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677A - 가로등용 지주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677A
KR20220028677A KR1020200109977A KR20200109977A KR20220028677A KR 20220028677 A KR20220028677 A KR 20220028677A KR 1020200109977 A KR1020200109977 A KR 1020200109977A KR 20200109977 A KR20200109977 A KR 20200109977A KR 20220028677 A KR20220028677 A KR 20220028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nector
column module
movable fix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상
심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677A/ko
Publication of KR2022002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기둥모듈부와, 제2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기둥모듈부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에 맞물리는 외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나사부에 맞물리는 내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이동고정부 및 상기 이동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용 지주{POLE OF STREET LIGHT}
본 발명은 분리된 지주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가로등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美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해 놓은 등이다. 이와 같은 가로등은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형성된 아암에 고정되는 조명램프를 포함한다.
가로등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은 지주 내에 설치된 전선을 통해 조명램프로 인가되고, 조명램프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생시킨다.
가로등용 지주는 주철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원형 형상의 금속관체로 구성된다. 또한 가로등용 지주는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각 지주를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용접 작업에 의해 가로등용 지주를 연결하므로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256호 (2009.12.02 공개, 고안의 명칭: 가로등 지주의 연결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로 분리된 가로등용 지주를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로등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된 복수의 가로등용 지주를 연결할 때 케이블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등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는, 이동고정부와 함께 커넥터부가 회전되어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커넥터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연결부를 이용해 이동고정부와 함께 커넥터부를 회전시키므로 커넥터부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체결된 이후, 이동고정부만 회전시켜 제1기둥모듈부의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기둥모듈부의 이동을 구속하여 상측모듈과 하측모듈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드용 지주는,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기둥모듈부와, 제2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기둥모듈부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에 맞물리는 외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나사부에 맞물리는 내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이동고정부 및 상기 이동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둥모듈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이다.
또한 제1나사부가 커넥터부와 마주하는 하측에 설치된다.
또한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는, 조이는 방향과 푸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연결부와 함께 회전하는 커넥터몸체 및 상기 커넥터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체결되는 외측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몸체는, 상기 제1기둥모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몸체 및 제1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의 외경은 상기 제2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기둥모듈부의 상단은 상기 제1몸체의 하단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나사부는, 상기 제1몸체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제1나사부에 맞물리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제2나사부에 맞물리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고정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구비된 내측연결홀에 연통되는 외측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외측연결홀을 통해 상기 내측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이동고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평면부가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연결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제1부재 및 제1부재의 단부에서 굽어지는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고정부와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탄성을 구비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의 실링몸체 및 상기 실링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둥모듈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커넥터부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설치되므로, 2개의 모듈로 분리된 가로드용 지주의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부의 내측에 케이블이 이동되는 통로가 구비되므로 모듈화된 복수의 가로등용 지주를 연결할 때 케이블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가 이동고정부와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회전으로 제1기둥모듈부와 제2기둥모듈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고정부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고정부가 제1기둥모듈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드용 지주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와 커넥터부(30)와 이동고정부(40)와 회전연결부(50)와 실링부(60)와 기기함(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용 지주(1)에는 라이팅 기능을 위한 조명램프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화된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와 커넥터부(30)와 이동고정부(40)와 회전연결부(50)와 실링부(60)와 기기함(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등용 지주(1)는, 체결력과 방수성이 향상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대비 부품 수가 감소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기둥모듈부(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이며, 커넥터부(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나사부(16)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둥모듈부(10)는 제1기둥몸체(11)와 제1연장부(15)를 포함하며, 이동고정부(40)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기둥몸체(11)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하(도 2기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기둥몸체(11)에는 전장부품이 설치된 기기함(70)이 고정될 수 있다.
제1연장부(15)는 제1기둥몸체(11)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1연장부(15)의 내측에는 제1나사부(16)가 설치된다. 제1나사부(16)는 커넥터부(30)와 마주하는 제1기둥모듈부(10)의 하측에 설치되므로, 제1나사부(16)는 커넥터부(30)의 외측에 나사 체결된다.
제1기둥몸체(11)의 두께보다 제1연장부(15)의 두께가 얇으므로, 제1기둥몸체(11)와 제1연장부(15)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부(30)의 상단이 제1기둥몸체(11)와 제1연장부(15)의 경계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제2기둥모듈부(20)는 제1기둥모듈부(10)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이며, 커넥터부(30)와 연결되기 위한 제2나사부(26)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둥모듈부(20)는 제2기둥몸체(21)와 제2연장부(25)를 포함하며, 이동고정부(4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기둥몸체(21)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하(도 2기준)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기둥몸체(21)의 상측으로 제2연장부(25)가 연장되며, 제2연장부(25)의 내측에는 제2나사부(26)가 구비된다. 제2나사부(26)는 커넥터부(30)와 마주하는 제2기둥모듈부(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커넥터부(30)의 외측에 나사 체결된다.
제2기둥몸체(21)의 두께와 제2연장부(25)의 두께는 서로 같으므로 제2기둥모듈부(20)가 커넥터부(3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나사부(16)와 제2나사부(26)는, 조이는 방향과 푸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나사부(16)가 좌나사인 경우 제2나사부(26)는 우나사이다. 반대로 제1나사부(16)가 우나사인 경우, 제2나사부(26)는 좌나사이다.
따라서 커넥터부(30)가 회전을 하면, 커넥터부(30)를 중심으로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커넥터부(3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다.
커넥터부(30)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1나사부(16)와 제2나사부(26)에 맞물리는 외측나사부(37)가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는 커넥터부(30)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동고정부(40)와 함께 커넥터부(30)가 회전되어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에 나사 체결되므로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연결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는, 커넥터몸체(31)와 외측나사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50)가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부(3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몸체(3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몸체(31)는 이동고정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몸체(31)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50)에 의해 회전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몸체(31)는, 제1몸체(32)와 제2몸체(36)를 포함한다.
제1몸체(32)는 제1기둥모듈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형관 형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몸체(32)의 외측에는 제1기둥모듈부(10)의 제1연장부(15)가 위치하며, 제1몸체(32)의 하측에는 실링부(6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위치한다.
제1몸체(32)에는 회전연결부(50)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인 내측연결홀(33)이 구비된다. 내측연결홀(33)은 이동고정부(40)에 구비된 구멍과 연통된 상태에서 회전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된다. 내측연결홀(33)은 제1몸체(32)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 구멍이다.
제1몸체(32)의 두께는 제2몸체(36)의 두께보다 크며, 제1몸체(32)의 내경과 제2몸체(36)의 내경은 같으므로, 제1몸체(32)와 제2몸체(36)의 경계에는 단턱 형상의 걸림턱(35)이 구비된다. 걸림턱(35)의 길이는 제1몸체(32)의 두께에서 제2몸체(36)의 두께를 뺀 값이다.
또한 제1몸체(32)의 하단에는 실링부(60)가 설치되며, 실링부(60)의 실링돌기(64)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몸체(32)의 하단에 오목한 홈 형상의 돌기홈부(34)가 구비된다.
제2몸체(36)는 제1몸체(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2기둥모듈부(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36)는 원형관 형상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몸체(36)의 외측에는 제2기둥모듈부(20)의 제2연장부(25)가 위치한다. 또한 제1몸체(32)의 외경인 제1외경(C1)은 제2몸체(36)의 외경인 제2외경(C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둥몸체(11)의 내경을 제1내경(D1)이라 하며, 제1연장부(15)의 내경을 제2내경(D2)이라 한다. 그리고 제2기둥몸체(21)의 내경을 제3내경(D3)이라 하며, 제2연장부(25)의 내경을 제4내경(D4)이라 한다.
제1외경(C1)과 제2내경(D2)은 같으며, 제1외경(C1) 보다 제2외경(C2)이 작다. 제2외경(C2)은 제4내경(D4)과 같으며, 제3내경(D3)은 제2외경(C2)과 같거나 약간 작다. 그리고 제1내경(D1)은 제2내경(D2) 보다 작다.
따라서 제1몸체(32)의 상측에 제1기둥몸체(11)의 하단이 걸릴 수 있으며, 제1몸체(32)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턱(35)에 제2기둥몸체(21)의 상단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2기둥모듈부(20)의 상단은 제1몸체(32)의 하단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외측나사부(37)는 커넥터몸체(31)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나사부(16)와 제2나사부(26)가 체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나사부(37)는 제1결합부(38)와 제2결합부(39)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38)는 제1몸체(32)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제1나사부(16)에 나사 체결로 맞물린다. 또한 제2결합부(39)는 제2몸체(36)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제2나사부(26)에 나사 체결로 맞물린다.
제1결합부(38)와 제2결합부(39)의 나사산 방향은 제1나사부(16)와 제2나사부(26)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에 대응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38)가 좌나사인 경우 제2결합부(39)는 우나사이다. 반대로 제1결합부(38)가 우나사인 경우, 제2결합부(39)는 좌나사이다.
이동고정부(40)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커넥터부(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동고정부(40)는 외측나사부(37)에 맞물리는 내측나사부(41)가 내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고정부(40)는 제1몸체(32)의 외측에 설치된 제1결합부(38)에 나사체결되며, 제1결합부(38)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고정부(40)는 제1결합부(38)의 외측을 감싸는 너트 형상이며, 이동고정부(40)의 내측에는 내측나사부(41)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평면부(43)가 구비된다. 이동고정부(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평면부(43)가 연이어 설치되므로, 평면부(43)를 가압하며 돌리므로 이동고정부(40)만 회전시키는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고정부(40)에는 커넥터부(30)에 구비된 내측연결홀(33)에 연통되는 외측연결홀(42)을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연결부(50)는 외측연결홀(42)을 통해 내측연결홀(33)에 삽입되므로,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부(30)의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용 지주(1)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부(30)와 이동고정부(40)와 실링부(60)를 구비한다. 외측에서 볼때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 이동고정부(40)만 보이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고정부(4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는 실링부(60)가 설치되므로 방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나사부(16)와 제2나사부(26)와 제1결합부(38)와 제2결합부(39)의 나사산은 동일한 피치(pitch)가 적용된다. 그리고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강성 대비 커넥터부(30)와 연결된 부분의 강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기본적인 구조 변경 없이, 나사 체결되는 부분의 나사산 수만 증가시키는 작업에 의해 추가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제1나사부(16)와 제1결합부(38)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나사부(16)와 제1결합부(38)의 나사산 수가 증가되어 구조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나사부(26)와 제2결합부(39)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2나사부(26)와 제2결합부(39)의 나사산 수가 증가되어 구조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50)는 이동고정부(40)를 관통하여 커넥터부(30)의 측면에 삽입되며,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부(3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5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하기 용이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50)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51)는 이동고정부(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고정부(40)를 통하여 커넥터부(30)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이다. 제1부재(51)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이동고정부(40)에 구비된 외측연결홀(42)을 통해 커넥터부(30)에 구비된 내측연결홀(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부재(52)는 이동고정부(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부재(51)의 단부에서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부재(52)를 잡고 돌리는 작업에 의해 제1부재(51)와 함께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부(30)가 회전될 수 있다.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연결 작업시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부(30)가 회전하여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회전없이 가로등용 지주(1)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의 꼬임 및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커넥터부(30)에 연결될 때, 체결구조로서의 검증된 나사산 구조를 적용하므로,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구조강성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실링부(60)는 이동고정부(4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밀 기능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실링부(60)는 커넥터부(30)의 외측에 위치하며, 탄성을 구비하므로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60)는, 실링몸체(62)와 실링돌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몸체(62)는 커넥터부(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의 탄성체이다. 실링몸체(62)는 제1몸체(32)의 하단에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실링몸체(62)의 하측에는 제2연장부(25)의 상단이 위치한다.
실링돌기(64)는 실링몸체(62)에서 연장되며, 제2기둥모듈부(20)와 상기 커넥터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밀작용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돌기(64)는 실링몸체(6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실링돌기(64)는 제1몸체(32)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홈부(34)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연장부(25)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몸체(32)의 하측에 환형의 홈인 돌기홈부(34)를 형성하며, 돌기홈부(34)에 실링돌기(64)가 삽입되므로 방수 구조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의 회전으로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8)의 상하 방향 길이를 제2길이(L2)로 설정하며, 제2결합부(39)의 상하 방향 길이를 제1길이(L1)로 설정한다. 제2길이(L2)는 제1길이(L1)보다 길며, 보다 정확하게는 보정길이(L3) 만큼 길다. 즉 제1길이(L1)에 보정길이(L3)를 더하면 제2길이(L2)가 나온다.
보정길이(L3)는 제2기둥모듈부(20)가 이동되어 이동고정부(40)의 걸림턱(35)에 접한 상태에서, 제1기둥모듈부(10)의 방향 설정을 위한 여유 갭(Gap)을 위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을 따라 제1기둥모듈부(10)가 1바퀴 회전할 정도의 나사산 1피치(Pitch)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는,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사이에 너트 형상의 이동고정부(40)만 노출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체결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볼트 형상을 감추기 위한 별도의 커버도 불필요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지주(1)의 조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30)의 외측에 이동고정부(40)를 체결한 후 회전연결부(50)를 설치한다. 이동고정부(40)의 내측나사부(41)는 제1결합부(38)에 체결되며, 제1몸체(32)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내측연결홀(33)과 외측연결홀(42)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회전연결부(50)의 제1부재(51)가 내측연결홀(33)과 외측연결홀(42)을 통과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고정부(40)와 커넥터부(30)의 회전이 동기화된다.
내측연결홀(33)과 외측연결홀(42)은 복수로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회전연결부(50)가 내측연결홀(33)과 외측연결홀(42)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제1기둥모듈부(10)는 커넥터부(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기둥모듈부(20)는 커넥터부(3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때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는 별도의 지그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며, 상하 길이방향 이동만 허용된다. 그리고 제1기둥모듈부(10)의 제1나사부(16)는 제1결합부(38)에 일부가 체결되며, 제2기둥모듈부(20)의 제2나사부(26)는 제2결합부(39)에 일부가 체결된 상태이다.
작업자는 회전연결부(50)를 회전시켜 이동고정부(40)와 함께 커넥터부(30)를 회전시키면,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이동고정부(40)를 향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 가공을 하며, 커넥터부(30)에도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커넥터부(30)의 회전에 의해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는 이동고정부(40)를 향하여 동시에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고정부(40)의 외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32)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턱(35)에 제2기동모듈부의 상단이 접하며 제2기둥모듈부(20)의 이동이 구속되며, 커넥터부(30)의 회전도 정지된다.
제2기둥모듈부(20)의 상단과 이동고정부(40)의 하측 사이에 실링부(60)가 위치하며, 제2기둥모듈부(20)에 의해 실링몸체(62)가 가압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1기둥모듈부(10)의 하단은 이동고정부(40)에 접하지 못한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고정부(40)가 제1기둥모듈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모듈부(10)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1기둥모듈부(10)만 회전시켜 제1기둥모듈부(10)의 방향을 최종 세팅할 수 있다. 제1기둥모듈부(10)가 1번 회전할 정도의 여유간격이 보정길이(L3)에 의해 주어지므로 제1기둥모듈부(10)의 보정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연결부(50)를 이동고정부(40)에서 분리한 후 이동고정부(40)만 스패터 타입의 지그로 회전시켜 제1기둥모듈부(10)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고정부(40)를 이동시킨다. 이동고정부(40)가 제1기둥모듈부(10)의 하단에 접하며 제1기둥모듈부(10)는 조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동고정부(40)가 약간 상측으로 이동된 길이만큼 압축된 실링부(60)가 팽창된다. 따라서 제2기둥모듈부(20)의 상측에 실링부(60)가 접하며, 실링부(60)의 상측에 이동고정부(40)가 접하고, 이동고정부(40)의 상측에 제1기둥모듈부(10)가 접한다.
즉,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커넥터부(3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연결부(50)를 이용해 이동고정부(40)와 함께 커넥터부(30)를 회전시키므로 커넥터부(30)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30)의 양측에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가 체결된 이후, 제1기둥모듈부(10)의 설치방향을 보정한 후 이동고정부(40)만 회전시켜 제1기둥모듈부(10)의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기둥모듈부(10)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로써 제1기둥모듈부(10)를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제1기둥모듈부(10)와 제2기둥모듈부(20)의 체결력도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가로등용 지주
10: 제1기둥모듈부
11: 제1기둥몸체
15: 제1연장부 16: 제1나사부
20: 제2기둥모듈부
21: 제2기둥몸체
25: 제2연장부 26: 제2나사부
30: 커넥터부
31: 커넥터몸체 32: 제1몸체 33: 내측연결홀 34: 돌기홈부 35: 걸림턱
36: 제2몸체
37: 외측나사부 38: 제1결합부 39: 제2결합부
40: 이동고정부 41: 내측나사부 42: 외측연결홀 43: 평면부
50: 회전연결부 51: 제1부재 52: 제2부재
60: 실링부 62: 실링몸체 64: 실링돌기
70: 기기함
L1: 제1길이 L2: 제2길이 L3: 보정길이
D1: 제1내경 D2: 제2내경 D3: 제3내경 D4: 제4내경
C1: 제1외경 C2: 제2외경

Claims (12)

  1.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기둥모듈부;
    제2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기둥모듈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에 맞물리는 외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커넥터부;
    상기 제1기둥모듈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측나사부에 맞물리는 내측나사부가 구비되는 이동고정부; 및
    상기 이동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부의 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모듈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1나사부가 상기 커넥터부와 마주하는 하측에 설치되는 가로등용 지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는, 조이는 방향과 푸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지는 가로등용 지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연결부와 함께 회전하는 커넥터몸체; 및
    상기 커넥터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체결되는 외측나사부;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몸체는, 상기 제1기둥모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외경은 상기 제2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상단은 상기 제1몸체의 하단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가로등용 지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나사부는, 상기 제1몸체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제1나사부에 맞물리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몸체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제2나사부에 맞물리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구비된 내측연결홀에 연통되는 외측연결홀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외측연결홀을 통해 상기 내측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회전이 동기화되는 가로등용 지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평면부가 연이어 설치되는 가로등용 지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이동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의 단부에서 굽어지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부와 상기 제2기둥모듈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탄성을 구비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의 실링몸체; 및
    상기 실링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기둥모듈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돌기;를 포함하는 가로등용 지주.
KR1020200109977A 2020-08-31 2020-08-31 가로등용 지주 KR20220028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977A KR20220028677A (ko) 2020-08-31 2020-08-31 가로등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977A KR20220028677A (ko) 2020-08-31 2020-08-31 가로등용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77A true KR20220028677A (ko) 2022-03-08

Family

ID=8081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977A KR20220028677A (ko) 2020-08-31 2020-08-31 가로등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463B1 (ko) * 2022-06-24 2023-04-17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접이식 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463B1 (ko) * 2022-06-24 2023-04-17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접이식 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6449A1 (en) Plug-In Overhead Light
CN103968272B (zh) 全密封灯具
CN105449436A (zh) 弯头连接器的新型结构及电气设备
KR20220028677A (ko) 가로등용 지주
KR200493089Y1 (ko)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
CN105673643B (zh) 支撑连接件
US10851986B2 (en) Waterproof lamp
CN107968290A (zh) 一种嵌入式快接连接器
CN207782025U (zh) 一种嵌入式快接连接器
US4841418A (en) Explosion-proof fixture and method
CN102486303B (zh) 灯具安装装置以及吸顶灯
CN208820400U (zh) 一种圆形接线盒
CN104075278A (zh) 一种公插头及具有该公插头的灯具
CN202452313U (zh) 喷水织机车间专用的全密封灯具
KR100917998B1 (ko) 등기구용 연결구
CN104075291B (zh) 一种灯具及其电缆引入装置
US20050245112A1 (en) Track adapter and track light kit equipped with the same
CN219067791U (zh) 一种防水接线盒
CN220527351U (zh) 一种监控装置及安装支架
CN203491486U (zh) 一种螺口灯座
CN221035677U (zh) 一种调节方便的圆筒灯具
CN214038098U (zh) 一种加固型微波感应防水led吸顶灯
CN211995613U (zh) 转辙机用底壳
CN204026533U (zh) 用于灯具的安装支架和包括这种安装支架的安装机构
CN207906219U (zh) 可变角度固定装置及其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