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965A -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965A
KR20220028965A KR1020200110667A KR20200110667A KR20220028965A KR 20220028965 A KR20220028965 A KR 20220028965A KR 1020200110667 A KR1020200110667 A KR 1020200110667A KR 20200110667 A KR20200110667 A KR 20200110667A KR 20220028965 A KR20220028965 A KR 2022002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reatment data
medical treatment
pati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513B1 (ko
Inventor
이병걸
강정윤
이윤진
임찬주
정유경
Original Assignee
이병걸
강정윤
이윤진
임찬주
정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걸, 강정윤, 이윤진, 임찬주, 정유경 filed Critical 이병걸
Priority to KR102020011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5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Abstract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는 환자 인터페이스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진료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MEDICAL TREATMENT DATA STORING SERVER AND PATIENT INTERFACE}
본 발명은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사고 중 대리 수술과 관련된 사례, 예컨대 성형 외과 대리 수술에 관한 사례 또는 의료 사고 중 진료기록 위/변조와 관련된 사례 증가하고 있다. 대리 수술과 같은 의료 사고는 치명적이지만 환자가 마취 중인 경우 병원이 은폐하면 환자를 이를 자각 할 수 없고, 따라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도 없다. 수술실 CCTV 설치는 환자의 인권 침해에 대한 이슈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성이 쉽지 않고 대리 수술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시스템이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현재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의 진료 기록은 병원 측에만 집중된 정보이기 때문에 환자가 진료 기록의 위조 또는 변조를 확인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더 나아가, 이렇게 환자의 진료 기록 등에 대한 개인 정보가 병원 측에만 집중되어 있어 의료 소송 시 환자는 불리하고 병원과 의사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병원에만 집중된 진료 기록 등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진료 기록의 완전한 보존과 환자가 온전히 갖는 위험성을 줄이고 대리 수술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3827호(2017.07.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원에만 집중된 진료기록 등의 개인정보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리 수술을 방지 및 확인할 수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술실 내 음성 데이터를 분석해 수술실의 의사를 식별할 수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료 기록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는 환자 인터페이스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진료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술 정보는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수술실에서 녹취된 실시간 목소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상기 실시간 목소리 정보의 일치율을 도출하여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치율은 딥러닝 또는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화자를 인식, 식별 및 검증하는 오픈 소스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진료 데이터는 블록 체인 기술 기반의 디앱(DApp)으로 분산 및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진료 데이터를 허가 인증된 소정의 사용자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하이퍼레저 페브릭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수정 로그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을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데이터 열람을 위한 환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는,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에 상기 진료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된 상기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료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료 데이터 제공부는 정보는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수술실에서 녹취된 실시간 목소리 정보의 일치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상기 진료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로부터 수정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기록 위/변조 방지로 인해 병원의 신뢰성이증가되고, 의사의 음성 식별로 인하여 대리 수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손쉽게 진료 기록에 접근하고 정보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병원 측에만 집중되어있던 의료 자료들을 환자 당사자와 공유하여 환자의 알 권리를 증진 및 보장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서버로부터 진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환자 인터페이스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병원과 환자 간 소통의 길을 열어줄 방향성이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Azur에서 제공하는 화자 인식 서비스의 API를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자의 목소리 정보 일치율을 도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환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의료진 인터페이스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통신하는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환자가 환자 자신의 진료 기록에 대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대리 수술 방지에 대한 효과적인 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현재의 의료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들이 원하는 열람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용량 데이터 베이스 및 데이터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는 각각 환자 및 의료진이 진료 데이터를 요청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로서, 개인 pc 또는 모바일 전자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가 환자의 진료 기록 등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의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는 전자기기로 구형될 수 있다.
환자 인터페이스(200)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와 통신하는 통신부(210) 및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진료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된 상기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료 데이터 제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고,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로부터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독립된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는 의사 또는 간호사와 같은 개인 의료진 또는 병원 자체가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현재까지 알려진 다양한 컴퓨터 또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 베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와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제어 신호 및 의료 데이터를 환자 인터페이스(200)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저장되는 정보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일 예에 따라 환자 DB, 진료 DB, 의료진 DB, 수술 DB 및 일정 DB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120)에는 병원/ 환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 진료 예약 및 확인을 위한 캘린더 정보, 환자의 진료 및 치료 이력 및 수술실 녹음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수술 정보로는 상술된 녹음 파일, 즉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목소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수술실에서 녹취된 실시간 목소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블록 체인 기술 기반의 디앱(DApp)으로 분산 및 저장될 수 있다. 디앱(DApp)에 기반하여 분산된 개인 간 네트워크에 진료 데이터가 저장될 경우 해킹이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나 거래 생성 뒤 삭제가 거의 불가능하고, 정보가 모두 공개되는 공공 거래 장부에 모두 기록될 경우 위조 또는 변조가 어려워 진다.
또한, 진료 데이터는 허가 인증된 소정의 사용자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하이퍼레저 페브릭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처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고, 기밀 유지를 위해 허가가 인증된 사용자만이 진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환자 인터페이스(200) 또는 의료진 인터페이스(300)의 요청에 따라 진료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환자 인터페이스(200) 또는 의료진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실시간 목소리 정보의 일치율을 도출하여 환자 인터페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대리 수술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 지능으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를 위해 딥러닝 또는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화자를 인식, 식별 및 검증하는 오픈 소스로 구현되거나 오픈 소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병원 및 진료의 특징에 맞춰 그 알고리즘을 변형 또는 응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또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로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목소리의 일치율은 수집된 음성에 대한 빅데이터 및 이를 학습하는 딥러닝 CNN을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고, 이를 위한 오픈 소스로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에서 제공하는 화자 인식 서비스 또는 주피터 기반의 인공 신경망 화자 인식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Azur에서 제공하는 화자 인식 서비스의 API를 를 도시한 것으로 화자를 검증하고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자의 목소리 정보 일치율을 도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의 확인을 위하여 화자 식별 기술을 활용한 오디오 포렌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의료진 DB, 진료 DB, 수술 DB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는 제어부(130) 내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화자의 음성을 식별하는 모듈의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포함되는 각 절차는 모듈 내 세부적인 음성 식별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의료진 DB에는 의료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수술에 참여하는 의사의 목소리가 기저장될 수 있다. 수술 전에 저장된 의료진의 목소리는 상술된 기존 목소리 정보일 수 있다. 수술 DB에는 수술 과정에 대한 정보 및 수술실에서 수술 과정에 녹음된 녹음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녹음 파일에는 의료진의 실시간 목소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우선, 수술 DB에 저장된 녹음 파일이 화자 음성 식별 모듈에 입력되고(S310), 여러 가지 음향 중 특징적인 음성이 추출될 수 있다(S320).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도 2와 같은 화자 인식 서비스의 API를 활용하여 기존 의료진 DB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과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S330) 양자의 일치율을 도출할 수 있다(S340).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된 특정 사용자라면 상기 화사 식별 결과를 열람하고 의료진의 식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수술에 참여한 의사가 담당 의사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고, 대리 수술과 같은 문제점을 근절할 수 있다.
또한,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딥러닝 및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화자 인식 및 식별 결과에 따라 대리 수술 가능성을 판단하고 의료진의 이동 가능성을 예측 및 판단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되는 녹음 데이터 중 수술 과정 내내 녹음된 주요 목소리를 대상으로 화자 인식 및 식별 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녹음된 목소리와 일치하는 목소리의 비율이 소정 범위 시간(예컨대, 수술 시간의 90%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대리 수술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환자는 이러한 종합적인 판단 결과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자신의 진료 기록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환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환자 인터페이스(200)의 진료 데이터 제공부(220)는 도 4와 같이 본인 인증 모듈(221), 데이터 열람 모듈(223), 서비스 모듈(225), 보안 모듈(227)과 같은 4개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환자 DB, 진료 DB, 의료진 DB, 수술 DB, 일정 D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인 인증 모듈(221)은 접근 권한 가진 사용자만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모듈이다. 본인 인증 모듈(221)을 통하여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로의 접근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며,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데이터 열람 모듈(223)과 서비스 모듈(225)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인 인증 모듈(221)은 생체 정보 및 환자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있고, 환자DB 내 개인 정보나 환자 식별 번호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환자는 생체 정보 등을 활용하여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본인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자가 전달한 인증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성공 시 접속 권한을 환자 인터페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환자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접속 권한으로 의료 데이터 등을 열람할 수 있다.
한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서 인증 정보가 검증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환자는 접속 권한을 받을 수 없고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로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열람 모듈(223)은 환자의 의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게 하고 오디오 포렌식을 통한 의료 사고 방지 및 개인 의료 기록 열람을 통한 환자의 알 권리 보장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본인 인증을 완료한 환자가 자신의 진료 기록을 제공받기 위해서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요청하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자가 제공한 정보(환자 ID 등)를 바탕으로 해당 환자의 진료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열람 모듈(223)은 의료진 DB 내 의료진 데이터와 수술 DB 내 의료진 음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포렌식을 진행하여 담당 의료진이 수술에 참여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이 제공한 수술실 녹음 파일의 화자 식별을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요청하고, 환자의 요청에 따라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화자 식별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열람 모듈(223)은 환자 DB와 진료 DB에 접근하여 의료 기록을 열람 할 수 있고, 의료진 측에서 의료 기록을 수정했을 경우 수정 여부도 조회 할 수 있다. 만약, 진료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의 제어부(130)는 수정 로그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20)를 제어하고, 진료 데이터의 수정 정보를 환자 인터페이스(200)의 데이터 열람 모듈(223)을 통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진료기록이 의심되는 경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데이터의 위또는 변조 식별 기능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진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자가 요청한 진료기록의 위/변조 식별 기능 수행 후 그 결과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225)은 병원 진료 일정을 저장하는 일정DB와 연결되어 환자가 진료를 예약하고 예약일이 다가올 경우 알림으로 공지하는 모듈이다.
서비스 모듈(225)은 환자가 예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캘린더 형태의 진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러한 진료 일정을 예약일 하루 또는 이틀 전에 공지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수술/입원/진료 날짜 전에 환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환자 인터페이스(200)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로부터 전달 받은 알림 확인 후 수술/입원/진료 날짜를 팝업이나 알람 형태로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수술/입원/진료와 같은 진료 일정을 예약할 수 있다. 환자 인터페이스(200)의 예약 요청에 대응하여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저장된 스케줄표를 의료진 인터페이스(300)로 전달하고, 즉 병원이 미리 스케줄표 제공하고, 환자는 전달받은 스케줄표에 기초하여 진료가 가능한 날짜를 선택(예약)할 수 있다.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가 선택한 날짜(예약한 날짜) 의료진 인터페이스(300) 측에 전달하고 환자 인터페이스(200)로는 병원이 예약 확인 중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보안 모듈(227)은 의료진과 공유하고 있는 전체 데이터 베이스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모듈로써, 상술된 바와 같이 전체 의료 데이터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분산 저장 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의료진 인터페이스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인터페이스(300) 역시 환자 인터페이스(200)와 유사하게 본인 인증 모듈(310), 데이터 저장/열람 모듈(320), 서비스 모듈(330), 보안 모듈(340)과 같은 4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의료진 인터페이스(300)의 각 모듈은 환자 인터페이스(200)의 각 모듈에서 요청한 사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환자 인터페이스(20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200)의 설명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인 인증 모듈(310)은 병원/의료진 인증을 통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열람 모듈(320)은 환자의 내원 날짜와 일시의 정확한 기록과 함께 진료 내역 작성하고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진료 내역 수정 시 의사, 환자 측 모두 히스토리(수정 전후와 수정 날짜 등 공개) 열람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열람 모듈(320)은 도 3과 같이 의료진 DB 내 의료진 데이터와 수술DB 내 의료진 음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한 오디오 포렌식 과정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모듈(330)은 병원 측의 일정 예약 등 내용 확정/변경이 있을 경우 환자에게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캘린더 서비스 상에서 환자 측과 협의하여 진료 예약을 확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모듈340)은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의료진 인증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고, 의료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수정 로그 등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또한, 일 예에 따라, 환자는 자신이 진료받는 다른 병원으로부터 ID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ID를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에 입력함으로써 의료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즉,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환자가 입력한 ID에 기초하여 해당 다른 병원의 진료기록 서비스를 제공받고 이를 환자에게 다시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가 발생한 경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위조 또는 변조된 의료 기록을 복구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다양한 백업 기능을 수행하고, 위조 또는 변조된 의료 기록을 원본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100)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환자 및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기능을 통하여 환자가 손쉽게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진료 예약 변경, 예약 알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진료 내용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의료진이 진료 기록을 수정하는 경우 수정된 진료 내용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위조 또는 변조인지 여부까지 확인하여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기록 위변조, 대리 수술 등의 의료 사고 방지 및 환자 진료 기록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병원 의료 기록 플랫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진료 기록 위변조와 대리 수술을 방지하기 위한 진료 기록 히스토리 공개, 집도의 증명 시스템으로 보다 나은 의료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타 병원과의 차별성을 두어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술실 내의 음성 녹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자를 식별하고, 위조 및 변조 되지 않아야 할 진료기록의 완전한 보호를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진료 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진료 기록 등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환자가 언제든 진료 기록을 열람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또는 서버 내 제어부 및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의료진 인터페이스 등) 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에 있어서,
    환자 인터페이스 및 의료진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진료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의료진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정보는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수술실에서 녹취된 실시간 목소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상기 실시간 목소리 정보의 일치율을 도출하여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은 딥러닝 또는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화자를 인식, 식별 및 검증하는 오픈 소스에 의하여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는 블록 체인 기술 기반의 디앱(DApp)으로 분산 및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를 허가 인증된 소정의 사용자에 의하여 접근 가능한 하이퍼레저 페브릭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수정 로그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을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6. 진료 데이터 열람을 위한 환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환자 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 기록,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에 상기 진료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된 상기 진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진료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 데이터 제공부는 정보는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의 기존 목소리 정보 및 수술실에서 녹취된 실시간 목소리 정보의 일치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터페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상기 진료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로부터 수정 발생 상황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터페이스.
KR1020200110667A 2020-08-31 2020-08-31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KR10238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67A KR102382513B1 (ko) 2020-08-31 2020-08-31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67A KR102382513B1 (ko) 2020-08-31 2020-08-31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65A true KR20220028965A (ko) 2022-03-08
KR102382513B1 KR102382513B1 (ko) 2022-04-05

Family

ID=8081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667A KR102382513B1 (ko) 2020-08-31 2020-08-31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5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891A (ko) * 2012-06-05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06375A (ko) * 2018-07-10 2020-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방법
KR20200064690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피어나인 블록체인 운영방법
KR20200067596A (ko) * 2018-12-04 2020-06-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
KR20200100412A (ko) *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891A (ko) * 2012-06-05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06375A (ko) * 2018-07-10 2020-01-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방법
KR20200064690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피어나인 블록체인 운영방법
KR20200067596A (ko) * 2018-12-04 2020-06-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
KR20200100412A (ko) *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513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1329B2 (ja) デジタルアイデンティティ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087021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US10949558B2 (en) Secure access to healthcare information
US78657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n a secure manner
US91291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control to secured data
WO2020000825A1 (zh) 医疗数据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28905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数据共享系统和方法
US20110041160A1 (en) Surgery robot system of server and client type
US2004011162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records
US20040054657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H1145304A (ja) 医療支援システム
JP2005505863A (ja) 患者データの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11521720B2 (en) User medical record transport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Dias et al. Blockchain for access control in e-health scenarios
US20090319789A1 (en) Encrypted portable medical history system
CA3026907A1 (en) Computer-implemented sysy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ocial resource planning, allocation and management
KR101754659B1 (ko)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102382513B1 (ko)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US7624430B2 (en) Method for accessing a data processing system
EP377114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in a network
Kouam Kamdem et al. Data Security in Health Systems: Case of Cameroon
JP2023536027A (ja) データ、特にバイオテクノロジー・ラボラトリのデータをセキュア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urdi et al. Cloud computing based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a proposal for the Kingdom of Saudi Arabia
KR102531929B1 (ko) 개인 정보 보안 강화된 블록체인 기반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01315A (ko) 개인건강기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