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430A -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 - Google Patents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430A
KR20220029430A KR1020210111812A KR20210111812A KR20220029430A KR 20220029430 A KR20220029430 A KR 20220029430A KR 1020210111812 A KR1020210111812 A KR 1020210111812A KR 20210111812 A KR20210111812 A KR 20210111812A KR 20220029430 A KR20220029430 A KR 2022002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setpoolindex
trp
pdcch
communicate
c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00B1 (ko
Inventor
젠-시엔 첸
치엔-민 리
리-청 로
Original Assignee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UE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 예들 중 한 실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PDC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Method used by UE to communicate to base station through M-TRP in unlicensed band and UE us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20년 8월 31일자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3/072,242호의 우선권 이점을 주장한다. 위에 언급한 임시특허출원의 전체가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원에 보완되며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하는 UE에 관한 것이다.
현재, 5세대(5G) 통신 시스템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서, 차세대 노드 B(next generation Node B; gNB)는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비허가 스펙트럼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 또는 다수의 TRP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UE가 스케줄링되도록 구성하는 gNB를 보여준다. 도 1의 M-TRP는 TRP#0, TRP#1, TRP#2, TRP#3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gNB(101)는 각각의 CORSETPoolIndex 매개변수가 서로 다른 M-TRP에 상응하기 때문에 CORSETPoolIndex 매개변수를 UE에 지정함으로써 UE(102)가 M-TRP 중 하나에 의해 스케줄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gNB(101)는 UE(102)에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지정함으로써 UE(102)가 다수의 TRP에 의해 스케줄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TRP는 서로 다른 준-코로케이션 가정(quasi-colocation assumption; QCL)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TRP#0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0에 상응하도록 QCL되고, TRP#1은 RS#1에 상응하도록 QCL되며, 이하 마찬가지이다. 구성된 M-TRP에서 각각의 TRP 간 간섭은 일반적으로 낮다.
도 2는 품질 측정 결과를 gNB에 보고하는 UE를 보여준다. UE(201)는, 60기가헤르츠(GHz)와 같은 고주파수 대역 내에서 동작할 경우, 비허가 대역 내 gNB(202)에 연결하기 전에 먼저 비허가 서빙 셀 또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UE(201)는 신호 품질 측정의 신호 품질 보고를 gNB(202)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 품질 보고에 포함된 신호 품질 매개변수들은 수신 신호 강도 표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메트릭, 채널 점유 보고, 연결 또는 부하 메트릭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UE(201)는 서로 다른 참조 신호들의 신호 품질 매개변수들의 서로 다른 세트들을 gNB(20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품질 매개변수들의 제1 세트는 참조 신호(RS)#0(203)과 연관될 수 있고, 신호 품질 매개변수들의 제2 세트는 RS#1(204)과 연관될 수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때 문제는 gNB가 어떠한 다운링크(downlink; DL) 서비스들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가지 이유는 UE가 그 기간에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할 때 UE의 전력 소비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UE에 대해 2개의 검색 공간 세트(search space set; SSS) 그룹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UE가 비허가 대역 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2개의 SSS 그룹 사이를 스위칭하는 예를 보여준다. 제1 시간 슬롯(301) 동안, UE는 제1 시간 슬롯(301)이 gNB의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의 일부인 동안 SSS 그룹 #1에 상응하는 제1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시간 슬롯(302) 동안, UE는 SSS 그룹 #0에 상응하는 제2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지만, gNB는 제2 시간 슬롯 동안의 어떤 시점에서 어떠한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게 된다. 제3 시간 슬롯(303) 동안, 제1 시간 슬롯(301)과 동일한 패턴이 반복되고, 결과적으로는 UE가 SSS 그룹 #0의 모니터링으로부터 SSS 그룹 #1의 모니터링으로 다시 스위칭하게 된다. 본질적으로, 제1 시간 슬롯(301) 이후에, UE는 SSS 그룹 #1의 제1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부터 SSS 그룹 #0의 제2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제2 시간 슬롯(302) 이후에, UE는 SSS 그룹 #0의 제2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부터 SSS 그룹 #1의 제1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다시 스위칭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패턴이 그 후에 계속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SSS 그룹 스위칭 방식에서는, SSS 그룹 #0의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빈도가 SSS 그룹 #1의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빈도보다 적기 때문에,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UE는 다른 PDCCH로 스위칭한 후에 모니터링되지만 동시에 gNB가 때때로 어떠한 DL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동안 UE가 여전히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 PDCCH 모니터링 오버헤드를 해제할 수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때 전송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UE는 5G 통신 시스템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대해 이용 가능한 빔-기반 동작(beam-based operation)을 채택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이 그 이전의 통신 시스템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빔-기반 동작은 전송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채택된다. 도 4는 전방향성(omni-direction) 감지와 일방향성 감지 간 비교를 보여준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동안의 전송 전에 LBT(Listen Before Talk)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방향성 감지하에서 LBT의 수행은 간섭을 받아 실패할 가능성이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일방향성 감지용 제2 UE에 의해 수신될 제1 UE로부터의 일방향성 전송이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향성 감지용 제2 UE에 의해 수신될 제1 UE로부터의 일방향성 전송보다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자주 성공하게 된다.
빔-기반 동작의 일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UE가 적어도 2개의 M-TRP를 통한 빔-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UE는 제1 빔(501)을 통한 TRP #0 및 제2 빔(502)을 통한 TRP #1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상기 제1 빔(501)에는, UE가 TRP#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TRP#0의 COT가 뒤따를 LBT(Listen Before Talk) 시간 슬롯인 LBT0이 있다. 상기 제2 빔(502)에는, UE가 TRP#1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TRP#1의 COT가 뒤따를 LBT 시간 슬롯인 LBT1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의 COT는 TRP#0의 COT와 TRP#1의 COT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빔-기반 동작 수단하에서의 동작을 통해 더 많은 전송 기회가 생길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gNB는 TRP#0의 COT를 이용하여 UE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TRP#0의 COT가 종료되면 TRP#1의 COT가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스위칭되게 된다.
빔-기반 동작하에서 동작하는 경우, gNB는 고주파수 대역의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전송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즉, M-TRP)를 구성할 수 있다. UE는 또한 M-TRP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패널이 개별 세트의 밀리미터파 하드웨어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의 예에서, 제1 UE(601)는 단지 하나의 물리적 패널을 포함하거나 단지 하나의 이용 가능한 물리적 패널을 지니는 반면에, 제2 UE(602)는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거나 이용 가능한 다수의 물리적 패널을 지닌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E(601)는 패널 #0을 사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RS에 연관된 DL 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UE(602)는 패널 #0을 사용하여 하나의 RS에 연관된 DL 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패널 #1을 사용하여 다른 하나의 RS에 연관된 다른 DL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user equipment)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UE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 예들 중 한 실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국한하지 않는다.
전형적인 실시 예들 중 한 실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송신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UE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상기 수신기를 통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상기 수신기를 통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이점들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면들이 첨부된 실시 예들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전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 설명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이러한 요약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 및 실시 예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국한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개선들 및 수정들을 포함하게 된다.
첨부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첨부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일조한다.
도 1은 UE가 하나 또는 다수의 M-TRP에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gN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UE가 품질 측정 결과를 gNB에 보고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UE가 비허가 대역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2개의 SSS 그룹 사이를 스위칭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방향성 감지와 일방향성 감지 간의 비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UE가 적어도 2개의 M-TRP를 통한 빔-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나의 패널을 지니는 UE를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다른 UE와 비교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UE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TRP로부터의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하나의 패널을 지니는 UE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TRP의 우선순위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COT에 대한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COT에 대한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COT에 대한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의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비트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가용성 스케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서빙 COT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도 16의 실시 예의 제1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도 16의 실시 예의 제2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최고 우선순위 및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서빙 COT 변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도 19의 실시 예의 제1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도 19의 실시 예의 제2 변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자원이 없는 경우의 UE의 스케줄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유효 자원이 없는 경우의 UE의 스케줄링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DL RS 수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DL RS 컨피규레이션 및 수신의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효 심벌의 처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효 심벌의 다른 처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UE가 이용 가능한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경우 UE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스케줄링하도록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M-TRP와 UE의 패널 간 매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은 고주파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은 어떠한 DL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는 TRP의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내용의 제2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개시내용의 제3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5는 UE가 PDCCH 검출 시 특정 TRP의 PDCCH 모니터링을 중단한 이후의 자원 낭비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UE가 TRP의 COT 내에 미리 할당된 유효 자원의 만료 시 특정 TRP의 PD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 후에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 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 표에서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개시내용의 제2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 표에서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개시내용의 제3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 표에서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availabilityTRP 매개변수 표에서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은 SSS 그룹과 TRP 간 매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4는 SSS 그룹 스위칭에 관련된 문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SSS 그룹 스위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SSS 그룹 스위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금부터 본 개시내용의 전형적인 실시 예들이 상세히 참조될 것이며, 그 실시 예들에 대한 예들은 첨부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가능하면 동일 참조번호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언급하기 위해 첨부도면들 및 설명에서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UE는 UE가 이용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지닐 때와 같이 한 번에 하나의 TRP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게 되고, 그러한 UE는 TRP의 우선순위 및 매개변수 availabilityTRP 필드에 따라 스케줄링될 수 있게 된다. UE는 또한 UE가 이용 가능한 다수의 패널을 지닐 때와 같이 한 번에 다수의 TRP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고, 그러한 UE는 다수의 M-TRP 간 정보 공유에 의한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모니터링을 통해 스케줄링될 수 있게 된다. UE가 LBT(listen before talk) 모드 하에서 동작할 때, UE는 다른 빔들의 공간 도메인 다중화를 지원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UE는 모든 전송 빔들을 커버(cover)하기 위해 하나의 LBT 빔을 사용하거나 다수의 전송 빔을 커버하기 위해 다수의 LBT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본 개시내용에서, 차세대 노드 B(gNodeB 또는 gNB)가 또한, 셀, 서빙 셀, TRP, 비허가 셀, 비허가 서빙 셀, 비허가 TRP, gNB, eNB(evolved NodeB) 등일 수도 있고 셀, 서빙 셀, TRP, 비허가 셀, 비허가 서빙 셀, 비허가 TRP, gNB, eNB(evolved NodeB)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개시내용이 여러 전형적인 실시 예를 제공하고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명하겠지만, 본 개시내용에서의 많은 개념의 적용이 허가된 서빙 셀에 이르기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TRP는 CORESETPoolIndex에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CORESET은 control resource set(제어 리소스 세트)의 약어이다. 본 개시내용의 패널은 UE가 상기 패널을 통해 CORESETPoolIndex 그룹에 상응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CORESETPoolIndex 그룹에 연관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고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60GHz일 수 있게 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빔-기반 동작은 일방향성 LBT 동작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UE가 한 패널을 턴오프(turn off)하는 것은 상기 패널을 물리적으로 턴오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또한 UE가 상기 패널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 반면에, UE가 패널을 턴온하는 것은 UE가 상기 패널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약칭(略稱) LBT#A는 장치가 "A" 빔에 연관된 일방향성 LBT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A" 빔은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등과 같은 참조 신호(RS)와 준-공용배치(quasi-colocation; QLC)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그룹 공통(group common; GC) PDCCH(GC-PDCCH)는 다운링크 제어 표시자(downlink control indicator) 포맷 2_0이 가정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UE가 검색 공간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검색 공간 세트는 그룹 인덱스 0을 지닐 수도 있고 그룹 인덱스 1을 지닐 수도 있으며, 어떠한 그룹 인덱스도 지니지 않을 수도 있고, 상기 그룹 인덱스는 gNB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UE의 하드웨어 능력을 고려하여 UE가 비허가 스펙트럼을 통해 빔-기반 동작에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개선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하는 UE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을 보여준다. 단계 S701에서, UE는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UE는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후반부에서 설명될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CORESETPoolIndex들 각각은 우선순위에 연관될 수 있다. CORESETPoolIndex들 각각은 또한, CORESETPoolIndex 그룹에 연관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PDCCH는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CORESETPoolIndex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최고 우선순위는 CORESETPoolIndex 그룹에 상응하는 것이다.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UE는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각각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부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수의 CORESETPoolIndex들 중 각각의 CORESETPoolIndex는 CORESETPoolIndex 그룹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PDCCH로부터, UE는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을 나타내는 제1 2진 값을 포함할 수 있는 가용성 정보(availability informa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용성 정보는 또한 CORESETPoolIndex에 상응할 수 있고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한 자원이 없음을 나타내는 제2 2진 값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유효 자원은 gNB에 의해 표시되는 기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기간은 심벌, 슬롯 또는 밀리초의 단위를 지닐 수 있다.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UE는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이 없음을 나타내는 가용성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부가적으로 중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는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들 중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1 COT가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유효하고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경우,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부가적으로 중지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는 상기 가용성 필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유효하다.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UE는 또한,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1 채널 점유 시간이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유효하고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경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부가적으로 정지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유효하고, 상기 제1 CORESETPoolIndex는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와 동일한 CORESETPoolIndex 그룹 인덱스를 지닌다.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가용성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유효 자원이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가용성 정보의 기간이 0을 나타내면 이는 유효 자원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UE는 또한 상기 PDCCH에 따라 잔여 COT를 결정할 수 있다. UE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UE에 표시되는 유효 자원이 없는 경우 잔여 COT 이후에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하나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UE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UE에 표시되는 유효 자원이 없는 경우 잔여 COT 이후에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각각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는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하나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PDCCH가 잔여 COT 이후에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유효 자원을 지니는 것으로 표시되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UE는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PDCCH가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유효 자원을 지니는 것으로 표시되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UE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UE는 하드웨어 프로세서(801), 제1 패널(802), 제2 패널(803)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들, 및 비-일시적 저장 매체(80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는 상기 패널들(802, 803) 및 상기 비-일시적 저장 매체(8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 및 차후의 전형적인 실시 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들(802, 803) 각각은 무선 주파수 또는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에서 신호들을 각각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합 또는 분리된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하드웨어 트랜시버들은 또한, 저잡음 증폭,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믹싱, 상향 또는 하향 주파수 변환,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트랜시버들은 각각 업링크 신호 처리 동안 아날로그 신호 포맷으로부터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고 다운링크 신호 처리 동안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디지털(A/D) 및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트랜시버들은 각각은 전방향성 안테나 빔들 또는 일방향성 안테나 빔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는 디지털 신호들을 처리하고 본 개시내용의 제안된 전형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제안된 계층적 등록 방법의 절차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는 프로그래밍 코드, 코드북 컨피규레이션, 버퍼링된 데이터, 및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에 의해 할당된 레코드 컨피규레이션을 저장하는 상기 비-일시적 저장 매체(803)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DSP 칩, FPGA 등과 같은 프로그램가능 유닛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의 기능들은 또한 별도의 전자 장치들 또는 IC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801)의 기능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많은 전형적인 실시 예를 제공한다. 먼저, 본 개시내용은 한 번에 하나의 TRP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UE의 다양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제공한다. UE가 단지 하나의 물리적 패널만을 지니거나 활성상태인 단지 하나의 물리적 패널만을 지니는 경우 UE는 한 번에 하나의 TRP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TRP로부터의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하나의 패널을 지니는 UE를 보여준다. UE가 비허가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해 2개의 TRP로 구성될 수 있지만 UE가 한 번에 하나의 TRP에 의해서만 스케줄링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UE는 먼저 비트 단위로 TRP#0 및 TRP#1을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컨피규레이션 또는 리컨피규레이션(S900)을 수신하게 된다. 도 9는 TRP #0이 LBT 시간 슬롯(LBT0)에 이어서 COT 시간 슬롯(TRP#0의 COT)을 지니는 반면에, TRP #1은 LBT 시간 슬롯(LBT1)에 이어서 COT 시간 슬롯(TRP#1의 COT)을 지니는 것을 보여준다. UE는 TRP#0 또는 TRP#1에 연관된 PDCCH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 TRP의 시간 슬롯은 다른 한 TRP의 시간 슬롯보다 길 수 있게 된다.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검색 공간 세트에 따라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검색 공간 세트의 그룹 인덱스는 0 또는 1일 수도 있고 그룹 인덱스가 없을 수도 있다. RRC 컨피규레이션(리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한 후에, 단계 A(S901)에서, UE는 COT에 대해 TRP들 중 하나 이상의 TRP들로부터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B(S902)에서, UE는 TRP의 COT 내에서 동작한다. 단계 C(S903)에서, UE는 결국 COT에서 벗어나게 된다.
단계 A(S901)의 목적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스케줄링을 수신하기 위해 TRP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TRP의 우선순위 개념을 보여준다. UE는 UE에 대해 여러 CORESETPoolIndex를 지정함으로써 gNB에 의해 다수의 TRP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TRP, 즉 TRP#0, TRP#1, TRP#2가 있다고 가정하면, gNB는 UE에 대한 TRP#0에 상응하는 CORESETPoolIndex#0을 지정할 수 있고, gNB는 UE에 대한 TRP#1에 상응하는 CORESETPoolIndex#1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gNB는 UE에 대한 TRP#2에 상응하는 CORESETPoolIndex#2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TRP들은 우선순위에 연관된다.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TRP의 인덱스에 연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TRP#0의 인덱스는 0이고, TRP#1의 인덱스는 1이며, TRP#2의 인덱스는 2이다. 작은 숫자가 큰 숫자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지니고 그에 따라 이러한 예에서의 우선순위의 순서는 TRP#0 > TRP#1 > TRP 2이다.
TRP가 우선순위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UE는 어느 TRP의 PDCCH를 자신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UE가 다수의 TRP RRC 컨피규레이션(리컨피규레이션)을 수신(S1101)한 후에,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TRP에 연관된 PDCCH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PDCCH는 그룹 인덱스가 0이게 설정되거나 어떠한 그룹 인덱스도 없이 설정된 검색 공간 세트에 연관될 수 있다. 도 11은 TRP#0의 우선순위가 TRP#1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시나리오에서 COT 동안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보여준다. TRP#0이 제1 빔에 연관되어 있고 TRP#1이 제2 빔에 연관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TRP#0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BT0 다음에 상기 제1 빔에 의해 커버되는 TRP#0의 COT가 이어지고, LBT1 다음에 상기 제2 빔에 의해 커버되는 TRP#1의 COT가 이어진다. TRP#0이 TRP#1보다 우선순위를 지니기 때문에,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S1103), TRP#1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S1104). 따라서 UE는 LBT1 동안 TRP#0에 연관된 PDCCH를 검출하게 되고(S1102), UE는 TRP#0의 COT 동안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게 된다.
한 대안적인 전형적 실시 예에 의하면, UE는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TRP의 PDCCH를 모니터링하기로 결정할 수 있지만, 어느 TRP가 그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을 수신해야 할지를 우선순위화하게 된다. 도 12는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UE가 다수의 TRP RRC 컨피규레이션(리컨피규레이션)을 수신(S1201)한 후에,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높은 우선순위(또는 본 예에서는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TRP와 아울러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TRP 양자 모두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 PDCCH는 그룹 인덱스가 0이게 설정되거나 어떠한 그룹 인덱스도 없이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TRP#0의 우선순위가 TRP#1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TRP#0이 제1 빔에 연관되는 반면에 TRP#1이 제2 빔에 연관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TRP#0의 경우, LBT0 다음에 상기 제1 빔으로 커버되는 TRP#0의 COT가 이어지고, LBT1 다음에 상기 제2 빔으로 커버되는 TRP#1의 COT가 이어진다. 비록 TRP#0이 TRP #1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지니더라도,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S1203)와 TRP#1에 연관된 PDCCH(S1204) 양자 모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UE는 TRP#0과 TRP#1 양자 모두가 이용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TRP#1을 통해 스케줄링을 수신하기 위해 LBT0 동안 TRP#1에 연관된 PDCCH를 검출하게 된다(S1202).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UE는 단계 A(S901)에서 COT 동안 하나 이상의 TRP들로부터 PDCCH를 모니터링한 후에, 단계 B(S902)에서, UE는 TRP의 COT 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도 13은 높은(또는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TRP의 COT 내에서 동작하는 UE의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UE가 도 11 및 도 12의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와같이 다수의 TRP RRC 컨피규레이션(리컨피규레이션)을 수신했다고 가정하면,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지만, UE가 TRP#0의 COT 내에서 동작하기 시작하자마자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S1302).
어느 TRP가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지를 UE가 결정하기 위하여, UE에는 GC(group common) PDCCH(GC-PDCCH)와 같은 PDCCH에 위치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가 제공될 수 있게 되고 availabilityTRP의 비트들의 길이가 TRP들의 개수에 직접 관련될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availabilityTRP는 비트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4에서, M-TRP가 3개인 한 세트의 TRP, 결과적으로는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이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2진수이다. 마찬가지로,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의 가용성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3 비트는 TRP#2의 가용성을 나타낸다. 일 예로서, 2진 '1'은 TRP가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게 되고 2진 '0'은 TRP가 스케줄링에 이용할 수 없음을 나타낼 수 있지만 구현이 임의적일 수 있게 되므로 그 반대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도 15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이용하는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UE가 TRP#0에 연관된 PDCCH를 수신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디코딩(S1503)하면, 상기 PDCCH로부터, UE는 제1 비트(1501)가 2진 '1'을 나타내고 제2 비트(1520)가 또한 2진 '1'을 나타내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과 TRP#1 양자 모두가 UE의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의 심벌로부터 시작하는 지속시간은 유효 자원으로 취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속시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P개의 슬롯이며 밀리초(ms) 단위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이용하지만 COT 스위칭을 포함하는 다른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상기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1의 COT로부터의 스케줄링을 수신하고, TRP#1로부터의 제1 PDCCH를 수신한다(S1602). 제1 PDCCH(S1602)로부터, TRP#1의 COT는 N개(예컨대, 10개)의 슬롯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용 가능하다. TRP#1의 COT로부터, UE는 차후에,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제2 PDCCH를 수신한다(S1603).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고 2진 '1'을 나타내며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고 2진 '0'을 나타낸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UE는 TRP#1의 잔여 COT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S1601).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1의 잔여 COT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UE가 도 16의 P개의 슬롯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0의 COT에서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UE는 availabilityTRP 비트맵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TRP들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가치가 있는 점은 TRP#0 또는 TRP#1의 PDCCH가 그룹 인덱스가 0이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도 있게 되고, 그룹 인덱스가 1이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도 있게 되며, 그룹 인덱스가 없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도 있게 된다는 것이다. PDCCH에 대해 설정된 검색 공간의 그룹 인덱스는 gNB에 의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16의 실시 예의 제1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표적인 실시 예는 도 16과 유사하다. TRP#1의 COT로부터, UE는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한다.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고 2진 '1'을 나타내며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고 2진 '0'을 나타낸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1이 더는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지 않으며 UE의 서비스가 TRP#0으로 스위칭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UE는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S1701).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availabilityTRP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가 도 16의 P개의 슬롯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0의 COT에서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UE의 서비스가 상기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TRP#0으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또한, UE는 availabilityTRP 비트맵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TRP들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게 된다.
도 18은 도 16의 실시 예의 제2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는 도 16과 유사하다. TRP#1의 COT로부터, UE는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한다.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고 2진 '1'을 나타내며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고 2진 '0'을 나타낸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1이 더는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지 않으며 UE의 서비스가 TRP#0으로 스위칭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UE는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S1801).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availabilityTRP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가 도 16의 P개의 슬롯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0의 COT에서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상기 PDCCH의 마지막 심벌의 기간(P) 후에 TRP#0으로 스위칭된다(S1802)는 것이다. 또한, UE는 availabilityTRP 비트맵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TRP들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기간(P)은 gNB에 의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최고 우선순위 및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서빙 COT의 변경을 보여준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TRP#0의 COT로부터 상기 COT가 N개(예컨대, 10개)의 슬롯에 대해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1 PDCCH를 수신한다. 10개의 슬롯 내에서, UE는 차후에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제2 PDCCH를 수신한다.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진 '0'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으며 2진 '1'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3 비트는 TRP#2에 연관되어 있으며 2진 '1'을 나타낸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제1 TRP의 COT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유효 자원을 지니고 있지 않은 TRP#0과 같은 TRP(들)의 PDCCH의 모니터링을 즉시 중단하게 된다(S1901). 이것은 의미하는 것은 10개의 시간 슬롯 종료 후에 UE가 상기 TRP#1 및 TRP#2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TRP#1 및 TRP#2의 P개의 슬롯은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대해, UE의 스케줄링은 TRP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9의 실시 예에 대해, 상기 우선순위는 TRP의 번호 매김(numbering)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는 TRP#1이 TRP#2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UE가 TRP#2의 PDCCH 대신 TRP#1의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유념할 가치가 있는 점은 TRP#0 또는 TRP#1의 PDCCH가 그룹 인덱스가 0이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도 있게 되고 그룹 인덱스가 1이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될 수도 있게 되며, 그룹 인덱스가 없게 설정된 검색 공간에 연관도리 수도 있게 된다는 것이다. PDCCH에 대해 설정된 검색 공간의 그룹 인덱스는 gNB에 의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N개의 시간 슬롯은 TRP#0으로부터 제1 PDCCH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9의 실시 예의 제1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는 도 19와 유사하다. TRP#1의 COT로부터, UE는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한다.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진 '0'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진 '1'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3 비트는 TRP#2에 연관되어 있으며 2진 '1'을 나타낸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이 더는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지 않으며, TRP#1의 우선순위가 TRP#2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가정되므로 UE의 서비스가 TRP#1로 스위칭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TRP#1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S2001).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availabilityTRP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가 도 20의 P개의 슬롯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0의 COT에서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UE의 서비스가 상기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TRP#1로 스위칭된다는 것이다. 또한, UE는 availabilityTRP 비트맵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TRP들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게 된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도 19의 실시 예의 제2 변형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는 도 19와 유사하다. TRP#1의 COT로부터, UE는 availabilityTRP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한다. availabilityTRP의 제1 비트는 TRP#0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진 '0'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2 비트는 TRP#1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진 '1'을 나타내고 availabilityTRP의 제3 비트는 TRP#2에 연관되어 있으며 2진 '1'을 나타낸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이 더는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지 않으며, TRP#1의 우선순위가 TRP#2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가정되므로 UE의 서비스가 TRP#1로 스위칭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수신에 응답하여, UE는 TRP#1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UE는 TRP#0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S2001).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availabilityTRP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가 도 20의 P개의 슬롯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0의 COT에서 TRP#0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UE의 서비스가 상기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TRP#1로 스위칭된다는 것이다. 또한, UE는 availabilityTRP 비트맵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TRP들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게 된다.
UE는 TRP에 연관된 PDCCH로부터 TRP의 잔여 COT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TRP#1로부터 N개(예컨대, 10개)의 슬롯의 COT를 제공하는 제1 PDCCH를 수신하지만, TRP#0 및 TRP#1 양자 모두에 대해 2진 '0'을 나타내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제2 PDCCH를 수신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N개의 슬롯이 만료된 후에, UE는 TRP#0과 같은 최고 TRP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UE는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TRP#1과 같은 다른 TRP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도 23은 유효 자원이 없을 때 UE의 스케줄링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22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N개의 슬롯이 만료된 후, UE는 디폴트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어떠한 유효 자원이 UE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잔여 COT의 마지막 심벌이 만료된 후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TRP#0 및 TRP1을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된 TRP 각각에 연관된 PDCCH(들)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UE에 의한 DL RS 수신에 관련된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0의 COT로부터 PDCCH(예컨대,GC-PDCCH)로부터 TRP#0 및 TRP#1 양자 모두에 대해 2진 값이 '1'임을 의미하는 {1, 1}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수신하였다. 따라서, TRP#1에 대한 DL RS 컨피규레이션의 경우가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유효 자원 내에 있으므로, UE는 TRP#1에 대한 DL RS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2402).
도 25는 도 24와 유사한 대안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0의 COT로부터 PDCCH(예컨대, GC-PDCCH)로부터 TRP#0 및 TRP#1 양자 모두에 대해 2진 값이 '1'임을 의미하는 {1, 1}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수신한 다음에, UE는 TRP#0에서 경우에 따라 DL 수신(예컨대, PDCCH, PDSCH, SSB, CSI-RS)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래핑(overlapping) 시간 영역(T1) 동안, UE는 TRP#1로부터 DL RS 수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6의 전형적인 실시 예는 심벌의 처리를 보여준다. UE는 TRP(예컨대, TRP#1)의 N개(예컨대, 10개)의 슬롯의 COT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TRP#1의 COT 내에서, UE는 TRP#1에 연관된 제1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UE는 TRP#1에 대해 2진 '1'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지니는 제2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TRP#1에 상당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의해 표시되는 유효 자원의 심벌이 단말에 제공된 COT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심벌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되게 된다. 대안으로, 도 27의 전형적인 실시 예는 UE에게 제공된 COT 이상으로 COT가 확장되고 있다고 UE가 가정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26의 전형적인 실시 예와 유사하다. 다시 말하면, 유효 자원은 사전에 결정된 시간 동안 COT 이상으로 확장되게 된다. 따라서, UE는 COT를 벗어난 심벌을 유효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은 UE가 이용 가능한 다수의 패널을 지닐 때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스케줄링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UE를 구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28은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UE를 보여준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상황하에서 UE를 구성하는 것에 관련된 2가지 단계가 있을 수 있게 된다. 단계 1에서, UE는 다수의 패널을 사용하여 M-TRP에 의해 전송된 참조 신호들의 측정들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 2에서, 측정을 수행한 후, UE는 동시에 수신될 수 있게 되는 RS를 나타내기 위해 다수의 조합을 gNB에 다시 보고할 수 있다(S2801). 도 29는 M-TRP와 UE의 패널 간 매핑을 보여준다. gNB는 다수의 TRP, 예컨대 TRP#0 내지 TRP#(n-1)을 UE에 구성할 수 있다. UE는 m개의 패널을 지닐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0보다 큰 정수이다. UE는 하나 이상의 TRP들로부터의 패널에 의한 DL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고주파수 대역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을 보여준다. 고주파수 대역에 대한 SCS는 240KHz, 480KHz 및 960KHz일 수 있게 된다. 밀리초의 경우, 15KHz SCS에 대해 밀리초(ms) 단위로 하나의 슬롯이 있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240KHz SCS에 대해 1ms 단위로 16개의 슬롯이 있을 수 있게 된다. 240KHz에 대한 PDCCH 모니터링 경우의 횟수는 15KHz SCS의 16배일 수 있게 된다.
도 31은 M-TRP와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패널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0은 TRP#0과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되고 패널 #1은 TRP#1과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TRP#0과 TRP1은 서로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서로 도울 수 있다. LBT0 및 TRP#0의 COT는 제1 빔에 연관되어 있고 LBT1 및 TRP#1의 COT는 제2 빔에 연관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LBT1과 TRP#0의 COT 간 오버래핑 기간에서, UE는 TRP#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search space set; SSS)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여기서 SSS는 그룹 인덱스가 0이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SSB는 어떠한 그룹 인덱스도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간 동안, TRP#1은 어떠한 통신 채널도 확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DL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PDCCH 모니터링 오버헤드는 큰 SCS로 인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다수의 패널을 고려하여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스케줄링을 위해 UE를 구성함과 동시에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M-TRP 간 정보 공유에 의한 향상된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패널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중단 또는 재개해야 하는 경우 및 패널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기간에 대한 상황을 제공한다.
도 32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다수의 패널을 지니는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의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UE에는 Panel#0 및 Panel#1을 지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Panel#0은 TRP#0 및 TRP#1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Panel#1은 TRP#2 및 TRP#3과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4개의 TRP가 있으므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는 4개의 이진 숫자인 4개의 비트를 지닐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는 {1, 0, 0, 0}이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이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고 다른 TRP들이 스케줄링에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제3 비트와 제4 비트가 모두 '0'이므로,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Panel#1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음으로써, UE가 Panel#1을 턴오프할 수 있다는 것이다. Panel#1을 턴오프함으로써, UE는 PDCCH, PDSCH, SSB, CSI-RS와 같은 DL 신호의 수신을 중단하고 결과적으로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은 UE의 한 패널에 의한 다른 한 패널에 대한 PDCCH 모니터링의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0의 COT 내에서 제1 PDCCH로부터 {1, 0, 0, 0}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수신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UE가 Panel#1을 턴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TRP#0의 COT의 P개의 슬롯들에 유효 자원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UE가 TRP#0의 COT 내에서 제2 PDCCH로부터 {1, 0, 1, 1}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수신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 TRP#2 및 TRP#3이 UE에 대한 스케줄링에 모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제3 비트 또는 제4 비트가 2진 '1'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UE는 TRP#2의 COT 및 TRP#3의 COT 양자 모두가 그들의 대응하는 P개의 슬롯 내에 유효 자원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Panel#1을 다시 턴온할 수 있다. 그러나 TRP#2와 TRP#3 양자 모두가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UE의 스케줄링은 TRP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RP#2가 TRP#3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다고 가정하면, UE는 TRP#2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고 TRP#3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도 34는 이용 가능한 COT가 만료된 후에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기초한 다수의 패널들을 지니는 UE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의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0의 COT를 통해 {1, 0, 0, 0}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지니는 PDCCH를 수신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TRP#0만이 UE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고 따라서 Panel#1이 턴오프된다는 것이다. 수신된 PDCCH는 TRP#0의 COT 내에서 표시된 N개의 슬롯을 지닌다. 그러나 그러한 표시된 N개의 슬롯이 TRP#0의 COT 내에서 만료된 후에는, 이전에 표시된 N개의 슬롯이 만료되었으므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전송하는 데 이용 가능한 유효 자원이 없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UE는 Panel#1을 다시 턴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은 패널에 의한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기간 설계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상기 메커니즘은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이하의 2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는 그 목적이 있다. 도 35는 UE가 PDCCH의 검출 시 특정 TRP의 PDCCH 모니터링을 중단한 이후의 자원 낭비 문제를 보여준다.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PDCCH가 TRP#0의 COT로부터 수신되고 {1, 0}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포함한 후에, Panel#0은 Panel#1이 턴오프되는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2 PDCCH가 TRP#0의 COT로부터 수신되고 {1, 1}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포함한 후에, Panel#1이 다시 턴온되도록 구성된다. Panel#1이 턴오프되는 동안, UE는 제1 PDCCH를 검출한 후에 TRP#1에 관련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Panel#1이 다시 턴온된 후에, UE는 제2 PDCCH의 검출 후에 TRP#1에 연관된 PDCCH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러나 Panel#1이 턴오프되는 동안 TRP#1의 COT에는 자원들이 낭비되고 있는 기간이 있게 된다.
도 36은 UE가 TRP의 COT 내에 미리 할당된 유효 자원이 만료될 경우 특정 TRP의 PD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 후에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보여준다.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PDCCH가 TRP#0의 COT로부터 수신되고 {0, 0}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포함한 후에, UE는 PDCCH의 검출 후에 TRP#1에 연관된 PDCCH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TRP#0의 COT에서 UE에 대해 할당된 유효 자원이 만료된 후에, UE는 TRP#0의 COT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TRP#1에 연관된 PDCCH를 다시 한 번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도 35 및 도 36의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RRC 컨피규레이션 표의 한 실시 예를 제공한다. 도 37은 본 개시내용의 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 따른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보여준다. RRC 컨피규레이션 표는 특정 시점에 수행하게 될 특정 액션을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의 행(row)은 특정 비트 값에 상응하는 기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기간은 심벌, 시간 슬롯, 다수의 심벌, 다수의 시간 슬롯,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7을 참조하면, 비트 값 '00'은 8개의 심벌에 상응할 수 있고, 비트 값 '01'은 5개의 슬롯에 상응할 수 있으며, 비트 값 '10'은 9개의 심벌에 4개의 슬롯을 더한 값에 상응할 수 있고, 비트 값 '11'은 6개의 심벌에 10개의 슬롯을 더한 값에 상응할 수 있다.
RRC 컨피규레이션 표를 이용하기 위해, availabilityTRP 매개변수가 TRP당 추가 기간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8은 각각의 TRP에 대한 기존 비트들과 아울러 TRP당 추가의 2비트를 지니는 업데이트된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보여준다. 각각의 TRP가 2비트에 상응하므로, 예를 들어 3개의 TRP를 지님이 의미하는 것은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에 6비트가 있다는 것이다.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한 가지 이용이 도 3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UE는 TRP#0의 COT로부터 {00}을 표시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를 수신하였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값 '00'은 0인 기간에 상응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의 심벌로부터 시작하는 지속시간(예컨대, P개의 슬롯)이 TRP#0의 유효 자원으로서 취급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TRP#0의 유효 자원은 PDCCH의 마지막 심벌 바로 뒤에 있는 심벌로부터 시작되게 된다.
도 40은 2개의 TRP를 포함하는 다른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UE가 TRP#0의 COT 내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 내 availabilityTRP 매개변수가 {00,01}을 표시하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PDCCH의 마지막 심벌 직후에 UE가 TRP#0의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는 것이다. 비트 값 '01'이 5개의 시간 슬롯에 상응하므로, UE는 5개의 시간 슬롯 내에서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
도 41은 도 40의 전형적인 실시 예와 유사한 다른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UE가 TRP#0의 COT 내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 내 availabilityTRP 매개변수가 {00,01}을 표시하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PDCCH의 마지막 심벌 직후에 UE가 TRP#0의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TRP#1에 상응하는 availabilityTRP 매개변수의 비트가 0이 아닌 한은, UE가 RRC 컨피규레이션 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기간 동안 TRP#1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 비트 값 '01'이 5개의 시간 슬롯에 상응하므로, UE는 5개의 시간 슬롯 내에서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중단하게 된다. 5개의 시간 슬롯이 만료된 후에, UE는 TRP#1에 연관된 PDCCH의 모니터링을 재개하게 된다.
도 42는 2개의 TRP를 포함하는 다른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UE가 TRP#0의 COT 내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 내 availabilityTRP 매개변수가 {00,00}을 나타냄에 응답하여, UE는 TRP#1의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 비트 값 '00'이 0인 기간에 상응하므로, UE는 PDCCH의 마지막 심벌 직후에 TRP#1의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은 SSS 그룹 스위칭에 TRP 개념을 추가한다. 도 43은 SSS 그룹과 TRP 간 매핑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SSS 그룹#0은 CORESET#1에 링크되는 SSS#1과 CORESET#2에 링크되는 SSS#2를 포함할 수 있다. SSS 그룹#1은 CORESET#1에 링크되는 SSS#3과 CORESET#2에 링크되는 SSS#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SSS 그룹 스위칭의 조건들이 충족되면, UE는 TRP#0 및 TRP#1에 상응하는 SSS 그룹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gNB의 COT를 벗어나서는, UE가 SSS 그룹#0에 따라 PDCCH 발생(PDCCH occasion)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반면, gNB의 COT 내에서는 UE가 SSS 그룹#1에 따라 PDCCH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4는 SSS 그룹 스위칭에 관련된 문제를 보여준다.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UE가 TRP#0에 연관된 PDCCH를 검출한 후에, UE는 SSS 그룹#0에서 SSS 그룹#1로 스위칭하여 LBT1에서 UE의 전력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UE가 SSS 그룹#1로부터 SSS 그룹#0으로 다시 스위칭하고 TRP#1의 COT를 벗어나 스위칭하기 전에, 이는 또한 TRP#1의 COT에서 UE의 전력 소비를 유도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SSS 그룹 스우칭에 관련된 문제에서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SSS 그룹 스위칭에 CORESETPoolIndex를 추가함으로써 SSS 그룹 스위칭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또한, 여기서 LBT0이 TRP#0에 의해 수행되어 제1 빔에 연관되는 반면에, LBT1은 TRP#1에 의해 수행되어 제2 빔에 연관된다고 가정된다. TRP#0에 연관된 LBT0 기간 동안,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SSS 그룹#0이 SSS group#1로 스위칭된 후에, SSS 그룹#1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SSS 그룹#1이 SSS 그룹#0으로 다시 스위칭된 후에,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TRP#1에 연관된 LBT1 기간 동안,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1에 연관된다. SSS 그룹#0이 SSS 그룹#1로 스위칭된 후에, SSS 그룹#1은 CORESETPoolIndex#1에 연관된다. SSS 그룹#1이 SSS 그룹#0으로 다시 스우칭된 후에,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1에 연관된다.
도 46은 TRP#0에 연관된 제1 타이머(P0) 및 TRP#1에 연관된 제2 타이머(P1)를 사용하는 한 전형적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Panel#0이 TRP#0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Panel#1이 TRP#1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또한, 여기서 LBT0은 TRP#0에 의해 수행되어 제1 빔과 연관되는 반면에, LBT1이 TRP#1에 의해 수행되어 제2 빔에 연관된다고 가정된다. TRP#0에 연관된 LBT0 기간 동안,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SSS 그룹#1하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1 타이머(P0)가 만료된 후에 SSS 그룹#1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SSS 그룹#1이 SSS 그룹#0으로 스위칭된 후에, SSS 그룹#0은 CORESETPoolIndex#0에 연관된다. 마찬가지로, TRP#1에 연관된 LBT1 기간 동안, SSS 그룹#1은 CORESETPoolIndex#1에 연관된다. 제2 타이머(P1)가 만료된 후에 SSS 그룹#1은 SSS 그룹#0으로 스위칭되고 SSS 그룹#1은 CORESETPoolIndex#1에 연관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SearchSpaceSwitchTrigger에 관련된 전형적인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UE가 SearchSpaceSwitchTrigger에 의해 DCI 포맷 2_0에서 서빙 셀에 대한 검색 공간 세트 스위칭 비트의 위치를 제공받는 경우, UE는 한 슬롯에서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DCI 포맷 2_0을 검출하게 된다. UE가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고 검색 공간 세트 스위칭 비트의 값이 0일 경우 DCI 포맷 2_0을 지니는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적어도 P개의 심벌인 제1 슬롯에서 서빙 셀을 통해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UE가 SearchSpaceSwitchTrigger에 의해 DCI 포맷 2_0에서 서빙 셀에 대한 검색 공간 세트 스위칭 비트의 위치를 제공받는 경우, UE는 한 슬롯에서 CORESETPollIndex에 상응하는 DCI 포맷 2_0을 검출하게 된다. UE가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검색 공간 세트 스위칭 비트의 값이 1일 경우, DCI 포맷 2_0을 지니는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적어도 P개의 심벌인 제1 슬롯에서 서빙 셀을 통해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UE가 SearchSpaceSwitchTrigger에 의해 DCI 포맷 2_0에서 서빙 셀에 대한 검색 공간 세트 스위칭 비트의 위치를 제공받는 경우, UE는 한 슬롯에서 CORESETPollIndex에 상응하는 DCI 포맷 2_0을 검출하게 된다. UE가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서빙 셀을 통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에 따라 서빙 셀을 통해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고 CORESETPoolIndex에 연관된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나 또는 DCI 포맷 2_0에 의해 표시되는 서빙 셀에 대한 잔여 채널 점유 기간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적어도 P개의 심벌인 제1 슬롯의 시작에서 서빙 셀을 통해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은 UE에 SearchSpaceSwitchTrigger가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 관련된 전형적인 실시 예들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UE에 서빙 셀에 대한 SearchSpaceSwitchTrigger가 제공되지 않고 UE가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함으로써 DCI 포맷을 검색하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고 DCI 포맷을 지니는 PDCCH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적어도 P개의 심벌인 제1 슬롯에서 서빙 셀을 통해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UE가 임의의 검색 공간 세트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함으로써 DCI 포맷을 검색하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에 연관된 타이머 값을 SearchSpaceSwitchingTimer-r16에 의해 제공되는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UE에 서빙 셀에 대한 SearchSpaceSwitchTrigger가 제공되지 않고 UE가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서빙 셀을 통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UE는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0에 연관된 서빙 셀을 통해 PDCCH의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고, CORESETPoolIndex에 연관된 타이머가 만료된 슬롯 이후에나, 또는 UE에 DCI 포맷 2_0을 검출하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CORESETPoolIndex에 연관된 검색 공간 인덱스를 제공받는 경우, DCI 포맷 2_0에 의해 표시되는 서빙 셀에 대한 잔여 채널 점유 기간의 마지막 심벌 이후에 적어도 P개의 심벌인 제1 슬롯의 시작 부분에서 서빙 셀을 통해 CORESETPoolIndex 및 그룹 인덱스 1에 연관된 검색 공간 세트들에 따라 서빙 셀을 통해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감안할 때,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UE의 하드웨어 능력을 고려하여 M-TRP를 통해 비허가 대역에서 UE의 스케줄링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개시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어떠한 요소, 행위 또는 지시도 명백히 그렇게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에 절대적으로 중요하거나 필수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부정관사 "어떤" 및 "어느 하나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단지 하나의 항목이 의도된 경우에, 용어 "하나의" 또는 유사한 표현이 사용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 중의 어느 하나" 다음에 복수 개의 항목들 및/또는 복수 개의 항목 카테고리들의 목록은 "~중의 어느 하나", "~중의 어느 한 조합", "~중의 어느 한 배수", 및또는 "개별적으로나 또는 다른 항목들 및/또는 다른 항목 카테고리와 연관된 여러 항목들 및/또는 항목 카테고리들의 어느 한 조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세트"는 0을 포함하는 임의의 갯수의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숫자"는 0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실시 예들의 구조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위의 내용을 고려할 때, 본 개시내용은 이하의 청구항들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본 개시내용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3)

  1. 비허가 대역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PoolIndex들 각각은 우선순위에 연관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PoolIndex들 각각은 CORESETPoolIndex 그룹에 연관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 우선순위는 CORESETPoolIndex 그룹에 상응하는 것인,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각각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 각각의 CORESETPoolIndex는 CORESETPoolIndex 그룹에 상응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로부터 가용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는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고,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을 표시하는 제1 2진 값을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는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고,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이 없음을 표시하는 제2 2진 값을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자원은 차세대 NodeB(gNB)의해 표시되는 기간인,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은 심벌, 슬롯 또는 밀리초의 단위를 지니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가 상기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이 없음을 표시함에 응답하여 상기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제1 CORESEPoolIndex에 상응하는 제1 COT가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대로 유효하고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로 유효한,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PoolIndex 중의 제1 CORESEPoolIndex에 상응하는 제1 COT가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대로 유효하고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지니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제1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의 모니터링을 중지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제2 COT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표시된 대로 유효하고, 상기 제1 CORESETPoolIndex는 상기 제2 CORESETPoolIndex와 동일한 CORESETPoolIndex 그룹 인덱스를 지니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하나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가용성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유효 자원이 없음을 표시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이 0인 경우,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하나의 상응하는 CORESETPoolIndex에 대한 유효 자원이 존재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에 따라 잔여 COT를 결정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상기 UE에 표시되는 유효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잔여 COT 이후에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하나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UE에 표시되는 유효 자원이 없는 경우에, 잔여 COT 이후에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각각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하나의 CORESETPool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PDCCH는 잔여 COT 이후에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유효 자원으로 표시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CORESETPoolIndex 중의 최고 우선순위를 지니는 CORESETPooIndex에 상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PDCCH는 상기 가용성 정보에 의해 유효 자원을 지니는 것으로 표시되는,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23. 송신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네트워크와의 통신 동작을 위해 상기 수신기를 통해 다수의 CORESETPoolIndex를 포함하는 컨피규레이션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상기 수신기를 통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KR1020210111812A 2020-08-31 2021-08-24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 KR102597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72242P 2020-08-31 2020-08-31
US63/072,242 2020-08-31
US17/377,384 US11838895B2 (en) 2020-08-31 2021-07-16 Method used by UE to communicate to base station through M-TRP in unlicensed band and UE using the same
US17/377,384 2021-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430A true KR20220029430A (ko) 2022-03-08
KR102597600B1 KR102597600B1 (ko) 2023-11-02

Family

ID=7746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812A KR102597600B1 (ko) 2020-08-31 2021-08-24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38895B2 (ko)
EP (1) EP3962221A1 (ko)
JP (1) JP7278342B2 (ko)
KR (1) KR102597600B1 (ko)
CN (1) CN114126072B (ko)
AU (1) AU2021215251B2 (ko)
TW (1) TWI800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3005B2 (en) * 2021-01-15 2023-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carrier spacing indication
WO2024015260A1 (en) * 2022-07-11 2024-0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le codeword simultaneous multi-panel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7911B1 (en) * 2017-06-08 2021-09-22 LG Electronics Inc. Downlink control channel recept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EP3729898B1 (en) * 2017-12-22 2024-03-13 Nokia Technologies Oy Managing pdcch blind searches in new radio unlicensed band scenario
US10911201B2 (en) 2018-06-08 2021-02-0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TRP transmission
AU2018447397A1 (en) 2018-10-31 2021-05-2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240033159A (ko) 2019-01-17 2024-03-12 애플 인크. 멀티-송신/수신(trp) 송신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582776B2 (en) 2019-08-01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cross-carrier scheduling by a wireless device
CN115053489A (zh) * 2020-02-13 2022-09-13 艾普拉控股有限公司 Pdcch的可靠性增强
US11902985B2 (en) * 2020-02-14 2024-02-13 Intel Corporation Default PDSCH beam setting and PDCCH prioritization for multi panel reception
JP2023521973A (ja) * 2020-04-08 2023-05-26 オフィノ, エルエルシー 複数の送信点及び受信点におけるビーム管理
US11252714B1 (en) * 2020-08-01 2022-02-15 PanPsy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processe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12967* *
3GPP R1-2004719* *
3GPP R1-20064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0900B (zh) 2023-05-01
US20220070824A1 (en) 2022-03-03
CN114126072A (zh) 2022-03-01
AU2021215251B2 (en) 2023-01-05
JP7278342B2 (ja) 2023-05-19
AU2021215251A1 (en) 2022-03-17
TW202211710A (zh) 2022-03-16
CN114126072B (zh) 2024-01-19
EP3962221A1 (en) 2022-03-02
KR102597600B1 (ko) 2023-11-02
US11838895B2 (en) 2023-12-05
JP2022041919A (ja)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4649B (zh) 用于新无线电(nr)网络的无线资源管理(rrm)测量方法和用户设备
CN107925497B (zh) 基于灵活帧结构的蜂窝通信方法及其设备
US98883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TE waveforms in shared spectrum by carrier sensing
US10903942B2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and downlink channel multiplexing
US90555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ndwidth detection and allocation
EP3681228A1 (en) Method of configuring resource pool for sidelink communication by receiver ue, by transmitter ue, and by base station, ue using the same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KR102597600B1 (ko) 비허가 대역에서 m-trp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ue
US11729653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measurement and report outside active downlink (DL) bandwidth part (BWP)
US11825457B2 (en) Dynamic coreset handling for BWP switching
WO2020006235A1 (en) System information scheduling
EP3912279A1 (en) Synchronization signal monitoring using multiple configurations within a synchronization signal period
US20230105787A1 (en) Dynam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source allocation
CN109997343B (zh) 无线电资源管理测量方法以及无线设备
EP4111783A2 (en) Pre-configured activation and deactivation
CN115918224A (zh) 用无线通信系统中iab节点的双连接发送或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EP3496444B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U2799488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кации состояния каналов в нелицензируемом спектре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EP3991484B1 (en) Techniques for configuring paging cycles
US20240007260A1 (en) Dynamic re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information
WO2023273935A1 (zh) 下行控制信息的接收方法、信息的发送方法及相关装置
EP43800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operation of iab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68654A (ko) 전력 스펙트럼 밀도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법들
KR202300347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첩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