE-SIG-A1 또는 VHT-SIG-A2의 비트들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HT-SIG-A2의 b0 및 b1은 각각 짧은 보호 구간 필드 및 짧은 보호 구간 심벌 수량 명확화(disambiguation) 필드이다. b0이 0으로 설정된다면, 보호 구간이 사용되지 않으며, b1도 또한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EHT PPDU 또는 EHT+ PPDU의 서명 심벌에서 b0이 0으로 설정되고 b1이 1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VHT-SIG-A2의 b2 및 b3은 각각 단일 사용자/다중 사용자 코딩 필드 및 저밀도 패리티 코드(LDPC: low density parity code) 추가 OFDM 심벌 필드이다. b2가 0으로 설정된다면, 이는 BCC 코딩이 사용됨을 지시하고, 이 경우 b3은 또한 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EHT PPDU 또는 EHT+ PPDU의 서명 심벌에서 b2가 0으로 설정되고 b3이 1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VHT-SIG-A2의 b9는 예비 비트이며 1로 설정된다. 따라서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9가 0으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VHT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HE-SIG-A1의 b14는 예비 비트이며 1로 설정된다. 따라서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의 b14가 0으로 설정된다면, EHT PPDU 또는 EHT+ PPDU는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조건/특정 조건들은 전송기의 구현에 좌우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특징들을 가질 때, 수신기는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특징/특징들에 대응하는 조건/조건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1)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1)에 대응하는 조건(1)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2)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2)에 대응하는 조건(2)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의 서명 심벌이 특징(1) 및 특징(2)을 포함한다면, 수신기는 특징(1) 및 특징(2)에 대응하는 조건(1) 및 조건(2)을 사용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한다.
전송기에서, 선택적으로, 서명 심벌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3)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가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도록 구성되고; (4) 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은 BCC 인코딩을 사용한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서명 심벌을 디코딩하며, 여기서 서명 심벌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CRC를 사용함으로써 서명 심벌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
HE PPDU 내의 HE-SIG-A1은 CRC 또는 테일 비트를 갖지 않기 때문에, EHT PPDU 또는 EHT+ PPDU는 CRC 및/또는 테일 비트를 전달함으로써 HE PPDU와 구별될 수 있다.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협상을 통해 트랜시버에 의해 결정되거나, 프로토콜에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심벌에서 b14 내지 b17일 수 있고, b14 내지 b17의 CRC는 b0 내지 b13에 대한 체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PPDU 프레임 포맷들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은 일반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크가 통과된다면, 이는 서명 심벌이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서명 심벌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수신된 PPDU가 EHT PPDU 또는 EHT+ PPDU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명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위치들은 VHT PPDU 내의 VHT-SIG-A의 두 번째 OFDM 심벌에서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하다.
앞서 말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다음은 서명 심벌의 특징들을 요약한다.
먼저, VHT PPDU 내의 VHT-SIG-A2의 필드들은 순차적으로: 짧은 보호 구간(Short guard interval) 필드, 짧은 보호 구간 심벌 수량 명확화(Short GI NSYM Disambiguation) 필드, 단일 사용자/다중 사용자 [0] 코딩(SU/MU 코딩) 필드, LDPC 추가 OFDM 심벌(LDPC Extra OFDM Symbol) 필드, 단일 사용자 코딩 및 변조 방식/다중 사용자 [1 내지 3] 코딩 방식(SU VHT-MCS/MU[1-3] Coding) 필드, 빔 형성 필드, 예비 필드, CRC 필드 및 테일 비트(Tail) 필드를 포함한다. HE PPDU 내의 HE-SIG-A1의 필드들은 순차적으로: 포맷 필드, 빔 변경 필드, 업링크/다운링크 필드, 코딩 및 변조 방식 필드, 이중 반송파 변조 필드, 기본 서비스 세트 필드, 예비(Reserved) 필드, 공간 다중화 필드, 대역폭 필드, 보호 구간 및 긴 트레이닝 시퀀스 크기 필드, 및 공간-시간 스트림들의 양 및 중간 프리앰블 기간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드들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에 대해서는, 표 4를 참조한다.
비트 VHT PPDU 내의 VHT-SIG-A2 HE PPDU 내의 HE-SIG-A1
필드 비트들의 양 필드 비트들의 양
0 짧은 보호 구간 1 포맷 1
1 짧은 보호 구간 심벌 수량 명확화 1 빔 변경 1
2 단일 사용자/다중 사용자 [0] 코딩 1 업링크/다운링크 1
3 LDPC 추가 OFDM 심벌 1 코딩 및 변조 방식 4
4 단일 사용자 코딩 및 변조 방식/다중 사용자 [1 내지 3] 코딩 방식 4
5
6
7 이중 반송파 변조 1
8 빔 형성 1 기본 서비스 세트 6
9 예비 1
10 CRC 8
11
12
13
14 예비 1
15 공간 다중화 4
16
17
18 테일 비트
(Tail)
6
19 대역폭 2
20
21 보호 구간 및 긴 트레이닝 시퀀스 크기 2
22
23 공간-시간 스트림들의 양 및 중간 프리앰블 기간 3
24
25
주: L-SIG 및 RL-SIG는 4개의 추가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VHT-SIG-A1/VHT-SIG-A2 및 L-SIG와 비교하여, 이 실시예에서의 HE-SIG-A1 및 서명 심벌은 정보 비트들의 2개 이상의 비트들을 전달한다.
EHT PPDU 또는 EHT+ PPDU를 HE PPDU 및 VHT PPDU와 구별하기 위해, 솔루션 2의 서명 심벌은 표 5에 도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표 5는 단지 일례일 뿐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특징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표 5의 비트들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C는 b16 내지 b19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특징의 특정 의미는 또한 표 5에서의 의미와 상이할 수 있으며, 특정 시나리오에 기반한다.
비트 서명 심벌 특징
필드 비트들의 양
0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b0은 0으로 설정되고, b1은 1로 설정된다. (VHT-SIG-A2에서, 짧은 보호 구간 필드(즉, b0)가 0으로 설정된다면, 보호 구간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짧은 보호 구간 심벌 수량(즉, b1)은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서명 심벌의 b1은 VHT PPDU와 구별되도록 1로 설정된다.)
1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2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b2를 0으로 그리고 b3을 1로 설정한다. (VHT-SIG-A2에서, BCC 인코딩이 사용된다면(이 경우, b2는 0임), LDPC 추가 OFDM 심벌(즉, b3)은 0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서명 심벌의 b3은 VHT PPDU와 구별되도록 1로 설정된다.)
3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4 정보 비트들/특징 시퀀스의 일부 5
5
6
7
8
9 특징 시퀀스의 일부 1 b9는 0으로 고정된다.
(VHT-SIG-A2의 예비 비트는 1로 고정된다.)
10 정보 비트들/특징 시퀀스의 일부 6 b14는 0으로 설정된다.
(HE-SIG-A1의 예비 비트는 1로 설정된다.)
11
12
13
14
15
16 CRC 4 CRC는 서명 심벌의 정보를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비트들의 양 및 비트들의 포지션들이 결정될 것이다.
17
18
19
20 테일 비트 6 테일 비트는 BCC 인코딩을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21
22
23
24
25
표 5의 서명 심벌 내의 모든 특징들은 인코딩 전에 서명 심벌 내의 특징들을 의미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은 L-SIG에 대해 마스킹이 수행된 후에 획득된(마스킹된, 여기서 본 명세서의 마스크는 +1 및/또는 -1을 곱하는 시퀀스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각의 부반송파 상에 있는 그리고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인 값임) L-SIG(즉, 마스킹된 RL-SIG)이다. 이 경우, EHT PPDU 또는 EHT+ PPDU 내의 프리앰블 부분의 일부 필드들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한다. 이 경우, 사전 설정 조건은: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된 이후에 획득된 정보가 L-SIG의 정보와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한다.
도 11에서, L-SIG는 대안으로, 레거시 디바이스와 공존하도록 BPSK 변조일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추가로, 서명 심벌의 다른 특징 또는 서명 심벌 이외의 OFDM 심벌의 특징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사례 1 및 사례 2가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사례 1: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사례 1에서, 가능한 구현에서는,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사전에 협상을 통해 BPSK 변조인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수신된 PPDU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BPSK 변조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1에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QBPSK 변조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은 사전에 협상을 통해 QBPSK 변조인 것으로 결정되거나,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수신된 PPDU에서 서명 심벌의 변조 방식이 QBPSK 변조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2: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된다.
사례 2에서, 가능한 구현에서는,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1 또는 2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인 것은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사전에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1 또는 2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사례 2에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고, 사전 설정 조건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전송기 및 수신기에 대해,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인 것은 사전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거나, 사전에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가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이라고 결정한다면, 수신기는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방법에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PPDU가 더 많은 사전 설정 조건들을 충족할 때, 제1 PPDU가 수신된 PPDU일 가능성이 더 높고, 수신기의 결정 정확도가 더 높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수신기의 동작들에 관해 보다 명확하게 학습하기 위해, 다음은 수신기의 처리 프로시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사용한다. 이 예에서, 제1 PPDU 내의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이 아니고,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서명 필드보다는 정보 비트들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서, 분기 1 및 분기 2에 관한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의 관련된 설명들을 참조한다. 도 9a 내지 도 9c의 분기 3과 비교하여, 도 12a 내지 도 12c의 분기 3은 추가 단계 A를 갖는다. 단계 A: RL-SIG를 디마스킹하고 RL-SIG를 검출한다. 단계 A는 구체적으로: L-LTF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을 수신하고 디마스킹하는 단계;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이 수행된 후의 두 번째 OFDM 심벌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이 수행된 후의 두 번째 OFDM 심벌과 동일하다는 것이 검출된다면, 단계(1) 내지 단계(5)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 내지 단계(5)의 관련 설명들에 대해서는, 솔루션 1에서의 도 9a 내지 도 9c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L-LTF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이 디마스킹이 수행된 후의 두 번째 OFDM 심벌과 동일하다는 것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분기 1 또는 분기 2로 전환된다.
도 9a 내지 도 9c와 유사하게, 수신기에서의 처리 동안, 분기 1이 대응하는 결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분기 2 또는 분기 3으로 전환될 수 있다.
솔루션 2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 및 수신기가 PPDU 내의 서명 심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1 PPDU를 식별할 수 있어, 수신된 PPDU 내의 정보가 정확하게 해석된다.
솔루션 3
솔루션 3은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301. 전송기가 PPDU를 생성하며, 여기서 PPDU는 서명 심벌을 포함하고, 서명 심벌은 정보 비트들에 대한 채널 코딩을 통해 생성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트 시퀀스는 그레이 시퀀스이다.
선택적으로, 제1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비트 시퀀스이다.
정보 비트들은, EHT-SIG-A 또는 XX-SIG-A에서의 OFDM 심벌들의 양, EHT-SIG-A 또는 XX-SIG-A의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셀을 특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컬러(BSS 컬러), 및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XX-SIG-A는 EHT+ PPDU 내의 SIG-A 필드를 지시한다.
1302. 전송기가 수신기에 PPDU를 송신한다. 대응하게, 수신기가 전송기로부터 PPDU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계(1302)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가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에 대해 인터리빙 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제1 비트 시퀀스 및 제2 비트 시퀀스가 딥 페이딩(deep fading)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을 보장한다.
1303. 수신기가 서명 심벌로부터 제1 비트 시퀀스를 직접 추출한다.
직접 추출하는 것은 제1 비트 시퀀스가 디코딩 없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304. 수신기가 서명 심벌의 제2 비트 시퀀스에 대해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정보 비트들을 획득한다.
1305. 제1 비트 시퀀스가 미리 저장된 제1 비트 시퀀스와 매칭하고 그리고/또는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된다면, 수신기는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한다.
제1 PPDU는 EHT PPDU 또는 EHT+ PPDU이다.
정보 비트들이 CRC 및 테일 비트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면, 수신기는 정보 비트들의 CRC 및 테일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정보 비트들에서 CRC 및 테일 비트 이외의 비트들을 체크할 수 있다. 정보 비트들이 CRC 및 테일 비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고려된다면, 수신기는 CRC 및 테일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정보 비트들을 체크할 수 있다.
솔루션 3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송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비트 시퀀스에 대해서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기는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제1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여,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수신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신기는 추가로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할 수 있다. 체크가 통과되면, 수신기는 추가로,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앞서 말한 방법은 전송기 및 수신기의 일부 프로시저들만을 설명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전송기는 추가로, 성상도 매핑(constellation mapping), 이산 푸리에 역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순환 시프트 지연(CSD: cyclic shift delay) 추가, 보호 구간(GI: guard interval) 추가, 윈도잉(windowing), 및 인터리빙된 시퀀스에 대한 아날로그 및 무선 주파수 동작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대응하게, 수신기는 추가로, 아날로그 및 무선 주파수 동작들, GI 제거,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수신된 PPDU에 대한 디인터리빙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앞서 말한 송신 및 수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일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한다. 서명 심벌은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첫 번째 부분은, 전송기와 수신기 모두에 알려진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 부반송파 상에서 직접 전달되는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즉, 제1 비트 시퀀스)이며, 총 X개의 비트들을 점유하고, 여기서 X는 0보다 크고 서명 심벌의 데이터 부반송파들의 양 미만인 양의 정수(예를 들어, 양은 48 또는 52이고, 여기서는 N으로 표기됨)이며, 예를 들어 X는 8 또는 16일 수 있다. 두 번째 부분은 N-X개의 비트들(즉, 제2 비트 시퀀스)이며, 서명 심벌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N-X개의 비트들은 1/2의 비트 레이트로 (CRC 및 테일 비트를 포함하는) (N-X)/2 정보 비트들을 인코딩하는 BPSK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채널 코딩이 수행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 및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정보 비트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48비트의 데이터 부반송파가 존재한다면, 16-비트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데이터 부반송파들 0 내지 15에 매핑된다. 16-비트 정보 비트들이 인코딩되어 32비트를 획득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데이터 부반송파들 16 내지 47에 매핑된다. 그 다음, 48비트에 대해 균일하게 인터리버 동작이 수행된다. PPDU를 수신하고 디인터리빙한 후에, 수신기는, 데이터 부반송파들 상에서 서명 심벌의 비트들이 매핑되는 위치들에 기반하여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정보 비트들 및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를 추출하고, 알려진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와 수신된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 간의 매칭을 수행한다. 매칭이 성공하면,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된다. 추가로, 알려진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가 수신된 미리 결정된 비트 시퀀스와 성공적으로 매칭된 후에, 수신기는 단지, 수신된 PPDU가 제1 PPDU일 수 있다고 결정한다. 수신기는 채널 코딩 후에 획득된 정보 비트들을 계속 디코딩하여 정보 비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CRC 및 테일 비트는 정보 비트들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는 데 사용되고, 체크가 통과되는 경우에만, 수신된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된다.
또한, 솔루션 3은 추가로 솔루션 1 및 솔루션 2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방식 1 및 방식 2를 사용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방식 1: 솔루션 1과의 조합
방식 1에서,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첫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1 비트 시퀀스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이 경우, 수신기가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는 제1 비트 시퀀스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결정하며, 여기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비트 시퀀스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제1 비트 시퀀스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전송기에서, 예를 들어,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0, b3=0, b4=1, b10=1이다. 수신기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4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10의 사전 설정 값은 1이다.
방식 1에서, 수신기는 제1 PPDU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식별 원리는 솔루션 1에서의 원리와 동일하며,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방식 2: 솔루션 2와의 조합
제1 비트 시퀀스는 PPDU에서 L-SIG에 후속하는 두 번째 OFDM 심벌에 위치되고, 제1 비트 시퀀스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사전 설정 비트는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하고; (2)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0 또는 1이다.
이 경우, 수신기가 서명 심벌이 속하는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기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수신기는 제1 비트 시퀀스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결정하며, 여기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1) 제1 비트 시퀀스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은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고; (2) 제1 비트 시퀀스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은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하다.
전송기에서, 예를 들어,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및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0, b1=1, b2=0, b3=1, b9=0, b14=0이다. 대응하게, 수신기에서,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1) b0과 b1, (2) b2와 b3, (3) b9, (4) b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b0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2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3의 사전 설정 값은 1이고, b9의 사전 설정 값은 0이고, b14의 사전 설정 값은 0이다.
방식 2에서, 수신기는 제1 PPDU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식별 원리는 솔루션 1에서의 원리와 동일하며,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앞서 말한 내용은 주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상호 작용의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앞서 말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와 같은 각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과 조합하여, 본 출원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솔루션들의 특정 애플리케이션들 및 설계 제약들에 좌우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는 앞서 말한 방법 예들에 기반하여 기능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유닛은 각각의 대응하는 기능에 기초한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기능들이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닛들로의 분할은 일례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 동안,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장치(15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구조의 개략도는 처리 유닛(1501) 및 트랜시버 유닛(1502)을 포함한다. 장치(150)에서 송신 및 수신 기능들을 갖는 안테나 및 제어 회로는 장치(150)에서 트랜시버 유닛(1502)으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전송기 장치에서 처리 유닛(1501)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트랜시버 유닛(1502)은 트랜시버,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회로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50)는 저장 유닛(1503)을 더 포함한다.
장치(150)가 앞서 말한 전송기 장치일 때, 처리 유닛(1501) 및 트랜시버 유닛(1502)은 앞서 말한 방법에서 전송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1501)은 도 7의 단계(701)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7의 단계(7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처리 유닛(1501)은 도 10의 단계(1001)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10의 단계(10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처리 유닛(1501)은 도 13의 단계(1301)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13의 단계(13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유닛(1503)은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처리 유닛(1501)이 도 7의 단계(701)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고 도 7의 단계(702)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하거나; 또는 처리 유닛(1501)이 도 10의 단계(1001)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고 도 10의 단계(1002)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하거나; 또는 처리 유닛(1501)이 도 13의 단계(1301)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명령을 호출하고 도 13의 단계(1302)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한다.
전송기 장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장치(150)가 앞서 말한 수신기 장치일 때, 처리 유닛(1501) 및 트랜시버 유닛(1502)은 앞서 말한 방법에서 수신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7의 단계(7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1501)은 도 7의 단계(703)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10의 단계(10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1501)은 도 10의 단계(1003)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트랜시버 유닛(1502)은 도 13의 단계(1302)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1501)은 도 13의 단계(1302) 내지 단계(1305)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유닛(1503)은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처리 유닛(1501)이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여 도 7의 단계(702)를 수행하고 도 7의 단계(703)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하거나; 또는 처리 유닛(1501)이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여 도 10의 단계(1002)를 수행하고 도 10의 단계(1003)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하거나; 또는 처리 유닛(1501)이 컴퓨터 명령들을 호출하여 도 13의 단계(1302)를 수행하고 도 13의 단계(1302) 내지 단계(1305)를 수행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502)을 제어하게 한다.
수신기 장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도 15의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도 15의 유닛은 대안으로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은 처리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6은 앞서 말한 실시예들에서의 장치(150)의 다른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한다. 이 장치(150)는 프로세서(1601) 및 트랜시버(1602)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장치(150)는 프로세서(1601)에 접속된 메모리(1603)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601), 트랜시버(1602) 및 메모리(1603)는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접속된다.
도 16의 구조의 장치가 앞서 말한 전송기 장치일 때, 도 15에 도시된 장치(150)가 전송기 장치라면, 프로세서(1601)는 처리 유닛(1501)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트랜시버(1602)는 앞서 말한 트랜시버 유닛(150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603)는 저장 유닛(150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16의 구조의 장치가 앞서 말한 수신기 장치일 때, 도 15에 도시된 장치(150)가 수신기 장치라면, 프로세서(1601)는 처리 유닛(1501)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트랜시버(1602)는 앞서 말한 트랜시버 유닛(150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603)는 저장 유닛(150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프로세서(1601)는 범용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본 출원의 솔루션들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1)는 복수의 CPU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601)는 단일 코어(단일 CPU)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다중 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회로들 및/또는 처리 코어들일 수 있다.
메모리(1603)는 정적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는 ROM 또는 다른 타입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는 RAM 또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저장소, (압축된 광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603)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1601)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603)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앞서 말한 실시예들에서의 장치(150)의 다른 가능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한다. 장치(150)는 논리 회로(1701)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702)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장치(150)는 저장 매체(1703)를 더 포함한다.
도 17의 구조의 장치가 앞서 말한 전송기 장치일 때, 도 15에 도시된 장치(150)가 전송기 장치라면, 논리 회로(1701)는 처리 유닛(1501)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702)는 앞서 말한 트랜시버 유닛(150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1703)는 저장 유닛(150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17의 구조의 장치가 앞서 말한 수신기 장치일 때, 도 15에 도시된 장치(150)가 수신기 장치라면, 논리 회로(1701)는 처리 유닛(1501)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702)는 앞서 말한 트랜시버 유닛(150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1703)는 저장 유닛(150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상에서 명령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앞서 말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앞서 말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앞서 말한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앞서 말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사용되어 실시예들을 구현할 때,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시저 또는 기능들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들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이를테면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state disk))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보호를 주장하는 본 출원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첨부 도면들,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검토함으로써,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포함하는"은 다른 컴포넌트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하나의" 또는 "일"은 복수의 의미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이 청구항들에 열거된 여러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조치들은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 기록되지만, 이는 이러한 조치들이 더 나은 효과를 생성하도록 조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이 특정 특징들 및 이들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들에 다양한 수정들 및 조합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대응하게, 명세서 및 첨부 도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예들의 설명들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커버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수정들, 변형들, 조합들 또는 등가물들로 간주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런 식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본 출원의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 기술들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4)

  1.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전송기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PPDU는 서명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명 필드는 다음의 특징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상기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함; (2)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 cyclic redundancy code)가 상기 서명 필드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는 데 사용됨; 또는 (3) 테일(tail) 비트가 이진 컨볼루션 코드(BCC: binary convolutional code)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사용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및
    상기 전송기에 의해 수신기에 상기 P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L-SIG: legacy signaling field) 및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 repeated legacy signaling f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RL-SIG는 상기 L-SIG와 동일한,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PDU 내의 상기 L-SIG, 상기 RL-SIG 및 상기 서명 필드의 변조 방식은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인,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modulo)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인,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는: (4)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0 또는 1이라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b2=0, b3=0, b4=1, b10=1인,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에서 상기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은 고효율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HE PPDU: high efficiency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내의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에서 패리티(parity)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한,
    데이터 송신 방법.
  8.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수신기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PDU는 서명 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기가 상기 서명 필드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1) 상기 서명 필드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 상기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인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서명 필드 내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 필드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명 필드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명 필드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2) 상기 서명 필드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b2=0, b3=0, b4=1, b10=1인,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3) 상기 PPDU가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L-SIG) 및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RL-SIG는 상기 L-SIG와 동일한,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4) 상기 PPDU 내의 상기 L-SIG, 상기 RL-SIG 및 상기 서명 필드의 변조 방식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변조인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5) 상기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인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에서 상기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은 고효율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HE PPDU) 내의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한,
    데이터 수신 방법.
  16. 트랜시버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상기 처리 유닛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PDU는 서명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명 필드는 다음의 특징들: (1) 제1 사전 설정 비트가 상기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을 지시함; (2)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가 상기 서명 필드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을 체크하는 데 사용됨; 및 (3) 이진 컨볼루션 코드(BCC) 인코딩을 종료하기 위해 테일 비트가 사용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수신기에 상기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L-SIG) 및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를 더 포함하고,
    상기 RL-SIG는 상기 L-SIG와 동일한,
    데이터 송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PPDU 내의 상기 L-SIG, 상기 RL-SIG 및 상기 서명 필드의 변조 방식은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변조인,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는 0인,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는: (4)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0 또는 1이라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b2=0, b3=0, b4=1, b10=1인,
    데이터 송신 장치.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에서 상기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은 고효율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HE PPDU) 내의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한,
    데이터 송신 장치.
  23. 트랜시버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PDU는 서명 필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명 필드가 사전 설정 조건을 충족함을 검출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PPDU가 제1 PPDU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1) 상기 서명 필드의 제1 사전 설정 비트에 의해 지시된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이 상기 제1 PPDU에 대응하는 표준 버전인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명 필드 내의 테일 비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명 필드를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서명 필드의 제3 사전 설정 비트의 순환 중복 코드(CRC)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명 필드의 일부 또는 모든 비트들에 대한 체크가 통과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2) 상기 서명 필드의 제2 사전 설정 비트의 각각의 비트의 값이 사전 설정 값과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비트는 b2, b3, b4 및 b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b2=0, b3=0, b4=1, b10=1인,
    데이터 수신 장치.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3) 상기 PPDU가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L-SIG) 및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RL-SIG는 상기 L-SIG와 동일한,
    데이터 수신 장치.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4) 상기 PPDU 내의 상기 L-SIG, 상기 RL-SIG 및 상기 서명 필드의 변조 방식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변조인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조건은: (5) 상기 L-SIG의 길이 필드의 값의 모듈로 3 이후 획득된 나머지가 0인 것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필드에서 상기 CRC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은 고효율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HE PPDU) 내의 반복적 레거시 시그널링 필드(RL-SIG)에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의 양 및/또는 상기 비트들의 위치들과 상이한,
    데이터 수신 장치.
  3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송기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상기 장치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전송기 장치.
  3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신기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여, 상기 장치가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수신기 장치.
  33.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거나, 상기 컴퓨터는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4.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명령들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거나, 상기 컴퓨터는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04091A 2019-07-12 2020-06-23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031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31626.5A CN112217776B (zh) 2019-07-12 2019-07-12 数据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CN201910631626.5 2019-07-12
PCT/CN2020/097818 WO2021008318A1 (zh) 2019-07-12 2020-06-23 数据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081A true KR20220031081A (ko) 2022-03-11

Family

ID=7404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091A KR20220031081A (ko) 2019-07-12 2020-06-23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1062A1 (ko)
EP (1) EP3996343A4 (ko)
JP (1) JP7407267B2 (ko)
KR (1) KR20220031081A (ko)
CN (1) CN112217776B (ko)
WO (1) WO2021008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9471A1 (en) * 2019-08-12 2022-10-13 Lg Electronics Inc. Technique for configuring preamb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17680B2 (en) * 2020-09-03 2024-02-27 Lg Electronics Inc. WLAN sensing based on multiple channel or resource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3582B2 (en) * 2010-04-08 2014-10-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PPDU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2671337B1 (en) * 2011-02-04 2018-04-11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mode phy for wlan
US9178745B2 (en) * 2011-02-04 2015-11-03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mode PHY for WLAN
US8830815B2 (en) * 2011-05-19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television white space transmissions
US9049155B2 (en) * 2011-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ual interpretation of a length field of a signal unit
US9100275B2 (en) * 2011-09-06 2015-08-04 Sameer Vermani Signal unit including a field indicative of a zero-length payload
AU2012337488B2 (en) * 2011-11-18 2015-07-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102148441B1 (ko) * 2012-04-03 2020-10-15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Wlan을 위한 물리 계층 프레임 포맷
US9374736B2 (en) * 2012-05-08 2016-06-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indicating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59810B2 (en) * 2012-09-10 2017-01-3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 check sequence
CA2908045C (en) * 2013-04-19 2019-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field and apparatus therefor
US9717086B2 (en) * 2013-11-27 2017-07-25 Marvell World Trade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027512B2 (en) * 2014-01-06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17947A1 (ko) * 2014-07-28 2016-02-0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021838A1 (ko)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12744B2 (en) * 2014-08-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20153665A (ko) * 2014-08-27 202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087825A1 (en) * 2014-09-19 2016-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high efficiency wireless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6041205A1 (zh) * 2014-09-19 2016-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lan系统中全双工通信的方法及装置
KR102046826B1 (ko) * 2014-09-30 2019-11-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EP3595218B1 (en) * 2014-10-01 2020-08-19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68671A2 (ko) * 2014-10-31 2016-05-06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pdu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27449B2 (en) * 2014-12-02 2018-07-17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ata unit
KR20170103861A (ko) * 2015-01-08 2017-09-13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고효율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의 다운링크 시그널링
US11057253B2 (en) * 2015-02-02 2021-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HE-SIG B
EP3259863B1 (en) * 2015-02-17 2019-07-10 Marvell World Trade Ltd. Block coding scheme for phy data unit transmission
WO2016159476A1 (ko) * 2015-03-27 2016-10-06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3992248B (zh) * 2015-05-05 2024-02-02 三星电子株式会社 识别/指示无线局域网中的调度信息的装置和方法
US10582025B2 (en) * 2015-05-05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signaling and address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s
US10389563B2 (en) * 2015-05-05 2019-08-20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Fi high efficiency preambles for resource unit allocation
CN107735995B (zh) * 2015-07-09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检测方法和装置
US20170048034A1 (en) * 2015-08-10 2017-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e-sigb encoding
EP3375248A4 (en) * 2015-11-09 2019-07-17 Newracom, Inc. COMMUNICATING USER-SPECIFIC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TWI734725B (zh) * 2016-01-07 2021-08-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多使用者(mu)傳輸保護方法及裝置
EP3270537B1 (en) * 2016-07-11 2019-02-13 Newracom, Inc. Signaling of packet and signal extensions in he-ppdu data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129064B1 (en) * 2016-08-02 2018-11-13 Newracom, Inc. Wireless device low power wake up
WO2018034472A1 (ko) * 2016-08-18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웨이크업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49576A1 (en) * 2017-09-07 2019-03-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ODAL AGNOSTIC RECEPTION
CN109756297B (zh) * 2017-11-03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ppdu的发送与接收方法及装置
US11115239B2 (en) * 2017-12-01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eamble structure supporting full duplex communications
CN109996343B (zh) * 2017-12-29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多信道混合传输方法和装置
US10880895B2 (en) * 2018-05-27 2020-12-29 Brian Gordaychik Variable length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s for next generation radio technologies
CN110708148A (zh) * 2018-07-09 2020-0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令字段指示方法及装置
WO2020040622A1 (ko) * 2018-08-24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펑처링이 수행된 광대역에서 p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38529B2 (en) * 2018-10-22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reamble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90097850A1 (en) * 2018-11-30 2019-03-28 Thomas Kenney Preamble design for extremely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backward compatibility
US11102036B2 (en) * 2019-03-08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wake-up signals
US11728942B2 (en) * 2019-03-22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Data parsing to support resource unit aggregation
SG10201902764SA (en) * 2019-03-27 2020-10-29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ppdu format identification
US11212705B2 (en) * 2019-05-28 2021-12-28 Nxp Usa, Inc. Extra high throughput preamble
WO2021002680A1 (ko) 2019-07-04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을 구성하기 위한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6343A4 (en) 2022-08-24
CN112217776B (zh) 2023-08-22
JP2022539907A (ja) 2022-09-13
CN112217776A (zh) 2021-01-12
JP7407267B2 (ja) 2023-12-28
EP3996343A1 (en) 2022-05-11
US20220141062A1 (en) 2022-05-05
WO2021008318A1 (zh)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069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576409B1 (ko) 트레이닝 필드 전송 방법 및 장치
US8681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812307B2 (en)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454737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1603371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unit in wlan
US104255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and system
US20220141062A1 (en) Data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35509A (ko)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CN113632429A (zh) 用于ppdu格式识别的通信装置和通信方法
US9954659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7155401B (zh) 无线局域网中数据分组的传输方法和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