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62A -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 Google Patents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62A
KR20220030662A KR1020200112274A KR20200112274A KR20220030662A KR 20220030662 A KR20220030662 A KR 20220030662A KR 1020200112274 A KR1020200112274 A KR 1020200112274A KR 20200112274 A KR20200112274 A KR 20200112274A KR 20220030662 A KR20220030662 A KR 2022003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
notation
hangul
input
chi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Original Assignee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filed Critical 정원수
Priority to KR102020011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662A/en
Publication of KR2022003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for the Chinese-language culture languages comprising: an input means that receives a hangul consonant, vowel, and number; a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that generates a byeongseo (writing two or three initial letters horizontally side-by-side) notation by combining the consonant of the hangul left and right or generates the byeongseo notation by combining up and down that is sequentially inputted by the input means to create a syllable form; an output means that outputs the created syllable form on a screen; and an intonation notation means that adds an inton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ted by the input means to the syllable form, after the created syllable for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llowing a learner to easily lear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Description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Hangu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Chinese characters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and Vietnam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본 발명은, 한·중·일·베트남 언어 등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국어나 일본어 등과 같이 성조를 가진 언어들의 음운론적 특성과 음운현상을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을 한글로 입력 / 표기토록 하는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Korean, Chinese, Japanese, Vietnamese languages, etc., and more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languages with tones such as Chinese and Japanese, consonants and It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inputting/representing vowels in Hangul.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폰 따위와 같은 이동식 단말기 등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mobile terminals such as computers and mobile phones, input of texts is becoming more frequent.

문자 중 한글은 애초 음소 문자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몇 가지 부호를 적절히 사용하면 여러 외국어의 문자로서의 기능을 훨씬 더 잘 발휘할 수 있다.Among the characters, Hangeul was originally made with phonemic characters, so if some symbols are used appropriately, it can perform much better as a character in various foreign languages.

전 세계에는 아직도 문자 없이 문맹의 상태에 있는 지역 혹은 민족이 많은데, 그들의 말을 표기하는 문자로서 한글은 매우 최적화되어 있다. 결국 한글은 우리 한국어만을 표기하는 데에만 최적화가 되어 있는 문자가 결코 아니며, 그야말로 한글이 훌륭한 문자인 것은 어떤 인간의 언어일지라도 거의 다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기 때문이다.There are still many regions or peoples in the world who are illiterate without writing, and Hangeul is very optimized as a character for writing their language. In the end, Hangeul is not a character that is optimized only for writing Korean, and Hangeul is a really good character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rite almost any human language.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46553호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과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599873호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등에서 한글자모를 이용하여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표기하도록 하는 방법 등을 기재하고 있다.Regarding the writing of foreign languages in Korean,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6553 "Character Display Method Using a Combination of Basic Character Shapes"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99873 "Multi-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geul Characters" ", etc., describe how to use Hangul alphabets to indicate characters of various languages.

그러나 전술한 선행특허문헌에서 개시된 기술들은 일상 어문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외래어로서의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서, 중국어의 음운론적 특성과 음운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편의적 그리고 실용적으로만 한글로 표기토록 하는 것에 머무른 것으로 한계가 존재하였다.However,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documents are methods of writ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n for the convenience of everyday language life. There was a limit to staying on what to do.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67668호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통하여, 중국어를 가장 바람직하게 한글의 자모로 입력 / 표기토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중국어뿐만 아니라 성조를 가진 다양한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기 위해, 단말기를 통한 입력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하였고, 또 해당 음절에 성조와 같은 운소가 실현되는 억양(intonation)이나 운율(prosody)을 나타내는 데에도 역시 한계가 존재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67668 "Hangeu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as Chinese written characters," the most preferable input / re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Hangul. method was presented. However, there was still a limit to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input through the terminal in order to write not only Chinese but also various foreign languages with tones in Hangeul, and intonation or prosody in which rhymes such as tones are realized in the corresponding syllables. (prosody) also had a limi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cessary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KRKR 10-086766810-0867668 B1B1

본 발명은, 한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음절에 손쉽게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리듬과 운율을 가진 한자문화권 언어들(한국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 등)과 같이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it easy to mark tone codes on one syllable made using Hangul and output them on the screen, have tones lik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Korean, Chinese, Japanese, Vietnamese, etc.) with rhythm and rhy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for easily and conveniently inputting Hangul for a langua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을 포함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consonants, vowels, and numbers of Hangul, and by combining the consonants of Hangul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to the left and right to create a byeongseo notation, or vertically A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for creating a syllable form by combining them to create a syllable form,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created syllable form on the screen, and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by the input means after the created syllable form It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including a tone notation means for adding to the syllable form.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01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002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03
' 와 '
Figure pat00004
'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the Byeongseo notation is '
Figure pat00001
', 'ㅀ', ㅆ', 'tk' and '
Figure pat00002
',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03
' Wow '
Figure pat00004
'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는, 'ㄱ', 'ㄷ' 및 'ㅂ'의 받침을 갖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eated syllable form may not have the bases of 'a', 'c' and 'b'.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005
', 'ㅐ', 'ㅑ', '
Figure pat00006
', 'ㅓ',' ㅗ', 'ㅔ', 'ㅛ', 'ㅖ', 'ㅝ', 'ㅘ', '
Figure pat00007
', 'ㅡ' 및 'ㅣ'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the vowel is 'a', '
Figure pat00005
', 'ㅐ', 'ㅑ', '
Figure pat00006
', 'ㅓ','ㅗ','ㅔ','ㅛ','ㅖ','ㅝ','ㅘ','
Figure pat00007
', 'ㅡ' and 'ㅣ'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3' 및 '4'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V' 및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when the numbers are '1', '2', '3' and '4', the tone codes corresponding to each are 'ㅡ', '/' , 'V' and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08
' 와 '
Figure pat00009
'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Japanese, the byungseo notation may include 'ㄲ', 'ㄸ', 'ㅃ', 'ㅆ', 'Tg', 'ㅄ' and 'ㄽ'.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08
' Wow '
Figure pat00009
'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4', '5' 및 '6'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 '∨' 및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anguage having the rhythm and prosody is Japanese, when the numbers are '1', '2', '4', '5' and '6', the tone code corresponding to each is It may be 'ㅡ', '/', '\', '∨' and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베트남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

Figure pat00010
',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11
' 와 '
Figure pat00012
'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anguage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Vietnamese, the byungseo notation is 'ㄲ', '
Figure pat00010
', 'ㅆ', and 'T' are included, and the above-mentioned signature is '
Figure pat00011
' Wow '
Figure pat00012
'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베트남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ㅓ', '

Figure pat00013
', '
Figure pat00014
',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Vietnamese, the vowels are 'a', 'ㅓ', '
Figure pat00013
', '
Figure pat00014
', 'ㅐ', 'ㅔ', 'ㅗ', 'TT', 'ㅡ' and 'ㅣ'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은, 입력수단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음절표기생성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 출력수단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성조표기수단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receives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s input, 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Byeongseo notation by combining the consonants of Hangul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to the left and right, The step of creating a syllable notation by combining it up and down to make it into a syllable form, the output means outputting the created syllable shape on the screen, the input means receiving a number, and the tone not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adding a tone code to the syllable form.

본 발명에 따른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따르면, 한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음절에 손쉽게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Chinese characters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and Vietn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rk tone codes on one syllable made using Hangul and output them on the screen. can do.

또한, 박자가 일정한 템포(tempo)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의 흐름인 리듬(rhythm)에 운소(성조, 강세, 음자)를 얹혀 운율(prosody)로 함께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의미를 변화시켜 주는 운소를 음절(syllable)에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utting rhymes (tones, stresses, and letters) on rhythm, which is a flow of sounds that are regularly repeated in groups with a certain tempo, they are expressed together as a prosody. It can be provided by giving a rhyme that changes the meaning of a phrase or sentence when uttering it to a syllable.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의 한자 어휘의 음절에 적용되는 음운론적, 운율론적 현상과 규칙들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하여, 한자들의 뜻과 발음이 한중일 세 언어에서 각각 어떠한가를 익히게 함으로써, 한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수십만 개의 한자 어휘를 피교육생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Chinese characters can be explained by explaining the phonological and metrical phenomena and rules applied to the syllables of the Chinese vocabulary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elonging to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so that they can learn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ach of the three languages. It is possible for trainees to easily learn the hundreds of thousands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at are created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한 박자 리듬꼴들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반 박자 리듬꼴들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화면에 출력한 운율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iagram listing one-beat rhythms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diagram listing half-time rhythms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N are exemplary diagrams of a prosody type output by the Hangul input device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rhym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voic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등Hangul input device for languages with rhythm and rhyme, etc.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100)는, 한글의 자모(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110)과,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120)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입력수단(110)에 의해 입력된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Hangul input device 100 for a language having rhythm and rhy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letters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nd numbers. ), and a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that creates a syllable form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consonants of Hangul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110, or by combining them up and down to create a syllable form; An output unit 120 for outputting the created syllable form on the screen, and a tone notation unit 132 for adding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by the input unit 110 to the syllable form after the created syllable form may include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외국어를 한글로 이루어진 음절로 손쉽게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 숫자 입력을 통해 그 음절에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write a foreign language with rhythm and rhyme as syllables made of Hangul, and by inputting a number, mark the tone code on the syllable and output it on the screen, so that the language with the user's tone can be displayed. input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다만,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한글입력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Hangul input device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at may be implemented.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입력수단(110)은 사용자로부터 한글의 자모는 물론 숫자 등과 같은 각종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예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자판이나,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의 자판일 수 있다.The input means 110 is a means for receiving various inputs such as numbers as well as letters of Hangul from the us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digital assistant (PDA). The keyboard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ssistants),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etc., or the keyboard of a fixed terminal such as digital TV or desktop computer can

출력수단(120)은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된 기능이나 동작의 과정이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출력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소리 출력 등을 할 수 있다. 출력 형태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output means 120 is for providing a user with a process or result of a function or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30, and visually displays and outputs through a screen using a video signal or a speaker using an audio signal Through the auditory sound output, etc. can be performed. The output form may be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어부(130)는 한글입력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모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수단(120)을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a means for performing the overall function or operation of the Hangul input device 100, and generates syllables by combining the letters of Hangul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110, and outputs the syllables (120) can be output to the screen.

이때 제어부(130)는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竝書)표기를 생성하거나, 또는 한글의 자음을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連書)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byeongseo notation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consonants of Hangul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110 , or writes a yeonseo by combining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language up and down. It may include a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for generating a syllable form.

말소리(speech sound)는 발음시간이 긴 모음(vowel) 음소와 발음시간이 짧은 자음(consonant) 음소가 서로 모여 4가지 유형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 즉,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한글의 자모를 조합하여, V형(모음 단독형), CV형(자음+모음형), VC형(모음+자음형), CVC형(자음+모음+자음형)의 4가지 유형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For speech sound, a vowel phoneme with a long pronunciation time and a consonant phoneme with a short pronunciation time are combined to form four types of syllables. That is,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combines the letters of Hangul, V-type (vowel single type), CV type (consonant + vowel type), VC type (vowel + consonant type), CVC type (consonant + vowel + Consonant type) can make 4 types of syllab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고 짧은 소리인 모음과 자음이 모여서 박음절(beat syllable)을 만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한글리듬 법칙에 따라 만들어지는 4가지 유형의 음절들은 다음의 표 1과 같다.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beat syllable by collecting long and short vowels and consonants,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made according to the Hangul rhythm rule. The four types of falling syllab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16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017
'을 포함할 수 있고,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18
' 와 '
Figure pat00019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중국어 음절의 받침(또는 종성) 중 'ㄱ', 'ㄷ' 및 'ㅂ'의 평파열음은 현대 중국어 한자음에서 찾아보기 어려우므로 이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 syllable form made with Hange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Chinese written in Korean, Byeongseo notation is '
Figure pat00016
', 'ㅀ', 'ㅆ', 'tk' and '
Figure pat00017
' can be included,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18
' Wow '
Figure pat00019
' may be included. However,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 flat-rupture consonants of 'a', 'c' and 'b' among the consonants (or final consonants) of Chinese syllables, since it is difficult to find them in modern Chinese Chinese consonants.

또한, 기존 연구에서 중국어의 권설음(설첨후음)과 설면음(구개음)은 음가가 서로 다른 자음 음소로 상정되어 온 것이 정설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이들을 따로 구분하여 표기하지 않고 'ㅈ', 'ㅊ', 'ㅅ'으로 음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나하면, 권설음과 구개음은 각각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같기 때문에 음가가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existing studies, it is orthodox that the Chinese consonant sound (postlingual consonant) and lingual consonant sound (palatal consonant) have been assumed to be consonant phonemes with different sound values, but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se It is desirable to form syllables with 'j', 'c', and 'ㅅ' without separately marking them. This is becaus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sound value as the same for the kwonseoleum and palatal consonants because their articulation position and articulation method are the same, respectively.

중국어에서 권설음 /zh/가 운모와 결합한 /zha/, /zhao/, /zh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zhia/, /zhiao/, /zhiang/이라는 발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권설음 'zh'가 운모 /a/, /ao/, /ang/과는 결합해도 운모 /ia/, /iao/, /i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구개음 /j/가 운모와 결합한 /jia/, /jiao/, /ji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ja/, /jao/, /jang/이라는 발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구개음 'j'가 운모 /ia/, /iao/, /iang/과는 결합해도 운모 /a/, /ao/, /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권설음 /zh/는 구개음 /j/와 음가가 동일하며, 권설음 /ch/는 구개음 /q/와, 권설음 /sh/는 구개음 /x/와 그 음가가 서로 같다고 판단하여도 무방하며, /zh/와 /j/는 /ㅈ/으로 표기하고, /ch/와 /q/는 /ㅊ/으로, /sh/와 /x/는 /ㅅ/으로 표기하여도 좋다.In Chinese, the pronunciation of /zhia/, /zhiao/, and /zhiang/ is not found in Chinese, although there are words pronounced /zha/, /zhao/, and /zhang/ in which /zh/ is combined with mica. This is because, even if combined with mica /a/, /ao/, and /ang/, it does not combine with mica /ia/, /iao/, and /iang/. Conversely, the reason that the palatal consonant 'j' has no pronunciation of /ja/, /jao/, and /jang/ even though there are words pronounced /jia/, /jiao/, and /jiang/ in which the palate /j/ is combined with mica. This is because, even if combined with mica /ia/, /iao/, and /iang/, it does not combine with mica /a/, /ao/, and /ang/. In other words, it is safe to judge that kwonseoleum /zh/ has the same sound value as palatal /j/, kwonseoleum /ch/ has the same value as palatal /q/, and kwonseoleum /sh/ has the same sound value as palatal /x/, / zh/ and /j/ may be written as /j/, /ch/ and /q/ may be written as /c/, and /sh/ and /x/ may be written as /ㅅ/.

결국, 중국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fter all, Chinese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한국어 모음체계에 없는 중국어의 이중모음 /ao/는 /

Figure pat00021
/로, /yao/는 /
Figure pat00022
/로, /yue/는 /
Figure pat00023
/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중모음 /you/는 성모가 앞에 오지 않을 경우 /iu/로 표기하며 그 음가는 [
Figure pat00024
]인데, 이 이중모음 /you/를 한글로는 /요/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좋다. 왜냐하면 이중모음 'you'의 음가 [
Figure pat00025
]는 [여우] →[
Figure pat00026
]처럼 표기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
Figure pat00027
]는 '[이]+[어우]'를 거쳐 '[이]+[오](ㅓ+ㅜ→ㅗ 간음화)'로 발음되는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중모음 'you'(iu)의 한글 표기는 /요/가 더 좋다.On the other hand, if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written in Chinese, the Chinese diphthong /ao/ is /
Figure pat00021
/to, /yao/ is /
Figure pat00022
/to, /yue/ is /
Figure pat00023
It is preferable to indicate /. And the diphthong /you/ is written as /iu/ if it is not preceded by the Holy Mother, and the sound is [
Figure pat00024
], but it is best to write this diphthong /you/ as /yo/ in Korean. Because the sound of the diphthong 'you' [
Figure pat00025
] is [Fox] →[
Figure pat00026
], but in fact [
Figure pat00027
] is pronounced as '[I]+[Oh] (ㅓ + TT → ㅗ adultery)' through '[i]+[uh]', so the Korean transcription of the diphthong 'you' (iu) is /yo/ is better.

/ㅓ/의 발음은 중국어 이중모음 /ㅔ/[ei], /ㅞ/[wei]에서는 [e]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shen me'에서 'me'의 'e'는 /ㅓ/[

Figure pat00028
] 발음을 나타내지만 이중모음 'ei'와 'wei'에서는 'ㅓ'가 [e]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ㅔ/는 [에이], /ㅞ/는 [웨이]라고 발음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
Figure pat00029
]발음을 나타내지만, 중국어를 표기할 때는 이중모음 [ai] 발음을 적는 글자로 하는 것이 좋다.It is recommended that the pronunciation of /ㅓ/ represents the Chinese diphthong /ㅔ/[ei], and the pronunciation of /ㅞ/[wei] is [e]. For example, in 'shen me', the 'e' of 'me' is /ㅓ/[
Figure pat00028
], but in the diphthongs 'ei' and 'wei', 'ㅓ' is used to indicate the pronunciation of [e], so /ㅔ/ is pronounced as [A] and /ㅞ/ is [Wei]. And /ㅐ/ in modern Korean [
Figure pat00029
] is pronounced, but when writing Chinese, it is better to use the letters with the pronunciation of the diphthong [ai].

결국, 중국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fter all, Chinese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0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할 수 있고,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31
' 와 '
Figure pat00032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written in Korean, the syllable notation is 'ㄲ', 'ㄸ', 'ㅃ', It may include 'ㅆ', 'Tw', 'ㅄ' and 'ㄽ',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31
' Wow '
Figure pat0003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일본어 한자음의 입성운미(/k/, /t/, /p/ 받침)는 현대 일본어에서 외파될 때와 내파될 때 모두를 받침으로 표기해 주는 것이 좋다. 즉, 그 받침이 약모음 'ㅡ'와 결합하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ㄱ, ㄽ, ㅄ}으로 표기하고 내파(불파)되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ㅋ, ㅅ, ㅂ/ㄷ}으로 표기하며, 그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그 받침을 각각 {ㄲ,ㅆ,(없음)}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여기서 /p/를 받침으로 가진 한자는 외파될 때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태음소적 표기형으로서의 심리적 음절이 음소적 표기형으로서의 물리적 음절로 분할되는 과정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In modern Japanese, it is better to indicate the entrance rhyme (/k/, /t/, /p/ consonants) of Japanese kanji consonants both when they are propagated and when they are imploded. In other words, when the consonant is combined with the weak vowel 'ㅡ' to make a CV syllable, the consonant is denoted as {a, ㄽ, ㅄ}, and in the case of implosion (impossible), the consonant is each {ㅋ, ㅅ, f/ c}, and if the consonant is combined with the weak vowel 'ㅣ' to form a CV syllable, the consonant should be denoted as {ㄲ, ㅆ, (none)}. Here, Chinese characters with /p/ as a consonant must not be combined with the weak vowel 'ㅣ' when the consonant is pronounc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ationally explain the process of dividing psychological syllables as morphophonemic representations into physical syllables as phonemic representations.

결국, 일본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4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fter all, Japanese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4 below.

[표 4][Table 4]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3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현대 일본어는 5단모음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음 수가 많은 한국어의 입장에서 보면 일본어의 모음을 한글로 적는 문제는 큰 어려움이 없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unit 131 maintains a 5-stage vowel system in modern Japanese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s written in Korean. Therefore,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which has a large number of vowels, there is no difficulty in writing Japanese vowels in Korean.

결국, 일본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5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fter all, Japanese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5 below.

[표 5][Table 5]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4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あ는 한글로 'ㅏ', え는 'ㅔ', い는 'ㅣ', お는 'ㅗ', 그리고 う는 '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う는 さ행의 す나 ず, た행의 つ나 づ를 적을 경우 한글로 'ㅜ'보다는 'ㅡ'로 적는 것이 바람직하며,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

Figure pat00035
]발음이지만, 일본어를 표기할 때는 이 /ㅐ/가 이중모음 [ai] 발음을 표기하는 글자로 하고, 한국어에 없는 일본어 이중모음 'ゆい' /yui/는 /ㆌ/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Table 5, it is preferable that あ is 'a' in Korean, え is 'ㅔ', い is 'ㅣ', o is 'ㅗ', and う is 'TT'. However, when writing す or ず in the sa line and つ or づ in the ata line for う, it is preferable to write it as 'ㅡ' rather than 'ㅜ' in Korean, and /ㅐ/ is [
Figure pat00035
], but when writing Japanese, it is better to use the /ㅐ/ as a character to indicate the pronunciation of the diphthong [ai], and the Japanese diphthong 'ゆい' /yui/, which is not in Korean, as /ㆌ/.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영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ㅼ', '

Figure pat00036
', 'ㅆ' 및 '
Figure pat00037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38
' 와 '
Figure pat00039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
Figure pat00040
', '
Figure pat00041
', '
Figure pat00042
', 'ㅐ', 'ㅑ', 'ㅓ',' ㅗ', 'ㅔ', 'ㅛ', 'ㅖ', 'ㅝ', 'ㅘ',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 syllable form made with the Korean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English written in Korean, the byungseo notation is 'ㅼ', '
Figure pat00036
', 'ㅆ' and '
Figure pat00037
',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38
' Wow '
Figure pat00039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and the vowel is 'a', '
Figure pat00040
', '
Figure pat00041
', '
Figure pat0004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ㅐ', 'ㅑ', 'ㅓ', 'ㅗ', 'ㅔ', 'ㅛ', 'ㅖ', 'ㅝ', 'ㅘ', 'ㅡ' and 'ㅣ' Do.

결국, 영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6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영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7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English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6 below, and English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7 below.

[표 6][Table 6]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3

[표 7][Table 7]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4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베트남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

Figure pat00045
',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46
' 와 '
Figure pat00047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ㅓ', '
Figure pat00048
', '
Figure pat00049
',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eul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Vietnamese written in Korean, in addition to 'ㅿ', Byeongseo notation is 'ㄲ', '
Figure pat00045
', 'ㅆ', and 'T' are included, and the above-mentioned signature is '
Figure pat00046
' Wow '
Figure pat00047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and vowels are 'a', 'ㅓ', '
Figure pat00048
', '
Figure pat00049
', 'ㅐ', 'ㅔ', 'ㅗ', 'TT', 'ㅡ' and 'ㅣ' are preferably included.

결국, 베트남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8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베트남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9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Vietnamese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8 below, and Vietnamese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9 below.

[표 8][Table 8]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0

[표 9][Table 9]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1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독일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52
', 'ㅆ', 'ㅉ' 및 'ㆅ'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53
' 와 '
Figure pat00054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ㅓ', 'ㅚ', 'ㅟ',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German written in Korean, the syllable notation is '
Figure pat00052
', 'ㅆ', 'ㅆ' and 'ㆅ' are included, and the signature notation is '
Figure pat00053
' Wow '
Figure pat00054
', the vowels include 'a', 'ㅓ', 'ㅚ', 'ㅟ', 'ㅐ', 'ㅔ', 'ㅗ', 'TT', 'ㅡ' and 'ㅣ' It is preferable to include

결국, 독일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0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독일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German consonant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0, and German vowel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1 below.

[표 10][Table 10]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5

[표 11][Table 11]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6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프랑스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슈', '

Figure pat00057
' 및 '
Figure pat00058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ㄸ', '
Figure pat00059
'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60
' 와 '
Figure pat00061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
Figure pat00062
', 'ㅗ', 'ㅚ', '
Figure pat00063
', 'ㅙ', 'ㅔ', '
Figure pat00064
', 'ㅐ', '
Figure pat00065
', 'ㅜ', 'ㅟ',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Korean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French written in Korean, 'ㅿ', 'Shu', '
Figure pat00057
' and '
Figure pat00058
' In addition to 'ㄸ', '
Figure pat00059
' and 'ㅃ',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60
' Wow '
Figure pat00061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and the vowel is 'a', '
Figure pat00062
', 'ㅗ', 'ㅚ', '
Figure pat00063
', 'ㅙ', 'ㅔ', '
Figure pat00064
', 'eh', '
Figure pat00065
', 'TT', 'ㅟ', 'ㅡ' and 'ㅣ' are preferably included.

결국, 프랑스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2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프랑스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French consonant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2, and French vowel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3 below.

[표 12][Table 12]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6

[표 13][Table 13]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7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스페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

Figure pat00068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69
', '
Figure pat00070
', 'ㅃ' 및 'ㅆ'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71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 syllable form made with Hang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a Spanish word written in Korean, '
Figure pat00068
' In addition to the 'ㄲ', ㄸ', '
Figure pat00069
', '
Figure pat00070
', 'ㅃ' and 'ㅆ' are included,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71
', and the vowel preferably includes 'a', 'ㅔ', 'ㅗ', 'TT', 'ㅡ' and 'ㅣ'.

결국, 스페인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4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스페인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5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Spanish consonant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4 below, and Spanish vowel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5 below.

[표 14][Table 14]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2

[표 15][Table 15]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3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러시아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

Figure pat00074
', '솨', '쩨', '쳬' 및 '시촤'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75
', 'ㅆ',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76
' 와 '
Figure pat00077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ㅔ',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Russian written in Korean, 'ㅿ', '
Figure pat00074
In addition to ', 'Shun', 'Zeop', 'Cheep' and 'Sichaon', the 'ㄲ', ㄸ', '
Figure pat00075
', 'ㅆ', and 'ㅃ' are included,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76
' Wow '
Figure pat00077
', and the vowel preferably includes 'a', 'ㅗ', 'ㅔ', 'TT', 'ㅡ' and 'ㅣ'.

결국, 러시아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6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러시아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7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Russian consonant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6, and Russian vowel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7 below.

[표 16][Table 16]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8

[표 17][Table 17]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79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힌디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80
', '
Figure pat00081
', 'ㅷ', 'ㅼ', 'ㅻ', '
Figure pat00082
', '
Figure pat00083
', '
Figure pat00084
', '
Figure pat00085
', '
Figure pat00086
', '
Figure pat00087
', 'ㅥ', ''ㅃ',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88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ㅜ', 'ㅔ', 'ㅐ', '
Figure pat00089
', '
Figure pat00090
'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letters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Hindi written in Korean, the syllable notation is 'ㄲ', 'ㄸ', '
Figure pat00080
', '
Figure pat00081
', 'ㅷ', 'ㅼ', 'ㅻ', '
Figure pat00082
', '
Figure pat00083
', '
Figure pat00084
', '
Figure pat00085
', '
Figure pat00086
', '
Figure pat00087
', 'ㅥ', ''ㅃ', 'ㅆ', and 'tk' are included,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88
' is preferable, and vowels are 'a', 'ㅗ', 'TT', 'ㅔ', 'ㅐ', '
Figure pat00089
', '
Figure pat0009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and 'ㅣ'.

결국, 힌디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8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힌디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9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Hindi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8, and Hindi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19 below.

[표 18][Table 18]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1

[표 19][Table 19]

Figure pat00092
Figure pat00092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아랍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샤', 'ㅿ' 및 '

Figure pat00093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94
' 'ㅆ', '
Figure pat00095
', '
Figure pat00096
', 'ㆅ', 'ㆃ', 'ㅼ', '
Figure pat00097
'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98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ㅔ',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f the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Arabic written in Korean, 'sha', 'ㅿ' and '
Figure pat00093
' In addition to the 'ㄲ', 'ㄸ', '
Figure pat00094
''ㅆ','
Figure pat00095
', '
Figure pat00096
', 'ㆅ', 'ㆃ', 'ㅼ', '
Figure pat00097
' and 'ㅃ',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098
', and the vowel preferably includes 'a', 'ㅔ', 'TT', 'ㅡ' and 'ㅣ'.

결국, 아랍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0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아랍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Arabic consonant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20, and Arabic vowels can be written in Korean as shown in Table 21 below.

[표 20][Table 20]

Figure pat00099
Figure pat00099

[표 21][Table 21]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0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터키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쉐' 및 '

Figure pat00101
' 이외에,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102
' 및 'ㅆ'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03
' 와 '
Figure pat00104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ㅚ', 'ㅔ', 'ㅜ', 'ㅟ',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 syllable form made with the Hangul alphabet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is Turkish written in Korean, 'shh' and '
Figure pat00101
In addition to ', the inscription is '
Figure pat00102
' and 'ㅆ',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103
' Wow '
Figure pat00104
', and the vowel preferably includes 'a', 'ㅗ', 'ㅚ', 'ㅔ', 'TT', 'ㅟ', 'ㅡ' and 'ㅣ'.

결국, 터키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2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터키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As a result, Turkish consonant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22 below, and Turkish vowels can be expressed in Korean as shown in Table 23 below.

[표 22][Table 22]

Figure pat00105
Figure pat00105

[표 23][Table 23]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6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진 음절형태에, 성조부호를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조표기수단(132)은 성조부호를 부가할 때,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숫자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성조부호를 음절에 부가하여 표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tone notation means 132 for adding a tone code to the syllable form created by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 When the tone notation means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tone code, by adding a tone cod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the user easily converts the tone code into a syllable. It can be indicated in addition to .

이때, 부가되는 성조부호는 병서표기나 연서표기된 한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만들어진 글자의 오른쪽 위 또는 오른쪽 아래에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만들어진 글자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상기 성조부호는 만들어진 글자의 오른쪽 위아래에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 예로서, 'ㅏ', 'ㅑ', 'ㅓ', 'ㅕ', 'ㅣ'의 모음에서는 그 모음 위에 표기되는 것이 좋고, 'ㅗ', 'ㅛ', 'ㅜ', 'ㅠ', 'ㅡ'의 모음에서는 그 모음의 오른쪽 아래에 표기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ark the added tone code at the upper right or lower right side of the created charac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Korean alphabet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one code is displayed on the upper and lower right sides of the created let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created letter, and as a specific example, 'a', 'ㅑ', 'ㅓ', 'ㅕ', In the vowel of 'ㅣ', it is better to write it above the vowel, and in the vowels of 'ㅗ', 'ㅛ', 'TT', 'ㅠ', and 'ㅡ', it is better to write it below the right side of the vowel.

일 실시예에 따라,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성조표기수단(132)은 숫자 '1'이 입력된 경우 '솔→솔'높이의 고장조를 나타내는 1성의 성조부호 'ㅡ'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2'가 입력된 경우 '미→솔'높이의 상승조를 나타내는 2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3'이 입력된 경우 '미→도→파'높이의 저굴곡조를 나타내는 3성의 성조부호 'V'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4'가 입력된 경우 '솔→도'높이의 급하강조를 나타내는 4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0'이 입력된 경우 경성으로 성조부호를 표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syllable form created by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written in Chinese in Korean, the tone notation means 132 is the height of 'sol → brush' when the number '1' is input. The one-star tonal sign 'ㅡ' indicating the high-pitched tone should be displayed, and if the number '2' is entered, the two-star tonal code '/' indicating the rising tone of the height of 'Mi → Sol' shall be displayed, and the number '3' When ' is input, the three-star tonal symbol 'V' is displayed, indicating the low-flexion of the height of 'Mi → Do → Wave', and when the number '4' is input, it indicates a sharp drop in the height of 'Sol → Do'. The four-star tone code '\' should be displayed, and if the number '0' is entered, the tone code may not be displayed with a hard ton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조표기생성수단(132)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기 만들어진 음절형태에 부가할 수 있으나, 이때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는 성조를 가진 외국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2 may add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to the pre-made syllable form, but in this case, the t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he sig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oreign language having a tone.

일 예로, 사용자는 입력수단(110)을 이용하여 "건강은 어떻습니까?"라는 중국어인 "

Figure pat00107
"의 발음기호 "
Figure pat00108
"에 대하여, /ㄴ/, /ㅣ/, /3/, /ㅅ/, /ㅓ/, /ㄴ/, /1/, /ㅌ/, /ㅣ/, /3/, /ㅎ/, /ㅏ/, /ㅗ/, /3/, /ㅁ/, /ㅏ/, /?/를 순차로 입력하여 "
Figure pat00109
"를 입력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uses the input means 110 to say "How is your health?" in Chinese.
Figure pat00107
"pronunciation of"
Figure pat00108
About ", /b/, /ㅣ/, /3/, /ㅅ/, /ㅓ/, /b/, /1/, /t/, /ㅣ/, /3/, /heh/, /a Enter /, /ㅗ/, /3/, /ㅁ/, /a/, /?/ in sequence to "
Figure pat00109
" can be entered.

동일하게 사용자는 입력수단(110)을 이용하여 "우리 함께 갑시다."라는 중국어인 "

Figure pat00110
"의 발음기호 "
Figure pat00111
"에 대하여, /ㅇ/, /ㅜ/, /ㅓ/, /3/, /ㅁ/, /ㅔ/, /ㄴ/, /ㅇ/, /ㅣ/, /ㄹ/, /4/, /ㅊ/, /ㅣ/, /3/, /ㅊ/, /ㅜ/, /ㅣ/, /3/, /ㅂ/, /ㅏ/, /./를 순차로 입력하여 "
Figure pat00112
"를 입력할 수 있다.Similarly, the user uses the input means 110 to say "Let's go together."
Figure pat00110
"pronunciation of"
Figure pat00111
About ", /ㅇ/, /TT/, /ㅓ/, /3/, /ㅁ/, /ㅔ/, /b/, /ㅇ/, /ㅣ/, /r/, /4/, /c Enter /, /ㅣ/, /3/, /c/, /TT/, /ㅣ/, /3/, /b/, /a/, /./ in sequence to "
Figure pat00112
" can be entered.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성조표기수단(132)은 숫자 '1'이 입력된 경우 '솔→솔' 높이의 고장조를 나타내는 1성의 성조부호 'ㅡ'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2'가 입력된 경우 '미→솔' 높이의 상승조를 나타내는 2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3'이 입력된 경우 '미→도' 높이의 저장조를 나타내는 3성은 성조부호를 표기하지 않고, 숫자 '4'가 입력된 경우 '솔→도' 높이를 나타내는 급하강조를 나타내는 4성은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숫자 '5'가 입력된 경우 '솔' 높이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1성(평판형)의 '∨'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6'이 입력된 경우 '솔' 높이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4성은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7'이 입력된 경우 '솔솔' 높이의 고고조를 나타내는 7성은 성조부호 '^'을 표기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7성이 얹히는 음절 하나가 두 개의 음절로 분할되므로 성조부호 '^'를 분할된 두 개의 음절에 표기할 수 있다(예,

Figure pat001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syllable form made by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Japanese written in Korean, the tone notation means 132 is the height of 'sol → brush' when the number '1' is input. The one-star tonal sign 'ㅡ' representing the high tone of When 3' is entered, the three-star representing the height of 'Mi→Do' does not indicate the tonal sign, and when the number '4' is input, the four-star representing the sharp drop indicating the height of 'Sol→Do' is the tonal sign ' You can mark '\'. Furthermore, when the number '5' is input, the '∨' of the half-star (flat type) indicating the rise of the height of the 'sol' is indicated, and when the number '6' is input, it indicates the rise of the height of the 'sol' The semi-four-star must display the tonal code '∧', and when the number '7' is input, the 7-star representing the high and high tone of 'Solsol' can be marked with the tonal symbol '^'. Here, since one syllable with 7 syllables is divided into two syllables, the tone sign '^' can be written in the two divided syllables (eg,
Figure pat00113
).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100)는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리듬꼴대응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gu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rhythmic pattern f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syllabic beats in which tone codes are added to syllable shapes by the tone notation means 132 . It may include a rhythmic correspondence means 133 that corresponds to.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모여서 형성된 음절(syllable)은 박(搏, beat)의 지위를 확보하여, 다시 곁에 있는 다른 음절들과 어울려 그 발음시간의 물리적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더 큰 말소리 단위인 균등한 시간 길이의 '박자'(拍子, time)를 만들 수 있다.A syllable formed by the gathering of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eul secures the status of a beat (搏, beat), and the physical adjustment of the pronunciation time is made in harmony with other syllables next to it, and equal time, which is a larger unit of speech sound. You can make a 'beat' (拍子, time) of length.

음악학에서는 리듬(rhythm), 멜로디(melody), 화성(harmony)을 음악의 3요소라고 일컬으며, 그 중 리듬은 길고 짧은 소리(搏, beat)가 모여 이루어진 박자가 일정한 템포(tempo)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 흐름이다. 이 리듬에 운소(성조, 강세, 음장)가 얹혀 실현되면 운율(prosody)을 이룰 수 있다. 즉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의미를 변화시켜주는 운소가 음절에 부여되면 운율형(또는 리듬꼴)이 발생할 수 있다.In musicology, rhythm, melody, and harmony are called the three elements of music. A stream of sound that repeats regularly in groups. A prosody can be achieved when this rhythm is realized by putting rhymes (tonality, stress, sound field) on top of it. That is, when a word, phrase, or sentence is uttered, if a rhyme that changes meaning is given to a syllable, a prosody (or rhythmic) pattern may occur.

리듬꼴은 반박자 리듬꼴과 한박자 리듬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반박자 리듬꼴은 '

Figure pat00114
', '
Figure pat00115
', '
Figure pat00116
', '
Figure pat00117
' 및 '
Figure pat00118
'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일 수 있고, 또 한박자 리듬꼴은 '
Figure pat00119
', '
Figure pat00120
', '
Figure pat00121
', '
Figure pat00122
', '
Figure pat00123
', '
Figure pat00124
', '
Figure pat00125
', '
Figure pat00126
', '
Figure pat00127
', '
Figure pat00128
', '
Figure pat00129
', '
Figure pat00130
', '
Figure pat00131
', '
Figure pat00132
', '
Figure pat00133
', '
Figure pat00134
', '
Figure pat00135
', '
Figure pat00136
', '
Figure pat00137
', '
Figure pat00138
', '
Figure pat00139
', '
Figure pat00140
', '
Figure pat00141
', '
Figure pat00142
', '
Figure pat00143
', '
Figure pat00144
', '
Figure pat00145
', '
Figure pat00146
' 및 '
Figure pat00147
'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The rhythmic pattern may include a half-time rhythm and a one-time rhythm, wherein the half-time rhythm is '
Figure pat00114
', '
Figure pat00115
', '
Figure pat00116
', '
Figure pat00117
' and '
Figure pat00118
It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 and the beat rhythm is '
Figure pat00119
', '
Figure pat00120
', '
Figure pat00121
', '
Figure pat00122
', '
Figure pat00123
', '
Figure pat00124
', '
Figure pat00125
', '
Figure pat00126
', '
Figure pat00127
', '
Figure pat00128
', '
Figure pat00129
', '
Figure pat00130
', '
Figure pat00131
', '
Figure pat00132
', '
Figure pat00133
', '
Figure pat00134
', '
Figure pat00135
', '
Figure pat00136
', '
Figure pat00137
', '
Figure pat00138
', '
Figure pat00139
', '
Figure pat00140
', '
Figure pat00141
', '
Figure pat00142
', '
Figure pat00143
', '
Figure pat00144
', '
Figure pat00145
', '
Figure pat00146
' and '
Figure pat00147
It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

이때, 제어부(130)는, 리듬과 운율을 형성하는 리듬꼴들 각각에 대하여 이를 지칭하는 이름을 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박자 리듬꼴들은 도 2a에 도시하였고, 반 박자 리듬꼴들은 도 2b에 도시하였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name for each of the rhythmic shapes forming the rhythm and the rhyme. As an example, one-beat rhythms are shown in FIG. 2A, and half-time rhythms are shown in FIG. 2B.

저장부(140)는 단어와 이에 대응하는 음절형태의 조합이 서로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고, 또 상기 음절형태의 조합에 대응하는 리듬꼴이 서로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combination of a word and a syllable form corresponding thereto to match each other, and may store a rhythm form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yllable form to match each other.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의 조합에 대해 이에 상응하는 리듬꼴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 rhythm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syllable forms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140 .

출력수단(120)은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생성된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되, 이에 대응하는 상기 리듬꼴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듬꼴을 출력할 때 운소(성조, 강세, 음장)에 따른 높낮이가 표시되도록 오선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 means 120 may output the syllable shape generated by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on the screen,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rhythmic shape on the screen. In this case, more preferably, when outputting the rhythmic form,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pitch on the Ohseonji so that the pitch according to the tone (tonality, stress, sound field) is displayed.

이때 오선지에 표시되는 높낮이는 절대적인 음높이를 가진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음높이를 가진 것으로, 성조가 1성인 경우 고장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고고(高高, HH)로, 성조가 2성인 경우 상승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저고(低高, LH)로, 성조가 3성인 경우 저굴곡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중저중(中低中, MLM)으로, 그리고 성조가 4성인 경우 하강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고저(高低, HL)로 상기 오선지에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tch displayed on the stave does not have an absolute pitch, but has a relative pitch. If the tone is one tone, it is a high tone compared to the standard pitch, and if the tone is two tones, it is an ascending tone compared to the standard pitch. Low-pitched tone (LH), when the tone is three tones, it is a low-bend tone, and when the tone is four tones, it is a low-bend tone compared to the standard height (high tone, HL). can be indicated on the staff paper.

이렇게 음율형은 오선지에 표시 가능한 높낮이가 있는 것으로, 출력수단(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글 텍스트(text)를 음성(speech)으로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에 따라 높낮이를 적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hyme type has a heigh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Ohseonji, and the output means 120 can output it to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output the Hangul text as a speech, but in the rhythmic form. Depending on the height, it can be output as voice.

물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음성이 아닌 악기 따위로 출력할 수 있고, 리듬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언어에 대한 습득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utput as a musical instrument rather than a voice, and since there is a rhyth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ability to acquire a language.

나아가,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 통상 단어를 기준으로 리듬꼴이 기 정하여져 있으나, 제어부(130)는 리듬꼴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divide the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hythmic shape into at least one intonation phrase. In general, although the rhythmic form is predetermined based on the word, the control unit 130 may divide the combination of the rhythmic form into at least one intonation phrase.

구체적으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어구를 기준으로 하거나, 쉼표와 같은 문장기호를 기준으로 하거나, 입력수단(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일 예로 "#"을 기준으로 하여, 억양구를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에 대하여 출력수단(120)은 화면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a phr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 punctuation mark such as a comma, or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for example, “#” as a reference, intonation phrases can be divided In this case, the output means 120 may not output the "#" input from the user on the screen.

이에 대한 일 예로, 제어부(130)는 상기 예시인 "

Figure pat00148
"의 음절박 조합에 대하여 '비둘기 중저형' + '쇠뜸부기 두고2형' # '비둘기 중저형'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선지에 도 3a와 같이 표시하여 화면 출력하되, 억양구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을 기준으로 2개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is, the control unit 130 may
Figure pat00148
For the syllable beat combination of ", it is judged as 'Pigeon mid-low type' + 'Pigeon-tooth buoy type 2'#'Pigeon medium low type', and according to this,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It can be divided into two intonation phrases based on "#".

또한, 동일하게 제어부(130)는 "

Figure pat00149
"의 음절박의 조합에 대하여 '비둘기 중저형' + '해오라기 두고형' # '기러기 두고형'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선지에 도 3b와 같이 표시하여 화면 출력하되, 억양구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을 기준으로 2개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Also, in the same way, the control unit 130
Figure pat00149
For the combination of syllable beats of ", it is judged as 'Pigeon mid-low type' + 'Haegoragi side type'#'Gose side type', and according to this, it is display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It can be divided into two intonation phrases based on "#".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언어와 무관하게 오선지에 도 3c 내지 3n 각각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의 조합으로 표시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도 3c 내지 3n 각각은 순서대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영어, 독일어, 불어, 스페인어, 터기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에 대한 리듬꼴을 나타낸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hythmic shape as shown in each of FIGS. 3C to 3N on the Ohseonji paper irrespective of language and output the screen. 3C to 3N respectively show rhythmic patterns for Korean, Chinese, Japanese, Vietnamese, English, German, French, Spanish, Turkish, Russian, Hindi, and Arabic in order.

한편, 저장부(140)는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예시를 저장하되, 이때 예시인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들의 조합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40 stores various examples of words, phrases, or sentences, and in this cas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hythmic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xample words, phrases or sentences may also be stored.

저장부(140)는 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은 물론, 웹 상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형태 등도 포함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mainly use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NVM, NVRAM) i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As an example, ROM, flash memory,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 (eg, hard disk, diskette drive, magnetic tape), optical disk drive, magnetic RAM, PRAM, etc., as well as on the web A form of web storage capable of storing data may also be included.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30)는 현재 사용자 입력에 의한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의 조합을 가진 예시 단어, 구절 또는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n example word, phrase, or sentence having a combination of a rhythmic pattern corresponding to a syllable form currently input by the user and a combination of the same or similar rhythmic form.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언어와 무관하게 저장된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 중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의 조합을 추출 및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nd classify a combination of rhythmic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yllable shape input by the current user from among the words, phrases or sentences stored in the storage 140 irrespective of the language,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30)는 동일 언어에 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에 따른 리듬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추출 및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언어에 대한 동일한 리듬을 가진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을 확인하게 되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nd classifies at least one group identical to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rhythmic shapes according to the syllable form input from the user, limited to the same languag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 user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identifying words, phrases or sentences having the same rhythm for the corresponding language.

비단, 제어부(130)는 동일 언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언어까지 확장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들로 이루어진 그룹을 검색하여 추출 및 분류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언어에 대해서도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the controller 130 is not limited to the same language, but extends to other languages, searches for, extracts, and categorizes a group consisting of rhythm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a combination of rhythms, extracts and categorizes them,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other languages It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여기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그룹을 포함한 예시 단어, 구절 또는 문장에 대하여 검색할 때, 리듬꼴마다 지칭된 이름을 키워드로 활용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그룹을 검색할 때 검색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searching for an example word, phrase, or sentence including a group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a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rhythm, the control unit 130 uses the name designated for each rhythm as a keyword, When searching for the same or similar groups, the search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동영상까지 확장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들로 이루어진 그룹을 검색하여 추출 및 분류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expands to the music or video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searches for, extracts and classifies a group consisting of the same or similar rhythm patterns as a combination of rhythm patterns, and , by providing it to the user, the user may utilize multimedia to enhance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입력수단(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지 않고, 저장매체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번역프로그램 따위에 의해 변환되거나, 또는 광학적 문자 판독장치(OCR) 등으로부터 읽어들인 발음기호를 근거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음절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4 does not depend on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0, but is pre-stored in a storage medium or converted by a translation program or the like. , or the syllable form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honetic symbols read from an optical character reading device (OCR) or the like.

성조표기수단(135)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표기생성수단(134)에 의해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할 수 있다.The tone notation unit 135 may add the tone code included in the phonetic symbol to the syllable form generated by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unit 134 .

일 예로, 사용자는 번역프로그램에 "

Figure pat00150
"를 입력하였을 때 이를 발음기호 "
Figure pat00151
"로 변환하여 반환할 수 있고,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대하여 상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내용을 근거로 음절형태인 "
Figure pat00152
"로 변환할 수 있고, 성조표기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하여 최종 "
Figure pat00153
"로 변환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enters "
Figure pat00150
When you type "
Figure pat00151
"can be converted and returned, 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4 is a syllable form based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ables 2 and 3 with respect to the pronunciation symbol."
Figure pat00152
can be converted to ", and the tone notation means 134 adds the generated syllable form using the tone code included in the pronunciation symbol to the final "
Figure pat00153
" can be converted to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110)은 마이크 따위로서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30)는 입력수단(11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글자를 상기 번역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번역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음기호를 반환할 수 있고,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이를 음절형태로 변환한 다음, 성조표기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하여 최종적으로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110 may receive an input of an ambient sound such as a microphone, and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the user's voice input to the input means 110 and , the recognized characters can be input into the translation program. As described above, the translation program can return the phonetic symbols, 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4 converts them into syllable forms, and then the tone notation means 134 uses the tonal symbols included in the phonetic symbols. Finally, in addition to the generated syllable form, a syllable form to which a tone code is added may be generated.

이후, 리듬꼴을 대응시켜 출력하거나, 억양구로 나누는 등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Thereafter, the contents such as outputting the rhythmic form correspondingly or dividing into intonation phrase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replaced therewith.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방법 등Hangul input method for languages with rhythm and rhyme, etc.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4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은, 입력수단(110)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S110),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S120), 출력수단(120)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30), 입력수단(110)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S140), 및 성조표기수단(132)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성조를 가진 외국어를 한글로 이루어진 음절로 손쉽게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 숫자 입력을 통해 그 음절에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rhy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110 receives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S110), and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1 is an input means By (110),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sequentially input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to create the Byeongseo notation, or by combining the top and bottom to create a syllable form (S120), the output means 120 is the created syllable. The step of outputting the shape to the screen (S130), the input means 110 receiving a number (S140), and the tone notation means 132 adding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o the syllable shape (S140) Including S150), the user can easily write a foreign language having a tone as a syllable made up of Hangul, as well as writing a tone code on the syllable through numeric input and outputting it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s tone is a language input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included in the Hangul input method for the language having rhythm and rhyme overlaps with the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replaced therewith.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5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a rhy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은, 리듬꼴대응수단(133)이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상기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단계(S160)와, 출력수단(120)이 성조부호가 부가된 상기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하는 단계(S170)는 상기 음절형태와 함께 상기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을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을 성조에 따른 높낮이로 오선지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rhy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hythmic correspondence means 133 is a syllable beat ( syllabic bea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hythm form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combination (S160), and the output means 120 outputting the syllable form to which the tone code is added to the screen (S170). , the outputting step (S170) outputs the rhythm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yllable shape together with the syllable shape, and the rhythmic shape may be displayed on Oseonji at a height according to tone.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prosody for a language having rhythm and prosody overlaps with the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replaced therewith.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voic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은, 발음기호를 읽어들이는 단계(S210),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를 근거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형태 - 상기 음절형태는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한 병서표기 및 상기 자음을 상하로 조합한 연서표기를 포함함 - 를 생성하는 단계(S220), 성조표기수단(132)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S230), 리듬꼴대응수단(133)은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상기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단계(S240), 및 출력수단(120)은 성조부호가 부가된 상기 음절형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에 따라 높낮이를 적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n the voic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ading the phonetic symbols (S210),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4 is based on the phonetic symbols and corresponding A step of generating a syllable form - the syllable form includes a Byeongseo nota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consonants of Hangul are combined, and a Yeonseo notation in which the consonants are combined up and down (S220), and the tone notation means 132 is applied to the pronunciation symbol. In the step of adding the included tone code to the syllable form (S230), the rhythmic correspondence means 133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yllabic beats in which the tone code is added to the syllable form by the tone notation means 132. The step of matching at least one rhythmic pattern to the combination (S240), and the outputting means 120 outputting the syllable shape to which the tone code is added as a voice, and applying a pitch according to the rhythmic shape to output the voice (S240) S250) may be included.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voice for a language having rhythm and rhyme overlaps with those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will be replaced therewith.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 운율표시방법과 음성출력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Hangul input method, the rhyme display method, and the voice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적용언어Applicable languag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등에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 터키어, 이탈리아어 및 포루투갈어 등 모든 언어일 수 있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language having the rhythm and prosody in the Hangul input device and th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Korean, Chinese, Japanese, Vietnamese, German, French, Russian, Hindi, Arabic, Turkish, Italian and any language such as Portugue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한글입력장치 110: 입력수단
120: 출력수단 130: 제어부
131: 음절표기생성수단 132: 성조표기수단
133: 리듬꼴대응수단 134: 음절표기생성수단
140: 저장부
100: Hangul input device 110: input means
120: output means 130: control unit
131: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32: tone notation means
133: rhythm correspondence means 134: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140: storage

Claims (10)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
을 포함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input means for receiving consonants, vowels, and numbers of Hangul;
a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byungseo notation by combining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sequentially inputted by the input means to the left and right, or generating a yeonseo notation by combining them up and down to form a syllable;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created syllable form on a screen; and
tone notation means for adding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by the input means to the syllable shape after the created syllable shape;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s culture languages,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154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155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56
' 와 '
Figure pat0015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the
Figure pat00154
', 'ㅀ', 'ㅆ', 'tk' and '
Figure pat00155
', and the signature is '
Figure pat00156
' Wow '
Figure pat00157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는, 'ㄱ', 'ㄷ' 및 'ㅂ'의 받침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eated syllable form is a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have the bases of 'a', 'c' and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158
', 'ㅐ', 'ㅑ', '
Figure pat00159
', 'ㅓ',' ㅗ', 'ㅔ', 'ㅛ', 'ㅖ', 'ㅝ', 'ㅘ', '
Figure pat00160
',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the vowel is 'a', '
Figure pat00158
', 'ㅐ', 'ㅑ', '
Figure pat00159
', 'ㅓ','ㅗ','ㅔ','ㅛ','ㅖ','ㅝ','ㅘ','
Figure pat00160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ㅡ' and 'ㅣ'.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3' 및 '4'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V' 및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Chinese, when the numbers are '1', '2', '3' and '4', the tone codes corresponding to each are 'ㅡ', '/', 'V' and '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61
' 와 '
Figure pat001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language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Japanese, the inscription notation includes 'ㄲ', 'ㄸ', 'ㅃ', 'ㅆ', 'Tg', 'ㅄ' and 'ㄽ', and the joint letter notation includes '
Figure pat00161
' Wow '
Figure pat00162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4', '5' 및 '6'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 '∨' 및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 is Japanese, when the numbers are '1', '2', '4', '5' and '6', the tone codes corresponding to each are 'ㅡ', '/', '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 '∨' an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문화권 언어가 베트남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
Figure pat00163
',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64
' 와 '
Figure pat0016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language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Vietnamese, the above-mentioned 'ㄲ', '
Figure pat00163
', 'ㅆ', and 'T' are included, and the above-mentioned signature is '
Figure pat00164
' Wow '
Figure pat00165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langu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베트남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ㅓ', '
Figure pat00166
', '
Figure pat00167
',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language having the rhythm and rhyme is Vietnamese, the vowels are 'a', 'ㅓ', '
Figure pat00166
', '
Figure pat00167
', 'ㅐ', 'ㅔ', 'ㅗ', 'TT', 'ㅡ' and 'ㅣ' Hangul input device for Chinese characters culture langu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입력수단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음절표기생성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
출력수단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성조표기수단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방법.
The input means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nput of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The syllable notation generating means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syllable notation by combining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sequentially input by the input means to the left and right, or by combining them up and down to create a syllable form;
Output means, outputting the created syllable form on the screen;
The input means receiving a number; and
Tone notation means, adding a tone co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o the syllable form;
Hangul input method for Chinese characters culture languages including
KR1020200112274A 2020-09-03 2020-09-03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KR20220030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4A KR20220030662A (en) 2020-09-03 2020-09-03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4A KR20220030662A (en) 2020-09-03 2020-09-03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62A true KR20220030662A (en) 2022-03-11

Family

ID=8081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74A KR20220030662A (en) 2020-09-03 2020-09-03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66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68B1 (en) 2006-11-27 2008-11-10 정원수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s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68B1 (en) 2006-11-27 2008-11-10 정원수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s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bash Introduction to Arabic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O20210338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written korean
US201301911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ribing or Transliterating to an Iconphonological Orthography
KR101936208B1 (en) Method for providing notation of standard chinese pronunciation utilizing hangul block building rules and hangul vowel letters which fulfilling traditional four hu theory of chinese language as they are pronounced in modern korean hangul*language and system thereof
Třísková The structure of the mandarin syllable: why, when and how to teach it
KR201400710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using phonetic symbol
KR101060928B1 (en) A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Chinese pronunciation as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al ton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e as a Chinese pronunciation using the system, and a phonetic pronunciation of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System of Korean and how to write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with Korean phonetic symbols
KR102517025B1 (en) Speech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KR102517021B1 (en)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JP7166580B2 (en) language learning methods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KR100985201B1 (en) A System Designed Exclusively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Method thereof Using Korean Hangeul Alphabet
KR102517024B1 (en) Rhythm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KR20220030662A (en)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inese culture languages such as korea, china, japan, vietnam, etc
KR20220030663A (en)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lphabet culture languages such as english, german, french, spanish, etc
KR20010100112A (en) International Phonetic Hangeul input and output method
Odinye Phonology of mandarin chinese: a comparison of Pinyin and IPA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Ganjavi et al. ASCII based transcription systems for languages with the Arabic script: The case of Persian
KR1017771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and foreign languages based on hun min jeong eum using korean input keyboard
KR20180133345A (en) A way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a word pronunciation in the word
WO2010053248A2 (en) Method for learning chinese pronunciation using korean spelling and input device thereof
Třísková The sounds of Chinese and how to teach them
TWI621105B (en) An english pronunciation prompt system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