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291A -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291A
KR20220030291A KR1020227004083A KR20227004083A KR20220030291A KR 20220030291 A KR20220030291 A KR 20220030291A KR 1020227004083 A KR1020227004083 A KR 1020227004083A KR 20227004083 A KR20227004083 A KR 20227004083A KR 20220030291 A KR20220030291 A KR 20220030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user equipment
user
serving nod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위 타오
촨쿠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different packet switched [PS] network technologies, e.g.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LTE and WLAN or LTE and 5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5Determination of target cell based on user equipment [UE] properties, e.g. UE ser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서비스 통신 구현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한다. 이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가 후속하여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동일한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고,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의 주소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7월 18일에 중국 국가지식재산관리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ERVICE CONTINUITY IMPLEMENTAT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910649087.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모바일 통신망에서, 2세대(2G) 네트워크 또는 3세대(3G) 네트워크(줄여서 2/3G 네트워크라고 지칭됨)와 4세대(4G) 네트워크는 5세대(5G) 네트워크보다 커버리지가 넓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가 이동할 때, 사용자 장비는 먼저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이어서 4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5G 네트워크로 직접 이동한다.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 장비가 5G 네트워크와 4G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할 때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경우, UE는 5G 네트워크에 다시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2/3G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서비스들은 중단되고 서비스 연속성은 유지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장비의 이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존 기술의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의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라고 결정한다. 이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가 후속하여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동일한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고,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의 주소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다음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식별자를 전달하고, 접속 요청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후속하여,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가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고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할 수 있고, 이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장비의 5G 능력을 전달한다. 그러므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에 생성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세션 요청을 전송하고,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리턴된 생성 PDP 세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PDP 세션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의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하고,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추가로 전송하여, UE는 2/3G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한 후,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획득하고, 이어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송하여,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은 패킷 데이터 단위(packed data unit, PDU) 세션 식별자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하고, 여기서 PDU 세션은 사용자 장비가 5G로 이동한 후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고, EPS 베어러는 4G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에 있고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대응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후속하여,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에서 리턴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송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가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의 PDU 세션을 찾고,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이어서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베어러 할당 응답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베어러 할당 응답은 수정 베어러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은 패킷 데이터 유닛(PDU) 세션 식별자와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한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베어러 리소스 요청을 사용하여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이어서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응답을 수신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응답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수정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어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수정 베어러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수정 베어러 요청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이어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여,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한다.
이 경우, 서빙 노드 디바이스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여기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PDP 컨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요청에 사용되고, 생성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이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비를 위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생성하거나,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서 5G 게이트웨이의 FQDN을 획득하고; 이어서 FQDN을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서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이어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5G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고, 여기서 생성 세션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할당하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포워딩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가 4G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5G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5G 게이트웨이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장비가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전에 5G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 또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는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에 있고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대응관계를 수신한다. 이어서, 5G 게이트웨이는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PDU 세션을 결정하고,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베어러 식별자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식별자 또는 PDP 컨텍스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5G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외에도, 5G 게이트웨이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하므로, 사용자 장비는 2/3G, 4G 및 5G에서 유사한 서비스를 즐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 장비는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해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을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을 수신하고, 여기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응답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사용자 장비는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전송하고, 여기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제3 양태 내지 제7 양태에서 제공된 솔루션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후속하여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양태 내지 제7 양태에서 제공된 솔루션들에서,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 및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3 양태 내지 제7 양태에서 제공된 솔루션들에서,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제3 양태 내지 제7 양태에서 제공된 솔루션들에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서비스 품질 및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PDU 세션 설정 요청을 AMF에 전송하여 PDU 세션을 설정한다.
사용자 장비는 AMF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PDU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사용자 장비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2/3G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핵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지 않고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한다. 이는 서비스 연속성을 더 개선시킨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로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서빙 노드 디바이스가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5G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로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5G 게이트웨이가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주로 다음을 포함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모듈; 및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세션 설정 모듈.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 선택 모듈 및 세션 설정 모듈 간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하고,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장비 이동으로 야기되는 기존 기술의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양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결정 모듈이,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식별자를 전달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 사용자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및 이어서, 가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장비의 5G 능력을 전달한다. 이 경우에, 수신 모듈은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추가로 결정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세션 설정 모듈이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생성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세션 요청을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리턴된 생성 PDP 세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이 수신된 후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및
베어러 할당 응답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여, 사용자 장비가 베어러 할당 응답을 수신하고, 베어러 할당 응답에서 전달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하여, 후속하여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수신 모듈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세션 설정 모듈이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PDP 컨텍스트 생성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생성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것; 및 서빙 노드 디바이스와 5G 게이트웨이 간의 세션을 생성하기 위해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은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전송 모듈은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선택 모듈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은: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생성하거나,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부터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획득하는 것; 및 FQDN을 사용하여,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주소 분리를 수행하도록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주로 수신 모듈, 파라미터 할당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5G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수신 모듈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생성 세션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파라미터 할당 모듈은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은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5G 게이트웨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에 사용되어, 수신 모듈, 파라미터 할당 모듈 및 전송 모듈 간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하고,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비의 이동으로 야기되는 기존 기술의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의 전송 모듈은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 또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구체적으로 전송할 수 다. 또한, 전송 모듈은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 또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포워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의 수신 모듈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에 있고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대응관계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경우, 5G 게이트웨이는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PDU 세션을 결정하고, 이어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적용 모듈(90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5G 게이트웨이의 파라미터 할당 모듈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경우, 5G 게이트웨이의 전송 모듈은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는 후속 사용을 위해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 및 5G 게이트웨이로서, 여기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고;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고;
5G 게이트웨이가 서빙 노드 디바이스와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통신 시스템의 5G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생성 세션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거나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것;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통신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어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 및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5G 게이트웨이는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사항들은 제1 양태 및 제2 양태에서 참조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에 따른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에 따른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자는 글로벌적으로 고유한 임시 아이덴티티,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바일 가입자 ISDN 번호, IP 멀티미디어 개인 아이덴티티, IP 멀티미디어 공개 아이덴티티 또는 국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2/3G 게이트웨이, 4G 게이트웨이 및 5G 게이트웨이를 통합하는 디바이스이다.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세션 관리 기능 디바이스이다.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 디바이스이고,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 또는 배경에서 기술적인 솔루션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 또는 배경에서 사용된 첨부 도면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노드 디바이스, 5G 게이트웨이 및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5G 게이트웨이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은 2/3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5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서빙 노드 디바이스, 5G 게이트웨이 및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2/3G 액세스 네트워크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4G 액세스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5G 액세스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5G 게이트웨이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사용자 장비, UE)는 2/3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5G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2G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3G 네트워크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CDMA2000 네트워크 및 시분할-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4G 네트워크는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5G 네트워크는 엔알(new radio, NR)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에서 2/3G 액세스 네트워크는 줄여서 2/3G 네트워크라고 지칭되고, 4G 액세스 네트워크는 줄여서 4G 네트워크라고 지칭되고, 5G 액세스 네트워크는 줄여서 5G 액세스 네트워크라고 지칭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서빙 SGSN(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일 수 있고, 주로 2G 및 3G 네트워크들에서 UE의 이동성 관리에 사용된다. GGSN(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GGSN)은 2G 및 3G 네트워크들에서 세션 관리 및 UE 데이터 포워딩에 주로 사용된다. SGSN은 독립적으로 배포될 수 있거나, GGSN과 함께 배포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라고 지칭되고, 4G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에 있는 UE의 포지셔닝 프로세스, 페이징 프로세스 등을 주로 담당한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UE에 대한 세션 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세션 관리 기능(세션 관리 기능, SMF)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5G 게이트웨이는 대안적으로 GGSN,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SMF(줄여서 통합 5G로 지칭됨)의 기능들을 통합한 통합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이 별도로 배치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SMF와 GGSN의 제어 평면 기능들, SGW의 제어 평면 기능 및 PGW의 제어 평면 기능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디바이스,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및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 기능들을 통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UDM, HSS 및 HLR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는 2/3G, 4G, 5G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하고, 2/3G, 4G, 5G 네트워크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5G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UE는 먼저 2/3G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UE는 2/3G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요청을 개시한다. UE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후, SGSN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SGSN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이어서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UE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SGSN은 UE를 위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고, 5G 게이트웨이는 UE를 서빙한다. 이는 기존 기술에서는 구현될 수 없다. 그러므로, UE가 이후에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5G 게이트웨이는 여전히 UE를 서빙하므로, 2/3G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데이터 서비스(예를 들어, 화상 통화 또는 온라인 비디오)는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5G 네트워크에서 계속 유지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방법 절차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 5G 사용자 장비는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2/3G 네트워크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2/3G, 4G 및 5G 액세스를 지원하는 UE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또는 차고에 있을 때 먼저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UE는 2/3G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attach) 요청을 전송한다. 접속 요청은 2/3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SGSN으로 포워딩된다.
접속 요청은 UE의 사용자 식별자 및 5G 능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요청은 UE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UE의 5G 능력은 접속 요청에서 UE 네트워크 능력 파라미터 또는 MS 네트워크 능력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의 값이 N1 모드 지원인 경우, UE가 5G 능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고, 즉 UE가 5G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함을 나타낸다.
단계(202): SGSN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UE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후, SGSN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SGSN은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식별자를 전달한다. 사용자 식별자는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바일 가입자 ISDN 번호, 국제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덴티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UE의 위치를 기록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어서, 위치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SGSN에 전송하고,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가입 데이터에서 전달된 5G 가입 정보는 구체적으로: 5G 코어 네트워크에 진입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능력(코어 네트워크 제약 파라미터(Core Network Restriction parameter)) 및 베어러를 5G로 스위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능력(인터워킹 5GS 표시자 파라미터(Interworking 5GS Indicator parameter))이다.
단계(203): SGSN은 UE에게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UE의 위치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SGSN은 UE에게 접속 수락(attach accep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04): UE는 SGSN에 활성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한다.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context) 요청은 UE의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SGSN을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205):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입 데이터는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므로,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할 수 있다. 가입 데이터가 5G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 경우, 즉 UE가 5G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MME는 사용자가 비-5G 사용자라고 결정하고, 정상적인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206): SGSN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 SGSN은 라우팅 영역 아이덴티티(routing area identity, RAI) FQDN에 기반하여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ully Qualified Domain Name, FQDN)을 생성하고, 이어서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5G 게이트웨이의 FQDN을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 시스템(domain name, DNS)에게 질의할 수 있다.
또한, SGSN은 대안적으로 게이트웨이에 대한 DNS 분리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RAI FQDN을 직접 사용하여 DNS에게 질의하고, 분리 결과에 기반하여 5G 게이트웨이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을 선택하고, 이어서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5G 게이트웨이에 대응하는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DNS에게 질의할 수 있다. 5G 게이트웨이와 비-5G 게이트웨이는 DNS에서 리턴된 분리 결과에서 구별된다. 예를 들어, 5G 게이트웨이에 대한 분리 결과는 능력 식별자 "nc-smf"를 전달한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SMF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SMF와 GGSN의 제어 평면 기능들, SGW의 제어 평면 기능 및 PGW의 제어 평면 기능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5G 게이트웨이는 GGSN, SGW, PGW 및 SMF의 기능들을 통합한 통합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이고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다고 결정할 때 대안적으로 UE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207): SGSN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SGSN이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SGSN은 생성 PDP 세션 요청을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PDP 세션 응답을 SGSN에 리턴하고, 여기서 응답은 UE의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QoS) 및 IP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208):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 설정을 완료한 후, SGSN은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UE에게 리턴한다.
SGSN에 의해 UE에 리턴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는 UE의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QoS) 및 IP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UE가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후,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고, UE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SGSN이 UE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 후, UE는 후속적으로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이전에 선택된 5G 게이트웨이와 계속 통신할 수 있고, UE의 주소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어 서비스 중단을 피할 수 있다.
단계(209): UE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UE는 2/3G 네트워크에서 4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추적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 절차를 개시한다.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은 UE가 위치한 추적 영역의 식별자 및 UE의 5G 능력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전달한다.
또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은 PDU 세션 식별자(식별자, ID)와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PDU 세션 식별자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는 복수의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TAU 요청에서 프로토콜 구성 옵션(프로토콜 구성 옵션들, PCO) 정보 요소를 사용하여 직접 전달될 수 있거나, TAU 요청의 ESM 컨테이너(Container) 정보 요소에 캡슐화되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전송될 수 있다.
추적 영역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 UE는 4G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단계(210): MME는 5G 게이트웨이에 생성 세션 요청을 전송하여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MME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또는 줄여서 5G 파라미터라 지칭됨)를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할당할 것을 5G 게이트웨이에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생성 세션 요청이 인터워킹 5GS 표시자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생성 세션 요청이 UE 네트워크 능력 파라미터를 전달하고, 파라미터의 값이 N1 모드 지원인 경우, 이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생성 세션 요청은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한 후, 5G 게이트웨이는 표시 정보 및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생성 세션 요청은 SGW를 통해 5G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211):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MME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한 후,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요청에서 전달된 표시 정보에 기반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예를 들어, 5G QoS 규칙(rule), QoS 흐름 설명(flow description), 트래픽 흐름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 TFT)과 같은 파라미터들은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UE는 5G 네트워크로 이동 후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단계(212):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MME에 전송한다.
단계(213): MME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UE로 전송한다.
MME는 TAU 수락 메시지의 PCO 정보 요소에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MME에 의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의 전송은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가 종료됨을 나타낸다. TAU 절차가 완료된 후, UE는 추적 영역에서, 4G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TUA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는 TUA 수락 메시지에 포함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후속하여, UE는 4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UE는 5G 게이트웨이와 계속 통신할 수 있다. 5G 게이트웨이가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기 때문에,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PDU 세션을 직접 찾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미리 UE에게 전송되었기 때문에,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UE는 5G 게이트웨이로부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재획득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한다. 이는 서비스 연속성을 더 개선시킨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01): 5G 사용자 장비는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2/3G 네트워크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302): SGSN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단계(303): SGSN은 UE에게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304): UE는 SGSN에 활성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305):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한다.
단계(306): SGSN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단계(307): SGSN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단계(308):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 설정을 완료한 후, SGSN은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UE에게 리턴한다.
단계(309): UE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들(301 내지 309)의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들(201 내지 209)의 실행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세부사항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세부사항들은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310): MME는 5G 게이트웨이에 생성 세션 요청을 전송하여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생성 세션 요청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할 것을 5G 게이트웨이에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고 있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 세션 요청이 인터워킹 5GS 표시자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생성 세션 요청이 UE 네트워크 능력 파라미터를 전달하고, 파라미터의 값이 N1 모드 지원인 경우, 이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생성 세션 요청은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SMF, PGW 및 SGW의 기능들을 통합한다. 내부적으로, 5G 게이트웨이의 SGW는 MME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고, 수정 베어러 요청 수정 베어러 요청을 사용하여 생성 세션 요청의 표시 정보를 SMF로 전송한다. SMF는 표시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고, 수정 베어러 응답 수정 베어러 응답을 SGW에 리턴한다.
단계(311):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한다.
5G 게이트웨이의 SMF는 표시 정보에 기반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의 SMF는 생성 세션 요청의 표시 정보에 기반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MME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이 표시 정보를 전달하지 않으면,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할 필요가 없다.
단계(312):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을 MME에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SMF에 의해 리턴된 수정 베어러 응답을 수신한 후, 5G 게이트웨이의 SGW는 생성 세션 응답을 MME에 리턴하여 MME와 SGW 사이의 세션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5G 게이트웨이가 SGW의 기능을 통합하기 때문에, SGW가 생성 세션 응답을 리턴한 후, 이는 또한 MME와 5G 게이트웨이 사이에 세션이 생성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계(313): MME는 TAU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UE에게 TUA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TAU 절차가 완료된 후, UE는 추적 영역에서, 4G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단계(314): UE는 MME에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을 전송하여 MME에 베어러 리소스 할당을 요청한다.
이 실시예에서, UE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은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할 수 있다. PDU 세션 식별자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는 복수의 방식들로 전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에서 PCO 정보 요소를 사용하여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단계(315): MME는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는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이 실시예에서, MM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포워딩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이어서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는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단계(316):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계(311)에서, 5G 게이트웨이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기 때문에, 5G 게이트웨이는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예를 들어, 5G 게이트웨이는 5G QoS 규칙, QoS 흐름 설명, 트래픽 흐름 템플릿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UE가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그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단계(317): 5G 게이트웨이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MME에 전송한다.
단계(318): MME는 수정 베어러 요청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UE에 전송한다.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수정 베어러 요청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UE로 포워딩된다. UE가 수정 베어러 요청을 수신한 후, 베어러 리소스 할당이 완료된다. 또한, UE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UE는 수정 베어러 응답을 MME에 추가로 리턴할 수 있다.
후속하여, UE는 4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UE는 5G 게이트웨이와 계속 통신할 수 있다.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저장하여, 5G 게이트웨이는 4G 네트워크에서 UE의 EPS 베어러 ID와,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5G 네트워크의 UE에 의해 사용된 PDU 세션의 ID를 결정하고, 대응 PDU 세션을 찾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미리 UE에게 전송되었기 때문에,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UE는 5G 게이트웨이로부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재획득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한다. 이는 서비스 연속성을 더 개선시킨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단계(310)에서 MME에 의해 5G 게이트웨이로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은 UE의 5G 능력의 표시 정보,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 또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후속하여,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한 후, 5G 게이트웨이의 SGW는 생성 세션 응답을 MME에 리턴하여 MME와 SGW 간의 세션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가 MME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할 때(단계 315), 베어러 리소스 리소스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하기 때문에,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 후, 5G 게이트웨이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MME에 전송한다. 즉,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사전에(단계(311)에서) 또는 단계(315) 이후에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01): 5G 사용자 장비는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2/3G 네트워크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402): SGSN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단계(403): SGSN은 UE에게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404): UE는 SGSN에 활성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405):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한다.
단계(406): SGSN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단계(407): SGSN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단계(408):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 설정을 완료한 후, SGSN은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UE에게 리턴한다.
단계(409): UE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에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410): MME는 5G 게이트웨이에 생성 세션 요청을 전송하여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생성한다.
단계(411):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한다.
단계(412):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을 MME에 전송한다.
단계(413): MME는 TAU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UE에게 TUA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들(401 내지 413)의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들(301 내지 313)의 실행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세부사항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세부사항들은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414):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계(411)에서, 5G 게이트웨이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기 때문에,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5G 게이트웨이는 5G QoS 규칙, QoS 흐름 설명, 트래픽 흐름 템플릿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UE가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그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단계(415): 5G 게이트웨이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을 MME에 전송하고, 여기서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은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단계(416): MME는 수정 EPS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UE에게 포워딩한다.
UE는 MME에 의해 전송된 수정 EPS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정 EPS 베어러 요청 메시지에서 전달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단계(417): UE는 수정 EPS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MME에 리턴하고, 여기서 수정 EPS 베어러 응답 메시지는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단계(418): MME는 업데이트 베어러 응답을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여기서 업데이트 베어러 응답은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업데이트 베어러 응답을 수신한 후,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ID와 EPS 베어러 ID 사이에 있고 업데이트 베어러 응답에서 전달되는 대응관계를 저장한다.
후속하여, UE는 4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UE는 5G 게이트웨이와 계속 통신할 수 있다.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저장하므로, 5G 게이트웨이는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5G 네트워크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PDU 세션을 찾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UE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UE에 전송하기 위해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을 개시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베어러 업데이트 절차를 능동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 실시예는 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키고 UE의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도 5 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501): 5G 사용자 장비는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2/3G 네트워크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502): SGSN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단계(503): SGSN은 UE에게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들(501 내지 503)의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들(201 내지 203)의 실행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세부사항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세부사항들은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504): UE는 SGSN에 활성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컨텍스트 요청을 전송한다.
PDP 컨텍스트 요청은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단계(505): SGSN은 UE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이거나 UE가 5G 능력을 가짐을 결정한다.
SGSN은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UE가 5G 능력을 갖고 있고 5G 게이트웨이가 사용자 장비에 대해 추가로 선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5G 게이트웨이는 대안적으로 위치 업데이트 동안 획득된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고(즉, 사용자가 5G 사용자임), 5G 게이트웨이가 사용자 장비에 대해 추가로 선택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GSN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고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결정할 때만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대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506): SGSN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단계(506)의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206)와 동일하다. 세부사항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세부사항들은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507): SGSN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한다.
SGSN이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MME는 생성 PDP 세션 요청을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여기서 PDP 세션 요청은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또한, 요청은 UDM으로부터 SGSN에 의해 획득된 5G 가입 정보를 추가로 전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인터워킹 5GS 표시자 파라미터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G 게이트웨이의 GGSN은 생성 PDP 세션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 PDP 세션 요청에서 전달된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 5G 가입 정보 등을 포워딩하여, SMF는 사용자에게 5G 파라미터를 할당하기 위한 후속 절차를 수행한다.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508):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한다.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UE가 5G 능력을 갖고 있고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추가로 할당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PDP 세션 요청에서 전달된 5G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고, 5G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사용자에게 추가로 할당될 필요가 있음을 대안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9):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5G 게이트웨이는 5G QoS 규칙, QoS 흐름 설명, 트래픽 흐름 템플릿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UE는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그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510):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PDP 세션 응답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SGSN으로 전송한다.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PDP 세션 응답을 SGSN에 리턴하고, 여기서 응답은 UE의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QoS) 및 IP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생성 PDP 세션 응답은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단계(511): SGSN은 UE에 PDP 활성화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SGSN은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사용하여 UE에 리턴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UE는 SGSN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서 전달된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UE는 2/3G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이동하고(이동 프로세스에서, UE는 4G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도 있고 통과하지 않을 수도 있음), UE는 5G 게이트웨이와 계속 통신할 수 있다. 5G 게이트웨이는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저장하여,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에서 UE에 의해 사용되는 PDU 세션을 직접 찾고,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은 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601): 5G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5G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등록 절차는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식별자, 예를 들어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ty)의 할당을 포함한다. UE가 등록을 완료한 후, UE는 PDU 세션 설정 절차를 개시한다.
등록 절차에 관여하는 디바이스는 UE, 액세스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 AMF) 디바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한다.
단계(602): UE는 PDU 세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AMF 디바이스에 PDU 세션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603): AMF는 생성 세션 관리(SM)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UE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설정(establish) 요청을 수신한 후, 생성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컨텍스트 요청(CreateSMContext Request)을 서비스-지향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PDU 세션 설정을 요청한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GGSN, SGW, PGW, 및 SMF의 기능들을 통합한 통합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대안적으로 SMF와 GGSN의 제어 평면 기능들, SGW의 제어 평면 기능 및 PGW의 제어 평면 기능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계(604):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사용자 가입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605):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파라미터 및 4G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5G 서비스에 가입했다. 이 경우, 사용자 가입 정보를 획득한 후, SMF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예를 들어 5G QoS 규칙, QoS 흐름 설명, 트래픽 흐름 템플릿과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또한,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로 추가로 변환한다.
단계(606): 5G 게이트웨이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파라미터 및 4G 파라미터를 AMF에 리턴한다.
이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N1N2 메시지 전송 메시지,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AMF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7): AMF는 PDU 세션 설정 수락 메시지를 UE에 전송하고, 여기서 PDU 세션 설정 수락 메시지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PDU 세션 설정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는 PDU 세션 설정 수락 메시지에서 전달된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UE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후속하여, 5G 네트워크에서 2/3G 또는 4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UE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SGSN 또는 MME)로부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재획득할 필요 없이, 통합 5G 게이트웨이와 직접 통신하고, 미리 저장된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와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노드 디바이스, 5G 게이트웨이 및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 5G 게이트웨이 및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모두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버스(703), 입력 디바이스(704), 출력 디바이스(705) 등을 포함하는 범용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702)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전용 메모리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2)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른 프로그램 모듈, 실행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사용자 등록 데이터, 사용자 가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704)는 커맨드 및 정보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704)는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 이를테면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텔레비전 안테나, 스캐너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들은 버스(703)를 통해 프로세서(701)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705)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705)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라우드스피커 및/또는 프린트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주변 출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 디바이스들은 또한 버스(703)를 통해 프로세서(70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06)를 통해 네트워크,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환경에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대안적으로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로컬로 저장되는 것 외에, 원격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프로세서(701)가 메모리(702)에 저장된 실행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서빙 노드 디바이스 측에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계들(203, 204, 206, 303, 304, 및 307)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원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701)가 메모리(702)에 저장된 실행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측에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계들(210, 213, 310, 312, 416, 및 418)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원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5G 게이트웨이의 프로세서(701)가 메모리(702)에 저장된 실행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5G 게이트웨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5G 게이트웨이 측에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계들(207, 307, 311, 312, 411, 412, 508, 509, 605, 및 606)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원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도이다.
사용자 장비는 주로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버스(803), 입력 디바이스(804), 출력 디바이스(80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6)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배터리 같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802)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전용 메모리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2)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른 프로그램 모듈, 실행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804)는 커맨드 및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804)는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 이를테면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포물선형 위성 텔레비전 안테나, 스캐너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들은 버스(803)를 통해 프로세서(801)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805)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805)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라우드스피커와 같은 다른 주변 출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 디바이스들은 또한 버스(803)를 통해 프로세서(801)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6)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Wi-Fi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2/3G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환경에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대안적으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로컬로 저장되는 것 외에, 원격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프로세서(801)가 메모리(802)에 저장된 실행 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자 장비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사용자 장비 측에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계들(209, 213, 314, 318, 401, 416, 504, 및 511)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 및 유익한 효과는 전술한 관련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원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주로 결정 모듈(901), 선택 모듈(902) 및 세션 설정 모듈(903)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901)은: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모듈(902)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세션 설정 모듈(903)은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901), 선택 모듈(902) 및 세션 설정 모듈(903) 간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하고,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장비 이동으로 야기되는 기존 기술의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서, 결정 모듈(901)이,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식별자를 전달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것; 사용자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및 이어서, 가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904)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접속 요청은 사용자 장비의 5G 능력을 전달한다. 이 경우에, 결정 모듈(901)은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수신 모듈(904)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이 수신된 후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장비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905); 및
베어러 할당 응답을 사용하여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여, 사용자 장비가 베어러 할당 응답을 수신하고, 베어러 할당 응답에서 전달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하여, 후속하여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906).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서, 수신 모듈(904)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세션 설정 모듈(903)이 5G 게이트웨이와의 세션을 설정하는 것은: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PDP 컨텍스트 생성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생성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하는,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것; 및 서빙 노드 디바이스와 5G 게이트웨이 간의 세션을 생성하기 위해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은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전송 모듈(906)은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서, 선택 모듈(902)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것은: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생성하거나,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부터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획득하는 것; 및 FQDN을 사용하여,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주소 분리를 수행하도록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기능 모듈들의 형태로 제시된다. 본원에서 "모듈"은 주문형 집적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의 결정 모듈(901) 및 선택 모듈(902)과 같은 기능 모듈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은 모두 도 7의 프로세서(701) 및 메모리(702)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5G 기능을 갖거나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인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901)의 기능은 메모리(7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때 선택 모듈(902)의 기능은 또한 메모리(7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5G 게이트웨이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게이트웨이는 수신 모듈(1001),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 및 송신 모듈(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001)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생성 세션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1003)은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5G 게이트웨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에 사용되어, 수신 모듈(1001),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 및 전송 모듈(1003) 간의 협력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연속성을 구현하고, 2/3G 네트워크에서 5G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비의 이동으로 야기되는 기존 기술의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5G 게이트웨이에서, 전송 모듈(1003)은 구체적으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 또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듈(1003)은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어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 또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 장비에 포워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5G 게이트웨이에서, 수신 모듈(1001)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에 있고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대응관계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경우, 5G 게이트웨이는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PDU 세션을 결정하고, 이어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PDU 세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적용 모듈(1003)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5G 게이트웨이에서,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경우, 5G 게이트웨이의 전송 모듈(1003)은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는 후속 사용을 위해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5G 게이트웨이는 기능 모듈들의 형태로 제시된다. 본원에서 "모듈"은 주문형 집적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5G 게이트웨이에서, 5G 게이트웨이의 수신 모듈(1001) 및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 같은 기능 모듈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은 모두 도 7의 프로세서(701) 및 메모리(702)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1001)의 기능은 메모리(7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파라미터 할당 모듈(1002)의 기능은 또한 메모리(7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전송 모듈(1101) 및 수신 모듈(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1101)은: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수신 모듈(1102)은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그러므로, 이후에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전송 모듈(1101)은 대안적으로 추적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해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1102)에 의해 수신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전송 모듈(1101)은 베어러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대안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짐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1102)에 의해 수신된 베어러 리소스 할당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전송 모듈(1101)은 대안적으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을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짐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은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을 수신하고, 여기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에 의해 수신된 활성화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추가로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은 대안적으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의 저장 모듈(1103)은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이후에 5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 장비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전송 모듈(1101)은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추가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수정 베어러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는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가짐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는 PDU 세션 식별자, PDU 세션 식별자와 EPS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PDU 세션 식별자와 PDP 컨텍스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의 송신 모듈(1101)은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AMF에 PDU 세션 설정 요청을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의 수신 모듈(1102)은 AMF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를 추가로 수신하고, 여기서 PDU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는 5G 네트워크 파라미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사용자 장비의 저장 모듈(1103)은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2/3G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사용자 장비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지 않고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한다. 이는 서비스 연속성을 더 개선시킨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사용자 장비에서, 송신 모듈(1101) 및 수신 모듈(1102)과 같은 기능 모듈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은 모두 도 8의 프로세서(801) 및 메모리(802)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에 의해 전송된 PDU 세션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102)의 기능은 메모리(8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8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MF에 PDU 세션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 모듈(1101)의 기능은 또한 메모리(802)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8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들의 예들일뿐이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된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20)

  1.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접속 요청은 사용자 식별자를 전달하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가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5G 사용자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요청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5G 능력을 전달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세션 요청을 상기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리턴된 생성 PDP 세션 생성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한 후,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추적 영역 업데이트 응답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세션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상기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는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할당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베어러 할당 응답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할당 요청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추가로 전달하고;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베어러 리소스 요청을 사용하여 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상기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베어러 리소스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 리소스 응답은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수정 베어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정 베어러 요청은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전달하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수정 베어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상기 5G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하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활성화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생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PDP 컨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요청에 사용되고, 상기 생성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U 세션 식별자를 전달하는, 생성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전송된 생성 PDP 컨텍스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5G 게이트웨이의 전체 주소 도메인 이름(FQD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FQDN을 사용하여, 상기 5G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주소 분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3.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으로서,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생성 세션 요청은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사용자가 5G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5G 게이트웨이는 생성 세션 응답 메시지 또는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패킷 데이터 단위(PDU) 세션 식별자와 베어러 식별자 사이에 있고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대응관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PDU 세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PDU 세션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5G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2/3G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상기 4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17. 서빙 노드 디바이스로서,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빙 노드 디바이스.
  18. 5G 게이트웨이로서,
    서로 결합된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5G 게이트웨이가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5G 게이트웨이.
  19. 통신 시스템으로서,
    서빙 노드 디바이스 및 5G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가 2/3G 네트워크에 접속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결정하고;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5G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와 상기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5G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생성 세션 요청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5G 능력을 갖거나 상기 사용자가 5G 사용자임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생성 세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상기 5G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5G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성 관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빙 노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KR1020227004083A 2019-07-18 2020-06-22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30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49087.8A CN112243279B (zh) 2019-07-18 2019-07-18 实现业务连续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CN201910649087.8 2019-07-18
PCT/CN2020/097539 WO2021008313A1 (zh) 2019-07-18 2020-06-22 实现业务连续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291A true KR20220030291A (ko) 2022-03-10

Family

ID=7416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083A KR20220030291A (ko) 2019-07-18 2020-06-22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41747A1 (ko)
EP (1) EP3996423A4 (ko)
JP (1) JP7310006B2 (ko)
KR (1) KR20220030291A (ko)
CN (1) CN112243279B (ko)
BR (1) BR112022000729A2 (ko)
WO (1) WO2021008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37611A1 (en) * 2020-04-27 2021-10-28 Cisco Technology, Inc. Optimized serving gateway node selection for interworking networks
KR20220107876A (ko) * 2021-01-26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584387A (zh) * 2022-03-11 2022-06-03 深圳明心科技有限公司 一种5g上网行为管理方法、装置及5g网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319B2 (en) * 2005-02-04 2010-10-1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Framework of media-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CN108282827B (zh) * 2017-01-06 2022-07-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网络间互操作的方法、节点及设备
CN108347748B (zh) * 2017-01-25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服务质量参数的获取方法、装置及系统
US10932164B2 (en) * 2017-01-27 2021-02-23 Parallel Wireless, Inc. CDMA/EVDO virtualization
CN108632917B (zh) * 2017-03-21 2019-08-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承载映射方法、接入网实体以及smf
EP3383094B1 (de) * 2017-03-31 2019-10-23 Deutsche Telekom AG 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inhalten mit grossen datenvolumen in kurzer zeit
CN110945901B (zh) * 2017-04-24 2022-03-01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复制用于无线电承载的pdcp pdu
CN109040327A (zh) * 2017-06-09 2018-1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ip地址的分配方法及装置
CN109246767B (zh) * 2017-06-16 2021-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中转方法、装置、网络功能实体及smf实体
CN109257788B (zh) * 2017-07-14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及装置
US11026128B2 (en) * 2017-10-19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enable interworking between network slicing and evolved packet core connectivity
CN110741678B (zh) * 2017-10-20 2021-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业务承载网络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284310B2 (en) * 2018-02-12 2022-03-22 Apple Inc.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handover
CN108966300B (zh) * 2018-08-01 2021-01-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双模模组网络切换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6423A1 (en) 2022-05-11
BR112022000729A2 (pt) 2022-03-08
EP3996423A4 (en) 2022-09-14
WO2021008313A1 (zh) 2021-01-21
JP2022541525A (ja) 2022-09-26
US20220141747A1 (en) 2022-05-05
CN112243279A (zh) 2021-01-19
CN112243279B (zh) 2022-03-29
JP7310006B2 (ja)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919B2 (en) Handover metho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and communications system
EP3697022B1 (en) Obtaining, by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information about a network slice allowed for a user equipment (ue)
US11039381B2 (en) SMF selection based on supported DNN
US11838811B2 (en) Inter-network change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KR102436981B1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요소 및 저장 매체
US11272440B2 (en)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002990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group communications
US10812534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125003B2 (en) Machine to machine service management device, network device, and method processing service system
US10757645B2 (en) Access control in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slices
KR2021012782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141747A1 (en) Service Continuity Implementation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20200280892A1 (en) Session context handling method, network element, and terminal device
WO2019154034A1 (zh) 通信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0863555B2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KR101481337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의 단말 접속 처리 방법
CN115529294B (zh) 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604184A (zh) 数据路由方法及装置
KR102563705B1 (ko) 서비스 연속성 구현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CN116438824A (zh) 用于无线网络中核心网装置重分配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40071862A (ko) 호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