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288A - 밀착형 신경 자극기 - Google Patents

밀착형 신경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288A
KR20220028288A KR1020200109079A KR20200109079A KR20220028288A KR 20220028288 A KR20220028288 A KR 20220028288A KR 1020200109079 A KR1020200109079 A KR 1020200109079A KR 20200109079 A KR20200109079 A KR 20200109079A KR 20220028288 A KR20220028288 A KR 2022002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ct
external auditory
auditory meatu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009B1 (ko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극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형 신경 자극기{Close contact type Nerve stimulator}
밀착형 신경 자극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이개 또는 외이도의 표면에 밀착 접촉할 수 있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가 개신된다.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뇌로부터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 분포한다. 이와 같이 여러 중요한 기관들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은 인두의 수축근과 후두의 속근육을 제어하고, 심장박동, 창자의 연동운동, 땀 분비 등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우울증 및 뇌전증 외에도 이명, 치매, 인지기능감소, 퇴행성 뇌질환 및 만성 통증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을 통해 전기자극기를 미주신경에 부착 및 이식하는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KR20170034624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전극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표면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이개 또는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극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힌지 결합하는 축으로 형성된 제1 조절부재;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2 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접하도록 형성된 제3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절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하여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제3 조절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각이 작아지고,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어느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각이 커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원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극부는, 상기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외이도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외이도와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가 외이도에 접촉될 때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변형부재의 신축에 의해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 전극은, 이개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외이도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전극; 상기 본체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전극; 상기 본체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본체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제3 전극 또는 제4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고,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제3 전극 또는 제4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가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될 때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변형부재의 신축에 의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에 의하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전극을 구비하여 전극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표면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이개 또는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 중 좌측 자극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의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절부의 제1 조절부재가 슬라이딩하여 본체부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의 전극부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의 제1 전극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 중 좌측 자극기를 나타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조절부(14)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절부(14)의 제1 조절부재(141)가 슬라이딩하여 본체부(12)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전극부(13)를 나타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제1 전극(131)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는 고정부(11), 본체부(12), 전극부(13) 및 조절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는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는 후두부를 둘러싸는 밴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는 양 단부가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귀에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다.
본체부(12)는 고정부(11)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부(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 각각은 좌측 및 우측의 이개에 위치될 수 있다.
전극부(13)는 좌측 및 우측의 본체부(12)에 각각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의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부(13)는 본체부(12)의 회전에 의해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로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전극부(13)에 관해서는 이후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조절부(14)는 고정부(11)에 대한 본체부(1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조절부(14)는 제1 조절부재(141), 제2 조절부재(142) 및 제3 조절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141)는 고정부(11)와 본체부(12)를 힌지 결합하는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42)는 고정부(11) 또는 본체부(1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3 조절부재(143)는 고정부(11) 또는 본체부(12)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일부가 제2 조절부재(14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조절부재(143)는 제2 조절부재(14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1 조절부재(141)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부(11) 또는 본체부(1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절부재(142)가 고정부(11) 상에 배치되고, 제3 조절부재(143)가 본체부(1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2 조절부재(142)는 고정부(11)로부터 본체부(12)를 향하여 고정부(11) 표면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42)가 접하고 있던 제3 조절부재(143)의 일부분은 제2 조절부재(142)에 의해 밀려서, 제3 조절부재(143)가 제1 조절부재(14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절부재(143)가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1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조절부재(142) 및 제3 조절부재(143)가 전술한 예시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3 조절부재(143)는 내부공간(1431) 및 경사면(143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1431)은 제2 조절부재(14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절부재(142)는 일 측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분은 고정부(11)로부터 본체부(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내부공간(1431)은 이러한 제2 조절부재(142)의 돌출된 부분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며, 제2 조절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432)은 제2 조절부재(142)의 일부, 즉 제2 조절부재(142)의 돌출된 부분이 접촉할 수 있다. 경사면(1432)은 제2 조절부재(142)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1432)은 고정부(11)에서 본체부(1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조절부재(142)의 돌출된 부분은 이러한 경사면(143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절부재(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의 표면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병진운동하고, 경사면(1432)은 돌출된 부분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조절부재(1431)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절부재(142)가 고정부(11)로부터 본체부(12)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는 고정부(11) 및 본체부(12)의 사이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제2 조절부재(142)가 본체부(12)로부터 고정부(11)를 향해 다시 이동하는 경우, 본체부(12)는 고정부(11) 및 본체부(12)의 사이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도 3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제2 조절부재(142)가 고정부(11) 상에 배치되고, 제3 조절부재(143)가 본체부(1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조절부(14)는 제2 조절부재(142)가 본체부(12) 상에 배치되고, 제3 조절부재(143)가 고정부(11) 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체부(12)는 원위치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2)는 제2 조절부재(142)가 본체부(12)로부터 고정부(11)를 향해 슬라이딩할 때 자동적으로 원위치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의 전극부(13)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극부(13)는 제1 전극(131), 제2 전극(132), 제3 전극(133) 및 제4 전극(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31)은 외이도에 삽입 및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131)은 외이도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31)은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31)은 외이도에 삽입되어 그 표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1311) 및 변형부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1311)는 외이도와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재(1311)는 예를 들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 본체부(12)가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재(1312)는 접촉부재(1311)의 외측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변형부재(1312)는 접촉부재(1311)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부재(1312)는 외이도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외이도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되도록 신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접촉부재(1311)는 외이도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고,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제2 전극(132)은 본체부(12)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한 이주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제3 전극(133)은 본체부(12)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한 이당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제4 전극(134)은 본체부(12)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한 이궁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제1 전극(131)과 형태는 상이하지만, 제2 전극(132), 제3 전극(133) 및 제4 전극(134) 또한 이주, 이당 및 이궁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132), 제3 전극(133) 및 제4 전극(134) 또한 이주, 이당 및 이궁의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신경 자극기(1)는 전극부(13)를 이개 또는 외이도에 밀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마다 상이한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전극부(13)를 구비하여, 전극부(13)가 이개 또는 외이도의 표면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밀착형 신경 자극기
11: 고정부
12: 본체부
13: 전극부
131: 제1 전극
1311: 접촉부재
1312: 변형부재
132: 제2 전극
133: 제3 전극
134: 제4 전극
14: 조절부
141: 제1 조절부재
142: 제2 조절부재
143: 제3 조절부재
1431: 내부 공간
1432: 경사면

Claims (12)

  1. 귀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극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내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힌지 결합하는 축으로 형성된 제1 조절부재;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2 조절부재; 및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접하도록 형성된 제3 조절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절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하여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를 회전시키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3 조절부재는,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가 접촉하는 경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각이 작아지고,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본체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어느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각이 커지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원위치로 탄성 복원 가능한, 밀착형 신경 자극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외이도와 접촉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외이도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외이도와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변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가 외이도에 접촉될 때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변형부재의 신축에 의해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밀착형 신경 자극기.
  11. 이개에 위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서 외이도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전극;
    상기 본체 상에서 이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전극;
    상기 본체 상에서 이당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본체 상에서 이궁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제3 전극 또는 제4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고,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어 미주신경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밀착형 신경 자극 전극.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제3 전극 또는 제4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와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변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가 이개 또는 외이도에 접촉될 때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변형부재의 신축에 의해 이개 또는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상기 이개 또는 외이도 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밀착형 신경 자극 전극.
KR1020200109079A 2020-08-28 2020-08-28 밀착형 신경 자극기 KR10243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9A KR102438009B1 (ko) 2020-08-28 2020-08-28 밀착형 신경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79A KR102438009B1 (ko) 2020-08-28 2020-08-28 밀착형 신경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88A true KR20220028288A (ko) 2022-03-08
KR102438009B1 KR102438009B1 (ko) 2022-08-30

Family

ID=8081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79A KR102438009B1 (ko) 2020-08-28 2020-08-28 밀착형 신경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2114A1 (en) * 2014-06-13 2015-12-17 Nervana, LLC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20160279021A1 (en) * 2015-03-27 2016-09-29 Elwha Llc Vibratory ear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34624A (ko) 2015-09-21 2017-03-29 이원준 다기능 선풍기
JP2019508214A (ja) * 2016-03-09 2019-03-28 ケオジェ ユニヴェルシテシKoc Universitesi 筋肉の場所の識別および治療反応の増強において有効な電気刺激装置
KR20190088300A (ko) *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기
KR20200035053A (ko) * 2017-07-31 2020-04-01 더 파인스타인 인스티튜츠 포 메디칼 리서치 귀 자극 디바이스, 시스템 및 사용 방법
US20200215327A1 (en) * 2018-09-24 2020-07-09 Vorso Corp.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2114A1 (en) * 2014-06-13 2015-12-17 Nervana, LLC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20160279021A1 (en) * 2015-03-27 2016-09-29 Elwha Llc Vibratory ear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34624A (ko) 2015-09-21 2017-03-29 이원준 다기능 선풍기
JP2019508214A (ja) * 2016-03-09 2019-03-28 ケオジェ ユニヴェルシテシKoc Universitesi 筋肉の場所の識別および治療反応の増強において有効な電気刺激装置
KR20200035053A (ko) * 2017-07-31 2020-04-01 더 파인스타인 인스티튜츠 포 메디칼 리서치 귀 자극 디바이스,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90088300A (ko) *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기
US20200215327A1 (en) * 2018-09-24 2020-07-09 Vorso Corp. Auricular nerve stimulation to address patient disord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009B1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1020B2 (en) Electrode arrangement
ES2964217T3 (es) Pulsos trifásicos para reducir los efectos secundarios no deseables en implantes cocleares
JP3637497B2 (ja) 硬化した蝸牛に埋め込む方法及び装置
Fridman et al. Progress toward development of a multichannel vestibular prosthesis for treatment of bilateral vestibular deficiency
US10986453B2 (en) Variable transducer fixation
US83407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al stimulation
US20230166110A1 (en) Hearing prosthesis
CN105658185A (zh) 具有水凝胶覆盖物的电极触点
Van de Berg et al. The vestibular implant: hearing preservation during intralabyrinthine electrode insertion—a case report
US20230330411A1 (en) Close-contact type nerve stimulator
KR102438009B1 (ko) 밀착형 신경 자극기
KR102438007B1 (ko) 맞춤형 신경 자극기
US20160096019A1 (en) Template for Bilateral Symmetric Stimulator Fixation/Implantation
Sahyouni et al. Selective stimulation of facial muscles with a penetrating electrode array in the feline model
US10213597B2 (en) Electrode lead that avoids electrode array migration from the cochlea
US10525259B2 (en) Atraumatic vestibular stimulation and measuring electrode
Micera et al. A closed-loop neural prosthesis for vestibular disorders
Koch et al. Bioengineering solutions for hearing loss and related disorders
EP4138989A1 (en) Tinnitus treatment with a cochlear implant system
KR102649949B1 (ko) 미주신경 자극장치
US20160337768A1 (en) Normalization fitting method
US20220111226A1 (en) Opto-Acoustic Selective Mechanical Stimulation of the Vestibular System
Shannon Cochlear Implants: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Are We Going?
KR200449559Y1 (ko)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Ho et al. Modifying cochlear implant design: advantages of placing a return electrode in the modio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