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690A - 블록체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690A
KR20200064690A KR1020180151093A KR20180151093A KR20200064690A KR 20200064690 A KR20200064690 A KR 20200064690A KR 1020180151093 A KR1020180151093 A KR 1020180151093A KR 20180151093 A KR20180151093 A KR 20180151093A KR 20200064690 A KR20200064690 A KR 2020006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lockchain
serv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926B1 (ko
Inventor
안광수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어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어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어나인
Priority to KR102018015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블록체인 시스템이 병원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중계 서버로 인증 진행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결과가 수신되면,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이 전송되면,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운영방법{OPERATING METHOD OF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시스템이 사용자 의료 정보를 보험사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위변조가 매우 어렵다는 장점으로 인해 거래 장부를 보관하는 용도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블록체인에 개인 정보, 의료 기록 등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다.
블록체인이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렵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블록체인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상술한 것과 같이, 최근 블록체인에 개인 정보, 의료 기록 등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보험사에 보험 청구를 실시할 경우, 보험 청구인은 보험사가 요구하는 의료 서류인 사용자 의료 정보를 진료를 받았던 의료기관을 통해 새로 발급받거나 이미 발급받은 해당 의료 서류를 취합한 후 팩스, 이메일, 또는 우편 등을 전송하여 보험 청구를 실시한다.
따라서, 관련 사용자 의료 정보의 구비 및 보험 청구 방식이 많은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보험 청구를 미루거나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679호 (2018.08.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0636호 (2017.09.15)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보험 청구를 위한 사용자 의료 정보가 보험사 서버로 자동 전송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블록체인 시스템이 병원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중계 서버로 인증 진행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결과가 수신되면,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이 전송되면,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은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가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메시지 중계 서버일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병원에서 받았던 검사 내역, 진단 내역, 처방 내역, 수술 내역, 입퇴원 내역, 투약 내역,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 및 진료차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과 분리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보험 청구를 위한 사용자 의료 정보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검색되어 자동으로 해당 보험사 서버로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크게 줄어든다.
또한, 서류 구비의 불편함으로 인해 보험금 청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블록체인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기(200), 인증 서버(300), 보험사 서버(400), 병원정보 시스템(500) 및 메시지 중계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와 블록체인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블록체인 저장부(120)는 데이터를 분산 장부 형태로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저장부(120)는 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다. 각각의 노드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블록을 저장하고 있다. 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함은 당해 블록이 직전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블록에는 블록체인 시스템(100)이 저장하고 관리하려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블록체인 저장부(120)와 연결되어 블록체인 저장부(120)의 데이터의 입출력 및 접근 권한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블록체인 저장부(120)의 노드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 서버(300), 보험사 정보(400) 및 메시지 중계 서버(600)와 연결될 수 있다.
병원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500)은 사용자(즉, 환자)의 식별정보(즉,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가 병원에서 받았던 검사 내역, 진단 내역, 처방 내역, 수술 내역, 입퇴원 내역, 투약 내역,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 및 진료차트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사용자의 의료행위에 관한 모든 정보(즉,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 의료 정보는 위에 기재한 것들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의료 서류나 정보를 구비할 수 있음을 당연하다.
병원정보 시스템(500)은 병원이 구축한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예,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식별정보와 대응되게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주소, 이름 및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병원정보 시스템(500)은 블록체인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원정보 시스템(500)이 저장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정보)는 블록체인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병원정보 시스템(500)의 데이터가 블록체인 저장부(120)로 이동하고 병원정보 시스템(500)의 데이터는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병원정보 시스템(500)의 데이터가 블록체인 저장부(120)로 복사되고 병원정보 시스템(400)의 데이터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예의 경우, 병원정보 시스템(500)는 사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등을 통해 수납 등과 같이 정해진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전송하여, 블록체인 저장부(1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이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의료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는 환자일 수 있다. 본 예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 중계서버(600)와 연결된다.
인증 서버(30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특정인이라는 것을 인증할 수 있는 서버이다. 인증 서버(3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로부터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여기서,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인증 서버(3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과 분리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300)는, 도 1과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1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실제 운영 주체도 개별적일 수 있다.
보험사 서버(400)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을 관리하는 보험사의 서버로서,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의 가입 내역(즉, 보험 가입 내역)을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도 1의 경우, 보험사 서버(400)는 한 개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라,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보험사 서버(400) 중에 사용자가 가입하지 않은 보험을 관리하는 보험사 서버도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보험사 서버(400)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을 관리하는 보험사의 서버로 가정한다.
이러한 보험사 서버(4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과 보험 가입 내역의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을 검색하여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전송한다.
또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보험사 서버(400)에 사용자가 가입된 보험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의료 정보를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하여 보험 청구 시 필요한 서류를 자동으로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중계 서버로서, 예를 들어, 카카오톡(kakao talk), 인스타그램(instragram), 페이스북(facebook), 밴드(band)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s)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가 가능한 중계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전송한 후,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메시지 중계서버(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해당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해 준다.
이하, 도 2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술한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운영방법의 몇몇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블록도이다.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운영방법은 사용자 식별정보 수신 단계(S100), 사용자 식별정보 전송 단계(S200), 인증 요구 절차 수행 단계(S300), 인증 진행 요청 단계(S400),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S500), 인증 결과 전송 단계(S600),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 조회 요청 및 결과 수신 단계(S700), 사용자 의료 정보 조회 및 전송 단계 단계(S800) 및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의료 정보 전송 단계(S9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는 특별한 언급 또는 인과관계가 없다면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식별정보 수신 단계(S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식별정보 수신 단계(S1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이 병원정보 시스템(500)으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식별정보 수신 단계(S100)에서, 병원정보 시스템(500)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자신의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전송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블록체인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도 2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식별정보 전송 단계(S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식별정보 전송 단계(S200)에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병원정보 시스템(500)으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병원정보 시스템(5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의료 정보를 열람 및 송수신 등과 같은 사용자 의료 정보의 사용에 사용자 동의 및 사용자 인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2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인증 요구 절차 수행 단계(S300) 및 인증 진행 요청 단계(S400)를 설명한다.
인증 요구 절차 수행 단계(S30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인증 동작에 대한 허락을 요청 및 사용자 의료 정보의 사용에 사용자 동의를 구하는 단계이다.
이때, 인증 진행 요청은 보험사 서버(400)로의 보험금 청구를 위해 보험사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의 조회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병원정보 시스템(5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의료 정보의 조회 및 사용에 대한 허락 요청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 접속하여 보험금 청구를 위한 모든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증의 허락을 요청한다.
이때,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인증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나 인증을 진행하겠다는 응답을 요청하는 내용일 수 있다.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서비스 레이어(미도시)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웹 브라우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이에 반응하여 인증 요청 인터페이스에 응답하면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의 허락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0)를 통해 보험금 청구를 위한 사용자 인증을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에 의해 인증 승인이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 접수되면,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사용자 인증을 승인받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인증 서버(300)와 진행하게 된다.
인증 진행 요청 단계(S40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가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 동작의 진행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인증 진행 요청 단계(S4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 인증 요청 동작에 대한 승인이 접수되면,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 동작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인증 진행 요청을 전송한다.
다음, 도 2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S500) 및 인증 결과 전송 단계(S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S500)는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인증 서버(300)로 인증 요청을 승인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동작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부터 인증 진행 요청(S400)이 전송되면, 인증 서버(300)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00). 이때,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인증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인증을 실시하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인증 서버(300)가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전송받지 못하면, 즉, 사용자 단말기(200)가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부터 요청된 인증 허락 요청에 대해 거부 의사를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 전송하면,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의 인증 요청 단계(S400)는 수행되지 않는다.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에 의한 인증 요청 단계(S500)가 수행되면, 인증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에서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S510)한다. 여기서,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인증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인증 어플리케이션(210)은 인증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인증 어플리케이션(210)은 인증만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메신저 기능을 겸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확인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여기서, 인증을 진행한다는 것은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S520)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 정보, 홍채 정보 등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된 인증을 위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 서버(300)로 전송된다.
인증 결과 전송 단계(S600)는 인증 서버(300)가 블록체인 시스템(100)으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인증 결과 전송 단계(S600)에서, 인증 서버(300)는 인증 결과를 블렉체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인증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인증 결과는 인증 서버(3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인증 서버(300)는 인증의 결과를 별도의 유통증명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등록하고,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인증 서버(300)로부터 인증의 결과를 수신한다.
도 2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 조회 요청 및 결과 수신 단계(S7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 조회 요청 및 결과 수신 단계(S7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이 보험사 서버(4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보험 가입 내역의 조회를 요청하고 조회 결과를 수신 받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는 인증 서버(300)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보험가입 내역 조회 요청을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보험사 서버(400)는 보험가입 내역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전송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을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블록체인 운영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검색 결과에 의해,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의료 정보 조회 및 전송 단계 단계(S800) 및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의료 정보 전송 단계(S9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의료 정보 조회 및 전송 단계 단계(S800)는 블록체인 시스템(100), 즉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병원정보 시스템(5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해 전송받아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사용자 의료 정보 조회 및 전송 단계(S800)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병원정보 시스템(500)으로 사용자 의료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810), 병원정보 시스템(500)가 검색된 사용자 의료 정보를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전송하는 단계(S820) 및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보험사 서버(400)로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830)를 구비한다.
이때, 단계(S810)에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사용자 의료 정보 요청과 함께 요청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의 소유주인 사용자 의료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따라서, 병원정보 시스템(500)은 전송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를 검색하여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로 전송한다(S820).
이때,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병원정보 시스템(500)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의료 정보를 블록체인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S830)는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가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받은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병원정보 시스템(500)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전송되면,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전송받은 사용자 의료 정보를 보험사 서버(400) 즉,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보험을 관리하는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보험 청구를 위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사용자의 승인에 의해 병원정보 시스템(500)에서 검색되어 자동으로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해당 병원을 일일이 방문하여 자신의 사용자 의료 정보를 요청해 발급받은 후 보험사로 보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간과 불편함이 크게 감소되며, 보험금 지급을 위한 추가적인 서류 요청의 발생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서류 구비의 불편함으로 인해 보험금 청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의 동작에 해당 보험사 서버(400)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전송된 후,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의료 정보 전송 단계(S9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도 보험사 서버(400)로 전송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의료 정보 전송 단계(S900)에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로 해당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고(S910), 메시지 중계 서버(600)는 전송받은 사용자 의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920). 이대,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해당하는 사용자 의료 정보와 함께, 사용자 의료 정보가 전송된 보험사의 정보(예를 들어, 보험사의 이름 및 가입되어 있는 보험 이름 중 적어도 하나)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된 사용자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보험사에 보험 청구를 위해 전송된 사용자 의료 정보가 어떤 것인지 확인하게 된다.
도 8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받는다.
하지만,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대안적인 예에서,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사용자 단말(200)와 네트워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블록체인 운영서버(110)는 메시지 중계 서버(600)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의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레이어(service layer)(미도시)를 통해 블록체인 운영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레이어란 사용자 단말기(200)의 웹 브라우저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웹 브라우저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100)의 블록체인 운영서버(110)과 연결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블록체인 운영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블록체인 시스템 110: 블록체인 운영서버
120: 블록체인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기
210: 인증 어플리케이션 300: 인증 서버
400: 보험사 서버 500: 병원정보 시스템
600: 메시지 중계 서버

Claims (10)

  1. 블록체인 시스템은 병원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중계 서버로 인증 진행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결과가 수신되면,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보험사 서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 가입 내역이 전송되면,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병원정보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의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은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저장부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가 상기 중계 서버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메시지 중계 서버인 블록체인 운영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연결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료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병원에서 받았던 검사 내역, 진단 내역, 처방 내역, 수술 내역, 입퇴원 내역, 투약 내역,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 및 진료차트 중 적어도 하나인 블록체인 운영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인 블록체인 운영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과 분리되어 운영되는 블록체인 운영방법.

KR1020180151093A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35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93A KR102353926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93A KR102353926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90A true KR20200064690A (ko) 2020-06-08
KR102353926B1 KR102353926B1 (ko) 2022-01-20

Family

ID=7109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93A KR102353926B1 (ko) 2018-11-29 2018-11-29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141A (zh) * 2020-12-15 2021-08-10 京东数字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医药服务信息交互系统
KR20220028965A (ko) * 2020-08-31 2022-03-08 이병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KR2022007390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KR20220073558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2022007389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KR2022007355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80636B1 (ko) 2016-05-16 2017-09-2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인증 정보의 발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블록체인기반 인증 정보 관리 서버
KR20180001223A (ko) * 2016-06-27 2018-01-04 김성열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6679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데일리인텔리전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블록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80636B1 (ko) 2016-05-16 2017-09-2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인증 정보의 발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블록체인기반 인증 정보 관리 서버
KR20180001223A (ko) * 2016-06-27 2018-01-04 김성열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80086679A (ko)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데일리인텔리전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블록을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965A (ko) * 2020-08-31 2022-03-08 이병걸 진료 데이터 저장 서버 및 환자 인터페이스
KR2022007390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KR20220073558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2022007389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KR2022007355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CN113241141A (zh) * 2020-12-15 2021-08-10 京东数字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医药服务信息交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26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926B1 (ko)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20000B1 (ko) 사용증명방식 블록체인 기반의 일회용 개인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891689B2 (en) Consent management service system
US10887098B2 (en) System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methods of use
CN108369700A (zh) 移动支付系统
US201102707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inancial document clearinghouse and secure delivery network
US20220360446A1 (en) Dynamic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hash-based consent and permissioning protocols
KR102160915B1 (ko) 무매체 신원 확인을 통한 상품 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2033610A1 (fr) Procede et systeme de protection d'informations personnelles, dispositif de traitement, emetteur-recepteur portatif et programme
CN104871509B (zh) 用于管理访问权限的方法和装置
KR20170063559A (ko) 언제 인증이 철회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기준을 정의하기 위한 다차원 프레임워크
US202302817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ed voucher distribution using blockchain
US11503026B2 (en) Email address with identity string and methods of use
JP7171504B2 (ja) 個人情報管理サーバ、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8046733A (ja) 個人属性情報の提供方法、制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33727A (ko) 실명 기반의 가상계좌 운영 방법
JP5919497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CN116547682A (zh) 用于对装置进行认证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KR102258091B1 (ko) 블록체인 운영 방법
US20040236941A1 (en) Method for secure transfer of information
KR102605368B1 (ko) 메일의 진위를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7324941B2 (ja) 金融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419625B1 (ko) 데이터베이스 차등적 운영방법
KR101861292B1 (ko) 은행계좌를 이용한 본인확인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775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insights from consumer accessibl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