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509A -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509A
KR20200035509A KR1020207009064A KR20207009064A KR20200035509A KR 20200035509 A KR20200035509 A KR 20200035509A KR 1020207009064 A KR1020207009064 A KR 1020207009064A KR 20207009064 A KR20207009064 A KR 20207009064A KR 20200035509 A KR20200035509 A KR 20200035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frame
field
indication inform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074B1 (ko
Inventor
잉페이 린
홍지아 수
준 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4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corresponding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the 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ingle user(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ownlink(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METHOD OF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SSOCIATED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는 무선 주파수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공중으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스마트 단말기의 폭 넓은 적용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데이터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하여 증가하는 수요를 갖고 있고, WLAN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전송(carry the traffic)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보 데이터 전송 방식들 중 하나가 되었다.
WLAN 기술은 WLAN 표준의 공식화(formulation) 및 광범위한 응용(widespread application) 없이는 발전할 수 없다.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패밀리는 메인 WLAN 표준이고, 널리 사용되는 몇몇 세대들의 표준들(several generations of prevailing standards)을 포함한다: 802.11, 802.11b/g/a, 802.11n, and 802.11ac.
WLAN 기술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기술에 기초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에서,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LLC)) 계층(layer) 및 상기 논리 링크 제어 계층 상의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은 상이한 물리(PHYsical(PHY)) 계층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조건들(requirements)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WLAN 표준은 주로 물리 계층과 Media Access Control(MAC) 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사용된 무선 주파수들의 범위, 무선 인터페이스 통신 프로토콜(air interface communications protocol), 및 이와 같은 기술 사양 및 기술 표준을 포함한다.
WLAN 표준에서의 물리 계층 프레임(physical layer frame)은 물리 계층 수렴 처리(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PL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LCP Protocol Data Unit(PPDU))이라고도 하며, PLCP 헤더(Header) 필드 및 PLCP 서비스 데이터 유닛(PLCP Service Data Unit(PSDU))을 포함한다. PLCP 헤더는 주로 훈련 필드(training field) 및 신호(SIGNAL(SIG)) 필드를 주로 포함한다. PSDU는 MAC 헤더(Header) 필드 및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AC Service Data Unit)을 포함한다.
현재, 연구 및 공식화(formulation) 하의 802.11ax 표준(고효율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High Efficiency WLAN(HEW)) 표준이라고도 함)은, WLAN 기술을 더욱 진화시킨다. 802.11ax 표준에서,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주요 기술적 포인트 중 하나로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가 사용될 것이다.
현재, 802.11ax 시스템에 대한 시그널링(signaling)의 설계에 기초하면, 상기 신호는 제1 고효율 시그널링(a first high-efficiency signaling(HE-SIG-A)) 및 제2 고효율 시그널링(a second high-efficiency signaling(HE-SIG-B))을 포함한다.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은 SU/MU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 및 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SU/MU 지시 정보는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후속 데이터(subsequent data)의 전송 유형이 단일 사용자 전송(single-user transmission)인지 아니면 다중 사용자 전송(multi-user transmission)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전송 유형이 오직 SU 전송 만인 경우에, HE-SIG-A는 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지시 정보는 현재 데이터 패킷 전송(current data packet transmission)의 유형이 업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인지 아니면 다운링크 전송(downlink transmission)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현재, 802.11 시스템 기반의 MAC 프레임 헤더(MAC frame header)는 데이터 패킷의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와 전송기 주소(Transmitter Address(TA)) 및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RA))를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는 To DS 필드와 From DS 필드를 포함하고, To DS 필드와 From DS 필드는 데이터 패킷이 분산 시스템으로부터 온 것인지 여부와 데이터 패킷이 분산 시스템으로 향하여 가는 것인지 여부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분산 시스템은 다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들(Basic Service Sets(BSS))을 연결하고 다수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을 통합하여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ESS))를 생성하기 위해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 및 통합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LANs)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11ax 시스템에서, HE-SIG-A의 SU/MU 지시가 SU인 경우, HE-SIG-A는 UL/DL 필드를 포함한다. 지시 필드(indication field)는 PPDU의 전송 방향이 업링크(UL, uplink, from a STA to an AP로)인지 아니면 다운링크(DL, downlink, from the AP to the STA)인지 여부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은 802.11 WLAN 시스템의 중요한 통신 방식이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AP를 사용하는 대신 직접 전송을 통해 구현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둘 다가 아닙니다. 장치-대-장치(Device-to-Device(D2D))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때, HE-SIG-A의 UL/DL 지시 필드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갖지 않는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9527호 (2015.08.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에서 신호의 지시 방법(indication method)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WLAN 시스템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DSSL, 직접 STA-to-STA 링크(direct STA-to-STA link))의 PPDU의 전송 유형의 지시 부족 문제(lack of an indication of a transmission type of a PPDU)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라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the 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ingle user(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ownlink(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MAC header f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는 “0”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은 From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한다.
제2 측면에 따라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은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the 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ingle user(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ownlink(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서,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DL 전송인지 아니면 DSS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수신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MAC header f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 및 From DS 필드가 모두 “0”인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3 측면에 따라서, 다른 스테이션과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the 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ingle user(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ownlink(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는 “0”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은 From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한다.
제4 측면에 따라서, 다른 스테이션과 D2D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스테이션은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the 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ingle user(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ownlink(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아니면 DSS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 및 From DS 필드가 모두 “0”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상기 스테이션에 따라서, 고효율 신호 필드의 SU/MU 지시 정보는 SU로 구성되고, 고효율 신호 필드의 UL/DL 지시 정보는 DL로 구성되고, 현재 WLAN 시스템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의 전송 유형의 지시 부족 문제(lack of an indication of a transmission type)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 방법들(technical solutions)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들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되는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U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U 다운링크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U 업링크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U 프레임 구조의 고효율 시그널링(HE-SIG-A)에 포함되는 필드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AC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해결 방법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전부는 아니다.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법들은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롱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LTE)),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기지국(base station)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라고도 하며,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UE는 스테이션(station(STA))이라고도 한다. 스테이션들 사이에 직접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테이션들 사이의 인접 관계(neighbor relationship)가 설정돼야 합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0(cell 0) 내의 STA1과 STA2 사이의 직접 전송이 구현되어야 하는 경우, STA1과 STA2는 각각의 인접하는 스테이션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STA1의 경우, STA3 및 STA4와의 인접 관계가 수립 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STA2의 경우, STA9 및 STA10와의 인접 관계가 수립 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STA2는 셀 1(cell 1) 내의 STA5 및 STA11와의 인접 관계를 또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 관계에 있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전송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WLAN 내의 시그널링의 지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WLAN 시스템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DSSL, 직접 STA-to-STA 링크(direct STA-to-STA link))의 PPDU의 전송 유형의 지시 부족 문제(lack of an indication of a transmission type of a PPDU)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 방법들을 제공한다:
실시예 1
도 7 및 다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시그널링(a first high-efficiency signaling)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를 SU로 설정하고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를 DL로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도 7의 단계 S10).
또한,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하고, 제1 스테이션은 From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하고,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도 7의 단계 S20); 제2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를 SU라고 판단하고 현재 수신된 데이터의 전송이 SU 전송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를 DL로 판단하고 현재 데이터 전송을 DL 전송 또는 DSSL 전송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한, 제2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수신하고 판독하며, 제2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와 From DS 필드를 모두 "0"으로 판독하면,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DSSL 전송인 것이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더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U 프레임의 구조도이고, 도 3 및 도 4는 MU 다운링크 프레임 및 MU 업 링크 프레임의 구조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U 프레임 구조의 고효율 시그널링(HE-SIG-A)에 포함된 필드들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AC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11ax 시스템에는 두 가지 유형의 프레임 구조들이 있다. 하나는 단일 사용자(single-user(SU)) 전송 프레임 포맷(도 2에 도시됨)이고, 다른 하나는 다중 사용자(multi-user(MU)) 전송 프레임 구조이고, 여기서 다중 사용자 전송 프레임 구조는 다운링크 전송 프레임 구조 및 업링크 전송 프레임 구조(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데이터 프레임이 SU 또는 M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는 HE-SIG-A의 포맷 지시 필드(Format indication field)의 지시 형성(indication formation)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포맷 지시가 SU를 지시하는 경우, 현재 전송된 프레임이 SU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된다. 포맷 지시가 MU를 지시하는 경우, HE-SIG-B가 있는지 여부는 HE-SIG-A를 운반하는 심볼에 대한 변조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IG-A의 변조된 위상이 회전하는 경우, 이는 현재 프레임이 HE-SIG-B 필드를 포함하고 현재 프레임이 MU 다운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HE-SIG-A의 변조된 위상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 현재 프레임이 MU 업링크 프레임(uplink frame)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포맷 지시가 MU를 나타낼 때, HE-SIG-A의 변조된 위상이 회전할 때 MU 업링크 프레임이 지시될 수 있고, HE-SIG-A의 변조된 위상이 회전하지 않을 때 MU 다운링크 프레임이 지시될 수 있다. SU 전송 프레임 구조가 사용될 때, HE-SIG-A 필드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고, BSS Color(BSS 컬러), TXOP duration(TXOP 지속 시간), Format indication(포맷 지시), BW, paylaod GI(페이로드 GI), PE, UL/DL Indication(UL/DL 지시), MCS, coding(코딩), LTF Compression(LTF 압축), DCM indication(DCM 지시), NSTS, STBC, BF, CRC, 및 Tail(테일)과 같은 필드들을 포함한다. BSS Color는 현재 프레임과 연관된 AP의 ID 정보(ID information)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AP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의 BSS Color는 AP의 ID를 지시하고, STA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의 BSS Color는 STA와 연관된 AP의 ID를 지시한다. TXOP duration은 현재의 TXOP의 남은 지속 시간을 지시하고, Format indication은 SU 전송 또는 MU 전송을 지시하고, BW는 전송 대역폭을 지시하고, payload GI는 데이터 전송 파트에 사용되는 보호 구간(guard interval) 또는 순환 프리픽스(cycle prefix(CP))의 길이를 지시하고, PE는 패킷 확장(packet extension)의 길이를 지시하고, UL/DL indication은 데이터 프레임이 STA에서 AP로 전송(UL)되는지 아니면 AP에서 STA로 전송(DL)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MCS는 데이터 전송 파트에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coding은 인코딩 모드(encoding mode)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LTF Compression은 HE-LTF part가 compressed HE-LTF인지 여부를 지시하고, DCM indication은 듀얼 캐리어 변조(Dual carrier modulation(DCM))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NSTS는 시공간 스트림들(space-time streams)의 양을 지시하고, STBC는 데이터 파트에서 STBC 인코딩(STBC encoding)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BF는 데이터 전송에 빔 포밍(beamforming)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CRC는 체크 비트(check bit)이고 HE-SIG-A의 전송 체크에 사용된다. 이진 컨볼루션 코드 인코딩(binary convolutional code encoding)은 HE-SIG-A 및 후속하는 데이터 파트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인코더(encoder)와 디코더(decoder)를 클리어(clear)하기 위하여 Tail의 여섯 비트들은 0으로 구성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위해서는, 단일 사용자들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SU 전송 프레임 포맷이 사용된다. HE-SIG-A 필드의 UL/DL 지시가 UL일 때, 데이터 패킷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 내의 STA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수신기가 발견하면(데이터 패킷에 운반되는 BSS ID 정보에 따라 결정됨), 수신기는 휴면 상태(dormant state)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데이터 패킷 내의 HE-SIG-A의 UL/DL 지시 필드는 DL을 나타낸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데이터 패킷 전송의 구체적인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전송 스테이션은 HE-SIG-A 내의 SU/MU 지시가 SU이고, UL/DL 지시가 DL인 스테이션들 사이에 직접 통신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전송 스테이션은 직접 통신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하고, 제1 스테이션은 From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함으로써, 통신 프레임이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프레임임을 지시하며, MAC 프레임 헤더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수신기가 프레임을 수신 한 후에, 수신기는 먼저 HE-SIG-A의 BSS ID 정보에 따라 프레임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의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통신 프레임임을 결정하고, SU/MU 지시에 따라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 경우,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HE-SIG-A 내의 UL/DL 필드가 판독된다.
통신 프레임이 SU 전송 프레임 구조를 갖고 HE-SIG-A의 UL/DL 지시가 DL일 때, 수신기는 통신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더의 To DS 필드 및 From DS 필드를 판독한다. To DS 필드와 From DS 필드가 모두 0을 지시하는 경우, 통신 프레임은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프레임으로 결정된다. 수신기는, 후속 수신 및 프로세싱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송기 주소 필드(transmitter address field) 및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를 더 판독하여 통신 프레임이 수신기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상의 데이터 패킷의 지시를 위한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를 SU로 설정하고,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를 DL로 설정한다.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은 현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이 DSSL 전송임을 지시하는 DSSL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판독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가 SU임을 판독하고, 현재 수신하는 데이터의 전송이 SU 전송이라고 결정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가 DL임을 판독한다. 제2 스테이션은 현재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DSSL 지시 정보를 판독하고, 현재의 데이터 전송이 DSSL 전송이라고 결정한다.
11ax 시스템에는 두 가지 유형의 프레임 구조들이 있다. 하나는 단일 사용자(single-user(SU)) 전송 프레임 구조(도 2에 도시됨)이고, 다른 하나는 다중 사용자(multi-user(MU)) 전송 프레임 구조(도 3에 도시됨)이다. 데이터 프레임이 SU 아니면 M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는 HE-SIG-A의 SU/MU 지시 정보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SU/MU 지시는 HE-SIG-A를 운반하는 심볼에 대한 변조 방법에 따라 구별되거나, 또는 구체적인 필드(specific field)를 사용함으로써 HE-SIG-A 필드에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SU 전송 프레임 구조가 사용될 때, 데이터 프레임이 STA에서 AP로 전송(UL)되는지 또는 AP에서 STA로 전송(DL)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HE-SIG-A 필드의 UL/DL 지시 필드가 있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위해서는, 단일 사용자들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SU 전송 프레임 포맷이 사용된다. HE-SIG-A 필드의 UL/DL 지시가 UL일 때, 데이터 패킷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의 STA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수신기가 발견하면(데이터 패킷에서 운반되는 BSS ID 정보에 따라 결정됨), 수신기는 휴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데이터 패킷의 HE-SIG-A의 UL/DL 지시 필드는 DL을 나타낸다. 또한, 전송 방향을 구별하기 위해, HE-SIG-A에서 1 비트 지시 정보(1-bit indication information)가 사용되어 통신 프레임이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데이터 패킷 전송의 구체적인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전송 스테이션은 HE-SIG-A의 SU/MU 지시가 SU이고, UL/DL 지시가 DL인 스테이션들 사이에 직접 통신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전송 스테이션은 HE-SIG-A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지시를 Yes(예를 들어, 1은 Yes를 나타내고 0은 No를 나타낸다)로 설정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수신기가 프레임을 수신 한 후에, 수신기는 먼저 HE-SIG-A의 BSS ID 정보에 따라 프레임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의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통신 프레임임을 결정한다. 통신 프레임이 BSS의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경우,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는 HE-SIG-A의 SU/MU 지시에 따라 더 결정된다.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 경우,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HE-SIG-A 내의 UL/DL 필드가 판독된다.
통신 프레임이 SU 전송 프레임 구조를 갖고 HE-SIG-A의 UL/DL 지시가 DL일 때, 수신기는 통신 프레임의 HE-SIG-A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지시 정보를 판독한다. 지시 정보가 Yes인 경우, 통신 프레임은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된다. 수신기는 후속 수신 및 프로세싱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MAC 헤더의 전송기 주소 필드(transmitter address field) 및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를 더 판독하여 통신 프레임이 수신기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 상의 데이터 패킷 지시를 위한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를 SU로 설정하고,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를 DL로 설정한다; 및
제1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또한,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생성한다;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의 전송기 주소 필드를 제1 스테이션의 MAC 주소로 설정하고,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의 수신기 주소 필드를 제2 스테이션의 MAC 주소로 설정한다; 및
제1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상의 데이터 패킷의 지시를 위한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판독한다;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SU/MU 지시 정보가 SU임을 판독하고,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SU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및
제2 스테이션은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UL/DL 지시 정보가 DL임을 판독하고, 제1 고효율 시그널링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2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를 수신하고 판독한다; 및
제2 스테이션은 MAC 헤더 필드의 전송기 주소 필드가 제1 스테이션의 MAC 주소인 것과, 제1 스테이션이 MAC 헤더 필드의 수신기 주소를 제2 스테이션의 MAC 주소로 설정한 것을 판독하고,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한다.
명백한 설명(Plain description):
11ax 시스템에는 두 가지 유형의 프레임 구조들이 있다. 하나는 단일 사용자(single-user(SU)) 전송 프레임 구조(도 2에 도시됨)이고, 다른 하나는 다중 사용자(multi-user(MU)) 전송 프레임 구조(도 3에 도시됨)이다. 데이터 프레임이 SU 또는 M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는 HE-SIG-A의 SU/MU 지시 정보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SU/MU 지시는 HE-SIG-A를 운반하는 심볼에 대한 변조 방법에 따라 구별되거나, 또는 구체적인 필드(specific field)를 사용함으로써 HE-SIG-A 필드에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SU 전송 프레임 구조가 사용될 때, 데이터 프레임이 STA에서 AP로 전송(UL)되는지 또는 AP에서 STA로 전송(DL)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HE-SIG-A 필드의 UL/DL 지시 필드가 있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위해서는, 단일 사용자들 사이에서 통신이 수행되기 때문에, SU 전송 프레임 포맷이 사용된다. HE-SIG-A 필드의 UL/DL 지시가 UL일 때, 데이터 패킷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의 STA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수신기가 발견하면(데이터 패킷에서 운반되는 BSS ID 정보에 따라 결정됨), 수신기는 휴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데이터 패킷의 HE-SIG-A의 UL/DL 지시 필드는 DL을 나타낸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데이터 패킷 전송의 구체적인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전송 스테이션은 HE-SIG-A의 SU/MU 지시가 SU이고, UL/DL 지시가 DL인 스테이션들 사이에 직접 통신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전송 스테이션은 직접 통신의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더 필드의 전송기 주소 필드를 전송 스테이션의 MAC 주소로 설정하고, 수신기 주소 필드를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수신기의 MAC 주소로 설정한다.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수신기가 프레임을 수신 한 후에, 수신기는 먼저 HE-SIG-A의 BSS ID 정보에 따라 프레임이 수신기와 연관된 BSS의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통신 프레임임을 결정한다. 통신 프레임이 BSS의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경우,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는 HE-SIG-A의 SU/MU 지시에 따라 더 결정된다. 프레임의 구조가 SU 프레임 구조인 경우,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HE-SIG-A 내의 UL/DL 필드가 판독된다.
통신 프레임이 SU 전송 프레임 구조를 갖고 HE-SIG-A의 UL/DL 지시가 DL일 때, 수신기는 통신 프레임의 MAC 프레임 헤더의 전송기 주소 필드 및 수신기 주소 필드를 판독한다. 전송기 주소 필드가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의 수신기의 피어 앤드(peer end)의 MAC 주소와 동일하고, 수신기 주소가 수신기의 MAC 주소와 동일한 경우, 수신기는 후속 수신 및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하여, 통신 프레임이 수신기로 전송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스테이션과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스테이션(100)은: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110)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30);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processor; 12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MAC 헤더 필드의 To DS 필드는 "0"이고, 제1 스테이션은 From DS 필드를 "0"으로 구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스테이션과의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스테이션(200)은: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시버(210)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L)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
제2 지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아니면 DSS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220); 및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이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장치(discrete gate or transistor logic device),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discrete hardware component)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conventional processor) 등일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파트(part)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장치 유형 정보(device type information)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bus system)은 데이터 버스(data bus) 외에 전력 버스(power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상태 신호 버스(status signal b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 다양한 버스들은 모두 버스 시스템(730)으로 표시되어있다.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에서, D2D 스테이션(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이 업링크 지시(UPLINK)를 갖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D2D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휴면 상태(dormant state)로 유지하며, D2D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HE-SIG-A의 UL/DL 지시(UP/DL indication)는 DL로 식별되고, D2D 장치는 비 휴면 상태(non-dormant state)로 유지되어 정상적인 D2D 전송(normal D2D transmission)을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HE-SIG-A의 UL/DL 지시(UP/DL indication)는 식별자(identifier) UPLINK_FLAG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AP로 향하는(addressed to AP) HE SU PPDU를 전송하는 STA는 TXVECTOR 파라미터(TXVECTOR parameter) UPLINK_FLAG를 1로 셋팅한다.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HE SU PPDU 내의 UPLINK_FLAG가 1로 설정되는 경우, 이는 HE SU PPDU가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비 AP STA로 향하는(addressed to a non-AP STA) HE SU PPDU를 전송하는 AP는 TXVECTOR 파라미터 UPLINK_FLAG를 0으로 셋팅한다.
스테이션이 HE SU PPDU를 비 AP 스테이션(non-AP station)에 전송하는 경우, HE SU PPDU 내의 UPLINK_FLAG는 0으로 셋팅되고, 이는 HE SU PPDU가 논-업링크 프레임(non-uplink frame)임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UPLINK_FLAG = 1인 경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UPLINK_FLAG = 0인 경우, 데이터 프레임은 논-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 논-업링크 프레임은 다운링크 프레임 또는 D2D 전송 프레임일 수 있음-.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을 개시하고,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정보가 1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제2 지시 정보가 0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논-업 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다른 스테이션과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션(100)을 더 개시하고, 스테이션(100)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션(200)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트랜시버(110)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정보가 1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제2 지시 정보가 0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논-업 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및
제2 스테이션이, 제2 지시 정보에 따라서, MAC 헤더 필드의 후속 데이터의 전송이 DL 전송인지 아니면 DSS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제2 지시 정보가 1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제2 지시 정보가 0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논-업 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다른 스테이션과 D2D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스테이션(200)을 더 개시하고,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시버(210) -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를 포함하고,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데이터 프레임이 단일 사용자(SU) 데이터 프레임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함-; 및
제2 지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DL 전송인지 아니면 DSSL 전송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220).
제2 지시 정보가 1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제2 지시 정보가 0일 때, 이는 데이터 프레임이 논-업 링크 프레임임을 지시한다.
구현 프로세스(implementation process)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91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integrated logical circuit)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hardware processor)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되고 완료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electrically-erasable programmable memory), 또는 레지스터(register)와 같은 필드(field)의 머츄어 저장 매체(mature storage medium)에 위치 할 수 있다. 저장 매체(storage medium)는 메모리(92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910)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설명된 예들과 결합하여, 유닛들(units) 및 알고리즘 단계들(algorithm steps)이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들(functions)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 방법들(technical solutions)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particular applications and design constraint conditions)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는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공정의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고, 세부 사항들(details)은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분리된 파트들(separate parts)로 설명된 유닛들(units)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그러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디스플레이된 파트들(parts displayed as units)은 물리적 유닛들(physical units)이거나 또는 아닐 수 있고, 한 위치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network units)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들은 실시예들의 해결 방법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니즈(actual needs)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 유닛들(functional units)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에 통합되거나,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2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 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를 따른다.

Claims (28)

  1. 방법으로서,
    스테이션이 제1 고효율 신호 필드(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업링크/다운링크(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AC 헤더 필드는 To DS(to distributed system) 필드와 From DS(from distributed system) 필드를 포함함 - ;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직접 스테이션-대-스테이션 링크(direct STA-to-STA link, DSSL) 전송을 포함함 - ;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이라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UL) 전송인지 여부 또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 가능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L 전송 또는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가,
    "0"인 상기 To DS 필드 값과 "0"인 상기 From DS 필드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가,
    "1"인 상기 UL/DL 지시 정보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0"인 상기 UL/DL 지시 정보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가 식별자 UPLINK_FLAG에 의해 대체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가,
    "1"인 상기 UPLINK_FLAG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0"인 상기 UPLINK_FLAG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방법으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업링크/다운링크(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AC 헤더 필드는 To DS(to distributed system) 필드와 From DS(from distributed system)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UL/DL 지시 정보, 상기 To DS 필드 및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직접 스테이션-대-스테이션 링크(direct STA-to-STA link,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냄 - ;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UL) 전송인지 여부 또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 가능하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의 값 "0"과 상기 From DS 필드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가 식별자 UPLINK_FLAG에 의해 대체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PLINK_FLAG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방법.
  15.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 -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업링크/다운링크(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AC 헤더 필드는 To DS(to distributed system) 필드와 From DS(from distributed system) 필드를 포함함 - ;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명령 -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직접 스테이션-대-스테이션 링크(direct STA-to-STA link, DSSL) 전송을 포함함 - ;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이라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UL) 전송인지 여부 또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 가능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L 전송 또는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이,
    "0"인 상기 To DS 필드 값과 "0"인 상기 From DS 필드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명령이,
    "1"인 상기 UL/DL 지시 정보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0"인 상기 UL/DL 지시 정보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가 식별자 UPLINK_FLAG에 의해 대체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명령이,
    "1"인 상기 UPLINK_FLAG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0"인 상기 UPLINK_FLAG 값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를 포함하는, 장치.
  22.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 -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제1 고효율 신호 필드(first high-efficiency signal field)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효율 신호 필드는 업링크/다운링크(UL/DL)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AC 헤더 필드는 To DS(to distributed system) 필드와 From DS(from distributed system)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UL/DL 지시 정보, 상기 To DS 필드 및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직접 스테이션-대-스테이션 링크(direct STA-to-STA link,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냄 - ;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
    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업링크(UL) 전송인지 여부 또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 가능하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와 상기 From DS 필드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To DS 필드의 값 "0"과 상기 From DS 필드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DSSL 전송인 것을 나타내는,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L/DL 지시 정보가 식별자 UPLINK_FLAG에 의해 대체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UPLINK_FLAG의 값 "0"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제1 유형의 전송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유형의 전송은 다운링크(DL) 전송 또는 DSSL 전송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07009064A 2015-10-20 2016-06-28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KR102137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85539.X 2015-10-20
CN201510685539 2015-10-20
CN201510741092.3 2015-11-03
CN201510741092.3A CN106604203B (zh) 2015-10-20 2015-11-03 无线局域网中站点间直接通信的方法及相关设备
PCT/CN2016/087459 WO2017067208A1 (zh) 2015-10-20 2016-06-28 无线局域网中站点间直接通信的方法及相关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10A Division KR102096939B1 (ko) 2015-10-20 2016-06-28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09A true KR20200035509A (ko) 2020-04-03
KR102137074B1 KR102137074B1 (ko) 2020-07-23

Family

ID=585555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64A KR102137074B1 (ko) 2015-10-20 2016-06-28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KR1020187014010A KR102096939B1 (ko) 2015-10-20 2016-06-28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10A KR102096939B1 (ko) 2015-10-20 2016-06-28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스테이션들과 관련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499336B2 (ko)
EP (1) EP3355595B1 (ko)
JP (1) JP6786596B2 (ko)
KR (2) KR102137074B1 (ko)
CN (2) CN112566181B (ko)
WO (1) WO2017067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7524B (zh) * 2016-11-03 2022-06-03 英特尔公司 长训练字段大小指示
EP3554177B1 (en) 2016-12-07 2022-12-14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9121202A (zh) * 2017-06-26 2019-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组播数据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692954B (zh) * 2017-10-26 2020-05-01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通信方法及其設備
CN109495908B (zh) * 2018-12-05 2022-03-11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大连供电公司 一种基于lte无线与超低功耗物联网无线融合的网络优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427A (ko) * 2011-12-0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179722A1 (en) * 2013-05-02 2014-1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selecting an entity based on a total link quality
CN104184549A (zh) * 2013-06-13 2014-12-0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tdd系统d2d ue中进行通信的方法和设备
KR20150099527A (ko) * 2013-02-15 201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대역폭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803B2 (ja) * 2001-07-05 2011-01-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システム
US8671273B2 (en) * 2010-04-15 2014-03-11 The University Of Maryland Method of performance-aware security of unicast communication in hybrid satellite networks
KR20150023310A (ko) * 2012-04-30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9504089B2 (en) * 2012-05-14 2016-11-2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station bridging
US9119181B2 (en) * 2012-11-16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CID reuse in LTE based D2D communications
CN104104476B (zh) * 2013-04-07 2017-09-08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d2d的数据传输方法
GB2514169B (en) * 2013-05-16 2016-01-13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coverage
CN104254062B (zh) * 2013-06-28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直连链路通信方法及相关设备、系统
US10211890B2 (en) * 2013-12-14 2019-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from wireless LAN to plurality of STAs
WO2015093704A1 (ko) * 2013-12-20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967061B2 (en) * 2014-03-10 2018-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in wireless LAN
WO2016021838A1 (ko)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24750A1 (ko) * 2014-08-12 2016-02-1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27937A1 (ko) * 2014-08-2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티브 스캐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12744B2 (en) * 2014-08-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U2015304131B2 (en) * 2014-08-21 2018-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28131A1 (ko) * 2014-08-22 2016-02-2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32195A1 (ko) * 2014-08-25 2016-03-0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032258A2 (ko) * 2014-08-27 2016-03-0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32302A1 (ko) * 2014-08-31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75269B2 (en) * 2014-09-12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LAN system, and device for same
AU2015324750B2 (en) * 2014-10-01 2018-11-08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60045023A (ko) * 2014-10-16 2016-04-26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16089003A1 (ko) * 2014-12-05 2016-06-0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pdu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427A (ko) * 2011-12-09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099527A (ko) * 2013-02-15 201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대역폭에 따른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79722A1 (en) * 2013-05-02 2014-1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selecting an entity based on a total link quality
CN104184549A (zh) * 2013-06-13 2014-12-0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tdd系统d2d ue中进行通信的方法和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ayin Zhang et al.,"HE-SIGA content", IEEE 802.11-15/1077r0, 2015.07.12. *
Robert Stacey,"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x", IEEE 802.11-15/0132r8, 2015.09.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741A (ko) 2018-06-29
WO2017067208A1 (zh) 2017-04-27
KR102137074B1 (ko) 2020-07-23
EP3355595A4 (en) 2018-08-01
CN112566181A (zh) 2021-03-26
CN106604203A (zh) 2017-04-26
JP6786596B2 (ja) 2020-11-18
CN112566181B (zh) 2024-05-17
US20200163019A1 (en) 2020-05-21
EP3355595B1 (en) 2021-07-14
KR102096939B1 (ko) 2020-04-03
US10499336B2 (en) 2019-12-03
US11082923B2 (en) 2021-08-03
CN106604203B (zh) 2020-12-25
JP2018533301A (ja) 2018-11-08
US20180242251A1 (en) 2018-08-23
EP3355595A1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US11082923B2 (en)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related device
KR101597472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787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US20160242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ink adap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5493608B (zh) 在无线局域网中发送数据的方法和设备
US10397035B2 (e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33222A (ko) 페이징 프레임 및 웨이크업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4514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